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388B1 - Device for holding a portable phon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 Google Patents

Device for holding a portable phon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388B1
KR101332388B1 KR1020120126011A KR20120126011A KR101332388B1 KR 101332388 B1 KR101332388 B1 KR 101332388B1 KR 1020120126011 A KR1020120126011 A KR 1020120126011A KR 20120126011 A KR20120126011 A KR 20120126011A KR 101332388 B1 KR101332388 B1 KR 101332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wireless charging
main body
lower arms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60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성운수
Original Assignee
성운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운수 filed Critical 성운수
Priority to KR1020120126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388B1/en
Priority to PCT/KR2013/010109 priority patent/WO201407390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3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1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latches,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holder for vehicles with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including a body (10) inside a vehicle to mount a mobile phone; upper and lower arms (20, 21)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body (10) to be vertically movable to fix the mobile phone at the center of the body (10); a wireless charging module (30) on the front of the body (10) to charge the mobile phone; and an LED lamp (40) on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arms (20, 21) to display the charged state of the mobile phone by flickering.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mounting almost all kinds of mobile phones regardless of size; is excellent in charging mobile phones us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by simply positioning the mobile phones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nd is reduced in size and weight.

Description

무선 충전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DEVICE FOR HOLDING A PORTABLE PHON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Car mobile phone holder with wireless charging function {DEVICE FOR HOLDING A PORTABLE PHON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본 발명은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폰의 크기에 제약을 받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고, 무선충전모듈에 의한 충전 기능을 가지며, 충전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LED 램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holder for a vehicle, in particular, can be used without being limited by the size of the mobile phone, has a charging function by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LED lamp to easily check the state of char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mobile phone holder hav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일반적으로 차량에서 운행중 통화를 하거나, 휴대폰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차량의 센터페시아나, 변속레버의 주변에 휴대폰 거치대를 설치하여 사용을 하고 있다.In general, in order to make a call while driving in a vehicle or to use a function of a mobile phone, a mobile phone holder is installed around a center fascia or a shift lever of a vehicle.

최근에 들어서는 스마트폰의 보급이 급속화되어 모바일 환경에서 보다 풍부한 컨텐츠가 보급되게 됨으로써, 네비게이션 기능을 이용하거나, 블루투스 기술을 통한 핸즈프리 및 오디오 기능을 활용하기 위한 휴대폰 거치대의 사용이 점차 증가되고 있으며, 상기한 휴대폰의 활용과 동시에 배터리 충전을 겸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spread of smart phones has accelerated the spread of richer contents in mobile environments, and the use of mobile phone holders to use navigation functions or hands-free and audio functions through Bluetooth technology is gradually increasing. It is configured to provide a variety of functions, such as to utilize the mobile phone and at the same time to charge the battery.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휴대폰 거치대는 휴대폰의 기종에 따라 각기 다른 규격을 가지는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자가 다른 기종의 휴대폰으로 교체하면 기존의 휴대폰 거치대를 사용할 수 없고, 이로 인한 새로운 휴대폰 거치대를 구입해야 함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However,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holder is manufactured in a form having different specifications according to the type of mobile phone, if the user replaces a different type of mobile phone can not use the existing mobile phone holder, due to this must buy a new mobile phone holder There has been a problem of having an economic burde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개특허 10-2010-0132683에서는 휴대폰을 고정하는 한 쌍의 홀더 중 일측의 홀더를 스프링을 통해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는 휴대폰 크기의 제약을 크게 벗어날 수 없으며, 상기 홀더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휴대폰 거치대의 각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램프를 상기 홀더에 설치하기가 매우 곤란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32683, one of the holders for fixing the mobile phone is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movable through the spring, but in this case, the size of the mobile phone can be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install the holder in the holder by indicat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phone holder can not be greatly escaped, and to configure the holder to be movable.

또한,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휴대폰을 충전하는 경우에 충전을 위한 잭을 직접 접속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폰의 고정과 잭의 결합을 모두 행해야 하므로 상당히 번거로우며, 연결잭에 의한 구조가 복잡하여 차량 내부의 미관을 해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is configured to directly connect the jack for charging when charging the mobile phone, it is quite cumbersome because the user must perform both the fixing and the combination of the jack of the mobile phone, the structure of the connection jack is complicated, the inside of the vehicle There is a problem such as impairing the aesthetic sense.

공개특허 10-2010-0132683Patent Publication 10-2010-0132683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은 휴대폰 거치대를 통해 무선충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휴대폰의 상, 하부와 측부를 동시에 지지하여 안정적으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특히, 거의 모든 크기의 휴대폰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암에 램프를 설치하여, 상기 램프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는 무선 충전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us, the present invention in view of the above point is to enable wireless charging through the mobile phone holder, and to support the top, bottom and side of the mobile phone at the same time to ensure a stable fixing, in particular, almost all size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phone holder for a vehicle hav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lamp is installed on a mobile arm that can be used by mounting a mobile phone to stably support the wire connected to the lamp.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선 충전 기능을 가지는 휴대폰 거치대에 따르면,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어 전방으로 휴대폰을 장착시키도록 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와 하부에서 중앙에 위치되는 휴대폰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하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 하부암과, 상기 본체의 전방에 설치되어 휴대폰을 충전시키도록 하는 무선충전모듈 및 상기 상, 하부암의 일측에 설치되어 충전 상태를 점멸하여 표시하는 LED 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mobile phone holder hav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ain body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o mount the mobile phone to the front, and the mobile phone located in the center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body The upper and lower arms are installed to be transported up and down so as to fix them, and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main body to charge the mobile phone and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arms to blink the charging stat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ED lamp to display.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무선충전모듈과 상기 LED 램프를 연결하여 점멸 신호 및 전류를 공급하는 와이어를 삽입하여 안내하는 와이어 가이드홈이 더 포함된다.The wire guide groove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connects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the LED lamp to insert and guide a wire for supplying a blinking signal and a current.

