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4229B1 - Curtain wall unit - Google Patents

Curtain wall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4229B1
KR101334229B1 KR1020130098335A KR20130098335A KR101334229B1 KR 101334229 B1 KR101334229 B1 KR 101334229B1 KR 1020130098335 A KR1020130098335 A KR 1020130098335A KR 20130098335 A KR20130098335 A KR 20130098335A KR 101334229 B1 KR101334229 B1 KR 101334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rib
connection
extending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83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선형
박기영
박성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85872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33422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우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우시스
Priority to KR1020130098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422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2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885Curtain walls comprising a supporting structure for flush mounted glazing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7Details of the cross-section of the mullion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427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the panes mounted flush with the surrounding frame or with the surrounding p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rtain wall unit capable of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and airtightness maintenance and corresponding to various thickness of a double glass window by being applied to a connection assembly and a third blocking unit. the connection assembly corresponds to the length increas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glass forming the double glass window are applied to a structure wherein a fourth blocking unit is mounted on the third blocking unit, and a first blocking unit, a second blocking unit, and the third blocking unit are mounted on the connection assembly mutually connecting a lattice structure on the inside and a cap member on the outside based on the double glass window.

Description

커튼월 유닛{CURTAIN WALL UNIT}Curtain Wall Unit {CURTAIN WALL UNIT}

본 발명은 커튼월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층 유리 창호의 다양한 두께에 대응이 가능하면서도 기밀 유지와 단열 성능의 향상이 가능하도록 하는 커튼월 유닛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rtain wall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rtain wall unit capable of coping with various thicknesses of a multi-layered glass window, and to improve airtightness and heat insulation performance.

일반적으로 건물의 주체구조인 기둥과 보의 골조만으로 건물에 가해지는 수직하중과 바람이나 지진 등에 의한 수평하중을 지지하는 구조에서 벽체는 단순히 공간을 칸막이하는 커튼 구실만 하기 때문에 이때의 벽체를 커튼월(curtain wall)이라고 한다.Generally, in the structure that supports the vertical load applied to the building and the horizontal load caused by wind or earthquake, etc., only the frame of the pillar and beam, which is the main structure of the building, the wall is merely a curtain that partitions the space. It is called a (curtain wall).

여기서, 커튼월의 칸막이 역할은 유리 창호가 담당하게 되며, 최근 단열규정이 에너지 절감의 측면에서 정책적으로 강화되고 있으므로, 커튼월에서 단열 성능의 강화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Here, the partition wall of the curtain wall plays a role of the glass window, and since the thermal insulation regulations are recently strengthened in terms of energy saving, it is necessary to take measures to strengthen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in the curtain wall.

이때, 사용되는 유리 창호는 복수의 유리를 이격하여 겹쳐 배치한 복층 유리 창호를 사용하게 되며, 이러한 복층 유리 창호에 사용되는 유리의 갯수 또한 이중에서 삼중 이상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았다.In this case, the glass window used is to use a multi-layered glass window that is arranged by overlapping a plurality of glass, and the number of glass used in such a multilayer glass window also required a triple or more in double.

또한, 커튼월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실내외로 열이나 공기의 유입 및 유출을 차단하는 단열 구조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heat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curtain wall,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heat insulation structure to block the inflow and outflow of heat or air to the interior and exterior.

따라서, 복층 유리 창호의 다양한 두께에 대응이 가능하면서도 기밀 유지와 단열 성능의 향상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것이다.
Therefore, it is urgent to develop an apparatus that can cope with various thicknesses of the multilayer glass windows, while allowing airtightness and improved heat insulation performance.

특허출원 제10-2011-0126874호Patent Application No. 10-2011-0126874 특허출원 제10-2011-0130544호Patent Application No. 10-2011-0130544 특허출원 제10-2012-0070608호Patent Application No. 10-2012-00706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복층 유리 창호의 다양한 두께에 대응이 가능하면서도 기밀 유지와 단열 성능의 향상이 가능하도록 하는 커튼월 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curtain wall unit capable of coping with various thicknesses of a multilayer glass window, and to improve airtightness and insulation performan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유리를 이격하여 겹치도록 배치한 복수의 복층 유리 창호; 상기 복층 유리 창호를 기준으로 실내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가로바와, 상기 복수의 가로바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세로바를 포함하는 격자 구조체; 상기 복층 유리 창호를 기준으로 실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격자 구조체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복층 유리 창호 각각의 가장자리를 마감하는 캡 부재; 상기 격자 구조체와 상기 캡 부재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복층 유리 창호의 가장자리와 이웃한 복층 유리 창호의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복층 유리 창호를 구성하는 유리의 갯수에 따라 다른 길이로 선택하여 결합되는 연결 어셈블리;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실외측 단부에 장착되어 단열 기능을 수행하는 제1 차단부;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실내측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격자 구조체와 상기 연결 어셈블리 사이에 배치되며, 단열 기능을 수행하는 제2 차단부;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제1 차단부의 상, 하부를 감싸며, 상기 복층 유리 창호를 구성하는 유리의 갯수에 따라 다른 길이로 선택하여 결합되고, 단열 기능을 수행하는 제3 차단부; 및 상기 제3 차단부에 각각 장착되고, 각각의 단부는 실내측으로 형상 변형을 허용하면서 상기 복층 유리 창호의 가장자리와 이웃한 복층 유리 창호의 가장자리를 밀착 지지하며, 실외로부터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4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glass panes arranged to overlap a plurality of glass spaced apart; A lattice structure disposed at an interior side of the multilayer glass window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and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arrang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A cap member disposed at an outdoor side with respect to the multilayer glass windows and closing edg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multilayer glass windows corresponding to the lattice structure; The lattice structure and the cap member are interconnected to each other, and are disposed in a separation space formed between an edge of the multilayer glass window and an edge of an adjacent multilayer glass window, and have a length differ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glasses constituting the multilayer glass window. A connection assembly to be selected and coupled; A first blocking unit mounted at an outdoor end of the connection assembly to perform an insulation function; A second blocking part mounted at an indoor end of the connection assembly and disposed between the lattice structure and the connection assembly, the second blocking part performing an insulation function; A third which is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nnection assembly, respectively, and covers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blocking part, and is selected and combined in different lengths according to the number of glasses constituting the multilayer glass window, and performs an insulation function. Blocking part; And each end portion is mounted to each of the third blocking portions, and each end portion closely supports the edges of the multilayer glass windows and the edges of the neighboring multilayer glass windows while allowing the shape deformation to the interior side, and blocks the inflow of outside air from the outside. It may provide a curtain wall unit comprising a; 4 blocking.

여기서, 상기 연결 어셈블리는, 상기 이격 공간의 상하 방향을 따라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캡 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제1 차단부가 충진되는 충진 공간이 형성된 제1 연결부와, 상기 이격 공간의 상하 방향을 따라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격자 구조체의 형성 방향을 따라 형성된 체결리브 홈에 상기 제2 차단부로 감싸지면서 안착되는 제2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복층 유리 창호를 구성하는 유리의 갯수에 따른 길이로 대응되는 제3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차단부는 상기 충진 공간의 상, 하부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on assembly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art disposed at a center along a vertical direction of the separation space, coupled to the cap member, and having a filling space in which the first blocking part is filled, and a vertical direction of the separation space. A second connection part disposed at a center thereof and seated while being wrapped with the second blocking part in a fastening rib groove formed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lattice structure is formed, and inter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to each other; And a third connection part corresponding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glasses constituting the window, wherein the third blocking part surrounds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lling space.

이때, 상기 제1 연결부는, 상하로 관통된 상기 충진 공간이 형성된 제1 연결 본체와, 상기 제1 연결 본체의 실외측 외면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캡 부재의 하단부 가장자리와 탈착 결합되는 제1 후크를 구비한 제1 연장편과, 상기 제1 연장편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캡 부재의 내측면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캡 부재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된 중간 후크편과 걸림 고정되는 제2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차단부는 상기 제1 연결 본체의 상, 하부를 감싸고, 상기 제3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 본체의 실내측 외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the first connection body is formed with the filling space penetrated up and down, extending from the bottom edg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body, the first coupling memb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om edge of the cap member A first extension piece having a first hook, and a second hook extending from an upper edge of the first extension piece toward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cap member and engaging with an intermediate hook piece extending from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cap member; And the third blocking part surrounds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first connection body, and the third connection part is coupled to an interior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body.

그리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 본체의 실내측 외면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실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걸림 리브와, 상기 제1 연결 본체의 실내측 외면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실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걸림 리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차단부는 상기 제1 걸림 리브와 상기 제2 걸림 리브에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connect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locking rib extending from an upper end edge of an interior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body toward an interior side, and a lower end edge of an interior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body toward an interior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body. And a second locking rib that extends, wherein the third blocking portion is locked to the first locking rib and the second locking rib.

그리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3 연결부의 실내측 단부로부터 상하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 본체와, 상기 제2 연결 본체의 상하 양단부로부터 상기 체결리브 홈측을 향하여 각각 연장되고 상기 제3 연결부와 평행한 제2 연장편과, 상기 제2 연장편 각각의 단부로부터 상기 체결리브 홈의 상하 형성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걸림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차단부는 상기 제2 연결 본체의 실외측 외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2 차단부는 상기 걸림편의 외측면 및 내측면을 감싸며 상기 체결리브 홈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on main body extending upwardly and downwardly from an interior end of the third connection part, and exten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econd connection body toward the coupling rib groove side, respectively, and the third connection part. And a second extension piece parallel to the second extension piece and a locking piece extending from an end portion of each of the second extension pieces along a vertical formation direction of the coupling rib groove, wherein the third blocking portion is an outer surface of the outdoor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body. The second blocking portion surrounds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ocking piece and is seated in the fastening rib groove.

