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078B1 - Cup holder combined with supporter of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Cup holder combined with supporter of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5078B1 KR102045078B1 KR1020130003323A KR20130003323A KR102045078B1 KR 102045078 B1 KR102045078 B1 KR 102045078B1 KR 1020130003323 A KR1020130003323 A KR 1020130003323A KR 20130003323 A KR20130003323 A KR 20130003323A KR 102045078 B1 KR102045078 B1 KR 1020450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 holder
- portable terminal
- cup
- holder
- wireless charg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는, 컵 홀더 본체, 컵 홀더 본체에 형성되고, 컵이 거치되는 컵 홀더부, 및 컵 홀더 본체에 형성되고,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는 단말기 거치홈을 포함한다.Disclosed is a cup holder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holder. The cup holder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p holder body, a cup holder body is formed in the cup holder portion, the cup holder body is formed, the terminal is a mobile terminal is mounted It includes a mounting groove.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p holder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holder.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에는 탑승자가 마시던 컵, 음료캔, 음료수병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컵 홀더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마트폰, 모바일폰, PDA, MP3, 태블릿 PC 등의 휴대 단말기를 소지하고 다니는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차량 내부에는 휴대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는 공간이 따로 제공되고 있지 않는 경우가 많다. 차량 내부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시킬 수 있는 공간을 따로 제공하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만을 위해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여야 하므로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In general, a cup holder for storing cups, beverage cans, beverage bottles, and the like, which are occupied by passengers is installed in the vehicle. However, despite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most people carry mobile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mobile phones, PDAs, MP3s, tablet PCs, etc. This is often not provided separately. In the case of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mounted inside the vehicle, a separate space needs to be provided only for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 단말기를 거치시키면서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holder combined cup holder device that can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while mounting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는, 컵 홀더 본체; 상기 컵 홀더 본체에 형성되고, 컵이 거치되는 컵 홀더부; 및 상기 컵 홀더 본체에 형성되고,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는 단말기 거치홈을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or more exemplary embodiments, a cup holder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holder includes: a cup holder body; A cup holder part formed on the cup holder body and having a cup mounted thereon; And a terminal mounting groove formed on the cup holder main body and o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는, 컵 홀더 본체; 상기 컵 홀더 본체에 형성되고, 컵이 거치되는 컵 홀더부; 및 상기 컵 홀더 본체의 종단에서 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제1 지지판 및 상기 제1 지지판의 종단에 형성되고 상기 컵 홀더 본체와의 사이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지지판을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up holder apparatus for a portable terminal holder; A cup holder part formed on the cup holder body and having a cup mounted thereon; And a first support plate protruding forward from an end of the cup holder main body and a second support plate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support plate and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mounted between the cup holder main body. It includes a terminal holder includ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 내부에 설치된 컵 홀더 장치에 휴대 단말기를 함께 거치시킬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컵 홀더 장치는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에만 하우징부의 외부로 인출되므로, 차량 내부에서 차지하는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컵 홀더 장치에 무선 충전부를 구비함으로써, 휴대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하면서 휴대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mounted together on the cup holder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thereby increasing the space utilization. In particular, since the cup holder device is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only when the user needs it, the volume occupied by the inside of the vehicle can be reduced. And, by providing a wireless charging unit in the cup holder device, it is possible to charge the portable terminal while stably mounting the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에 컵 홀더 및 휴대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에서, 휴대 단말기가 하우징부가 위치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서 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에 있어서, 차량 내부 구조물에 조명부가 설치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에 컵 홀더 및 휴대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컵 홀더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가 차량 내에 설치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holder combined cup holder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p holder and the portable terminal are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combined cup hold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using is located in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and cup hold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lighting unit is installed in the vehicle internal structure in the cup holder device for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holder combined cup holder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holder combined cup holder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up holder and a portable terminal are mounted on a portable terminal holder and a cup holder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portable terminal holder combined cup holder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mobile terminal holder combined cup hold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portable terminal holder combined cup holder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nother type of cup holder to which the cup holder device for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1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sition where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combined cup hold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ehicle.
