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5800B1 - Elevator device - Google Patents

Elevato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5800B1
KR101335800B1 KR1020127001456A KR20127001456A KR101335800B1 KR 101335800 B1 KR101335800 B1 KR 101335800B1 KR 1020127001456 A KR1020127001456 A KR 1020127001456A KR 20127001456 A KR20127001456 A KR 20127001456A KR 101335800 B1 KR101335800 B1 KR 101335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sheave
counterweight
suspending
hoist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14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85361A (en
Inventor
에이지 안도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5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53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8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12Counterpoi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제1 및 제2 구동쉬브(11, 13)의 회전축은 각각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4)에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17 ~ 20)가 마련되고, 균형추(5)에는 제1 및 제2 균형추 서스펜딩쉬브(21, 22)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4) 및 균형추(5)를 매다는 메인로프 그룹(16)은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17, 18), 제1 구동쉬브(11) 및 제1 균형추 서스펜딩쉬브(21)의 순서로 감겨진 제1 메인로프(14)와,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19, 20), 제2 구동쉬브(13) 및 제2 균형추 서스펜딩쉬브(22)의 순서로 감겨진 제2 메인로프(15)를 가지고 있다. 제1 구동장치(8),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17, 18) 및 제1 균형추 서스펜딩쉬브(21)와, 제2 구동장치(9),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19, 20) 및 제2 균형추 서스펜딩쉬브(22)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에서 엘리베이터칸(4)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 사이를 잇는 직선에 관해서 대칭이 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The rotation shafts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11 and 13 are arranged horizontally, respectively. The car 4 i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car suspending sheaves 17 to 20, and the counterweight 5 i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counterweight suspending sheaves 21 and 22. The main rope group 16 that suspends the car 4 and the counterweight 5 includes a first car suspending sheave 17 and 18, a first drive sheave 11 and a first counterweight suspending sheave 21. In order of the first main rope 14, the second car suspension sheaves 19 and 20, the second drive sheave 13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2 It has a second main rope 15 wound up. First drive device 8, first car suspending sheaves 17 and 18 and first counterweight suspending sheave 21, second drive device 9, second car suspending sheave 19 and 20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uspending sheave 22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straight line between the pair of car guide rails 2 guiding the car 4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It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which becomes each, respectively.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 {ELEVATOR DEVICE}Elevator device {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승강로 내에 메인로프에 의해 매달린 엘리베이터칸 및 균형추를 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시키는 트랙션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ction elevator device for moving a car and a balance weight suspended by a main rope in a hoistway by a driving force of a drive device.

