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099B1 - 신축 후드용 필름 - Google Patents

신축 후드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099B1
KR101336099B1 KR1020120130876A KR20120130876A KR101336099B1 KR 101336099 B1 KR101336099 B1 KR 101336099B1 KR 1020120130876 A KR1020120130876 A KR 1020120130876A KR 20120130876 A KR20120130876 A KR 20120130876A KR 101336099 B1 KR101336099 B1 KR 101336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romatic vinyl
vinyl compound
mo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0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효석
Original Assignee
(주)토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솔텍 filed Critical (주)토솔텍
Priority to KR1020120130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0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0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C08F279/06Vinyl aromatic monomers and methacrylates as the only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Wrapp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로스 공중합화 올레핀-방향족 비닐 화합물-디엔 공중합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층을 가지는 신축 후드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신축 후드용 필름은 인장특성, 내인열성 및 투명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특히 천공저항 특성이 탁월하여 팔레트상 적재물의 커버 포장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축 후드용 필름{Film for stretch hood applications}
본 발명은 신축 후드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장특성, 내인열성 및 투명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특히 천공저항 특성이 탁월하여 팔레트상 적재물의 커버 포장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신축 후드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신축 후드 포장 시스템은 튜브상 필름을 이용하여 적재물을 하나로 랩핑하여 운반 시 유동을 방지하고 외부의 충격, 오염 등으로부터 적재물을 보호하는 새로운 방식의 포장 시스템이다.
과거 대량 적재물 포장 시스템은 각종 물품을 박스 등에 담거나 포장백에 담아 팔레트상에 다단으로 적재한 뒤 폴리에틸렌계 필름 등 랩핑지를 사용하여 여러 번 둘둘 감아 랩핑 포장하는 방식으로 랩핑 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랩핑 작업 시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며 1회용으로서 포장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사용된 랩핑지는 환경을 오염시키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신축 후드 포장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그 실예를 간단히 설명하면 팔레트에 적재된 적재물이 이송되면 (a) 튜브형 필름을 열어 적재물을 감쌀 준비를 하고 (b) 칼집을 내어 수축시키고 열봉합하고 절단한 뒤, (c) 신축시키고, (d) 랩핑하고, (e) 포장을 완료해 방출하는 시스템이다.
신축 후드용 필름에 적합한 물성으로는 먼저 포장 후 적재물의 관찰이 가능한 투명성이 haze 기준 20% 이하, 좋기로는 15% 이하가 요구되고, 신축성에 기여하는 신도는 450% 이상, 좋기로는 500% 이상일 것이 요구되며 필름이 잘 찢어지지 않고 적재물을 잘 보호함에 있어 필요한 기계적 물성인 인장강도는 35MPa 이상 좋기로는 40MPa 이상이 요구되며, 동시에 인열강도는 300g 이상, 좋기로는 400g 이상일 것이 요구된다. 또한 모서리부분의 터짐이나 외부의 뾰족한 것에 의해 뚫리는 소위 천공에 대한 저항 특성에서 파단 시 에너지가 15J 이상 좋기로는 20J 이상일 것이 요구된다. 특히 상기 천공저항 특성은 원가절감에 따른 필름을 박막화하는 현재 시장의 추세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는 특성으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랩핑지로 종래 사용된 폴리에틸렌계 필름은 신축성 및 투명성은 다소 부족하지만 만족할만하나 인장강도, 인열강도 및 천공저항 특성이 크게 부족하여 이에 대한 개선 노력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왔다.
