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0546A - 콘텐츠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0546A
KR20220140546A KR1020227030500A KR20227030500A KR20220140546A KR 20220140546 A KR20220140546 A KR 20220140546A KR 1020227030500 A KR1020227030500 A KR 1020227030500A KR 20227030500 A KR20227030500 A KR 20227030500A KR 20220140546 A KR20220140546 A KR 20220140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obile terminal
area
display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0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40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5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04M1/72463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by limiting the access to the user interface, e.g. locking a touch-screen or a keyp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면에 배치되는 크기가 변경되는 디스플레이와, 제어부(controller)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제1 애플리케이션의 제1 콘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제1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제2 애플리케이션의 제2 콘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다른 면에 배치시키고,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1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2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제1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텐츠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본 명세서는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는 디스플레이의 입력의 수신을 기초로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에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기술이 발전하고 인프라가 확장됨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다양하며 전문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보다 큰 스크린을 통해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보다 큰 스크린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는, 스크린의 크기에 비례하여 그 크기가 증가하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와 같이 휴대성 측면이 강조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의 크기와 함께 휴대성도 함께 고려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충분한 탄성을 가져 접히거나 말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전자 장치에 적용시켜 필요할 때만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변경시키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이 이동 단말기의 후면으로 감겨 구비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감긴 영역이 풀리거나 이동하여 이동 단말기의 전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넓어지도록 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의 크기 변경에 대응하여 콘텐츠의 표시 영역도 변경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전면에 콘텐츠가 표시되던 중 전면의 일부 영역이 후면으로 감겨 전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기존에 콘텐츠가 표시되던 영역의 크기가이 디스플레이의 크기 변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디스플레이의 크기 변화를 반영하되 사용자의 사용성 측면을 고려하여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크기 변경이 이루어진 경우 수신되는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에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니즈를 반영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바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는 않았으나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는 목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면에 배치되는 크기가 변경되는 디스플레이와, 제어부(controller)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제1 애플리케이션의 제1 콘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제1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제2 애플리케이션의 제2 콘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다른 면에 배치시키고,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1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2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제1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의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면에 배치되는 크기가 변경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제1 애플리케이션의 제1 콘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제1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제2 애플리케이션의 제2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다른 면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1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2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제1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은,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크기 변경이 이루어진 경우 수신되는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에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니즈를 반영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의 크기 변경에 따라 콘텐츠의 표시 영역이 감소되더라도 콘텐츠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지 않고 특정 시간 동안 대기시킴으로써 콘텐츠가 다시 표시되어야 하는 상황에서 보다 신속하게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상태와 제2 상태의 전면도이다.
도 3은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상태와 제2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이동 단말기를 제3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 이다.
도 7은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A-A 및 B-B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롤링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각 단계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대한 입력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콘텐츠가 표시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콘텐츠가 표시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아이콘이 표시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 및 도 23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아이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또는 전자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또는 프로세서)(180) 및 전원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물리키(phys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 내 정보, 이동 단말기(1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2), 햅틱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 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190)는 배터리(191)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191)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 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상태와 제2 상태의 전면도이고, 도 3는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상태와 제2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2의 (a) 및 도 3의 (a)는 이동 단말기가 축소된 제1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의 (b) 및 도 3의 (b)는 이동 단말기가 확대된 제2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태의 이동 단말기(100)는 축소된 상태이며, 제2 상태의 이동 단말기(100)에 비해 작은 크기를 갖는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위치되는 디스플레이부(또는 디스플레이)(151)의 크기도 제2 상태보다 작아진다. 제1 상태의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방향(D1)으로 확장되어 제2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제2 상태에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크기 및 전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크기가 제1 상태보다 더 커지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크기는 축소된다. 즉, 제1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에 위치하던 디스플레이부(151) 중 일부는 제2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으로 이동한다.
다음의 설명에서, 이동 단말기(100) 및 이의 디스플레이부(151)가 확장(extend or enlarge)되는 방향은 제1 방향(D1),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되기 위해 수축(contact or retract) 또는 축소(reduce)되는 방향은 제2 방향(D2)이라 하며, 상기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에 수직인 방향을 제3 방향이라 한다.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은 수평방향이고 제3 방향은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동 단말기(100)의 배치에 따라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이 수직방향이 될 수 있고, 제3 방향이 수평방향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는 휘어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를 이용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와 같이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종이와 같이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또는 말림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예: 전자 종이)를 포함한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얇고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어, 가볍고 쉽게 깨지지 않는 튼튼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종이와 같이 특정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으며, 제1 방향으로 곡률이 변화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종이는 일반적인 잉크의 특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기술로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점이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와 다른 점일 수 있다. 전자 종이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electrophoresis)을 이용하여,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변형되지 않는 상태(예를 들어, 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기본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평면이 된다. 상기 기본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변형된 상태(예를 들어, 유한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변형상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곡면이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형상태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곡면 상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각 정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단위 화소(sub-pixel)의 발광이 독자적으로 제어됨에 의하여 구현된다. 상기 단위 화소는 하나의 색을 구현하기 위한 최소 단위를 의미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에 외력이 가해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평평한 상태인 상기 기본상태에서 평평한 상태가 아닌 휘어진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조합되어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제어부(180, 도 1 참조)는 이러한 터치 입력에 상응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은 상기 기본상태뿐만 아니라 상기 변형상태에서도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변형감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감지수단은 센싱부(140, 도 1 참조)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변형감지수단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케이스(후술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101, 102))에 구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변형과 관련된 정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변형된 방향, 변형된 정도, 변형된 위치, 변형된 시간 및 변형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복원되는 가속도 등이 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휘어짐으로 인하여 감지 가능한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변형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은 제1 프레임(101) 및 제2 프레임(102)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위치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꺾어진 위치가 결정되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 감지수단 대신 제1 프레임(101)과 제2 프레임(102)의 위치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휨변형 위치와 전면에 위치하는 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상태전환(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 즉 이동 단말기(100)의 크기변화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51)의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및 후면에서의 크기 변화는,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러한 수동적인 방식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제1 상태를 가지고 있을 때, 사용자 혹은 애플리케이션의 명령에 의해서, 제2 상태로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없이 변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외력없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자동적으로 변형되기 위해서, 이동 단말기(100)는 후술되는 구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제1 방향의 측부를 감싸며 감겨지면서(roll) 180도 꺾어진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의 측부를 기준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배치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다른 부분은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에 배치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면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를 전면부라 하고 배면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를 배면부라 한다. 이동 단말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으로 확장되거나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수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면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영역이 변화한다. 즉, 전면부와 배면부의 크기는 이동 단말기의 상태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위치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는 상기 제1 프레임(101)의 전면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0)에 배면에 위치하는 이의 다른 부분은 상기 배면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제1 방향의 측부에서 감겨지거나 풀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의 이동 단말기(100) 배면에 배치되는 부분을 이동시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이동 단말기(100) 전면에 배치되는 영역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면적은 정해져 있고 하나의 연속적인 몸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전면부 면적이 늘어나면 배면부 면적이 줄어든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부(151)는 후술되는 제1 프레임(101)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제2 프레임(102) 내에,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2 프레임(102)의 제1 방향의 측부에 감겨질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서의 디스플레이부(151)의 면적을 조절하도록 제2 프레임(102)의 이동방향에 따라 제2 프레임(102)에 감겨지면서 상기 제2 프레임(102)로부터 인출(withdraw or pulled out)되거나 이에 인입(insert or pushed into)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은 이동 단말기(100)의 다른 관련 구성요소들과 함께 보다 상세하게 후술된다.
통상적으로 안테나는 이동 단말기(100)의 케이스 또는 하우징에 제공되나,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을 비롯하여 배면까지 커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에 의해 상기 케이스 또는 하우징에 안테나가 설치되는 부위가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안테나가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내장형 안테나(AOD: Antenna on Display)는 패턴이 새겨진 전극층과 유전층이 겹겹이 투명 필름을 구성하는 형태의 안테나이다. 디스플레이 내장형 안테나는 기존의 구리 니켈도금 방식으로 구현하는 LDS(laser Direct Structuring) 기술보다 더 얇게 구현될 수 있어 두께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으면서 외관으로 드러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내장형 안테나는 디스플레이부(151)로부터 직접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와 같이 양면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디스플레이 내장형 안테나가 이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전면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배면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의 이동 단말기(100)는 부품이 실장되는 프레임(101, 102)을 포함하고, 본 명세서의 프레임(101, 10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으로 크기가 가변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101, 102)이 상대적으로 움직이며 제1 방향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프레임(101, 102)은 내부에 전자부품이 실장되고 외부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위치한다.
본 명세서의 이동 단말기(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를 포함하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레임(101, 102)의 전면과 배면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할 수 있다. 프레임은 제1 프레임(101)과, 제1 프레임(101)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프레임(1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01)과 제2 프레임(102)은 전방부, 후방부 및 측부를 포함하며, 서로 결합된다.
