KR101336262B1 - Hydraulic cylinder tuning apparatus for car lifting - Google Patents

Hydraulic cylinder tuning apparatus for car lif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262B1
KR101336262B1 KR1020120095352A KR20120095352A KR101336262B1 KR 101336262 B1 KR101336262 B1 KR 101336262B1 KR 1020120095352 A KR1020120095352 A KR 1020120095352A KR 20120095352 A KR20120095352 A KR 20120095352A KR 101336262 B1 KR101336262 B1 KR 101336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tuning
vehicle
vehicle mountin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3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근
Original Assignee
김종근
헤스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근, 헤스본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근
Priority to KR1020120095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26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2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16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1/22Synchronisation of the movement of two or more servo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리프트의 일측에 구비되어 차량탑재대(P)를 승강시키는 제1 메인실린더(10)와, 리프트의 타측에 구비되어 차량탑재대(P)를 승강시키는 제2 메인실린더(20)와, 상기 제1 메인실린더(10)의 유출구(10a)와 제1 동조라인(H1)을 통해 직렬로 연결되며 리프트의 타측에 상기 제2 메인실린더(20)와 함께 구비되는 제1 보조실린더(30)와, 상기 제2 메인실린더(20)의 유출구(20a)와 제2 동조라인(H2)을 통해 직렬로 연결되며 리프트의 일측에 상기 제1 메인실린더(10)와 함께 리프트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 보조실린더(40)와, 상기 제1, 제2 메인실린더(10, 20)와 유압펌프를 연결하는 메인 공급라인(H0)과, 상기 제1 메인실린더(10)의 유출구(10a)와 제1 보조실린더(30)의 유입구(30a)를 연결하는 제1 동조라인(H1)과, 상기 제2 메인실린더(20)의 유출구(20a)와 제2 보조실린더(40)의 유입구(40a)를 연결하는 제2 동조라인(H2)과, 상기 차량탑재대(P)의 하강 사이클 후반 또는 하강 사이클 완료시점에서 상기 메인 공급라인(H0)과 제1 동조라인(H1)을 연통시키는 제1 동조부(50)와; 상기 차량탑재대(P)의 하강 사이클 후반 또는 하강 사이클 완료시점에서서 상기 메인 공급라인(H0)과 제2 동조라인(H2)을 연통시키는 제2 동조부(60)와; 상기 차량탑재대(P)가 미리 설정된 하강 사이클 후반 일지점 또는 하강 사이클 완료 지점에 도달했음을 감지하는 감지센서(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 device for a vehicle equipped with a tuning function, the first main cylinder 1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ift to raise and lower the vehicle mounting stage (P), and the vehicle mounting stage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lift ( A second main cylinder 20 for elevating P), the outlet 10a of the first main cylinder 10, and the first tuning line H1 are connected in series and are connected to the second main cylinder 20 on the other side of the lift. A first auxiliary cylinder 30 provided together with 20 and an outlet 20a of the second main cylinder 20 and a second tuning line H2 are connected in series and a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ift. A second auxiliary cylinder 4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ift together with the main cylinder 10, a main supply line H0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main cylinders 10 and 20 to the hydraulic pump, and A first tuning line H1 connecting the outlet 10a of the first main cylinder 10 and the inlet 30a of the first auxiliary cylinder 30, and The second tuning line (H2) connecting the outlet 20a of the second main cylinder 20 and the inlet 40a of the second auxiliary cylinder 40, and the second or lower descending cycle of the vehicle mounting stage (P) A first tuning unit 50 for communicating the main supply line H0 and the first tuning line H1 at the completion of the cycle; A second tuning unit 60 for communicating the main supply line H0 and the second tuning line H2 at the end of the descending cycle or the completion of the descending cycle of the vehicle mounting table P; And a detection sensor (70) for detecting that the vehicle mounting stage (P) has reached a preset down cycle late point or a down cycle completion point (70).

Description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 HYDRAULIC CYLINDER TUNING APPARATUS FOR CAR LIFTING }Vehicle Lift Lift with Tuning Function {HYDRAULIC CYLINDER TUNING APPARATUS FOR CAR LIFTING}

본 발명은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lift elevator device having a tuning function.

