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508B1 -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508B1
KR101332508B1 KR1020110123753A KR20110123753A KR101332508B1 KR 101332508 B1 KR101332508 B1 KR 101332508B1 KR 1020110123753 A KR1020110123753 A KR 1020110123753A KR 20110123753 A KR20110123753 A KR 20110123753A KR 101332508 B1 KR101332508 B1 KR 101332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daemon
advertisement
audio data
ringback 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7815A (ko
Inventor
김상호
Original Assignee
김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호 filed Critical 김상호
Priority to KR1020110123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508B1/ko
Publication of KR20130057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은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스마트폰의 운영체계 상에서 데몬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제 110 단계; 데몬이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서비스 서버로 접속하여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 120 단계; 상기 데몬이 상기 스마트폰의 운영체계에 의해 아웃고잉 콜의 연결시도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제 130 단계; 아웃고잉 콜의 연결시도 이벤트 발생시 상기 데몬이 상기 스마트폰의 운영체계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링백톤을 상기 스마트폰의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지 못하도록 무력화하는 제 140 단계; 상기 데몬이 상기 수신한 링백톤에 대하여 음향패턴 분석을 통해 통화중인지 또는 호 연결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50 단계;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링백톤이 통화중을 나타내는지 또는 호 연결음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데몬이 상기 제 120 단계에서 저장된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160 단계; 상기 데몬이 상기 선택된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 170 단계; 상기 데몬이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횟수 또는 재생 시간을 카운트하는 제 180 단계; 및 상기 데몬이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접속하여 카운트 결과를 전송하는 제 190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할 때 사용자의 불편함으로 초래하지 않는 범위에서 자연스럽게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으며, 데몬을 상주시켜 이벤트 발생을 모니터링 함으로써 광고의 노출이 가능케 함은 물론 광고의 노출에 따른 보상의 처리를 가능토록 한다는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NG ADVERTISEMENT ON SMART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광고를 제공하되,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소정의 광고 시청의 대가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고는 각종의 매체에 여러가지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공중파 방송이나 IPTV 방송프로그램 도중에 상영되거나, 포털 사이트나 인터넷 홈페이지 배너광고의 형태로 게재되거나, 신문지상에 인쇄되기도 한다.
이러한 광고는 그 형태여하를 막론하고 광고주로부터 소정의 광고비를 수령함으로써 광고 시청자의 매체 이용요금을 경감시켜주고, 또 이에 의해 광고 시청자의 수와 충성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다시 광고비 단가를 상승시키는 선순환 구조의 비지니스 모델을 가진다는 점에 공통점이 있다.
한편, 광고가 게재되는 매체들은 시대의 변화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큰 변화를 보이기도 한다. 인터넷이 일반에 보급되기 시작한 지 불과 십 수년만에 인터넷 광고시장이 공중파 광고시장의 규모를 추월한 것은 이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고 하겠다.
그런데, 최근 스마트폰이 전세계적으로 빠른 속도로 보급되면서 소프트웨어 산업, 게임 산업, 컨텐츠 시장 등이 빠른 속도로 스마트폰 플랫폼에 적합한 형태로 진화하기 시작하였다.
한편, 스마트폰을 보유한 가입자들의 수가 증가하고, 이들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스마트폰은 광고 플랫폼으로서의 적합성을 인정받기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광고업계 또한 스마트폰 플랫폼에서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뛰어들기 시작하고 있다.
스마트폰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광고의 형태를 살펴보면 가장 먼저 등장한 것은 스마트폰용 앱(App)의 상하단 등에 배너광고의 형태로 광고대상의 모바일 웹 페이지를 연결하는 링크를 거는 형태이다.