이하,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a cup holder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However, this is only an exemplary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an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mean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에 컵 홀더 및 휴대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portable terminal holder combined cup holder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a) and (b) is a portable terminal holder combined cup hold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100)는 하우징부(102), 컵 홀더 본체(104), 컵 홀더부(106), 단말기 거치홈(108), 개폐 판넬부(110), 및 커넥터부(11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하우징부(102)는 차량 내부 구조물(50) 내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하우징부(102)는 차량의 센터페시아, 콘솔 박스, 글로브 박스, 암레스트, 앞 도어, 뒷 도어, 좌석 시트 쿠션 하부, 앞 좌석 시트 백, 및 대시보드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부(102)의 내부에는 컵 홀더 본체(104)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The
컵 홀더 본체(104)는 컵(180)을 거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컵 홀더 본체(104)의 하부는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컵 홀더 본체(104)는 평상시 하우징부(102)의 내부에 수납된다. 컵 홀더 본체(10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하우징부(102)의 외부로 인출되거나 하우징부(102)의 내부로 다시 인입될 수 있다. 이때, 컵 홀더 본체(104)는 누름 방식을 통해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되거나 하우징부(102) 내부로 인입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The
구체적으로, 컵 홀더 본체(104)가 하우징부(102) 내부에 인입되는 경우, 하우징부(102) 내에서 컵 홀더 본체(104)에 의해 탄성 부재(미도시)가 수축된 상태로 잠금 장치(미도시)와 결합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개폐 판넬부(110) 부분을 누르면 잠금 장치(미도시)가 해제되면서 탄성 부재(미도시)가 늘어나 컵 홀더 본체(104)를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하게 된다. 그리고, 컵 홀더 본체(104)가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개폐 판넬부(110) 부분을 눌러 컵 홀더 본체(104)를 하우징부(102)의 내부로 밀어넣으면 탄성 부재(미도시)가 다시 수축하면서 잠금 장치(미도시)와 결합하여 컵 홀더 본체(104)가 하우징부(102) 내부에 인입된 상태로 있게 된다. 어떤 구조물을 누름 방식으로 인출 또는 인입하는 기술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와 관련된 자세한 구성은 도시하지 않았다.Specifically, when the cup holder
그러나, 컵 홀더 본체(104)를 인입 또는 인출하는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컵 홀더 본체(104)는 슬라이드 방식을 통해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되거나 하우징부(102) 내로 인입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컵 홀더 본체(104)는 하우징부(102)와 슬라이드 결합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개폐 판넬부(110)를 잡아 당겨 컵 홀더 본체(104)를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할 수 있고, 개폐 판넬부(110)를 밀어 컵 홀더 본체(104)를 하우징부(102) 내로 다시 인입시킬 수 있다. 이때, 개폐 판넬부(110)에는 별도의 손잡이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컵 홀더 본체(104)는 사용자가 차량 내에 구비된 별도의 제어 버튼을 눌렀을 때, 자동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However, the method of drawing in or drawing out the
한편, 여기서는 컵 홀더 본체(104)가 차량 내부 구조물(50) 내에 설치된 하우징부(102)의 외부로 인출되거나 하우징부(102)의 내부로 인입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컵 홀더 본체(104)가 차량 실내에서 노출된 상태로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컵 홀더 본체(104)가 직선 상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컵 홀더 본체(104)가 일측으로 휘어지면서(즉, 곡선을 그리면서)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하우징부(102) 내에 컵 홀더 본체(104)가 2개가 수납될 수도 있다. 이때, 하나의 컵 홀더 본체(104)는 좌측으로 휘어지면서 인출 또는 인입되고, 다른 하나의 컵 홀더 본체(104)는 우측으로 휘어지면서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컵 홀더부(106)는 컵 홀더 본체(104)에 형성된다. 컵 홀더부(106)는 컵 거치홀(121), 컵 받침부(123), 탄성 부재(125), 및 컵 고정부(127)를 포함한다. 컵 거치홀(121)은 컵 홀더 본체(104)의 일부가 원형으로 제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컵 거치홀(121)에는 컵(180)이 삽입되어 거치된다. 여기서, 컵(180)이 빠지지 않도록 컵 거치홀(121)의 직경은 컵(180)의 최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여기서는, 컵 거치홀(121)에 컵(180)이 삽입되어 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료캔이나 음료수병 등이 삽입되어 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컵 받침부(123)는 컵 거치홀(121)의 하부에 형성된다. 컵 받침부(123)는 컵(180)의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컵 받침부(123)의 일측은 탄성 부재(125)와 결합된다. 탄성 부재(125)는 컵 홀더 본체(104)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125)로는 예를 들어, 토션 스프링, 판 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컵 받침부(123)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The
여기서, 컵 홀더 본체(104)가 인입 또는 인출될 때의 컵 받침부(123)의 동작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컵 홀더 본체(104)가 인출된 상태에서 컵 홀더 본체(104)를 하우징부(102) 내부로 인입시키면, 컵 받침부(123)는 하우징부(102)의 내벽에 의해 컵 홀더 본체(104)의 내측 상부로 밀어올려진 상태로 수납된다. 이때, 탄성 부재(125)는 컵 홀더 본체(104)의 하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다음으로, 컵 홀더 본체(104)를 하우징부(102)의 외부로 인출시키면, 컵 받침부(123)가 탄성 부재(125)의 탄성력으로 인해 하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밖으로 나오게 된다. Here, the operation of the