먼저, 제1 프레임(101)은 이동 단말기(100)의 메인 바디에 해당되며, 제1 전방부(1011)와 제1 후방부(1012) 사이에 각종 부품들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101)은 이와 같은 공간 내에 상기 제1 프레임(10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프레임(102)을 수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프레임(101)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부를 지지하는 제1 전방부(1011) 및 이동 단말기의 후방에 배치되며 각종 부품이 실장되는 제1 후방부(10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제1 전방부(1011), 제1 후방부(1012)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1 전방부(1011)와 제1 후방부(1012)는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제1 측부(1013)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측부(1013)는 제1 후방부(1012) 또는 제1 전방부(1011)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프레임(101)내의 공간 내에 이동 단말기(100)의 부품으로서 카메라(121), 음향출력 모듈(152), 입출력 단자(161), 제어부(180) 및 전원공급부(190)가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전자회로를 포함하는 회로기판(181)이 될 수 있으며,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191) 및 관련 부품들이 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제2 프레임(102)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어하는 구동부(200)도 제1 프레임(101)내에 수용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는 연속적인 몸체를 가지며 이동 단말기(100)내에 감기면서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및 후면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전면부, 배면에 위치하는 배면부 및 전면부와 배면부 사이에 위치하며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을 감싸는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부와 배면부의 디스플레이부(151)는 평평하고 측면부의 디스플레이부(151)는 곡면을 이룰 수 있다. 각을 이루며 꺾어지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파손될 수 있는 바, 측면부는 소정 곡률을 가지고 꺾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고정부와 가변부로 구분할 수 있다. 고정부는 프레임에 고정된 부분을 의미한다. 고정부는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휨정도가 변화하지 않고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면에 가변부는 휘어진 부분의 각도가 가변하거나 휘어진 부분의 위치가 변화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휘어지는 위치나 각도가 달라지는 가변부는 상기 변화에 상응하여 가변부의 배면을 지지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고정부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제1 프레임(101)에 결합되어 전면에 위치하여 전면부의 일부를 구성한다. 가변부는 이동 단말기의 측면 방향에 위치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제2 프레임(102)의 위치에 따라 측면부의 위치가 달라진다. 측면부를 기준으로 전면에 위치하는 영역과 배면에 위치하는 영역의 면적이 달라진다. 즉 가변부는 제1 상태 및 제2 상태에 따라 일부는 전면부가 될 수 있고, 일부는 배면부가 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를 기준으로 고정부(예: 제1 영역(151a), 제2 영역(151b))에 대해 제1 방향에 가변부가 위치하며, 가변부의 단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 방향으로 꺾어지며 제2 프레임(102)의 배면에서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가변부의 단부는 제2 프레임의 배면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슬라이드 프레임(103)이 결합되며 슬라이드 프레임은 제2 프레임(102)이 제1 방향으로 이동시 동시에 제2 프레임(102) 상에서 제1 방향으로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슬라이드 프레임(103)의 이동 거리는 제1 프레임(102)에 대해 제2 프레임(102) 대비 2배의 거리를 이동한다. 다른 한편,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제1 후방부(1012)는 제1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부(151)가 커버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 후방부(1015)를 포함할 수 있다. 노출 후방부(1015)에는 이동 단말기(100)의 조작을 위한 다양한 각종 버튼, 스위치, 카메라(121), 플래쉬와 같은 물리적 입력부(120) 및 근접센서(141) 나 지문센서와 같은 센서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노출 후방부(1015)를 제외한 제1 후방부(1012)는 도 3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가 커버하고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태에서는 배면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통상의 바형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가 단말기의 전면에만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보면서 반대편의 사물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메인 카메라가 단말기의 배면에 배치된다. 다른 한편 사용자 자신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보면서 촬영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보조 카메라가 단말기의 전면에 요구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의 이동 단말기(100)는 이의 전면 및 배면 둘 다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위치된다. 따라서, 사용자 자신을 촬영할 때는 카메라(121)와 동일 면에 있는 디스플레이부(151), 즉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면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반대편의 사물을 촬영할 때는 카메라(121)와 반대면에 있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이동 단말기(100)는 하나의 카메라(121)를 이용해서 사용자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사물을 촬영할 수도 있고 사용자를 촬영할 수도 있다. 카메라는 광각, 초광각, 망원 등 화각이 다른 카메라를 복수개 구비할 수 있다. 노출 후방부(1015)상에 카메라 이외에 근접센서 음향출력부 등이 위치할 수 있으며, 안테나(116)가 설치될 수도 있다. 노출 후방부(1015)의 카메라나 센서 등을 보호하고 외관 디자인 측면을 고려하여 노출 데코가 부착될 수 있다. 노출 데코는 카메라(121)나 센서(140) 등에 대응되는 부분은 투명하게 구성하고 다른 부분은 내부 부품이 노출되지 않고 디자인 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소정의 패턴이나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제1 측부(1013)는 제1 프레임(101)의 둘레를 감싸도록 제1 전방부(1011)와 제1 후방부(10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102)이 제1 프레임(101)에 수용되며 또한 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이러한 제2 프레임(102)의 제1 프레임(101)에 대한 상대적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서는 제1 프레임(101)의 일부는 개방될 필요가 있다.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로서, 제2 프레임(102)은 제1 프레임(101)의 제1 방향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제1 측부(1013)는 제1 방향의 측면에는 형성되지 않아 이를 개방시킬 수 있다. 제1 측부(1013)는 이동 단말기(100)의 외부로 노출되므로, 전원 포트나 이어잭이 연결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160)나 음량버튼과 같은 사용자 입력부(12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측부(1013)는 안테나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프레임(102)은 이동 단말기(10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 전방부(1021) 및 이동 단말기(100)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 후방부(10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01)의 제1 전방부(1011), 제1 후방부(1012)와 마찬가지로, 제2 전방부(1021) 및 제2 후방부(1022)는 대체적으로 평평한 판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102)도 다양한 부품을 수용하며, 이동중에 제1 프레임(101)내에 수용된 부품들과 간섭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제2 전방부(1021) 및 제2 후방부(1022)는 소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프레임(101)내의 부품들과 간섭하지 않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이동 단말기(100)를 제3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로서, 제1 프레임(101)의 제1 측부(1013)와 제2 프레임(102)의 제2 측부(1023)를 도시하고 있다. 제2 프레임(102)의 제1 방향의 단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위치하므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제2 방향의 단부는 제1 프레임(101)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개방되어야 한다. 제3 방향(도면 상 상측 또는 하측 방향을 의미하며 혹은 상측과 하측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에 위치하는 제2 프레임(102)의 제2 측부(1023)는 제1 상태에서는 제1 프레임(101)의 제1 측부(1013)와 중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나, 제2 상태에서는 제2 프레임(102)이 인출되므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및 후면 둘 다에 배치되도록 제2 프레임(102)내에서 감겨지면서 180도로 꺽어질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1)의 배열(arrangement)을 위해, 제2 프레임(102)은 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롤러(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210)는 제 2 프레임(102)의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부(151)는 사용자에게 좋은 품질의 화면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및 후면에서 평평하게 전개(spread)되어야 하며, 이러한 전개를 위해서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적절한 장력이 제공되어야 한다. 적절한 장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롤러(210)는 제 2 프레임(102)의 제1 방향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롤러(210)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 프레임(10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소정 곡률을 가지고 완만하게 휘어지면서 롤러(210)에 감길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영상이 출력되고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1 면과 그 반대편으로 프레임을 향하는 내면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21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내면과 접촉하면서, 제 2 프레임(102)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롤러(210)는 실제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측방향(lateral direction), 즉,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부(151)를 이동시킬 수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2 프레임(102)이 슬라이드할 때, 상기 제2 프레임(102)에 의해 가해지는 장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51)는 제2 프레임(102)에 상대적이며 서로 다른 방향(즉,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을 가진 채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롤러(210)는 회전하면서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1)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롤러(210)는 제2 프레임(102)의 제1 방향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하며, 롤러(210)에 감긴 디스플레이부(151)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제2 프레임(102)의 제1 방향 단부에 배치되는 사이드 프레임(1024)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1024)은 제2 프레임(102)의 길이방향(제3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제1 방향의 측부를 커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롤러(210) 및 이에 감긴 디스플레이부(151)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프레임(1024)은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에 따라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측부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며 롤러(210)에 의해 감겨지고, 사이드 프레임(1024)의 내측면은 측부의 곡률에 상응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1024)은 제1 프레임(101)의 제1 측부(1013)와 함께 실질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동 중에 제1 프레임(101)내의 부품들과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2 프레임(102)의 제2 방향의 측부는 생략될 수 있다.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으로의 확장 및 수축 동안, 제2 프레임(102)은 제1 프레임(101)과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제1 프레임(101), 정확하게는 이의 제1 전방부(1011), 제1 후방부(1012)와 오버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151)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01)의 제1 전방부(1011)에 의해 결합되어 이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프레임(102)의 제2 전방부(1021)에 의해 추가적으로 지지될 필요가 없다.
오히려, 제2 전방부(1021)가 제1 전방부(1011)와 디스플레이부(151) 사이에 위치되면, 반복적으로 이동하는 제2 전방부(1021)와의 마찰로 인해 디스플레이부(151)가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전방부(1021)는 제1 전방부(1011) 아래(below)에 배치되거나 두 장으로 이루어진 제1 전방부(1011)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02)의 제2 후방부(1022)는 제1 프레임(101)의 제1 후방부(1012)의 배면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후방부(1022)의 전면은 제1 후방부(1012)의 배면과 마주할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102)의 운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제1 후방부(1012)의 배면은 제2 후방부(1022)의 전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제2 후방부(1022)는 제1 프레임(101), 정확하게는 제1 후방부(1012)의 외부로 노출되며, 디스플레이부(151)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102)은 제1 및 제2 방향(D1, D2)으로의 확장 및 수축에 의해 이동 단말기(100) 자체의 크기, 특히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을 확장 및 축소시킬 수 있다. 이 때, 의도된 제1 및 제2 상태를 얻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러한 확장 또는 축소된 전면만큼 이동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부(151)가 제2 프레임(102)에 고정되면, 디스플레이부(151)는 확장 또는 축소되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맞게 원활하게 이동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디스플레이부(151)는 제2 프레임(10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1 영역(151a)과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에 위치하는 슬라이드 프레임(103)게 결합된 제2 영역(151b)을 포함하고, 제1 영역(151a)과 제2 영역(151b)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롤러(210)를 감싸며 꺾어지며,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 변화에 따라 전면 또는 배면으로 이동 하는 제3 영역(151c)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프레임(103)은 이동 단말기(100)의 길이방향(제3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판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후방부(1022)에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영역(151a), 제2 영역(151b) 및 제3 영역(151a, 151b, 151c)은 서로 연결되며, 디스플레이부(151)의 연속적인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102)의 이동방향에 따른 제3 영역(151c)의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의 이동을 위해, 제1 영역(151a)이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이동되지 않게 고정되며, 제2 영역(151b)이 이동 단말기의 후면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1)의 구성이 다음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제1 영역(151a)은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보다 상세하게는 제1 프레임(101)의 제1 전방부(1011)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역(151a)은 제2 프레임(102)의 이동 시에도 이동되지 않도록 제1 프레임(101), 즉 제1 전방부(1011)의 전면에 고정되며, 이에 따라 항상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노출될 수 있다.
제3 영역(151c)은 제1 영역(151a)에 제2 단부(151e) 방향으로 인접하며, 제2 프레임(102)내로 연장되어 들어가(extend into) 롤러(210)에 감길 수 있다. 제3 영역(151c)은 연속적으로 다시 제2 프레임(102)로부터 연장되어 나와(extend out) 부분적으로 제2 프레임(102), 즉 제2 후방부(1022)의 배면을 커버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제2 프레임(102), 즉 제2 후방부(1022)는 제 1 프레임(101), 즉 제1 후방부(1012)에 인접하며 함께 이동 단말기(100)의 리어 케이스를 형성하므로, 제3 영역(151c)은 제1 프레임(101)의 배면에도 배치된다고 설명될 수 있다.