그러나, 스마트폰은 기존의 다른 매체들과는 달리 전화를 한다거나, 특정한 앱을 실행한다는 등 뚜렷한 목적성을 가지고서 조작을 하기 때문에 조작도중 앱의 일측에 노출된 링크를 클릭하여 해당 모바일 웹 페이지로 이동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하는 사용자는 극히 드물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에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광고의 형태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은 기존의 매체와는 달리 폐쇄적인 운영체계, 한정적인 하드웨어 자원, 작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크기 등, 푸쉬 메시지를 통한 메시지의 송수신, 이동통신망을 통한 이동통신단말기로서의 기능 등 기존 매체와 차별되는 제약을 가지고 있어, 배너 광고와 같은 기존의 광고 형태를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스마트폰에 광고를 노출시키되 사용자로 하여금 거부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며, 광고에 의해 사용자의 스마트폰 사용에 불편함이 초래되지 않도록 스마트폰 플랫폼의 특징을 십분 활용하는 새로운 형태의 광고방식의 개발이 필요하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1-0057814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스마트폰의 위치 정보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 [문헌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2-0076608호 "위치기반정보, 소셜 네트워크, 결제정보시스템 및 방법" [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9786호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방법" [문헌 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7562호 "스마트폰을 이용한 마케팅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사용하되 특정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앱을 실행하는 상황이 아닐 때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지 않는 범위에서 자연스럽게 광고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의 광고 제공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 플랫폼의 고유한 제약에도 불구하고 광고의 노출은 물론 광고의 노출에 따른 보상의 처리를 가능케하는 스마트폰의 광고 제공방법의 제공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은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스마트폰의 운영체계 상에서 데몬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제 110 단계;
데몬이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접속하여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 120 단계;
상기 데몬이 상기 스마트폰의 운영체계에 의해 아웃고잉 콜의 연결시도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제 130 단계;
아웃고잉 콜의 연결시도 이벤트 발생시 상기 데몬이 상기 스마트폰의 운영체계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링백톤을 상기 스마트폰의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지 못하도록 무력화하는 제 140 단계;
상기 데몬이 상기 수신한 링백톤에 대하여 음향패턴 분석을 통해 통화중인지 또는 호 연결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50 단계;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링백톤이 통화중을 나타내는지 또는 호 연결음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데몬이 상기 제 120 단계에서 저장된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160 단계;
상기 데몬이 상기 선택된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 170 단계;
상기 데몬이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횟수 또는 재생 시간을 카운트하는 제 180 단계; 및
상기 데몬이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접속하여 카운트 결과를 전송하는 제 190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은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스마트폰의 운영체계 상에서 데몬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제 210 단계;
데몬이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접속하여 광고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 220 단계;
상기 데몬이 인커밍 콜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의 운영체계가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제 230 단계;
인커밍 콜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데몬이 상기 스마트폰의 운영체계가 기 설정된 벨소리를 상기 스마트폰의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지 못하도록 무력화하는 제 240 단계;
상기 데몬이 상기 제 220 단계에서 저장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250 단계;
상기 데몬이 상기 스마트폰의 스피커를 통해 상기 선택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화면을 통해 상기 선택된 광고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 260 단계;
상기 데몬이 광고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 횟수 또는 재생 시간을 카운트하는 제 270 단계; 및
상기 데몬이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접속하여 카운트 결과를 전송하는 제 280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은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스마트폰의 운영체계 상에서 데몬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제 310 단계;
데몬이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접속하여 광고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 320 단계;
상기 데몬이 알람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의 운영체계가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제 330 단계;
알람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데몬이 상기 스마트폰의 운영체계가 기 설정된 알람소리를 상기 스마트폰의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지 못하도록 무력화하는 제 340 단계;
상기 데몬이 상기 제 320 단계에서 저장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350 단계;
상기 데몬이 상기 스마트폰의 스피커를 통해 상기 선택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화면을 통해 상기 선택된 광고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 360 단계;
상기 데몬이 광고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 횟수 또는 재생 시간을 카운트하는 제 370 단계; 및
상기 데몬이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접속하여 카운트 결과를 전송하는 제 380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할 때 사용자가 앱을 실행하여 스마트폰의 특정한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가 아닌 단순히 전화기 용도로 사용하거나 알람시계의 용도로 사용하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불편함으로 초래하지 않는 범위에서 자연스럽게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할 때 광고노출에 의해 스마트폰의 사용에 불편함이 초래되는 종래의 문제점이 해소된다.