여기서는, 컵 받침부(123)를 통해 컵(180)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컵 받침부(123) 대신 컵 홀더 본체(104)의 하단에 컵 받침판(미도시)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Here, although shown as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컵 고정부(127)는 컵 거치홀(121)에 형성된다. 컵 고정부(127)는 컵(180)이 컵 거치홀(121)에 삽입될 때, 하부 방향으로 젖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컵 고정부(127)는 컵 거치홀(121) 내에서 컵(180)을 압박하여 컵(18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단말기 거치홈(108)에는 휴대 단말기(190)의 일부가 삽입되어 거치된다. 휴대 단말기(19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모바일 폰, PDA, MP3, 태블릿 PC 등이 될 수 있다. 컵 홀더 본체(104)가 인출 또는 인입되는 방향을 컵 홀더 본체(104)의 길이 방향이라고 할 때, 단말기 거치홈(108)은 컵 홀더 본체(104)의 폭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단말기 거치홈(108)에서 휴대 단말기(190)는 하우징부(102)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단말기(190)의 일면이 단말기 거치홈(108)의 일측 상단 모서리에 의해 지지되고, 휴대 단말기(190)의 타면 모서리가 단말기 거치홈(108)의 타측 내벽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In the
여기서, 단말기 거치홈(108)의 일측 상단 모서리 부분(즉, 휴대 단말기(190)의 일면이 지지되는 부분)에는 미끄럼 방지 패드(1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단말기(190)가 단말기 거치홈(108)에서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단말기 거치홈(108)의 타측 내벽(즉, 미끄럼 방지 패드(131)와 대향하는 내벽)에는 지지 패드(134)가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단말기(190)의 타면을 지지 패드(134)가 지지하여 휴대 단말기(190)를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미끄럼 방지 패드(131) 및 지지 패드(134)는 예를 들어,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an
여기서는, 단말기 거치홈(108)의 일부가 컵 거치홀(121)과 겹치도록 형성되어 컵 홀더부(106)에 컵(180)을 거치시키거나 단말기 거치홈(108)에 휴대 단말기(190)를 거치시키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기 거치홈(108)은 컵 거치홀(111)과 상호 이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컵 홀더부(106)에 컵(180)을 거치시키면서 단말기 거치홈(108)에는 휴대 단말기(190)를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Here, a part of the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홀더부(106)에 컵(180)을 거치시키고, 휴대 단말기(190)는 단말기 거치홈(108)에서 하우징부(102)가 위치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서 거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컵 홀더 장치(100)가 차량의 뒷 좌석에 설치된 암레스트에 설치되거나 차량의 뒷 좌석의 쿠션에 설치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190)를 하우징부(102)가 위치하는 방향(즉, 차량 뒷 좌석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서 거치시킬 수 있다. 이때, 단말기 거치홈(108)의 타측 상단 모서리 부분(즉, 휴대 단말기(190)의 일면이 지지되는 부분)에 미끄럼 방지 패드(131)가 형성되고, 단말기 거치홈(108)의 일측 내벽(즉, 미끄럼 방지 패드(131)와 대향하는 내벽)에 지지 패드(134)가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 the
개폐 판넬부(110)는 컵 홀더 본체(104)의 종단에 형성된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용자는 개폐 판넬부(110)를 눌러 컵 홀더 본체(104)를 하우징부(102)의 외부로 인출하거나 하우징부(102)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다. 개폐 판넬부(110)에는 별도의 손잡이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손잡이부(미도시)를 잡고 컵 홀더 본체(104)를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있다. 컵 홀더 본체(104)가 하우징부(102) 내부에 인입되는 경우, 개폐 판넬부(110)는 차량 내부 구조물(50)에 안착된다. 이때, 개폐 판넬부(110)는 차량 내부 구조물(50)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상이 조절될 수 있다.The opening /
커넥터부(112)는 컵 홀더 본체(104)의 일측에 형성된다. 커넥터부(112)에는 예를 들어, USB 또는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휴대용 저장 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부(112)에는 데이터 케이블 또는 충전 케이블 등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100)는 별도의 회로 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기판은 하우징부(102) 내에 형성될 수 있다. 회로 기판은 커넥터부(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회로 기판에는 저장 매체가 장착될 수 있다. 회로 기판에는 휴대 단말기(19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회로 기판에는 저장 매체 및 충전 회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커넥터부(112)에 USB 또는 메모리 카드 등의 휴대용 저장 장치를 연결하면, 휴대용 저장 장치와 회로 기판의 저장 매체 간에 데이터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데이터 케이블의 일측을 커넥터부(112)에 연결하고 데이터 케이블의 타측을 단말기 거치홈(108)에 거치된 휴대 단말기(190)에 연결하면, 회로 기판의 저장 매체와 휴대 단말기(190) 간에 데이터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충전 케이블의 일측을 커넥터부(112)에 연결하고 충전 케이블의 타측을 단말기 거치홈(108)에 거치된 휴대 단말기(190)에 연결하면, 회로 기판의 충전 회로를 통해 휴대 단말기(190)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데이터 전송 겸용 충전 케이블을 이용하면 데이터를 전송하면서 휴대 단말기(190)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100)는 휴대 단말기(190)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 상태 표시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상태 표시부(114)는 개폐 판넬부(110)에 형성될 수 있으나, 충전 상태 표시부(114)가 형성되는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When a portable storage device such as a USB or a memory card is connected to the
한편, 차량 내부 구조물(50)에는 조명부(150)가 설치될 수 있다. 조명부(150)는 컵 홀더 본체(104)가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될 때 온(ON) 되고, 컵 홀더 본체(104)가 하우징부(102) 내부로 인입될 때 오프(OFF) 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조명부(150)의 온(ON) 및 오프(OFF) 동작은 회로 기판의 제어부가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는, 조명부(150)가 차량 내부 구조물(50)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컵 홀더 본체(104)에 설치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에 있어서, 차량 내부 구조물에 조명부가 설치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lighting unit is installed in the vehicle internal structure in the cup holder device for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a)를 참조하면, 차량 내부 구조물(50)에는 하우징부(102)의 입구를 개폐하는 커버(161)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161)는 차량 내부 구조물(50)과 힌지 결합된다. 커버(161)에는 조명부(150)가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A, a