제2 영역(151b)은 제3 영역(151c)에 인접하며,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 보다 상세하게는, 제2 프레임(102)의 제2 후방부(1022)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영역(151b)은 제2 프레임(102)에 직접 결합하지 않고 슬라이드 프레임(103)에 결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영역(151a)은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배치되어 제2 프레임(102)의 이동에 상관없이 상기 전면에 항상 노출되며, 제2 영역(151b)은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에 배치되어 제2 프레임(102)의 이동에 상관없이 상기 배면에 항상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제3 영역(151c)은 제1 및 제2 영역(151a, 151b)사이에 배치되어, 제2 프레임(102)의 이동 방향(D1, D2)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또는 배면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 영역(151c)의 선택적인 배치로 인해, 제1 프레임(101)의 제1 후방부(1012)는 제1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의 제2 영역(151b) 및 제3 영역(151c) 및 제2 후방부(1022)에 의해 커버되는 부분이 제2 상태에서는 제3 영역(151c)이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으로 이동하고, 제2 후방부(1022)도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므로, 이동 단말기(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102)의 제2 전방부(1021)는 제1 상태에서는 제1 프레임(101)의 제1 전방부(1011)에 의해 숨겨져 배치되나 제2 상태에서는 제1 프레임(101)으로부터 이동되어 나와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제3 영역(151c)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전방부(1021)가 슬라이드 이동시 내부의 부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제2 전방부(1021)의 배면 방향에 위치하는 분리판을 더 구비하여 제1 전방부(1011)와 체결할 수 있다. 제2 전방부(1021)는 제2 프레임(102)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제1 전방부(1011)와 분리판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제3 영역(151c)은 제2 프레임(102)내에서 롤러(210)에 감기어 절곡될 수 있다.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시 제3 영역(151c)은 롤러(210)에 어느 한 방향으로 감기면서 제2 프레임(102)으로부터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으로 확장될 수 있다. 반면,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 시 제3 영역(151c)은 롤러(210)에 반대방향으로 감기면서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으로부터 제2 프레임(102)으로 수축될 수 있으며, 동시에 제2 프레임(102)로부터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으로 복귀할 수 있다.
책처럼 펼쳐지는 형태의 폴더블 이동 단말기는 특정위치만 반복적으로 접히기 때문에 상기 특정위치가 파손되기 쉽다. 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부위, 즉 롤러(210)에 감기는 부위는 이동 단말기(100)의 제1 및 제2 상태, 즉 제 2 프레임(102)의 이동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부위에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변형 및 피로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어 디스플레이부(15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구성(configuration)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전체적인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예로서,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상태전환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동상태 전환동안의 이동 단말기(100)의 작동이 설명된다. 그러나, 다음에서 설명되는 제1-3 프레임(101-103) 및 디스플레이부(151)의 작동은 사용자의 힘이 아닌 다른 동력원이 사용되는 경우, 예를 들어 후술되는 구동부(200)가 적용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2 후방부(1022)의 배면에 후면커버(102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후면커버(1025)는 투명한 소재를 이용하면 제1 상태에서 후면부도 이용가능하고 불투명한 소재를 이용하면 슬라이드 프레임(103)이 이동하는 모습이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할 수 있다. 즉, 슬라이드 프레임(103) 및 디스플레이부(151)의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은 제2 후방부(1022)와 후면커버(1025) 사이의 이격 공간 사이에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7은 이동 단말기(100)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의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2 프레임(102)을 제1 프레임(101)에 대해 제1 "?향으?* 당기거나 제2 방향으로 밀어 넣는 방식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를 전환시킬 수 있다. 다만, 수동방식은 이동 단말기(100) 본체에 과도하게 힘을 가하는 경우 파손 우려가 있어, 뒤틀림 없이 안정적으로 제2 프레임(102)이 이동할 수 있도록 모터(201)를 이용하는 구동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20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201)를 이용할 수 있으며, 직선 운동하는 리니어 모터(201)를 이용할 수도 있다.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201)는 큰 힘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모터(201)의 지름이 커져야 하나, 이동 단말기(100)의 제약된 공간에서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소정 크기 이상의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모터(201)를 이용할 수 있다. 제2 프레임(102)의 이동속도가 너무 빠르면 파손이나 오작동 우려가 있으므로 안정적인 속도로 이동하도록 모터(201)의 속력을 감속시키기 위한 유성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성기어(202)는 톱니의 개수가 다른 복수 개의 원판 기어를 이용하여 모터(201)의 회전수를 증폭 또는 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모터(201)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01)에 고정될 수 있으며,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102)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동 단말기(100)가 제2 상태로 전환하더라도 위치는 고정되어 있다.
제2 프레임(102)은 제1 프레임(101)에 대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기 때문에 모터(201)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랙 피니언 기어를 이용할 수 있다. 모터(201)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피니언 기어는 제1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된 톱니로 구성된 랙기어(205)와 맞물리도록 배치할 수 있다. 피니언 기어는 모터(201)와 함께 제1 프레임(101)에 고정되고 랙기어(205)는 제2 프레임(102)에 위치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프레임(101)에 랙기어(205)가 위치하고 제2 프레임(102)에 모터(201)와 피니언 기어가 배치될 수도 있다. 피니언 기어가 회전하지 않도록 모터(201)가 피니언 기어를 잡고 있으므로 제2 프레임(102)은 제1 상태 및 제2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큰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피니언 기어가 회전하면서 제2 프레임(102)의 위치가 어긋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고정되도록 제2 프레임(102) 또는 랙기어(205)와 제1 프레임(101) 사이의 위치를 고정하는 스토퍼(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는 모터(201)에 전류가 흘러 구동하는 경우 해제되어 제2 프레임(102)의 이동을 허용하고, 모터(201)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모터(201)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 제2 프레임(102)과 제2 프레임(102)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구동부(200)를 상하방향(제3 방향)으로 대칭으로 한 쌍 구비하는 경우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나, 이동 단말기(100)의 제한된 실장공간을 고려하여 배터리 등을 배치하기 위해서는 구동부(200)를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치우치게 배치해야 한다. 이와 같은 비대칭적인 구동부(200)의 위치에 따라 제2 프레임(102)이 이동 중에 상단부와 하단부의 이동속도가 달라 뒤틀려 이동한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바, 리니어 가이드(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니어 가이드(230)는 제3 방향으로 일측에 치우친 하나의 구동부(200)의 기능을 보완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100)의 제3 방향 양단, 즉 상측과 하측에 배치할 수 있다. 리니어 가이드(230)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레일(231)과 가이드 레일(231)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블록(23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231)을 제1 프레임(101)에 배치하고 가이드 블록(232)을 제2 프레임(102)에 배치할 수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는 제2 프레임(102)에 가이드 레일(231)을 배치하여 제2 상태에서 제2 프레임(102)의 확장된 부분의 상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가이드 블록(232)이 제1 프레임(101)에 결합되고 가이드 레일(231)이 제2 프레임(102)에 결합된 후에 가이드 블록(232)과 가이드 레일(231)이 슬라이드 체결될 수도 있으나, 체결의 편의성을 위해 가이드 블록(232)과 가이드 레일(231)이 체결된 상태에서 먼저 가이드 블록(232)이 제1 프레임(101)에 고정된 이후 제2 프레임(102)과 가이드 레일(231)이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블록(232)은 가이드 레일(231)이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고, 반대로 가이드 레일(231)에 가이드 블록(232)의 일부가 삽입되는 레일홈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231)과 가이드 블록(232)의 체결부는 요철이 형성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두께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블록(232)과 가이드 레일(231) 사이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베어링이나 폴리옥시메틸렌(POM:Poly Oxil Metilen)과 같이 내마모성이 강하고 마찰저항이 적으며 자기윤활성이 있는 부재를 가이드 홈 내측에 부가할 수 있다.
도 8은 도 2의 A-A 및 B-B의 단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8의 (a)는 도 2의 A-A 단면도이고, 도 8의 (b)는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102)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배면방향에 위치하던 제3 영역(151c)이 전면방향으로 이동하고 전면으로 이동된 제3 영역(151c)의 배면을 지지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제2 프레임(102)의 전면에 위치하는 제2 전방부(1021)는 제2 상태에서 제3 영역(151c)의 배면에 위치할 수 있으나, 제1 상태에서 제1 프레임(101)의 제1 전방부(1011)와 중첩 배치되기 때문에 제1 전방부(1011)와 제2 전방부(1021)는 단차를 이루게 된다. 제1 전방부(1011)와 제2 전방부(1021)의 단차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제1 영역(151a)과 제3 영역(151c)에 경계가 발생하게 된다. 제2 전방부(1021)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제3 영역(151c) 사이의 이격공간을 채우기 위한 지지구조로서 롤링 플레이트(104)를 이용할 수 있다.
롤링 플레이트(104)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에 위치하며, 제2 상태에서 제2 전방부(1021)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 사이의 이격 공간에 상응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태에서 롤링 플레이트(104)는 롤러(210)에 감겨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 및 배면 방향에 위치하고, 제2 프레임(102)의 제2 후방부와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면부를 커버하는 후면커버(1025) 사이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와 롤링 플레이트(104)가 위치할 수 있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태로 전환시 롤링 플레이트(104)는 전면으로 이동하며, 롤링 플레이트(104)는 제2 프레임(102)의 전방부에 위치할 수 있다.
롤링 플레이트(104)가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제3 영역(151c)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 시 휨변형이 일어나는 부분이므로, 롤링 플레이트(104) 또한 제3 영역(151c)의 변형에 상응하여 변형될 수 있다. 그와 동시에, 롤링 플레이트(104)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전면 또는 배면에 위치하는 경우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성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즉, 롤링 플레이트(104)는 제3 방향으로는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고 제1 방향으로는 휨변형이 가능한 구조가 필요하다.
도 9는 이동 단말기(100)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51), 롤링 플레이트(104)를 도시한 도면으로, 롤링 플레이트(104)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지지바(104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지지바(1041)는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소정간격 이격되어 롤러(210)에 감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휘어지더라도 지지바(1041) 사이에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지지바(1041)는 강성을 위해 소정 두께를 가지는 사출물로 구현할 수 있고, SUS 등의 금속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지지바(1041)는 디스플레이부(151) 배면에 직접적으로 부착될 수 있으나, 시간이 오래 걸리고 불량이 많이 발생하여 생산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를 직접 가공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파손될 우려가 높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실시예는 복수개의 지지바(1041)를 고정하는 롤링시트(10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링시트(1045)는 금속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휨변형이 가능하며 휨변형이 이후 다시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초탄성을 가지는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05mm 이하의 박형의 STS시트와 같은 초탄성 메탈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롤링시트(1045)와 지지바(1041)를 결합하기 위해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과 롤링시트(1045)를 결합하기 위해 롤링시트(1045)의 양면에 접착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다.