그리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연결본체의 상단부로부터 실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제3 연결부와 평행한 제3 걸림 리브와, 상기 제2 연결본체의 하단부로부터 실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제3 연결부와 평행한 제4 걸림 리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차단부는 상기 제3 걸림 리브와 상기 제4 걸림 리브에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may extend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main body toward the outdoor side and extend toward the outdoor side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main body and a third locking rib parallel to the third connection part. And a fourth locking rib parallel to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wherein the third blocking portion is locked to the third locking rib and the fourth locking rib.

그리고, 상기 제1 차단부는, 상하 관통이며 상기 격자 구조체의 형성 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연결 어셈블리에 형성된 충진 공간에 채워지는 아존(Azo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blocking part may be an azon filled up and down and filled in the filling space formed in the connection assembly in parallel with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lattice structure.

그리고, 상기 충진 공간은, 상기 격자 구조체의 형성 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제1 연결 본체 상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슬롯과, 상기 격자 구조체의 형성 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제1 연결 본체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슬롯과, 상기 제1 슬롯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2 슬롯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충진 리브와, 상기 제2 슬롯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1 슬롯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충진 리브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lling space may include a first slot form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body of the connection assembly in parallel with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lattice structure, and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body in parallel with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lattice structure. A second slot formed through the first slot, first filling ribs extending along both edges of the first slot toward the second slot, and extending toward the first slot along both edges of the second slot; It is formed by the second filling rib.

그리고, 상기 제2 차단부는, 상기 격자 구조체의 형성 방향을 따라 형성된 체결리브 홈의 실내측 바닥면에 안착되는 밀착 본체편과, 상기 밀착 본체편의 상, 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실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체결리브 홈의 상호 마주보는 대향면에 안착되는 밀착 연장편과, 상기 밀착 연장편의 상, 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실내측 단부를 감싸는 밀착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blocking part may include a close contact body piece seated on an interior bottom surface of a fastening rib groove formed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lattice structure is formed, and extend from the upper and lower end edges of the close contact body piece to the outdoor side, and the fastening rib. And a close extension piece seated on opposite surfaces of the groove, and a close contact piece extending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from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close extension piece to surround an interior end of the connection assembly. do.

그리고, 상기 체결리브 홈은, 상기 밀착 고정편을 덮도록 상기 체결리브 홈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탈방지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astening rib groove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ion preventing rib extending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from both edges of the fastening rib groove so as to cover the close fixing piece.

그리고, 상기 제2 차단부는, 상기 밀착 본체편과, 상기 밀착 고정편의 외면에 상기 체결리브 홈의 형성 방향을 따라 복수로 돌출되어 상기 체결리브 홈에 밀착되는 밀착 리브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block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rib piece protruding a plurality of the main body pie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ct fixing piece along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fastening rib groov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astening rib groove. do.

그리고, 상기 제3 차단부는,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상, 하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복층 유리 창호를 구성하는 유리의 갯수에 따라 다른 길이로 선택 가능하게 구비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로부터 복수로 돌출되어 상기 제4 차단부를 각각 고정하는 걸림부와, 상기 안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실외측 단부에 충진된 상기 제1 차단부의 상, 하부를 감싸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third blocking portion is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nnection assembly, respectively, and a seating portion that can be selected to be different in length depending on the number of glass constituting the multilayer glass window, and a plurality of from the seating por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cking portion protruding to secure the fourth blocking portion, respectively, and a cov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ating portion and cover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blocking portion filled in the outdoor end of the connection assembly.

그리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실외측 단부로부터 연장된 제1 걸림 리브와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실내측 단부로부터 상기 제1 걸림 리브와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걸림 리브 사이에 양단부가 걸림 고정되는 제1 안착편과,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실외측 단부로부터 연장된 제3 걸림 리브와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실내측 단부로부터 상기 제3 걸림 리브와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4 걸림 리브 사이에 양단부가 걸림 고정되는 제2 안착편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 안착편의 상기 제2 걸림 리브측으로부터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실외측 단부측을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2 안착편의 상기 제4 걸림 리브측으로부터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실외측 단부측을 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안착편의 상기 제1 걸림 리브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2 안착편의 상기 제3 걸림 리브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ating portion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assembly and extends in a direction facing the first engagement rib from an interior end of the connection assembly and a first locking rib extending from an outdoor end of the connection assembly. A first mounting piece having both ends secured between the second locking ribs, and a third locking rib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assembly and extending from an outdoor end of the connection assembly and an interior end of the connection assembly. And a second mounting piece having both ends secured between the fourth locking ribs extending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with the third locking ribs, wherein the lock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assembly from the second locking rib side of the first mounting piece. Is disposed toward an outdoor side end side of the hooking portion, and the locking portion is positioned from the fourth locking rib side of the second seating piece. It is disposed toward the outdoor end side of the connecting assembly, wherein the cover portion extends from the first locking rib side of the first seating piece, the cover portion extends from the third locking rib side of the second seating piece do.

그리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안착부의 형성 방향을 따라 돌출된 복수의 돌출 리브편과, 상기 돌출 리브편의 단부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안착부와 평행을 이루는 마감 리브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차단부는 상기 돌출 리브편과 상기 마감 리브편이 이루는 내측 공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cking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ding rib pieces protruding along a forming direction of the seating portion, and finish rib pieces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an end portion of the protruding rib piece to be parallel to the seating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protruding rib piece and the finishing rib piece.

그리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안착부의 실외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형성 방향을 따라 돌출된 연결 리브편과, 상기 연결 리브편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실외측 단부를 구성하는 제1 연결 본체의 상, 하면을 각각 마감하는 커버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ver part is formed at an outdoor end of the seating part, and includes a connecting rib piece protruding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seating part is formed and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connecting rib piece to form an outdoor end of the connection assembl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ver piece for clos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nnecting body,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연결 리브편의 단부로부터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실내측 단부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마감 리브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ver part may further include a finishing rib piece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connecting rib piece toward the interior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assembly.

그리고, 상기 제3 차단부는, 상기 걸림부와 이웃한 걸림부의 상단부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복층 유리 창호를 구성하는 유리의 갯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안착부의 길이에 대응하여 늘어난 길이를 가지는 보강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ird blocking portion may interconnect the upper end portions of the latching portions and the adjacent locking portions, and may further include reinforcing ribs having lengths corresponding to the lengths of the seating portions as the number of glasses constituting the multilayer glass window increases. It further comprises.

그리고, 상기 제4 차단부는, 상기 제3 차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안착 패드와, 상기 안착 패드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안착 패드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된 보강 패드와, 상기 안착 패드의 형성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보강 패드로부터 상기 안착 패드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실내측을 향하여 형상 변형을 허용하면서 상기 복층 유리 창호의 가장자리에 밀착되는 밀착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urth blocking part may include a seating pad disposed at each of the third blocking part, a reinforcement pad protruding from a center of the seating pa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ating pad is formed,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seating pad is form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act pad protruding from the reinforcement pa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eating pad,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multilayer glass window while allowing a shape deformation toward the interior side.

또한, 상기 캡 부재는, 상기 복층 유리 창호의 가장자리와 이웃한 복층 유리 창호의 가장자리에 대면되는 캡 본체편과, 상기 캡 본체편의 상단부로부터 실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캡 연장편과, 상기 캡 본체편의 하단부로부터 실내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제1 캡 연장편과 대면하며,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제1 연장편에 형성된 제1 후크와 걸림 고정되는 하부 후크편을 구비한 제2 캡 연장편과, 상기 제1 캡 연장편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복층 유리 창호와 대면하고 상부 외측 글래이징 씰란트로 기밀 유지되는 캡 고정편을 포함하며, 상기 캡 부재는 상기 제1 연장편의 내측면과 상기 복층 유리 창호 사이의 하부 외측 글래이징 씰란트로 기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over, the said cap member is a cap body piece which faces the edge of the said multilayer glass window, and the edge of the multilayer glass window which adjoins, the 1st cap extension piece extended toward the room side from the upper end of the said cap body piece, and the said cap A second cap extension piece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piece toward the interior side and facing the first cap extension piece and having a lower hook piece engaged with the first hook formed on the first extension piece of the connecting assembly; A cap fixing piece extending from an end edge of the first cap extension, facing the multilayer glass window and hermetically sealed with an upper outer glazing sealant, wherein the cap member includes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iece and the multilayer glass window.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kept airtight with a lower outer glazing sealant therebetween.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복층 유리 창호를 기준으로 실내측의 격자 구조체와 실외측의 캡 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 어셈블리에 제1 차단부와 제2 차단부와 제3 차단부가 장착되고, 제3 차단부에 제4 차단부가 장착된 구조로부터 복층 유리 창호를 구성하는 유리의 갯수에 따라 증감되는 길이에 대응하는 연결 어셈블리 및 제3 차단부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시공 환경에 적극적인 대응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 제1, 2, 3, 4 차단부에 따른 기밀 유지와 단열 성능의 대폭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강화된 단열 규격에도 대응할 수 있는 등 신뢰도 높은 제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first blocking portion, the second blocking portion, and the third blocking portion are mounted on the connection assembly that interconnects the indoor grid structure and the cap member on the outdoor side based on the multilayer glass window. Since the third blocking part can be applied to the connection assembly and the third block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length that increases or decreas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glass constituting the multilayer glass windows from the structure in which the fourth blocking part is equipped with the fourth blocking part, active response to various construction environments As well as being able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breakers and significantly improve the insulation performance, it is possible to provide products with high reliability, such as being able to meet the reinforced insulation standards. will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유닛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유닛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유닛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유닛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curtain wal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curtain wall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curtain wall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curtain wall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other forms.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oroughly disclosed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 known components, well 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an undesirabl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and the terms (mentioned) used herein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embodiments and not to limit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s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he constituents and acts referred to as " comprising (or comprising) "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nstituents and actions .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they are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유닛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유닛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유닛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curtain wal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curtain wall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curtain wall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참고로,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로 'OUT'은 실외측을, 'IN'은 실내측을 각각 나타내며, 이하에서 별도의 부호 병기는 생략키로 한다.For reference, in the drawings, reference numeral 'OUT' denotes an outdoor side, and 'IN' denotes an indoor side, and a separate code symbol will be omitted.

