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1694B1 - 개폐 상태에 따라 위치 이동 가능한 버튼부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개폐 상태에 따라 위치 이동 가능한 버튼부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1694B1
KR101331694B1 KR1020110009479A KR20110009479A KR101331694B1 KR 101331694 B1 KR101331694 B1 KR 101331694B1 KR 1020110009479 A KR1020110009479 A KR 1020110009479A KR 20110009479 A KR20110009479 A KR 20110009479A KR 101331694 B1 KR101331694 B1 KR 101331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substrate
coupling groov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8248A (ko
Inventor
김기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10009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1694B1/ko
Priority to US13/346,447 priority patent/US8611084B2/en
Publication of KR20120088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32Actuators adjust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68Actuators having a not operable cond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44Protecting co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46Casings convertible
    • H01H2223/052Casings convertible reductible in size, e.g. for transpor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면부가 몸체부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몸체부는 하면에 버튼 액츄에이터가 돌출 형성된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면에 스위치가 돌출 형성된 기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버튼부 또는 상기 기판부는 상기 전면부의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몸체부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전면부가 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몸체부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상기 스위치가 상기 버튼 액츄에이터와 수평하게 병렬 배치되고, 상기 전면부가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몸체부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상기 스위치가 상기 버튼 액츄에이터와 수직하게 직렬 배치되어, 상기 버튼부가 상기 전면부의 개폐 동작에 따라 상기 몸체부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Description

개폐 상태에 따라 위치 이동 가능한 버튼부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ovable button por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open/close}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부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는 전면부의 개방 상태에 따라 버튼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형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그 구조에 따라서 폴더형(folder type) 단말기, 슬라이드형(sliding type) 단말기, 로테이트형(ratating type)형 단말기, 슬라이드-틸트형(sliding-tilting type) 단말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슬라이드형 단말기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단말기의 두께를 얇게 설계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드형 단말기는 몸체부에 버튼부가 구비되고, 상기 버튼부 아래에는 버튼부의 동작에 따라 신호를 생성하는 기판부가 구비된다.
버튼부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압지할 수 있는 복수의 버튼을 구비하고, 버튼의 하면에는 기판에 접촉할 수 있는 버튼 액츄에이터(actuator)가 형성된다. 기판부에는 상기 버튼 액츄에이터와 수직하게 직렬로 배치되는 스위치가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버튼을 압지하면 버튼 액츄에이터가 그 하단에 있는 스위치를 눌러 기판부를 전기적으로 단락시켜 데이터를 전달하게 된다.
위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르면, 휴대폰의 두께의 영향을 주는 버튼 액츄에이터와 스위치가 수직으로 직렬 배치되므로, 단말기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면부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몸체부를 개폐하는 동작에서 버튼이 전면부의 동작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버튼의 상면이 전면부의 하면의 위치 이상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버튼부가 몸체부 내부로 함입된 상태로 배치될 수밖에 없어, 사용자의 버튼 조작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면부의 개폐 상태에 따라서 버튼부가 돌출 또는 함입되어 위치 이동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면부가 몸체부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몸체부는 하면에 버튼 액츄에이터가 돌출 형성된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면에 스위치가 돌출 형성된 기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버튼부 또는 상기 기판부는 상기 전면부의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몸체부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전면부가 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몸체부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상기 스위치가 상기 버튼 액츄에이터와 수평하게 병렬 배치되고, 상기 전면부가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몸체부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상기 스위치가 상기 버튼 액츄에이터와 수직하게 직렬 배치되어, 상기 버튼부는 상기 전면부의 개폐 동작에 따라 상기 몸체부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버튼부는 그 일단부가 상기 몸체부에 고정되고, 상기 기판부는 상기 몸체부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전면부의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전면부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면부는 상기 기판부와 선택적으로 체결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판부와 상기 전면부가 서로 체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면부가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기판부가 상기 전면부에 연동하여 슬라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판부의 상면에는 상기 몸체부의 상하 방향으로 탄성 운동 가능한 결합체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의 하면에는 상기 결합체가 체결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가 전방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결합홈이 상기 결합체의 상부에 위치하면, 상기 결합체가 탄성에 의해 상기 결합홈에 체결되어 상기 기판부가 상기 전면부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체가 상기 결합홈에 체결된 상태로 상기 전면부가 전방측 방향으로 계속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기판부가 상기 전면부에 연동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결합체는 상기 기판부의 전방측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전면부의 후방측 하면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결합체는 상기 몸체부의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판 스프링이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결합체의 경사부가 안착되는 경사면과, 상기 지지부가 지지되는 수직면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체가 상기 결합홈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부가 전방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지지부가 상기 수직면에 지지되어 상기 결합체와 상기 결합홈의 체결이 유지되고, 상기 전면부가 후방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경사부가 상기 경사면에 의해 압지되어 상기 결합체와 상기 결합홈의 체결이 해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판부의 후방측 단부면에는 상기 기판부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내부 측벽에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가 상기 몸체부를 전부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체는 압축되어 탄성 회복력을 저장하고, 상기 전면부가 후방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결합체가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탄성 회복력에 의해 상기 기판부가 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결합체가 상기 결합홈에 체결 상태를 판정하는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결합체가 상기 결합홈에 체결된 상태인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면부 폐쇄시에는 버튼부와 기판부의 두께 요소가 병렬로 배치되어 몸체부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전면부 개방시에는 버튼부가 몸체부에 대해 돌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평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부가 몸체부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a는 도 2a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부가 몸체부를 일부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a는 도 2a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부가 몸체부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C 부분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일부 구성을 투시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평면도이다.