종래, 엘리베이터칸 및 균형추를 이동시키는 구동장치가 승강로 내에 배치된 엘리베이터(이른바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에서는 균형추의 이동을 안내하는 균형추 가이드레일의 상단부에 구동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및 균형추는 구동장치의 구동쉬브에 감겨진 메인로프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려 있다(특허문헌 1 참조).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An elevator (so-called machine-less elevator) in which a car and a driving device for moving a counterweight are disposed in a hoistway is known. In a conventional machine roomless elevator, a driving device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counterweight. The car and the counterweight are suspended in the hoistway by the main rope wound around the drive sheave of the drive device (see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 1] WO03/020628호[Patent Document 1] WO03 / 020628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에서는, 엘리베이터칸 및 균형추를 1개의 구동장치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의 대용량화에 수반하여, 구동장치가 대형화해 버린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전체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구동장치의 장착작업이나 보수작업에 시간이 들어 버린다. 또, 구동장치의 대형화에 의해, 제조비용도 증대해 버린다.However, in such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since a car and a counterweight are moved to one drive device, a drive device becomes large with the large capacity of an elevator. As a result, not only the reduction of the entire elevator can be achieved, but also the installation work and the maintenance work of the drive system take time.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cost also increases due to the enlargement of the driving apparatu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장착작업 및 보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and to obtain an elevator apparatus which can facilitate the mounting work and the maintenance work, and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The purpose.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제1 구동쉬브를 가지고, 제1 구동쉬브의 회전축을 수평으로 하여 배치된 제1 구동장치, 제2 구동쉬브를 가지고, 제2 구동쉬브의 회전축을 수평으로 하여 배치된 제2 구동장치, 승강로 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엘리베이터칸 및 균형추, 공통의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된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 공통의 균형추에 마련된 제1 균형추 서스펜딩쉬브 및 제2 균형추 서스펜딩쉬브 및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 제1 구동쉬브 및 제1 균형추 서스펜딩쉬브의 순서로 감겨진 제1 메인로프와,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 제2 구동쉬브 및 제2 균형추 서스펜딩쉬브의 순서로 감겨진 제2 메인로프를 가지며, 엘리베이터칸 및 균형추를 매다는 메인로프 그룹을 구비하고, 제1 구동장치,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 및 제1 균형추 서스펜딩쉬브와, 제2 구동장치,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 및 제2 균형추 서스펜딩쉬브는 승강로의 수직투영면에서 엘리베이터칸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 사이를 잇는 직선에 관해서 대칭이 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rive device having a first drive sheave and a horizontal axis of rotation of the first drive sheave, a second drive sheave, and a rotation axis of the second drive sheave arranged horizontally. Second drive device, elevator car and balance weight which can move up and down in hoistway, first car suspension sheave and second car suspension sheave provided in common car, first balance provided in common balance weigh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and seco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and first car suspension sheaves, first drive sheave and fir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A second main rope wound in the order of a suspending sheave, a second driving sheave and a second counterweight suspending sheave; The device, the first car suspending sheave and the first counterweight suspending sheave, the second drive device, the second car suspending sheave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uspending sheave are designed to move the car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It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which become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straight line which connects between a pair of guide car guide rails which guide.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칸 및 균형추가 제1 및 제2 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되므로, 제1 및 제2 구동장치에 주어지는 부하를 각각 경감할 수 있어, 제1 및 제2 구동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장착작업이나 보수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제1 및 제2 구동쉬브의 각각의 회전축이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메인로프를 제1 및 제2 구동쉬브로부터 엘리베이터칸 및 균형추로 직접 내릴 수도 있어, 승강로 내에 마련하는 쉬브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장치,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 및 제1 균형추 서스펜딩쉬브와, 제2 구동장치,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 및 제2 균형추 서스펜딩쉬브는 승강로의 수직투영면에서 각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을 잇는 직선에 관해서 대칭이 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므로, 2계통의 구동계에서 같은 설계의 기기를 이용할 수 있어,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제조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In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ar and the balance weight are mov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apparatuses, the loads given to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apparatuses can be reduced,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ings are performed. The device can be miniaturized. As a result, the whole elevator apparatus can be downsized, and the mounting work and the maintenance work can be facilitated. In addition, since the respective rotation shafts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are horizontally arranged,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can be lowered directly from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to the car and the counterweight, so as to be provided in the hoistway. The number of sheaves can be reduced. Further, the first driving device, the first car suspension sheave and the fir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and the second drive device, the second car suspension sheave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are perpendicular to the hoistway. Since they are arranged in symmetrical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ar guide rails on the projection surface, the same design equipment can be used in two system drive systems, and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and the production cost can be increased. Reduction can be aimed a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levato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3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5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실시형태 1.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 내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 및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레일(3)이 설치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 사이에는 엘리베이터칸(4)가 배치되며, 각 균형추 가이드레일(3) 사이에는 균형추(5)가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4)은 각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에 의해 안내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고, 균형추(5)는 각 균형추 가이드레일(3)에 의해 안내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levato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In the figure, a pair of car guide rails 2 and a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3 are provided in the hoistway 1. The car 4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each car guide rail 2, and the balance weight 5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each counterweight guide rail 3. The car 4 is guided by each car guide rail 2 and moved up and down, and the counterweight 5 is guided by each counterweight guide rail 3 and moved up and down.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엘리베이터칸(4)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승강로(1)를 투영했을 때의 투영면)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을 잇는 직선 및 각 균형추 가이드레일(3)을 잇는 직선이 서로 직교하고 있다. 또,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에서 각 균형추 가이드레일(3)을 잇는 직선은 승강로(1)의 폭방향에 따른 직선으로 되어 있다.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projection surface when the hoistway 1 is project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elevator car 4), as shown in FIG. 2, a straight line connecting each car guide rail 2 and The straight lines connecting the counterweight guide rails 3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Moreover, the straight line which connects each counterweight guide rail 3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becomes a straight lin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엘리베이터칸(4)은 각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 사이에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측면부(4a, 4b)와, 엘리베이터칸 출입구(6)가 마련된 전면(前面)부(4c)와, 전면부(4c)에 대향하는 배면부(4d)를 가지고 있다. 전면부(4c)에는 엘리베이터칸 출입구(6)를 개폐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의 도어(7)가 마련되어 있다(도 2). 엘리베이터칸(4)은 그 폭방향을 승강로(1)의 폭방향에 일치시켜서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4)의 폭방향의 치수(제1 및 제2 측면부(4a, 4b) 사이의 치수)는 엘리베이터칸(4)의 깊이방향의 치수(전면부(4c) 및 배면부(4d) 사이의 치수)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The car 4 includes a front portion 4c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side portions 4a and 4b facing each other between the car guide rails 2 and a car entrance and exit 6; It has the back part 4d which opposes the front part 4c. The front door part 4c is provided with the door 7 of a pair of cars which open and close the car entrance 6 (FIG. 2). The car 4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width direction may correspond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Dimension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r 4 (dimension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ide portions 4a, 4b) are measured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car 4 (between the front part 4c and the rear part 4d). Size).

