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6464A -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 Google Patents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6464A
KR20160146464A KR1020150123826A KR20150123826A KR20160146464A KR 20160146464 A KR20160146464 A KR 20160146464A KR 1020150123826 A KR1020150123826 A KR 1020150123826A KR 20150123826 A KR20150123826 A KR 20150123826A KR 20160146464 A KR20160146464 A KR 20160146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harging
outer cover
lid
vehic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8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01054B1 (en
Inventor
현지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US15/017,702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60365744A1/en
Publication of KR20160146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4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0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7/025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a vehicle which can be mounted and charged stably. To this end,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a vehicle includes: a cover unit coupled to the inside of a vehicle to be rotated and including a wireless charging module therein; and at least one support uni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ver unit and supporting a power receiver which receives power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The support unit can be coupled to the cover unit to be moved in response to the size of the power receiver.

Description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0001]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0002]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capable of stably mounting a portable terminal.

일반적으로 대다수의 무선 통신 기기들은 충전을 필요로 하며 이로 인해 최근 등장하는 휴대용 기기들은 각기 다른 형태의 유선 커넥터를 가진다. In general, most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require charging, and recent portable devices have different types of wired connectors.

휴대 단말기에 사용되는 배터리팩에 전기에너지를 충전시키기 위해서는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팩에 대응하는 전압 및 전류로 변환하여 해당 배터리팩의 단자를 통해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단자연결방식과, 단자연결방식으로 유선 충전하는 불편함을 극복하고자 개발된 무선 충전 방식이 있다.In order to charge the battery pack used in the portable terminal with electric energy, a commercial terminal is connected to a terminal connection system which receives commercial power and converts it into a voltage and a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pack to supply electric energy through the terminal of the battery pack, There is a wireless charging method developed to overcome the inconvenience of wired charging.

무선 충전 기술은 자기 공명을 이용한 방식과 자기 유도형 방식이 주도적이며 이 중 자기 유도 방식을 적용하여 무접점 무선 충전 기술이 빠르게 보급되고 있다. In wireless charging technology, magnetic resonance type and magnetic induction type are dominant, and magnetic induction type is applied, and solid state wireless charging technology is rapidly spreading.

한편,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는 차량 주행시 충격이나 흔들림에 의해 휴대 단말기가 거치대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보다 안정적으로 휴대 단말을 거치하여 무선 충전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rtable wireless charging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is detached from the cradle due to shock or vibration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n apparatus that can stably store a portable terminal and perform wireless charging.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0-013355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133557

본 발명은 안정적으로 거치 및 충전할 수 있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which can be stably mounted and charg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는, 회전 가능하도록 차량 내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하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무선 충전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 수신 기기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전력 수신 기기의 크기에 대응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덮개부에 결합될 수 있다.A vehic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d unit coupled to an interior of a vehicle so as to be rotatable and including a wireless charging module therein, And at least one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power receiving device, wherein the support portion can be coupled to the cover portion so as to be movabl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power receiv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는, 수납 공간의 입구를 개폐하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 일측에 배치되는 전력 수신 기기를 파지하여 상기 전력 수신 기기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지지부, 및 상기 덮개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전력 수신 기기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A wireless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an entrance of a storage space and a support for holding a power receiving device disposed at a side of the lid to suppress movement of the power receiving device, And a wireless charging module disposed in the lid unit and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to the power receiv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수납부의 커버에 휴대 단말기를 수납하면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시킬 수 있으므로 차량 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를 안전하게 고정 거치시킬 수 있어 충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지지부에 의해 휴대 단말기가 항상 무선 충전 모듈의 중심에 위치하게 되므로, 충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attery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charged wirelessly while the portable terminal is housed in the cover of the receiving portion, the space inside the vehicle can be efficiently used,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securely fixed and fixed, . In addition, since the portable terminal is alway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by the supporting portion, the charg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커버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도시된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cover of the wireless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shown in Fig. 1 is closed. Fig.
Figs.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cover of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shown in Fig. 1. Fig.
5 is a plan view of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shown in Fig.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shown in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ireless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더하여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he shape and size of elements in the figure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전력 수신 기기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며, 스마트 폰, 모바일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3, 태블릿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 휴대 가능한 다양한 전자 기기를 통칭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wer receiving device includes a portable terminal and can collectively refer to variou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3, a tablet PC, and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ha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가 차량의 센터페시아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컵 홀더 장치는 그 이외의 센터 콘솔, 암레스트 등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is positioned below the center fascia of the vehic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cup holder device may be formed at various positions such as a center console and an armrest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커버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ireless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cover is opened;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ver of the wireless wireless charging device shown in FIG.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는 수납 유닛(10)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1 and 2,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as a part of the receiving unit 10. [