그리고, 도면에서 실외측은 도면의 좌측 방향을, 실내측은 도면의 우측 방향을 각각 나타낸다.In the drawings, the outdoor side represents the left direction of the drawing, and the indoor side represents the right direction of the drawing, respectively.

또한, 용어 '형성 방향'은 도면에서 독자가 바라보는 방향으로, 독자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정의한다.In addition, the term 'forming direction' is defined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ader looks in the drawing, the direction away from or close to the reader.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층 유리 창호(500)를 기준으로 실내측의 격자 구조체(600)와 실외측의 캡 부재(70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 어셈블리(800)에 제1 차단부(100)와 제2 차단부(200)와 제3 차단부(400)가 장착되고, 제3 차단부(300)에 제4 차단부(400)가 장착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As shown, the first blocking part 1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assembly 800 which interconnects the indoor grid structure 600 and the outdoor cap member 700 based on the multilayer glass window 500. And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blocking unit 200 and the third blocking unit 400 is mounted, and the fourth blocking unit 400 is mounted on the third blocking unit 300.

복층 유리 창호(500)는 복수의 유리(501, 502 또는 501, 502, 503)를 이격하여 겹치도록 배치한 복수의 부재이다.The multilayer glass window 500 is a plurality of members arranged so that the plurality of glasses 501, 502 or 501, 502, 503 are spaced apart and overlapped.

격자 구조체(600)는 복층 유리 창호(500)를 기준으로 실내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가로바(601)와, 복수의 가로바(60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세로바(602)를 포함하는 것이다.The lattice structure 600 is disposed on the interior side with respect to the multilayer glass window 50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601 and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602 arrang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601. ) Is included.

캡 부재(700)는 복층 유리 창호(500)를 기준으로 실외측에 배치되고, 격자 구조체(600)에 대응하여 복수의 복층 유리 창호(500) 각각의 가장자리를 마감하는 것이다.The cap member 700 is disposed on the outdoor side with respect to the multilayer glass window 500 and closes the edg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glass windows 500 corresponding to the lattice structure 600.

연결 어셈블리(800)는 격자 구조체(600)와 캡 부재(700)를 상호 연결하고, 복층 유리 창호(500)의 가장자리와 이웃한 복층 유리 창호(500)의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501)에 배치되며, 복층 유리 창호(500)를 구성하는 유리의 갯수에 따라 다른 길이로 선택하여 결합되는 것이다.The connection assembly 800 interconnects the grating structure 600 and the cap member 700, and in a space 501 formed between the edge of the multilayer glass window 500 and the edge of the adjacent multilayer glass window 500. It is arrange | positioned and it will select and combine by different length according to the number of glass which comprises the multilayer glass window 500.

제1 차단부(100)는 연결 어셈블리(800)의 실외측 단부에 장착되어 단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The first blocking unit 100 is mounted on the outdoor end of the connection assembly 800 to perform a heat insulation function.

제2 차단부(200)는 연결 어셈블리(800)의 실내측 단부에 장착되고, 격자 구조체(600)와 연결 어셈블리(800) 사이에 배치되며, 단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The second blocking unit 200 is mounted at the indoor end of the connection assembly 800, is disposed between the grid structure 600 and the connection assembly 800, and performs a thermal insulation function.

제3 차단부(300)는 연결 어셈블리(80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장착되고, 제1 차단부(100)의 상, 하부를 감싸며, 복층 유리 창호(500)를 구성하는 유리의 갯수에 따라 다른 길이로 선택하여 결합되고, 단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The third blocking part 300 is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nnection assembly 800, respectively, and surrounds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first blocking part 100 and according to the number of glass constituting the multilayer glass window 500. Selected to different lengths, combined, to perform adiabatic function.

제4 차단부(400)는 제3 차단부(300)에 각각 장착되고, 각각의 단부는 실내측으로 형상 변형을 허용하면서 복층 유리 창호(500)의 가장자리와 이웃한 복층 유리 창호(500)의 가장자리를 밀착 지지하며, 실외로부터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것이다.The fourth blocking unit 400 is mounted to the third blocking unit 300, and each end thereof is an edge of the multilayer glass window 500 adjacent to the edge of the multilayer glass window 500 while allowing the shape deformation to the interior side. To support closely, to block the inflow of outside air from the outdoors.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차단부(100)와 제2 차단부(200) 및 제3 차단부(300)가 일반적인 단열 기능을 수행하면서, 제4 차단부(400)가 외기의 유입과 실내 공기의 누출을 막아 기밀 유지 및 단열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first blocking part 100, the second blocking part 200, and the third blocking part 300 perform a general thermal insulation function, the fourth blocking part 400 is introduced into the outside air and the indoor air. By preventing the leakage of oil,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airtightness and insulation performance.

또한, 본 발명은 복층 유리 창호(500)를 구성하는 유리(501, 502 또는 501, 502, 503)의 갯수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복층 유리 창호(500)의 전체 두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진 연결 어셈블리(800)와 제3 차단부(300)를 적절히 선택하여 시공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시공 환경에 적극적인 대응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ion assembly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multilayer glass window 500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glass 501, 502 or 501, 502, 503 constituting the multilayer glass window 500 Since the 800 and the third blocking unit 300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constructed, it will be possible to actively respond to various construction environment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복층 유리 창호(500)는 단열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유리를 이격하여 겹쳐 배치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도 1과 같이 복층 유리 창호(500)의 두께가 24mm인 것이거나, 도 2와 같이 두께가 28mm인 것이거나, 도 3과 같이 두께가 40mm인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multilayer glass windows 500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t least two or more glasses in order to increase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generally, the thickness of the multilayer glass windows 500 is 24mm, as shown in FIG. 28 mm or 40 mm in thickness can be used as appropriate.

여기서, 각각의 유리(501, 502 또는 501, 502, 503)는 스페이서(504)로 간격 유지되도록 하고, 각각의 유리(501, 502 또는 501, 502, 503) 가장자리는 실리콘 또는 실란트 등과 같은 마감재(505)로 처리한다.Here, each glass 501, 502 or 501, 502, 503 is spaced by the spacer 504, and each glass 501, 502 or 501, 502, 503 edges are finished with a finish such as silicone or sealant ( 505).

최근, 단열 규격이 강화되면서 건축물의 단열 성능을 더욱 높여야 하는 요구에 맞춰서 도 3과 같이 삼중 유리(501, 502, 503)로 이루어진 삼중의 복층 유리 창호(500)를 시공하는 경우가 증대되고 있다.In recent years,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ment to further increase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building as the insulation standard is reinforced, the case of constructing a triple multilayer glass window 500 made of triple glass 501, 502, 503 is increasing.

따라서, 이러한 삼중의 복층 유리 창호(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중의 복층 유리 창호(500)들에 비하여 그 두께가 대폭 증대되고, 이에 따른 하중 또한 증대되므로, 연결 어셈블리(800)와 제3 차단부(300)의 구조 및 길이 또한 다른 것을 사용해야 할 것이며, 이에 대하여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Therefore, since the triple glass windows 500 of the triple layer as described above i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ickness and the load according to the double glass windows 500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assembly 800 and the third blocking The structure and length of the part 300 should also be different,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한편, 격자 구조체(6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건축 구조물의 외벽을 이루는 복층 유리 창호(500)들을 고정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건축 구조물의 실외측에 복수의 가로바(601)와 복수의 세로바(602)가 상호 격자 형상으로 결합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grid structure 600 is to provide a space for fixing the multi-layer glass windows 500 forming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 601 and a plurality on the outdoor side of the building structure The vertical bars 602 are combined to form a grid.

이러한 격자 구조체(600)를 구성하는 가로바(601)와 세로바(602)의 상세한 체결 구조에 관하여는 무수히 많은 기술들이 공지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편의상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numerous techniques are known about the detailed fastening structure of the horizontal bar 601 and the vertical bar 602 constituting the grating structure 600,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here for convenience.

한편, 캡 부재(7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외측에서 복층 유리 창호(500)와 이웃한 복층 유리 창호(500)의 가장자리들을 마감 처리하는 것으로, 일정한 폭과 길이를 지닌 바 형상의 부재로, 트랜섬(transom)은 물론 멀리온(mullion)에도 적용 가능하며, 캡 본체편(710)과 제1 캡 연장편(720)과 제2 캡 연장편(730)과 캡 고정편(74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cap member 700 finishes the edges of the multilayer glass window 500 and the neighboring multilayer glass window 500 at the outdoor side, and is a bar-shaped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It can be applied to transom as well as to mullions, and includes a cap body piece 710, a first cap extension 720, a second cap extension 730, and a cap fixing piece 740. It can be seen that the structure.

캡 본체편(710)은 복층 유리 창호(500)의 가장자리와 이웃한 복층 유리 창호(500)의 가장자리에 대면되는 것이며, 제1 캡 연장편(720)은 캡 본체편(710)의 상단부로부터 실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이다.The cap body piece 710 faces the edge of the multilayer glass window 500 and the edge of the adjacent glass window 500, and the first cap extension piece 720 is indoors from the upper end of the cap body piece 710. It extends toward the side.

