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1929B1 - 선형기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선형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선형기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선형 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1929B1
KR101331929B1 KR1020120131985A KR20120131985A KR101331929B1 KR 101331929 B1 KR101331929 B1 KR 101331929B1 KR 1020120131985 A KR1020120131985 A KR 1020120131985A KR 20120131985 A KR20120131985 A KR 20120131985A KR 101331929 B1 KR101331929 B1 KR 101331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plate
stator
plunger
gear module
linea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정환
김태우
장대규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31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19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near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 타입의 고정자에 적은 전류의 인가를 통해서 큰 클램핑력을 얻을 수 있고, 플런저의 웨지 구조에 의해 장거리 이송이 가능하며, 전기적인 입력의 변환을 통해 클램핑력의 조절이 가능한 전자기적인 선형기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선형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선형기어 모듈(1)은, 원통형상의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자(20)와, 상기 프레임(10) 내부에서 상기 고정자(20)의 하측에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가동플레이트(30)와, 상기 프레임(10)과 고정자(20) 및 가동플레이트(3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경사진 테이퍼부(41)를 구비한 플런저(40)와, 상기 가동플레이트(30)의 하측에 플런저(40) 및 가동플레이트(30)와 연동하여 측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도록 설치된 2개의 웨지블록(50)(wedge block)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형기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선형 액추에이터{Linear Actuator and Linear Actuator Modu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선형기어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런저가 일정 거리 선형 이동한 후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자화된 고정자 철심에 의해 고정자에 클램핑되어, 플런저에 의도치 않은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플런저가 이동하지 않고 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웨지 구조를 이용한 선형기어 작용에 의해 장거리 이송이 가능하며, 전기적인 입력의 변환을 통해 클램핑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전자기적인 선형기어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선형 액추에이터의 경우 직선 운동에서 스크류잭이나 유압을 이용한 유압실린더가 많이 사용되어 왔다. 스크류잭은 높은 마찰력에 의해 기계적인 효율이 낮고 백래쉬에 의한 제어의 불확실성과 낮은 운전속도의 문제점을 가진다. 그리고, 유압실린더는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파워팩, 유압실린더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므로 장비가격이 비싸고 낮은 에너지 효율, 기름누유, 시스템의 복잡성, 유지보수의 어려움으로 극히 제한된 분야에서 사용되어져 왔으며 고도의 숙련된 기술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10-0011001호(2010년 02월 03일 공개)에 볼스크류 및 서보모터를 사용하여 스크류잭의 제어 불확실성, 고마찰 및 낮은 속도를 극복하면서 유압실린더와 같은 고정밀, 고속 동작이 가능한 저렴하고 취급이 용이한 기계식 선형 액추에이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기계식 선형 액추에이터나 기존의 유압식 선형 액추에이터들은 클램핑의 압력 조절이 필요한 경우 압력 조절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특히 유압식 선형 액추에이터의 경우에는 클램핑 압력 조건의 변화에 따라 복수 개의 유압 실린더를 병렬로 연결하여 압력을 조정하게 되는데, 압력이 변환될 때에 유압 실린더에 잔압이 남아있어 정확한 압력이 전달되지 않아 가공물을 손상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12-0102862호(2012년 09월 19일 공개)에는 금형을 고정하기 위해 마련되는 이동 및 고정테이블에 전류에 의해 자화되는 마그네틱 블록이 구성된 척베이스를 각각 구성하여, 금형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고 종래의 바이스나 지그 또는 유압 선형 액추에이터에 의해 금형에 작용하였던 외력을 방지하여 장시간 사용에도 금형의 변형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선형 액추에이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선형 액추에이터를 비롯하여 전기적인 입력 구동원에 의해 큰 힘을 얻을 수 있는 솔레노이드 형태를 이용한 액추에이터는 솔레노이드 타입에서 발생하는 힘이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감소하기 때문에 플런저의 이동거리를 일정 한도 이상 크게 할 수 없었으며 근거리 동작에만 한정되어 사용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리니어 모터를 이용하는 경우 20kN 