롤링시트(1045) 자체에도 제3 방향으로 연장된 그루브가 제1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 커프(kerf)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커프 패턴의 그루브는 복수개의 지지바(1041)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롤링시트(1045)의 지지바(1041)가 결합하는 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프 패턴은 롤링시트(1045)의 표면부분의 크기가 크고 점점 좁아지는 쐐기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는 롤링시트(1045) 대신에 실리콘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소재를 지지바(1041) 사이에 배치하여 이웃하는 지지바(1041) 사이를 결합하고, 지지바(1041) 사이의 각도가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탄성의 연결부는 롤러(21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는 휘어질 수 있고, 전면 또는 배면에 위치하는 경우 지지바(1041)가 평면을 이루며 배치되도록 펼쳐질 수 있다.
지지바(1041)는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에 상응하여 평평한 면을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1041)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곡면의 지지바(1041)는 롤링 플레이트(104)가 롤러(210)에 감길 때 롤러(210)의 곡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는 지지바(1041)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접하는 일면은 평평한 평면을 유지하고, 그 반대의 타면은 롤러(210)의 곡률에 상응하는 곡률의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경우 지지바(1041)의 두께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의 단부는 두껍고 가운데가 가장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롤링 플레이트(104)는 제3 영역(151c)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롤러(210)에 감겨 꺾어져 있어 전면과 배면에 걸쳐있다. 전면방향에서는 제1 프레임(101)의 제1 전방부(1011)와 연결되고 후면방향에서는 슬라이드 프레임(103)과 연결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단차 없이 연속적인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제1 영역(151a)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1 프레임(101)의 제1 전방부(1011), 제2 영역(151b)의 배면에 위치하는 슬라이드 프레임(103) 및 제3 영역(151c)의 배면에 위치하는 롤링 플레이트(104)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접하는 면은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슬라이드 프레임(103)은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에서 이동하며, 롤링 플레이트(104)와 동일한 공간에서 이동하므로 롤링 플레이트(104)의 두께는 슬라이드 프레임(103)의 두께에 상응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0과 도 11은 디스플레이의 크기 변경 및 수신되는 입력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의 제1 면(예: 전면)에는 제1 화면(1001)이 표시될 수 있다. 제1 화면(1001)은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기초로 제공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의 컨텐츠 A와 제2 애플리케이션의 컨텐츠 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컨텐츠 A와 컨텐츠 B는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구별 가능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로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 동영상이 제공될 경우 A영역에 영상이 포함되고, B 영역에 영상과 관련된 추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의 크기는 감소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의 크기 감소에 대응하여 제1 면에는 제2 화면(1002)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예: 후면)에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제1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다른 면으로 배치됨에 대응하여 다른 면에 배치된 영역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의 표시를 중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의 영역 중 일부가 제2 면으로 배치되면, 제2 화면(1002) 및 제3 화면(1003)에 포함되는 콘텐츠 B의 표시를 중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의 영역 중 제3 화면(1003)에 대응하는 콘텐츠 B를 포함하는 영역이 제2 면으로 배치되면, 제2 면에 배치된 영역에 표시되는 콘텐츠, 즉, 제3 화면(1003)에 대응하는 콘텐츠 B의 표시를 중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제1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다른 면으로 배치됨에 대응하여 이동된 영역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 위에 다른 레이어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의 영역 중 일부가 제2 면으로 배치되면 제3 화면(1003)의 콘텐츠 B 위에 다른 레이어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다른 면에 배치된 영역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표시 중지 또는 다른 레이어의 중첩 표시는 디스플레이의 크기 감소가 완료된 후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경우 제2 화면(1002) 및 제3 화면(1003)은 디스플레이의 크기 감소 중간에 표시되는 화면이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B의 표시가 유지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실시간으로 제2 면에 배치된 영역 상의 콘텐츠의 표시 중지 또는 다른 레이어의 중첩 표시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다른 레이어는 투명도를 가지는 레이어일 수 있으며, 해당 레이어를 통해 아래에 배치된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0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의 영역 중 콘텐츠 B에 대응하는 영역이 제2 면에 배치되어 제1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의 크기 감소가 완료되면, 제1 면에는 제4 화면(1004)이 표시되고 제2 면에는 제5 화면(1005)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제5 화면(1005)은 콘텐츠 B 위에 다른 레이어가 중첩된 화면을 나타낸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실시예에 따라 제5 화면(1005)은 콘텐츠 B의 표시가 중지됨에 따라 다른 레이어의 표시가 생략된 화면, 잠금 화면 또는 터치 입력 감지가 비활성화된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의 크기 변경(또는 크기 감소)에 대응하여, 관련된 콘텐츠를 나타내는 아이콘(1010)을 제1 면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B에 대응하는 영역이 제2 면에 배치되고 콘텐츠 B 위에 다른 레이어가 중첩되어 표시되거나, 콘텐츠 B의 표시가 중지되는 경우 콘텐츠 B와 관련된 아이콘(1010)이 제4 화면(1004)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콘(1010)은 콘텐츠 B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즉 제2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콘텐츠의 제공 중지 또는 다른 레이어가 중첩되면서 콘텐츠가 표시되는 것은 특정 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 단말기는 제4 화면(1004)과 같이 아이콘(1010)의 주변에 특정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010)의 둘레에 특정 시간의 경과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특정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고 특정 시간에 대한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도 22 또는 도 23을 참조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특정 시간 내에 아이콘(1010)에 대한 제1 입력이 가해지면, 제1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에 콘텐츠 B가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시간 내에 아이콘(1010)에 대한 제1 입력이 가해지면 아이콘(1010)이 표시되는 제1 면의 영역, 즉 콘텐츠 A가 표시되는 영역에 콘텐츠 B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제6 화면(1006)이 제1 면에 표시될 수 있다. 제1 입력에 대응하여 제2 면에는 제7 화면(1007)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잠금 상태의 화면, 빈 화면 또는 AOD(always on display)에 따른 정보가 제공되는 화면일 수 있다.
만약 입력이 가해지지 않고 특정 시간이 경과하면, 이동 단말기는 콘텐츠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거나 백그라운드에서 구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도 10을 예로 설명하면 아이콘(1010)에 대한 입력이 가해지지 않고 특정 시간이 경과하면 이동 단말기는 콘텐츠 B를 제공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텐츠 B의 표시가 종료될 수 있다.
도 10을 통해 설명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의 전면을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를 이용하던 중 디스플레이 크기 감소에 대응하여 기존 콘텐츠가 표시되던 영역의 일부가 후면으로 이동하더라도 이동 단말기를 뒤집거나 홈화면으로 이동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다시 전면에 재실행시키는 등의 부가적인 동작없이 전면 화면에서 기존에 이용하던 콘텐츠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 아이콘(1010)의 표시는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아이콘(1010)에 대한 입력 대신 기지정된 제1 입력이 가해지면 제1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에 콘텐츠 B가 표시될 수 있다. 기지정된 제1 입력에 대한 예는 도 14를 참조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아이콘(1010)에 대한 입력과는 다른 입력(예: 제2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의 제1 화면(1101)은 도 10의 제4 화면(1004)에 대응하고, 도 11의 제2 화면(1102)은 도 10의 제5 화면(1005)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의 제1 면에 제1 화면(1101)이 표시되고 제2 면에 제2 화면(1102)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제2 입력(예: 제2 면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에 콘텐츠 B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면에 콘텐츠 B를 포함하는 제4 화면(1104)이 표시될 수 있다. 제4 화면(1104)의 표시에 대응하여 제1 면에는 제3 화면(1103)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1에 의하면 제3 화면(1103)은 콘텐츠 A 위에 다른 레이어가 중첩된 화면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 콘텐츠 A 및 다른 레이어의 표시가 생략된 화면, 잠금 화면, AOD에 따른 정보가 제공되는 화면 또는 터치 입력 감지가 비활성화된 화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4 화면(1104)은 콘텐츠 B가 표시되는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 입력이 수신되면 제1 면에는 제5 화면(1105)이 표시되고 제2 면에는 제6 화면(1106)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제1 면의 화면의 콘텐츠 A의 표시가 유지된 상태에서 제2 면에 콘텐츠 B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의 제1 입력과 도 11의 제2 입력은 상술된 예에 제한되지 않고 서로 구분되어 미리 지정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은 제1 방향으로의 스와이프(swipe) 입력을 포함하고, 제2 입력은 제2 방향으로의 스와이프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1 입력은 제1 위치에 대한 터치 입력을 포함하고, 제2 입력은 제1 위치에 대한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1 입력은 아이콘(1010)에 가해지는 왼쪽 방향 스와이프 입력을 포함하고, 제2 입력은 아이콘(1010)에 가해지는 오른쪽 방향 스와이프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후술하는 이동 단말기(1200)의 요소(element)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200)는 디스플레이(1201) 및 제어부(120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1)는 이동 단말기(1200)의 제1 면(예: 이동 단말기(1200)의 전면)에 노출되는 크기가 변경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1)의 제1 면에 노출되는 크기는 후술하는 제어부(1202)의 제어를 기반으로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201)의 일부는 이동 단말기(1200)의 제1 면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이동 단말기(1200)의 다른 면(예: 이동 단말기(1200)의 후면, 이동 단말기(1200)의 옆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200)의 제1 면에 디스플레이(1201)의 제2 영역이 배치되고,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에 디스플레이(1201)의 제1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1200)의 제1 면에 디스플레이(1201)의 제2 영역이 배치되고, 제1 면 및 제2 면 사이에 위치하며 이동 단말기(1200)의 일측에 감겨서 위치되는 제3 면에 디스플레이(1201)의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201)의 일부는 제1 면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이동 단말기(1200)의 일면에 감겨 이동 단말기(1200)의 제2 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201)는 제1 면과 접하는 일단에 구부러지고, 적어도 일부가 제1 면에 배치되고, 다른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일단과 접하는 제2 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1201)는 힌지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일 영역이 제1 면에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다른 일 영역이 힌지 구동을 기반으로 제1 면 또는 제2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1)에는 이동 단말기(120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01)에는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해 입력이 가해지는 아이콘을 포함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으로써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능과 관련된 다양한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2)는 이동 단말기(1200) 또는 이동 단말기(1200)의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2)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 또는 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디스플레이(120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2)는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기초로 제1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1201)의 제1 영역에 제1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영역은 제1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1201)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는 제1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콘텐츠로, 예를 들어 제1 애플리케이션이 사진첩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제1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콘텐츠는 사진을 나타내는 이미지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어부(1202)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202)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의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2)는 제1 애플리케이션과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기초로 디스플레이(1201)의 제1 면의 제1 영역에 제1 애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표시하고 제1 면의 제2 영역에 제2 애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202)는 디스플레이(1201)의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다른 면에 배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2)는 제1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1201)의 크기 감소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201)의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다른 면(예: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또는 제1 면과 제2 면의 사이에 위치하며 이동 단말기(1200)의 일측에 감겨서 배치되는 제3 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어부(1202)는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다른 면에 배치됨에 대응하여 제1 영역에 포함되는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의 표시를 중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제어부(1202)는 제1 면의 디스플레이(1201) 크기 감소에 의해 제1 면에 배치되던 제1 영역이 제2 면에 배치되면, 제1 영역의 콘텐츠의 표시를 중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어부(1202)는 제1 면의 디스플레이(1201) 크기 감소에 의해 제1 면에 배치되던 제1 영역이 제2 면에 배치되면, 제1 영역의 콘텐츠의 표시를 중지하고 제1 영역을 잠금 화면으로 전환하거나 AOD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어부(1202)는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다른 면에 배치됨에 대응하여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의 위에 다른 레이어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2)는 제1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1201)의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다른 면에 배치되면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의 위에 다른 레이어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2)는 제1 면의 디스플레이(1201) 크기 감소에 의해 제1 영역이 제2 면에 배치됨에 따라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콘텐츠 전체 위에 다른 레이어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레이어는 소정의 투명도 값을 