균형추(5)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에서 엘리베이터칸(4)의 제1 측면부(4a)에 대향하고 있다. 즉, 균형추(5)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에서 승강로(1)의 폭방향에 대해서 엘리베이터칸(4)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4)과 균형추(5)와의 사이의 공간에는 각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 중 한쪽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이 배치되어 있다.The counterweight 5 opposes the first side portion 4a of the car 4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That is, the counterweight 5 is arrange |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car 4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One car guide rail 2 of each car guide rail 2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space between the car 4 and the counterweight 5.

각 균형추 가이드레일(3)의 상단부에는 엘리베이터칸(4) 및 균형추(5)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1 구동장치(8) 및 제2 구동장치(9)가 공통의 기대(基臺)(30)(도 2)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제1 및 제2 구동장치(8, 9)는 승강로(1) 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 구동장치(8, 9)는 승강로(1)의 깊이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At the upper end of each counterweight guide rail 3, the first drive device 8 and the second drive device 9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car 4 and the counterweight 5 in the vertical direction have a common expectation ( It is attached via the base 30 (FIG. 2). The first and second drive devices 8, 9 are arranged above the hoistway 1. Moreover, the 1st and 2nd drive devices 8 and 9 are arrange | positioned at intervals mutually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제1 및 제2 구동장치(8, 9)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에서 균형추(5)의 영역 외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구동장치(8, 9)의 각각의 일부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에서 엘리베이터칸(4)의 영역과 겹쳐져 있다. 제1 및 제2 구동장치(8, 9)는 대략 동일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The first and second drive devices 8, 9 are arranged outside the area of the counterweight 5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A part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 devices 8, 9 overlaps the area of the car 4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The first and second drives 8, 9 are arranged at approximately the same height.

제1 구동장치(8)는 모터 및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제1 구동장치 본체(10)와, 제1 구동장치 본체(10)에 의해 회전되는 제1 구동쉬브(11)를 가지고 있다. 또, 제1 구동장치(8)는 제1 구동쉬브(11)의 회전축을 수평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1 구동쉬브(11)의 회전축이 승강로(1)의 폭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The first drive device 8 has a first drive body 10 including a motor and a brake, and a first drive sheave 11 that is rotated by the first drive body 10. Moreover, the 1st drive device 8 is arrange | positioned with the rotating shaft of the 1st drive sheave 11 horizontally. In this example, the rotating shaft of the first drive sheave 11 is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제2 구동장치(9)는 모터 및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제2 구동장치 본체(12)와, 제2 구동장치 본체(12)에 의해 회전되는 제2 구동쉬브(13)를 가지고 있다. 또, 제2 구동장치(9)는 제2 구동쉬브(13)의 회전축을 수평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2 구동쉬브(13)의 회전축은 승강로(1)의 폭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The second drive unit 9 has a second drive main body 12 including a motor and a brake, and a second drive sheave 13 rotated by the second drive main body 12. Moreover, the 2nd drive apparatus 9 is arrange | positioned with the rotating shaft of the 2nd drive sheave 13 horizontally. In this example,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drive sheave 13 is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제1 및 제2 구동장치(8, 9)는 축방향 치수가 제1 및 제2 구동장치 본체(10, 12)의 지름 치수 또는 제1 및 제2 구동쉬브(11, 13)의 지름 치수보다도 작은 박형(薄形) 권상기로 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 구동장치(8, 9)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에서 제1 및 제2 구동쉬브(11, 13)의 위치가 제1 및 제2 구동장치 본체(10, 12)에서 보아 균형추(5) 측이 되도록 각각 배치되어 있다.The first and second drive units 8 and 9 have an axial dimension that is greater than the diameter dimension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 unit bodies 10 and 12 or that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11 and 13. It is a small thin hoisting machine.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drive devices 8 and 9 hav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11 and 13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It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become the balance weight 5 side from the point of view.

제1 구동쉬브(11)에는 복수 개의 제1 메인로프(14)가 감기고, 제2 구동쉬브(13)에는 복수 개의 제2 메인로프(15)가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칸(4) 및 균형추(5)는 제1 및 제2 메인로프(14, 15)를 가지는 메인로프 그룹(16)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A plurality of first main ropes 14 are wound around the first drive sheave 11, and a plurality of second main ropes 15 are wound around the second drive sheave 13. The car 4 and the counterweight 5 are suspended in the hoistway 1 by a main rope group 16 having first and second main ropes 14, 15.

