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3962B1 - 금 나노로드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금 나노로드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3962B1
KR101333962B1 KR1020120015977A KR20120015977A KR101333962B1 KR 101333962 B1 KR101333962 B1 KR 101333962B1 KR 1020120015977 A KR1020120015977 A KR 1020120015977A KR 20120015977 A KR20120015977 A KR 20120015977A KR 101333962 B1 KR101333962 B1 KR 101333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d
ctab
bdac
gold nanorods
aspect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4596A (ko
Inventor
장의순
박미진
서선화
김소영
심규동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15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3962B1/ko
Publication of KR20130094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9/0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 B22F9/16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 B22F9/18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with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 B22F9/24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with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starting from liquid metal compounds, e.g. solu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5/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shape of the product
    • B22F5/12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shape of the product of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301/00Metallic composition of the powder or its coating
    • B22F2301/25Noble metals, i.e. Ag Au, Ir, Os, Pd, Pt, Rh, Ru
    • B22F2301/255Silver or go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304/00Physical aspects of the powder
    • B22F2304/05Submicron size particles
    • B22F2304/054Particle size between 1 and 100 n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anufacture Of Metal Powder And Suspensions Thereof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금 나노로드 제조 방법은 벤질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BDAC) 및 세틸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CTAB)를 포함하는 성장 용액을 이용하며, BDAC/CTAB비가 0.07 내지 3 이다.
본 발명의 금 나노로드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종래의 금 나노로드 제조 방법보다 종횡비가 크고 근적외선 영역의 빛을 흡수하여 열로 전환시키는 광효율이 우수한 금 나노로드를 합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 나노로드 제조 방법{Preparation method for Au nanorod}
본 발명은 금 재질의 나노로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유 전자가 풍부한 금(Gold) 금속은, 외부에서 빛 에너지를 조사하면 표면전자들이 빛의 전기장(Electric field)과 상호작용하면서 표면 플라즈몬 공명(Surface Plasmon Resonance: 이하, 'SPR'로 약칭한다) 현상을 일으킨다.
금 나노 입자의 경우, SPR 현상에 의해 약 520nm에서 강한 흡수를 나타내는 반면, 금 나노로드는 횡축 방향의 전자 진동에 의한 520nm에서의 흡수선과 종축방향의 전자 진동에 의한 장파장의 흡수선이 동시에 나타난다.
이때, 종횡비가 증가할수록 UV-Vis 흡수선이 장파장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특히, 금 나노로드에 장파장 흡수영역에 해당하는 빛을 쪼여주게 되면 SPR 전자들이 금 나노로드의 종축방향을 따라 강하게 진동하면서 강한 열이 발생하고 주변 용액의 온도를 상승 시키게 되는데 이를 이용하면 정상세포에 비하여 열에 약한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암 치료법을 발열요법(Hyperthermia therapy)이라고 한다 (G. v. Maltzahn, J.-H. Park, A. Agrawal, N. K. Bandaru, S. K. Das, M. J. Sailor, and S. N. Bhatia, Cancer Res ., 69, OF1-OF9, 2009.). 따라서 금 나노로드에서 종축방향의 길이가 길수록 SPR 현상이 강하게 발생하여 항암 고열 효과가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근적외선 영역에서 SPR 효과를 보이는 금 나노로드는 에너지, 의학, 환경 분야에 활용도가 매우 크다.
따라서, 종축 방향이 긴, 즉 종횡비가 큰 금 나노로드의 제조 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나, 합성방법이 까다로워 종횡비가 3.0 이상을 나타내기가 어렵다.
그리고, 다량의 불순물로 존재하는 구형 형태의 금 나노입자로 인해 광효율이 떨어짐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종횡비가 3.0 이상이며 금 나노입자의 불순물이 거의 없고 광효율이 우수한 금 나노로드의 새로운 합성 방법을 찾아낼 필요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B. Nikoobakht과 M. A. El-Sayed가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성장 용액(Growth solution)에서 세틸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이하, 'CTAB'로 약칭한다)와 벤질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Benzyldimethylammnium chloride: 이하, 'BDAC'로 약칭한다)를 함께 사용하면 종횡비가 매우 큰 금 나노로드를 합성할 수 있음이 개시되었다(B. Nikoobakht and M. A. El-Sayed, Chem . Mater . 15, 1957-1962, 2003).