도 4의 (b)를 참조하면, 컵 홀더 본체(104)가 하우징부(102)의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 커버(161)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부로 올려지게 된다. 이때, 조명부(150)가 온(ON) 동작하여 컵 홀더 본체(104)를 향하여 빛을 비춰주게 된다. 여기서, 컵 홀더 본체(104)가 다시 하우징부(102) 내부로 인입되는 경우, 커버(161)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하우징부(102)의 입구를 닫게 된다. 이때, 조명부(150)는 오프(OFF) 된다. 여기서는, 조명부(150)가 컵 홀더 본체(104)의 인출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온 또는 오프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명부(15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온 또는 오프 시킬 수 있는 별도의 스위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4B, when the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는 컵 홀더 본체(104)가 하우징부(102)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의 (b)는 컵 홀더 본체(104)가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portable terminal holder combined cup holder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부(102)는 차량 내부 구조물(50) 내에 설치된다. 하우징부(102)는 차량 내부 구조물(50) 내에서 세로로 설치될 수 있다. 컵 홀더 본체(104)는 힌지(137)를 통해 하우징부(102)와 힌지 결합된다. 여기서, 컵 홀더 본체(10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힌지(137)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1 방향(도 4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되게 된다. 그리고, 컵 홀더 본체(10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힌지(137)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우징부(102) 내부에 다시 수납되게 된다. Referring to FIG. 5, the
이때, 컵 홀더 본체(104)는 누름 방식을 통해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되거나 하우징부(102) 내부에 수납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컵 받침부(113) 대신 컵 받침판(139)이 형성되어 컵 거치홀(121)에 삽입된 컵(18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컵 받침판(139)은 컵 홀더 본체(104)의 하단에 컵 홀더 본체(104)의 하부를 폐쇄하면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에 컵 홀더 및 휴대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는 도 1 및 도 2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와 차이가 나는 부분을 중점으로 설명하기로 한다.6 is a view illustrating a cup holder apparatus for a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up holder and a portable terminal in a cup holder apparatus for a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mounted state. Here, since the cup holder apparatus for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cup holder apparatus for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S. 1 and 2,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 1. And a part different from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combined cup hold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2 will be described.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100)는 무선 충전부(140)를 더 포함한다. 무선 충전부(140)는 컵 홀더 본체(104)에 형성된다. 무선 충전부(140)는 단말기 거치홈(108)에 거치된 휴대 단말기(190)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역할을 한다. 무선 충전부(140)는 한 쌍의 결합부(141), 충전 지지부(144), 제1 무선 충전 모듈(147), 및 제2 무선 충전 모듈(149)을 포함한다. 6 and 7,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combined
한 쌍의 결합부(141)는 컵 홀더 본체(104)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한 쌍의 결합부(141)는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결합부(141)는 컵 홀더 본체(104)의 양측에 형성된 안착홈(151)에 각각 안착되어 컵 홀더 본체(104)와 결합될 수 있다. 충전 지지부(144)는 한 쌍의 결합부(141)를 연결하며 형성된다. 충전 지지부(144)는 단말기 거치홈(108)에 거치된 휴대 단말기(190)의 일면을 지지할 수 있다. The pair of
제1 무선 충전 모듈(147)은 충전 지지부(144)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무선 충전 모듈(147)은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송하여 단말기 거치홈(108)에 거치된 휴대 단말기(19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제2 무선 충전 모듈(149)은 개폐 판넬부(11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무선 충전 모듈(149)은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송하여 단말기 거치홈(108)에 거치된 휴대 단말기(19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제1 무선 충전 모듈(147) 및 제2 무선 충전 모듈(149)은 각각 회로 기판의 충전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first
제1 무선 충전 모듈(147)과 제2 무선 충전 모듈(149)은 서로 다른 무선 충전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19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무선 충전 모듈(147)은 자기 유도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190)의 배터리를 충전하고, 제2 무선 충전 모듈(149)은 공진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19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무선 충전 모듈(147)과 제2 무선 충전 모듈(149)은 동일한 무선 충전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19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도 있다. The first
또한, 제1 무선 충전 모듈(147)과 제2 무선 충전 모듈(149)은 함께 동작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제1 무선 충전 모듈(147) 및 제2 무선 충전 모듈(149) 중 적어도 하나가 휴대 단말기(190)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190)의 충전 상태가 충전 상태 표시부(114)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는, 무선 충전부(140)가 제1 무선 충전 모듈(147) 및 제2 무선 충전 모듈(149)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무선 충전 모듈(147) 또는 제2 무선 충전 모듈(149)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여기서, 무선 충전부(140)는 휴대 단말기(190)가 단말기 거치홈(108)에 거치되지 않은 경우 단말기 거치홈(108)에 안착된 상태로 있을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190)를 단말기 거치홈(108)에 거치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한 쌍의 결합부(141)를 회전시켜 무선 충전부(140)를 단말기 거치홈(108)의 상부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90)를 단말기 거치홈(108)에 거치시킬 수 있다.