엘리베이터칸(4)의 하부에는 제1 메인로프(14)가 감겨진 한 쌍의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17, 18)와, 제2 메인로프(15)가 감겨진 한 쌍의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19, 20)가 마련되어 있다. 한쪽의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17) 및 한쪽의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19)는 제1 측면부(4a)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다른 쪽의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18) 및 다른 쪽의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20)는 제2 측면부(4b)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각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17, 18)는 엘리베이터칸(4)의 폭방향에 따른 공통의 직선상에 배치되며, 각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19, 20)는 엘리베이터칸(4)의 폭방향에 따른 공통의 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각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17, 18) 및 각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19, 20)의 각각의 회전축은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에서 각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을 잇는 직선에 대해서 수직으로 되어 있다.Under the car 4, a pair of first car suspension sheaves 17 and 18 on which the first main rope 14 is wound, and a pair of agent on which the second main rope 15 is wound 2 car suspending sheaves 19 and 20 are provided. One first car suspending sheave 17 and one second car suspending sheave 19 are disposed below the first side portion 4a, and the other first car suspending sheave is The sheave 18 and the other 2nd car suspending sheave 20 are arrange | positioned under the 2nd side part 4b. Each first car suspending sheave 17, 18 is arranged on a common straight lin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r 4, and each second car suspending sheave 19, 20 is a car. It is arrange | positioned on the common straight lin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4). Each rotation axis of each of the first car suspending sheaves 17 and 18 and the second car suspending sheaves 19 and 20 has a respective car guide rail 2 at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It is perpendicular to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균형추(5)의 상부에는 제1 메인로프(14)가 감겨진 제1 균형추 서스펜딩쉬브(21)와, 제2 메인로프(15)가 감겨진 제2 균형추 서스펜딩쉬브(22)가 마련되어 있다. 제1 및 제2 균형추 서스펜딩쉬브(21, 22)의 각각의 회전축은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에서 각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을 잇는 직선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The first counterweight suspending sheave 21 in which the first main rope 14 is wound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uspending sheave 22 in which the second main rope 15 is wound are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unterweight 5. It is prepared. Each axis of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unterweight suspending sheaves 21 and 22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ar guide rails 2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각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 가운데, 균형추(5)로부터 먼 쪽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의 상단부에는 제1 고정부재(23)가 고정되어 있다. 각 균형추 가이드레일(3)의 상단부 사이에는 제2 고정부재(24)가 고정되어 있다. 공통의 제1 고정부재(23)에는 각 제1 메인로프(14)의 일단부가 접속된 제1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멈춤장치(25)와, 각 제2 메인로프(15)의 일단부가 접속된 제2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멈춤장치(26)가 마련되어 있다. 공통의 제2 고정부재(24)에는 각 제1 메인로프(14)의 타단부가 접속된 제1 균형추 측 로프멈춤장치(27)와, 각 제2 메인로프(15)의 타단부가 접속된 제2 균형추 측 로프멈춤장치(28)가 마련되어 있다.The first fixing member 23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car guide rail 2 far from the counterweight 5 among the car guide rails 2. The second fixing member 24 is fixed between the upper ends of each counterweight guide rail 3. The first car side rope stopper 25, to which one end of each first main rope 14 is connected, and one end of each second main rope 15 are connected to the common first fixing member 23, respectively. 2 Car side rope stopper 26 is provided. To the common second fixing member 24, the first counterweight side rope stopper 27, to which the other end of each first main rope 14 is connected, and the other end of each second main rope 15, are connected. The second counterweight side rope stopper 28 is provided.

제1 메인로프(14)는 제1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멈춤장치(25)로부터 각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18, 17), 제1 구동쉬브(11) 및 제1 균형추 서스펜딩쉬브(21)의 순서로 감겨, 제1 균형추 측 로프멈춤장치(27)에 이르고 있다. 제2 메인로프(15)는 제2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멈춤장치(26)로부터 각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20, 19), 제2 구동쉬브(13) 및 제2 균형추 서스펜딩쉬브(22)의 순서로 감겨, 제2 균형추 측 로프멈춤장치(28)에 이르고 있다. 즉, 메인로프 그룹(16)에 의한 엘리베이터칸(4) 및 균형추(5)의 매닮 방식은 2:1로핑 방식으로 되어 있다.The first main rope 14 is the first car suspending sheaves 18 and 17, the first drive sheave 11 and the first counterweight suspending sheave from the first car side rope stop 25. In the order of (21), it reaches the 1st counterweight side rope stopper 27. As shown in FIG. The second main rope 15 is the second car suspension sheaves 20 and 19, the second drive sheave 13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uspending sheave from the second car side rope stop 26. In the order of (22), it reaches the 2nd counterweight side rope stopper 28. As shown in FIG. That is, the hawk-like manner of the car 4 and the counterweight 5 by the main rope group 16 is a 2: 1 roping system.