정도의 큰 추력을 얻을 수 있지만 그 때의 전류는 수백 암페어 이상의 대전류를 필요로 하게 되어 코일에서의 발열과 냉각 문제도 함께 고려되어야 하고, 모터의 체적 또한 커져야 하는 문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솔레노이드 타입의 고정부에 적은 전류의 인가를 통해서 큰 클램핑력을 얻을 수 있고, 플런저의 웨지(wedge) 구조를 활용한 선형기어 작용에 의해 장거리 이송이 가능하며, 전기적인 입력의 변환을 통해 클램핑력의 조절이 가능한 전자기적인 선형기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선형 액추에이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측에 고정되는 고정자 철심과, 상기 고정자 철심에 감겨져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로 구성된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 철심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면이 일정 각도로 경사진 기어작용부를 구비한 자성 재질의 가동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과 고정자 철심 및 가동플레이트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경사진 테이퍼부를 구비한 플런저와; 상기 가동플레이트의 기어작용부와 상기 플런저의 테이퍼부 사이에 배치되며, 외측면이 상기 기어작용부의 내측면과 대응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기어작용부의 내측면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측면이 상기 테이퍼부와 대응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테이퍼부의 외측면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가동플레이트 또는 플런저의 축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웨지블록(wedge block)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기어 모듈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자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켜 가동플레이트를 고정자에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유압시스템과 대등하거나 더욱 우수한 클램핑력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웨지 구조에 의해 플런저의 장거리 이송이 가능하며, 전기적인 입력의 변환을 통해 클램핑력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기적인 제어를 통해 기기의 효율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유압유의 미사용에 의해 기기 주변의 청결도 유지와 제품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에 따른 선형기어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형기어 모듈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선형기어 모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선형기어 모듈의 고정자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선형기어 모듈의 가동플레이트의 사시도 및 저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선형기어 모듈의 플런저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선형기어 모듈의 웨지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선형기어 모듈의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선형기어 모듈의 가동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선형기어 모듈의 웨지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저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기어 모듈의 두번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액추에이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액추에이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에 따른 선형기어 모듈의 고정자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였을 때 가동플레이트의 이동 변위에 따른 축 방향의 힘을 나타낸 표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예에 따른 선형기어 모듈의 고정자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였을 때 가동플레이트의 이동 변위에 따른 축 방향의 힘을 나타낸 표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기어 모듈의 세번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선형기어 모듈의 종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선형기어 모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6의 선형기어 모듈의 클램핑플레이트의 변형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6에 도시된 선형기어 모듈의 프레임의 변형례를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기어 모듈의 네번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선형기어 모듈의 고정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3 및 도 24는 도 21에 도시된 선형기어 모듈의 고정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5 및 도 26은 도 21에 도시된 선형기어 모듈의 고정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형기어 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기어 모듈(1)은, 원통형상의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자(20)와, 