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3721B1 - 스마트폰 연동 변속 레버 구조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연동 변속 레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3721B1
KR101333721B1 KR1020120095858A KR20120095858A KR101333721B1 KR 101333721 B1 KR101333721 B1 KR 101333721B1 KR 1020120095858 A KR1020120095858 A KR 1020120095858A KR 20120095858 A KR20120095858 A KR 20120095858A KR 101333721 B1 KR101333721 B1 KR 101333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cradle
link
fixing
shift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석
정영언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5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37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연동 변속 레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변속 레버를 전자식 변속 레버로 구성하고, 상기 전자식 변속 레버의 상단에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스마트폰과 전자식 변속 레버의 제어부를 서로 연동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을 통하여 변속단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 연동 변속 레버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폰 연동 변속 레버 구조{Structure for Transmission Lever working with A Smart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 연동 변속 레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변속 레버를 전자식 변속 레버로 구성하고, 상기 전자식 변속 레버의 상단에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스마트폰과 전자식 변속 레버의 제어부를 서로 연동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을 통하여 변속단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 연동 변속 레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smart phone)은 종래의 다양한 기술들을 흡수하여 그 기능을 발전시키고 있으며, 이에 따라 그 편의성의 증가로 사용자가 날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널리 보급되어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상기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노트북과 같은 모바일 PC의 기능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한편, 차량을 이용하는 운전자는 운전시 상기 스마트폰을 사용하는데 있어 여러가지 불편함을 느끼고 있었다. 상기 스마트폰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가 종래의 휴대전화에 비해서 상당히 크게 이루어지며, 디스플레이 화면의 대형화에 따라 스마트폰 자체의 크기도 크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제어는 사용자의 양 손을 이용하여 한손으로 스마트폰을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 스마트폰의 터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입력을 하나 이는 양손을 이용하여 운전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는 상당한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따라서, 차량 내부에 상기 스마트폰을 거치하여 차량 운전자가 스마트폰으로부터 여러가지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한손으로도 스마트폰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가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스마트폰 거치대 시장도 날로 발전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공지의 차량용 거치대들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의 차량용 거치대는 차량의 대시보드, 전면 유리창 등에 고정되어,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는, 단순히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기능만을 제공하며, 이 경우, 차량 운행 중 스마트폰의 이용이 필요하지 않을 시에는 스마트폰 거치대가 무용지물이 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차량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의 사용이 필요하지 않을 시에는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거나, 사고시 부상 위험을 증가시키는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차량의 변속기는 차량의 엔진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속도에 따라 필요한 회전력으로 바꾸어 전달하는 변속장치로서, 변속 레버에 의하여 제어된다.
그러나, 상기 변속기의 변속 레버는 일반적으로 운전자의 시야가 닿지 않는 운전석의 우측 하단부에 배치되며, 따라서, 변속기의 단 변속시, 운전자는 변속 레버를 직접 보거나 또는 오른손의 감각을 통하여 변속단을 확인해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차량 내부에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변속레버의 상단에 형성함으로써, 스마트폰과 변속레버의 결합으로 운전자에게 스마트폰의 유용한 통신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변속레버의 변속 제어를 가능하게 하고, 스마트폰의 충전기능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자식 변속기의 변속 레버 구조에 있어서, 상부에 하나 이상의 스마트폰 고정부를 형성하여 스마트폰을 그 상부에 고정시키는 스마트폰 거치대;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의 저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를 고정하며, 외력에 의하여 사전 설정된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거치대 고정부; 및 상기 거치대 고정부의 이동을 인식하여 단 변속을 인식하고, 상기 전자식 변속기의 제어부로 인식된 단 변속 신호를 입력하는 변속단 센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의 통신단자 및/또는 충전단자와 접속되도록 이루어진 스마트폰 연동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 연동잭은 상기 전자식 변속기의 제어부와 연동되고, 상기 전자식 