가령 US 2008-0226920 A1에서는 폴리프로필렌과 저밀도폴리에틸렌 또는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과의 혼합물로 된 층을 어느 한 층으로 하고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안티블로킹제의 혼합물로 된 층을 다른 한 층으로 한 2층 구조의 필름이 제안되었고, EP 00809573에서는 저밀도폴리에틸렌으로 된 내층 및 폴리프로필렌계 공중합체로 된 중간층,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안티블로킹제과의 혼합물로 된 외층으로 구성된 3층 구조의 필름이 제안되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77939호에서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와 저밀도 폴리에틸렌과의 혼합물로 된 외층,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로 된 중간층, 및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저밀도폴리에틸렌 및 첨가제(슬립제, 안티블로킹제, 항산화제 등)로 된 내층으로 구성된 3층 구조의 필름이 제안되었는데 대부분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 측면에서는 다소 개선효과를 얻었으나 천공저항 특성은 아직 매우 부족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미국 등록특허 US 2008-0226920 A1 (2008년 09월 18일) 유럽 등록특허 EP 00809573 (2002년 10월 16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77939 (2007년 11월 14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인장특성, 내인열성 및 투명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일반적인 스트레치 필름과 비교하여 특히 천공저항 특성이 탁월하여 팔레트상 적재물의 커버 포장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신축 후드용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인장특성, 내인열성 및 투명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특히 천공저항 특성이 탁월한 신축 후드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크로스 공중합화 올레핀-방향족 비닐 화합물-디엔 공중합체층를 포함하는 수지 기재층을 적어도 한 층 이상 가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후드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상기 크로스 공중합화 올레핀-방향족 비닐 화합물-디엔 공중합체의 쇼와경도가 50A 이상 100A 이하인 신축 후드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 기재층은 크로스 공중합화 올레핀-방향족 비닐 화합물-디엔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10 내지 300중량부 첨가한 것인 신축 후드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표층이 더 포함된 신축 후드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 크로스 공중합화 올레핀-방향족 비닐 화합물-디엔 공중합체가 방향족 비닐 화합물 0.03몰% 내지 96몰%, 디엔 0.0001몰% 내지 3몰%, 올레핀 3 내지 97몰%인 올레핀-방향족 비닐 화합물-디엔 공중합체에, 방향족 비닐화합물을 5몰% 내지 95몰%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로 중합한 것인 신축 후드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 크로스 공중합화 올레핀-방향족 비닐 화합물-디엔 공중합체가 200℃, 하중 10kg에서 용융지수가 0.1 내지 20 g/10min인 신축 후드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초저밀도폴리에틸렌, 저밀도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고밀도폴리에틸렌,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 공중합체, 호모폴리프로필렌, 랜덤 또는 블록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부틸렌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신축 후드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장특성, 내인열성 및 투명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천공저항 특성이 탁월하여 팔레트상 적재물의 커버 포장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신축 후드용 필름을 개발하는 것이다.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되짚어 보면 신축성, 인장강도, 인열강도, 투명성 등은 우수하나 천공저항 특성이 부족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발명자들은 열가소성 수지로서 분자구조상 크로스 형태 가지가 많을 경우 유연성이 우수해지고 분자사슬 간 얽힐 경우 유사 망상구조에 가까운 형상이 발현되어 천공저항 특성이 탁월하게 좋아질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 착안하여 연구개발을 진행하던 중 상기 크로스 공중합화 올레핀-방향족 비닐 화합물-디엔 공중합체를 주축으로 사용할 경우 예상대로 원하는 모든 특성이 놀랍게 발현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크로스 공중합화 올레핀-방향족 비닐-디엔 공중합체는 스틸렌, p-클로로스틸렌, p-tert-부틸스틸렌, α-메틸스틸렌, p-메틸스틸렌, 비닐나프탈렌, 비닐안트라센 등과 같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 함량이 0.03몰% 내지 96몰% , 오르토 디비닐벤젠, 파라 디비닐벤젠 및 메타 디비닐벤젠의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디엔 0.0001몰% 내지 3몰%, 에틸렌 또는 에틸렌을 포함하는 2종 이상의 탄소수 3 내지 20의 프로펜, 1-부텐, 4-메틸-펜텐-1, 헥센, 옥텐, 데센 등과 같은 올레핀 3 내지 97 몰%인 올레핀-방향족 비닐 화합물-디엔 공중합체에, 방향족 비닐단량체를 5몰% 내지 95몰% 포함하는 단량체들을 중합시켜 제조되는 중합체로서, 주 사슬에 크로스 형대로 다른 분자 사슬이 존재하는 것으로, 200℃, 하중 10kg에서 측정한 용융지수(g/10min)가 0.1 이상 20 g/10min이하, 좋기로는 1 g/10min 이상 15 g/10min 이하의 것이다. 