상기 상, 하부암은 휴대폰의 측면을 가압하여 지지하는 홀더부와, 상기 홀더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본체 내부로 삽입되어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는 로드부로 구성된다.The upper and lower arms include a holder part for pressing and supporting the side of the mobile phone, and a rod part extending from the holder part and inserted into the main body to slide.

상기 상, 하부암의 로드부의 상부를 덮어 본체 내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상, 하부암의 로드부가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부면으로는 상기 무선충전모듈을 설치토록 하는 덮개부가 더 포함된다.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rod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arms to allow the rod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arms to slide betwee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he upper surface further includes a cover portion for installing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상기 본체의 좌우 일 측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휴대폰의 측면을 지지토록 하는 홀더부와, 상기 홀더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측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는 로드부로 구성되어, 휴대폰의 측방향의 좌우 위치를 조절하는 측부암이 더 포함된다.It consists of a holder portion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to support the side of the mobile phone, and a rod portion extending from the holder to slid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mobile phone Side cancer is further included to adjust.

상기 본체의 후부측에 상기 무선충전모듈의 드라이브 보드를 설치하고, 상기 측부암의 로드부를 상기 본체의 후부면과 상기 드라이브 보드의 사이에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포함한다.A drive board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rod portion of the side arm is configured to slide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drive board.

상기 본체의 후부측에 상기 무선충전모듈의 드라이브 보드와, 상기 드라이브 보드를 감싸도록 덮는 보드케이스를 설치하고, 상기 측부암의 로드부가 상기 보드케이스의 양측으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포함한다.And a board case covering the drive board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the drive board to surround the drive boar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rod parts of the side arms are configured to slide to both sides of the board case. .

상기 측부암의 로드부의 일측부에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수동 조작을 통하여 상기 걸림돌기에 삽입 및 삽입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측부암의 이송을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레버를 더 포함한다.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rod of the side arm, and the locking lev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be inserted into and released from the locking protrusion through manual operation, so that the side arm can be selectively transported. Include.

상기 덮개부는 상기 상, 하부암의 로드부와 0.2mm 이상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이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ver part is spaced apart from the rod part of the upper and lower arms to form a space of 0.2 mm or more.

상기 덮개부는 하부면에 상기 상, 하부암의 로드부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guide rail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rod portion of the upper, lower arms on the lower surface.

상기 상, 하부암의 각 로드부는 겹층을 이루어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ach rod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arm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to form a layer.

상기 상, 하부암의 로드부는 직선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od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arm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rail for guiding the linear movement is formed.

상기 본체 내부에 서로 치합을 이루는 한 쌍의 피니언 기어가 구성되고, 상기 상, 하부암의 로드부의 일측부에 래크를 형성하여, 상기 로드부의 래크가 상기 한 쌍의 피니언 기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 하부암의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air of pinion gears engaged with each other are formed in the main body, and a rack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rod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arms, so that the rack of the rod portion is coupled to the pair of pinion gears respectively. ,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arm is interlocked.

상기 피니언 기어의 기어홈에 삽입되어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토퍼와, 상기 피니언 기어에 삽입된 스토퍼의 접촉을 해제시켜 상, 하부암의 이송을 가능하게 하는 이송레버를 포함한다.And a stopper inserted into the gear groove of the pinion gear to stop the rotation, and a transfer lever to release the upper and lower arms by releasing the contact of the stopper inserted into the pinion gear.

상기 스토퍼는 상기 피니언 기어에 접촉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에 의해 상기 피니언 기어의 일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회동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의 타방향의 회전 시 상기 이송레버에 의해 회동이 저지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topper is rotated when the pinion gear rotates in one direction by a spring that applies an elastic force to contact the pinion gear and is hinged to allow the pinion gear to rotate, and the transfer when the pinion gear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Rotation is prevented by the lev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prevent the pinion gear from rotating.

이러한 본 발명의 휴대폰 거치대는 휴대폰의 크기에 제한을 받지 않고, 거의 모든 종류의 휴대폰 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mobile phon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ize of the mobile phon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for almost all kinds of mobile devices.