가지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어부(1202)는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다른 면에 배치됨에 대응하여 다른 면에 배치되는 영역의 터치 입력 감지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2)는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제2 면에 배치되면 제2 면(또는 제2 면에 배치되는 제1 영역)의 터치 입력 감지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어부(1202)는 제1 영역이 다른 면에 배치되는 것에 대응하여 제1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상에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면의 디스플레이(1201)가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제1 영역이 디스플레이(1201) 크기 감소에 대응하여 제2 면에 배치되면, 제어부(1202)는 제2 영역 상에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애플리케이션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며,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아이콘은 제1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어부(1202)는 제1 영역의 위치를 기반으로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면의 디스플레이(1201)가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201)는 제1 영역이 제2 면으로 이동함에 대응하여 제2 영역 중 제1 영역이 배치되던 기존의 영역과 근접한 영역의 일부에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1 영역이 제1 면의 오른쪽에 배치되고 제2 영역이 제1 영역에 맞닿아 제1 영역의 왼쪽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영역이 제2 면으로 이동하면, 제어부(1202)는 제1 영역에 맞닿아 있던, 제2 영역의 오른쪽 영역의 일부에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어부(1202)는 제1 영역의 이동을 기반으로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1)는 제1 면의 제1 영역이 제2 면으로 이동하면 제1 면의 제2 영역 중 제1 영역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1 영역이 이동 단말기(1200)의 오른쪽의 일면에 감겨 제2 면에 배치되면, 제어부(1202)는 제2 영역의 오른쪽 영역의 일부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아이콘이 표시되는 제2 영역에는 제2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는 제1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와 함께 제1 면에 표시되던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면, 제2 영역에 제2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가 표시되는 경우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아이콘은 제2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에 중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어부(1202)는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아이콘을 제1 면의 디스플레이(1201) 상의 기지정된 위치에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2)는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아이콘을 제1 면의 상단의 제1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어부(1202)는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다른 면에 배치되면 특정 시간 동안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의 표시를 중지하거나, 특정 시간 동안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의 위에 다른 레이어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아이콘은 특정 시간 동안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202)는 특정 시간 경과 후에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1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어부(1202)는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다른 면에 배치되면 다른 면에 배치되는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의 밝기를 특정 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다른 면에 배치됨에 대응하여 다른 면에 배치되는 영역에 제1 콘텐츠(또는 제1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가 표시되는 경우, 제어부(1202)는 제1 콘텐츠가 표시되는 다른 면의 영역의 밝기를 특정 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특정 값은 어두운 화면의 제공을 위해 미리 지정된 값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1202)는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다른 면에 배치되면 제1 콘텐츠 위에 다른 레이어를 중첩하여 표시하거나 제1 콘텐츠가 표시되는 제1 영역의 밝기를 특정 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특정 시간은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의 유형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의 유형이 이미지 또는 영상 콘텐츠인 경우 특정 시간은 제1 시간으로 결정되고, 콘텐츠의 유형이 텍스트인 경우 특정 시간은 제2 시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시간은 제2 시간 보다 더 긴 시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에서, 제어부(1202)는 제1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1201) 상에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 콘텐츠에 대한 정보, 및 특정 시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2)는 제1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의 표시에 대응하여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 콘텐츠에 대한 정보, 및 특정 시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는 원래의 콘텐츠 보다 작은 크기로 표시될 수 있으며, 콘텐츠의 유형이 이미지 또는 영상과 관련된 경우 표시될 수 있다.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예는 도 20을 참조할 수 있다. 콘텐츠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면 콘텐츠의 종류, 이름, 크기, 또는 제1 애플리케이션의 이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시간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면 제1 영역이 다른 면에 배치된 시점으로부터 경과한 시간, 특정 시간, 또는 특정 시간과 경과한 시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산출되는 남은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시간에 대한 정보의 보다 구체적인 예는 도 22 또는 도 23을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1202)는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입력이 수신되면,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1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2)는 제1 입력이 수신되면 제1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1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표시하고, 제2 입력이 수신되면 제2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1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2)는 제1 입력에 대응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제1 면에 배치되는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제1 입력은 예를 들면 특정 시간 내에 제2 영역에 표시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아이콘에 가해지는 입력, 또는 특정 시간 내에 제1 면의 적어도 일부에 가해지는 제1 방향의 스와이프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1 입력 수신 이전에 제2 영역에는 제2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제2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는 제1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로 대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입력은 가해지는 입력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어부(1202)는 제2 입력에 대응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제2 면에 배치되는 제1 영역(또는 제2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입력은 제2 면에 배치된 제1 영역에 특정 시간 내에 가해지는 입력 또는 특정 시간 내에 제1 면의 적어도 일부에 가해지는 제2 방향의 스와이프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202)는 제1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1201)의 터치 입력 감지를 비활성화하거나 제1 면의 디스플레이(1201)의 화면을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2)는 제2 입력을 수신하면 제1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제2 면에 배치되는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제1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1201)의 터치 입력 감지를 비활성화하거나 제1 면의 디스플레이(1201)의 화면을 잠금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어부(1202)는 특정 시간 내에 가해지는 디스플레이(1201)의 확장 입력에 대응하여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제1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2)는 특정 시간 내에 가해지는 디스플레이(1201)의 확장 입력이 확인되면 다른 면으로 배치된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다시 제1 면으로 배치하고, 제1 면에 배치된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제1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어부(1202)는 특정 시간 내에 다른 면으로 배치된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다시 제1 면에 배치되는 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202)는 특정 시간 내에 다른 면으로 배치된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다시 제1 면에 배치되면, 제1 면에 다시 배치된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제1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특정 시간 경과 후 다른 면으로 배치된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제1 면에 다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202)는 제1 면(또는 제1 면의 제2 영역)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기존에 표시되던 제1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와 상이한 콘텐츠, 예를 들어 제1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시간 경과 후 다른 면으로 배치된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제1 면에 다시 배치되면 제2 영역에 표시되던 콘텐츠가 확장되어 제1 면에 다시 배치된 제1 영역에도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면에 다시 배치된 제1 영역에는 다른 콘텐츠가 표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제어부(1202)는 제1 입력이 수신된 위치를 기반으로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2)는 입력이 제1 위치에서 수신되면 제1 위치를 포함하는 기지정된 영역을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보다 구체적인 예는 도 16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각 단계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방법의 각 단계는 경우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그 순서를 달리하여 또는 순서와 무관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서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이 생략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제1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제1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 표시할 수 있다(1301).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는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기초로 제1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제1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1 애플리케이션과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기초로, 이동 단말기는 제1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는 제1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하고 제2 영역에는 제2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다른 면에 배치할 수 있다(1302).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는 제1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의 크기 감소 동작을 기초로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다른 면에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은 디스플레이의 확장 또는 축소의 축(또는 기점)이 되는 이동 단말기의 일면에 근접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크기 감소에 대응하여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의 크기 감소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가 이동 단말기의 제3 면에 감겨 제2 면으로 배치되는 경우 제1 영역은 제2 영역 보다 제3 면에 근접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다른 면에 배치되면 특정 시간 동안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표시를 중지하거나,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콘텐츠 상에 다른 레이어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레이어는 예를 들면 콘텐츠의 제공의 중지를 나타내도록 콘텐츠 상에 특정한 투명도를 가지고 덧씌워지는 다른 콘텐츠 또는 제1 영역의 비활성화에 대응하여 나타나는 다른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시간은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유형이나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콘텐츠가 영상 콘텐츠인 경우 특정 시간은 15초에 대응하고, 텍스트 콘텐츠인 경우 특정 시간은 10초에 대응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다른 면에 배치됨에 대응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아이콘을 제1 면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다른 면에 배치됨에 대응하여 제1 면의 디스플레이에 제2 영역이 배치된 경우, 이동 단말기는 제2 영역에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1 입력이 수신되면, 제1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1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1303).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는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1 입력이 수신되면, 제2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제1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는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다른 면에 배치(또는 콘텐츠의 표시가 중지, 또는 콘텐츠 위에 다른 레이어가 표시)됨에 기초하여 기산되는 시점으로부터 특정 시간 내에 제1 입력을 수신하면, 제1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1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시간의 기산 시점은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아이콘은 특정 시간 동안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특정 시간 내에 아이콘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이동 단말기는 제1 면에 배치되는 제2 영역에 제1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만약 특정 시간 내에 아이콘에 대한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이동 단말기는 제1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할 수 있다. 아이콘에 대한 터치 입력의 예는 도 16을 참조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특정 시간 내에 제1 면의 특정 위치에 가해지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 단말기는 제1 면에 배치되는 제2 영역에 제1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만약 특정 시간 내에 특정 위치에 가해지는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이동 단말기는 제1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할 수 있다. 특정 위치에 가해지는 입력의 예는 도 14를 참조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대한 입력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에서, 제1 화면(1401)은 이동 단말기의 제1 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제2 화면(1402)는 제2 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제2 면에 배치됨에 기초하여 제1 화면(1401)은 제1 면에 표시되고 제2 화면(1402)은 제2 면에 배치되는 제1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존에 제1 영역에 표시되던 콘텐츠 위에는 다른 레이어가 중첩하여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경우에 따라 콘텐츠의 표시가 중지되거나 제2 면에 대한 입력이 제한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레이어의 표시는 특정 시간 동안 지속될 수 있으며, 특정 시간 내에 가해지는 입력을 기초로 콘텐츠를 다시 표시할지 또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할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만약 도 14와 같이 특정 시간 내에 제1 면의 특정 위치에 대한 터치 입력(1410)이 수신되면, 콘텐츠는 다시 표시될 수 있다. 콘텐츠는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 면의 영역, 즉 제2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콘텐츠 A가 표시되는 제1 화면(1401)에 제2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콘텐츠 B가 표시될 수 있다. 콘텐츠 B가 표시되는 예는 도 15를 참조할 수 있다.