용융지수가 0.1 g/10min 미만이면 기계적 물성은 우수하나 필름가공성이 나빠지고 용융지수가 20 g/10min을 초과할 경우 기계적 물성이 나빠지고 필름가공성도 나빠질 우려가 있다. 이러한 수지는 미국특허 6,559,234호, 미국특허 6,566,453호, 일본특허공개 2002-003555호, 일본특허공개 2002-322224호, 일본특허공개 2007-217706호, 일본특허공개 2009-299067호, 일본특허공개 2009-299068호 등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일본 전기화학공업사 SE계 연질수지 Grade AC25, AC081, AC095, AC097, AC098, ACP2520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크로스 공중합화 올레핀-방향족 비닐 화합물-디엔 공중합체는 쇼와 경도가 50A 이상 100A 이하, 좋기로는 60A 내지 90A인 것이 본 발명의 목적상 바람직하다. 쇼와 경도가 50A 미만일 경우 너무 유연하여 원하는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 확보가 곤란하고 쇼와 경도가 100A를 초과하게 되면 부족한 유연성으로 역시 원하는 천공저항 특성 확보가 곤란하다.
본 발명에 의한 신축 후드용 필름은 적어도 한 층 이상의 필름으로서 층 수 제한은 없지만 1 내지 3층의 필름이 바람직하고 3층의 필름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신축 후드용 필름은 크로스 공중합화 올레핀-방향족 비닐 화합물-디엔 공중합체 및 상기 공중합체 외에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가 좋은 제품을 제조할 수 있어서 좋다. 상기와 같이 혼합하는 경우, 조성비는 크로스 공중합화 올레핀-방향족 비닐 화합물-디엔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10 내지 300 중량부, 좋기로는 20 내지 200 중량부로 첨가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비의 경우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가 증대되고, 탁월한 천공저항 특성을 가지는 신축 후드용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초저밀도폴리에틸렌, 저밀도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고밀도폴리에틸렌,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 공중합체, 호모폴리프로필렌, 랜덤 또는 블록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부틸렌 등을 들 수 있고, 지글러촉매, 크롬촉매, 메타로센촉매 등 그 어느 촉매에 의해 제조된 것도 사용 가능하며 메타로센 촉매에 의해 제조된 폴리올레핀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한대로 본 발명에 의한 신축 후드용 필름은 단층 구조의 필름으로도 원하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지만 2층, 3층 등 다층 구조의 필름을 제조할 경우 더욱 효과적일 수도 있다.
가령, 크로스 공중합화 올레핀-방향족 비닐 화합물-디엔 공중합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층을 기재층으로 하고,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된 층을 표층으로 한 2층 구조의 필름도 고려할 수 있고, 또한 크로스 공중합화 올레핀-방향족 비닐 화합물-디엔 공중합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층을 기재층으로 하고, 상기 기재층의 양면에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된 층을 표층으로 한 3층 구조의 필름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층 구조의 필름 경우 크로스 공중합화 올레핀-방향족 비닐 화합물-디엔 공중합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층이 적어도 30 중량% 이상일 경우 원하는 천공저항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좋기로는 40 중량% 이상, 더욱 좋기로는 50 중량%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크로스 공중합화 올레핀-방향족 비닐 화합물-디엔 공중합체,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에 통상의 첨가제 예를 들면, 슬립제, 안티블로킹제,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등을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다. 특히 슬립제 및 안티블로킹제는 작업성 및 개구성을 향상시키므로 첨가함이 좋고, 내구성 측면에서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등을 처방하는 것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합성수지의 혼합물은 펠렛 상태에서 드라이 블랜딩하여 사용하여도 좋고 단축 스크류 압출기, 2축 스크류 압출기, 믹싱롤, 밤바리믹서, 니더 등에 의해 혼련시켜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공중합화 올레핀-방향족 비닐-디엔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한 단층 또는 다층 구조의 필름은 인장특성, 내인열성 및 투명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천공저항 특성이 탁월하다. 이와 같은 물성으로 팔레트 상 적재물의 커버 포장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일예를 들어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기의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가공은 특별한 한정을 하지 않은 이상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시료 필름의 천공저항 특성, 인장 특성, 내인열 특성 및 투명성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1. 천공저항 특성
ASTM D5748에 의거 천공저항 측정기(Ubique사, 모델 UPR-digital)를 이용하여 시료 필름의 파단시 에너지(J) 측정하여 천공저항 특성을 표 1과 같이 4등급으로 평가하였다.