Here, the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portable terminal holder combined cup holder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200)는 하우징부(202), 컵 홀더 본체(204), 컵 홀더부(206), 단말기 거치부(208), 개폐 판넬부(210), 및 커넥터부(212)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부(202), 컵 홀더 본체(204), 컵 홀더부(206), 개폐 판넬부(210), 및 커넥터부(212)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단말기 거치부(208)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8, the
단말기 거치부(208)는 개폐 판넬부(210)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컵 홀더 본체(204)는 개폐 판넬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단말기 거치부(208)가 개폐 판넬부(210)에 형성된다는 것은 단말기 거치부(208)가 컵 홀더 본체(204)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The
단말기 거치부(208)는 제1 지지판(208-1) 및 제2 지지판(208-2)을 포함한다. 제1 지지판(208-1)은 개폐 판넬부(210)에서 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제2 지지판(208-2)은 제1 지지판(208-1)의 종단에 형성된다. 제2 지지판(208-2)은 개폐 판넬부(210)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개폐 판넬부(210)와 단말기 거치부(208) 사이에는 휴대 단말기(190)가 거치될 수 있는 공간(S)이 존재하게 된다. 제2 지지판(208-2)에는 휴대 단말기(190)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 상태 표시부(214)가 형성될 수 있다.The
단말기 거치부(208)는 개폐 판넬부(210)의 전방으로 일정 길이만큼 더 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판(208-1)의 일부는 개폐 판넬부(210)를 관통하여 컵 홀더 본체(204) 내부로 삽입되어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 거치부(208)를 개폐 판넬부(210)의 전방으로 인출하여 개폐 판넬부(210)와 제2 지지판(208-2)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mobile terminal holder combined cup hold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의 (a)를 참조하면, 컵 홀더 본체(204)를 하우징부(202)의 외부로 인출하는 경우, 탄성 부재(225)의 탄성력으로 인해 컵 받침부(223)가 하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밖으로 나오게 된다. 이때, 컵 홀더부(206)의 컵 거치홀(221)에는 컵(180)을 거치시키고 단말기 거치부(208)에는 휴대 단말기(190)를 거치시킬 수 있다. 개폐 판넬부(210)의 상단 모서리 부분에는 미끄럼 방지 패드(231)가 형성되고, 제2 지지판(208-2)의 내면에는 지지 패드(234)가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A, when the cup holder
도 9의 (b)를 참조하면, 컵 홀더 본체(204)를 하우징부(202)의 내부로 인입하는 경우, 컵 받침부(223)는 하우징부(202)의 내벽에 의해 컵 홀더 본체(204)의 내측 상부로 밀어올려진 상태로 수납된다. 그리고, 개폐 판넬부(210)는 차량 내부 구조물(50)에 안착된다. 여기서, 단말기 거치부(208)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컵 홀더 본체(204)를 인입한 상태에서도 단말기 거치부(208)에 휴대 단말기(190)를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 9B, when the cup holder
한편, 여기서는 컵 홀더 본체(204)가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하우징부(202)의 외부로 인출되거나 하우징부(202)의 내부로 인입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5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컵 홀더 본체(204)가 하우징부(202)와 힌지 결합하며, 힌지를 회전축으로 회전하면서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는 도 8에 도시된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도 8에 도시된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와 차이나는 부분을 중점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10 is a view showing a portable terminal holder combined cup holder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combined cup hold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combined cup hold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shown in FI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and the cup hold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10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200)는 무선 충전부(240)를 더 포함한다. 무선 충전부(240)는 컵 홀더 본체(204)에 형성된다. 무선 충전부(240)는 단말기 거치부(208)에 거치된 휴대 단말기(190)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역할을 한다. 무선 충전부(240)는 한 쌍의 결합부(241), 충전 지지부(244), 제1 무선 충전 모듈(247), 및 제2 무선 충전 모듈(249)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0,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combined
한 쌍의 결합부(241)는 컵 홀더 본체(204)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한 쌍의 결합부(241)는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결합부(241)는 컵 홀더 본체(204)의 양측에 형성된 안착홈(251)에 각각 안착되어 컵 홀더 본체(204)와 결합될 수 있다. 충전 지지부(244)는 한 쌍의 결합부(241)를 연결하며 형성된다. 충전 지지부(244)는 단말기 거치부(208)에 거치된 휴대 단말기(190)의 일면을 지지할 수 있다. The pair of coupling portions 241 are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제1 무선 충전 모듈(247)은 충전 지지부(244)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무선 충전 모듈(249)은 제2 지지판(208-1)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무선 충전 모듈(247) 및 제2 무선 충전 모듈(249)은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송하여 단말기 거치홈(108)에 거치된 휴대 단말기(19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제1 무선 충전 모듈(247) 및 제2 무선 충전 모듈(249)은 각각 회로 기판의 충전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first