또한, 본 발명의 휴대폰 거치대는 무선충전모듈을 탑재함으로써, 충전을 위해 충전잭을 휴대폰에 일일이 접속시키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충전잭 및 와이어의 구성이 필요 없으므로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차량의 실내 미관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phon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wireless charging module, there is no hassle of having to connect the charging jack to the mobile phone in order to charge, and the structure of the charging jack and wire can be simplified, so that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this Through the effect that can protect the interior aesthetics of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휴대폰 거치대는 휴대폰의 상하부와 측부의 위치를 함께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무선충전모듈에 필요한 정확한 위치로의 조정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phon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and the side of the mobile phon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adjusted to the exact position required for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또한, 본 발명의 휴대폰 거치대는 이동되는 상, 하부암에 LED 램프를 직접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LED 램프에 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는 와이어가 손상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휴대폰 거치대의 전체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사용자가 충전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LED 램프를 설치하여 전체 크기의 소형화 및 무게의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phon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the LED lamp directly on the upper and lower arms to be moved, so as not to damage the wires for supplying the signal and power to the LED lamp, the user without increasing the overall size of the mobile phone holder By installing the LED lamp in the position where the charging state can be easily checked, the effect of enabling the miniaturization of the overall size and the weight reduction.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전체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본체 내부의 하부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본체 내부의 상부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측부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
도5 및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후부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the mobile 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ower shape inside the main body of the mobile 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pper shape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of the mobile 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ide shape of the mobile 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rear shape of the mobile 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도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전체 형상을 나타낸다.Figure 1 shows the overall shape of the mobile phone hold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거치대(1)는 차량에 설치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 하부의 측부에 형성되는 상, 하부암(20, 21)과, 상기 상, 하부암(20, 21)의 사이의 본체의 정면에 설치되는 무선충전모듈(30)과, 상기 상, 하부암(20, 21)의 일측에 설치되는 LED 램프(40)가 포함된다.As shown, the mobile phone holder 1 includes a main body 10 installed in a vehicle, upper and lower arms 20 and 21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in body 10, and the upper and lower arms. Wireless charging module 30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between the (20, 21), and the LED lamp 4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lower arms (20, 21).

상기 본체(10)는 차량의 내부에 각종 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공간을 가지도록 하여, 전방의 커버부(15)에 의해 밀폐를 이루어지는 케이스 형태로 구성된다.The main body 10 is configured to have a space for installing various devices inside the vehicle, and is formed in a case form in which the main body 10 is sealed by the front cover part 15.

상기 상, 하부암(20, 21)은 상기 본체(10)의 상부와, 하부의 측면에 각각 동일한 형상으로 한 쌍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중앙에 위치되는 휴대폰의 상측과 하측을 각각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upper and lower arms 20 and 21 are configured to form a pair in the same shape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respectively, to press and fix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obile phone located in the center, respectively. It is configured to be.

상기 무선충전모듈(30)은 페라이트와, 코일로 구성되어 유도 자기를 일으킴으로써, 이에 근접하는 휴대폰에 설치된 리시버 모듈을 통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The wireless charging module 30 is composed of a ferrite and a coil to generate an induction magnet, it is configured to be charged through the receiver module installed in the mobile phone in close proximity.

상기 LED 램프(40)는 상기 상, 하부암(20, 21)의 일측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충전모듈(30)로부터 충전 여부의 신호와, 점멸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는 와이어(51)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The LED lamp 40 is installed in front of one side of the upper, lower arms (20, 21), the wire 51 to receive a signal of charging or not, and the power required for blinking from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30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그리고, 상기 상, 하부암(20, 21)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송레버(29)와, 상기 본체(10)의 전방에서 휴대폰의 측부를 가압하여 좌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측부암(70)이 더 포함된다.In addition, the transfer lever 29 to transfer the upper and lower arms 20 and 21, and the side arm 70 to adjust the left and right position by pressing the side of the mobile phone in front of the main body 10. ) Is further included.

도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본체 내부의 하부 형상을 나타낸다.Figure 2 shows the lower shape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of the mobile phone hold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이를 통해 본 실시예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 하부암(20, 21)은 휴대폰과 측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홀더부(20a)와, 상기 홀더부(20a)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딩되는 로드부(20b)로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shown in the drawing, the upper and lower arms 20 and 21 have a holder 20a for pressing and fixing the mobile phone and the side, and the holder 20a. It is composed of a rod portion 20b which is slid to move.

상기 상, 하부암의 각각의 로드부(20b)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서 겹층을 이루면서 각각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레일(22)이 형성되고, 일측부에 래크(23)를 형성하여 상기 본체(10) 내부에서 서로 치합을 이루는 한 쌍의 피니언기어(25, 26)에 각각 치합되어 연동이 이루어진다.Each of the rod parts 20b of the upper and lower arms has a guide rail 22 formed so as to form a sliding layer i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respectively slide, and a rack 23 is formed at one side thereof. The main body 10 is interlocked with each other by being engaged with a pair of pinion gears 25 and 26 engaged with each other.

그리고, 상기 본체(10) 내부에는 상기 피니언기어(26)의 기어홈에 삽입되어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토퍼(27)와, 상기 스토퍼(27)를 조작하여 상기 피니언기어(25, 26)를 선택적으로 회전 및 정지시키는 이송레버(29)가 포함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 has a stopper 27 inserted into the gear groove of the pinion gear 26 to stop rotation thereof, and the pinion gears 25 and 26 are selectively operated by operating the stopper 27. A feed lever 29 for rotating and stopping is included.