수납 유닛(10)은 차량 내부 구조물에 장착된다. 여기서, 차량 내부 구조물은 차량의 센터페시아, 센터 콘솔, 암레스트 등이 다양한 구조물이 적용될 수 있다. The housing unit 10 is mounted to the vehicle interior structure. Here,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center fascia, a center console, and an armrest of a vehicle can be applied to the vehicle interior structure.

수납 유닛(10)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21)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 유닛(10)은 컵이 수납되는 컵 홀더 유닛일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0 includes a storage space 21 in which an article can be stored.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 cup holder unit in which a cup is stored.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 유닛(10)은 수납부(20) 및 커버부(30)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는 수납 유닛(10)의 커버부(3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납 유닛(10)의 커버부(30) 자체가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로 이해될 수 있다.The wireless remote charging apparatus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ver portion 30 of the storage unit 10,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cover portion 30 of the housing unit 10 itself can be understood as a wireless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for a vehicle.

수납 유닛(10)은 차량 내부 구조물에 장착된다. 여기서, 차량 내부 구조물은 차량의 센터페시아, 센터 콘솔, 암레스트 등이 다양한 구조물이 적용될 수 있다.
The housing unit 10 is mounted to the vehicle interior structure. Here,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center fascia, a center console, and an armrest of a vehicle can be applied to the vehicle interior structure.

수납부(20)는 컵과 같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21)을 구비한다.The storage portion 20 has a storage space 21 in which an article such as a cup can be stored.

커버부(30)는 수납 공간(21)의 입구 부분에서 수납부(20)에 결합된다. 커버부(30)는 수납 공간(21)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수납부(20)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커버부(30)는 힌지 결합을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수납부(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부(30)는 힌지(도 3의 34)를 회전축(P)으로 하여 회전되며 이에 따라 수납 공간(21)의 입구가 개폐된다.The cover part (30) is coupled to the storage part (20) at the entrance part of the storage space (21). The cover part (30) is coupled to the storage part (20) so as to open and close the entrance of the storage space (21). For example, the cover portion 30 may be coupled to the receiving portion 20 so as to be rotatable through a hinge connection. In this case, the cover portion 30 is rotated with the hinge (34 in FIG. 3) as the rotation axis P, whereby the entrance of the storage space 21 is opened and closed.

커버부(30)는 수동 조작을 통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모터 등의 구동 유닛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cover portion 30 can be configured to be openable and closable by manual opera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also possible to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using a drive unit such as a motor.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도시된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cover of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5 is a plan view of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shown in Fig. 3, Fig. 6 is a cross-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30)는 외측 커버(31)와 내측 커버(33)를 포함하는 덮개부(31), 그리고 지지부(35)를 포함할 수 있다.3 to 6, the cover portion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cover portion 31 including an outer cover 31 and an inner cover 33, and a support portion 35 .

덮개부(31)의 외측 커버(32)는 커버부(30)가 수납부(20)에 닫히는 경우, 일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외측 커버(31)는 커버부(30)의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판일 수 있다.
When the cover portion 30 is closed to the receiving portion 20, the outer cover 32 of the cover portion 31 is expos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 outer cover 31 may be a plate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cover portion 30. [

외측 커버(31)는 내부에 무선 충전 모듈(도 7의 60)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60)은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송하여 휴대 단말기(1)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The outer cover 31 may include a wireless charging module (60 of FIG. 7) there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60 can charge the battery of the portable terminal 1 by wirelessly transmitting energy.