제1 및 제2 구동장치(8, 9)는 서로 동일한 설계의 장치로 되어 있다. 또, 각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17, 18) 및 각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19, 20)는 서로 동일한 설계의 쉬브로 이루어지며, 제1 균형추 서스펜딩쉬브(21) 및 제2 균형추 서스펜딩쉬브(22)도 서로 동일한 설계의 쉬브로 이루어져 있다. 제1 구동장치(8), 각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17, 18) 및 제1 균형추 서스펜딩쉬브(21)와, 제2 구동장치(9), 각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19, 20) 및 제2 균형추 서스펜딩쉬브(2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에서 각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을 잇는 직선에 관해서 대칭이 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멈춤장치(25) 및 제1 균형추 측 로프멈춤장치(27)와, 제2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멈춤장치(26) 및 제2 균형추 측 로프멈춤장치(28)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에서 각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을 잇는 직선에 관해서 대칭이 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The first and second drive devices 8, 9 are devices of the same design. Further, each of the first car suspending sheaves 17 and 18 and the second car suspending sheaves 19 and 20 are made of sheaves of the same design as each other, and the first counterweight suspending sheave 21 )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uspending sheave 22 are also made of sheaves of the same design. First drive device 8, each of the first car suspension sheaves 17 and 18 and the fir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1, second drive device 9, each of the second car suspension As shown in FIG. 2, the ding sheaves 19 and 20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uspending sheave 22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ar guide rails 2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It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to become,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irst car side rope stopper 25 and the first counterweight side rope stopper 27, the second car side rope stopper 26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ide rope stopper 28 are elevated. It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which become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straight line which connects each car guide rail 2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1), respectively.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 내에는 승강로(1)의 높이 방향에 대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공용 브래킷(지지부재)(29)이 고정되어 있다. 한쪽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 및 각 균형추 가이드레일(3)은 각 공용 브래킷(29)에 장착되어 지지되어 있다.3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common brackets (support members) 29 are fixed to the hoistway 1 at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istway 1. One car guide rail 2 and each counterweight guide rail 3 are attached to and supported by each common bracket 29.

공용 브래킷(29)은 승강로(1)의 깊이방향에 대해서 균형추(5)를 사이에 두는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대향부(29a)와, 각 대향부(29a) 사이에 고정되고,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에서 엘리베이터칸(4)과 균형추(5)와의 사이의 공간으로 통과된 크로스빔(cross beam)부(29b)를 가지고 있다.The common bracket 29 is fixed between the pair of opposing portions 29a and the opposing portions 29a arranged at positions where the counterweight 5 is interposed with respect to the dep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and the hoistway ( It has a cross beam part 29b which passed to the space between the cage | basket | car 4 and the counterweight 5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1).