상기 스토퍼(27)는 상기 본체 내부에 힌지(27a)와 스프링(미도시)을 통해 결합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25)에 밀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송레버(29)가 상기 스토퍼(27)를 하부로 가압하여 힌지(27a)의 작용에 의해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피니언기어(25)와 스토퍼(27)의 접촉을 해제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송레버(29)는 휴대폰 거치대의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의 외측에 형성된다.The stopper 27 is coupled to the pinion gear 25 by elasticity by being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hrough a hinge 27a and a spring (not shown), the transfer lever 29 is the stopper ( By pressing the lower portion 27 to rotate by the action of the hinge (27a), the pinion gear 25 and the stopper 27 is configured to release the contact, the transfer lever 29 is a user of the mobile phone holder It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so that it can be directly manipulated.

상기 스토퍼(27)는 상기 피니언기어(25, 26)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은 상기 힌지(27a)에 의해 회동되어 회전이 되도록 하고, 상기 피니언기어(25, 26)의 반대방향으로는 상기 이송레버(29)에 의해 회동이 저지되도록 하여, 회전이 되지 않도록 구성된다.The stopper 27 is rotated in one direction of the pinion gear (25, 26) is rotated by the hinge (27a) to rotate, an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inion gear (25, 26) the transfer lever It is comprised by (29) to prevent rotation, and to prevent rotation.

따라서, 상기 상, 하부암(20, 21)은 사용자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형성된 이송레버(29)를 통해 상기 스토퍼(27)를 밀어서 상기 피니언기어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상, 하부암(20, 21)의 하나를 조작하여 이동시키면 상기 피니언기어(25, 26)의 작용으로 양측의 상, 하부암(20, 21)이 함께 연동하여 이동이 이루어진다.Therefore, the upper and lower arms 20 and 21 are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pushes the stopper 27 through the transfer lever 29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pinion gear can be rotated. When one of the lower arms 20 and 21 is moved, the upper and lower arms 20 and 21 of both sides are moved together by the action of the pinion gears 25 and 26.

이때, 상기 피니언기어(25, 26)에 태옆 스프링을 설치하거나, 상기 상, 하부암(20, 21)에 스프링(미도시함)을 설치하여, 상기 스토퍼(27)의 밀착이 해제될 경우, 상기 상, 하부암(20, 21)이 각각 본체 상부와 하부 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lateral springs are installed on the pinion gears 25 and 26, or springs (not shown) are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arms 20 and 21, and the stopper 27 is not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upper and lower arms 20 and 21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move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respectively.

이로써, 사용자가 상기 이송레버(29)를 누르면 상기 본체(10)에 설치된 상, 하부암(20, 21)의 간격이 최대가 되도록 상, 하부로 각각 이동되어, 그 중앙으로 다양한 크기의 휴대폰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휴대폰을 상기 상, 하부암(20, 21)의 중앙에 위치시킨 후 상기 상, 하부암(20, 21)을 손으로 조작하여 휴대폰을 측부를 밀착하도록 이동시키면 상기 스토퍼(27)에 의한 작용으로 상기 상, 하부암(20, 21)이 고정되어 휴대폰을 거치시키도록 한다.As a result, when the user presses the transfer lever 29, the upper and lower arms 20 and 21 installed on the main body 10 are moved up and down, respectively, to maximize the distance. After positioning the mobile phone in the center of the upper, lower arms (20, 21) and then operating the upper, lower arms (20, 21) by hand to move the mobile phone in close contact with the stopper The upper and lower arms 20 and 21 are fixed by the action of 27 to mount the mobile phone.

그리고, 와이어 가이드홈(50-1)은 내측에 와이어(51)를 삽입하여, 상기 무선충전모듈(30)의 주변에 설치된 드라이브 보드(80)로부터 상기 상, 하부암(20, 21)의 로드부(20b)의 측부까지 원형을 이루면서 이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 하부암(20, 21)의 로드부(20b)의 측부로 안내된 와이어(51)는 상기 로드부(20b)의 측부로 삽입되어 상기 홀더부의 LED 램프(40)로 이어지도록 구성된다.The wire guide groove 50-1 inserts the wire 51 into the inner side thereof, and loads the upper and lower arms 20 and 21 from the drive board 80 installed around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30. It is configured to extend in a circular shape to the side of the portion (20b), the wire 51 guided to the side of the rod portion 20b of the upper, lower arms (20, 21) to the side of the rod portion (20b) It is inserted and configured to lead to the LED lamp 40 of the holder portion.