도 6a는 제1 위치에 위치한 기판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b는 제2 위치로 이동한 기판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c는 제1 위치로 복귀한 기판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슬라이드형 단말기로서, 전면부(20)가 몸체부(3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전면부(20)가 몸체부(30)를 폐쇄하도록 이동하는 방향(11)을 「후방측」방향으로 정의하고, 전면부(20)가 몸체부(30)를 개방하도록 이동하는 방향(12)을 「전방측」방향으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는 전면부(20)의 「전방측」은 전면부의 상단측이 되고, 전면부(20)의 「후방측」은 전면부의 하단측이 된다.
전면부(20)에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각종의 화면을 영사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21)가 형성된다. 전면부(20) 내부에는 각종 전기 장치가 구비되며, 필요에 따라서 다른 버튼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몸체부(30)에는 버튼부(100)가 몸체부(30)의 상면 위로 노출되어 형성된다. 버튼부(100)는 사용자가 압지할 수 있는 복수의 버튼(101)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버튼부(100)는 쿼티(Qwerty)라고 불리는 컴퓨터 자판과 유사한 입력 장치이다.
도 2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면부(20)가 몸체부(30)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a는 이동통신 단말기(10)를 두께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로 도시하였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30)는 그 상면에 버튼부(100)를 구비한다. 버튼부(100)에는 복수의 버튼(101)이 형성되어 있다. 버튼부(100)의 하면에는 각각의 버튼(101) 아래로 버튼 액츄에이터(102)가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2a에서는 하나의 버튼(101) 아래에만 버튼 액츄에이터(102)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도시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모든 버튼(101) 아래쪽에는 대응하는 버튼 액츄에이터(10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버튼부(100)는 그 일단부가 저면부(103)에 고정되어 있다.
버튼부(100)의 아래에는 기판부(20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부(200)는 다른 구성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PCB)이다.
기판부(200)의 상면에는 복수의 스위치(201)가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스위치(201)는 대응하는 버튼 액츄에이터(102)에 의해 작동하여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버튼부(100)의 버튼(101)의 수와 동일한 수로 형성된다. 도 2a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일부 스위치(201)만을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201)는 탄성 스위치의 일종인 메탈 돔(metal dome)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위치(201)가 버튼 액츄에이터(102)와 수직으로 직렬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눌려진 버튼 아래에 형성된 버튼 액츄에이터가 스위치를 누르게 된다. 눌려진 스위치는 기판부의 회로를 단락시켜 데이터를 전달하게 된다. 스위치(201)는 탄성을 가지므로, 사용자가 버튼으로부터 손을 떼면, 스위치(201)는 버튼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체 역할도 한다.
기판부(200)는 몸체부(30)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203)에 고정되어, 몸체부(30)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판부(200)는 전면부(20)의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하여 몸체부(30)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부(20)가 몸체부(30)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기판부(200)가 몸체부(30)의 내부에서 가장 후방측인 제1 위치에 위치한다.
도 2b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부(200)가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서로 대응하는 버튼 액츄에이터(102)와 스위치(201)가 서로 병렬로 수평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버튼부(100)와 기판부(200)가 형성하는 폭(t)이 크게 감소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단말기(10)의 폭을 작게 설계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부(20)는 기판부(200)와 선택적으로 체결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전면부(20)와 기판부(200)를 선택적으로 체결 또는 분리 시키기 위하여, 전면부(20)와 기판부(200)에는 각각 탈부착 부재가 구비된다.