일반적으로 차량정비용 리프트는 차량을 탑재 한 후, 자체를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 차제의 각종 고장요소를 용이하게 정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로써, 구조방식에 따라 지주형과 크로스 링크형으로 크게 구분된다.In general, a fixed cost lift is a device that helps to easily maintain various kinds of breakdown elements by lifting itself from the ground after mounting the vehicle. .

그 중에서도 크로스 링크형(X형 또는 씨저형) 리프트는 한 쌍의 바닥프레임 상부에는 X자형의 크로스 링크가 각각 좌, 우측에 설치되고, 크로스 링크의 상부에는 차량을 안착할 수 있는 차량탑재대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크로스 링크를 상승 및 하강하기 위하여 유압실린더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유압실린더에 의해 크로스 링크가 상승 및 하강하면서 차량이 안착되는 차량탑재대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것이다.Among them, the cross-link type (X-type or seed-type) lifts have X-shaped cross link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ir of floor frames, respectively, and a vehicle mounting stand on which the vehicle can be seated. It is. In addition, hydraulic cylinders are mounted to lift and lower the pair of cross links, respectively. Therefore, the hydraulic cylinder lifts and lowers the vehicle mounting stand on which the vehicle is seated while the cross link is raised and lowered.

상기와 같이 크로스 링크형 리프트의 경우는 바닥프레임의 좌, 우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크로스 링크의 동조를 위하여 좌, 우측 크로스 링크에 지지봉형태의 동조바를 연결시킨 동조바 방식을 적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동조방식은 본 출원인이 실용신안등록 제282499호로 등록한바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cross link lift, a tuning bar method in which a support bar-type tuning bar i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cross links is used for tuning a pair of cross link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loor frame. The method was registered by the applicant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82499.

그러나 상기 동조바를 이용한 리프트의 동조방식은 링크 간에 걸리는 여러 가지 부하특성에 따라 높이차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차량정비에 따른 안정성을 고려하여 더욱 정밀한 링크간 제어가 계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부하특성이라 함은 차량의 부위별 무게차이 발생 등 차량의 부하변동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높이차이 및 마찰계수 등 링크 자체에서 발생 될 수 있는 구조상의 차이에 따른 높이차이를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However, the tuning method of the lift using the tuning bar has a problem that a height difference occurs according to various load characteristics between the links, and more precise inter-link control is continuously required in consideration of stability due to vehicle maintenance. Here, the load characteristics are representative of height differences due to structural differences that may occur in the link itself, such as height differences and friction coefficients that may occur due to load variations of the vehicle, such as weight differences by parts of the vehicle.

그리하여 본 출원인이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 제0573216호인 차량용 리프트의 동조장치를 개발하였다. 그러나 상기 동조장치의 구성은 제조과정에서 고도의 정밀성이 요구되는바 성능이 균일한 제품 생산에 많은 어려움이 수반되며 사용상 설치 및 조정에 따른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던 것이다.Thus,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eloped a tuning device for a vehicle lift of Patent No. 0573216 to solve the above problem.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tuning device requires a high degree of precision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accompanied by a lot of difficulties in the production of uniform performance, and many problems caused by the installation and adjustment in use.

또한, 종래의 직렬식 유입 동조 장치의 경우 반복되는 동작에 의해 동조라인에 누적압이 발생하여과 메인 유압공급라인의 압력과 동조라인과 사이에 압력차가 발생하여 정밀한 동조 작동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in-line inflow tuning device, a cumulative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tuning line by repeated operation, and a pressure difference is generated between the pressure of the main hydraulic supply line and the tuning line, thereby preventing precise tuning operation.

본 발명의 차량용 리프트에 적용되는 직렬식 유압동조 장치에 발생하는 누적압을 해소하여 정밀한 동조 작동이 가능하며 장치의 안전성 및 내구성을 증가시킨 차량용 리프트의 유압동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ydraulic tuning device for a vehicle lift that can precisely operate the tuning by eliminating the accumulated pressure generated in the series hydraulic tuning device applied to the vehicle lif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rease the safety and durability of the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우 좌우 동조뿐 아니라 전후 동조가 정밀하게 이루어지는 동조장치가 구비된 세미시져형 차량용 리프트가 제공된다. 즉, 기초 유압동조(면적동일방식)를 기본으로 하되 최하강부에서 잠깐 커뮤니케이션을 일으켜 잔압을 제로화하고 또한 부족압을 채워주면서 다시 새로운 시동을 매회마다 할수 있는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mi- scissor type vehicle lift having a tuning device in which not only right and left tuning but also front and rear tuning are precisely provided. That is, a vehicle lift elevating device is provided which is based on basic hydraulic tuning (area equality method), but has a synchronization function that allows a short communication in the lowermost part to zero the residual pressure and fills the underpressure and restarts each time. .