상기 프레임(10) 내부에서 상기 고정자(20)의 하측에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가동플레이트(30)와, 상기 프레임(10)과 고정자(20) 및 가동플레이트(3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경사진 테이퍼부(41)를 구비한 플런저(40)와, 상기 가동플레이트(30)의 하측에 플런저(40) 및 가동플레이트(30)와 연동하여 측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도록 설치된 2개의 웨지블록(50)(wedge block)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은 속이 비어 있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면은 상기 고정자(20)와 가동플레이트(30) 및 웨지블록(50)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프레임(10)의 상부면 중앙 및 하부면 중앙에는 플런저(40)가 관통하는 관통공(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자(20)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링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서 동심상으로 순차적으로 끼워져 프레임(10)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자 철심(21)과, 상기 각각의 고정자 철심(21)의 외주면에 감겨져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22)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자(20)는 상기 코일(22)에 전류가 인가됨에 고정자 철심(21)이 자화되어 자력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자력에 의해 자성 재질의 가동플레이트(30)를 고정시킴으로써 플런저(40)의 이송 및 클램핑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고정자(20)는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솔레노이드 타입과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콜레노이드 타입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솔레노이드 타입은 동일한 극성을 가지도록 각각의 고정자 철심(21)에 감겨지는 코일(22)이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감겨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콜레노이드 타입은 인접한 코일(22)의 극성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각각의 고정자 철심(21)에 감겨지는 코일(22)이 교대로 반대방향으로 감겨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가장 안쪽에서부터 코일(22)을 반시계방향-시계방향-반시계방향-시계방향으로 권취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가동플레이트(30)가 고정자 철심(21)에 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콜레노이드 타입이 더 큰 힘을 발생시키지만,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에서는 솔레노이드 타입이 더 큰 힘을 발생시키므로 힘의 크기와 이동거리를 고려하여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가동플레이트(30)는 중앙에 상기 플런저(40)가 관통하는 관통공(32)이 형성된 원반형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프레임(10)의 내경보다 미세하게 작은 직경을 갖도록 되어 프레임(10)의 내주면에 대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상기 가동플레이트(30)는 전술한 것처럼 고정자(20)의 자력에 의해 고정자(20)에 부착될 수 있도록 자성 재질, 예를 들어 철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동플레이트(30)의 하부면 양측에는 내측면이 일정 각도로 경사진 2개의 기어작용부(31)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기어작용부(31)들은 180도 간격으로 배치되지만 이와 다르게 3개 이상이 120도 간격, 90도 간격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작용부(31)들은 각각의 경사진 내측면이 상기 웨지블록(50)의 경사진 외측면과 연접하게 된다. 상기 가동플레이트(30)는 상기 웨지블록(50)의 수평 이동과 연동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가동플레이트(30)와 웨지블록(50)의 연동을 위하여 상기 가동플레이트(30)의 기어작용부(31) 내측면에 경사진 방향을 따라 'ㅜ'형태의 단면을 갖는 제1가이드홈(311)이 형성되고, 상기 웨지블록(50)의 외측면에 상기 제1가이드홈(311) 내측에 삽입되어 제1가이드홈(311)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ㅜ'형태의 단면을 갖는 제1가이드돌기(511)가 형성된다. 물론, 이와 반대로 제1가이드홈(311)이 웨지블록(50)에 형성되고, 제1가이드돌기(511)가 기어작용부(31)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플런저(40)는 기다란 원통형의 샤프트 형태를 갖도록 되어, 상기 프레임(10)의 중앙에서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상기 플런저(40)의 외주면에는 플런저(4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회전방지부(42)가 고정되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방지부(42)는 이 실시예에서와 같이 플런저(40)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이와 다르게 플런저(40)와 개별체로 제작된 후 플런저(40)의 외면에 접착제나 나사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방지부(42)의 양측에는 상기 웨지블록(50)들의 내측부가 삽입되는 웨지삽입홈(43)이 형성되며, 상기 웨지삽입홈(43)에는 웨지블록(50)의 경사진 내측면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테이퍼부(41)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테이퍼부(41)의 외면은 상기 웨지블록(50)의 내측면과 대응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플런저(40)와 웨지블록(50)을 서로 연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테이퍼부(41)의 외측면에는 경사진 방향을 따라 'ㅜ'형태의 단면을 갖는 제2가이드홈(411)이 형성되고, 상기 웨지블록(50)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2가이드홈(411)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ㅜ'형태의 단면을 갖는 제2가이드돌기(512)가 형성되어, 상기 제2가이드홈(411) 및 제2가이드돌기(512)에 의해 테이퍼부(41)와 웨지블록(50)이 상대 이동하도록 연결된다. 