제2 캡 연장편(730)은 캡 본체편(710)의 하단부로부터 실내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제1 캡 연장편(720)과 대면하며, 후술할 연결 어셈블리(800)의 제1 연장편(812)에 형성된 제1 후크(813)와 걸림 고정되는 하부 후크편(732)을 구비한 것이다.The second cap extension piece 730 extends from the lower end of the cap body piece 710 toward the interior side, faces the first cap extension piece 720, and includes a first extension piece of the connection assembly 800 to be described later ( A lower hook piece 732 is engaged with the first hook 813 formed in the 812.

캡 고정편(740)은 제1 캡 연장편(720)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복층 유리 창호(500)와 대면하고 상부 외측 글래이징 씰란트(910)로 기밀 유지되는 것이다.The cap fixing piece 740 extends from an end edge of the first cap extension piece 720 to face the multilayer glass window 500 and is hermetically held by the upper outer glazing sealant 910.

여기서, 캡 부재(700)는 후술할 제1 연장편(812)의 내측면과 복층 유리 창호(500) 사이의 하부 외측 글래이징 씰란트(920)로 기밀 유지되는 것이다.Here, the cap member 700 is hermetically held by the lower outer glazing sealant 920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iece 812 and the multilayer glass window 500 to be described later.

이때, 복층 유리 창호(500)의 가장자리 내측면과 이웃한 복층 유리 창호(500)의 가장자리 내측면은 각각 격자 구조체(600)의 외측면 사이에 각각 상부 내측 글래이징 씰란트(930)와 하부 내측 글래이징 씰란트(940)에 의하여 기밀 유지된다.At this time, the edge inner surface of the multilayer glass window 500 and the edge inner surface of the adjacent multilayer glass window 500 are respectively between the upper inner glazing sealant 930 and the lower inner glass between the outer surfaces of the lattice structure 600. It is kept airtight by the easing sealant 940.

한편, 연결 어셈블리(8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격자 구조물(600)과 캡 부재(700)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810)와 제2 연결부(820) 사이를 제3 연결부(830)로 상호 연결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assembly 800 is to interconnect the grid structure 600 and the cap member 700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the third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810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820 It can be seen that the structu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on unit 830.

여기서, 후술할 제3 차단부(300)는 충진 공간(801)의 상, 하부를 감싸게 되는 것이다.Here, the third blocking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is to surrou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lling space 801.

제1 연결부(810)는 이격 공간(501)의 상하 방향을 따라 중앙에 배치되고, 캡 부재(700)와 결합되며, 제1 차단부(100)가 충진되는 충진 공간(801)이 형성된 것이다.The first connection part 810 is disposed in the cent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paration space 501, is coupled to the cap member 700, and the filling space 801 in which the first blocking part 100 is filled is formed.

제2 연결부(820)는 이격 공간(501)의 상하 방향을 따라 중앙에 배치되고, 격자 구조체(600), 여기서는 가로바(601)의 형성 방향을 따라 형성된 체결리브 홈(610)에 제2 차단부(200)로 감싸지면서 안착되는 것이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820 is disposed in the cent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paration space 501, and the second blocking part is disposed in the fastening rib groove 610 formed along the lattice structure 600, where the horizontal bar 601 is formed. It is to be seated while being wrapped in the portion 200.

제3 연결부(830)는 제1 연결부(810)와 제2 연결부(820)를 상호 연결하고, 복층 유리 창호(500)를 구성하는 유리의 갯수에 따른 길이로 대응되는 것이다.The third connection part 830 connects the first connection part 81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820 to each other, and corresponds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glasses constituting the multilayer glass window 500.

제1 연결부(810)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연결 본체(811)를 기준으로 제1 연장편(812)과 제2 후크(814)가 포함된 구조이다.Specifically, the first connection part 810 has a structure including a first extension piece 812 and a second hook 814 based on the first connection body 811.

여기서, 제1 연결 본체(811)는 상하로 관통된 충진 공간(801)이 형성되며, 후술할 제3 차단부(300)가 이러한 제1 연결 본체(811)의 상, 하부를 감싸는 면적을 제공하는 것이다.Here, the first connection body 811 is formed with a filling space 801 penetrating up and down, the third blocking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provides an area surrounding the upper, lower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body 811. It is.

이때, 후술할 제3 연결부(830)는 제1 연결 본체(811)의 실내측 외면에 결합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830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the interior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body 811.

제1 연장편(812)은 제1 연결 본체(811)의 실외측 외면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고, 캡 부재(700)의 하단부 가장자리와 탈착 결합되는 제1 후크(813)를 구비한 것이다.The first extension piece 812 includes a first hook 813 extending from a bottom edge of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body 811 and detachably coupled to a bottom edge of the cap member 700.

제2 후크(814)는 제1 연장편(812)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캡 부재(700)의 내측면을 향하여 연장되고, 후술할 캡 부재(700)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된 중간 후크편(712)과 걸림 고정되는 것이다.The second hook 814 extends from the upper edge of the first extension piece 812 towar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ap member 700 and extends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ap member 700 to be described later. And hang will be fixed.

제2 연결부(820)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2 연결 본체(821)를 기준으로 제2 연장편(822)과 걸림편(823)이 형성된 구조임을 알 수 있다.Looking at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820 in detail,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extension piece 822 and the engaging piece 823 are formed on the basis of the second connection body 821.

제2 연결 본체(821)는 제3 연결부(830)의 실내측 단부로부터 상하 양측으로 연장되며, 제3 차단부(300)는 제2 연결 본체(821)의 실외측 외면에 접촉된다.The second connection body 821 extends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interior end of the third connection unit 830, and the third blocking unit 300 is in contact with the outside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body 821.

제2 연장편(822)은 제2 연결 본체(821)의 상하 양단부로부터 체결리브 홈(610)측을 향하여 각각 연장되고 제3 연결부(830)와 평행을 이룬다.The second extension pieces 822 extend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econd connecting body 821 toward the fastening rib groove 610, respectively, and are parallel to the third connecting part 830.

걸림편(823)은 제2 연장편(822) 각각의 단부로부터 체결리브 홈(610)의 상하 형성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며, 후술할 제2 차단부(200)는 이러한 걸림편(823)의 외측면 및 내측면을 감싸며 체결리브 홈(610)에 안착되는 것이다.The engaging piece 823 extends from the end of each of the second extension pieces 822 along the vertical formation direction of the fastening rib groove 610, and the second blocking part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wraps around the outer and inner surfaces and is seated in the fastening rib groove 610.

한편, 제1 차단부(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외측에서 단열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하 관통이며 격자 구조체(600)의 형성 방향과 평행하게 연결 어셈블리(800)에 형성된 충진 공간(801)에 채워지는 아존(Azon)이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blocking unit 100 performs an insulation function in the outdoor side, and fills the space 801 which is vertically penetrated and formed in the connection assembly 800 in parallel with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lattice structure 600. Azon filled in.

아존은 열전도율이 거의 0에 가까워 단열 효율이 매우 높은 단열재로 널리 사용되는 것이다.AZON is widely used as a heat insulator with a very high thermal efficiency because its thermal conductivity is almost zero.

이와 같은 아존이 채워지는 충진 공간(801)은 제1 슬롯(801a)과 제2 슬롯(801b)과 제1 충진 리브(801c)와 제2 충진 리브(801d)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filling space 801 filled with the azone is formed by the first slot 801a, the second slot 801b, the first filling rib 801c, and the second filling rib 801d.

제1 슬롯(801a)은 격자 구조체(600)의 형성 방향과 평행하게 연결 어셈블리(800)의 제1 연결 본체(811) 상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다.The first slot 801a is formed to penetrate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body 811 of the connection assembly 800 in parallel with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grating structure 600.

제2 슬롯(801b)은 격자 구조체(600)의 형성 방향과 평행하게 제1 연결 본체(811)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다.The second slot 801b is formed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body 811 in parallel with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grating structure 600.

제1 충진 리브(801c)는 제1 슬롯(801a)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2 슬롯(801b)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이다.The first filling rib 801c extends toward the second slot 801b along both edges of the first slot 801a.

제2 충진 리브(801d)는 제2 슬롯(801b)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1 슬롯(801a)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이다.The second filling ribs 801d extend toward the first slot 801a along both edges of the second slot 801b.

따라서, 아존, 즉 제1 차단부(100)는 제1, 2 충진 리브(801c, 801d)가 상호 마주 보는 단면 구조를 가진 충진 공간(801)에 채워지되, 제1, 2 충진 리브(801c, 801d)에 의하여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한 충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단열 성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될 것이다.Accordingly, the azone, that is, the first blocking part 100 is filled in the filling space 801 hav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filling ribs 801c and 801d face each other, but the first and second filling ribs 801c, 801d) will be able to implement the insulation performance while maintaining a solid filling state without leaving the outside.

한편, 제2 차단부(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격자 구조체(600)에서 연결 어셈블리(800)의 실내측 단부, 즉 제2 연결부(820)를 감싸 견고한 안착 상태를 유지하면서 단열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밀착 본체편(210)과 밀착 연장편(220, 220)과 밀착 고정편(230, 23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blocking part 200 surrounds the interior end of the connection assembly 800, that is, the second connection part 820, in the lattice structure 600 to maintain a stable seating state while maintaining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For the purpose, it can be seen that the structure including the close contact body piece 210, the contact extension piece (220, 220) and the contact fixing piece (230, 230).

밀착 본체편(210)은 격자 구조체(600)의 형성 방향을 따라 형성된 체결리브 홈(610)의 실내측 바닥면에 안착되는 것이다.The close contact body piece 210 is to be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terior side of the fastening rib groove 610 formed along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lattice structure 600.

밀착 연장편(220, 220)은 밀착 본체편(210)의 상, 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실외측으로 연장되어 체결리브 홈(610)의 상호 마주보는 대향면에 안착되는 것이다.The close contact pieces 220 and 220 extend outwardly from the upper and lower end edges of the close contact body piece 210 and are seated on opposite surfaces of the fastening rib grooves 610.