제1 무선 충전 모듈(247)과 제2 무선 충전 모듈(249)은 서로 다른 무선 충전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19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무선 충전 모듈(247)은 자기 유도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190)의 배터리를 충전하고, 제2 무선 충전 모듈(249)은 공진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19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무선 충전 모듈(247)과 제2 무선 충전 모듈(249)은 동일한 무선 충전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19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도 있다. The first
또한, 제1 무선 충전 모듈(247)과 제2 무선 충전 모듈(249)은 함께 동작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제1 무선 충전 모듈(247) 및 제2 무선 충전 모듈(249) 중 적어도 하나가 휴대 단말기(190)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190)의 충전 상태가 충전 상태 표시부(214)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는, 무선 충전부(240)가 제1 무선 충전 모듈(247) 및 제2 무선 충전 모듈(249)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무선 충전 모듈(247) 또는 제2 무선 충전 모듈(249)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여기서, 무선 충전부(240)는 휴대 단말기(190)가 단말기 거치부(208)에 거치되지 않은 경우 단말기 거치부(208)에 안착된 상태로 있을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190)를 단말기 거치부(208)에 거치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한 쌍의 결합부(241)를 회전시켜 무선 충전부(240)를 단말기 거치부(208)의 상부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90)를 단말기 거치부(208)에 거치시킬 수 있다.
Here, when the
도 11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컵 홀더를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another type of cup holder to which the cup holder device for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도 11을 참조하면, 컵 홀더부(106)는 컵 거치홀(121), 컵 지지부(123'), 및 탄성 부재(125)를 포함한다. 컵 거치홀(121)은 컵 지지부(123')에 형성된다. 컵 지지부(123')의 일측은 탄성 부재(125)를 통해 컵 홀더 본체(104)의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 탄성 부재(125)로는 예를 들어, 토션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11, the
여기서, 컵 홀더 본체(104)가 하우징부(102) 내부에 인입되는 경우, 컵 지지부(123')는 하우징부(102)의 내벽에 의해 컵 홀더 본체(104) 방향으로 굽혀진 상태로 수납된다(도 11의 (a)). 이때, 탄성 부재(125)는 컵 홀더 본체(104)의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차량 내부 구조물(50)에는 하우징부(102)의 입구를 개폐하는 커버(161)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컵 홀더 본체(104)가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 탄성 부재(125)의 탄성력으로 인해 컵 지지부(123')가 상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밖으로 나오게 된다(도 11의 (b)). 컵 거치홀(121)에 컵(180)이 삽입되어 거치될 때, 컵 홀더 본체(104)가 컵(18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Here, when the cup holde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100, 200)는 컵 거치홀(121)이 컵 홀더 본체(104)에 형성되지 않고, 컵 홀더 본체(104)의 상부에 위치하는 컵 지지부(123')에 형성되고, 컵 홀더 본체(104)가 컵(180)의 하부를 지지하는 형태의 컵 홀더에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컵 홀더 본체(104)가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하우징부(102)의 외부로 인출되거나 하우징부(202)의 내부로 인입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5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컵 홀더 본체(104)가 하우징부(102)와 힌지 결합하며, 힌지를 회전축으로 회전하면서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도 12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가 차량 내에 설치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sition where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combined cup hold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ehicle.
도 1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100, 200)는 차량의 대시 보드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①, ②, ③, ④).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100, 200)는 차량의 센터 페시아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⑤, ⑥).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100, 200)는 콘솔 박스 후단에 설치될 수 있다(⑦).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100, 200)는 차량 앞 도어에 설치될 수 있다(⑧).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100, 200)는 차량 뒷 도어에 설치될 수 있다(⑨).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100, 200)는 차량 앞 좌석의 시트 백에 설치될 수 있다(⑩).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100, 200)는 차량 암레스트에 설치될 수 있다(⑪). 그러나,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100, 200)가 설치되는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Referring to FIG. 12, the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and equivalents thereof.