변속기의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폰 연동잭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에 거치된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정보를 주고받음으로써,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상에 변속단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의 저면에는 제1힌지브라켓과 고정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 고정부의 상부에는 제2힌지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제1힌지브라켓과 상기 제2힌지브라켓은 힌지축에 의하여 힌지결합되고, 상기 힌지축의 일단에는 나선형 톱니바퀴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와 맞물리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축은 상기 제1힌지브라켓 또는 상기 제2힌지브라켓 중 하나와 결합되며, 상기 힌지축의 타단에는 스프링부가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부의 일단은 상기 힌지축의 타단에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부의 타단은 상기 힌지축과 결합되지 않은 상기 제1힌지브라켓 또는 상기 제2힌지브라켓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대 고정부는 그 하부에 사전 설정된 방향을 따라 배치된 동일 축선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링크(220)와 제2링크(221)를 형성하고, 상기 제1링크(220)의 저면에는 끝단이 만곡된 복수의 돌출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디턴트 그루브(240)를 형성하고, 상기 디턴트 그루브(240)의 저면에 배치되어, 상기 디턴트 그루브(240)로 상방향의 압력을 제공하는 디턴트부; 및 상기 제1링크(220)와 제2링크(221)를 그 길이방향 이외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고정하는 한쌍의 링크고정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속단 센싱부는, 상기 거치대 고정부의 저면에 고정되는 피센서부(310); 및 변속단의 갯수만큼 복수의 갯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대 고정부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피센서부(310)를 인식하여 전자식 변속기의 제어부로 단 변속 신호를 입력하는 복수의 센서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변속레버의 상단에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내부에 스마트폰을 거치하기 위한 별도의 스마트폰 거치대를 더 구비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변속레버의 상단에 거치된 스마트폰과 변속기의 제어부를 연동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변속단이 표시되어 제공되도록 하고, 종래의 변속 레버와 비교하여 밝고 직관적으로 변속단을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변속단의 인식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마트폰 거치대와,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를 고정하는 거치대 고정부를 힌지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에 거치된 스마트폰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폰 거치대에 스마트폰 연동잭을 구비하고, 스마트폰을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에 거치하는 동안에 상기 스마트폰 연동잭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공지의 차량용 거치대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연동 변속 레버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연동 변속 레버 구조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힌지결합된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 고정부를 상세하게 나타낸다.
도 5a와 도 5b는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연동 변속 레버 구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다.
도 6은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되는 변속단의 다양한 디자인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연동 변속 레버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폰 연동 변속 레버 구조는 변속레버의 상단에 스마트폰(1)을 거치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100)를 형성함으로써, 변속레버의 상단에 스마트폰(1)을 거치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마트폰 연동 변속 레버 구조는 변속 제어시 상기 변속레버의 상단에 거치된 스마트폰(1)을 이동시킴으로써 차량의 변속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스마트폰(1)에 의하여 제어되는 변속기는 전자식 변속레버이며, 상기 스마트폰(1)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전자식 변속레버의 제어부(미도시)와 연동하여 상기 전자식 변속레버로부터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스마트폰(1)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표시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스마트폰 연동 변속 레버 구조에 거치되는 스마트폰(1)에는 차량의 전자식 변속레버의 제어부와 연동시, 전기 신호로 이루어진 정보를 주고받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고자 하는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본 발명 전용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연동 변속 레버 구조는 변속레버의 상단에 형성된 스마트폰 거치대(100)에 스마트폰(1)을 거치한 상태로 상기 스마트폰(1)을 조작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차량의 단 변속을 가능하게 하고, 각 단의 변속시 상기 스마트폰(1)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변속단을 표시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변속된 단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연동 변속 레버 구조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폰 연동 변속 레버 구조는 스마트폰 거치대(100), 거치대 고정부(200) 및 변속단 센싱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연동 변속 레버 구조의 상부에 