무선 충전 모듈(60)은 외측 커버(31)에 매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모듈(60)은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도록 외측 커버(31)에 완전히 매립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60 can be embedded in the outer cover 31. [ For example,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60 can be completely embedded in the outer cover 31 so that it can not be visually recognized from the outside.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possible to constitute it so as to be partially exposed if necessary.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를 함께 참조하면 무선 충전 모듈(60)은 적어도 하나의 코일(66)을 포함하는 코일부(65)와, 코일부(65)에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부(62)로 형성될 수 있다.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ireless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60 may be formed of a coil part 65 including at least one coil 66 and a circuit part 62 supplying current to the coil part 65. [

코일부(65)는 회로부(62)의 제어에 따라 자기장을 형성하며 무선 전력을 대기 중으로 방사한다. 이를 위해 코일부(65)는 기판(67) 상에 하나 또는 다수의 코일(66)이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코일(66)은 와이어 형태의 코일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체 패턴 형태로 기판 상에 형성되거나, 평각선으로 형성된 코일을 이용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The coil portion 65 forms a magnetic field under the control of the circuit portion 62 and radiates radio power into the atmosphere. To this end, one or more coils 66 may be attached to the coil section 65 on the substrate 67. Here, the coil 66 may be a wire-shaped coi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il 66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in the form of a conductor pattern, or may be formed using a coil formed by a flat wire.

회로부(62)는 회로 기판(63) 상에 다수의 전자 소자(61)가 실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충전을 제어하는 회로를 포함한다. 따라서 코일부(65)는 회로부(62)의 제어에 따라 전력을 방사하며 휴대 단말기에 전력을 전송한다. The circuit portion 62 can be formed by mount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elements 61 on a circuit board 63 and includes a circuit for controlling charging. Therefore, the coil part 65 emits electric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ircuit part 62 and transmits electric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회로부(62)는 연결부(68)에 의해 코일부(6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연결부(68)는 와이어 형태의 도선으로 형성되거나, 연성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ircuit portion 6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il portion 65 by the connecting portion 68.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ortion 68 may be formed of a wire-shaped conductor or may be formed of a flexible substrate.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모듈(60)은 회로부(62)와 코일부(65)가 각각 얇은 판 형태로 형성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적층되어 포개진 상태로 외측 커버(31)에 매립된다. 이때, 무선 충전 모듈(60)은 코일부(65)의 코일(66)이 외측 커버(31)의 내부면 측 즉, 삽입 공간(40) 측에 배치되도록 외측 커버(31)에 매립된다.The wireless charging module 6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ircuit portion 62 and the coil portion 65 are formed in the form of a thin plate and the outer cover 31 is stacked in a stacked state, . At this time,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60 is embedded in the outer cover 31 such that the coil 66 of the coil portion 65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outer cover 31, that is, on the insertion space 40 side.

따라서, 무선 충전 모듈(60)의 전체적인 면적은 회로부(62)나 코일부(65)의 면적에 대응하며, 두께는 회로부(62)와 코일부(65)의 전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The overall area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60 corresponds to the area of the circuit portion 62 and the coil portion 65 and the thickness can be formed to the entire thickness of the circuit portion 62 and the coil portion 65. [

회로부(62)와 코일부(65)를 포개진 상태로 외측 커버(31)에 매립함에 따라, 종래의 컵 홀더 유닛 커버의 면적 확장 없이 무선 충전 모듈(60)을 외측 커버(31) 내에 배치할 수 있다.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60 is placed in the outer cover 31 without expanding the area of the conventional cup holder unit cover by embedding the circuit portion 62 and the coil portion 65 in the outer cover 31 in a superposed state .

한편, 무선 충전 모듈(60)의 두께로 인해, 외측 커버(31)의 두께도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코일부(65)를 박막 코일로 형성하는 등 무선 충전 모듈(60)의 두께를 최소화함에 따라 감소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due to the thickness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60, the thickness of the outer cover 31 can also be increased. However, this can be reduced by minimizing the thickness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60, such as forming the coil portion 65 into a thin film coil.

내측 커버(33)는 외측 커버(32)의 내부면에 결합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커버(33)는 외측 커버(32)의 사이에는 지지부(35)의 일부가 삽입된다.The inner cover 33 is engaged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ver 32.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 a part of the support portion 35 is inserted between the inner cover 33 and the outer cover 32. As shown in Fig.

이를 위해 내측 커버(33)와 외측 커버(32) 사이에는 지지부(35)의 삽입부(39)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지지부들(35)을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 부재(50)가 삽입 배치된다.A space in which the insertion portion 39 of the support portion 35 can be disposed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nner cover 33 and the outer cover 32. In addition, (50) is inserted and arranged.

