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529B1 - 이형제 교반기의 분사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이형제 교반기의 분사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529B1
KR101332529B1 KR1020110135009A KR20110135009A KR101332529B1 KR 101332529 B1 KR101332529 B1 KR 101332529B1 KR 1020110135009 A KR1020110135009 A KR 1020110135009A KR 20110135009 A KR20110135009 A KR 20110135009A KR 101332529 B1 KR101332529 B1 KR 101332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agent
stirring
pressure
stirring tank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7946A (ko
Inventor
조경학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5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529B1/ko
Publication of KR20130067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7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comprising sensors for monitoring the delivery, e.g. by displaying the sensed value or generating an alarm
    • B05B12/006Pressure or flow rat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2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gate valve, a sliding valve or a c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20Arrangements for agitat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e.g. for stirring, mixing or homogenising
    • B05B15/25Arrangements for agitat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e.g. for stirring, mixing or homogenising using moving elements, e.g. rotating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02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e.g. the material to be spray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반조(12), 교반날개(14), 교반모터(16)를 지니는 교반기(10) 상에서 이형제를 교반하여 분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반조(12)의 저면에서 3개소에 균등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로드셀(20); 상기 교반조(12)의 이형제 투입과 분사 유로를 각각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솔레노이드밸브(26)(27); 상기 교반조(12) 내부의 압력을 압력센서(31)로 검출하는 감지수단(30); 및 상기 감지수단(30)의 신호를 입력하여 표시하고, 설정치를 벗어나면 경보하는 제어기(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교반기내의 이형제를 적절한 수위와 배출압력 상태로 유지하여 오버플로우와 고화현상을 방지하고 이형제의 도포상태를 향상하여 불량방지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형제 교반기의 분사 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parting agent spray}
본 발명은 타이어 제조공정중 스프레이 공정에서의 이형제 분사용 교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교반기내의 이형제 투입량과 교반기의 내부압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적정 압력을 벗어날 경우 교반기를 통한 이형제의 배출을 방지하는 이형제 교반기의 분사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타이어의 제조현장에서 성형이 완료된 그린타이어가 가류기 몰드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외주면에 이형제를 분사하여 도포하는 과정을 거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교반기는 이형제의 용량을 감지하기 위해 기준봉, 상위봉, 하위봉으로 이루어지는 전극봉을 사용하는데 이형제 용액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경우 정확한 감지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허용된 측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의 에러, 예컨대 잔량 미감지 현상이 발생되기도 한다.
또한, 교반기 전극봉 방식은 이형제에 침지된 상태로 장시간 경과시 감지 신뢰도가 저하되어 교반기내 배출압력이 고르지 않으며, 이에 작업자가 임의대로 배출압력을 높여 사용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여 이형제 도포시 분사압력이 높아 불량을 초래한 경우가 많다. 이형제 물질의 점도 특성상 고화현상이 발생되면 교반기내 이형제 용액의 잔량이 거의 없음에도 불구하고 용액량이 만수위로 표시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이형제 특성상 장시간 접촉되는 전극봉의 감지부 끝단주변에 이형제가 들러붙어 정확한 수위를 인식 못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로드셀을 이용하여 이형제 중량을 측정하는 교반기내 수위(용량) 측정 방식이 도입되기도 한다.