밀착 고정편(230, 230)은 밀착 연장편(220, 220)의 상, 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 어셈블리(800)의 실내측 단부를 감싸는 것이다.The close fixing pieces 230 and 230 extend from the upper and lower end edges of the close extension pieces 220 and 220 to face each other to surround the interior end of the connection assembly 800.

여기서, 체결리브 홈(610)은 제2 차단부(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착 고정편(230, 230)을 덮도록 체결리브 홈(610)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탈방지 리브(612, 612)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astening rib groove 610 extends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from both edges of the fastening rib groove 610 to cover the close fixing pieces 230, 230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second blocking portion 200. It is preferable to further provide the release preventing ribs (612, 612).

이때, 제2 차단부(200)는 밀착 본체편(210)과, 밀착 고정편(230, 230)의 외면에 체결리브 홈(610)의 형성 방향을 따라 복수로 돌출되어 체결리브 홈(610)에 밀착되는 밀착 리브편(2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blocking part 200 protrudes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along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fastening rib groove 610 on the close contact with the main body piece 210 and the close fixing pieces 230 and 230, and the fastening rib groove 610. It may further include a close contact rib piece 215 in close contact.

밀착 리브편(215)은 제2 차단부(200)가 체결리브 홈(610)에 견고하게 안착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제2 차단부(200)의 형성 방향에 따른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close rib piece 215 improves the structural strength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blocking part 200 is formed while keeping the second blocking part 200 firmly seated on the fastening rib groove 610 to maintain a fixed state. It is to let.

한편, 제3 차단부(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어셈블리(800)의 상, 하면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안착부(310)와 걸림부(320)와 커버부(33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third blocking unit 300 is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nnection assembly 800 and includes a seating unit 310, a locking unit 320, and a cover unit 330. I can see that.

안착부(310)는 연결 어셈블리(800)의 상, 하면에 각각 배치되고, 복층 유리 창호(500)를 구성하는 유리의 갯수에 따라 다른 길이로 선택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후술할 제4 차단부(400)가 안착되는 면적 및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seating part 310 is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nnection assembly 800, respectively, and is selectively provided to have different lengths according to the number of glasses constituting the multilayer glass window 500. The fourth blocking part to be described later It is to provide the area and space in which 400 is seated.

걸림부(320)는 안착부(310)로부터 복수로 돌출되어 후술할 제4 차단부(400)를 각각 고정하는 것이다.The locking portion 320 protrudes from the seating portion 310 to fix the fourth blocking portion 400 to be described later.

커버부(330)는 안착부(310)로부터 연장되어 연결 어셈블리(800)의 실외측 단부에 충진된 제1 차단부(100)의 상, 하부를 감싸는 것이다.The cover part 330 extends from the seating part 310 to cover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blocking part 100 filled in the outdoor end of the connection assembly 800.

여기서, 안착부(310)는 연결 어셈블리(800)의 제1, 2 연결부(810, 820)에 의하여 고정된다.Here, the seating part 310 is fixed by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rts 810 and 820 of the connection assembly 800.

이를 위하여 제1 연결부(810)는 제1 연결 본체(811)의 실내측 외면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실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걸림 리브(815)와, 제1 연결 본체(811)의 실내측 외면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실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걸림 리브(816)를 구비한다.To this end, the first connector 810 includes a first locking rib 815 extending toward the interior from the upper edge of the interior exterio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body 811 and the interior exterio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body 811. And a second locking rib 816 extending toward the interior side from the lower edge of the edge.

따라서, 제3 차단부(300)의 안착부(310)는 연결 어셈블리(800)의 상측에서 제1 걸림 리브(815)와 제2 걸림 리브(816)에 걸림 고정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seating part 310 of the third blocking part 300 is fixed to the first locking rib 815 and the second locking rib 816 on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on assembly 800.

또한, 제2 연결부(820)는 제2 연결본체의 상단부로부터 실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제3 연결부(830)와 평행한 제3 걸림 리브(824)와, 제2 연결본체의 하단부로부터 실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제3 연결부(830)와 평행한 제4 걸림 리브(825)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on part 820 extends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body toward the outdoor side to form a third locking rib 824 parallel to the third connection part 830 and the outdoor side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body. A fourth locking rib 825 extending toward and parallel to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830.

따라서, 제3 차단부(300)는 연결 어셈블리(800)의 하측에서 제3 걸림 리브(824)와 제4 걸림 리브(825)에 걸림 고정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third blocking part 300 is fixed to the third locking ribs 824 and the fourth locking ribs 825 at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on assembly 800.

안착부(310)는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2 안착편(311, 312)으로 구분할 수 있다.In detail, the seating part 310 may be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seating pieces 311 and 312.

제1 안착편(311)은 연결 어셈블리(800)의 상면에 배치되고, 연결 어셈블리(800)의 실외측 단부로부터 연장된 제1 걸림 리브(815)와 연결 어셈블리(800)의 실내측 단부로부터 제1 걸림 리브(815)와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걸림 리브(816) 사이에 양단부가 걸림 고정되는 것이다.The first mounting piece 311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assembly 800 and is formed from the first locking rib 815 extending from the outdoor end of the connection assembly 800 and the interior end of the connection assembly 800. Both ends are fixed between the first locking ribs 815 and the second locking ribs 816 extending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제2 안착편(312)은 연결 어셈블리(800)의 하면에 배치되고, 연결 어셈블리(800)의 실외측 단부로부터 연장된 제3 걸림 리브(824)와 연결 어셈블리(800)의 실내측 단부로부터 제3 걸림 리브(824)와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4 걸림 리브(825) 사이에 양단부가 걸림 고정되는 것이다.The second seating piece 312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on assembly 800 and is formed from the third locking rib 824 extending from the outdoor end of the connection assembly 800 and the interior end of the connection assembly 800. Both ends are fixed between the third locking ribs 824 and the fourth locking ribs 825 extending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따라서, 후술할 걸림부(320)는 제1 안착편(311)의 제2 걸림 리브(816)측으로부터 연결 어셈블리(800)의 실외측 단부측을 향하여 배치된다.Therefore, the locking part 320 to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from the second locking rib 816 side of the first mounting piece 311 toward the outdoor end side of the connection assembly 800.

그리고, 후술할 걸림부(320)는 제2 안착편(312)의 제4 걸림 리브(825)측으로부터 연결 어셈블리(800)의 실외측 단부측을 향하여 배치된다.In addition, the locking part 320 to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from the fourth locking rib 825 side of the second mounting piece 312 toward the outdoor side end side of the connection assembly 800.

또한, 후술할 커버부(330)는 제1 안착편(311)의 제1 걸림 리브(815)측으로부터 연장되고, 후술할 커버부(330)는 제2 안착편(312)의 제3 걸림 리브(824)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ver portion 330 to be described later extends from the first locking rib 815 side of the first mounting piece 311, the cover portion 330 to be described later is the third locking rib of the second mounting piece 312 It extends from the (824) side.

걸림부(320)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안착부(310)의 형성 방향을 따라 돌출된 복수의 돌출 리브편(321)과, 돌출 리브편(321)의 단부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안착부(310)와 평행을 이루는 마감 리브편(322)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locking part 3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ding rib pieces 321 protruding along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seating part 310, and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end portions of the protruding rib pieces 321. And finishing rib pieces 322 in parallel.

여기서, 후술할 제4 차단부(400)는 돌출 리브편(321)과 마감 리브편(322)이 이루는 내측 공간에 고정되는 것이다.Here, the fourth blocking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is fixed to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protruding rib piece 321 and the finishing rib piece 322.

이때, 마감 리브편(322)은 연결 어셈블리(800)의 실내측 단부, 즉 제2 연결부(820)의 상, 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결 어셈블리(800)의 실외측 단부측을 향하여 돌출된 제2 걸림 리브(816) 및 제4 걸림 리브(825)의 상측에 걸려 안착부(310)가 연결 어셈블리(800), 즉 제3 연결부(83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걸림 고정된 상태를 유지토록 한다.At this time, the closing rib piece 322 is a second locking protruding from the interior end of the connection assembly 800, that is, the upper and lower end edges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820 toward the outdoor end of the connection assembly 800. The mounting portion 310 is caught on the upper side of the rib 816 and the fourth locking rib 825 to maintain the locked state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assembly 800, that is,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830.

또한, 커버부(330)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안착부(310)의 실외측 단부에 형성되고, 안착부(310)의 형성 방향을 따라 돌출된 연결 리브편(331)과, 연결 리브편(331)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연결 어셈블리(800)의 실외측 단부를 구성하는 제1 연결 본체(811)의 상, 하면을 각각 마감하는 커버편(332)을 포함한다.In addition, when the cover portion 330 is specifically described, the connecting rib piece 331 and the connecting rib piece 331, which are formed at the outdoor end of the seating part 310, protrude along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seating part 310, and the connecting rib piece 331. The cover piece 332 extends from an end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connection body 811, which constitutes the outdoor end of the connection assembly 800, respectively.

여기서, 커버부(330)는 연결 리브편(331)의 단부로부터 연결 어셈블리(800)의 실내측 단부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마감 리브편(322)을 더 포함한다.Here, the cover part 330 further includes a finishing rib piece 322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connecting rib piece 331 toward the interior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assembly 800.

이때, 마감 리브편(322)은 걸림부(320)의 마감 리브편(322)과 함께 후술할 제4 차단부(400)의 고정을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At this time, the finishing rib piece 322 is provided for fixing the fourth blocking part 400 to be described later together with the finishing rib piece 322 of the locking portion 320.