물론, 이 실시예와 반대로 웨지블록(50)의 내측면에 제2가이드홈(411)이 형성되고, 테이퍼부(41)의 외측면에 제2가이드돌기(512)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웨지블록(50)은 가동플레이트(30)의 기어작용부(31)와 상기 플런저(40)의 테이퍼부(41) 사이에 배치되며, 프레임(10)의 하부면에 안착되어 프레임(10)의 양측방향으로 수평하게 슬라이딩 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웨지블록(50)의 외측면과 내측면이 각각 소정의 각도(θa, θb)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웨지블록(50)의 외측 경사면은 상기 기어작용부(31)의 내측면과 연접하여 'ㅜ'자 형태의 제1가이드돌기(511)가 기어작용부(31)의 'ㅜ'자형 제1가이드홈(311) 내측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측의 경사면에는 'ㅜ'자 형태의 제2가이드돌기(512)가 형성되어 상기 테이퍼부(41)의 'ㅜ'자형 제2가이드홈(411)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10)의 양측 하단부에는 상기 가동플레이트(30)에 하측으로 탄성력을 부여하여 가동플레이트(30)를 원래의 위치로 하강시키는 탄성부재(60)가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60)는 인장스프링으로서 가동플레이트(30)를 하측으로 당기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선형기어 모듈(1)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고정자(20)의 코일(22)에 전원이 인가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면, 코일(22)에 자기장이 발생하여 고정자 철심(21)이 자화된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고정자 철심(21)에 생성된 자력에 의해 가동플레이트(30)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고정자 철심(21)에 부착된다. 이 때, 상기 가동플레이트(30)가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웨지블록(50)이 외측방향으로 수평 이동하게 되고, 웨지블록(50)과 연동하여 플런저(40)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는 전술한 것과 같이 기어작용부(31)와 웨지블록(50) 및 테이퍼부(41)가 제1가이드홈(311) 및 제1가이드돌기(511), 그리고 제2가이드홈(411) 및 제2가이드돌기(512)에 의해 상호 연동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상태에서 플런저(40)에 축방향 상측으로 의도하지 않은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웨지블록(50)이 외측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게 되는데, 이 때 웨지블록(50)은 고정자(20)에 고정되어 있는 가동플레이트(30)의 기어작용부(31)에 의해 이동을 하지 못하게 되므로 플런저(40)가 상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현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플런저(4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고정자(20)의 코일(22)에 인가되던 전원을 차단하면, 가동플레이트(30)의 하측에 연결된 탄성부재(60)의 복원력에 의해 가동플레이트(30)는 하측으로 내려가고, 웨지블록(50)은 좌우의 측방향 내측으로 수평 이동하여 플런저(40)를 상측으로 밀어 올려 원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플런저(40)와 웨지블록(50)과 가동플레이트(30)의 이동 거리 및 작용력은 상호 결합되어진 웨지블록(50)의 경사면의 각도에 따라 결정되어지게 된다. 다시 말해서 플런저(40)의 테이퍼부(41)와 웨지블록(50)이 이루는 경사면의 각도 θb에 따라 플런저(40)가 상하로 움직이는 거리와 웨지블록(50)이 좌우로 수평 이동하는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가동플레이트(30)와 웨지블록(50)의 경사면이 이루는 각도 θa에 따라 가동플레이트(30)가 상하로 이동하는 거리가 결정된다. 따라서 θa와 θb의 각도 조절을 통해 가동플레이트(30)의 이동에 따른 플런저(40)의 이동 거리의 조절이 가능하고, 이동거리비에 반비례해서 플런저(40)에 작용하는 힘을 조절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플런저(40)는 고정자(20)에서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가동플레이트(30)가 이동함으로써 축방향으로 장거리 이송 및 클램핑 작용을 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플런저(40)가 외부의 구동장치와 연결되어 구동장치에 의해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면, 기어비에 의해서 가동플레이트(30)가 고정자(20)에 큰 힘을 작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가동플레이트(30)의 축방향 이동과 웨지블록(50)의 수평 이동을 더욱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도 8 내지 도 10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측면부 내주면에 수직 가이드돌기(15)가 축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동플레이트(30)의 기어작용부(31) 