일예로, 한국등록특허 제0476546호의 "로드 셀을 이용한 이형 용액의 농도 조절장치"에 의하면 용액 교반조(5)의 하부에 장착된 로드 셀(21); 이형 용액의 농도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컴퓨터(24); 상기 컴퓨터(24)와 연결되어 상기 입력치를 상기 로드 셀(21)로부터의 원액 중량과 비교하여 냉각수(9) 및 스팀(10)의 공급량을 산출하는 피엘시(23); 상기 피엘시(23)로부터의 상기 공급량에 대한 수치적 신호를 기초로 상기 냉각수(9) 및 스팀(10)의 공급량(밸브)을 조절하기 위한 컨트롤러(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특허에 의하면 단지 로드셀을 이용한 이형제의 용량 감시를 요지로 하기 때문에 이형제의 분사 상태와 관련된 세부적인 정보를 판단할 수 없어 결국 공정불량을 근원적으로 해소하기에 미흡하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반기내의 이형제를 적절한 수위와 배출압력 상태로 유지하여 오버플로우와 고화현상을 방지하고 이형제의 도포상태를 향상하여 불량방지에 기여하는 이형제 교반기의 분사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반조, 교반날개, 교반모터를 지니는 교반기 상에서 이형제를 교반하여 분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반조의 저면에서 3개소에 균등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로드셀; 상기 교반조의 이형제 투입과 분사 유로를 각각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교반조 내부의 압력을 압력센서로 검출하는 감지수단; 및 상기 감지수단의 신호를 입력하여 표시하고, 설정치를 벗어나면 경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교반조는 이형제의 온도에 따른 점도 유지를 위하여 히터와 온도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감지수단은 교반조 내의 이형제 고화상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교반모터에 토크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기는 교반조 내의 이형제 용량을 디스플레이하는 용량표시부, 교반조 내의 압력을 디스플레이하는 압력표시부, 용량과 압력이 설정 범위를 벗어나는 상태를 알리는 경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기는 교반조 내의 이형제 용량에 따라 투입을 단속하는 동시에 교반조 내의 이형제의 압력에 따라 배출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교반기내의 이형제를 적절한 수위와 배출압력 상태로 유지하여 오버플로우와 고화현상을 방지하고 이형제의 도포상태를 향상하여 불량방지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형제 용액과 접촉되지 않으므로 오작동 될 확률이 현저히 낮고 사용자가 육안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잔량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형제의 재투입 용액량 및 시기를 결정하기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형제 교반기의 분사 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교반조(12), 교반날개(14), 교반모터(16)를 지니는 교반기(10) 상에서 이형제를 교반하여 분사하는 장치에 관련된다. 교반기(10)는 타이어 제조공정중 가류전단에 있어서 그린케이스 상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스프레이 공정에 사용된다. 교반조(12)의 내부 일측에 교반날개(14)가 수용되고 외부에서 교반모터(16)와 연결되어 설정된 속도로 이형제를 교반한다. 적절히 교반된 이형제는 솔레노이드밸브(27)를 통하여 그린케이스 외부를 도포하는 아웃사이드 도포장치 및 내부를 도포하는 인사이드 도포장치로 구성된 분사장치에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반조(12)의 저면에서 3개소에 균등한 간격으로 로드셀(20)이 설치된다. 교반조(12)의 하부에서 지지대(22)를 이용하여 어느 한쪽으로 치우지지 않도록 수평 상태로 3개의 로드셀(20)을 설치한다. 물론 로드셀(20)은 후술하는 제어기(50)를 통하여 전원이 인가되고 신호를 생성한다. 교반기(10)의 자체 중량에 대한 정보와 이형제가 투입된 후의 정보를 기반으로 교반조(12) 내의 이형제 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3개의 로드셀(20)을 사용하면 신호를 합산하여 평균하는 방식으로 측정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이형제가 교반조(12)에 과도하게 투입되어 오버플로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반조(12)는 이형제의 온도에 따른 점도 유지를 위하여 히터(28)와 온도센서(33)를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 통상 이형제를 비롯한 용액은 온도가 상승할수록 점도가 저하된다. 하절기와 동절기에 주변온도 차이가 발생하는 바, 특히 동절기에 히터(28)를 작동하는 것이 좋다. 히터(28)는 면상발열체를 사용하여 교반조(12)의 저면을 비롯한 외면에 넓게 설치한다. 이 경우 온도센서(33)는 후술하는 감지수단(30)에 대한 추가적인 실시예의 하나로 볼 수 있으며, 검출된 이형제의 온도에 따라 히터(28)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함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교반조(12)의 이형제 투입과 분사 유로를 각각 개폐하도록 솔레노이드밸브(26)(27)가 설치된다. 교반조(12)의 상측으로 이형제 원액 또는 온수를 교반조(12)에 공급하기 위한 호퍼(25)가 설치되고, 교반조(12)의 하측으로 교반된 이형제를 도포장치에 배출하기 위한 유로가 설치된다. 상측의 솔레노이드밸브(26)는 이형제의 투입 경로를 단속하고, 하측의 솔레노이드밸브(27)는 이형제의 분사 경로를 단속한다. 솔레노이드밸브(26)(27)는 교반조(12) 내부의 이형제의 상태에 따라 설정된 조건으로 온오프되어 유로를 개폐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교반조(12) 내부의 압력을 압력센서(31)로 검출하는 감지수단(30)이 설치된다. 감지수단(30)의 중요한 요소인 압력센서(31)는 이형제와 접촉이 적은 부분에 설치된다. 교반조(12)의 이형제가 만수위에 이를수록 상부 공간이 줄어들고 압력이 낮아지는 현상을 보인다. 이형제의 압력이 낮아지면 전술한 분사장치를 통한 분사압력도 저하되어 탈형시 불량을 초래한다.