연동 부재(50)는 내부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된 기어(gear)로 형성되며, 외측 커버(32)의 내부면에 형성된 가이드실린더(32a)에 끼워져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interlocking member 50 is formed of a gear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nd having teeth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is rotatably fitted to a guide cylinder 32a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ver 32. [

연동 부재(50)의 톱니에는 지지부(35)가 맞물리는 형태로 결합된다. 따라서 연동 부재(50)는 지지부(35)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된다.The supporting portion 35 is engaged with the teeth of the interlocking member 50 in an engaged manner. Therefore, the interlocking member 50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upport portion 35.

지지부(35)는 휴대 단말기를 충전할 때, 휴대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파지하기 위해 구비된다.The support portion 35 is provided to stably hold the portable terminal when charging the portable terminal.

이를 위해, 지지부(35)는 일부가 외측 커버(31)와 내측 커버(33) 사이에 삽입되며 덮개부(31)에 결합된다. 따라서 지지부(35)는 덮개부(31)의 일측에 배치되며 덮개부(31)가 닫히는 경우, 수납 공간(21) 내에 배치된다. To this end, a part of the support portion 35 is inserted between the outer cover 31 and the inner cover 33 and is coupled to the cover portion 31. Therefore, the support portion 35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id portion 31 and is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21 when the lid portion 31 is closed.

내측 커버(33)에는 지지부(35)가 결합되어 이동하는 공간인 결합 홈(33a)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지지부(35)는 결합 홈(31a)의 크기에 대응하여 이동 거리가 규정된다.The inner cover 33 is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33a which is a space through which the support portion 35 is coupled. Accordingly, the supporting portion 35 defines a moving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engaging groove 31a.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35)는 제1 내지 제3 지지부(35a, 35b, 35c)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ing portion 3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the first to third supporting portions 35a, 35b and 35c.

제1, 제2 지지부(35a, 35b)는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최대한 이격되어 배치되며, 이동 가능하도록 덮개부(31)에 결합된다. 이때, 제1, 제2 지지부(35a, 35b)의 이동 방향은 서로 가까워지거나 서로 멀어지는 방향일 수 있다. 즉, 제1, 제2 지지부(35a, 35b)의 이동 방향은 덮개부(31)의 중심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35a and 35b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far as they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are coupled to the lid portion 31 so as to be movable. At this time, the moving dir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35a and 35b may be a direction in which they are close to each other or a direction in which they are distant from each other. That i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35a and 35b may be defined as a direction toward or away from the center of the lid portion 31.

또한 제3 지지부(35c)는 제1, 제2 지지부(35a, 35b)의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제2 지지부(35a, 35b)의 이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The third support portion 35c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35a and 35b and is arranged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35a and 35b.

예를 들어, 제3 지지부(35c)는 커버부(30)의 회전축(P)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덮개부(31)의 중심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덮개부(31)에 결합된다.
The third support portion 35c is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rotation axis P of the cover portion 30 so as to be coupled to the lid portion 31 so as to be movable toward or away from the center of the lid portion 31. [ do.

제1 내지 제3 지지부(35a, 35b, 35c)는 각각 덮개부(31)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39), 삽입부(39)에서 덮개부(31)의 외부로 연장되는 연장부(38), 그리고 연장부(38)의 끝에서 덮개부(31)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돌출부(37)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support portions 35a, 35b and 35c each have an insertion portion 39 inserted into the lid portion 31,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insertion portion 39 to the outside of the lid portion 31 38 and a protrusion 37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extension 38 toward the center of the lid 31. [

이에 덮개부(31)와 제1 내지 제3 지지부(35a, 35b, 35c)의 돌출부(37)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휴대 단말기(1)가 삽입 배치될 수 있는 공간으로 형성된다.The space formed between the lid 31 and the projections 37 of the first to third supports 35a, 35b and 35c is formed as a space into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 can be inserted.

따라서 덮개부(31)와 돌출부(37) 사이의 거리는 연장부(38)의 길이에 의해 규정될 수 있으며, 덮개부(31)와 돌출부(37) 사이에 삽입되는 휴대 단말기(1)의 최대 두께를 고려하여 규정될 수 있다.
The distance between the lid 31 and the protrusion 37 can be defined by the length of the extension 38 and the maximum thickness of the mobile terminal 1 inserted between the lid 31 and the protrusion 37 . ≪ / RTI >

삽입부(39)는 연장부(38)에서 덮개부(31)의 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일측에는 연동 부재(50)의 톱니와 맞물리는 톱니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연동 부재(50)와 삽입부(39)는 랙 앤 피니언(rack & pinion) 기어의 형태로 상호 결합된다.The insert portion 39 is elongated along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lid portion 31 at the extended portion 38 and formed at one side with teeth that mesh with the teeth of the interlocking member 50. Thus, the interlocking member 50 and the insert 39 are coupled together in the form of rack and pinion gears.