외면에 상기 수직 가이드돌기(15)가 삽입되는 수직 가이드홈(35)이 축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웨지블록(50)이 안착되는 프레임(10)의 하부면에 수평 가이드홈(16)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웨지블록(50)의 하부면에 상기 수평 가이드홈(16)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수평 가이드돌기(515)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반대로 상기 프레임(10)의 측면 내주면에 수직 가이드홈(35)이 형성되고, 상기 기어작용부(31) 외면에 수직 가이드돌기(15)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웨지블록(50)의 하부면에 수평 가이드홈(16)이 형성되고, 상기 웨지블록(50)이 안착되는 프레임(10)의 하부면에 수평 가이드돌기(515)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첫번째 실시예의 선형기어 모듈(1)은 고정자(20)의 하측에만 가동플레이트(30)와 웨지블록(50) 및 테이퍼부(41)가 구성되었으나, 이와 반대로 고정자(20)의 상측에 가동플레이트(30)와 웨지블록(50) 및 테이퍼부(41)가 구성될 수도 있으며, 도 11에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것과 같이 고정자(20)의 상측 및 하측에 가동플레이트(30, 130)와 웨지블록(50, 150) 및 테이퍼부(41, 141)가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측의 테이퍼부(41)와 상측의 테이퍼부(141)는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에 배치되는 웨지블록(150)은 하측에 구성되는 웨지블록(50)과 다른 형태를 갖게 된다. 즉, 상측의 웨지블록(150)은 내측면이 하측의 웨지블록(50)과 동일한 각도(θb)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 실시예의 선형기어 모듈(1)은 고정자(20)의 하측에 전술한 첫번째 실시예와 동일하게 가동플레이트(30)와 웨지블록(50) 및 테이퍼부(41)가 구성되고, 고정자(20)의 상측에 내측면이 일정 각도로 경사진 보조 기어작용부(131)를 구비한 보조 가동플레이트(130)와; 상기 보조 가동플레이트(130)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플런저(40)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외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보조 테이퍼부(141)와; 상기 보조 가동플레이트(130)의 보조 기어작용부(131)와 상기 보조 테이퍼부(141) 사이에 배치되며, 외측면이 상기 보조 기어작용부(131)의 내측면과 대응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보조 기어작용부(131)의 내측면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측면이 상기 보조 테이퍼부(141)와 대응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보조 테이퍼부(141)의 외측면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가동플레이트(30) 또는 플런저(40)의 축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보조 웨지블록(150)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상단부 내측에는 상기 보조 가동플레이트(130)에 상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인장스프링으로 된 보조 탄성부재(160)가 추가로 설치되어, 고정자(20)에서 자력이 소멸되면 상기 탄성부재(60)와 함께 보조 가동플레이트(130)를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것처럼 고정자(2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가동플레이트(30)와 보조 가동플레이트(130), 웨지블록(50)과 보조 웨지블록(150), 및 테이퍼부(41) 및 보조 테이퍼부(141)가 구성될 경우 상측의 보조 가동플레이트(130)가 하측으로 내려오고 하측의 가동플레이트(30)가 상측으로 올라가는 운동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하측의 기어작용부(31)와 상측의 보조 기어작용부(131)는 대칭 구조를 갖지만, 웨지블록(50)과 보조 웨지블록(150)은 다른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는 하측의 경우는 플런저(40)의 운동방향과 가동플레이트(30)의 운동방향이 반대이지만 상측의 경우는 플런저(40)의 운동방향과 보조 가동플레이트(130)의 운동방향이 동일하기 때문이다. 상기 가동플레이트(30)와 보조 가동플레이트(130)가 같은 거리를 이동할 경우 하측의 웨지블록(50)과 플런저(40)의 테이퍼부(41)가 이루는 경사면의 각도 θb와 상측의 보조 웨지블록(150)과 보조 테이퍼부(141)가 이루는 경사면의 각도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하측의 가동플레이트(30)의 기어작용부(31)의 내측면과 웨지블록(50)의 외측면의 경사면이 이루는 각도 (θa)와 상측의 보조 가동플레이트(130)의 보조 기어작용부(131) 내측면과 보조 웨지블록(150)의 외측면이 이루는 경사면의 각도(θa)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 실시예와 같이 상하로 배치되는 구조로 선형기어 모듈(1)를 구성하면, 전술한 첫번째 실시예의 선형기어 모듈(1)와 비교하여 상하로 발생되는 힘의 합력이 작용하여 한 쪽의 면만 사용할 때 보다 클램핑력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첫번째 실시예 및 두번째 실시예는 플런저(40)에 하나의 선형기어 모듈(1)만을 구성하였지만, 도 12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하나의 플런저(40)에 첫번째 실시예에 따른 선형기어 모듈(1)를 2개를 다단으로 구성하여 하나의 선형 액추에이터을 구성하거나, 혹은 도 13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하나의 플런저(40)에 두번째 실시예에 따른 선형기어 모듈(1)를 2개를 다단으로 구성하여 하나의 선형 액추에이터을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하나의 플런저(40)에 2개 이상의 선형기어 모듈(1)를 다단으로 구성하여 하나의 클램핑모듈을 구성하여 클램핑력을 배가시킬 수도 있다.