또한, 제3 차단부(300)는 도 3과 같이 삼중의 복층 유리 창호(500)에 시공할 때 늘어난 복층 유리 창호(500)의 두께에 대응하고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걸림부(320)와 이웃한 걸림부(320)의 상단부를 상호 연결하며, 복층 유리 창호(500)를 구성하는 유리의 갯수가 증가함에 따라 안착부(310)의 길이에 대응하여 늘어난 길이를 가지는 보강 리브(34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hird blocking part 300 corresponds to the thickness of the multilayer glass window 500 which is increased when it is installed in the triple glass window 500 as shown in FIG. Reinforcing ribs 340 inter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adjacent locking parts 320 and the lengths corresponding to the lengths of the seating parts 310 as the number of glass constituting the multilayer glass windows 500 increases. It is preferable to further provide.

한편, 제4 차단부(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외측으로 기류의 유통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안착 패드(410)와 보강 패드(420) 및 밀착 패드(43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ourth blocking unit 400 is to block the flow of airflow to the interior and exterior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structure includes a seating pad 410, reinforcement pad 420 and the contact pad 430. .

안착 패드(410)는 제3 차단부(300)의 제1, 2 안착편(311, 312)의 형성 방향을 따라 제1, 2 안착편(311, 312)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안정적인 고정 상태 유지를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The seating pads 410 are disposed on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ieces 311 and 312 along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ieces 311 and 312 of the third blocking part 300, respectively, and are in a stable fixed state. It is prepared for maintenance.

보강 패드(420)는 안착 패드(410)의 형성 방향을 따라 안착 패드(410)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된 것이며, 후술할 밀착 패드(430)와 안착 패드(410) 상호간의 연결 부위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The reinforcement pad 420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seating pad 410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ating pad 410 is formed. The reinforcement pad 420 reinforces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ontact pad 430 and the seating pad 4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to.

즉, 보강 패드(420)는 밀착 패드(430)의 형상 변형에 따른 후술할 밀착 패드(430)와 안착 패드(410) 상호간의 연결 부위의 취약성을 구조적으로 보강 지지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That is, the reinforcement pad 420 may be for structurally reinforcing and supporting the fragility of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ontact pad 430 and the seating pad 4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due to the shape deformation of the contact pad 430.

밀착 패드(430)는 안착 패드(410)의 형성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보강 패드(420)로부터 안착 패드(41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실내측을 향하여 형상 변형을 허용하면서 복층 유리 창호(500)의 가장자리에 밀착되는 것이다.The adhesion pad 430 is formed along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seating pad 410, protrudes from the reinforcement pad 420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eating pad 410, and allows multilayer deformation while allowing the shape deformation toward the interior side.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window 50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복층 유리 창호의 다양한 두께에 대응이 가능하면서도 기밀 유지와 단열 성능의 향상이 가능하도록 하는 커튼월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sic technical idea to provide a curtain wall unit capable of coping with various thicknesses of a multilayer glass window and enabling to maintain airtightness and to improve insulation performance.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이른바 사이드바 타입(side bar type)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유닛의 구조 외에도, 도 4와 같은 히든바 타입(hidden bar type)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And, in addition to the structure of the curtain wall uni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o-called sidebar type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applies to the hidden bar type.

구체적으로는, 삼중의 유리(501, 502, 503)들로 이루어진 복층 유리 창호(500)의 가장자리 내측면과 이웃한 복층 유리 창호(500)의 가장자리 내측면은 각각 격자 구조체(600)의 외측면 사이에 각각 상부 내측 글래이징 씰란트(930)와 하부 내측 글래이징 씰란트(940)에 의하여 기밀 유지된다.Specifically, the inner surface of the edge of the multilayer glass window 5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edge of the adjacent glass window 500, which are made of triple glass 501, 502, 503, respectively, the outer surface of the lattice structure 600. It is hermetically maintained by the upper inner glazing sealant 930 and the lower inner glazing sealant 940, respectively.

여기서, 연결 어셈블리(800)는 제1 연결부(810)를 생략하고, 제3 연결부(830)와 제2 연결부(820)로 이루어지되, 제2 연결부(820)와 제3 연결부(830)가 상호 연결되는 부위의 상부측에는 복층 유리 창호(500)의 하중 지지를 위하여 보강리브 편(850)이 제2 연결부(820)와 제3 연결부(830)의 형성 방향을 따라 더 구비되도록 하는 등의 변형 및 응용 설계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Here, the connection assembly 800 omits the first connection part 810, and consists of a third connection part 83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820, the second connection part 820 and the third connection part 830 mutually On the upper side of the portion to be connected, the reinforcing rib piece 850 is further provided along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820 and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830 to support the load of the multilayer glass window 500. Application design is also possible.

이때, 제2 연결부(820)는 제2 연장편(822)과 걸림편(823)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At this time,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820 has a structure consisting of a second extension piece 822 and the engaging piece 823.

물론, 제3 연결부(830)의 실외측 단부는 웨더 글래이징 실란트(weather glazing sealant) 등과 같은 외부 마감재(905)로 고정되며, 복층 유리 창호(500)의 가장자리와 이웃한 복층 유리 창호(500)의 가장자리 또한 외부 마감재(905)로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Of course, the outdoor end of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830 is fixed with an outer finish 905 such as a weather glazing sealant, and the multilayer glass window 500 adjacent to the edge of the multilayer glass window 500. The edge of may also be secured with an outer finish 905.

100...제1 차단부
200...제2 차단부
210...밀착 본체편
215...밀착 리브편
220, 220...밀착 연장편
230, 230...밀착 고정편
300...제3 차단부
310...안착부
311...제1 안착편
312...제2 안착편
320...걸림부
321...돌출 리브편
322...마감 리브편
330...커버부
331...연결 리브편
332...커버편
340...보강 리브
400...제4 차단부
410...안착 패드
420...보강 패드
430...밀착 패드
500...복층 유리 창호
501, 502, 503...유리
504...스페이서
505...마감재
600...격자 구조체
601...가로바
602...세로바
610...체결리브 홈
612, 612...이탈방지 리브
700...캡 부재
710...캡 본체편
712...중간 후크편
720...제1 캡 연장편
730...제2 캡 연장편
732...하부 후크편
740...캡 고정편
800...연결 어셈블리
801...충진 공간
801a...제1 슬롯
801b...제2 슬롯
801c...제1 충진 리브
801d...제2 충진 리브
810...제1 연결부
811...제1 연결 본체
812...제1 연장편
813...제1 후크
814...제2 후크
815...제1 걸림 리브
816...제2 걸림 리브
820...제2 연결부
821...제2 연결 본체
822...제2 연장편
823...걸림편
824...제3 걸림 리브
825...제4 걸림 리브
830...제3 연결부
910...상부 외측 글래이징 씰란트
920...하부 외측 글래이징 씰란트
930...상부 내측 글래이징 씰란트
940...하부 내측 글래이징 씰란트
100 ... 1st blocking part
200 ... 2nd block
210 ... adherence body
215 ... closed rib
220, 220 ... Close contact extension
230, 230 ... Contact fixing piece
300 ... 3rd blocking part
310.
311 ... First Seat
312 ... Second Seating
320 ... hook
321 ... A protrusion rib
322.Finish rib
330 ... cover
331 ... Connecting rib
332 ... Cover edition
340 ... reinforcement rib
400 ... 4th Breaker
410 seat pad
420 ... reinforcement pad
430 ... Adhesive Pad
500 ... double glazed windows
501, 502, 503 ... glass
504 ... spacer
505 ... finish
600 ... lattice structure
601 ... Goroba
602 ... vertical
610 ... fastening rib groove
612, 612 ... breakaway rib
700 ... without cap
710 ... cap body
712 ... Middle Hook
720 ... first cap extension
730 ... second cap extension
732 ... lower hook
740 cap cap
800 ... connection assembly
801 ... fill space
801a ... slot 1
801b ... second slot
801c ... 1st fill rib
801d ... second filling rib
810 ... First connection
811 ... First connection body
812 ... First Extension
813 ... first hook
814 ... the second hook
815 ... first jammed rib
816 ... second jammed rib
820 ... second connection
821 ... 2nd connection body
822 ... Second Extension
823 ... Job
824 ... 3rd jammed rib
825 ... Four jammed ribs
830 ... 3rd connection
910 ... upper outer glazing sealant
920 ... lower outer glazing sealant
930 ... upper inner glazing sealant
940 ... lower inner glazing sealant

Claims (19)