이때, 상기 와이어 가이드홈(50-1)을 통해 상기 상, 하부암의 로드부(20b)의 측부로 이어진 와이어(51)는 상기 로드부(20b)로 삽입되는 입구측에서 상기 상, 하부암(20, 21)이 이동되는 거리만큼의 여유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도 2를 통해 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51)는 “U"자 형상의 와이어 가이드홈(50-1)을 이용해 감싸이고, 상기 와이어 가이드홈(50-1)을 나와 ”ㄱ"자 형상으로 꺾여져 상기 상, 하부암(20,21)의 일측부위에 형성된 ”ㄱ"자 형상의 와이어 삽입홈(50-2)에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홈(50-1)과 상기 와이어 삽입홈(50-2)의 사이에 형성된 와이어 완충공간(50-3)에 의해 상기 와이어(51)가 절곡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wire 51 extending to the side of the rod portion 20b of the upper and lower arms through the wire guide groove 50-1 is inserted into the rod portion 20b at the inlet side. It is configured to have an allowable length as much as the distance 20 and 21 are moved.
As can be through Figure 2, the wire 51 is wrapped using a wire guide groove (50-1) of the "U" shape, out of the wire guide groove (50-1) "a" It is bent into a shape is inserted into the wire insertion groove (50-2) of the "-" shap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lower arms (20, 21), the guide groove (50-1) and the wire insertion groove The wire 51 may be bent by the wire buffer space 50-3 formed between 50-2.

이를 통해, 상기 상, 하부암(20, 21)이 이동되는 거리를 상기 와이어(51)의 여유 길이가 보상을 하여, 와이어(51)가 끊어지는 방지하며, 상기 와이어 가이드홈(50)에 의해 와이어(51)가 안내됨으로써, 상기 본체(10) 내부에서 와이어(51)가 서로 엉키거나, 타 부속품과의 접촉 및 마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rough this, the free length of the wire 51 compensates the distance that the upper and lower arms 20 and 21 are moved, thereby preventing the wire 51 from being broken, and by the wire guide groove 50. As the wire 51 is guided, the wire 51 serves to prevent the wires 51 from being entangled with each other or damaged by contact and friction with other accessories.

또한, 상기한 와이어 보호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휴대폰 거치대(1)의 사용자가 쉽게 눈으로 확인 할 수 있는 상, 하부암(20, 21)의 전방에 LED 램프(4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하며, 이를 통해 휴대폰 충전 기능의 실행 및 충전 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뿐만 아니라, 상기 LED 램프(40)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 확보를 위해 휴대폰 거치대(1)의 전체 크기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게 되므로, 전체 크기의 소형화와 무게의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applying the above wire protection structure, the user of the mobile phone holder (1) can be easily confirmed by the upper, lower arm (20, 21) in front of the LED lamp 40 to act to install the action In addition, this allows the user to easily check the execution and charging status of the mobile phone charging function, and increase the overall size of the mobile phone holder 1 to secure a separate space for installing the LED lamp 40. Since there is no need, there is an effect of enabling the miniaturization of the overall size and the weight reduction.

도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본체 내부의 상부 구조를 나타낸다.Figure 3 shows the upper structure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of the mobile phone hold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휴대폰 거치대(1)는 상기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상, 하부암(20, 21)의 로드부(20b)의 상부를 덮도록 하는 덮개부(12)가 포함하여, 상기 덮개부(12)의 상부에 상기 무선충전모듈(30)이 설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the mobile phone holde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cover portion 12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rod portion 20b of the upper and lower arms 20 and 21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Including,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3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12 is installed.

상기 덮개부(12)는 하부에 위치되는 상, 하부암(20, 21)의 로드부(20b)와 0.2mm 이상 이격 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상, 하부암(20, 21)의 로드부(20b)가 상기 본체(10) 내부와 상기 덮개부(12)의 사이에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덮개부(12)의 하부에 가이드 돌기 등을 형성하여 상기 상, 하부암의 로드부(20b)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ver part 12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by 0.2 mm or more from the rod part 20b of the upper and lower arms 20 and 21 positioned in the lower part, and the rod part 20b of the upper and lower arms 20 and 21. ) Is preferably made to slide betwee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cover portion 12, a guide protrusion or the lik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12 to the rod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arms It may be configured to stably guide the movement of (20b).

또한, 상기 본체(10)의 측부에는 전방에 위치되는 휴대폰의 좌우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측부암(70)이 더 포함된다.In addition, the side portion of the main body 10 further includes a side arm 70 to adjust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mobile phone located in front.

도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일측부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측부암의 구성을 살펴보면,Figure 4 shows the shape of one side of the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side arm,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부암(70)은 상기 본체(10)의 외측에 위치되어 휴대폰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홀더부(70a)와, 상기 홀더부(70a)로부터 연장되어 본체(10)의 후면에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로드부(70b)로 구성된다.As shown, the side arm 70 is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to support the side of the mobile phone 70a, and extends from the holder 70a and the main body 10 It consists of a rod portion (70b) is installed to be sliding in the rear of the).

상기 본체(10)의 후면에는 상기 무선충전모듈(30)의 구동을 위한 드라이브 보드(80)를 설치하기 위한 보드케이스(82)가 설치되며, 상기 로드부(70b)는 상기 보드케이스(82)의 내부에서 상기 본체(10) 후면과 상기 드라이브 보드(80) 사이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된다.On the rear of the main body 10, a board case 82 for installing the drive board 80 for driving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30 is installed, and the rod part 70b is the board case 82. In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 is configured to slide between the back and the drive board (80).