크로스빔부(29b)의 중앙부는 균형추(5) 측으로 돌출하도록 굽혀져 있다. 이것에 의해, 크로스빔부(29b)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에서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17, 19) 및 제1 및 제2 균형추 서스펜딩쉬브(21, 22)의 각각을 피하여, 엘리베이터칸(4)과 균형추(5)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각 균형추 가이드레일(3)은 각 대향부(29a)에 개별적으로 장착되며, 한쪽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은 크로스빔부(29b)의 중앙부에 장착되어 있다.The center part of the crossbeam part 29b is bent so that it may protrude toward the counterweight 5 side. As a result, the cross beam portion 29b is provided with the first and second car suspending sheaves 17 and 19 and the first and second balancing weight suspending sheaves 21 and 22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Are avoided and arranged between the car 4 and the counterweight 5. Each counterweight guide rail 3 is attached to each opposing part 29a separately, and one car guide rail 2 is attached to the center part of the crossbeam part 29b.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및 제2 구동장치(8, 9)는 승강로(1) 내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서로 동기하여 구동된다. 이것에 의해, 제1 및 제2 구동쉬브(11, 13)가 서로 동기하여 회전되며, 엘리베이터칸(4) 및 균형추(5)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The first and second drive devices 8 and 9 are driven in synchronization with each other by the control of a control device (not shown) provided in the hoistway 1. As a result,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11 and 13 are rotated in synchronization with each other, and the car 4 and the counterweight 5 ar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칸(4) 및 균형추(5)가 제1 및 제2 구동장치(8, 9)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되므로, 제1 및 제2 구동장치(8, 9)에 주어지는 부하를 각각 경감할 수 있어, 제1 및 제2 구동장치(8, 9)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장착작업이나 보수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제1 및 제2 구동쉬브(11, 13)의 각각의 회전축이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메인로프(14, 15)를 제1 및 제2 구동쉬브(11, 13)로부터 엘리베이터칸(4) 및 균형추(5)로 직접 내릴 수도 있어, 승강로(1) 내에 마련하는 쉬브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장치(8), 각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17, 18) 및 제1 균형추 서스펜딩쉬브(21)와, 제2 구동장치(9), 각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19, 20) 및 제2 균형추 서스펜딩쉬브(22)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에서 각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을 잇는 직선에 관해서 대칭이 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므로, 2계통의 구동계로 동일한 설계의 기기를 이용할 수 있어,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제조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since the car 4 and the counterweight 5 are mov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1st and 2nd drive devices 8 and 9, it is given to the 1st and 2nd drive devices 8 and 9. The load can be reduced,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e devices 8 and 9 can be miniaturized. As a result, the whole elevator apparatus can be downsized, and the mounting work and the maintenance work can be facilitated. In addition, since the rotation shafts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11 and 13 are arranged horizontally,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14 and 15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11 and 13. The car 4 and the counterweight 5 can be lowered directly, and the number of sheaves provided in the hoistway 1 can be reduced. Further, the first drive device 8, the first car suspension sheaves 17 and 18 and the fir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1, the second drive device 9 and the second car, respectively. The suspending sheaves 19 and 20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uspending sheaves 22 are respectively arranged at position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respective car guide rails 2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Therefore, a device of the same design can be used as the drive system for the two systems, so that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실시형태 2.Embodiment 2 Fig.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균형추(5)의 엘리베이터칸(4) 측의 부분에는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에 따른 홈(41)이 마련되어 있다. 즉, 균형추(5)에는 엘리베이터칸(4)의 제1 측면부(4a)에 대향하고, 또한 엘리베이터칸(4)의 이동방향에 따른 홈(41)이 마련되어 있다.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에서의 홈(41) 내에는, 각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 가운데, 균형추(5)에 가까운 한쪽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을 지지하는 공용 브래킷(도 4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이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In the figure, the groove 41 along the car guide rail 2 is provided in the part of the car 4 side of the counterweight 5. That is, the balance weight 5 is provided with the groove | channel 41 which opposes the 1st side part 4a of the cage | basket | car 4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4, and is provided. In the groove 41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a common bracket (in FIG. 4) that supports one of the car guide rails 2 near the counterweight 5 among the car guide rails 2. At least a part of which is not shown).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칸(4)의 이동방향에 따른 홈(41)이 균형추(5)에 마련되고, 한쪽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을 지지하는 공용 브래킷의 적어도 일부가 홈(41) 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균형추(5)가 공용 브래킷을 피한 상태에서, 홈(41)의 양측에 위치하는 균형추(5)의 부분의 두께를 크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균형추(5)의 높이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승강로(1)의 높이 치수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device, grooves 41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ar 4 are provided in the counterweight 5, and at least a part of the common bracket supporting one car guide rail 2 is the groove 41. Since it is arrange | positioned inside, the thickness of the part of the counterweight 5 located in the both sides of the groove | channel 41 can be made large in the state in which the counterweight 5 avoided the shared bracket. Thereby, the height dimension of the counterweight 5 can be made small, and the height dimension of the hoistway 1 can be reduced.

실시형태 3.Embodiment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제1 및 제2 구동쉬브(11, 13)의 각각의 회전축은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에서 각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을 잇는 직선에 대해서 동일한 각도만큼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각각 경사져 있다.5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gure, the respective axes of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11, 13 are inclined in opposite directions by the same angle with respect to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ar guide rails 2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respectively. have.

제1 구동쉬브(11)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에서 지름방향 일단부가 한쪽의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17)의 단부와 겹쳐지고 지름방향 타단부가 제1 균형추 서스펜딩쉬브(21)의 단부와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구동쉬브(13)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에서 지름방향 일단부가 한쪽의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19)의 단부와 겹쳐지고 지름방향 타단부가 제2 균형추 서스펜딩쉬브(22)의 단부와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에서는 균형추(5)의 영역으로부터의 제1 및 제2 균형추 서스펜딩쉬브(21, 22)의 돌출량이 작아진다.The first drive sheave 11 has a radially projecting end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overlapping with an end of one of the first car suspending sheaves 17,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driving sheave 11 has a fir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It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overlap with the edge part of (21). The second driving sheave 13 has one radially end portion overlapping an end portion of one of the second car suspending sheaves 19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and the other radial end portion thereof has a seco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It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overlap with the edge part of (22). As a result, the projection amounts of the first and second counterweight suspending sheaves 21 and 22 from the area of the counterweight 5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are reduced.

공용 브래킷(29)의 크로스빔부(29b)는 굽혀지지 않으며, 직선 모양의 부재로 되어 있다. 크로스빔부(29b)는 승강로(1)의 깊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크로스빔부(29b)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에서 제1 및 제2 균형추 서스펜딩쉬브(21, 22)와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17, 19)와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The crossbeam portion 29b of the common bracket 29 is not bent, but is a straight member. The cross beam portion 29b is disposed along the dep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The cross beam portion 29b is a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unterweight suspending sheaves 21 and 22 and the first and second car suspending sheaves 17 and 19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Is placed on.