복수의 유리를 이격하여 겹치도록 배치한 복수의 복층 유리 창호;
상기 복층 유리 창호를 기준으로 실내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가로바와, 상기 복수의 가로바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세로바를 포함하는 격자 구조체;
상기 복층 유리 창호를 기준으로 실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격자 구조체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복층 유리 창호 각각의 가장자리를 마감하는 캡 부재;
상기 격자 구조체와 상기 캡 부재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복층 유리 창호의 가장자리와 이웃한 복층 유리 창호의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복층 유리 창호를 구성하는 유리의 갯수에 따라 다른 길이로 선택하여 결합되는 연결 어셈블리;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실외측 단부에 장착되어 단열 기능을 수행하는 제1 차단부;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실내측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격자 구조체와 상기 연결 어셈블리 사이에 배치되며, 단열 기능을 수행하는 제2 차단부;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제1 차단부의 상, 하부를 감싸며, 상기 복층 유리 창호를 구성하는 유리의 갯수에 따라 다른 길이로 선택하여 결합되고, 단열 기능을 수행하는 제3 차단부; 및
상기 제3 차단부에 각각 장착되고, 각각의 단부는 실내측으로 형상 변형을 허용하면서 상기 복층 유리 창호의 가장자리와 이웃한 복층 유리 창호의 가장자리를 밀착 지지하며, 실외로부터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4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유닛.
A plurality of multilayer glass windows disposed so as to overlap a plurality of glasses so as to overlap each other;
A lattice structure disposed at an interior side of the multilayer glass window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and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arrang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A cap member disposed at an outdoor side with respect to the multilayer glass windows and closing edg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multilayer glass windows corresponding to the lattice structure;
The lattice structure and the cap member are interconnected to each other, and are disposed in a separation space formed between an edge of the multilayer glass window and an edge of an adjacent multilayer glass window, and have a length differ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glasses constituting the multilayer glass window. A connection assembly to be selected and coupled;
A first blocking unit mounted at an outdoor end of the connection assembly to perform an insulation function;
A second blocking part mounted at an indoor end of the connection assembly and disposed between the lattice structure and the connection assembly, the second blocking part performing an insulation function;
A third which is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nnection assembly, respectively, and covers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blocking part, and is selected and combined in different lengths according to the number of glasses constituting the multilayer glass window, and performs an insulation function. Blocking part; And
Fourth mounted to each of the third blocking portion, each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multilayer glass window adjacent to the edge of the multilayer glass window while allowing the shape deformation to the interior side, and blocking the inflow of outside air from the outside Curtain wall unit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어셈블리는,
상기 이격 공간의 상하 방향을 따라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캡 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제1 차단부가 충진되는 충진 공간이 형성된 제1 연결부와,
상기 이격 공간의 상하 방향을 따라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격자 구조체의 형성 방향을 따라 형성된 체결리브 홈에 상기 제2 차단부로 감싸지면서 안착되는 제2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복층 유리 창호를 구성하는 유리의 갯수에 따른 길이로 대응되는 제3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차단부는 상기 충진 공간의 상, 하부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assembly,
A first connection part disposed in a cent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paration space, coupled to the cap member, and having a filling space in which the first blocking part is filled;
A second connection part disposed in the center along a vertical direction of the separation space and seated in the coupling rib groove formed along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lattice structure with the second blocking part;
And a third connection portion inter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corresponding to a length according to the number of glasses constituting the multilayer glass window,
The curtain wall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blocking portion surrounds the upper, lower portion of the filling sp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부는,
상하 관통이며 상기 격자 구조체의 형성 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연결 어셈블리에 형성된 충진 공간에 채워지는 아존(Az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blocking portion comprises:
Curtain wall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up-and-down through and filled in the filling space formed in the connecting assembly in parallel with the direction of forming the lattice struc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단부는,
상기 격자 구조체의 형성 방향을 따라 형성된 체결리브 홈의 실내측 바닥면에 안착되는 밀착 본체편과,
상기 밀착 본체편의 상, 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실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체결리브 홈의 상호 마주보는 대향면에 안착되는 밀착 연장편과,
상기 밀착 연장편의 상, 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실내측 단부를 감싸는 밀착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blocking portion
A close contact body piece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terior side of the fastening rib groove formed along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lattice structure;
A close contact extension piece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upper and lower end edges of the close contact body piece and seated on opposite surfaces of the fastening rib groove;
Curtain wall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lose fixing member extending in the direction facing each other from the upper, lower end edge of the close contact extension wraps around the interior end of the connection assemb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차단부는,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상, 하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복층 유리 창호를 구성하는 유리의 갯수에 따라 다른 길이로 선택 가능하게 구비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로부터 복수로 돌출되어 상기 제4 차단부를 각각 고정하는 걸림부와,
상기 안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실외측 단부에 충진된 상기 제1 차단부의 상, 하부를 감싸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hird blocking unit,
A seating part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nnection assembly, the seating part being selectively provided in a different length according to the number of glasses constituting the multilayer glass window;
A latching part protruding from the seating part in plurality to fix the fourth blocking part, respectively;
And a cov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ating portion to cover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blocking portion filled in the outdoor end of the connection assemb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 차단부는,
상기 제3 차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안착 패드와,
상기 안착 패드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안착 패드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된 보강 패드와,
상기 안착 패드의 형성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보강 패드로부터 상기 안착 패드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실내측을 향하여 형상 변형을 허용하면서 상기 복층 유리 창호의 가장자리에 밀착되는 밀착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ourth blocking unit,
A seating pad disposed at each of the third blocking parts;
Reinforcement pads protruding from a center of the seating pads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seating pads are formed;
Is formed along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seating pad, protruding from the reinforcement pa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eating pad, and includes a close contact pad in close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multilayer glass window while allowing the shape deformation toward the interior side Curtain wall unit,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 부재는,
상기 복층 유리 창호의 가장자리와 이웃한 복층 유리 창호의 가장자리에 대면되는 캡 본체편과,
상기 캡 본체편의 상단부로부터 실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캡 연장편과,
상기 캡 본체편의 하단부로부터 실내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제1 캡 연장편과 대면하며,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제1 연장편에 형성된 제1 후크와 걸림 고정되는 하부 후크편을 구비한 제2 캡 연장편과,
상기 제1 캡 연장편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복층 유리 창호와 대면하고 상부 외측 글래이징 씰란트로 기밀 유지되는 캡 고정편을 포함하며,
상기 캡 부재는 상기 제1 연장편의 내측면과 상기 복층 유리 창호 사이의 하부 외측 글래이징 씰란트로 기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p member,
A cap body piece facing the edge of the multilayer glass window and an adjacent multilayer glass window,
A first cap extension piece extending toward an indoor side from an upper end of the cap body piece;
A second cap extension piece having a lower hook piece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cap body piece toward the interior and facing the first cap extension piece and engaging with the first hook formed on the first extension piece of the connection assembly; and,
A cap anchoring piece extending from an end edge of the first cap extension piece to face the multilayer glass window and which is hermetically retained with an upper outer glazing sealant,
And the cap member is hermetically held by a lower outer glazing sealant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iece and the multilayer glass window.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하로 관통된 상기 충진 공간이 형성된 제1 연결 본체와,
상기 제1 연결 본체의 실외측 외면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캡 부재의 하단부 가장자리와 탈착 결합되는 제1 후크를 구비한 제1 연장편과,
상기 제1 연장편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캡 부재의 내측면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캡 부재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된 중간 후크편과 걸림 고정되는 제2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차단부는 상기 제1 연결 본체의 상, 하부를 감싸고,
상기 제3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 본체의 실내측 외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connection part
A first connecting body having the filling space penetrated up and down,
A first extension piece extending from a bottom edge of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body and having a first hook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om edge of the cap member;
A second hook extending from an upper end edge of the first extension piece toward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cap member and engaging with an intermediate hook piece extending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ap member,
The third blocking portion surrounds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connection body,
Curtain wall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terior side of the first connecting body.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 본체의 실내측 외면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실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걸림 리브와,
상기 제1 연결 본체의 실내측 외면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실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걸림 리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차단부는 상기 제1 걸림 리브와 상기 제2 걸림 리브에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first connection part
A first latching rib extending from an upper end edge of an interior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body toward the interior side;
And a second locking rib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edge of the interior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body toward the interior side.
And the third blocking portion is fixed to the first catching rib and the second catching rib.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3 연결부의 실내측 단부로부터 상하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 본체와,
상기 제2 연결 본체의 상하 양단부로부터 상기 체결리브 홈측을 향하여 각각 연장되고 상기 제3 연결부와 평행한 제2 연장편과,
상기 제2 연장편 각각의 단부로부터 상기 체결리브 홈의 상하 형성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걸림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차단부는 상기 제2 연결 본체의 실외측 외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2 차단부는 상기 걸림편의 외측면 및 내측면을 감싸며 상기 체결리브 홈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 second connection main body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from an interior end of the third connection part;
Second extension pieces each exten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econd connecting body toward the fastening rib groove side and parallel to the third connecting part,
A locking piece extending from an end of each of the second extension pieces along a vertical formation direction of the coupling rib groove;
The third blocking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outdoor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body,
And the second blocking part surrounds the outer and inner surfaces of the locking piece and is seated in the fastening rib groov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연결본체의 상단부로부터 실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제3 연결부와 평행한 제3 걸림 리브와,
상기 제2 연결본체의 하단부로부터 실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제3 연결부와 평행한 제4 걸림 리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차단부는 상기 제3 걸림 리브와 상기 제4 걸림 리브에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유닛.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 third locking rib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body toward the outdoor side and parallel to the third connecting part;
Further comprising a fourth locking rib extending toward the outside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body parallel to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And the third blocking portion is fixed to the third catching rib and the fourth catching rib.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충진 공간은,
상기 격자 구조체의 형성 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제1 연결 본체 상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슬롯과,
상기 격자 구조체의 형성 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제1 연결 본체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슬롯과,
상기 제1 슬롯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2 슬롯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충진 리브와,
상기 제2 슬롯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1 슬롯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충진 리브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filling space is
A first slot form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body of the connection assembly in parallel with a direction in which the grating structure is formed;
A second slot formed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body in parallel with a direction in which the grating structure is formed;
First filling ribs extending along both edges of the first slot toward the second slot;
Curtain wall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the second filling ribs extending toward both sides of the second slot toward the first slo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체결리브 홈은,
상기 밀착 고정편을 덮도록 상기 체결리브 홈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탈방지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유닛.
The method of claim 4,
The fastening rib groove,
Curtain wall unit further comprises a separation preventing rib extending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from both edges of the fastening rib groove to cover the close fixing pie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단부는,
상기 밀착 본체편과, 상기 밀착 고정편의 외면에 상기 체결리브 홈의 형성 방향을 따라 복수로 돌출되어 상기 체결리브 홈에 밀착되는 밀착 리브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유닛.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blocking portion
And a close contact rib piece protruding in plural along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fastening rib groove on the close contact body pie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lose contact fixing piec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astening rib groov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실외측 단부로부터 연장된 제1 걸림 리브와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실내측 단부로부터 상기 제1 걸림 리브와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걸림 리브 사이에 양단부가 걸림 고정되는 제1 안착편과,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실외측 단부로부터 연장된 제3 걸림 리브와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실내측 단부로부터 상기 제3 걸림 리브와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4 걸림 리브 사이에 양단부가 걸림 고정되는 제2 안착편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 안착편의 상기 제2 걸림 리브측으로부터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실외측 단부측을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2 안착편의 상기 제4 걸림 리브측으로부터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실외측 단부측을 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안착편의 상기 제1 걸림 리브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2 안착편의 상기 제3 걸림 리브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seat (1)
A first locking rib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assembly and extending from an outdoor end of the connection assembly and a second locking rib extending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from the interior end of the connection assembly; A first seating piece having both ends secured to it,
A third catching rib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assembly and extending from an outdoor end of the connecting assembly and extending from a indoor end of the connecting assembly to a fourth catching rib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It includes a second seating piece that is fixed at both ends to the,
The locking portion is disposed from the second locking rib side of the first mounting piece toward the outdoor end portion side of the connection assembly,
The locking portion is disposed toward the outdoor side end side of the connection assembly from the fourth locking rib side of the second seating piece,
The cover portion extends from the first locking rib side of the first seating piece,
And said cover portion extends from said third locking rib side of said second mounting piec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안착부의 형성 방향을 따라 돌출된 복수의 돌출 리브편과,
상기 돌출 리브편의 단부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안착부와 평행을 이루는 마감 리브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차단부는 상기 돌출 리브편과 상기 마감 리브편이 이루는 내측 공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0027]
A plurality of protruding rib pieces protruding along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seating part;
A finishing rib piece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protruding rib piece to be parallel to the seating part,
And said fourth blocking portion is fixed to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protruding rib piece and the finishing rib piec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안착부의 실외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형성 방향을 따라 돌출된 연결 리브편과,
상기 연결 리브편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실외측 단부를 구성하는 제1 연결 본체의 상, 하면을 각각 마감하는 커버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cover portion
A connecting rib piece formed at an outdoor end of the seating portion and protruding along a forming direction of the seating portion;
And a cover piece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connecting rib piece and clos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connecting body constituting the outdoor end of the connecting assembly.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연결 리브편의 단부로부터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실내측 단부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마감 리브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유닛.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cover portion
And a finishing rib piece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connecting rib piece toward the interior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assembly.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3 차단부는,
상기 걸림부와 이웃한 걸림부의 상단부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복층 유리 창호를 구성하는 유리의 갯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안착부의 길이에 대응하여 늘어난 길이를 가지는 보강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third blocking unit,
Curtains further comprising a reinforcing rib inter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adjacent engaging portion, the length of the glass constituting the multi-layer glass window has an increased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eating portion Wall unit.
KR1020130098335A 2013-08-20 2013-08-20 Curtain wall unit KR1013342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335A KR101334229B1 (en) 2013-08-20 2013-08-20 Curtain wall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335A KR101334229B1 (en) 2013-08-20 2013-08-20 Curtain wall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4229B1 true KR101334229B1 (en) 2013-11-29