[표 1] - 천공저항 특성 평가 기준
Figure 112012094967169-pat00001
2. 인장 특성
ASTM D882에 의거 만능시험기(UTM, Tinius Olsen사)를 이용해 인장속도 200mm/min, 측정온도 23℃ 조건하에서 시료의 파단시 인장강도(MPa) 및 신도(%)를 측정하였고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4등급으로 평가하였고 인장 특성의 종합평가는 인장강도와 신도의 평가치중 가장 낮은 것으로 판정하였다. (가령 인장강도 ◎(우수), 신도 X(불량)인 경우 인장 특성 종합평가 결과는 X(불량)로 한다.)
[표 2] - 인장 특성 평가 기준
Figure 112012094967169-pat00002
3. 내인열 특성
ASTM D1922에 의거하여 필름 인열시험기(Toyoseiki사)를 이용해 측정한 인열강도(g)를 기준으로 하여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4등급으로 평가하였다.
[표 3] - 내인열 특성의 평가 기준
Figure 112012094967169-pat00003
4. 투명성
ASTM D1003에 의거하여 흐림도측정기(Toyoseiki사)를 이용해 측정한 Haze(%)를 기준으로 하여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4등급으로 평가하였다.
[표 4] - 투명성의 평가 기준
Figure 112012094967169-pat00004
[실시예 1]
먼저 쇼와 89A, 용융지수(200℃, 10kg) 20(g/10min)의 크로스 공중합화 올레핀-방향족 비닐 화합물-디엔 공중합체 수지(전기화학공업사, SE계 연질수지 Grade AC097, SE-A) 펠렛을 준비하였다. 압출필름성형기에서 수지 펠렛을 호퍼에 투입하여 L/D 30인 압출기에 주입하고 용융 압출시켜 원형 다이를 통해 튜브를 성형, 공기중에서 냉각시킨 뒤 V자 형상 누름판을 통해 눌러서 두겹의 필름이 서로 겹쳐진 평탄형태로 제조하고 이를 권취기를 통해 감아 최종 두께 100㎛의 튜브형 필름 시료(F-1)를 제조하였고 이에 대한 천공저항 특성, 인장 특성, 내인열 특성 및 투명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용융지수(190℃, 2.16Kg) 0.75g/10min의 저밀도폴리에틸렌(Lyondellbasell사, Lupolene 2426F, LDPE-A) 수지 펠렛을 준비하였다. SE-A 수지 80중량부, LDPE-A 20중량부의 혼합비로 드라이블렌더에서 블렌딩하여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두께 100㎛의 필름 시료(F-2)를 제조하였고 이에 대한 천공저항 특성, 인장 특성, 내인열 특성 및 투명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쇼와 84A, 용융지수(200℃, 10kg) 20(g/10min)의 크로스 공중합화 올레핀-방향족 비닐 화합물-디엔 공중합체 수지(전기화학공업사, SE계 연질수지 Grade ACP2520, SE-B)를 준비하였고, 용융지수(190℃, 2.16Kg) 1.0g/10min의 메타로센 촉매계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ExxonMobill사, Exceed 1018, LLDPE-A)를 준비하였다. SE-B 수지 60중량부, LLDPE-A 40중량부의 혼합비로 드라이블렌더에서 블렌딩하여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두께 100㎛의 필름 시료(F-3)를 제조하였고 이에 대한 천공저항 특성, 인장 특성, 내인열 특성 및 투명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용융지수(190℃, 2.16Kg) 1.7g/10min, 초산비닐 함량 18.0중량%의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xxonMobil사, Escorne Utra FL00218, EVA-A)를 준비하였다. SE-B 수지 70중량부, LDPE-A 30중량부의 혼합비로 드라이블렌더에서 블렌딩하여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두께 100㎛의 필름 시료(F-4)를 제조하였고 이에 대한 천공저항 특성, 인장 특성, 내인열 특성 및 투명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용융지수(230℃, 2.16Kg) 0.9(g/10min), 에틸렌 함량 10.5중량%의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ExxonMobill사, Vistamaxx 3020FL, PP-A)를 준비하였다. SE-B 수지 50중량부, PP-A 50중량부의 혼합비로 드라이블렌더에서 블렌딩하여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두께 100㎛의 필름 시료(F-5)를 제조하였고 이에 대한 천공저항 특성, 인장 특성, 내인열 특성 및 투명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LDPE-A 수지 50중량부, LLDPE-A 50중량부의 혼합비로 드라이블렌더에서 블렌딩하여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두께 100㎛의 필름 시료(F-5)를 제조하였고 이에 대한 천공저항 특성, 인장 특성, 