제1 내지 제3 지지부(35a, 35b, 35c)의 각 삽입부(39)는 톱니가 모두 연동 부재(50)의 톱니와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연동 부재(50)가 회전하게 되면, 제1 내지 제3 지지부(35a, 35b, 35c)는 동시에 이동하게 된다. The insertion portions 39 of the first to third supporting portions 35a, 35b and 35c are arranged such that the teeth are all engaged with the teeth of the interlocking member 50. Therefore, when the interlocking member 50 is rotated, the first to third supporting portions 35a, 35b and 35c are simultaneously moved.

예를 들어, 도 6에서 연동 부재가 R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와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지지부(35a, 35b, 35c)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휴대 단말기는 제1 내지 제3 지지부(35a, 35b, 35c)에 의해 파지된다.For example, in FIG. 6, when the interlocking member rotates in the R direction, as shown in FIG. 4, the first to third supporting portions 35a, 35b and 35c move in a direction approaching each other, The terminal is held by the first to third support portions 35a, 35b, 35c.

반면에 도 6에서 연동 부재(50)가 L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와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지지부(35a, 35b, 35c)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제1 내지 제3 지지부(35a, 35b, 35c)는 휴대 단말기에서 이격되므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무선 충전 장치(100)에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terlocking member 50 rotates in the L direction in FIG. 6, as shown in FIG. 3, the first to third supporting portions 35a, 35b and 35c move in directions away from each other, 1 to the third supporting portions 35a, 35b, 35c are spaced apart from the portable terminal, the user can easily take the portable terminal from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지지부(예컨대, 제1 지지부)를 이동시키는 경우 해당 지지부(35a)는 이동 과정에서 연동 부재(50)를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연동 부재에 맞물려 있는 다른 지지부들(35b, 35c)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Similarly, when the user moves one support portion (e.g., the first support portion), the support portion 35a rotates the interlocking member 50 in the moving process, and the other support portions 35b, 35c also move together.

따라서 하나의 지지부(35a)만 이동시키더라도 다른 모든 지지부들(35b, 35c)이 함께 이동되어 삽입 공간(40) 내에 휴대 단말기의 삽입 및 제거가 매우 용이하다.
Therefore, even if only one supporting portion 35a is moved, all other supporting portions 35b and 35c are moved together, and insertion and removal of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insertion space 40 is very easy.

또한, 제1 내지 제 3 지지부(35a, 35b, 35c)는 탄성 결합부(80)를 통해 덮개부(31)와 탄성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supporting portions 35a, 35b and 35c may be elastically coupled to the lid portion 31 through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80. [

탄성 결합부(80)는 제1 내지 제 3 지지부(35a, 35b, 35c) 중 어느 하나의 삽입부(39)와 덮개부(31)를 탄성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 3 지지부(35a, 35b, 35c)에 외력이 가해져 지지부(35)가 덮개부(31)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면, 탄성 결합부(80)는 길이가 길어지며 탄성 변형된다. 이에 지지부(35)에는 덮개부(31)의 중심을 이동하려는 탄성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게 되어 삽입 공간(40)에 삽입된 휴대 단말기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The elastic coupling portion 80 may elastically connect the insertion portion 39 of the first to third supporting portions 35a, 35b and 35c with the lid portion 31. [ Therefore, when the supporting portion 35 is moved away from the center of the lid portion 31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first to third supporting portions 35a, 35b and 35c,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80 becomes elongated and elastically deformed. Therefore, elastic force for moving the center of the lid part 31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support part 35,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inserted in the insertion space 40 can be firmly supported.

이러한 탄성 결합부(80)는 스프링이나 고무 부재와 같이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부재라면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결합부(80)는 삽입부(39)와 외측 커버(32)를 코일 스프링으로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elastic coupling portion 80 may be variously used as long as it is a member capable of providing an elastic force such as a spring or a rubber member. For example,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80 can be constructed by connecting the insertion portion 39 and the outer cover 32 with a coil spring.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탄성 결합부(80)를 이용하여 제1 지지부(35a)와 외측 커버(32)를 연결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든 지지부들(35a, 35b, 35c)에 대해 탄성 결합부(80)를 배치하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6,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35a and the outer cover 3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using one elastic coupling portion 80.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s necessary, for example, by arranging the elastic coupling portions 80 with respect to all the supporting portions 35a, 35b, 35c.