본 발명의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는, 리프트의 일측에 구비되어 차량탑재대(P)를 승강시키는 제1 메인실린더(10)와, 리프트의 타측에 구비되어 차량탑재대(P)를 승강시키는 제2 메인실린더(20)와;The vehicle lift elevating device having a tun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ain cylinder 1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ift to elevate the vehicle mounting stand P, and a vehicle mounting stand P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lift. A second main cylinder 20 for elevating;

상기 제1 메인실린더(10)의 유출구(10a)와 제1 동조라인(H1)을 통해 직렬로 연결되며 리프트의 타측에 상기 제2 메인실린더(20)와 함께 구비되는 제1 보조실린더(30)와;The first auxiliary cylinder 30 connected to the outlet 10a of the first main cylinder 10 and the first tuning line H1 in series and provided together with the second main cylinder 20 on the other side of the lift. Wow;

상기 제2 메인실린더(20)의 유출구(20a)와 제2 동조라인(H2)을 통해 직렬로 연결되며 리프트의 일측에 상기 제1 메인실린더(10)와 함께 리프트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 보조실린더(40)와;A second auxiliary which is connected in series through the outlet 20a of the second main cylinder 20 and the second tuning line H2 an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ift together with the first main cylinder 10 on one side of the lift. A cylinder 40;

상기 제1, 제2 메인실린더(10, 20)와 유압펌프를 연결하는 메인 공급라인(H0)과; A main supply line (H0)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main cylinders (10, 20) and a hydraulic pump;

상기 제1 메인실린더(10)의 유출구(10a)와 제1 보조실린더(30)의 유입구(30a)를 연결하는 제1 동조라인(H1)과; A first tuning line (H1) connecting the outlet (10a) of the first main cylinder (10) and the inlet (30a) of the first auxiliary cylinder (30);

상기 제2 메인실린더(20)의 유출구(20a)와 제2 보조실린더(40)의 유입구(40a)를 연결하는 제2 동조라인(H2)과;A second tuning line (H2) connecting the outlet (20a) of the second main cylinder (20) and the inlet (40a) of the second auxiliary cylinder (40);

상기 차량탑재대(P)의 하강 사이클 후반 또는 하강 사이클 완료시점에서 상기 메인 공급라인(H0)과 제1 동조라인(H1)을 연통시키는 제1 동조부(50)와;A first tuning unit (50) for communicating the main supply line (H0) and the first tuning line (H1) at the end of the descending cycle or the completion of the descending cycle of the vehicle mounting stage (P);

상기 차량탑재대(P)의 하강 사이클 후반 또는 하강 사이클 완료시점에서서 상기 메인 공급라인(H0)과 제2 동조라인(H2)을 연통시키는 제2 동조부(60)와;A second tuning unit 60 for communicating the main supply line H0 and the second tuning line H2 at the end of the descending cycle or the completion of the descending cycle of the vehicle mounting table P;