내인열 특성 및 투명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EVA-A 수지만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두께 100㎛의 필름 시료(F-5)를 제조하였고 이에 대한 천공저항 특성, 인장 특성, 내인열 특성 및 투명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LLDPE-A 수지 50중량부, EVA-A 50중량부의 혼합비로 드라이블렌더에서 블렌딩하여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두께 100㎛의 필름 시료(F-5)를 제조하였고 이에 대한 천공저항 특성, 인장 특성, 내인열 특성 및 투명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112012094967169-pat00005
[실시예 6]
외층용 원료로 LDPE-A 50중량부 및 LLDPE-A 50중량부를 혼합한 조성물을 사용하고 내층용 원료로 SE-A 수지만을 사용하여 다층 압출 필름성형기에서 외층/내층 두께구성(%)을 30/70으로 조정하여 2층 구조의 튜브 형태의 두께 100㎛의 필름 시료(F-6)를 얻은 것(표 6 참조)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고 이에 대한 천공저항 특성, 인장 특성, 내인열 특성 및 투명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외층용 원료로 LDPE-A 30중량부 및 LLDPE-A 70중량부를 혼합한 조성물을 사용하고 내층용 원료로 SE-A 수지 80중량부 및 LLDPE-A 20중량부를 혼합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다층 압출 필름성형기에서 외층/내층 두께구성(%)을 30/70으로 조정하여 2층 구조의 튜브 형태의 두께 100㎛의 필름 시료(F-7)를 얻은 것(표 6 참조)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고 이에 대한 천공저항 특성, 인장 특성, 내인열 특성 및 투명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외층 및 내층용 원료로 LDPE-A 30중량부 및 LLDPE-A 70중량부를 혼합한 조성물을 사용하고 중간층용 원료로 SE-A 수지만을 사용하여 다층 압출필름성형기에서 외층/중간층/내층 두께구성(%)을 20/60/20으로 조정하여 3층 구조의 튜브 형태의 두께 100㎛의 필름 시료(F-8)를 얻은 것(표 6 참조)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고 이에 대한 천공저항 특성, 인장 특성, 내인열 특성 및 투명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9]
외층 및 내층용 원료로 LLDPE-A 수지만을 사용하고 중간층용 원료로 SE-A 80중량부 및 LLDPE-A 20중량부를 혼합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다층 압출필름성형기에서 외층/중간층/내층 두께구성(%)을 15/70/15로 조정하여 3층 구조의 튜브 형태의 두께 100㎛의 필름 시료(F-9)를 얻은 것(표 6 참조)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고 이에 대한 천공저항 특성, 인장 특성, 내인열 특성 및 투명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0]
외층 및 내층용 원료로 LLDPE-A 수지만을 사용하고 중간층용 원료로 SE-A 80중량부 및 EVA-A 20중량부를 혼합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다층 압출필름성형기에서 외층/중간층/내층 두께구성(%)을 20/60/20으로 조정하여 3층 구조의 튜브 형태의 두께 100㎛의 필름 시료(F-10)를 얻은 것(표 6 참조)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고 이에 대한 천공저항 특성, 인장 특성, 내인열 특성 및 투명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용융지수(190℃, 2.16Kg) 0.5g/10min, 초산비닐 함량 7.5중량%의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xxonMobil사, Nexxstar Low EVA-00111, EVA-B)를 준비하였다. 외층 및 내층용 원료로 LDPE-A 수지만을 사용하고 중간층용 원료로 SE-B 75중량부 및 EVA-B 25중량부를 혼합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다층 압출필름성형기에서 외층/중간층/내층 두께구성(%)을 15/70/15로 조정하여 3층 구조의 튜브 형태의 두께 100㎛의 필름 시료(F-11)를 얻은 것(표 6 참조)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고 이에 대한 천공저항 특성, 인장 특성, 내인열 특성 및 투명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2]