스마트폰(1)을 거치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구성요소로서, 공지의 임의의 스마트폰의 외형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는 그 상부에 스마트폰(1)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스마트폰 고정부(110)를 형성함으로써, 스마트폰(1)이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에 거치된 후 움직임에 의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는 스마트폰(1)의 통신단자 및/또는 충전단자와 접속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스마트폰 연동잭(1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폰 연동잭(120)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의 스마트폰 고정부(110) 중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스마트폰(1)에 대응하는 통신단자 및/또는 충전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스마트폰 연동잭(120)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다양한 스마트폰의 입출력단자에 대응하여 그 구성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 연동잭(120)의 구성은 공지의 스마트폰을 거치하여 충전하는 공지의 스마트폰 크래들(cradle)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의 하단부에는 상기 거치대 고정부(200)와 힌지결합을 위하여 형성된 제1힌지브라켓(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제1힌지브라켓은 후술할 상기 거치대 고정부(200)의 상단에 형성된 제2힌지브라켓과 힌지축(400)에 의하여 힌지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힌지브라켓과 상기 제2힌지브라켓의 구성은 공지의 어떠한 힌지 구조에 대응될 수 있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거치대 고정부(200)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를 고정하고, 사전 설정된 특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를 고정한 상태로 특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거치대 고정부(200)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를 고정하는 몸체부(210)와 상기 몸체부(210)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링크(220)와 상기 몸체부(210)의 타측단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링크(221), 상기 제1링크(220)와 상기 제2링크(221)를 관통결합시켜 길이방향 이외의 이동을 제한하는 한쌍의 링크고정 베어링(230, 231) 및 상기 제1링크(220)를 일정 단위길이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비된 디턴트부(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210)는 그 상부에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2힌지브라켓을 형성하여, 상기 제1힌지브라켓과 상기 제2힌지브라켓을 힌지축(400)에 의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1링크(220)와 상기 제2링크(221)는 상기 몸체부(210)의 하단에 서로 동일 축선상에서 반대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링크(220)와 상기 제2링크(221)는 한쌍의 링크고정 베어링(230, 231)에 의하여 관통 결합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1링크(220)와 상기 제2링크(221)는 상기 한쌍의 링크고정 베어링(230, 231)에 의하여 그 길이방향 이외의 이동이 제한되며, 그 길이방향으로의 이동만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링크(220)의 저면에는 끝단이 만곡된 복수의 돌출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형성된 디턴트 그루브(240)가 형성되며, 상기 디턴트 그루브(240)의 하부에 상방향으로 압력을 제공하는 디턴트부(25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디턴트부(250)의 상부에는 롤러가 배치되어, 마찰을 최대한 저감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를 통하여 상기 제1링크(22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디턴트부(250)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 방향으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한 압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1링크(220)의 이동시 상기 디턴트 그루브(240)의 돌출부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돌출부들 사이의 오목한 부분에서 상기 제1링크(220)의 이동을 멈추도록 하여 상기 제1링크(220)를 일정 단위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변속단 센싱부(300)는 센서부(320)와 피센서부(310)로 이루어진다.
상기 센서부(320)는 상기 피센서부(310)의 위치를 감지하여 변속단의 변속이 이루어진 것을 인식하는 수단으로 공지의 어떠한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부(3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 고정부(200)의 이동 경로를 따라 변속단의 갯수 만큼 복수의 갯수(예를 들어, P, R,N,D의 4개)로 이루어져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피센서부(310)는 상기 거치대 고정부(200)의 몸체부(210)의 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거치대 고정부(200)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의 이동에 의하여 이동되는 상기 거치대 고정부(200)는 그 저면에 고정된 피센서부(310)를 이동시키고, 상기 피센서부(310)의 이동은 상기 센서부(320)에 의하여 감지되어 단의 변속이 이루어진 것을 인식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피센서부(310)의 이동을 인식한 상기 센서부(320)는 인식된 결과를 바탕으로 단 변속 신호를 전자식 변속기의 제어부로 입력함으로써, 차량의 단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부(320)와 피센서부(310)는 각각 공지의 마그넷 센서와 센싱 마그넷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그넷 센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 고정부(200)의 이동 경로를 따라 변속단의 갯수 만큼(예를 들어, P, R,N,D의 4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센싱 마그넷이 상기 거치대 고정부(200)의 이동에 의하여 이동되면, 상기 복수의 마그넷 