도5 및 도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후부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5 and 6 show the rear shape of the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부암(70)의 로드부(70b)가 상기 드라이브 보드(80)와 상기 본체(10)의 후면 사이에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로드부(70b)의 측부에 다수의 걸림돌기(77)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돌기(77)의 홈에 걸려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레버(76)를 더 포함하여, 상기 걸림레버(76)의 조작에 의해 상기 측부암(70)의 이동 및 고정이 선택적으로 행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rod part 70b of the side arm 70 may be configured to slide between the drive board 8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77 are formed on the side of 70b and further include a locking lever 76 that catches a groove of the locking projection 77 and restricts movement thereof. The side arm 70 is configured to be moved and fixed selectively.

이때, 상기 걸림레버(76)에 스프링(S)을 설치하여 상기 걸림돌기(77)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이 가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걸림돌기(77)가 일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 상기 걸림레버(76)를 밀어 올리면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빗면 구조를 적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by installing a spring (S) to the locking lever 76 is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appli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locking projection 77, the locking lever 76 when the locking projection 77 moves in one direction. It can be configured by applying a bevel structure to make the movement while pushing up).

따라서, 상기 측부암(70)은 상기 걸림레버(76)를 조작하여 걸림돌기(77)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본체(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휴대폰의 측부를 밀착하여, 좌우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Accordingly, the side arm 70 is moved toward the main body 10 after the locking lever 76 is moved away from the main body 10 in a state where the locking projection 77 is released. By moving in the direction close to the side of the mobile phone,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are configured to be adjusted.

또한, 도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부암(70)의 로드부(70b)를 상기 본체(10) 후부에 형성된 보드 케이스(82)의 양측부에서 슬라이딩이 되도록 하여, 상기 본체(10)의 두께가 커지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앞서 살펴본 로드부(20b)와, 걸림레버(76)의 구조는 동일하게 적용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rod part 70b of the side arm 70 is slid from both sides of the board case 82 form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10, thereby allowing the main body 10 to slide. The thickness of the may be configured so as not to become large, and thus, the structure of the rod portion 20b and the locking lever 76 described above are applied in the same manner.

따라서, 상기한 측부암(70)에 의해 본 발명의 휴대폰 거치대(1)의 중앙에 설치된 무선충전모듈(30)의 전방의 위치에 휴대폰의 리시버가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차량 운행 중의 흔들림이나 진동에 의해 휴대폰이 측방향으로 움직여서 휴대폰의 리시버가 부정확하게 위치되는 것을 방지하여 충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 side arm 70 is adjusted to be fixed so that the receiver of the mobile phone is accurately positioned at the position of the front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30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mobile phone hold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The mobile phone is moved laterally due to shaking or vibration while driving the vehicle, thereby preventing the receiver of the mobile phone from being incorrectly positioned, thereby improving charging performance.

10: 본체 12: 덮개부
20, 21: 상, 하부암 23: 래크
25, 26: 피니언기어 27: 스토퍼
29: 이송레버 20a: 홀더부
20b: 로드부 30: 무선충전모듈
40: LED 램프 50: 와이어 가이드홈
51: 와이어 70: 측부암
70a: 홀더부 70b: 로드부
76: 걸림레버 77: 걸림돌기
80: 드라이브 보드
10: main body 12: cover
20, 21: upper, lower arm 23: rack
25, 26: Pinion gear 27: Stopper
29: transfer lever 20a: holder portion
20b: load unit 30: wireless charging module
40: LED lamp 50: wire guide groove
51: wire 70: side arm
70a: holder portion 70b: rod portion
76: jam lever 77: jam protrusion
80: drive board