상기 차량탑재대(P)가 미리 설정된 하강 사이클 후반 일지점 또는 하강 사이클 완료 지점에 도달했음을 감지하는 감지센서(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detection sensor 70 for detecting that the vehicle mounting stage P has reached a preset down cycle late point or a down cycle completion point.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되고, 차량용 리프트에 적용되는 직렬식 유압동조 장치에 발생하는 누적압을 해소하여 정밀한 동조 작동이 가능하며 장치의 안전성 및 내구성을 증가시킨 차량용 리프트의 유압동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re solved, and accurate tuning operation is possible by resolving the accumulated pressure generated in the series hydraulic tuning device applied to the vehicle lift, and the hydraulic tuning of the vehicle lift increases the safety and durability of the device. To provide a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우 좌우 동조뿐 아니라 전후 동조가 정밀하게 이루어지는 동조장치가 구비된 세미시져형 차량용 리프트가 제공된다. 즉, 기초 유압동조(면적동일방식)를 기본으로 하되 최하강부에서 잠깐 커뮤니케이션을 일으켜 잔압을 제로화하고 또한 부족압을 채워주면서 다시 새로운 시동을 매회마다 할수 있는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가 제공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mi- scissor type vehicle lift having a tuning device in which not only right and left tuning but also front and rear tuning are precisely provided. That is, a vehicle lift elevating device is provided which is based on basic hydraulic tuning (area equality method), but has a synchronization function that allows a short communication in the lowermost part to zero the residual pressure and fills the underpressure and restarts each time. .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의 로크바를 보이는 도면.
1 is a block diagram of a lift device for a vehicle having a tu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lift device for a vehicle equipped with a tu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lock bar of the vehicle lift lifting device with a tu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의 로크바를 보이는 도면이다.
Hereinafter, a lift apparatus for a vehicle having a tu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vehicle lift elevator apparatus having a tu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vehicle lift elevator apparatus having a tu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resent invention Figure is a view showing a lock bar of the lift device for a vehicle equipped with a tun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는 리프트의 일측에 구비되어 차량탑재대(P)를 승강시키는 제1 메인실린더(10)와, 리프트의 타측에 구비되어 차량탑재대(P)를 승강시키는 제2 메인실린더(2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vehicle lift lifting device with a tu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ift is the first main cylinder 10 for elevating the vehicle mounting table (P) And a second main cylinder 2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lift to lift and lower the vehicle mounting table P.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조실린더(30)는 제1 메인실린더(10)의 유출구(10a)와 제1 동조라인(H1)을 통해 직렬로 연결되며 리프트의 타측에 상기 제2 메인실린더(20)와 함께 구비된다. 제2 보조실린더(40)는 제2 메인실린더(20)의 유출구(20a)와 제2 동조라인(H2)을 통해 직렬로 연결되며 리프트의 일측에 상기 제1 메인실린더(10)와 함께 리프트의 일측에 구비된다.
As shown in FIGS. 1 to 3, the first auxiliary cylinder 30 is connected in series through the outlet 10a of the first main cylinder 10 and the first tuning line H1, and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lift. It is provided with the second main cylinder 20. The second auxiliary cylinder 40 is connected in series through the outlet 20a of the second main cylinder 20 and the second tuning line H2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main cylinder 10 on one side of the lift. It is provided on one sid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공급라인(H0)은 제1, 제2 메인실린더(10, 20)와 유압펌프를 연결한다. 제1 동조라인(H1)은 제1 메인실린더(10)의 유출구(10a)와 제1 보조실린더(30)의 유입구(30a)를 연결한다. 제2 동조라인(H2)은 제2 메인실린더(20)의 유출구(20a)와 제2 보조실린더(40)의 유입구(40a)를 연결한다.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main supply line (H0)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main cylinders (10, 20) and the hydraulic pump. The first tuning line H1 connects the outlet 10a of the first main cylinder 10 and the inlet 30a of the first auxiliary cylinder 30. The second tuning line H2 connects the outlet 20a of the second main cylinder 20 and the inlet 40a of the second auxiliary cylinder 40.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동조부(50)는 차량탑재대(P)의 하강 사이클 후반 또는 하강 사이클 완료시점에서 상기 메인 공급라인(H0)과 제1 동조라인(H1)을 연통시킨다. 제2 동조부(60)는 차량탑재대(P)의 하강 사이클 후반 또는 하강 사이클 완료시점에서서 상기 메인 공급라인(H0)과 제2 동조라인(H2)을 연통시킨다. 감지센서(70)는 차량탑재대(P)가 미리 설정된 하강 사이클 후반 일지점 또는 하강 사이클 완료 지점에 도달했음을 감지한다.