이때, 상기 감지수단(30)은 교반조(12) 내의 이형제 고화상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교반모터(16)에 토크센서(35)를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 통상적으로 교반조(12) 내의 이형제는 대기 상태에서 고화되는 성질이 매우 강하다. 이형제의 고화성질은 압력, 온도, 교반속도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교반모터(16)에 설치되는 토크센서(35)는 교반날개(14)에 의한 저항을 검출하여 현재 용량, 온도, 압력에 대응한 구동토크가 비정상적인지 판단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기(40)가 상기 감지수단(30)의 신호를 입력하여 표시하고, 설정치를 벗어나면 경보하는 구조이다. 제어기(40)는 전술한 압력센서(31), 온도센서(33), 토크센서(35)의 입력을 받고, 교반모터(16)와 솔레노이드밸브(26)(27)에 출력하는 알고리즘을 요체로 한다. 물론 상기의 제어되는 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표시하고 경고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어기(40)는 교반조(12) 내의 이형제 용량을 디스플레이하는 용량표시부(41), 교반조(12) 내의 압력을 디스플레이하는 압력표시부(43), 용량과 압력이 설정 범위를 벗어나는 상태를 알리는 경고부(45)를 구비한다. 용량표시부(41)는 로드셀(20)에 의한 신호를 처리하여 표시하고, 압력표시부(43)는 압력센서(31)에 의한 신호를 처리하여 표시한다. 이외에 전술한 온도센서(33)와 토크센서(35)에 의한 처리량을 표시하는 추가적인 표시부의 구성도 가능하다. 용량표시부(41)와 압력표시부(43)를 비롯한 모든 표시부는 디지털 방식의 숫자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좋다. 경고부(45)는 램프를 이용한 시각적인 경보와 스피커를 이용한 청각적인 경보를 병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제어기(40)는 교반조(12) 내의 이형제 용량에 따라 투입을 단속하는 동시에 교반조(12) 내의 이형제의 압력에 따라 배출을 단속한다. 이형제가 저수위에 이르면 상측의 솔레노이드밸브(26)를 온하여 이형제를 투입하고, 만수위에 이르면 솔레노이드밸브(26)를 오프하여 이형제의 투입을 차단한다. 그리고 이형제의 압력이 너무 낮거나 높으면 하측의 솔레노이드밸브(27)를 오프하여 분사장치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물론 솔레노이드밸브(27) 대신 또는 솔레노이드밸브(27)와 함께 분사장치의 스프레이건(도시 생략)을 직접 온오프할 수도 있다. 교반조(12)의 이형제가 만수위 상태에서는 내부에서 밀어주는 공기 압력이 작아지기 때문에 실제 스프레이건에서 분사되는 이형제는 넓은 각도로 퍼지지 않고 뭉친 상태로 분사되어 특정부위 도포불량의 원인이 된다.