더 나아가 데몬을 상주시켜 이벤트 발생을 모니터링 함으로써 광고의 노출이 가능케 함은 물론 광고의 노출에 따른 보상의 처리를 가능토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스마트폰과 서버, 광고주 서버, 교환기가 연결되는 관계를 설명하는 망구성도이며,
도 2는 스마트폰에서 광고 표시여부를 설정하는 모습을 예시하는 화면 예시도이며,
도 3은 스마트폰에서 아웃고잉 콜의 발생시 광고 음원이 재생되는 모습을 표시하는 화면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에서 광고 음원을 선택하는 과정을 부연하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6은 스마트폰에서 인커밍 콜의 발생시 광고 음원, 영상이 재생되는 모습을 표시하는 화면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에서 광고 음원을 선택하는 과정을 부연하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9는 스마트폰에서 알람의 발생시 광고 음원, 영상이 재생되는 모습을 표시하는 화면 예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며,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에서 광고 음원을 선택하는 과정을 부연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관련없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한다.
한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수단", "~부", "~모듈", "~블록"으로 명명된 구성요소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들 각각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스마트폰과 서버, 광고주 서버, 교환기가 연결되는 관계를 설명하는 망구성도이며, 도 2는 스마트폰에서 광고 표시여부를 설정하는 모습을 예시하는 화면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마트폰(1)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스마트폰(1)은 기지국(4)을 경유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교환기(5)를 거쳐 HLR(미도시)에 위치등록을 함으로써 인커밍 콜과 아웃고잉 콜을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1)은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로서의 기능 이외에도 유무선 인터넷 망을 통해 서비스 서버(2)로 접속하여 광고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모션 이미지 이외에 스틸 이미지를 포함하며 이하 같다.)을 제공받는다.
한편, 서비스 서버(2)는 광고주 클라이언트(3)로부터 광고 의뢰를 받아 광고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제작하며 이를 스마트폰(1)으로 제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스마트폰(1)의 사용자는 이와 같이 서비스 서버(2)로부터 제공받아 스마트폰(1)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알람이나 전화벨소리, 링백톤 등으로 사용할 것인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전제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스마트폰에서 아웃고잉 콜의 발생시 광고 음원이 재생되는 모습을 표시하는 화면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에서 광고 음원을 선택하는 과정을 부연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사용자가 스마트폰(1)에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전용 앱(App)을 설치하여 실행함에 따라 상기 앱이 데몬(Daemon)의 형태(이하 데몬이라 함)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된다(S110).
즉, 해당 앱을 종료하더라도 프로세스 자체가 종료되지 않고 메모리에 상주하여 백 그라운드에서 실행된다는 의미이다.
한편, 상기 데몬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 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동안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서비스 서버(2)로 접속하여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로컬에 저장한다(S120). 이때 광고 비디오 데이터를 더 수신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는 백 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동안 이를 수신하여 저장토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이러한 데몬은 백그라운드로 실행되는 동안 상기 스마트폰의 운영체계에 의해 아웃고잉 콜의 연결시도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S130).
사용자가 스마트폰(1)을 이용하여 전화통화를 위해 통화버튼을 누르면 스마트폰이 운영체계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교환기로 호 연결을 위해 소정의 신호를 송출한다.
데몬은 이를 모니터링하였다가 상기 스마트폰(1)의 운영체계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링백톤을 상기 스마트폰의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지 못하도록 무력화한다(S140).
즉, 스마트폰(1)은 교환기(5)를 통해 링백톤을 제공받으며 이를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는데 데몬은 이를 차단한다.
대신, 상기 S120 단계에서 저장된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를 링백톤 대신에 재생하는데 그 이전에 데몬은 상기 수신한 링백톤에 대하여 음향패턴 분석을 통해 통화중인지 또는 호 연결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50).