Claims (15)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어 전방으로 휴대폰을 장착시키도록 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와 하부에서 중앙에 위치되는 휴대폰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하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 하부암;
상기 본체의 전방에 설치되어 휴대폰을 충전시키도록 하는 무선충전모듈; 및
상기 상, 하부암의 일측에 설치되어 충전 상태를 점멸함으로써 상기 휴대폰의 충전 기능 실행 및 충전 상태가 사용자에 의해 확인되는 LED 램프; 상기 본체의 후부측에 설치된 상기 무선충전모듈의 드라이브 보드; 상기 무선충전모듈과 상기 LED 램프를 연결하여 점멸신호 및 전류를 공급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U"자 형상의 와이어 가이드홈을 이용해 감싸이고, 상기 와이어 가이드홈을 나와 ”ㄱ"자 형상으로 꺾여져 상기 상, 하부암의 일측부위에 형성된 ”ㄱ"자 형상의 와이어 삽입홈에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홈과 상기 와이어 삽입홈의 사이에 형성된 와이어 완충공간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구부려진 상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A main body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o mount the mobile phone forward;
Upper and lower arms are installed to be transported up and down to fix the mobile phone located in the center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main body;
A wireless charging module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main body to charge the mobile phone; And
LED lamp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arms to blink the charging state to execute the charging function of the mobile phone and confirm the charging state by the user; A drive board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nstalled at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And a wire for supplying a blinking signal and a current by connecting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the LED lamp.
The wire is wrapped using a wire guide groove of the "U" shape, the wire guide groove is bent out of the wire guide groove in a "-" shape to form a "-" shaped wire insertion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lower arms Is inserted into, the mobile phone holder hav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bent by the wire buffer space formed between the wire insertion groove and the wireless charging func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암은 휴대폰의 측면을 가압하여 지지하는 홀더부와, 상기 홀더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본체 내부로 삽입되어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는 로드부로 구성되고; 상기 상, 하부암의 로드부의 상부를 덮어 본체 내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상, 하부암의 로드부가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부면으로는 상기 무선충전모듈을 설치토록 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좌우 일 측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휴대폰의 측면을 지지토록 하는 홀더부와, 상기 홀더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측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는 로드부로 구성되어, 상기 휴대폰의 측방향의 좌우 위치를 조절하는 측부암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and lower arms are composed of a holder portion for pressing and supporting the side of the mobile phone, and a rod portion extending from the holder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to slide;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rod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arms to allow the rod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arms to slide betwee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he upper surface further comprises a cover for installing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t consists of a holder portion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to support the side of the mobile phone, and a rod portion extending from the holder and sli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mobile phone Mobile phone holder with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ide arm to adjus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암의 로드부를 상기 본체의 후부면과 상기 드라이브 보드의 사이에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본체의 후부측에 상기 드라이브 보드를 감싸도록 덮는 보드케이스를 설치하고; 상기 측부암의 로드부가 상기 보드케이스의 양측으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3,
A rod part of the side arm is configured to slide between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drive board; A board case covering a rear side of the main body to surround the drive board; The mobile phone holder hav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rod portion of the side arm is configured to slide to both sides of the board case.
삭제delete 제3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암의 로드부의 일측부에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수동 조작을 통하여 상기 걸림돌기에 삽입 및 삽입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측부암의 이송을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6,
Forming a locking protrusion on one side of the rod portion of the side arm;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is a mobile phone holder hav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ocking lever to be inserted and released into the locking projections by manual operation, so that the transfer of the side arm is selectively made.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상, 하부암의 로드부와 0.2mm 이상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이격되고; 상기 덮개부는 하부면에 상기 상, 하부암의 로드부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3,
The cover part is spaced apart from the rod part of the upper and lower arms to form a space of 0.2 mm or more; The cover unit is a mobile phone holder hav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projection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rod portion of the upper, lower arms on the lower surface.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암의 로드부는 서로 겹층을 이루어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3,
The upper and lower load rods of the arm of the vehicle mobile phone holder hav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to form a lay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암의 로드부는 직선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3,
The rod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arms is a mobile phone holder for a vehicle hav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 guide rail for guiding linear movement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 서로 치합을 이루는 한 쌍의 피니언 기어가 구성되고,
상기 상, 하부암의 로드부의 일측부에 래크를 형성하여,
상기 로드부의 래크가 상기 한 쌍의 피니언 기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 하부암의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
A pair of pinion gear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nside the main body,
By forming a rack on one side of the rod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arms,
The rack of the rod unit is coupled to the pair of pinion gear, respectively, the mobile phone holder hav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and lower arms are interlocke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기어의 기어홈에 삽입되어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토퍼와,
상기 피니언 기어에 삽입된 스토퍼의 접촉을 해제시켜 상, 하부암의 이송을 가능하게 하는 이송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3,
A stopper inserted into the gear groove of the pinion gear to stop rotation;
And a transfer lever for releasing the contact of the stopper inserted into the pinion gear to transfer the upper and lower arm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피니언 기어에 접촉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에 의해 상기 피니언 기어의 일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회동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의 타방향의 회전 시 상기 이송레버에 의해 회동이 저지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topper is rotated when the pinion gear rotates in one direction by a spring that applies an elastic force to contact the pinion gear and is hinged to allow the pinion gear to rotate, and the transfer when the pinion gear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The mobile phone holder with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is prevented by the lever, the pinion gear is prevented from rotating.
KR1020120126011A 2012-11-08 2012-11-08 Device for holding a portable phon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KR1013323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011A KR101332388B1 (en) 2012-11-08 2012-11-08 Device for holding a portable phon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PCT/KR2013/010109 WO2014073900A1 (en) 2012-11-08 2013-11-08 In-vehicle mobile phone stand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011A KR101332388B1 (en) 2012-11-08 2012-11-08 Device for holding a portable phon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2388B1 true KR101332388B1 (en) 2013-11-22