한편, 도 14에서는 터치 입력(1410)이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는 스와이프 입력을 예로서 나타내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의 입력, 예를 들어 특정 위치에 대한 터치 입력, 롱프레스 입력 및 노크 온(knock-on)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 화면(1402)에 표시되는 다른 레이어 상에는 특정 컨텐츠, 예를 들면 텍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텍스트는 예를 들면 잠금 화면임을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잠금 화면 해제를 위한 정보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는 '후면은 잠금 상태입니다' 또는'후면 사용을 원하시면 화면을 오른쪽으로 밀어주세요'라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 화면(1402)에 특정 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제2 화면에 콘텐츠 B를 제공하거나, 다른 레이어의 표시를 종료하거나, 제2 화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특정 입력을 미리 지정된 입력으로서, 예를 들면 특정 방향으로의 스와이프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5는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제2 면에 배치된 후로부터 특정 시간 내에 입력이 수신되어 제1 면에 배치되는 화면에 제1 영역에서 제공되던 콘텐츠가 표시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제2 면에 배치된 후로부터 특정 시간 내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제1 면의 디스플레이에 제1 화면(1501)이 표시되고, 제2 면의 디스플레이에 제2 화면(1502)이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시간 내에 제1 입력(예: 제1 면의 특정 위치에 대한 입력, 제1 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됨에 대응하여 제1 면에 배치되는 제1 화면(1501)에는 제1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 B(1510)가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면에는 기존에 제2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 A가 표시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제1 입력에 대응하여 제1 화면(1501)과 같이 콘텐츠 A에 중첩하여 콘텐츠 B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B는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제2 면에 배치되기 전에 제1 영역에 표시되던 제1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에 대응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제1 애플리케이션의 다른 콘텐츠가 표시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입력에 대응하여 경우에 따라 콘텐츠 B는 콘텐츠 A를 대치하여 제1 화면(1501) 전체에 표시될 수도 있다.
제2 화면(1502)은 콘텐츠의 제공이 중단된 빈 화면에 대응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잠금 화면, 또는 AOD(always on display)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2 화면(1502)이 AOD(always on display) 화면을 포함하는 경우 제2 화면(1502)에는 미리 지정된 정보, 예를 들어 시간 또는 알람 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콘텐츠가 표시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6은 3개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기초하여 3개의 콘텐츠가 표시되는 경우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3개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콘텐츠 A, 제2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콘텐츠 B 및 제3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콘텐츠 C를 포함하는 제1 화면(1601)이 제1 면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6에 따르면, 콘텐츠 C는 제1 영역에 표시되고, 콘텐츠 A와 콘텐츠 B는 제2 영역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에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의 크기 감소에 대응하여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의 제1 면에서 다른 면으로 이동하여,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의 제1 면에는 제2 화면(1602)이 표시되고, 다른 면에는 제3 화면(1603)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의 크기 감소에 대응하여 제1 영역이 제2 면에 배치됨에 대응하여 제1 면에는 콘텐츠 A와 콘텐츠 B를 포함하는 제2 화면(1602)이 표시되고, 다른 면에는 콘텐츠 C의 표시가 중지된 또는 콘텐츠 C 위에 다른 레이어가 중첩된 제3 화면(1603)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면은 제2 면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면과 제2 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3 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6의 제2 화면(1602)을 참조하면,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다른 면에 배치됨에 대응하여 제1 면에는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아이콘(1610)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아이콘(1610)은 다른 면에 배치되는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아이콘(1610)은 특정 시간 동안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시간은 미리 지정된 시간(예: 10초)일 수 있으며,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다른 면에 배치된 시점으로부터 기산될 수 있다. 다만 특정 시간의 기산 시점은 상술된 예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콘텐츠의 표시가 중지되거나 콘텐츠 위에 다른 레이어가 중첩된 시점으로부터 기산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아이콘(1610)은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에 특정 시간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의 둘레에 특정 시간 전체 중 경과한 시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으로 아이콘과 함게 특정 시간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된 보다 구체적인 예는 도 22 또는 도 23을 참조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아이콘(1610)은 플로팅 아이콘(floating icon)으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입력을 기반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이콘(1610)은 아이콘(1610)에 대한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화면(1602) 내의 콘텐츠 A의 일부에 중첩되도록 표시되는 아이콘(1610)을 콘텐츠 B가 표시되는 영역으로 이동시키면 제4 화면(1604)과 같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면에는 제5 화면(1605)이 표시될 수 있으며, 제5 화면(1605)은 제3 화면(1603)에 대응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특정 시간 내에 아이콘(1610)에 대한 입력이 가해지면 이동 단말기는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에 아이콘(1610)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콘(1610)이 제2 면에 배치된 제1 영역에서 콘텐츠 C를 제공하는 제3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경우,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1610)에 대한 입력이 수신됨에 대응하여 콘텐츠 C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4 화면(1604)과 같이 제1 면에 표시되는 화면이 복수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경우, 콘텐츠 C가 표시되는 위치는 입력(또는 아이콘(1610)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콘(1610)이 제4 화면(1604)과 같이 콘텐츠 B에 중첩되어 표시됨에 기초하여 아이콘(1610)에 대한 입력이 콘텐츠 B에 중첩된 일 영역에 가해지는 경우, 아이콘(1610)에 대응하는 콘텐츠 C는 제6 화면(1606)과 같이 콘텐츠 B가 표시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아이콘(1610)이 제4 화면(1604)과 같이 콘텐츠 B에 중첩되어 표시됨에 기초하여 제1 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아이콘(1610)에 대응하는 콘텐츠 C는 제6 화면(1606)과 같이 콘텐츠 B가 표시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 B를 제공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은 종료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입력은 아이콘(1610)에 가해지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제1 면의 특정 위치에 대한 입력 또는 기지정된 종류(예: 스와이프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6 화면(1606)이 제1 면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경우, 제2 면의 디스플레이에는 제7 화면(1607)이 표시될 수 있다. 제3 화면(1603) 또는 제5 화면(1605)이 콘텐츠 C 위에 다른 레이어가 중첩된 화면인 경우, 제7 화면(1607)은 콘텐츠 C 및 다른 레이어의 표시가 종료된 화면일 수 있다.
도 1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콘텐츠가 표시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7은 디스플레이의 크기 감소에 대응하여 제2 면에 배치되는 영역이 복수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제2 면에 콘텐츠 표시를 위한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1 면의 디스플레이에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한 콘텐츠(콘텐츠 A, 콘텐츠 B, 콘텐츠 C 및 콘텐츠 D)가 표시되던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의 크기 감소에 대응하여 제1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에는 제1 화면(1701)이 표시되고, 제2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에는 제2 화면(1702)이 표시될 수 있다. 제1 화면(170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 A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 B를 포함하고, 제2 화면(1702)는 제3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 C와 제4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 D를 포함하되, 콘텐츠 C와 콘텐츠 D 위에는 다른 레이어가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의 크기 감소에 대응하여 제1 화면(1701)과 같이 제2 면에 배치되는 영역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면에 배치되는 영역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복수인 경우 도 17과 같이 애플리케이션 각각을 나타내는 아이콘(예: 제1 아이콘(1710), 제2 아이콘(1720))이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 면에 배치되는 영역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복수인 경우 아이콘은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콘텐츠의 위치를 기반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면에 배치되는 영역에 콘텐츠 C와 콘텐츠 D가 상하로 배치된 경우, 콘텐츠 C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1710)과 콘텐츠 D에 대응하는 제2 아이콘(1720)도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예: 제1 아이콘(1710), 제2 아이콘(1720))에 가해지는 입력을 기초로 아이콘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는 특정 시간 내에 아이콘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되는 입력 및 입력이 가해진 아이콘을 기초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아이콘(1710)에 대한 오른쪽 방향의 스와이프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1 아이콘(1710)에 대응하는 콘텐츠 C가 제2 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면에는 제4 화면(1704)이 표시되고, 제1 면에는 제3 화면(1703)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오른쪽 방향의 스와이프 입력은 제2 면에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입력으로, 도 12에서 설명한 제2 입력에 대응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만약 제1 아이콘(1710)에 대한 왼쪽 방향의 스와이프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1 아이콘(1710)에 대응하는 콘텐츠 C가 제1 면의 적어도 일부(예: 콘텐츠 A에 대응하는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콘텐츠 D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종료되고, 제2 면의 화면은 잠금 상태, 빈화면 또는 AOD 화면으로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왼쪽 방향의 스와이프 입력은 제1 면에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입력으로, 도 12에서 설명한 제1 입력에 대응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3 화면(1703)은 제1 아이콘(1710)에 대한 입력을 기초로 제1 아이콘(1710) 및 제2 아이콘(1720)의 표시가 종료된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화면(170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면의 상태를 나타내는 컨텐츠(173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텍스트를 포함하거나 컨텐츠(1730)가 생략될 수 있다.
제4 화면(1704)은 제1 아이콘(1710)에 대한 입력을 기초로 제1 아이콘(1710)에 대응하는 콘텐츠 C가 표시되고 제2 아이콘(1720)에 대응하는 콘텐츠 D의 표시가 종료된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콘텐츠 D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종료될 수 있다.