도 14는 고정자 철심(21)의 한 쪽의 면을 이용한 경우(도 1 참조)로서 고정자(20)의 코일(22)에 전류를 인가하였을 때 가동플레이트(30)의 이동 변위에 따른 축 방향의 힘을 나타낸 것이다. 기자력(MagnetoMotive Force : MMF)이 1500AT인 경우 고정자 철심(21)과 가동플레이트(30)가 밀착되었을 때 38kN의 축 방향으로의 큰 힘이 발생되고, 입력되는 전류의 조절을 통하여 클램핑력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5는 고정자 철심(21)의 양 쪽의 면을 이용한 경우(도 11 참조)로서 고정자의 코일(22)에 전류를 인가하였을 때 가동플레이트(30)의 이동 변위에 따른 축 방향의 힘을 나타낸 것이다. 고정자 철심(21)과 가동플레이트(30)에 상하로 발생된 힘의 합력이 플런저(40)에 작용하게 되므로 기자력이 1500AT일 경우 고정자 철심(21)과 가동플레이트(30)가 밀착되었을 때의 합력은 84kN이 발생됨을 알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기어 모듈(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실시예의 선형기어 모듈(1)은 고정자(20)를 기준으로 가동플레이트(30)의 반대편, 즉 고정자(20)의 상측에서 플런저(40)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자성 재질의 클램핑플레이트(45)를 더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첫번째 실시예의 선형기어 모듈(1)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 클램핑플레이트(45)는 플런저(40)가 이동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상기 고정자(20)의 상측에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플런저(40)가 축방향 하측으로 이동했을 때 고정자(20)의 상부면에 자력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같이 플런저(40)의 상측에 클램핑플레이트(45)가 추가로 설치되어 플런저(40)의 하향 이동시 클램핑플레이트(45)가 고정자(20)의 상부면에 고정되면, 전술한 첫번째 실시예에서보다 더욱 강한 클램핑력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가동플레이트(30)가 수직방향으로 짧은거리를 이동하게 되면 기어작용부(31)와 웨지블록(50) 및 테이퍼부(41) 간의 기어비에 의해 플런저(40)는 가동플레이트(3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장거리를 움직이게 되는데, 이 때 고정자(20)의 하측에서는 기어역할을 하는 가동플레이트(30)가 플런저(40)에 기어비만큼의 힘을 작용하지만, 클램핑플레이트(45)는 기어비없이 플런저(40)에 큰 힘을 작용하여 클램핑플레이트(45)와 고정자(20) 사이에 큰 클랭핑력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플런저(40)의 외면에 클램핑플레이트(45)가 구성될 경우,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클램핑플레이트(45)의 외면에 수직 가이드홈(46)이 형성되고, 프레임(10)의 내측면 상부에 수직 가이드돌기(17)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와 반대로 클램핑플레이트(45)의 외면에 수직 가이드돌기(17)가 형성되고, 프레임(10)의 내측면 상부에 수직 가이드홈(46)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 21 내지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기어 모듈(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실시예의 선형기어 모듈(1)은 프레임(10)이 원통형이 아닌 직육면체의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고정자(20), 가동플레이트(30), 플런저(40) 및 클램핑플레이트(45)가 모두 사각형 플레이트 형태를 갖는다.
상기 고정자(20)는 고정자 철심(21)이 서로 크기가 다른 직사각 링 형태를 가지며, 코일(22)이 각각의 고정자 철심(21)의 외면에 감겨진 형태를 갖는다.