즉, 교환기(5)를 통해 제공받은 링백톤에 의할 때 상대방이 통화중인지 또는 신호가 가고 있는 것인지를 먼저 판단한다.
그 다음 데몬은 S120 단계에서 저장된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S160)하고, 이를 링백톤 대신에 스피커를 통해 재생한다(S170).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는 링백톤으로 사용하기 위해 광고를 포함하는 음원 데이터로서 광고주 클라이언트(3)의 의뢰에 따라 서비스 서버(2)가 제작한 것일 수 있다.
도 3은 링백톤 대신에 광고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되는 모습을 예시한다.
이때, 데몬은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횟수 또는 재생 시간을 카운트한다(S180).
즉, 전화를 걸때마다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를 들었으니 몇 번이나 광고에 노출된 것인지 또는 도합 몇 초 동안이나 광고에 노출된 것인지를 카운트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카운트가 이루어짐에 따라 데몬은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2)로 접속하여 카운트 결과를 전송한다(S190).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상기 S160 단계에서 데몬은 상황에 적합한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 의할 때 LBS(Location Based Service)에서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광고를 선택하기도 하며, 가입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집하였다가 사용자 관심사에 부합하는 광고를 선택하기도 하나, 본 발명에 의할 때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방식 이외에 데몬은 스마트폰(1)의 주소록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상황에 적합한 광고를 선택할 수 있다.
우선, 데몬이 상기 스마트폰(1)에 저장된 주소록으로부터 상기 아웃고잉 콜의 전화번호로 검색한다(S161). 이를 위해 데몬은 운영체계가 지원하는 API를 호출할 수도 있으며, 또는 주소록 데이터베이스에 직접 접근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아웃고잉 콜의 전화번호로 주소록을 검색한 결과 검색결과가 존재하지 않으면 종료하고, 존재하면 검색결과 획득된 레코드의 데이터를 텍스트의 형태로 파싱하여 키워드를 추출한다(S162).
예를 들어, 획득된 레코드가 "분류 : 가족", "이름 : 홍길동", " 전화번호 : 010-1234-1234", "생일 : 1월 1일"와 같은 값을 가지는 경우 이를 텍스트의 형태로 분석하되 주소록 DB의 레코드 형태를 참조하여 파싱함으로써 전화받을 사람이 상기 스마트폰(1) 사용자와 어떤 관계인지, 이름은 무엇인지, 생일은 언제인지, 이메일은 무엇인지 등의 기본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얻어진 정보들을 키워드로 하여 기 저장된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를 대상으로 매칭(Matching)을 시도한다(S163).
이를 위하여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는 미리 키워드를 포함하거나 키워드별로 구분되어 저장되어야 한다.
한편, 데몬은 매칭된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S164)하여 이를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는 것이다.
한편, S163 단계에서 둘 이상의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가 매칭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러한 경우 데몬은 매칭된 둘 이상의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가 아웃고잉 콜의 발생시마다 로테이션하여 재생될 수 있도록 순차 선택한다.
즉, 두 개의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가 매칭된 경우 이번에는 어느 하나가 재생되었다면, 다음번에는 다른 것이 재생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러한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는 통화중시 재생될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와 호 연결 도중 재생될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가 각각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통화중인 경우 사용자는 금방 종료 버튼을 눌러 통화를 종료할 것이므로 통화중일 경우 재생될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는 약 10초 정도의 짧은 길이로 녹음되되 통화중임을 알리는 멘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호 연결 도중 재생될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는 바람직하게는 1분 가량의 길이로 녹음될 수 있다.
따라서, S160 단계에서 데몬은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링백톤이 통화중을 나타내는지 또는 호 연결음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통화중시 재생될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와 호 연결 도중 재생될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 가운데 해당하는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재생한다.
즉, 링백톤의 톤을 분석함으로써 통화중인지 아닌지를 파악하고 각각의 경우마다 적당한 광고 음원을 선택하는 것이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스마트폰에서 인커밍 콜의 발생시 광고 음원, 영상이 재생되는 모습을 표시하는 화면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에서 광고 음원을 선택하는 과정을 부연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데몬이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스마트폰(1)의 운영체계 상에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된다(S210).