1 to 3, the first tuning unit 50 is the main supply line (H0) and the first tuning line (H1) at the end of the descending cycle or the completion of the descending cycle of the vehicle mounting stage (P) To communicate. The second tuning unit 60 communicates the main supply line HO with the second tuning line H2 at the end of the descending cycle of the vehicle mounting stage P or when the descending cycle is completed. The detection sensor 70 detects that the vehicle mounting stage P has reached a preset one point of the descending cycle or the completion point of the descending cycl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에 있어서, 제1 동조부(50) 및 제2 동조부(60)는, 감지센서(70)에 의해 차량탑재대(P)가 미리 설정된 하강 사이클 후반 일지점 또는 하강 사이클 완료 지점에 도달했다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센서(70) 또는 제어부(미도시)로터 인가된 전기신호에 의해 상기 메인 공급라인(H0)과 동조라인(H1, H2)을 연통시키는 전자식 체크밸브(V)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ures 1 to 3, in the vehicle lift lifting device equipped with a tu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uning unit 50 and the second tuning unit 60, the sensor When it is detected by the vehicle mounting stage P that reaches the preset one point of the descending cycle or the descending cycle completion point by the 70, by the electrical signal applied from the sensor 70 or the controller (not show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electronic check valve (V) for communicating the main supply line (H0) and the tuning line (H1, H2), respectively.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에 있어서, 감지센서(70)는 차량탑재대(P)가 하사점을 도달하였을 때 상기 차량탑재대 중 하나 또는 로크바(Lock Bar)에 의해 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ures 1 to 3, in the lift device for a vehicle equipped with a tu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on sensor 70 when the vehicle mounting stage (P) has reached the bottom dead center It is preferable to be touched by one of the vehicle mounting stand or the lock bar.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에 있어서, 감지센서(70)는 버튼식 스위치, 푸쉬형 스위치, 또는 마이크로 스위치 중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ures 1 to 3, in the lift device for a vehicle equipped with a tu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on sensor 70 is selected from a button-type switch, a push-type switch, or a micro switch It is preferable to be on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에 있어서, 차량탑재대(P)의 상승이 시작되는 상승사이클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전자식 체크밸브(V)는 폐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ures 1 to 3, in the vehicle lift lifting device equipped with a tu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check in the initial state of the lift cycle in which the rise of the vehicle mounting stage (P) starts It is preferable that the valve V is closed.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에 있어서, 전자식 체크밸브(V)는 차량탑재대(P) 하강하는 하강사이클 중 상기 제1 메인실린더(10)에 부속된 피스톤이 하사점(下死點) ~ 하사점으로부터 1/10×피스톤 왕복길이에 범위 내에 있을 때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ures 1 to 3, in the lift device for a vehicle equipped with a tu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check valve (V) is the vehicle mounting table (P) of the descending cycle of descending It is preferable to open when the piston attached to the 1st main cylinder 10 exists in the range of 1/10 * piston reciprocation length from a bottom dead center-bottom dead center.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에 있어서, 감지센서(70)는, 일측 차량탑재대(P)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리프트의 일측에 설치된 감지센서(71)와, 타측 차량탑재대(P)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리프트의 타측에 설치된 감지센서(72)로 구성되고, 리프트의 일측에 설치된 감지센서(71)는 상기 제2 동조부(60)를 제어하고, 리프트의 타측에 설치된 감지센서(72)는 상기 제1 동조부(50)를 제어하고, 상기 제1 메인실린더(10)와 상기 제2 보조실린더(40)는 일측 차량탑재대를 함께 승강시키며, 상기 제2 메인실린더(20)와 상기 제1 보조실린더(30)는 타측 차량탑재대를 함께 승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ure 1 to Figure 3, in the lift device for a vehicle equipped with a tu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on sensor 70, to detect the position of one side of the vehicle mounting table (P) It consists of a detection sensor 71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ift, and a detection sensor 72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lift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other vehicle mounting stage (P), the detection sensor 71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ift The second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second tuning unit 60, the sensing sensor 72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lift controls the first tuning unit 50, the first main cylinder 10 and the second auxiliary cylinder 40 is to lift up and down the one vehicle mounting stage, the second main cylinder 20 and the first auxiliary cylinder 30 is preferably to lift the other vehicle mounting stage together.