외층 및 내층용 원료로 LDPE-A 30중량부 및 LLDPE-A 70중량부를 혼합한 조성물을 사용하고 중간층용 원료로 SE-A 70중량부 및 PP-A 30중량부를 혼합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다층 압출필름성형기에서 외층/중간층/내층 두께구성(%)을 20/60/20으로 조정하여 3층 구조의 튜브 형태의 두께 100㎛의 필름 시료(F-12)를 얻은 것(표 6 참조)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고 이에 대한 천공저항 특성, 인장 특성, 내인열 특성 및 투명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외층용 원료로 LDPE-A 50중량부 및 LLDPE-A 50중량부를 혼합한 조성물을 사용하고 내층용 원료로 EVA-A 수지만을 사용하여 다층 압출필름성형기에서 외층/내층 두께구성(%)을 30/70으로 조정하여 2층 구조의 튜브 형태의 두께 100㎛의 필름 시료(F-C4)를 얻은 것(표 6 참조)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고 이에 대한 천공저항 특성, 인장 특성, 내인열 특성 및 투명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외층 및 내층용 원료로 LDPE-A 50중량부 및 LLDPE-A 50중량부를 혼합한 조성물을 사용하고 중간층용 원료로 EVA-A 수지만을 사용하여 다층 압출필름성형기에서 외층/중간층/내층 두께구성(%)을 20/60/20으로 조정하여 3층 구조의 튜브 형태의 두께 100㎛의 필름 시료(F-C5)를 얻은 것(표 6 참조)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고 이에 대한 천공저항 특성, 인장 특성, 내인열 특성 및 투명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6]
외층 및 내층용 원료로 LDPE-A 60중량부 및 LLDPE-A 40중량부를 혼합한 조성물을 사용하고 중간층용 원료로 EVA-B 70중량부 및 PP-A 30중량부를 혼합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다층 압출필름성형기에서 외층/중간층/내층 두께구성(%)을 25/50/25로 조정하여 3층 구조의 튜브 형태의 두께 100㎛의 필름 시료(F-C6)를 얻은 것(표 6 참조)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고 이에 대한 천공저항 특성, 인장 특성, 내인열 특성 및 투명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표 6]
Figure 112012094967169-pat00006
[표 7]
Figure 112012094967169-pat00007
먼저 실시예 1~5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공중합화 올레핀-방향족 비닐-디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로 구성된 단층구조의 필름 경우 종래 기술에 의한 저밀도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등 폴리올레핀계 수지만을 사용한 비교예 1~3과 비교해 볼 때 천공저항 특성, 인장 특성, 내인열 특성, 투명성 등이 모두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천공저항 특성이 탁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6~1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공중합화 올레핀-방향족 비닐 화합물-디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층을 가진 다층필름 경우에서도 비교예 4~6과 비교해 볼 때 천공저항 특성, 인장 특성, 내인열 특성, 투명성 등이 모두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천공저항 특성이 탁월함을 알 수 있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공중합화 올레핀-방향족 비닐-디엔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한 단층 또는 다층 구조의 필름은 인장특성, 내인열성 및 투명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특히 천공저항 특성이 탁월하여, 팔레트상 적재물의 커버 포장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Claims (7)

  1. 크로스 공중합화 올레핀-방향족 비닐 화합물-디엔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 또는 폴리프로필렌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고분자 10 내지 300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양면에 형성되고, 저밀도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표층;
    으로 구성되며, 상기 필름의 두께구성이 기재층 60 내지 70% 및 표층 30 내지 40%로 이루어지는 신축 후드용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공중합화 올레핀-방향족 비닐 화합물-디엔 공중합체의 쇼와경도가 50A 이상 100A 이하인 신축 후드용 필름.