한편, 이와 같이 실행된 데몬은 도 2와 같이 포 그라운드에서 실행된 상태 또는 백 그라운드에서 실행된 상태에서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서비스 서버(2)로 접속하여 광고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S220).
이러한 데몬은 인커밍 콜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의 운영체계가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S230).
비록 사용자에 의해 앱이 실행되고 있던 도중이라도 우선순위가 높은 인커밍 콜의 발생시 스마트폰(1)은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호 연결을 위한 화면으로 전환한다.
이때, 데몬은 인커밍 콜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1)의 운영체계가 기 설정된 벨소리를 상기 스마트폰의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지 못하도록 무력화한다(S240).
한편, 상기 데몬은 기 저장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S250).
이후, 상기 스마트폰의 스피커를 통해 상기 선택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한다(S260).
광고 오디오 데이터는 광고를 포함하는 음원 데이터로서 광고주 클라이언트(3)의 의뢰에 따라 서비스 서버(2)가 제작한 것일 수 있으며, 광고 비디오 데이터는 광고를 포함하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데이터로서 마찬가지로 광고주 클라이언트(3)의 의뢰에 따라 서비스 서버(2)가 제작한 것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인커밍 콜의 발생시에 벨소리 대신 광고 음원이, 화면에는 광고 영상이 표시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데몬은 광고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횟수 또는 재생 시간을 카운트한다(S270).
즉, 전화를 걸때마다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들었으니 몇 번이나 광고에 노출된 것인지 또는 도합 몇 초 동안이나 광고에 노출된 것인지를 카운트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카운트가 이루어짐에 따라 데몬은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2)로 접속하여 카운트 결과를 전송한다(S280).
서비스 서버(2)는 스마트폰(1)들로부터 카운트 결과를 제공받음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1)의 계정에 포인트 또는 마일리지를 지급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소정의 보상을 할 수 있다.
광고 감상의 대가로 제공되는 보상에는 포인트나 마일리지와 같은 가상 화폐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보상이 가능하며, 이러한 보상의 형태는 종래기술에 의해 이미 다수 공지된 바와 같다.
한편, 상기 S250 단계에서 데몬은 상황에 적합한 광고를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우선 데몬은 상기 스마트폰(1)에 저장된 주소록으로부터 상기 인커밍 콜의 전화번호로 검색한다(S251).
공지의 스마트폰(1)은 전화를 걸거나 받기 위하여 주소록 앱을 기본적으로 제공하며, API나 주소록 DB에 직접 접근하는 것에 의해 검색이 가능하다.
한편, 데몬은 주소록으로부터 인커밍 콜의 전화번호가 검색되면 검색된 레코드의 데이터를 파싱하여 키워드를 추출한다(S252).
도 8은 발신자 표시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으며 발신자 표시가 되지 아니하여 인커밍 콜의 전화번호를 알 수 없는 경우 또는 주소록에 해당하는 레코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종료한다.
한편, 데몬은 상기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에 저장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 각각에 대해 미리 저장된 키워드와 매칭한다(S253).
이를 위하여 광고 오디오 데이터는 미리 키워드를 포함하거나 키워드별로 구분되어 저장되어야 한다.
한편, 데몬은 매칭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S264)하여 이를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는 것이다.
한편, S253 단계에서 둘 이상의 광고 오디오 데이터가 매칭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러한 경우 데몬은 매칭된 둘 이상의 광고 오디오 데이터가 아웃고잉 콜의 발생시마다 로테이션하여 재생될 수 있도록 순차 선택한다.
즉, 두 개의 광고 오디오 데이터가 매칭된 경우 이번에는 어느 하나가 재생되었다면, 다음번에는 다른 것이 재생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스마트폰에서 알람의 발생시 광고 음원, 영상이 재생되는 모습을 표시하는 화면 예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며,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에서 광고 음원을 선택하는 과정을 부연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데몬이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스마트폰(1)의 운영체계 상에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된다(S310).