작용에 대하여 부연한다. 안 눌러졌을때 분리되어있던 유압라인이 동조 밸브가 눌러지면서 작은 실린더와 큰 실린더가 서로 통한다. 매회 리셋된다. 상승시, 작은 실린더를 입력채움(역방향은 금지=체크 밸브 적용)이 일어나자마자 통함이 분리되면서 큰/작은 실린더가 서로 독립 구조로 들어가면서 유압 동조가 수행된다. 즉, 기초 유압동조(면적동일방식)를 기본으로 하되 최하강부에서 잠깐 커뮤니케이션을 일으켜 잔압을 제로화하고 또한 부족압을 채워주면서 다시 새로운 시동을 매회마다 수행한다.
More about action. The hydraulic line, which was separated when not pressed, communicates with the small cylinder and the large cylinder by pushing the tuning valve. Reset each time. On rising, as soon as the filling of the small cylinders (inverse direction is prohibited = check valve applied) occurs, the barrel is separated and the large / small cylinders enter the independent structure of each other and hydraulic tuning is performed. In other words, it is based on basic hydraulic tuning (area of the same area), but makes a short communication in the lowermost part to zero the residual pressure and fills the underpressure, and performs a new start again every time.

전자식 체크밸브(V)는 전자코일에 의해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체크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센서(70)에 의해 차량탑재대(P)가 하강 사이클 완료 지점에 도달했다는 것이 감지되면, 전자식 체크밸브(V)는 타이머 기능을 구비하여 일정시간 동안 동조라인(H1, H2)을 연통시킨 후 다시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lectronic check valve V is preferably a solenoid check valve operated by an electromagnetic coil. When it is detected by the sensor 70 that the vehicle mounting stage P has reached the completion point of the descending cycle, the electronic check valve V has a timer function to communicate the tuning lines H1 and H2 for a predetermined time. It is preferable to close again after.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발명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 RTI ID = 0.0 > and / or < / RTI >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부호는 단순히 발명의 이해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권리범위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을 밝히며 기재된 도면부호에 의해 권리범위가 좁게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ppended claims are intended to supplement th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 제1 메인실린더 10a : 유출구
20 : 제2 메인실린더 20a : 유출구
30 : 제1 보조실린더 40 : 제2 보조실린더
50 : 제1 동조부 60 : 제2 동조부
70 : 감지센서 H0 : 메인 공급라인
H1 : 제1 동조라인 H2 : 제2 동조라인
V : 전자식 체크밸브
10: first main cylinder 10a: outlet
20: second main cylinder 20a: outlet
30: first auxiliary cylinder 40: second auxiliary cylinder
50: first tuning unit 60: second tuning unit
70: detection sensor H0: main supply line
H1: first tuning line H2: second tuning line
V: Electronic Check Valve

Claims (9)