이에 더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는 완충 부재(70)를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buffer member 70.

완충 부재(70)는 외측 커버(31)나, 외측 커버(31)와 마주보는 돌출부(37)의 내부면에 부착되어 휴대 단말기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휴대 단말기에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cushioning member 70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ver 31 and the protrusion 37 facing the outer cover 31 to prevent slipping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prevent scratches on the portable terminal.

따라서 완충 부재(70)는 고무 재질이나 스폰지 재질의 패드나 블록, 띠 형태로 형성되어 부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refore, the buffer member 7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ad, a block, or a band of a rubber material or a sponge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는, 대부분의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컵 홀더 커버에 휴대 단말기를 수납하면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시킬 수 있으므로 차량 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가 흔들리지 않도록 안전하게 고정 거치시킬 수 있으므로, 충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wirelessly charge the battery of the portable terminal while storing the portable terminal in a cup holder cover provided in most vehicles, have. In addition, since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securely fixed and fixed so as not to be shaken, the charg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또한 지지부에 의해 휴대 단말기가 항상 무선 충전 모듈의 중심에 위치하게 되므로, 충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ortable terminal is alway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by the supporting portion, the charg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10: 수납 유닛
20: 수납부
30: 커버부
31: 외측 커버
33: 내측 커버
35: 지지부
40: 삽입 공간
60: 무선 충전 모듈
62: 회로부
63: 회로 기판
65: 코일부
66: 코일
67: 기판
67: 연결부
70: 완충 부재
100: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10: receiving unit
20:
30: Cover part
31: outer cover
33: Inner cover
35: Support
40: Insertion space
60: Wireless charging module
62:
63: circuit board
65: coil part
66: Coil
67: substrate
67: Connection
70: buffer member

Claims (14)

회전 가능하도록 차량 내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하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무선 충전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 수신 기기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전력 수신 기기의 크기에 대응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덮개부에 결합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A lid part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so as to be rotatable and including a wireless charging module therein; And
At least one support portion disposed at one side of the lid portion and supporting a power receiving device for receiving power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 RTI >
Wherein the support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lid portion so as to be movable in correspondence with the size of the power receiv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이격 배치되며 제1,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1, 제2 지지부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3 지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facing manner; And
And a third support portion arranged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외측 커버; 및
상기 외측 커버의 일면에 결합되는 내측 커버;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외측 커버와 상기 내측 커버 사이에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The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 outer cover; And
An inner cover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outer cover;
/ RTI >
And the support portion is inserted to be movable between the outer cover and the inner cov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외측 커버와 상기 내측 커버 사이에 삽입 배치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에서 상기 덮개부의 외부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서 상기 덮개부의 중심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4.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An inserting portion inserted between the outer cover and the inner cover;
An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insertion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lid portion; And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extending por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cover;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버와 상기 내측 커버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된 연동 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n interlocking member rotatably disposed between the outer cover and the inner cover, the interlocking member having teeth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연동 부재의 톱니와 맞물리는 톱니를 구비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6.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And teeth engaged with the teeth of the interlocking memb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와 상기 연동 부재는,
랙 앤 피니언(rack & pinion) 기어의 형태로 상호 결합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6.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interlocking member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that interconnects in the form of rack & pinion gears.
제4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삽입부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외측 커버의 일면에 체결되어 상기 삽입부와 상기 외측 커버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coupling portion having one end fastened to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other end fastened to one surface of the outer cover to elastically connect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outer cov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결합부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is formed of a coil spr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덮개부와 마주보는 내부면에 완충 부재가 배치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And a buffer member is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facing the lid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코일을 구비하는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코일부로 인가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회로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A coil portion having at least one coil; And
A circuit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il part to control electric power applied to the coil part;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와 회로부는,
각각 얇은 판 형태로 형성되며, 서로 포개진 상태로 상기 외부 커버 내에 매립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10.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claim 9,
Each of which is formed in the form of a thin plate and is embedded in the outer cover in a superposed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다수 개가 서로 이격 배치되며, 각각 상기 덮개부 일면의 중심을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the supporting portions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arranged so as to be movable toward the center of the one surface of the lid portion, respectively.
수납 공간의 입구를 개폐하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 일측에 배치되는 전력 수신 기기를 파지하여 상기 전력 수신 기기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지지부; 및
상기 덮개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전력 수신 기기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충전 모듈;
을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A lid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ntrance of the storage space;
A support unit for holding a power receiving devic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lid unit to suppress movement of the power receiving device; And
A wireless charging module, disposed in the lid, for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to the power receiving devic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vehicle.
KR1020150123826A 2015-06-12 2015-09-01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KR1017010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17,702 US20160365744A1 (en) 2015-06-12 2016-02-08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83469 2015-06-12
KR1020150083469 2015-06-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464A true KR20160146464A (en) 2016-12-21
KR101701054B1 KR101701054B1 (en) 2017-01-31