현장의 경험으로 확인된 바에 의하면 교반조(12) 내의 용액 용량을 10~60㎏, 바람직하게는 30~40㎏의 범위로 설정하여 이형제의 투입을 단속하면서 압력이 설정치를 벗어나는 순간 이형제의 배출과 분사를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교반기 12: 교반조
14: 교반날개 16: 교반모터
20: 로드셀 25: 호퍼
26, 27: 솔레노이드밸브 28: 히터
30: 감지수단 31: 압력센서
33: 온도센서 35: 토크센서
40: 제어기 41: 용량표시부
43: 압력표시부 45: 경고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교반조(12), 교반날개(14), 교반모터(16)를 지니는 교반기(10) 상에서 이형제를 교반하여 분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반조(12)의 저면에서 3개소에 균등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로드셀(20);
    상기 교반조(12)의 이형제 투입과 분사 유로를 각각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솔레노이드밸브(26)(27);
    상기 교반조(12) 내부의 압력을 압력센서(31)로 검출하는 감지수단(30); 및
    상기 감지수단(30)의 신호를 입력하여 표시하고, 설정치를 벗어나면 경보하는 제어기(40);를 포함하되,
    상기 교반조(12)는 이형제의 온도에 따른 점도 유지를 위하여 히터(28)와 온도센서(33)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감지수단(30)은 교반조(12) 내의 이형제 고화상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교반모터(16)에 토크센서(35)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기(40)는 교반조(12) 내의 이형제 용량에 따라 투입을 단속하는 동시에 교반조(12) 내의 이형제의 압력에 따라 배출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제 교반기의 분사 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40)는 교반조(12) 내의 이형제 용량을 디스플레이하는 용량표시부(41), 교반조(12) 내의 압력을 디스플레이하는 압력표시부(43), 용량과 압력이 설정 범위를 벗어나는 상태를 알리는 경고부(4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제 교반기의 분사 조절장치.
  5. 삭제
KR1020110135009A 2011-12-15 2011-12-15 이형제 교반기의 분사 조절장치 KR101332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009A KR101332529B1 (ko) 2011-12-15 2011-12-15 이형제 교반기의 분사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009A KR101332529B1 (ko) 2011-12-15 2011-12-15 이형제 교반기의 분사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946A KR20130067946A (ko) 2013-06-25
KR101332529B1 true KR101332529B1 (ko) 2013-11-22

Family

ID=48863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009A KR101332529B1 (ko) 2011-12-15 2011-12-15 이형제 교반기의 분사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25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202B1 (ko) * 2006-03-28 2007-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레스 단조공정의 이형제 재활용 시스템
KR101007643B1 (ko) * 2008-11-04 2011-01-13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이형제 희석액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202B1 (ko) * 2006-03-28 2007-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레스 단조공정의 이형제 재활용 시스템
KR101007643B1 (ko) * 2008-11-04 2011-01-13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이형제 희석액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946A (ko) 201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0271B2 (en) Material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with capacitance sensor assembly
US8251569B2 (en) Automated solution maker apparatus
CN104955631B (zh) 用于在挤出中间接地确定特定配方的方法和设备
KR20120128359A (ko) 세탁기의 수위측정오류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JP2008539071A (ja) 噴射装置の性能を監視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60133895A (ko) 연료전지시스템의 공기공급계 고장진단장치 및 그 고장진단방법
CN107507733A (zh) 基于动态液位的液位报警开关检测方法及其报警线的标定方法
KR101332529B1 (ko) 이형제 교반기의 분사 조절장치
KR101564334B1 (ko) 수처리 공정용 농도측정식 폴리머 자동 용해장치
KR20170004641A (ko) 압축기의 리크 테스트 장치 및 방법
CN112405864B (zh) 搅拌站协同卸料方法及装置
KR101414041B1 (ko) 토양, 지하수 오염방지 유류 저장탱크의 누유 모니터링 방법
CN207628858U (zh) 一种cip清洗储罐的防错装置
KR20100035809A (ko) 시험편 냉각장치
WO2021220719A1 (ja) 成形システム、異常予測装置、異常予測方法、プログラム及び学習済みモデル
JP2017189966A (ja) ミキサ車及びミキサ車管理システム
KR101172160B1 (ko) 대기 차단형 물탱크를 갖는 보일러의 자동 물 보충방법
JP2022077628A (ja) 異常予測システム、異常予測装置、異常予測方法、プログラム及び学習済みモデル
CN110411680B (zh) 一种用于密闭式液冷系统的注排液及压力检测装置
CN207602476U (zh) 基于动态液位的液位报警开关检测装置及其报警线的标定装置
KR101022879B1 (ko) 타이어용 벨트드럼의 벨트결함 검출장치
KR101517216B1 (ko) 사출기 통합 인디케이터
JP6063770B2 (ja) 混合噴射装置の異常予告装置
JP6611077B2 (ja) Fv測定装置およびfv測定方法
US20190366597A1 (en) Mold release agent monitor and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