한편, 이와 같이 실행된 데몬은 도 2와 같이 포 그라운드에서 실행된 상태 또는 백 그라운드에서 실행된 상태에서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서비스 서버(2)로 접속하여 광고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S320).
이러한 데몬은 알람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의 운영체계가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S330).
사용자는 스마트폰(1)을 이용하여 일정 시간이 되면 알려주도록 알람을 설정할 수 있으며, 해당 시간이 도래하면 스마트폰(1)은 비록 사용자에 의해 다른 앱이 실행되고 있던 도중이라도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알람화면으로 전환한다.
알람은 스피커 또는 화면을 통해 재생되거나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데몬은 알람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1)의 운영체계가 기 설정된 알람소리를 상기 스마트폰의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지 못하도록 무력화한다(S340).
이때, 스마트폰(1)이 화면을 통해 알람을 영상의 형태로 표시한다면 데몬은 이 또한 표시하지 못하도록 무력화한다.
대신 데몬은 기 저장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S350)하고, 상기 스마트폰의 스피커 또는 화면을 통해 상기 선택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한다(S360).
도 9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알람 이벤트 발생시에 알람소리 대신 광고 음원이, 화면에는 광고 영상이 표시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데몬은 광고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횟수 또는 재생 시간을 카운트한다(S370).
즉, 알람이 울릴 때마다 광고 오디오 데이터를 들었으니 몇 번이나 광고에 노출된 것인지 또는 도합 몇 초 동안이나 광고에 노출된 것인지를 카운트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카운트가 이루어짐에 따라 데몬은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2)로 접속하여 카운트 결과를 전송한다(S380).
서비스 서버(2)는 스마트폰(1)들로부터 카운트 결과를 제공받음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1)의 계정에 포인트 또는 마일리지를 지급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소정의 보상을 할 수 있다.
광고 감상의 대가로 제공되는 보상에는 포인트나 마일리지와 같은 가상 화폐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보상이 가능하며, 이러한 보상의 형태는 종래기술에 의해 이미 다수 공지된 바와 같다.
한편, 상기 S350 단계에서 데몬은 상황에 적합한 광고를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다.
우선 데몬은 상기 알람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정보를 획득한다(S351).
운영체계가 제공하는 API를 이용하여 현재 시각을 파악할 수 있다.
이후, 데몬은 시간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 가운데 상기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를 선택(S352)한 다음, 이를 스피커 또는 화면을 통해 재생하거나 표시한다.
이를 위하여 광고 오디오 데이터 또는 광고 비디오 데이터는 일정 시간단위로 구분되어 저장되거나, 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아침에 사용되는 물품에 관한 광고라거나 저녁 늦은 시간에 흔히 팔리는 물품 등 시간에 따른 기호도 변화가 존재하는 경우 알람이 울린 시간을 기준으로하여 광고를 선택하는 것이다.
한편, S352 단계에서 둘 이상의 광고 오디오 데이터가 매칭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러한 경우 데몬은 매칭된 둘 이상의 광고 오디오 데이터가 아웃고잉 콜의 발생시마다 로테이션하여 재생될 수 있도록 순차 선택한다.
즉, 두 개의 광고 오디오 데이터가 매칭된 경우 이번에는 어느 하나가 재생되었다면, 다음번에는 다른 것이 재생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수록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을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DVD-ROM, CD-ROM, 하드 디스크, USB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수록된다는 표현은 대량으로 기록매체에 수록되어 패키지 형태로 유통되는 경우는 물론 데이터 패킷의 형태로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어 기록매체에 수록되는 경우를 모두 포괄한다.