CTAB과 BDAC은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매우 유사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금의 표면에 선택적 결합력을 갖고 있다.
상기 논문에서는(특히, 논문의 도 4), CTAB 에 대하여 BDAC의 양이 증가할수록, 즉, BDAC/CTAB 값이 커질 수록, 금 나노로드의 폭(width)이 좁아져, 금 나노로드의 종횡비가 커지며, 이에 따라 흡수 피크(Absorption peak)가 장파장으로 이동(Shift)됨을 개시하고 있다. 그에 따라, BDAC/CTAB 값이 6 이상인 경우가 바람직하게 사용됨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과 상이한 방법으로 종횡비가 5 이상의 우수한 금 나노로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종래의 CTAB 계면 활성제(Surfactant)를 이용한 합성방법보다 종횡비가 크고 근적외선 영역의 빛을 흡수하여 열로 전환시키는 광효율이 우수한 금 나노로드를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금 나노로드 제조 방법은 벤질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BDAC) 및 세틸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CTAB)를 포함하는 성장 용액을 이용하며, BDAC/CTAB비가 0.07 내지 3 이다.
본 발명의 금 나노로드 제조 방법은 CTAB를 이용하여 금 시드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금 시드를 상기 성장 용액에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금 나노로드의 성장은 10~100℃에서 1시간 이상 수행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BDAC/CTAB비가 0.60 내지 2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금 나노로드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종래의 금 나노로드 제조 방법보다 종횡비가 크고 근적외선 영역의 빛을 흡수하여 열로 전환시키는 광효율이 우수한 금 나노로드를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금 나노로드 제조 방법에 의하면, 종횡비가 우수하여 근적외선 영역에서 광열 전환 효과(Photothermal effect)가 우수한 금 나노로드를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금 나노로드는 바이오 센서(Bio-sensor), 발열요법(Hyperthermia therapy) 및 태양 전지(Solar cell) 등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CTAB과 BDAC의 분자구조를 각각 보여준다.
도 2는 BDAC/CTAB 비에 따른 금 나노로드의 UV-Vis 흡광 피크 변화를 보여준다.
도 3은 BDAC/CTAB 비에 따른 금 나노로드의 TEM 이미지이다.
도 4는 BDAC/CTAB 비에 따른 금 나노로드의 종횡비의 변화를 보여준다.
도 5는 레이저 조사에 따른 금 나노로드의 온도 상승 효과를 보여준다.
본 발명자는 BDAC와 CTAB의 함량비를 조절하면서, 종횡비가 5 이상의 우수한 금 나노로드 제조 공정을 연구한 결과, 종래의 연구 결과 즉, B. Nikoobakht과 M. A. El-Sayed이 발표한 내용(이하, 간단히 '종래 논문'이라고 약칭한다)으로부터 예측할 수 없는 결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종래 논문에서는 CTAB에 대한 BDAC의 몰비(이하, 본 발명에서 BDAC/CTAB의 비는 두 계면활성제의 몰비를 의미함), 즉 BDAC/CTAB를 6 이상으로 하는 경우에 금 나노로드의 폭이 감소하며, 그에 따라 종횡비가 높아짐을 개시하고 있으며, 또한 BDAC/CTAB가 1 미만이 될 때, 즉 0에 가까워질 때 금 나노로드의 폭이 증가하며, 그에 따라 종횡비가 감소함을 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논문 결과로부터, 많은 연구자들은 우수한 종횡비를 가지는 금 나노로드를 제조하기 위해, BDAC/CTAB를 6 이상으로 높게 하는 방향으로 연구를 해오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종래 논문과는 달리, 오히려 BDAC/CTAB 값이 3 미만, 바람직하게는 2 미만인 경우에 5 이상의 우수한 종횡비를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그로부터 기존의 금 나노로드의 성장 메커니즘과는 상이한 결정성장 메커니즘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그로부터 5 이상의 우수한 종횡비를 가지는 금 나노로드 제조 방법을 정립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금 나노로드 제조 방법은 UV-Vis 흡수 스펙트라(Absorption spectra) 및 투과 전자 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에 대한 분석을 통해 확인 하였고 또한, 종횡비가 5 이상인 금 나노로드의 광열효과(Photothermal effect)를 레이저 실험을 통하여 확인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BDAC 및 CTAB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종횡비가 5 이상을 갖는 금 나노로드를 합성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금 나노로드 제조 공정에서, BDAC/CTAB의 비가 0.07에서 1.00까지 증가할 때는 UV-Vis. 흡광 피크가 약 700nm에서 1000nm까지 증가하고 피크 강도도 증가함이 확인되었으나, 반면에 BDAC/CTAB의 비가 1.00을 넘어 15.00까지 증가하였을 때는 오히려 흡광 피크가 약 1000nm에서 다시 650nm까지 감소하였음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피크 강도 역시 매우 크게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금 나노로드 제조 방법에 의하면, 종래 논문의 내용과는 다르게 BDAC이 우수한 종횡비를 갖는 금 나노로드를 합성하는데 기여는 하나, 그 함량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면 오히려 우수한 종횡비를 달성함에 대하여 오히려 방해가 됨이 확인된 것이다.