Family

ID=49858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8335A KR101334229B1 (en) 2013-08-20 2013-08-20 Curtain wall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4229B1 (en)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181B1 (en) * 2015-03-30 2015-06-05 주식회사 윈스틸 frame stucture of curtain wall
KR20150108288A (en) * 2014-03-17 2015-09-25 주식회사 인아웃텍 Insulation wall frame
KR101622957B1 (en) 2015-10-02 2016-05-20 백두산업건설 (주) CurtainWall frame
KR20160061677A (en) * 2014-11-24 2016-06-01 (주) 일진 window frame assembly
KR101630197B1 (en) * 2015-08-04 2016-06-14 주식회사 선우시스 Curtain wall unit and curtain wall unit replacement method
KR101680722B1 (en) * 2014-12-09 2016-11-29 주식회사 빛나시스템창호 Insulation wall frame
KR20170017391A (en) 2015-08-06 2017-02-15 윈-도어 (WIN-door) 주식회사 Improve the insulating glass curtain wall system wall abutment structure
KR20170039915A (en) 2015-10-02 2017-04-12 백두산업건설 (주) Thermal insulating material for Curtain wall frame
KR101750037B1 (en) * 2015-08-06 2017-06-22 윈-도어 (WIN-door) 주식회사 Curtain wall closing the cover of the quick-detachable manner
KR101809518B1 (en) 2017-02-21 2017-12-15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Curtain wall window structure
CN108252437A (en) * 2018-01-22 2018-07-06 伊智恩 A kind of heat insualting building glass
KR20190016060A (en) * 2019-02-01 2019-02-15 이선중 Curtain wall consisting of a robust connection structure
KR20210145337A (en) 2020-05-25 2021-12-02 (유) 한빛글로벌 Curtain wall with improved insulation performance
KR102344083B1 (en) * 2021-02-10 2021-12-28 허정범 Curtain wall having multiple insulation structure
CN115126128A (en) * 2021-08-10 2022-09-30 苏州联美达信息科技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installing glass curtain wall pane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0416A (en) * 2011-04-18 2011-05-13 주식회사 해담은창 Material galvanized steel and aluminum curtainwall, making a combination of shapes and construction methods
KR101036303B1 (en) 2011-04-08 2011-05-23 김순석 Curtain wall
KR101045648B1 (en) 2011-03-08 2011-06-30 (주)엘에이커튼월 Combination structure of steel curtain wall
KR101063782B1 (en) 2011-06-29 2011-09-09 (주)신창산업 A frame of the tempered glass wal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648B1 (en) 2011-03-08 2011-06-30 (주)엘에이커튼월 Combination structure of steel curtain wall
KR101036303B1 (en) 2011-04-08 2011-05-23 김순석 Curtain wall
KR20110050416A (en) * 2011-04-18 2011-05-13 주식회사 해담은창 Material galvanized steel and aluminum curtainwall, making a combination of shapes and construction methods
KR101063782B1 (en) 2011-06-29 2011-09-09 (주)신창산업 A frame of the tempered glass wall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8288A (en) * 2014-03-17 2015-09-25 주식회사 인아웃텍 Insulation wall frame
KR20160061677A (en) * 2014-11-24 2016-06-01 (주) 일진 window frame assembly
KR101688872B1 (en) 2014-11-24 2016-12-22 (주) 일진 window frame assembly
KR101680722B1 (en) * 2014-12-09 2016-11-29 주식회사 빛나시스템창호 Insulation wall frame
KR101526181B1 (en) * 2015-03-30 2015-06-05 주식회사 윈스틸 frame stucture of curtain wall
KR101630197B1 (en) * 2015-08-04 2016-06-14 주식회사 선우시스 Curtain wall unit and curtain wall unit replacement method
KR101750037B1 (en) * 2015-08-06 2017-06-22 윈-도어 (WIN-door) 주식회사 Curtain wall closing the cover of the quick-detachable manner
KR20170017391A (en) 2015-08-06 2017-02-15 윈-도어 (WIN-door) 주식회사 Improve the insulating glass curtain wall system wall abutment structure
WO2017057797A1 (en) * 2015-10-02 2017-04-06 백두산업건설(주) Curtain wall frame
KR20170039915A (en) 2015-10-02 2017-04-12 백두산업건설 (주) Thermal insulating material for Curtain wall frame
KR101622957B1 (en) 2015-10-02 2016-05-20 백두산업건설 (주) CurtainWall frame
KR101809518B1 (en) 2017-02-21 2017-12-15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Curtain wall window structure
CN108252437A (en) * 2018-01-22 2018-07-06 伊智恩 A kind of heat insualting building glass
KR20190016060A (en) * 2019-02-01 2019-02-15 이선중 Curtain wall consisting of a robust connection structure
KR102076928B1 (en) * 2019-02-01 2020-02-12 이선중 Curtain wall consisting of a robust connection structure
KR20210145337A (en) 2020-05-25 2021-12-02 (유) 한빛글로벌 Curtain wall with improved insulation performance
KR102344083B1 (en) * 2021-02-10 2021-12-28 허정범 Curtain wall having multiple insulation structure
CN115126128A (en) * 2021-08-10 2022-09-30 苏州联美达信息科技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installing glass curtain wall pan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4229B1 (en) Curtain wall unit
KR101247236B1 (en) Curtains window favor frame
KR101308360B1 (en) Window system with improve heat insulation
KR101218639B1 (en) Curtains window favor frame
KR101854143B1 (en) Curtain Wall Unit
KR20130005363A (en) Sliding system window for higher stories having al cover
KR101638083B1 (en) Curtain wall having heat insulation and blocking water structure
KR101247235B1 (en) Exposed bar curtonwall frame optionally available
KR101884826B1 (en) A highly strong curtain wall structure
WO2017023525A1 (en) Integrated solar energy curtain wall system
KR101157776B1 (en) The structure for dual adiabatic curtain-wall glass panel with durability reinforced
KR101672855B1 (en) Durable curtain wall windows and doors
KR20120006963U (en) Curtain wall system windows
KR20110002819U (en) Windows
KR20180027912A (en) Non-Exposure Type Curtain Wall Unit
KR101692385B1 (en) Frame Structure for Curtain Wall Type Window Construction
KR102010521B1 (en) Adiabatic curtain wall
KR100828711B1 (en) Multi Break Structure of Double Window Frame for Balcony
KR20210081503A (en) Multi-type curtain wall
KR101669409B1 (en) Frame Structure for Installation of Tempered Glass Door
KR101685608B1 (en) Improved heterogeneous material Bar is exposed to the exterior of a building curtain wall system
KR101591091B1 (en) Curtain wall
KR20140085687A (en) Window system of project-type
JP7077470B2 (en) curtain wall
KR101261789B1 (en) Spacer for Plural Glazing Structure and Plural Glazing Structure Therewi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6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266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0822

Effective date: 2021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