상기에서는 "서버"라는 표현을 사용하였으나,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는 기능이나 부하를 다수의 서버로 분할하여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서버"는 반드시 단일한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지칭하지 아니하며,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서버군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스마트폰"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였으나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서 서버에 접속할 수 있으며, 푸쉬 방식에 의하여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반드시 스마트폰이라는 명칭으로 분류되는 하드웨어에 국한하지 아니한다. 즉, IOS 또는 안드로이드 OS를 탑재한 휴대전화 이외에도 태블릿(Tablet), PDA(Personal Data Assistant)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네트워크라는 표현을 사용하였으나 이때 네트워크는 거리와 규모에 따라서는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접속경로의 특징에 따라서는 인트라넷, VPN(Virtual Private Network), 접속방식에 따라서는 와이브로, WiFi 등과 같이 지칭되는 공지의 유무선 통신방식을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및 상기와 같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오직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며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 기술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1 : 스마트폰
2 : 서비스 서버
3 : 광고주 클라이언트
4 : 기지국
5 : 교환기

Claims (8)

  1.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운영체계 상에서 스마트폰이 데몬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는 제 110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데몬을 통해, 유무선 인터넷망을 경유하여 서비스 서버로 접속하여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 120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데몬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의 운영체계에 의한 아웃고잉 콜 연결시도 이벤트 발생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제 130 단계;
    아웃고잉 콜의 연결시도 이벤트 발생시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데몬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의 운영체계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링백톤을 상기 스마트폰의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지 못하도록 무력화하는 제 140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데몬을 통해, 상기 수신한 링백톤에 대하여 음향패턴 분석을 통해 통화중인지 또는 호 연결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50 단계;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링백톤이 통화중을 나타내는지 또는 호 연결음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데몬을 통해, 상기 제 120 단계에서 저장된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160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데몬을 통해, 상기 선택된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 170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데몬을 통해,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횟수 또는 재생 시간을 카운트하는 제 180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데몬을 통해,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접속하여 카운트 결과를 전송하는 제 190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60 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데몬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에 저장된 주소록으로부터 상기 아웃고잉 콜의 전화번호로 검색하는 제 161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데몬을 통해, 주소록으로부터 검색된 레코드의 데이터를 파싱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제 162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데몬을 통해, 상기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에 저장된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 각각에 대해 미리 저장된 키워드와 매칭하는 제 163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데몬을 통해, 매칭된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하는 제 164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63 단계에서 둘 이상의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가 매칭되는 경우 로테이션하여 재생될 수 있도록 순차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는 통화중시 재생될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와 호 연결 도중 재생될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가 각각 구분되어 저장되며,
    상기 제 160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데몬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링백톤이 통화중을 나타내는지 또는 호 연결음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통화중시 재생될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와 호 연결 도중 재생될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 가운데 해당하는 광고 링백톤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
  4. 삭제
  5.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운영체계 상에서 스마트폰이 데몬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는 제 210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데몬을 통해, 유무선 인터넷망을 경유하여 서비스 서버로 접속하여 광고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 220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데몬을 통해, 인커밍 콜에 따른 상기 스마트폰의 운영체계에 의한 인터럽트 발생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제 230 단계;
    인커밍 콜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데몬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의 운영체계가 기 설정된 벨소리를 상기 스마트폰의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지 못하도록 무력화하는 제 240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데몬을 통해, 상기 제 220 단계에서 저장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250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데몬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의 스피커를 통해 상기 선택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 260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데몬을 통해, 광고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 횟수 또는 재생 시간을 카운트하는 제 270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데몬을 통해,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접속하여 카운트 결과를 전송하는 제 280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50 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데몬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에 저장된 주소록으로부터 상기 인커밍 콜의 전화번호로 검색하는 제 251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데몬을 통해, 주소록으로부터 검색된 레코드의 데이터를 파싱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제 252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데몬을 통해, 상기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에 저장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 각각에 대해 미리 저장된 키워드와 매칭하는 제 253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데몬을 통해, 매칭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선택하는 제 254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53 단계에서 둘 이상의 광고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가 매칭되는 경우 로테이션하여 재생될 수 있도록 순차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