그리고, 실제로 TEM을 측정해본 도 3의 결과로부터도, BDAC/CTAB 비가 0.07에서 1.00까지 증가할수록 금 나노로드의 종횡비는 약 3에서 7까지 증가하고 구형 모양의 나노입자의 양도 줄어듦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BDAC/CTAB 비가 2.00을 넘게 되면 종횡비는 다시 감소하였으며 구형 모양의 나노 입자의 생성량도 다시 증가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에서는 종횡비가 5이상인 금 나노로드의 합성을 위해 금 시드를 먼저 합성한 다음, 그로부터 종횡비가 5이상인 금 나노로드를 형성시키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금 나노로드의 종횡비가 BDAC/CTAB의 다양한 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비의 BDAC/CTAB으로 금 나노로드를 합성하였다. 그리고, 발열요법(Hyperthermia therapy)을 확인하기 위해 레이저를 쪼여주어 온도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시예 1
금 시드의 합성
바이알에 0.02M CTAB 5ml와 0.005M HAuCl4 5ml를 넣어주고 약 1분 동안 강하게 볼텍싱하였다. 그 후 환원제로서 약 3℃의 0.01M NaBH4 900㎕를 넣고 3분간 볼텍싱하였다. 결과, 용액의 색깔은 갈색을 띄게 되며, 약 3 ~ 5nm의 금 나노입자가 형성되어, 금 시드를 형성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금 시드는 3시간 숙성 후 금 나노로드 합성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성장 용액의 합성
250ml 삼각 플라스크에 BDAC/CTAB 비율이 각각 0.07, 0.33, 0.67, 1, 및 3 이 되도록, 0.15M CTAB과 각각 0.0105, 0.0495, 0.1005, 0.15, 및 0.45M BDAC을 넣고 증류수 100ml를 넣어 녹여주었다. 이 플라스크를 준비해 둔 워터 배쓰(water bath)에 넣어 온도를 30℃로 유지하면서 교반 시켜주면서 CTAB과 BDAC을 완전히 녹여주었다. 0.001M HAuCl4 100ml, 0.004M AgNO3 5ml, 및 0.0788M 아스코빅산(Ascrobic acid) 1.4ml를 위에 준비한 삼각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여기서 AgNO3는 금 나노로드 성장의 촉매 역할을 하게 되며 용액의 색깔은 아스코빅산의 환원 작용으로 인해 Au(III)가 Au(0)가 되면서 투명해지게 된다.
실시예 3
나노로드의 합성
실시예 2에서 수득된 성장 용액에 실시예 1에서 얻은 금 시드를 240 μl 첨가하였다. 용액의 색깔이 투명색에서 와인색으로 변하게 되면 금 나노로드가 성장하는 것을 의미하며 BDAC/CTAB의 비에 따라 짧게는 10분에서 길게는 약 10시간에 걸쳐 색깔의 변화가 발생하였다.
색깔이 변화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수록 금 나노로드의 종횡비는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색변화가 발생한 후 용액을 12시간 이상 교반시켜주어 금 나노로드의 결정성장 반응을 완료하였다. 반응이 끝난 용액은 세척을 위하여 15000rpm에서 30분동안 원심분리한 후 2번 정도 증류수로 세척한 후 다시 증류수에 분산시켰다.