만약, 제1 아이콘(1710) 또는 제2 아이콘(1720)에 대한 입력 없이 특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제1 아이콘(1710) 및 제2 아이콘(1720)의 표시와, 제1 아이콘(1710)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아이콘(1720)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면의 디스플레이는 빈 화면이 되거나 AOD 상태의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콘텐츠가 상하로 표시되는 경우 각 콘텐츠를 구별하고 각 콘텐츠의 크기 조절을 위한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버튼은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버튼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하로 배치된 콘텐츠, 예를 들어 콘텐츠 A와 콘텐츠 B, 콘텐츠 C와 콘텐츠 D의 크기가 조정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아이콘이 표시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8은 제2 면에 배치되는 영역에 서로 다른 콘텐츠가 좌우로 표시되는 경우, 도 19는 은 제2 면에 배치되는 영역에 서로 다른 콘텐츠가 상하로 표시되는 경우 표시되는 아이콘의 예를 나타낸다.
도 1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의 확장 상태에서 제1 면에 콘텐츠 A, 콘텐츠 B, 및 콘텐츠 C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화면(1801)이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의 크기 감소에 대응하여 콘텐츠 C가 표시된 영역과 콘텐츠 B가 표시된 영역이 순차적으로 제2 면으로 이동하여 제2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콘텐츠 C에 대응하는 아이콘과 콘텐츠 B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C가 표시된 영역이 제2 면에 배치됨에 대응하여, 제1 면에는 제2 화면(1802)이 표시되고 제2 면에는 제3 화면(1803)이 표시될 수 있다. 제2 화면(1802)은 콘텐츠 C가 표시된 영역이 제2 면에 배치됨에 대응하여 나타나는 콘텐츠 C에 대한 제1 아이콘(18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화면(1803)은 콘텐츠 C 상에 다른 레이어가 중첩된 화면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콘텐츠 C의 표시가 중지된 화면, 잠금 화면, 빈화면 또는 AOD 화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콘텐츠 B가 표시된 영역이 제2 면에 배치됨에 대응하여, 제1 면에는 제4 화면(1804)이 표시되고 제2 면에는 제5 화면(1805)이 표시될 수 있다. 제4 화면(1804)은 제1 아이콘(1810)에 더하여 콘텐츠 B에 대한 제2 아이콘(18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아이콘(1820)은 콘텐츠 B가 표시된 영역이 제2 면에 배치됨에 대응하여 나타날 수 있다. 제5 화면(1805)은 콘텐츠 B와 콘텐츠 C 상에 다른 레이어가 중첩된 화면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콘텐츠 B와 콘텐츠 C의 표시가 중지된 화면, 잠금 화면, 빈화면 또는 AOD 화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8에 의하면, 제1 아이콘(1810) 및 제2 아이콘(1820) 각각의 둘레에는 각 아이콘과 관련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2 면에 배치됨에 대응하여 기산되는 특정 시간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특정 시간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특정 시간 전체(예: 10초) 중 각 아이콘과 관련된 영역이 제2 면에 배치된 시점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예: 3초)에 대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이콘에 대한 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채 특정 시간이 경과하면 아이콘 및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아이콘(1810)이 표시되고 특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제1 아이콘(1810)에 대한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제2 면에 표시된 제1 아이콘(1810)과 관련된 콘텐츠, 즉 콘텐츠 C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면에는 더 이상 콘텐츠 C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8과 같이 제1 아이콘(1810)과 제2 아이콘(1810)의 특정 시간에 대한 기산 시점이 다른 경우 각 아이콘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종료 시점도 상이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 아이콘(1810)과 제2 아이콘(1810)은 각 아이콘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나란하게 배치됨에 대응하여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9의 제1 화면(190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확장 상태에서 콘텐츠 A, 콘텐츠 B 및 콘텐츠 C가 표시될 수 있으며, 콘텐츠 B와 콘텐츠 C는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크기 감소에 대응하여 콘텐츠 B의 적어도 일부와 콘텐츠 C의 적어로 일부는 함께 제2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콘텐츠 B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1910)과 콘텐츠 C에 대응하는 제2 아이콘(1920)은 콘텐츠 B의 적어도 일부와 콘텐츠 C의 적어로 일부가 제2 면에 배치됨에 대응하여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즉, 제1 면에는 제1 아이콘(1910)과 제2 아이콘(1920)을 포함하는 제2 화면(1902)이 표시될 수 있다.
제2 화면(1902)의 표시에 대응하여, 제2 면에는 제3 화면(1903)이 표시될 수 있다. 제3 화면(1903)은 콘텐츠 B와 콘텐츠 C 위에 다른 레이어가 중첩된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3 화면(1903)은 콘텐츠 B와 콘텐츠 C의 표시가 중지된 화면, 잠금 화면, 빈화면 또는 AOD 화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제1 아이콘(1910)과 제2 아이콘(1920)의 둘레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시간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는데, 각 아이콘의 특정 시간에 대한 기산 시점이 동일하므로 동일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특정 시간 내에 제1 아이콘(1910)과 제2 아이콘(192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제1 아이콘(1910) 및 제2 아이콘(1920)의 표시가 종료되고 각 아이콘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특정 시간 내에 제1 아이콘(1910) 또는 제2 아이콘(1920)에 대한 입력이 수신되면, 수신된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에 입력이 가해진 아이콘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입력이 가해지지 않은 다른 아이콘의 표시 및 상기 다른 아이콘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은 종료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이 가해지지 않은 다른 아이콘은 특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까지 유지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0은 특정 콘텐츠가 제2 면에 배치됨에 대응하여 아이콘이 표시되고 아이콘에 가해지는 입력을 기초로 특정 콘텐츠의 표시가 제어되는 경우의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다. 도 21은 특정 콘텐츠가 제2 면에 배치된 후 가해지는 입력을 기초로 특정 콘텐츠의 표시가 제어되는 경우의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다.
도 20의 참조번호 20a, 20b 및 20c는 이동 단말기의 제1 면(예: 전면)의 예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20d는 이동 단말기의 제2 면(예: 다른 면)의 예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20a에 따르면,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기초하여 제1 면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한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면에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1 콘텐츠(2011), 제2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2 콘텐츠(2012), 제3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3 콘텐츠(2013), 및 제4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4 콘텐츠(2014)가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의 크기 감소를 기초로 제2 콘텐츠(2012) 및 제4 콘텐츠(2014)를 포함하는 제1 영역은 이동 단말기의 다른 면(예: 제2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면에는 참조번호 20b와 같이 제1 콘텐츠(2011) 및 제3 콘텐츠(2013)를 포함하는 제2 영역이 남아서 표시되고, 제1 면의 적어도 일부에 제1 영역에 표시되던 콘텐츠(예: 제2 콘텐츠(2012))에 대한 아이콘(2021)이 표시될 수 있다.
참조번호 20b에서는 아이콘(2021)이 다른 콘텐츠(예: 제1 콘텐츠(2011))에 중첩하여 표시되는 경우를 예로서 나타내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별도의 영역에 표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제2 콘텐츠(2012)가 다른 면에 배치됨에 대응하여 아이콘(2021)의 표시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을 유지하는 기간인 특정 시간이 기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특정 시간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특정 시간에 대한 정보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2021)의 둘레에 나타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에서, 콘텐츠가 다른 면에 배치됨에 대응하여 다른 면에 배치되는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 또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20b에 의하면 제4 콘텐츠(2014)가 다른 면에 배치됨에 대응하여 제1 면에는 제4 콘텐츠(2014)의 적어도 일부, 즉 제5 콘텐츠(2022)가 표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다른 면에 배치된 콘텐츠가 특정 유형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경우 다른 면에 배치된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제1 면에 표시할 수 있다. 특정 유형은 예를 들면 영상 또는 이미지와 같이 감상 유형 또는 콘텐츠의 로딩에 특정 시간 이상이 소요되는 유형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만약, 특정 유형이 감상 유형을 포함하는 경우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는 콘텐츠에 포함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5 콘텐츠(2022)는 상술한 아이콘과 마찬가지로 제4 콘텐츠(2014)가 다른 면에 배치된 시점으로부터 특정 시간 동안 표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콘텐츠(2022)의 둘레에 특정 시간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특정 시간은 콘텐츠의 유형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가 제1 유형인 경우 특정 시간은 제1 시간이고 콘텐츠가 제2 유형인 경우 특정 시간은 제2 시간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1 시간은 제2 시간 보다 긴 시간일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제1 유형은 로딩에 특정 시간이상이 소요되는 콘텐츠 유형, 예를 들어 영상과 같은 스트리밍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아이콘(2021)과 제5 콘텐츠(2022)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아이콘(2021)에 대한 입력이 수신되면 이동 단말기는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에 아이콘(2021)에 대응하는 콘텐츠, 즉 제2 콘텐츠(2012)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제5 콘텐츠(2022)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참조번호 20c와 같이 제1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5 콘텐츠(2022)에 대응하는 콘텐츠, 즉 제4 콘텐츠(2014)가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아이콘(2021)에 대한 제2 입력(예: 아이콘(2021)을 오른쪽으로 스와이프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이동 단말기는 참조번호 20d와 같이 제2 면에 아이콘(2021)에 대응하는 콘텐츠, 즉 제2 콘텐츠(2012)를 표시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아이콘(2021)에 대한 제1 입력(예: 아이콘(2021)을 왼쪽으로 스와이프하는 입력, 아이콘(2021)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이동 단말기는 제1 면에 아이콘(2021)에 대응하는 콘텐츠, 즉 제2 콘텐츠(2012)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1의 참조번호 21a는 도 20의 참조번호 20a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21의 제1 컨텐츠(2111)는 도 20의 제1 컨텐츠(2011)에 대응하고, 도 21의 제2 컨텐츠(2112)는 도 20의 제2 컨텐츠(2012)에 대응하고, 도 21의 제3 컨텐츠(2113)는 도 20의 제3 컨텐츠(2013)에 대응하고, 도 21의 제4 컨텐츠(2114)는 도 20의 제4 컨텐츠(2014)에 대응한다.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의 크기 감소를 기초로 제2 콘텐츠(2012) 및 제4 콘텐츠(2014)를 포함하는 제1 영역은 이동 단말기의 다른 면(예: 제2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다른 면에 배치된 영역에 대응하는 콘텐츠(또는 콘텐츠에 대한 애플리케이션)는 특정 시간 동안 홀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면에 제2 콘텐츠(2112)를 포함하는 영역이 배치되면, 제2 콘텐츠(2112)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중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참조번호 21b와 같이 특정 시간 내에 제1 입력(2121)이 가해지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지가 해제되어 참조번호 21c와 같이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예: 제1 면의 제1 콘텐츠(2111)가 표시되는 영역)에 제2 콘텐츠(2112)가 다시 표시될 수 있다. 만약, 특정 시간 내에 입력이 가해지지 않고 특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2 콘텐츠(2112)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참조번호 21c와 같이 제1 입력(2121)에 의해 제1 면에 제2 콘텐츠(2112)가 표시되는 경우, 제1 콘텐츠(2111)는 제2 콘텐츠(2112)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환 입력(2122)을 기초로 참조번호 21d와 같이 제1 콘텐츠(2111)가 다시 제1 면에 표시될 수 있다. 전환 입력(2122)는 제1 입력(2121)이 특정 방향을 가지는 경우 제1 입력(2121)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지정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다른 면에 배치된 콘텐츠가 복수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제1 입력(2121) 및 제1 입력(2121)이 가해진 위치를 기초로 다른 면에 배치되는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입력(2121)에 대응하는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21b과 같이 제1 콘텐츠(2111)가 표시되는 영역 중 일부에 제1 입력(2111)이 가해지는 경우, 참조번호 21c와 같이 제1 입력(2111)이 가해진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예: 제1 콘텐츠(2111)가 표시되는 영역)에 제2 콘텐츠(2112)를 표시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3 콘텐츠(2113)가 표시되는 영역 중 일부에 제1 입력(2111)이 가해지는 경우 제3 콘텐츠(2113)가 표시되는 영역에 제2 콘텐츠(2112)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21에서는 제1 입력(2111)이 왼쪽 방향의 스와이프 입력으로 구현되는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종류의 입력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2 및 도 23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아이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2는 특정 시간에 대한 정보가 아이콘과 연관되어 표시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도 23은 특정 시간에 대한 정보가 아이콘과 구분되어 나타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2 면으로 제1 콘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이 배치되어 특정 시간의 기산이 시작되면 제1 콘텐츠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아이콘은 제1 면에 제1-1 상태(2201), 제2-1 상태(2211) 또는 제3-1 상태(2221)로 표시될 수 있다. 즉, 특정 시간의 기산 시작 시점에서, 특정 시간에 대한 정보는 아이콘과 연관하여 제1-1 상태(2201), 제2-1 상태(2211) 또는 제3-1 상태(2221)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특정 시간에 대한 정보가 제1-1 상태(2201)와 같이 표시되는 경우 제1-1 상태(2201)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1-2 상태(2202) 및 제1-3 상태(2203)로 변화할 수 있다. 제1-1 상태(2201)는 아이콘의 둘레에 바(bar)가 표시된 경우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바가 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시간이 모두 경과하면 아이콘만 남고 바의 표시는 없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특정 시간에 대한 정보가 제2-1 상태(2211)와 같이 표시되는 경우 제2-1 상태(2211)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2-2 상태(2212) 및 제2-3 상태(2213)로 변화할 수 있다. 제2-1 상태(2211)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본 아이콘에 대응할 수 있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아이콘의 색이 상이한 색으로 점차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2 상태(2212)가 특정 시간 중 1/4가 경과한 시점인 경우 제2-2 상태(2212)는 아이콘의 1/4 정도가 다른 색으로 변경된 것일 수 있다.
