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135B1 - 전기히터 방식 증기 취사기 - Google Patents

전기히터 방식 증기 취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135B1
KR101336135B1 KR1020120020876A KR20120020876A KR101336135B1 KR 101336135 B1 KR101336135 B1 KR 101336135B1 KR 1020120020876 A KR1020120020876 A KR 1020120020876A KR 20120020876 A KR20120020876 A KR 20120020876A KR 101336135 B1 KR101336135 B1 KR 101336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heating
coil pipe
steam generator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9398A (ko
Inventor
황기진
Original Assignee
(주)금성주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성주방 filed Critical (주)금성주방
Priority to KR1020120020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135B1/ko
Publication of KR20130099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83Warming device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히터 방식 증기 취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증기 가열을 위한 열원으로 기존의 가스버너방식이 아닌 전기히터를 이용함으로 가열시간을 단축시킴과 함께 복잡한 가스배관이 필요없게 되어 안전성 및 전체적인 구조적 컴팩트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증기 발생을 위한 물이 일정 수위로 저장되는 증기 발생부(10)와, 상기 증기 발생부(10)의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과, 상기 증기 발생부(10)에서 발생된 증기를 상부의 조리실(100)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파이프(40)를 포함하는 통상의 증기 취사기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제1히터봉(20)이 장착되며; 상기 증기 발생부(10)에는 증기의 안내를 위한 코일파이프(50)가 연결 구비되되, 코일파이프(50)의 일단부는 증기 발생부(10)에 연결구비되고, 코일파이프(50)의 타단부는 공급파이프(40)의 중단에 연결 구성되며; 상기 코일파이프(50)에는 가열을 위한 제2히터봉(30)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히터 방식 증기 취사기{ELECTRIC HEATER TYPE STEAM COOKER}
본 발명은 증기 취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가스버너 가열방식을 전기히터에 의한 가열 방식으로 변경시킴으로서 증기 가열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기히터 방식 증기 취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온의 스팀을 가열매체로 활용하여 단체 급식 시설 등에서 각종 음식물을 찌거나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증기 취사기의 경우 다양한 형태로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물을 가열하여 곧 바로 발생되는 습증기를 직접 활용하여 조리를 행하는 습증기 조리방식과 그리고 상기 습증기를 재가열하여 고온의 건증기 형태로 변환시킨 다음 이러한 건증기를 활용하여 조리를 행하는 건증기 조리방식이 알려져 있다.
그 중, 종래의 습증기 조리방식은 예를 들면 떡, 빵, 만두 등 다양한 형태의 음식물을 쪄서 조리를 행하는 방식의 대부분이 해당하고, 건증기 조리방식은 최근에 들어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37717호의 "증기 취사기"와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41946호의 "주방조리용 스팀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의 증기 취사기는 대부분 가열원으로 가스버너가 장착되어짐으로 인해 화염에 의한 연소열의 외부 배출을 위한 별도의 배기로를 설치해야 함으로 장치의 크기가 증가되어지게 되며 또한 에너지원으로 가스를 사용하게 됨으로 비용이 증가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기존 가스버너를 대체하여 전기히터 가열방식의 증기 취사기를 제공함으로서 제품의 크기를 보다 컴팩트화 하며 보다 향상된 열효율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증기 발생을 위한 물이 일정 수위로 저장되는 증기 발생부와, 상기 증기 발생부의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과, 상기 증기 발생부에서 발생된 증기를 상부의 조리실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파이프를 포함하는 통상의 증기 취사기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제1히터봉이 장착되며; 상기 증기 발생부에는 증기의 안내를 위한 코일파이프의 일단부가 연결구비되되, 상기 코일파이프의 타단부는 공급파이프의 중단에 연결 구성되고; 상기 코일파이프에는 가열을 위한 제2히터봉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증기 취사기는, 증기 가열을 위한 열원으로 기존의 가스버너방식이 아닌 히터봉 형태의 전기히터를 이용함으로 가열시간을 단축시킴과 함께 복잡한 가스배관이 필요없게 되어 열효율 증대 및 전체적인 구조적 컴팩트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증기 발생부의 일측에 코일형태의 파이프를 연결 설치함과 함께 전기 히터봉 장착함으로서, 증기 발생부에서 1차적으로 가열 공급되는 스팀을 코일파이프에서 2차적으로 가열하여 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기 가열방식에 따른 배기가스 등의 유해가스가 배출되지 않음으로 친환경적인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기 취사기의 전체 내부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증기 발생부 구성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제1히터봉 부품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몰드하우징 구조체 측단면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몰드하우징 