비교예 1
BDAC / CTAB 의 비에 따른 금 나노로드의 합성
BDAC/CTAB의 비가 15가 되도록 2.25M의 BDAC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 및 3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금 나노로드를 합성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1 에서 각각 제조된 금 나노로드의 종횡비를 UV-Vis 흡광 스펙트로스코피와 TEM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각각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BDAC/CTAB 비
0.07 0.33 0.67 1.00 3.00 15.00
(비교예)
Length (nm) 46.4 66.8 64 72.2 43.4 37.4
Width (nm) 15 16.6 12.7 12.3 10.4 15
종횡비 3.09 4.02 5.04 5.87 4.17 2.49
UV-Vis 흡광 스펙트로스코피와 TEM 결과로부터, 금 나노로드의 BDAC/CTAB 비가 0.07에서 1.00까지 증가할수록 금 나노로드의 종횡비는 약 3에서 7까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BDAC/CTAB 비가 1.00을 넘게 되면 종횡비는 다시 감소하였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험예 1
레이저 조사에 의한 금 나노로드 용액의 온도 변화
실시예로부터BDAC/CTAB의 비가 1.0인 용액으로부터 합성한 금 나노로드 용액과 증류수를 4ml씩 채취한 다음, 플라스틱 셀(cell)에 넣어 레이저(파장 671nm, 255mW/cm2 파워 밀도)를 약 30분 동안 조사하면서 IR 카메라를 이용하여 온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류수는 30분 동안 레이저를 쪼여주어도 온도변화가 거의 없지만 금 나노로드의 경우 약 3분 동안 온도가 27℃에서 42℃까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약 30분 후에는 57℃까지 온도가 상승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에 보고된 (G. von Maltzahn, J.-H. Park, A. Agrawal, N. K. Bandaru, S. K. Das, M. J. Sailor, and S. N. Bhatia, Cancer Res ., 69, OF1-OF9, 2009)에는, 종횡비가 약 3인 금 나노로드를 이용하여 측정한 발열 효과가 약 파워 밀도가 2W/cm2 레이저를 사용하여 1분 동안 측정하였을 때 약 18℃/min의 온도상승 효과를 개시하고 있다.
단순 수치를 비교하면, 본 실험예의 측정 결과는 약 8℃/min로 종래에 비해 적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으나, 사용한 레이저의 파장영역이 금 나노로드의 흡광 파장영역 (950nm)과 많은 차이가 있으며 레이저 파워 밀도가 0.25W/cm2인 점을 고려하면, 종래의 종횡비가 3인 금 나노로드에 비하여 온도상승 효과는 적어도 3배 이상 클 것으로 기대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4)

  1. 벤질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BDAC) 및 세틸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CTAB)를 포함하는 성장 용액에서 금 나노로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BDAC/CTAB비가 0.9 내지 1.1이고, 상기 금 나노로드의 종횡비가 5.7 내지 7.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 나노로드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TAB를 이용하여 금 시드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금 시드를 상기 성장 용액에 첨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 나노로드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 나노로드의 성장은 10~100℃에서 1시간 이상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 나노로드 제조방법.
  4. 삭제
KR1020120015977A 2012-02-16 2012-02-16 금 나노로드 제조 방법 KR101333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977A KR101333962B1 (ko) 2012-02-16 2012-02-16 금 나노로드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977A KR101333962B1 (ko) 2012-02-16 2012-02-16 금 나노로드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596A KR20130094596A (ko) 2013-08-26
KR101333962B1 true KR101333962B1 (ko) 2013-11-27

Family

ID=49218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977A KR101333962B1 (ko) 2012-02-16 2012-02-16 금 나노로드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396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77705A (zh) * 2016-08-19 2016-11-09 东华大学 一种金纳米棒的制备方法
KR101819713B1 (ko) 2017-01-16 2018-01-1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금 나노로드를 함유하는 패치 조성물
KR101945112B1 (ko) 2017-07-31 2019-02-0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래핀 옥사이드 및 금 나노로드를 함유하는 패치 조성물
KR20190085395A (ko) 2018-01-10 2019-07-1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도그 본 금나노로드, 그래핀 옥사이드 또는 챠콜을 함유하는 패치 조성물
KR102151740B1 (ko) 2019-03-08 2020-09-0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금나노로드 및 이산화티타늄을 함유하는 근적외선 및 열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11087B1 (ko) 2021-04-27 2022-06-2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알코올을 이용한 메조포러스 실리카로 코팅된 금 나노로드의 제조방법
KR20220094674A (ko) 2020-12-29 2022-07-0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금 나노로드와 실리카로 구성된 코어-쉘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이를 함유하는 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09072A (ko) 2022-07-13 2024-01-2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금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마이크로니들 광열 패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8373B (zh) * 2019-07-25 2022-05-03 广州珂纳偲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小尺寸金纳米棒的制备方法