100, 200 :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102, 202 : 하우징부 104, 204 : 컵 홀더 본체
106, 206 : 컵 홀더부 108 : 단말기 거치홈
110, 210 : 개폐 판넬부 112, 212 : 커넥터부
114, 214 : 충전 상태 표시부 121, 221 : 컵 거치홀
123, 223 : 컵 받침부 125, 225 : 탄성 부재
127, 227 : 컵 고정부 131, 231 : 미끄럼 방지 패드
134, 234 : 지지 패드 137 : 힌지
139 : 컵 받침판 140, 240 : 무선 충전부
141, 241 : 한 쌍의 결합부 144, 244 : 충전 지지부
147, 247 : 제1 무선 충전 모듈 149, 249 : 제2 무선 충전 모듈
150 : 조명부 151, 251 : 안착홈
180 : 컵 185 : 음료캔
190 : 휴대 단말기 208 : 단말기 거치부
208-1 : 제1 지지판 208-2 : 제2 지지판100, 200: Mobile terminal holder combined cup holder device
102, 202:
106,206: cup holder 108: terminal mounting groove
110, 210: opening and
114, 214: charge
123, 223:
127, 227:
134, 234: support pad 137: hinge
139:
141, 241: pair of
147 and 247: first
150:
180: cup 185: drink can
190: mobile terminal 208: terminal holder
208-1: First support plate 208-2: Second support plate
Claims (18)
상기 컵 홀더 본체에 형성되고, 컵이 거치되는 컵 홀더부; 및
상기 컵 홀더 본체의 종단에서 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제1 지지판 및 상기 제1 지지판의 종단에 형성되고 상기 컵 홀더 본체와의 사이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지지판을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 및
상기 컵 홀더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무선 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충전부는 상기 컵 홀더 본체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 상기 한 쌍의 결합부를 연결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를 지지하는 충전 지지부 및 상기 충전 지지부 내부에 형성되는 제1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결합부의 일단은 상기 컵 홀더 본체의 양측에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충전 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결합부의 타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1 지지판의 일부는 상기 컵 홀더 본체의 내부로 슬라이드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판이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컵 홀더 본체 및 상기 제2 지지판 간의 간격이 조절되고,
상기 제1 지지판의 슬라이드 이동 거리 및 상기 한 쌍의 결합부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제1 지지판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거치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A cup holder body;
A cup holder part formed on the cup holder body and having a cup mounted thereon; And
A first support plate protruding forward from an end of the cup holder main body and a second support plate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support plate and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can be mounted between the cup holder main body. Terminal mounting; And
A wireless charging unit coupled to the cup holder body and configured to wirelessly charge the mobile terminal,
The wireless charging unit includes a pair of coupling unit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up holder body, a charging support unit for connecting the pair of coupling units to support the mobile terminal, and a first wireless charging module formed inside the charging support unit. Including,
One end of the pair of coupling portions is rotat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up holder body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The charging support portion connects the other end of the pair of coupling portions,
A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late is formed to be slideable into the cup holder body,
As the first support plate slides, a gap between the cup holder body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is adjusted.
And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mounted at various angles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plate according to the slide movement distance of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pair of coupling units.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는,
차량 내부 구조물 내에 설치되고, 상기 컵 홀더 본체를 수납하는 하우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컵 홀더 본체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로 인출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combined cup holder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internal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hous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cup holder body,
The cup holder main body is a cup holder apparatus for a portable terminal holder, which is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part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는,
상기 컵 홀더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커넥터부; 및
상기 하우징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저장 매체 및 충전 회로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는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combined cup holder device,
A connector part formed at one side of the cup holder body; And
And a circuit board formed in the housing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part, and formed with at least one of a storage medium and a charging circuit.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는,
상기 커넥터부와 상기 휴대 단말기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저장 매체와 상기 휴대 단말기 간에 데이터를 이동시키거나 상기 충전 회로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를 충전시키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combined cup holder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able connecting the connector unit and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able is configured to move data between the storage medium and the portable terminal or to charge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charging circuit.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는,
상기 차량 내부 구조물 또는 상기 컵 홀더 본체에 형성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combined cup holder device,
And a lighting unit formed on the vehicle internal structure or the cup holder body.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컵 홀더 본체를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컵 홀더 본체는, 상기 힌지를 회전축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로 인출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combined cup holder device,
Further comprising a hinge for hinge coupling the housing portion and the cup holder body,