리프트의 일측에 구비되어 차량탑재대(P)를 승강시키는 제1 메인실린더(10)와, 리프트의 타측에 구비되어 차량탑재대(P)를 승강시키는 제2 메인실린더(20)와;
상기 제1 메인실린더(10)의 유출구(10a)와 제1 동조라인(H1)을 통해 직렬로 연결되며 리프트의 타측에 상기 제2 메인실린더(20)와 함께 구비되는 제1 보조실린더(30)와;
상기 제2 메인실린더(20)의 유출구(20a)와 제2 동조라인(H2)을 통해 직렬로 연결되며 리프트의 일측에 상기 제1 메인실린더(10)와 함께 리프트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 보조실린더(40)와;
상기 제1, 제2 메인실린더(10, 20)와 유압펌프를 연결하는 메인 공급라인(H0)과;
상기 제1 메인실린더(10)의 유출구(10a)와 제1 보조실린더(30)의 유입구(30a)를 연결하는 제1 동조라인(H1)과;
상기 제2 메인실린더(20)의 유출구(20a)와 제2 보조실린더(40)의 유입구(40a)를 연결하는 제2 동조라인(H2)과;
상기 차량탑재대(P)의 하강 사이클 후반 또는 하강 사이클 완료시점에서 상기 메인 공급라인(H0)과 제1 동조라인(H1)을 연통시키는 제1 동조부(50)와;
상기 차량탑재대(P)의 하강 사이클 후반 또는 하강 사이클 완료시점에서서 상기 메인 공급라인(H0)과 제2 동조라인(H2)을 연통시키는 제2 동조부(60)와;
상기 차량탑재대(P)가 미리 설정된 하강 사이클 후반 일지점 또는 하강 사이클 완료 지점에 도달했음을 감지하는 감지센서(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A first main cylinder 1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ift to elevate the vehicle mounting base P, and a second main cylinder 20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lift to elevate the vehicle mounting base P;
The first auxiliary cylinder 30 connected to the outlet 10a of the first main cylinder 10 and the first tuning line H1 in series and provided together with the second main cylinder 20 on the other side of the lift. Wow;
A second auxiliary which is connected in series through the outlet 20a of the second main cylinder 20 and the second tuning line H2 an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ift together with the first main cylinder 10 on one side of the lift. A cylinder 40;
A main supply line (H0)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main cylinders (10, 20) and a hydraulic pump;
A first tuning line (H1) connecting the outlet (10a) of the first main cylinder (10) and the inlet (30a) of the first auxiliary cylinder (30);
A second tuning line (H2) connecting the outlet (20a) of the second main cylinder (20) and the inlet (40a) of the second auxiliary cylinder (40);
A first tuning unit (50) for communicating the main supply line (H0) and the first tuning line (H1) at the end of the descending cycle or the completion of the descending cycle of the vehicle mounting stage (P);
A second tuning unit 60 for communicating the main supply line H0 and the second tuning line H2 at the end of the descending cycle or the completion of the descending cycle of the vehicle mounting table P;
And a detection sensor (70) for detecting that the vehicle mounting stage (P) has reached a preset down cycle late point or a down cycle completion point (7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조부(50) 및 제2 동조부(60)는,
상기 감지센서(70)에 의해 차량탑재대(P)가 미리 설정된 하강 사이클 후반 일지점 또는 하강 사이클 완료 지점에 도달했다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센서(70) 또는 제어부(미도시)로터 인가된 전기신호에 의해 상기 메인 공급라인(H0)과 동조라인(H1, H2)을 연통시키는 전자식 체크밸브(V)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tuning unit 50 and the second tuning unit 60,
When it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70 that the vehicle mounting stage P has reached a predetermined lower end point of the descending cycle or the completion point of the descending cycle, the electricity applied from the sensing sensor 70 or a controller (not shown) And an electronic check valve (V) for communicating the main supply line (H0) and the tuning lines (H1, H2) by a signal, respectivel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70)는 차량탑재대(P)가 하사점을 도달하였을 때 상기 차량탑재대 중 하나 또는 로크바(Lock Bar)에 의해 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etection sensor 70 is a vehicle lift elevator apparatus having a tun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touch by the lock bar (Lock Bar) or one of the vehicle mounting stage (P) when reaching the bottom dead center.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70)는 버튼식 스위치, 푸쉬형 스위치, 또는 마이크로 스위치 중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nsor 70 is a lift device for a vehicle having a tun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elected one of a button switch, a push-type switch, or a micro switch.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탑재대(P)의 상승이 시작되는 상승사이클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전자식 체크밸브(V)는 폐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lectronic lift valve (V) is a vehicle lift lifting device having a tun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nic check valve (V) is closed in the initial state of the lift cycle in which the ascent of the vehicle mounting stage (P) start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체크밸브(V)는 차량탑재대(P) 하강하는 하강사이클 중 상기 제1 메인실린더(10)에 부속된 피스톤이 하사점(下死點) ~ 하사점으로부터 1/10×피스톤 왕복길이에 범위 내에 있을 때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lectronic check valve (V) is 1/10 x piston reciprocating length from the bottom dead center to the bottom dead center of the piston attached to the first main cylinder 10 during the descending cycle of the vehicle mounting table P descending. A lift apparatus for a vehicle having a tun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being opened when in the ran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70)는, 일측 차량탑재대(P)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리프트의 일측에 설치된 감지센서(71)와, 타측 차량탑재대(P)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리프트의 타측에 설치된 감지센서(72)로 구성되고,
리프트의 일측에 설치된 감지센서(71)는 상기 제2 동조부(60)를 제어하고,
리프트의 타측에 설치된 감지센서(72)는 상기 제1 동조부(50)를 제어하고,
상기 제1 메인실린더(10)와 상기 제2 보조실린더(40)는 일측 차량탑재대를 함께 승강시키며,
상기 제2 메인실린더(20)와 상기 제1 보조실린더(30)는 타측 차량탑재대를 함께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etection sensor 70, the detection sensor 71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ift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one side vehicle mounting stage (P), and the other side of the lift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other vehicle mounting stage (P) Composed of the installed sensor 72,
Detection sensor 71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ift controls the second tuning unit 60,
The sensor 72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lift controls the first tuning unit 50,
The first main cylinder 10 and the second auxiliary cylinder 40 lift up and down one side of the vehicle mounting stand,
The second main cylinder (20) and the first auxiliary cylinder (30) is a lift device for a vehicle with a tun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lifting the other vehicle mounting stage togeth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체크밸브(V)는 전자코일에 의해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체크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lectronic check valve (V) is a lift lift device for a vehicle having a tun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olenoid check valve operated by the electromagnetic coi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70)에 의해 차량탑재대(P)가 하강 사이클 완료 지점에 도달했다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전자식 체크밸브(V)는 타이머 기능을 구비하여 일정시간 동안 동조라인(H1, H2)을 연통시킨 후 다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If it is detected by the sensor 70 that the vehicle mounting stage (P) has reached the completion point of the falling cycle,
The electronic check valve (V) is equipped with a timer function, the vehicle lifting and lifting device with a tun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fter closing the communication line (H1, H2) for a certain time and closed again.