KR102242578B1 (ko) * 2019-09-05 2021-05-25 주식회사 하이코스킨 금 나노로드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em. Mater. 2003, Vol. 5, pages 1957-1962. *
Chem. Mater. 2003, Vol. 5, pages 1957-1962.*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77705A (zh) * 2016-08-19 2016-11-09 东华大学 一种金纳米棒的制备方法
KR101819713B1 (ko) 2017-01-16 2018-01-1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금 나노로드를 함유하는 패치 조성물
KR101945112B1 (ko) 2017-07-31 2019-02-0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래핀 옥사이드 및 금 나노로드를 함유하는 패치 조성물
KR20190085395A (ko) 2018-01-10 2019-07-1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도그 본 금나노로드, 그래핀 옥사이드 또는 챠콜을 함유하는 패치 조성물
KR102151740B1 (ko) 2019-03-08 2020-09-0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금나노로드 및 이산화티타늄을 함유하는 근적외선 및 열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94674A (ko) 2020-12-29 2022-07-0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금 나노로드와 실리카로 구성된 코어-쉘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이를 함유하는 암 치료용 조성물
KR102411087B1 (ko) 2021-04-27 2022-06-2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알코올을 이용한 메조포러스 실리카로 코팅된 금 나노로드의 제조방법
KR20240009072A (ko) 2022-07-13 2024-01-2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금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마이크로니들 광열 패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596A (ko) 2013-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3962B1 (ko) 금 나노로드 제조 방법
Chen et al. Plasmonic Cu 2− x S nanoparticles: a brief introduction of optical properties and applications
Ren et al. Synthesis, functional modifications, and diversified applications of molybdenum oxides micro-/nanocrystals: A review
Liu et al. Reversible crystal phase interconversion between covellite CuS and high chalcocite Cu2S nanocrystals
Tsuji et al. Synthesis of gold nanorods and nanowires by a microwave–polyol method
Liu et al. Surface plasmon resonance enhancement of production of H2 from ammonia borane solution with tunable Cu2− xS nanowires decorated by Pd nanoparticles
Yang et al. Preparation of magnesium, nitrogen-codoped carbon quantum dots from lignin with bright green fluorescence and sensitive pH response
De et al. A green and facile approach for the synthesis of water soluble fluorescent carbon dots from banana juice
CN102371356B (zh) 金纳米粒子的制备方法
Soheyli et al. Colloidal synthesis of tunably luminescent AgInS-based/ZnS core/shell quantum dots as biocompatible nano-probe for high-contrast fluorescence bioimaging
CN104907578A (zh) 一种金纳米棒的制备方法
Johny et al. SnS2 nanoparticles by liquid phase laser ablation: effects of laser fluence, temperature and post irradiation on morphology and hydrogen evolution reaction
KR101368241B1 (ko) 감마선을 이용한 그래핀 산화물의 환원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그래핀
Vithalani et al. Glowing photoluminescene in carbon-based nanodots: current state and future perspectives
Han et al. Band-gap engineering of lead-free Iron-based halide double-perovskite single crystals and nanocrystals by an alloying or doping strategy
De Carbon dots and their polymeric nanocomposites
Abbas et al. Role of precursor microstructure in the development of graphene quantum dots from biomass
Deshmukh et al. Ultrafast dynamics in carbon dots as photosensitizers: a review
Huang et al. Plasmonic hot hole extraction from CuS nanodisks enables significant acceleration of oxygen evolution reactions
Chauhan et al. Hierarchical zinc oxide pomegranate and hollow sphere structures as efficient photoanodes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Li et al. Supercritical CO 2-assisted amorphization of WO 2.72 and its high-efficiency photothermal conversion
Durmusoglu et al. Production of small, stable PbS/CdS quantum dots via room temperature cation exchange followed by a low temperature annealing processes
Soussi et al. Structural, optical and electronic properties of La-doped ZnO thin films: experimental study and DFT calculations
Siddiqui et al. Lithium‐Doped CuO Nanosheets: Structural Transformation, Optical,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with Enhanced Photocatalytic and Solar Cell Performance
Chen et al. Aqueous phase synthesis of Au@ Ag 3 AuX 2 (X= Se, Te) core/shell nanocrystals and their broad NIR photothermal conversion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