특정 시간에 대한 정보가 제3-1 상태(2223)와 같이 표시되는 경우 제3-1 상태(2223)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3-2 상태(2222) 및 제3-3 상태(2223)로 변화할 수 있다. 제3-1 상태(2221)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본 아이콘에 대응할 수 있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아이콘의 밝기 또는 명암이 점차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즉 제3-1 상태(2221)에서 제3-2 상태(2222), 제3-3 상태(2223)로 변화할수록 아이콘의 밝기가 점점 어두워지거나 명암이 점점 짙어질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크기 감소에 대응하여 제1 면에는 제1 화면(2301) 또는 제3 화면(2303)이 표시될 수 있다. 제2 화면(2302)는 제1 화면(2301)의 표시에 대응하여 제2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제4 화면(2304)는 제3 화면(2303)의 표시에 대응하여 제2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의 크기 감소에 대응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제2 면에 배치되면, 특정 시간 동안 제1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의 표시가 중지되거나, 특정 시간 동안 제1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 위에 다른 레이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23과 같이 제1 면의 디스플레이, 즉 제1 화면(2301) 또는 제3 화면(2303)에 특정 시간에 대한 정보(2310, 2320)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면(2301)과 같이 특정 시간에 대한 정보(2310)는 디스플레이의 크기 감소에 의해 디스플레이가 감긴 또는 기존에 디스플레이가 배치되었던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3 화면(2303)과 같이 특정 시간에 대한 정보(2320)는 화면의 상단과 같은 특정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정 시간에 대한 정보(2310, 2320)는 특정 시간 전체에 대한 경과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로, 도 23과 같이 바(bar) 형태의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의 크기 감소에 따라 전면에 표시되던 콘텐츠가 후면으로 이동하는 경우 콘텐츠를 바로 종료시키지 않고 특정 시간 동안 대기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시 콘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신속하게 콘텐츠를 다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은, 특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콘텐츠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켜 이동 단말기의 구동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은, 특정 시간 내에 수신되는 입력을 기초로 콘텐츠의 표시 위치를 결정하여 사용자의 사용 양태에 적합하게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명세서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명세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면에 배치되는 크기가 변경되는 디스플레이와,
    제어부(controller)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제1 애플리케이션의 제1 콘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제1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제2 애플리케이션의 제2 콘텐츠를 표시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다른 면에 배치시키고,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1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2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제1 콘텐츠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다른 면에 배치됨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의 표시를 중지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2 콘텐츠의 표시를 중지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다른 면에 배치됨에 대응하여 상기 다른 면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고, 상기 다른 면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터치 입력 감지를 비활성화하는
    이동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면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표시되는 상기 제1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 위에 다른 레이어를 중첩하여 표시하거나, 상기 다른 면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의 밝기를 특정 값으로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에 대한 제3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다른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제1 콘텐츠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의 터치 입력 감지를 비활성화하는
    이동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다른 면에 배치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아이콘에 대한 입력인
    이동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이 표시되는 위치는 상기 제1 영역의 위치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이동 단말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아이콘이 표시된 이후 특정 시간 내에 수신되는 터치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특정 시간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유형 또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제1 콘텐츠의 유형을 기초로 결정되는
    이동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제1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 상기 제1 콘텐츠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특정 시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시간 내에 상기 다른 면으로 배치된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다시 상기 제1 면에 배치되면, 상기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시간 경과 후 상기 다른 면으로 배치된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다시 상기 제1 면에 배치되면, 상기 제2 콘텐츠를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시간 내에 상기 제1 입력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특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입력이 수신된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제2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 콘텐츠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일측에 감겨서 위치되는 제3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면에 배치되는 크기가 변경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7. 이동 단말기의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면에 배치되는 크기가 변경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제1 애플리케이션의 제1 콘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제1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제2 애플리케이션의 제2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다른 면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1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2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제1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다른 면에 배치됨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의 표시를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다른 면에 배치됨에 대응하여 상기 다른 면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고 상기 다른 면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터치 입력 감지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다른 면에 배치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아이콘에 대한 입력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227030500A 2020-04-27 2020-04-27 콘텐츠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1405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5494 WO2021221180A1 (ko) 2020-04-27 2020-04-27 콘텐츠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546A true KR20220140546A (ko) 2022-10-18

Family

ID=78222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0500A KR20220140546A (ko) 2020-04-27 2020-04-27 콘텐츠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69704B1 (ko)
EP (1) EP4145815A4 (ko)
KR (1) KR20220140546A (ko)
WO (1) WO20212211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66246S1 (en) * 2020-03-31 2022-10-11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966248S1 (en) * 2020-03-31 2022-10-11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977468S1 (en) * 2020-03-31 2023-02-07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966247S1 (en) * 2020-03-31 2022-10-11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1001788S1 (en) * 2020-04-02 2023-10-17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989055S1 (en) * 2020-04-02 2023-06-13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981384S1 (en) * 2020-04-06 2023-03-21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978849S1 (en) * 2020-04-06 2023-02-21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978123S1 (en) * 2020-04-06 2023-02-14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981997S1 (en) * 2020-04-06 2023-03-28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978848S1 (en) * 2020-04-06 2023-02-21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981996S1 (en) * 2020-04-06 2023-03-28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974343S1 (en) * 2020-04-06 2023-01-03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986846S1 (en) * 2020-05-18 2023-05-23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WO2023167551A1 (ko) * 2022-03-04 2023-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 키패드를 포함하는 화면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958B1 (ko) * 2008-09-18 2015-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693690B1 (ko) * 2010-05-26 2017-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3734405A1 (en) * 2011-02-10 2020-1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comprising a touch-screen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1789625B1 (ko) * 2011-06-23 2017-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17683B1 (ko) 2012-02-21 2018-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KR102104588B1 (ko) * 2012-07-11 2020-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417318B1 (ko) * 2012-08-17 2014-07-09 주식회사 팬택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이동 단말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WO2014122656A1 (en) * 2013-02-10 2014-08-14 Menachem Erad A mobile device with multiple interconnected display units
KR20150007910A (ko) * 2013-07-11 2015-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KR102220085B1 (ko) * 2013-10-18 2021-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윈도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15119485A1 (en) * 2014-02-10 2015-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2266152B1 (ko) * 2018-02-22 2021-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 변경이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69704B1 (en) 2021-11-09
EP4145815A1 (en) 2023-03-08
EP4145815A4 (en) 2024-02-14
WO2021221180A1 (ko) 2021-11-04
US20210333991A1 (en) 202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40546A (ko) 콘텐츠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1625067B2 (en)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ima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709594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20149705A (ko) 이동 단말기
KR20210118850A (ko) 이동 단말기
EP3945711B1 (en) Mobile terminal
US11563835B2 (en) Mobile terminal
KR20220118466A (ko) 이동 단말기
KR20220150924A (ko) 이동 단말기
KR20220139921A (ko) 이동 단말기
KR20230047055A (ko) 이미지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164540A (ko) 이동 단말기
US20210350767A1 (en)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cont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107201A (ko) 이동 단말기
KR20230002600A (ko) 이동 단말기
KR20220166839A (ko) 이동 단말기
KR20220118465A (ko) 이동 단말기
EP3964918B1 (en) Mobile terminal
EP3916533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30110799A (ko) 이동 단말기
KR20230065971A (ko) 이동 단말기
KR20230061295A (ko) 이동 단말기
KR20230002599A (ko) 이동 단말기
KR20230058606A (ko) 애플리케이션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02610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