하지만, 도 23 및 도 24에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것과 같이 고정자 철심(21)이 직사각형의 평판 형태를 가지며, 고정자 철심(21)에 코일(22)이 권선되는 복수개의 코일권선홈(21a)이 단변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혹은 도 25 및 도 26에 또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것과 같이, 고정자 철심(21)이 직사각형의 평판 형태를 가지며, 고정자 철심(21)에 코일(22)이 권선되는 복수개의 코일권선홈(21a)이 장변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자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켜 가동플레이트를 고정자에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유압시스템과 대등한 클램핑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웨지 구조에 의해 플런저의 장거리 이송이 가능하며, 전기적인 입력의 변환을 통해 클램핑력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 : 선형기어 모듈 10 : 프레임
12 : 관통공 15 : 수직 가이드돌기
16 : 수평 가이드홈 20 : 고정자
21 : 고정자 철심 22 : 코일
30 : 가동플레이트 31 : 기어작용부
311 : 제1가이드홈 32 : 관통공
35 : 수직 가이드홈 40 : 플런저
41 : 테이퍼부 411 : 제2가이드홈
42 : 회전방지부 43 : 웨지삽입홈
45 : 클램핑플레이트 46 : 수직 가이드홈
50 : 웨지블록 511, 512 : 제1,2가이드돌기
515 : 수평 가이드돌기 131 : 보조 기어작용부
60 : 탄성부재 130 : 보조 가동플레이트
141 : 보조 테이퍼부 150 : 보조 웨지블록
160 : 보조 탄성부재

Claims (18)

  1. 통형상의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 내측에 고정되는 고정자 철심(21)과, 상기 고정자 철심(21)에 감겨져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22)로 구성된 고정자(20)와;
    상기 고정자(20)와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면이 일정 각도로 경사진 기어작용부(31)를 구비한 자성 재질의 가동플레이트(30)와;
    상기 프레임(10)과 고정자 철심(21) 및 가동플레이트(3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경사진 테이퍼부(41)를 구비한 플런저(40)와;
    상기 가동플레이트(30)의 기어작용부(31)와 상기 플런저(40)의 테이퍼부(41) 사이에 배치되며, 외측면이 상기 기어작용부(31)의 내측면과 대응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기어작용부(31)의 내측면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측면이 상기 테이퍼부(41)와 대응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테이퍼부(41)의 외측면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가동플레이트(30) 또는 플런저(40)의 축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웨지블록(50)(wedge block)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기어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20)를 기준으로 상기 가동플레이트(30)의 반대편에서 플런저(40)의 외주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플런저(40)가 축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고정자(20)의 면에 연접하면서 고정자(20)에 자력에 의해 고정되는 자성 재질의 클램핑플레이트(4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기어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20)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링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서 동심상으로 순차적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자 철심(21)과, 상기 각각의 고정자 철심(21)의 외면에 권선되는 코일(22)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기어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고정자 철심(21)에 감겨지는 코일(22)은 동일한 방향으로 감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기어 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고정자 철심(21)에 감겨지는 코일(22)은 교대로 반대방향으로 감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기어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 철심(21)은 코일(22)이 권선되는 복수개의 코일권선홈(21a)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평판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기어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 상기 가동플레이트(30)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설치되어, 고정자(20)에서 자력이 소멸되면 가동플레이트(30)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기어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 철심(21)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가동플레이트(30)의 반대편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면이 일정 각도로 경사진 보조 기어작용부(131)를 구비한 보조 가동플레이트(130)와;
    상기 보조 가동플레이트(130)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플런저(40)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외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보조 테이퍼부(141)와;
    상기 보조 가동플레이트(130)의 보조 기어작용부(131)와 상기 보조 테이퍼부(141) 사이에 배치되며, 외측면이 상기 보조 기어작용부(131)의 내측면과 대응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보조 기어작용부(131)의 내측면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측면이 상기 보조 테이퍼부(141)와 대응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보조 테이퍼부(141)의 외측면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보조 가동플레이트(130) 또는 플런저(40)의 축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보조 웨지블록(1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기어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 상기 보조 가동플레이트(130)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설치되어, 고정자(20)에서 자력이 소멸되면 보조 가동플레이트(130)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보조 탄성부재(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기어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40)의 외주면에는 플런저(4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회전방지부(42)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방지부(42)에는 상기 웨지블록(50)들의 내측부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웨지삽입홈(43)이 