센서 중 하나는 상기 센싱 마그넷에 의하여 작동되고, 이에 따라 단의 변속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마그넷 센서의 간격은,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디턴트 그루브(240)를 구성하는 돌출부 간의 간격과 동일하게 배치함으로써, 일정 단위로 이동하는 상기 거치대 고정부(200)의 이동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4는 힌지결합된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와 상기 거치대 고정부(200)를 상세하게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와 상기 거치대 고정부(200)는 서로 힌지결합되며, 이는 상기 스마트폰거치대의 저면에 형성된 제1힌지브라켓과 상기 거치대 고정부(200)의 상부에 형성된 제2힌지브라켓이 서로 힌지축(400)에 의하여 힌지결합됨으로써 결합이 완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힌지축(400)은 상기 제1힌지브라켓 또는 상기 제2힌지브라켓 중 하나와 결합되고,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와 상기 거치대 고정부(200)가 상기 힌지축(400)을 중심으로 회전시, 힌지축(400)과 결합된 상기 제1힌지브라켓 또는 상기 제2힌지브라켓과 함께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와 상기 거치대 고정부(200)의 회전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스프링부(4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부(430)는 그 일단이 상기 힌지축(400)의 타단에 결합되고, 그 타단이 힌지축(400)과 결합되지 않은 상기 제2힌지브라켓 또는 제1힌지브라켓과 결합되어, 회전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축(400)의 일단에는 그 표면을 따라 형성된 나선형 톱니바퀴(410)가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의 저면에는 상기 나선형 톱니바퀴(410)와 맞물리도록 돌출된 고정돌기(42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와 상기 거치대 고정부(200)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시 상기 나선형 톱니바퀴(410)의 기어치를 따라 맞물리는 상기 고정돌기(420)에 의하여 일정 단위로 회전하여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연동 변속 레버 구조는 전자식 변속기의 상부에 형성된 스마트폰 거치대(100)에 공지의 임의의 스마트폰을 거치시키고, 상기 스마트폰(1)을 사전 설정된 이동 경로(상술한 제1링크(220) 및 제2링크(221)의 배치된 방향)를 따라 이동시키면, 스마트폰의 이동에 의하여 전자식 변속기의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도 5a와 도 5b는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연동 변속 레버 구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폰 연동 변속 레버 구조에 사용되는 스마트폰은 전자식 변속기의 변속단을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차량의 전자식 변속기의 제어부와 통신함으로써 변속단의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전자식 변속기의 제어부 간의 통신은 상술한 스마트폰 연동잭(120)을 통하여 유선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스마트폰에 내장된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망의 구성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연동 변속 레버 구조에 사용되는 스마트폰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단의 구성을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하거나, 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의 기능들을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에 거치되는 동시에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나아가 차량의 메인 ECU와 연동하여 차량 내부의 각종 세팅(예를 들어, 운전석의 조정, 차량에 구비된 미러의 조정 등)을 변경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의 a 및 b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되는 변속단의 다양한 디자인을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디자인의 글씨체 및 변속단의 구성을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선호하는 변속단의 배치 또는, 운전자의 상태에 맞는 보다 직관적인 디자인의 변속단의 표시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스마트폰 연동 변속 레버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특정한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스마트폰 100: 스마트폰 거치대
110: 스마트폰 고정부 120: 스마트폰 연동잭
200: 거치대 고정부 210: 몸체부
220: 제1링크 221: 제2링크
230, 231: 링크고정 베어링 240: 디턴트 그루브
300: 변속단 센싱부 310: 피센서부
320: 센서부 400: 힌지축
410: 나선형 톱니바퀴 430: 스프링부

Claims (6)

  1. 전자식 변속기의 변속 레버 구조에 있어서,
    상부에 하나 이상의 스마트폰 고정부(110)를 형성하여 스마트폰을 그 상부에 고정시키는 스마트폰 거치대(100);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의 저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를 고정하며, 외력에 의하여 사전 설정된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거치대 고정부(200); 및
    상기 거치대 고정부(200)의 이동을 인식하여 단 변속을 인식하고, 상기 전자식 변속기의 제어부로 인식된 단 변속 신호를 입력하는 변속단 센싱부(300);
    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는, 스마트폰의 통신단자 및/또는 충전단자와 접속되도록 이루어진 스마트폰 연동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 연동잭은 상기 전자식 변속기의 제어부와 연동되고,
    상기 전자식 변속기의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폰 연동잭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에 거치된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정보를 주고받음으로써,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상에 변속단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연동 변속 레버 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의 저면에는 제1힌지브라켓과 고정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 고정부(200)의 상부에는 제2힌지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제1힌지브라켓과 상기 제2힌지브라켓은 힌지축에 의하여 힌지결합되고,