제1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멈춤장치(25), 각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17, 18) 및 제1 균형추 측 로프멈춤장치(27)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에서 각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을 잇는 직선과 평행한 공통의 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멈춤장치(26), 각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19, 20) 및 제2 균형추 측 로프멈춤장치(28)는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에서 각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을 잇는 직선과 평행한 공통의 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The first car side rope stopper 25, each of the first car suspending sheaves 17 and 18 and the first counterweight side rope stopper 27 guide each car on a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It is arrange | positioned on the common straight line parallel with the straight line which connects the rail 2. The second car side rope stopper 26, each second car suspending sheaves 19 and 20,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ide rope stopper 28 each car guide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It is arrange | positioned on the common straight line parallel with the straight line which connects the rail 2.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1 및 제2 구동쉬브(11, 13)의 각각의 회전축이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에서 각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을 잇는 직선에 대해서 경사져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칸(4)과 균형추(5)와의 사이의 거리를 넓히지 않고, 균형추(5) 측의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17)와 제1 균형추 서스펜딩쉬브(21)와의 사이의 거리와, 균형추(5) 측의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19)와 제2 균형추 서스펜딩쉬브(22)와의 사이의 거리를 승강로(1)의 폭방향에 대해서 각각 넓힐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직선 모양의 부재로 한 채로의 크로스빔부(29b)를 승강로(1)의 수직투영면에서의 엘리베이터칸(4)과 균형추(5)와의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공용 브래킷(29)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어, 제조비용의 저감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since the respective rotating shafts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11 and 13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ar guide rails 2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the car ( 4)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ar suspending sheave 17 and the first counterweight suspending sheave 21 on the balance weight 5 side without wide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ounterweight 5;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car suspension sheave 19 on the counterweight 5 side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uspending sheave 22 can be widened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respectively. Thereby, the crossbeam part 29b which remains as a linear member can be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cage | basket | car 4 and the counterweight 5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common bracket 29 can be manufactured easily, and reduction of manufacturing cost can be aimed at further.

1 승강로, 2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
4 엘리베이터칸, 5 균형추,
8 제1 구동장치, 9 제2 구동장치,
11 제1 구동쉬브, 13 제2 구동쉬브,
14 제1 메인로프, 15 제2 메인로프,
16 메인로프 그룹,
17, 18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
19, 20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
21 제1 균형추 서스펜딩쉬브, 22 제2 균형추 서스펜딩쉬브,
41 홈.
1 lift, 2 car guide rails,
4 car, 5 counterweight,
8 first drive, 9 second drive,
11 first drive sheave, 13 second drive sheave,
14 first main rope, 15 second main rope,
16 main rope groups,
17, 18 first car suspending sheave,
19, 20 second car suspending sheave,
21 fir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22 seco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41 Home.

Claims (3)

제1 구동쉬브를 가지고, 상기 제1 구동쉬브의 회전축을 수평으로 하여 배치된 제1 구동장치,
제2 구동쉬브를 가지고, 상기 제2 구동쉬브의 회전축을 수평으로 하여 배치된 제2 구동장치,
승강로 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엘리베이터칸 및 균형추,
공통의 상기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된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
공통의 상기 균형추에 마련된 제1 균형추 서스펜딩쉬브 및 제2 균형추 서스펜딩쉬브, 및
상기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 상기 제1 구동쉬브 및 상기 제1 균형추 서스펜딩쉬브의 순서로 감겨진 제1 메인로프와, 상기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 상기 제2 구동쉬브 및 상기 제2 균형추 서스펜딩쉬브의 순서로 감겨진 제2 메인로프를 가지고, 상기 엘리베이터칸 및 상기 균형추를 매다는 메인로프 그룹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구동장치, 상기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 및 상기 제1 균형추 서스펜딩쉬브와, 상기 제2 구동장치, 상기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 및 상기 제2 균형추 서스펜딩쉬브는 상기 승강로의 수직투영면에서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 사이를 잇는 직선에 관해서 대칭이 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균형추 서스펜딩쉬브의 각각의 회전축은, 상기 승강로의 수직투영면에 있어서, 각 상기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 사이를 잇는 직선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상기 승강로의 수직투영면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과 상기 균형추와의 사이의 공간으로 통과된 크로스빔부의 중앙부에는, 한쪽의 상기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이 장착되고,
상기 크로스빔부의 중앙부가 상기 균형추 측으로 돌출하도록 굽혀져 있는 것에 의해 상기 크로스빔부는, 상기 승강로의 수직투영면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 및 상기 제1 및 제2 균형추 서스펜딩쉬브의 각각을 피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칸과 상기 균형추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A first drive device having a first drive sheave and disposed with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drive sheave horizontally;
A second drive device having a second drive sheave and disposed with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drive sheave horizontally;
Elevator car and counterweight that can move up and down in hoistway,
A first car suspending sheave and a second car suspending sheave provided in the common car,
A first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and a seco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provided in the common counterweight, and
A first main rope wound in the order of the first car suspending sheave, the first driving sheave and the first counterweight suspending sheave, the second car suspending sheave and the second driving sheave And a main rope group having the car and the counter weight hanging with a second main rope wound in the order of the second counterweight suspending sheave,
The first driving device, the first car suspension sheave and the first counterweight suspending sheave, the second driving device, the second car suspending sheave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uspending sheave Are each disposed at position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straight line between the pair of car guide rails guiding the car on a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Each of the rotating shafts of the first and second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s is inclined with respect to a straight line between the car guide rails on a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One said car guide rail is attached to the center part of the crossbeam part which passed to the space between the said car and the said balance weight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The crossbeam portion is bent such that the center portion of the crossbeam portion protrudes toward the counterweight sid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ar suspending sheaves and the first and second counterweights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An elevator apparatus, wherein each of the suspending sheaves is disposed between the car and the counterweigh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균형추에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이동방향에 따른 홈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승강로의 수직투영면에서의 상기 홈 내에는, 각 상기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 가운데, 상기 균형추에 가까운 상기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lance weight is provided with a groove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ar,
An elevator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part of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car guide rail close to the counterweight is disposed among the car guide rails in the groove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구동쉬브의 각각의 회전축은 상기 승강로의 수직투영면에서 각 상기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을 잇는 직선에 대해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respective rotating shafts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ar guide rails on a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KR1020127001456A 2009-08-11 2009-08-11 Elevator device KR10133580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64157 WO2011018838A1 (en) 2009-08-11 2009-08-11 Elevator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361A KR20130085361A (en) 2013-07-29
KR101335800B1 true KR101335800B1 (en) 2013-12-03