  6. 삭제
  7.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운영체계 상에서 스마트폰이 데몬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는 제 310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데몬을 통해, 유무선 인터넷망을 경유하여 서비스 서버로 접속하여 광고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 320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데몬을 통해, 알람 이벤트 발생시 상기 스마트폰의 운영체계에 의한 인터럽트 발생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제 330 단계;
    알람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데몬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의 운영체계가 기 설정된 알람소리를 상기 스마트폰의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지 못하도록 무력화하는 제 340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데몬을 통해, 상기 제 320 단계에서 저장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350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데몬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의 스피커를 통해 상기 선택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 360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데몬을 통해, 광고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 횟수 또는 재생 시간을 카운트하는 제 370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데몬을 통해,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접속하여 카운트 결과를 전송하는 제 380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350 단계는,
    상기 데몬이 상기 알람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정보를 획득하는 제 351 단계;
    시간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광고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 가운데 상기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352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352 단계에서 둘 이상의 광고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가 매칭되는 경우 로테이션하여 재생될 수 있도록 순차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
  8. 삭제
KR1020110123753A 2011-11-24 2011-11-24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 KR101332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753A KR101332508B1 (ko) 2011-11-24 2011-11-24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753A KR101332508B1 (ko) 2011-11-24 2011-11-24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815A KR20130057815A (ko) 2013-06-03
KR101332508B1 true KR101332508B1 (ko) 2013-11-26

Family

ID=48857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753A KR101332508B1 (ko) 2011-11-24 2011-11-24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25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960A (ko) * 1999-10-12 2001-05-07 한태희 전화 광고 시스템
KR20030036532A (ko) * 2003-04-15 2003-05-09 정인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98164A (ko) * 2004-04-06 2005-10-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복수 링 백 톤 대체음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00038247A (ko) * 2008-09-26 2010-04-14 주식회사 케이티 주소록과 연계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이를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960A (ko) * 1999-10-12 2001-05-07 한태희 전화 광고 시스템
KR20030036532A (ko) * 2003-04-15 2003-05-09 정인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98164A (ko) * 2004-04-06 2005-10-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복수 링 백 톤 대체음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00038247A (ko) * 2008-09-26 2010-04-14 주식회사 케이티 주소록과 연계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이를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815A (ko) 2013-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01358A1 (en) Telecommunications call augmentation system
US8265610B1 (en) Sponsored keyword usage in voice communication
JP5954730B2 (ja) チャレンジ−レスポンス型テストを実装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実装方法、システム、プログラム
US8787887B1 (en) Promotion operable recognition system
CN108596690B (zh) 一种广告处理方法及装置
US20080249833A1 (en) Method and system for targeted advertising via mobile terminals
JP6665200B2 (ja) マルチメディア情報処理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KR20100107518A (ko) 프로모션들의 모바일 광고 및 마이크로타겟팅을 위한 플랫폼
KR20130005776A (ko) 씨아이디 콘텐츠의 재생이 가능한 수신 단말기, 씨아이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JP2011515735A5 (ko)
TW202029778A (zh) 視訊內容物件的推送方法及裝置、電子設備
KR20140052933A (ko) 키워드에 기초하여 랜딩 페이지에 전화 번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US20160104209A1 (en) Real time bidding system for applications
Bunt Surfing the App Souq: Islamic applications for mobile devices
US8990104B1 (en) Multimedia product placement marketplace
KR101332508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
CN105893496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
US20220237651A1 (en) Benefit distribution system, benefit distribution method, and benefit distribution program
EP3222030A1 (en) Telecommunications call augmentation system
JP2015041214A (ja) 広告システム、広告方法、及び広告プログラム
KR102028649B1 (ko) 전화번호 카테고리 매칭기반 광고 시스템
US8732009B1 (en) Dynamically changing phone numbers based on user browsing behavior
US9118758B1 (en) User feedback on calls
KR20130136698A (ko) 보이스 메시지 전송에서의 광고 콘텐트 표시 방법
KR20120070757A (ko) 광고 시스템 및 그의 광고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