    상기 힌지축의 일단에는 나선형 톱니바퀴(410)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와 맞물리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축은 상기 제1힌지브라켓 또는 상기 제2힌지브라켓 중 하나와 결합되며,
    상기 힌지축의 타단에는 스프링부(430)가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부(430)의 일단은 상기 힌지축의 타단에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부(430)의 타단은 상기 힌지축과 결합되지 않은 상기 제1힌지브라켓 또는 상기 제2힌지브라켓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연동 변속 레버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고정부(200)는 그 하부에 사전 설정된 방향을 따라 배치된 동일 축선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링크(220)와 제2링크(221)를 형성하고, 상기 제1링크(220)의 저면에는 끝단이 만곡된 복수의 돌출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디턴트 그루브(240)를 형성하고,
    상기 디턴트 그루브(240)의 저면에 배치되어, 상기 디턴트 그루브(240)로 상방향의 압력을 제공하는 디턴트부(250) 및 상기 제1링크(220)와 제2링크(221)를 그 길이방향 이외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고정하는 한쌍의 링크고정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연동 변속 레버 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단 센싱부(300)는,
    상기 거치대 고정부(200)의 저면에 고정되는 피센서부(310); 및
    변속단의 갯수만큼 복수의 갯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대 고정부(200)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피센서부(310)를 인식하여 전자식 변속기의 제어부로 단 변속 신호를 입력하는 복수의 센서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연동 변속 레버 구조.
KR1020120095858A 2012-08-30 2012-08-30 스마트폰 연동 변속 레버 구조 KR101333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858A KR101333721B1 (ko) 2012-08-30 2012-08-30 스마트폰 연동 변속 레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858A KR101333721B1 (ko) 2012-08-30 2012-08-30 스마트폰 연동 변속 레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3721B1 true KR101333721B1 (ko) 2013-11-28

Family

ID=49858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858A KR101333721B1 (ko) 2012-08-30 2012-08-30 스마트폰 연동 변속 레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37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83654B2 (en) 2015-06-18 2017-06-20 Hyundai Motor Company Electronic shift system for vehicle using smart ke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6375A (ja) * 1992-04-10 1993-11-02 Mitsubishi Motors Corp オ−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シフトレバ−装置
KR100785319B1 (ko) * 2006-12-13 2007-12-13 김진근 휴대용 단말기 차량 거치대
WO2010039845A2 (en) * 2008-09-30 2010-04-08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Shifter assembly including display and actuation for driver contro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6375A (ja) * 1992-04-10 1993-11-02 Mitsubishi Motors Corp オ−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シフトレバ−装置
KR100785319B1 (ko) * 2006-12-13 2007-12-13 김진근 휴대용 단말기 차량 거치대
WO2010039845A2 (en) * 2008-09-30 2010-04-08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Shifter assembly including display and actuation for driver contr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83654B2 (en) 2015-06-18 2017-06-20 Hyundai Motor Company Electronic shift system for vehicle using smart ke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8112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전자 부품 배치 구조
EP3056963B1 (en) Wearable smart device
KR20220140546A (ko) 콘텐츠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5944625B2 (ja) 送信コントローラ用補助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
KR20210118850A (ko) 이동 단말기
KR20220125284A (ko) 이동 단말기
CN207304642U (zh) 基于隐藏式传感器的一体化智能移动终端
KR101210540B1 (ko) 폴딩 방식의 휴대 단말기용 힌지 장치
KR20230106580A (ko) 이동 단말기
KR20220139921A (ko) 이동 단말기
EP3944596A1 (en) Mobile terminal
KR102274372B1 (ko)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착용형 전자 장치 및 방법
CN113572877B (zh) 可折叠电子设备
KR20220164540A (ko) 이동 단말기
KR101333721B1 (ko) 스마트폰 연동 변속 레버 구조
WO2015188789A1 (en) Bracelet watch and/or phone
KR101296335B1 (ko) 폴딩 방식의 휴대 단말기용 힌지 장치
CN109995897A (zh) 功能组件、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KR20230002599A (ko) 이동 단말기
CN102880410A (zh) 一种操作功能键和终端设备
KR101822742B1 (ko) 무선충전기능이 있는 차량용 영상 투영장치
KR20220077833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롤러블 전자 장치
CN114637374A (zh) 一种柔性屏显示装置及电子设备
KR20230065971A (ko) 이동 단말기
EP4184901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