KR1020120095352A 2012-08-30 2012-08-30 Hydraulic cylinder tuning apparatus for car lifting KR1013362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352A KR101336262B1 (en) 2012-08-30 2012-08-30 Hydraulic cylinder tuning apparatus for car lif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352A KR101336262B1 (en) 2012-08-30 2012-08-30 Hydraulic cylinder tuning apparatus for car lif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6262B1 true KR101336262B1 (en) 2013-12-09

Family

ID=49987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352A KR101336262B1 (en) 2012-08-30 2012-08-30 Hydraulic cylinder tuning apparatus for car lif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626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843B1 (en) 2017-07-06 2019-01-04 주식회사 팬스타엔터프라이즈 Improved hydraulic cylinder tuning apparatus for car lift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286Y1 (en) 2002-03-08 2002-06-01 헤스본주식회사 ascent and desent locking apparatus of double scissors type car lift
KR100858911B1 (en) 2007-05-06 2008-09-17 헤스본주식회사 Controller for lift
KR20110120391A (en) * 2010-04-29 2011-11-04 헤스본주식회사 Hydraulic tuning device for vehicle lif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286Y1 (en) 2002-03-08 2002-06-01 헤스본주식회사 ascent and desent locking apparatus of double scissors type car lift
KR100858911B1 (en) 2007-05-06 2008-09-17 헤스본주식회사 Controller for lift
KR20110120391A (en) * 2010-04-29 2011-11-04 헤스본주식회사 Hydraulic tuning device for vehicle lif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843B1 (en) 2017-07-06 2019-01-04 주식회사 팬스타엔터프라이즈 Improved hydraulic cylinder tuning apparatus for car lift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46691B (en) Scissors-type accessible elevating platform
CN105127291B (en) Has the high-precision stamping mould component of function of safety protection
CN100455233C (en) lift cabinet
KR101336262B1 (en) Hydraulic cylinder tuning apparatus for car lifting
CN203127952U (en) Multi-stage elevator buffering device
CN201587832U (en) Scissor-fork barrier-free lifting platform
CN204660565U (en) A kind of vertical-compression type trash compactor
CN103407933B (en) Vehicle lifting with synchronizing function
WO2014021484A1 (en) Apparatus for raising car lift having synchronization function
CN206546232U (en) A kind of high-precision bascule formula small value force standard set-up
KR101562868B1 (en) Driving apparatus for press and pres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9132938A (en) A kind of vertical garbage compressor lifting device
CN205718917U (en) Detection device
CN112456378A (en) Pressure monitoring system of automobile lifter
CN205257896U (en) Modified automatic rising bubble water installation
KR101934843B1 (en) Improved hydraulic cylinder tuning apparatus for car lifting
CN209085875U (en) Luggage jerk testing machine
CN209756200U (en) simple and safe locking mechanism for press slide block
CN208935080U (en) A kind of oil cylinder special test platform
KR200277286Y1 (en) ascent and desent locking apparatus of double scissors type car lift
CN219715106U (en) Automobile part strength detection equipment
CN111795036A (en) Be applied to slope hydro-cylinder pressure testing device on fork truck
CN218708371U (en) Energy-saving hydraulic drive elevator
CN222178418U (en) Accumulator pressure maintaining device for vulcanizing tank
CN219194437U (en) Leveling control system and hydraulic lifting operation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