  3. 삭제
  4. 삭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공중합화 올레핀-방향족 비닐 화합물-디엔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 0.03몰% 내지 96몰%, 디엔 0.0001몰% 내지 3몰%, 올레핀 3 내지 97몰%인 올레핀-방향족 비닐 화합물-디엔 공중합체에, 방향족 비닐화합물을 5몰% 내지 95몰%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로 중합한 것인 신축 후드용 필름.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공중합화 올레핀-방향족 비닐 화합물-디엔 공중합체는 200℃, 하중 10kg에서 용융지수가 0.1 내지 20 g/10min인 신축 후드용 필름.
  7. 삭제
KR1020120130876A 2012-11-19 2012-11-19 신축 후드용 필름 KR101336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876A KR101336099B1 (ko) 2012-11-19 2012-11-19 신축 후드용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876A KR101336099B1 (ko) 2012-11-19 2012-11-19 신축 후드용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6099B1 true KR101336099B1 (ko) 2013-12-06

Family

ID=49987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0876A KR101336099B1 (ko) 2012-11-19 2012-11-19 신축 후드용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60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7706A (ja) * 1998-12-22 2007-08-30 Denki Kagaku Kogyo Kk クロス共重合化オレフィン−スチレン−ジエン共重合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7706A (ja) * 1998-12-22 2007-08-30 Denki Kagaku Kogyo Kk クロス共重合化オレフィン−スチレン−ジエン共重合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76611B1 (en) Composition and films thereof
CN113613903B (zh) 具有增强撕裂强度的多层拉伸罩膜
WO2015075081A1 (en) Films
US20120219814A1 (en) Methods of Improving Polyethylene Stretch Films
CA2377655A1 (en) Composition and films thereof
US7722961B2 (en) Resin composition and stretched film obtained by using the same
KR101384507B1 (ko) 스트레치 랩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CA3009192C (en) Film for packaging
EP3317104B1 (en) Methods of preparing a peelable seal layer
JP5078838B2 (ja) 延伸フィルム
JP2002331626A (ja) 易引裂性多層フィルム
KR101336099B1 (ko) 신축 후드용 필름
KR100825346B1 (ko) 포장용 필름
CN105209505A (zh) 基于乙烯的聚合物和由其制得的制品
JP3794967B2 (ja) ハンド包装用ストレッチ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5786608B2 (ja) 積層フィルム
JP2005329678A (ja) 積層樹脂一軸延伸フィルム
JP6716471B6 (ja) 改善されたひねり保持性を有するポリオレフィン系フィルム
JP2005089693A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得られる延伸フィルム
JP2010270227A (ja) 二軸延伸エチレン系共重合体フィルム
EP4241985A1 (en) Multilayer film
CN117062871A (zh) 烯烃系聚合物组合物和膜
KR20140007784A (ko)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이 농후한 제제로부터 제조된 스트레치 후드
JP4662614B2 (ja) 包装用エチレン系樹脂フィルム
JP2023139744A (ja) ポリエチレン組成物、フィルム、および、多層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