구조체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히터봉과 몰드하우징 분리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증기 발생부 내부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기 취사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살펴보면, 하부에는 증기를 발생시키는 시설물이 설치되어져 있고, 상부에는 하부에서 발생된 증기를 이용하여 음식물 조리가 이루어지는 조리실(100)로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증기 발생을 위한 물이 일정 수위로 저장되는 증기 발생부(10)와, 증기 발생부(10)의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인 "U"자형태의 제1히터봉(20)과, 증기 발생부(10)에서 발생된 증기를 상부의 조리실(100) 하부에 구성된 스팀분출파이프(120)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파이프(40)가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증기 발생부(10)에는 증기의 안내를 위한 스테인레스 재질의 코일파이프(50)가 연결 구비되되, 코일파이프(50)의 일단부는 증기 발생부(10)에 연결구비되고, 코일파이프(50)의 타단부는 공급파이프(40)의 중단에 연결 구성되며, 코일파이프(50)에는 가열을 위한 막대형태의 제2히터봉(30) 3개가 내부에 장착 구성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코일파이프(50)와 제2히터봉(30)은 열전달 효율 극대화를 위해 금속재질의 몰드하우징(60)에 일체로 구비된 것을 도 4 및 도 5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증기 취사기에는 전기 가열 방식의 제1,2히터봉(20,30)을 장착함으로서 스팀 가열시간을 단축시킴과 함께 전체 구조적인 컴팩트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10은 조리실(100)의 개폐를 위한 도어이고, 130은 스팀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한 스팀방출배관을 각각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 전기히터 가열 방식 증기 취사기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증기 발생부(10) 내에 물을 일정 수위로 채우고 조리실(100)에는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제1히터봉(20) 및 제2히터봉(30)의 동작에 의해 가열 스팀이 발생되어지게 된다.
즉, 증기 발생부(10) 내에서는 제1히터봉(20)의 동작에 의해 물이 가열되면서 증기가 생성되어지고, 생성된 증기는 공급파이프(40) 및 코일파이프(50)를 거쳐 스팀분출파이프(120)로 전달되어짐으로서 조리실(100)에 적재된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가열원으로 활용되어지게 된다.
특히, 증기 발생부(10)에서 제1히터봉(20)에 의해 가열된 스팀 중 일부가 코일파이프(50)에서 3개의 제2히터봉(30)에 의해 다시한번 가열됨으로서 스팀온도가 더욱 상승되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코일파이프(50)와 제2히터봉(30)은 금속재질의 몰드하우징(60)에 일체로 구비됨으로서, 제2히터봉(30)과 코일파이프(50) 상호간에 열전달효율이 극대화 되어짐으로서 열손실의 발생을 최소화 하는 가운데 증기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기히터 가열방식 증기 취사기는 기존 가스버너 방식에 비해 유해가스가 배출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개선된 열효율에 따른 가열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고, 가스배관 및 연소실이 없어짐으로 제품의 외관을 더욱 컴팩트화 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히터 착탈방식의 몰드하우징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히터봉(30)을 "U"자 형상으로 구비한 상태에서, 몰드하우징(60)에는 제2히터봉(30)이 삽입되어질 수 있는 삽입홈(61)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삽입홈(61)의 입구부 및 제2히터봉(30) 일측에는 상호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부(60a,30a)가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삽입홈(61) 내벽면에는 제2히터봉(3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우레탄 재질의 우레탄 보호층(62) 및 열전도성이 개선된 합성수지 물질로 이루어진 열전도성 플라스틱층(63)이 각각 구비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게 되면, 제2히터봉(30)이 몰드하우징(60)에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됨으로 제2히터봉(30)의 파손 또는 불량 발생시 수리 또는 교체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히터봉(30)이 삽입 결합되어지는 삽입홈(61) 내벽면이 우레탄 보호층(62) 및 열전도성플라스틱층(63)이 구비되어져 있기 때문에, 코일파이프(50)로의 열전달 효율 저하를 방지하는 가운데 외부 충격에 따른 제2히터봉(30)의 변형 또는 파손 발생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증기 취사기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증기 발생부(10)에는 내부에서 발생된 증기가 공급파이프(40) 및 코일파이프(50)로 유입되는 량을 조절하기 위한 안내 조절판(70)이 힌지축(7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안내 조절판(70)의 양면에는 증기 발생부(10)의 내벽면과의 접촉에 따른 충격발생 방지를 위한 탄력성의 실리콘돌기(72)가 돌출 구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내 조절판(70) 설치 구조를 이루게 되면, 증기 발생부(10)에서 생성된 증기가 공급파이프(40) 또는 코일파이프(50)로 분기되는 비율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코일파이프(50) 에서 2차 가열이 이루어지는 증기의 양을 조절함으로서 음식물 조리에 사용되는 스팀 온도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증기 취사기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증기 발생부 20 : 제1히터봉
30 : 제2히터봉 40 : 공급파이프
50 : 코일파이프 60 : 몰드하우징
100 : 조리실 110 : 도어
120 : 스팀분출파이프 130 : 스팀방출배관