Family

ID=49858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011A KR101332388B1 (en) 2012-11-08 2012-11-08 Device for holding a portable phon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32388B1 (en)
WO (1) WO2014073900A1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6464A (en) * 2015-06-12 2016-12-21 삼성전기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KR200483292Y1 (en) 2015-11-26 2017-04-25 김성준 A mobile device wireless charger combined with outlet
KR101822742B1 (en) * 2016-02-03 2018-01-29 문명일 Image projection device with wireless electric power charger
KR101850619B1 (en) * 2016-10-14 2018-04-26 (주)네오인터넷 Head mounted display with fixing case for mobile phone
KR200486888Y1 (en) * 2017-03-06 2018-07-11 주식회사 퍼시스 Elecronic device holder for wireless battery charge
CN108418932A (en) * 2018-04-26 2018-08-17 深圳市智高翔科技发展有限公司 A kind of mobile phone support device
CN109088460A (en) * 2018-10-09 2018-12-25 宁波东昊汽车部件有限公司 A kind of onboard wireless charging equipment
KR101956083B1 (en) 2018-01-26 2019-03-08 임재현 The apparatus for mounting a Cellular Phone
KR102163675B1 (en) * 2019-05-15 2020-10-08 강윤호 Support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20204667A1 (en) * 2019-04-04 2020-10-08 삼성전자 주식회사 Charg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44929A (en) * 2014-07-11 2016-01-13 全亿大科技(佛山)有限公司 Mobile power pack
KR102458504B1 (en) 2015-11-17 2022-10-25 볼보 트럭 코퍼레이션 How to detect an oncoming road condition for a vehicle
CN107770337B (en) * 2017-12-02 2023-11-03 湖南云契金典智能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full-automatic mobile phone support and use method
CN108194775B (en) * 2017-12-21 2024-01-16 深圳市智高翔科技发展有限公司 Gear drive type mobile phone supporting device
CN110641379A (en) * 2018-06-27 2020-01-03 深圳市威尔丽斯科技有限公司 Vehicle-mounted support device
CN113726935B (en) * 2021-10-19 2024-04-30 深圳市悦茜电子科技有限公司 Chargeable anti-peeping mobile phone support simulating portable mirror struc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5036U (en) * 1995-02-22 1995-08-29 純二 水摩 Mobile communication device mounting holder
KR200203677Y1 (en) * 1998-11-17 2000-12-01 민경훈 A stand for handy-phone using in a car
KR20110040622A (en) * 2009-10-14 2011-04-20 주식회사 뉴빛 Portable charging case for mobile phon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1895A (en) * 2011-02-10 2012-08-20 김봉수 Mobile phone display stan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5036U (en) * 1995-02-22 1995-08-29 純二 水摩 Mobile communication device mounting holder
KR200203677Y1 (en) * 1998-11-17 2000-12-01 민경훈 A stand for handy-phone using in a car
KR20110040622A (en) * 2009-10-14 2011-04-20 주식회사 뉴빛 Portable charging case for mobile phone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054B1 (en) * 2015-06-12 2017-01-31 삼성전기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KR20160146464A (en) * 2015-06-12 2016-12-21 삼성전기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KR200483292Y1 (en) 2015-11-26 2017-04-25 김성준 A mobile device wireless charger combined with outlet
KR101822742B1 (en) * 2016-02-03 2018-01-29 문명일 Image projection device with wireless electric power charger
KR101850619B1 (en) * 2016-10-14 2018-04-26 (주)네오인터넷 Head mounted display with fixing case for mobile phone
KR200486888Y1 (en) * 2017-03-06 2018-07-11 주식회사 퍼시스 Elecronic device holder for wireless battery charge
KR101956083B1 (en) 2018-01-26 2019-03-08 임재현 The apparatus for mounting a Cellular Phone
CN108418932A (en) * 2018-04-26 2018-08-17 深圳市智高翔科技发展有限公司 A kind of mobile phone support device
CN108418932B (en) * 2018-04-26 2024-05-28 深圳市智高翔科技发展有限公司 Mobile phone supporting device
CN109088460A (en) * 2018-10-09 2018-12-25 宁波东昊汽车部件有限公司 A kind of onboard wireless charging equipment
CN109088460B (en) * 2018-10-09 2024-04-30 宁波东昊汽车部件有限公司 Vehicle-mounted wireless charging equipment
WO2020204667A1 (en) * 2019-04-04 2020-10-08 삼성전자 주식회사 Charging device
KR102163675B1 (en) * 2019-05-15 2020-10-08 강윤호 Support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73900A1 (en) 201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2388B1 (en) Device for holding a portable phon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CN102842934B (en) Vehicle-mounted wireless charging device
US9432071B2 (en) Smart phone holder for vehicle
CN106331930A (en) Charging box of wireless headset and wireless headset adapting to charging box
US9059592B2 (en) Fixing apparatus with wireless charging
KR101443007B1 (en) Mobile Device Cradl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EP2661058A1 (en) Cradle
KR102045078B1 (en) Cup holder combined with supporter of portable terminal
CN207766311U (en) A kind of mobile phone support
CN205792788U (en) Automobile-used wireless charging mobile phone support
KR200477762Y1 (en) Cradle of smart phone
KR101701054B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KR101219760B1 (en) Fixing device for portable instrument
EP2833501A1 (en) Vehicle-mount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nd automobile
KR101879551B1 (en) A mounting means of communication terminal
KR101447950B1 (en) Wireless electric charger
KR102084680B1 (en) Cradle of portable terminal
KR102084679B1 (en) Cradle of portable terminal
KR200491593Y1 (en) A wireless charger that doubles as a rotary type holder for a car-mounted smart phone
CN204633411U (en) A kind of mobile phone shell with charge function
KR20180039354A (en) Wireless charger for vehicle
KR20160106254A (en) Car cupholder with smart device support
US20190170274A1 (en) Retractable wiring support for a motor vehicle
KR200479401Y1 (en) External Battery of smart-phone
CN211089187U (en) Vehicle-mounted wireless charging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