The cup holder main body is a cup holder apparatus for a portable terminal holder, which is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portion while rotating the hinge to the rotation axis.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는,
상기 제2 지지판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 패드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combined cup holder device,
And a support pad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second support plate and supporting one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는,
상기 제2 지지판 내부에 형성되는 제2 무선 충전 모듈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combined cup holder device,
And a second wireless charging module formed inside the second support plate.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는,
상기 컵 홀더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무선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 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combined cup holder device,
And a charging state display unit which is formed in the cup holder body and displays a wireless charging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는,
차량의 센터페시아, 콘솔 박스, 글로브 박스, 암레스트, 앞 도어, 뒷 도어, 좌석 시트 쿠션 하부, 앞 좌석 시트 백, 및 대시보드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combined cup holder device,
A portable terminal holder combined cup holder device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a center fascia, a console box, a glove box, an arm rest, a front door, a rear door, a seat seat cushion lower portion, a front seat seat back, and a dashboard of a vehic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3323A KR102045078B1 (en) | 2013-01-11 | 2013-01-11 | Cup holder combined with supporter of portab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3323A KR102045078B1 (en) | 2013-01-11 | 2013-01-11 | Cup holder combined with supporter of portable termin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1266A KR20140091266A (en) | 2014-07-21 |
KR102045078B1 true KR102045078B1 (en) | 2019-11-14 |
Family
ID=51738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03323A KR102045078B1 (en) | 2013-01-11 | 2013-01-11 | Cup holder combined with supporter of portab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507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3875B1 (en) * | 2015-03-02 | 2016-11-08 | (주)현대공업 | Car cupholder with smart device support |
KR101667018B1 (en) * | 2015-04-07 | 2016-10-20 | 김시완 | A Convertible Cup Holder for Vehicle with Equipped Phone Holder |
GB2557967B (en) * | 2016-12-20 | 2019-12-25 | Jaguar Land Rover Ltd | A cup holder comprising a slot for receiving a phone |
US10343576B1 (en) | 2018-01-22 | 2019-07-09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Adjustable cup holder for holding tall cups, bottles and the like |
US10850656B2 (en) | 2018-03-16 | 2020-12-01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Apparatus including inductive charger and retractable cup holder |
KR20200010002A (en) | 2018-07-20 | 2020-01-30 | 주식회사 아모센스 | Cup holder hav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
WO2020017935A1 (en) * | 2018-07-20 | 2020-01-23 | 주식회사 아모센스 | Vehicle cup holder allowing wireless charging |
US11912189B2 (en) | 2018-07-20 | 2024-02-27 | Amosense Co., Ltd. | Vehicle cup holder allowing wireless charging |
JP2020179834A (en) * | 2019-04-26 | 2020-11-05 | 豊田合成株式会社 | On-vehicle container holde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3360Y1 (en) * | 2007-11-28 | 2009-02-06 | (주)정인일렉텍 | A charge stand for vehicles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6629A (en) * | 1996-06-28 | 1998-01-20 | Naporetsukusu:Kk | Drink container holder |
JPH1067268A (en) * | 1996-08-29 | 1998-03-10 | Central Motor Co Ltd | Cup holder |
KR20120028726A (en) * | 2010-09-15 | 2012-03-23 |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 Holder for multimedia terminal for vehicles |
-
2013
- 2013-01-11 KR KR1020130003323A patent/KR10204507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3360Y1 (en) * | 2007-11-28 | 2009-02-06 | (주)정인일렉텍 | A charge stand for vehicl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1266A (en) | 2014-07-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45078B1 (en) | Cup holder combined with supporter of portable terminal | |
US9014393B2 (en) | Stationary apparatu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US8922354B2 (en) | External haptic generato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US10892625B1 (en) | Cases and folios for carrying and charging accessories | |
US8816636B2 (en) | Console door pocket for electronic devices | |
KR101332388B1 (en) | Device for holding a portable phon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 |
US9847651B2 (en) | Power transmitter device for inductively providing power to a mobile device | |
US7616972B2 (en) | Hands-free installation for mobile telephones and control unit therefor | |
JP6056651B2 (en) | Mobile terminal adapter | |
WO2014020917A1 (en) | Wireless charger and automobile | |
CN107487273B (en) | Vehicle-mounted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vehicle | |
KR101219760B1 (en) | Fixing device for portable instrument | |
KR20160001328A (en) | Device for holding a portable phon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 |
KR101701054B1 (en) |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 |
KR20150004492U (en) | Sun visor with wireless charging function | |
KR20180068397A (en) | Mobile phone tray for vehicles | |
US20180072210A1 (en) | Cup holder insert | |
KR20140045126A (en) | Charging system using cup holder | |
EP3196531B1 (en) | Portable terminal support | |
KR101704295B1 (en) | Cell phone supporter for wireless rechargable of vehicle | |
KR20180039354A (en) | Wireless charger for vehicle | |
US10561212B2 (en) | Carrying bag with placement rack | |
US20150340905A1 (en) | Sun visor with wireless charging function | |
KR200483222Y1 (en) |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a vehicle | |
US11050276B2 (en) | Wireless charg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