Claims (5)

  1. 증기 발생을 위한 물이 일정 수위로 저장되는 증기 발생부(10)와, 상기 증기 발생부(10)의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과, 상기 증기 발생부(10)에서 발생된 증기를 상부의 조리실(100)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파이프(40)를 포함하는 전기히터 방식 증기 취사기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제1히터봉(20)이 장착되며;
    상기 증기 발생부(10)에는 증기의 안내를 위한 코일파이프(50)가 연결 구비되되, 코일파이프(50)의 일단부는 증기 발생부(10)에 연결구비되고, 코일파이프(50)의 타단부는 공급파이프(40)의 중단에 연결 구성되며;
    상기 코일파이프(50)의 중심에는 가열을 위한 제2히터봉(30)이 장착되고;
    상기 제2히터봉(30)은 "U"자형 관으로 구비한 상태에서, 몰드하우징(60)에는 제2히터봉(30)이 삽입되어질 수 있는 삽입홈(61)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삽입홈(61)의 입구부 및 제2히터봉(30) 일측에는 상호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부(60a,30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 방식 증기 취사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61) 내벽면에는 제2히터봉(3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우레탄 재질의 우레탄 보호층(62) 및 열전도성플라스틱층(63)이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 방식 증기 취사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기발생부(10)에는 내부에서 발생된 증기가 공급파이프(40) 및 코일파이프(50)로 유입되는 량을 조절하기 위한 안내 조절판(70)이 힌지축(7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안내 조절판(70)의 양면에는 증기발생부(10)의 내벽면과의 접촉에 따른 충격발생 방지를 위한 탄력성의 실리콘돌기(72)가 돌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 방식 증기 취사기.
KR1020120020876A 2012-02-29 2012-02-29 전기히터 방식 증기 취사기 KR101336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876A KR101336135B1 (ko) 2012-02-29 2012-02-29 전기히터 방식 증기 취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876A KR101336135B1 (ko) 2012-02-29 2012-02-29 전기히터 방식 증기 취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398A KR20130099398A (ko) 2013-09-06
KR101336135B1 true KR101336135B1 (ko) 2013-12-05

Family

ID=49450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876A KR101336135B1 (ko) 2012-02-29 2012-02-29 전기히터 방식 증기 취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61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447B1 (ko) 2015-05-19 2016-10-04 황기진 증기 취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660B1 (ko) * 2022-10-31 2023-07-14 (주)범용테크놀러지 반도체용 원통형 히팅블록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3348A (ja) * 1996-05-24 1997-12-09 Samson Co Ltd 食品冷蔵加熱温蔵装置
JP2002153380A (ja) 2000-11-17 2002-05-28 Nakanishi Mfg Co Ltd 調理加熱装置
KR101000803B1 (ko) 2010-01-28 2010-12-13 오문근 과열증기를 이용한 조리기구
KR101083993B1 (ko) * 2009-12-01 2011-11-16 주식회사 한올주방 전열 증기 취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3348A (ja) * 1996-05-24 1997-12-09 Samson Co Ltd 食品冷蔵加熱温蔵装置
JP2002153380A (ja) 2000-11-17 2002-05-28 Nakanishi Mfg Co Ltd 調理加熱装置
KR101083993B1 (ko) * 2009-12-01 2011-11-16 주식회사 한올주방 전열 증기 취사기
KR101000803B1 (ko) 2010-01-28 2010-12-13 오문근 과열증기를 이용한 조리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447B1 (ko) 2015-05-19 2016-10-04 황기진 증기 취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398A (ko) 201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9336B1 (ko) 스팀 오븐의 증기 발생 장치
MX2009012207A (es) Horno de coccion de alta velocidad con eficiencia de coccion optimizada.
CN103784003B (zh) 蒸汽烹饪控制方法、蒸汽烹饪控制系统和蒸汽烹饪设备
KR102244526B1 (ko) 조리기기
KR101336135B1 (ko) 전기히터 방식 증기 취사기
KR101246681B1 (ko) 전기히터 방식 증기 취사기
JP2011047612A (ja) 加熱調理器
CN202723624U (zh) 热风循环装置及热风循环烧烤炉
KR101284871B1 (ko) 전자유도 가열방식을 적용한 다단밥솥
CN204425206U (zh) 一种燃气灶具的余热发电结构
KR20060017062A (ko) 과열증기조리기
CN102379319B (zh) 红外线燃气烧烤炉
CN106108624A (zh) 新型蒸烤一体箱
CN202179428U (zh) 蒸汽对流式电蒸炉
CN202908511U (zh) 一种电磁蒸柜
CN209153102U (zh) 一种具有蒸汽食物盒的蒸汽烤箱
JP5934899B2 (ja) 蒸気過熱装置および炊飯器
CN207936037U (zh) 一种蒸汽发生器的封闭加热筒
JP2017189281A (ja) グリル
CN205006626U (zh) 电烹饪锅
CN205006623U (zh) 电烹饪锅
KR101662447B1 (ko) 증기 취사장치
CN102116467A (zh) 新型蒸汽发生炉
CN201916885U (zh) 新型蒸汽发生炉
CN220360316U (zh) 一种热循环式蒸饭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