Family

ID=43586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1456A KR101335800B1 (en) 2009-08-11 2009-08-11 Elevator devic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465805B1 (en)
JP (1) JP5460715B2 (en)
KR (1) KR101335800B1 (en)
CN (1) CN102471023B (en)
WO (1) WO201101883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42902B1 (en) * 2013-08-26 2016-02-03 KONE Corporation An elevator
WO2015049790A1 (en) * 2013-10-04 2015-04-09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device
WO2016033302A1 (en) * 2014-08-28 2016-03-03 Otis Elevator Company Counterweight for elevator system
JP6647411B2 (en) * 2016-09-09 2020-02-14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suspension device and method of mounting suspension device
JP6452888B2 (en) * 2016-11-25 2019-01-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equipment counterweight and elevator equipment
CN110081078B (en) * 2019-04-28 2024-04-19 广西科技大学 Connecting device for weight reduction mechanism and suspension mechanism
CN112623912A (en) * 2021-03-09 2021-04-09 东南电梯股份有限公司 Traction-driven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22702A1 (en) 2006-04-19 2007-11-0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device
KR20080055904A (en) * 2005-12-14 2008-06-1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Elevato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57885A (en) * 1985-05-08 1986-11-15 三菱電機株式会社 Balance weight device for elevator
JPH0511267Y2 (en) * 1987-07-09 1993-03-19
FI94123C (en) * 1993-06-28 1995-07-25 Kone Oy Pinion Elevator
JP2002167137A (en) * 2000-11-29 2002-06-11 Toshiba Corp Elevator
WO2006095390A1 (en) * 2005-03-04 2006-09-1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apparatus
JP5001013B2 (en) * 2007-01-10 2012-08-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equip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5904A (en) * 2005-12-14 2008-06-1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Elevator device
WO2007122702A1 (en) 2006-04-19 2007-11-0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1018838A1 (en) 2013-01-17
WO2011018838A1 (en) 2011-02-17
EP2465805B1 (en) 2016-11-23
EP2465805A1 (en) 2012-06-20
KR20130085361A (en) 2013-07-29
JP5460715B2 (en) 2014-04-02
CN102471023B (en) 2014-10-15
EP2465805A4 (en) 2015-06-17
CN102471023A (en) 201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5800B1 (en) Elevator device
KR100618467B1 (en) Elevator device
KR100961038B1 (en) Elevator device
US11591188B2 (en) Elevator system roping arrangement
JPWO2014136171A1 (en) Elevator repair method
JP5235577B2 (en) Elevator equipment
CN107555289B (en) Refitting method of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and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JP6738964B2 (en) Elevator
JP2010208822A (en) Elevator car
KR20060003086A (en) Elevator device
JP2012056773A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JP6318022B2 (en) Elevator
JP6336225B2 (en) Elevator equipment
WO2018198232A1 (en) Elevator device
JP2012201497A (en) Machine bed and lifting device
EP2154099B1 (en) Elevator device
JP2011051736A (en) Elevator device
KR102088908B1 (en) Elevator device
JPWO2004101419A1 (en) Elevator equipment
KR100804886B1 (en) Elevator apparatus
JP2023168698A (en) Elevator device
KR100766654B1 (en) Elevator apparatus
KR100804887B1 (en) Elevator apparatus
JP5473961B2 (en) Elevator car
JP2005225627A (en) Eleva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