형성되고, 상기 웨지삽입홈(43) 내측에는 상기 테이퍼부(41)가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기어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플레이트(30)의 기어작용부(31) 내측면과 상기 웨지블록(50)의 외측면에는 경사진 방향을 따라 'ㅜ'자형 단면을 갖는 제1가이드홈(311) 및 이 제1가이드홈(311)과 상응하는 'ㅜ'자형 단면을 갖도록 되어 제1가이드홈(311)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제1가이드돌기(511)가 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홈(311) 및 제1가이드돌기(511)에 의해 기어작용부(31)와 웨지블록(50)이 상대 이동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기어 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부(41)의 외측면과 상기 웨지블록(50) 내측면에는 경사진 방향을 따라 'ㅜ'자형 단면을 갖는 제2가이드홈(411) 및 이 제2가이드홈(411)과 상응하는 'ㅜ'자형 단면을 갖도록 되어 제2가이드홈(411)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제2가이드돌기(512)가 형성되어, 상기 제2가이드홈(411) 및 제2가이드돌기(512)에 의해 테이퍼부(41)와 웨지블록(50)이 상대 이동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기어 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측면부 내주면에 수직 가이드돌기(15)가 축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동플레이트(30)의 기어작용부(31) 외면에 상기 수직 가이드돌기(15)가 삽입되는 수직 가이드홈(35)이 축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기어 모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블록(50)이 안착되는 프레임(10)의 하부면에 수평 가이드홈(16)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웨지블록(50)의 하부면에 상기 수평 가이드홈(16)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수평 가이드돌기(515)가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기어 모듈.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측면부 내주면에 수직 가이드돌기(17)가 축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클램핑플레이트(45)의 외면에 상기 수직 가이드돌기(17)가 삽입되는 수직 가이드홈(46)이 축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기어 모듈.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20)와 가동플레이트(30)와 플런저(40)는 사각형 평판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기어 모듈.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20)와 가동플레이트(30)와 플런저(40) 및 클램핑플레이트(45)는 사각형 평판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기어 모듈.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선형기어 모듈이 하나의 플런저(40)에 복수개가 다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액추에이터.
KR1020120131985A 2012-11-20 2012-11-20 선형기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선형 액추에이터 KR101331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985A KR101331929B1 (ko) 2012-11-20 2012-11-20 선형기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선형 액추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985A KR101331929B1 (ko) 2012-11-20 2012-11-20 선형기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선형 액추에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1929B1 true KR101331929B1 (ko) 2013-11-26

Family

ID=49858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985A KR101331929B1 (ko) 2012-11-20 2012-11-20 선형기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선형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19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5756A (ko) * 2019-02-01 2020-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팬 소음 제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0205A (ko) * 2003-04-16 2004-10-22 에이테크솔루션(주) 리니어 모터용 코어의 제조방법
KR20100011001A (ko) * 2008-07-24 2010-02-03 전남도립대학산학협력단 기계식 리니어 액추에이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0205A (ko) * 2003-04-16 2004-10-22 에이테크솔루션(주) 리니어 모터용 코어의 제조방법
KR20100011001A (ko) * 2008-07-24 2010-02-03 전남도립대학산학협력단 기계식 리니어 액추에이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5756A (ko) * 2019-02-01 2020-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팬 소음 제어 장치
KR102294605B1 (ko) * 2019-02-01 2021-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팬 소음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9588B2 (en) Cylinder type bistable permanent magnetic actuator
KR101125280B1 (ko) 영구자석과 전자석을 결합한 자성체 홀딩장치
EP1906513A2 (en) Linear motor and machine tool having the same mounted thereon
TWI685395B (zh) 磁力卡盤
WO2013161285A1 (ja) 操作機構、及び、その操作機構を備える電力用開閉装置
JP6314833B2 (ja) アクチュエータ及びアクチュエータの製造方法
US20120268225A1 (en) Solenoid actuator with surface features on the poles
CN103608616A (zh) 电磁比例控制阀
JPWO2007063729A1 (ja) スプライン一体型リニアモータ
US11207750B2 (en) Welding device positioning arrangement
US20070285196A1 (en) Actuator
US10424429B2 (en) Long stroke linear solenoid
KR101331929B1 (ko) 선형기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선형 액추에이터
CN102577054A (zh) 线性马达
US20170350528A1 (en) Solenoid
KR101388085B1 (ko) 바이스테이블 영구자석형 조작기
KR101841936B1 (ko)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
CN102400971B (zh) 电动·液压线性伺服阀
JP2008312405A (ja) リニアモータ駆動の軸送り装置
US20080246347A1 (en) Linear motor and machine tool having the same mounted thereon
JP4799959B2 (ja) リニアモータシリンダ装置
KR101182849B1 (ko) 영구자석과 전자석을 결합한 자성체 홀딩장치
CN106141525A (zh) 可控的磁性保持装置
JP6779681B2 (ja) デテント機構付電磁切換弁
JP2006339381A (ja) ソレノイド及びソレノイド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