Family

ID=57734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826A KR101701054B1 (en) 2015-06-12 2015-09-01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054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04487A (en) * 2017-06-02 2017-08-29 惠州市华阳多媒体电子有限公司 A kind of clamping device of wireless charger
KR20190063237A (en) * 2017-11-29 2019-06-07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Vertical st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KR20210021901A (en) * 2019-08-19 2021-03-02 주식회사 브릿지벤처스 A bag capable of wireless recharge
KR20220055708A (en) * 2020-10-27 2022-05-04 주식회사 서연이화 Mobile device holder device for interior door trim
KR20230131994A (en) * 2022-03-07 2023-09-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94697B2 (en) 2017-12-15 2024-02-06 Woncomm Co., Ltd. Autonomous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power loss tracking
KR20190092203A (en) 2018-01-29 2019-08-07 경문건 Apparatus for autonomous wireless charging with high hardware and cost efficienc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3557A (en) 2009-06-12 2010-12-22 정춘길 Non-contact charging system for vehicle and charging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125933A (en) * 2011-05-09 2012-11-19 오치완 Phone holder equipped with air freshener/ ash tray
KR101332388B1 (en) * 2012-11-08 2013-11-22 성운수 Device for holding a portable phon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KR20150032080A (en) * 2013-09-17 2015-03-25 주식회사 대창 Cup hold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3557A (en) 2009-06-12 2010-12-22 정춘길 Non-contact charging system for vehicle and charging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125933A (en) * 2011-05-09 2012-11-19 오치완 Phone holder equipped with air freshener/ ash tray
KR101332388B1 (en) * 2012-11-08 2013-11-22 성운수 Device for holding a portable phon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KR20150032080A (en) * 2013-09-17 2015-03-25 주식회사 대창 Cup holde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04487A (en) * 2017-06-02 2017-08-29 惠州市华阳多媒体电子有限公司 A kind of clamping device of wireless charger
CN107104487B (en) * 2017-06-02 2024-02-13 惠州市华阳多媒体电子有限公司 Clamping mechanism of wireless charger
KR20190063237A (en) * 2017-11-29 2019-06-07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Vertical st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KR20210021901A (en) * 2019-08-19 2021-03-02 주식회사 브릿지벤처스 A bag capable of wireless recharge
KR20220055708A (en) * 2020-10-27 2022-05-04 주식회사 서연이화 Mobile device holder device for interior door trim
KR20230131994A (en) * 2022-03-07 2023-09-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1054B1 (en) 201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054B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KR20160146478A (en)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US20160134142A1 (en) Portable device case having integrated wireless charging station
US10164468B2 (en) Protective cover with wireless charging feature
EP2748909B1 (en) A power transmitter device for inductively providing power to a mobile device.
US20160336789A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US20100264871A1 (en) Inductive chargers and inductive charging system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1443007B1 (en) Mobile Device Cradl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KR20160043199A (en) Bluetooth earphone-integrated mobile terminal case
KR200494536Y1 (en) Wireless Charging Supporter For Two-Wheeled Vehicle
US7616972B2 (en) Hands-free installation for mobile telephones and control unit therefor
EP2782207A1 (en) Protecting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KR101709869B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US9735611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KR20170075201A (en) Portable Chargepack
KR20170020058A (en) Cup shape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KR101709868B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KR101734562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vehicle
KR101771800B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KR200484841Y1 (en) Wireless charging apparatus of mobil device
CN112911445B (en) Earphone charging box and earphone device
KR20200000511U (en) A wireless charger that doubles as a rotary type holder for a car-mounted smart phone
KR20160129511A (en) Charging apparatus
KR20060107144A (en) Battery for wireless charge & universal wireless charger capable of charging it
CN209072104U (en) Wireless charg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