다시 도 2a를 참조하면, 탈부착 부재로서 기판부(200)의 전방측 단부 부근의 상면에는 결합체(210)가 형성된다.
결합체(210)는 소정 폭을 가지는 판 스프링으로서(도 5 참조), 기판부(20)의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211)와, 상기 경사부(211)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지지부(212)로 이루어진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부(200)가 제1 위치에 있는 동안에는 결합체(210)는 전면부(20)의 하면에 의해 눌려진 상태로 있게 되며, 탄성력을 저장하고 있다.
한편, 전면부(20)의 후방측 단부 부근의 하면에는 탈부착 부재로서 상기 결합체(210)가 체결될 수 있는 결합홈(22)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홈(22)은, 결합체(21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구체적으로 결합체(210)의 경사부(211)가 안착될 수 있는 경사면(24)과, 지지부(212)가 안착될 수 있는 수직면(23)을 구비한다.
도 3a는 도 2a의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면부(20)가 몸체부(30)를 일부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a는 이동통신 단말기(10)를 두께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로 도시하였다.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사용하기 위하여, 전면부(20)를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이때, 전면부(20)의 결합홈(22)이 결합체(210)의 상부에 이르기 전 까지는 결합체(210)기 여전히 전면부(20)의 하면에 의해 눌려진 상태를 유지한다. 전면부(20)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해서 기판부(30)는 아무런 구속을 받지 않으므로, 기판부(30)는 상기 제1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버튼 액츄에이터(102)와 대응하는 스위치(201)는 여전히 병렬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며, 전면부(20)가 이동하는 동안 버튼부(100)의 버튼(101)이 전면부(2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20)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도중에 결합홈(22)이 결합체(21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도 3b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22)이 결합체(210)의 상부에 위치하면, 전면부(20)의 하면에 의해 눌려 있던 결합체(210)가 화살표 방향(13) 즉, 위쪽 방향으로 탄성 운동하여 결합홈(22) 내부로 수용되어 체결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결합체(210)가 결합홈(22)에 체결되는 순간의 전면부(20)의 위치를 「사점」이라고 정의한다.
전면부(20)가 몸체부(30)를 폐쇄한 위치(도 2a 참조)에서 사점에 이르는 동안에는, 기판부(100)가 제1 위치에 고정되며, 제1 위치에 고정된 기판부(100)는 상대적으로 몸체부(30) 안으로 함입되어 있다.
사점에서 사용자가 전면부(20)를 전방측으로 계속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기판부(200)가 전면부(20)에 이끌려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전면부(20)가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결합홈(22)의 수직면(23)이 결합체(210)의 지지부(212)를 민다. 지지부(212)가 전방측으로 밀리면서 결합체(210)가 전방측으로 이동하면서 기판부(200)가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도 4a는 도 2a의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면부(20)가 몸체부(30)를 완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C 부분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a는 이동통신 단말기(10)를 두께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로 도시하였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20)가 사점을 지나 몸체부(30)를 완전 개방하도록 슬라이드 이동되면, 기판부(200)는 전면부(20)의 이동에 연동하여 화살표(14)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몸체부(30)의 내부에서 가장 전방측인 제2 위치에 위치한다.
도 4b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부(200)가 제2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버튼부(100)의 버튼 액츄에이터(102)와 대응하는 스위치(201)가 수직하게 직렬로 배치된다.
따라서, 기판부(20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보다, 버튼부(100)는 위쪽으로(화살표(15) 방향으로) 상승하면서 하면체(100)의 상면 위로 돌출하게 된다. 이를 위해, 하면체(30)와 연결되는 버튼부(100)의 연결부(103)는 탄성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버튼부(100)가 소정 높이로 돌출함에 따라서, 사용자는 더 편하게 버튼부(100)의 버튼(101)들을 조작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사용자가 단말기(10)의 사용을 마치고, 전면부(20)를 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되면, 결합체(210)의 경사부(211)가 결합홈(22)의 경사면(24)에 의해 부드럽게 눌려지면서, 결합체(210)와 결합홈(22)의 체결 상태가 해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체(210)와, 상기 결합체(210)와 체결될 수 있는 결합홈(22)이 전면부(20)와 기판부(200)를 체결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탈부착 부재로 채용되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계적 또는 전기적 작용에 의해 서로 체결 또는 분리됨으로써 전면부(20)와 기판부(200)를 선택적으로 체결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탈부착 수단이라도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부재로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평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5에서는 점선을 이용하여 몸체부(30)의 일부 구성을 투시하여 도시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부(200)의 전방측 단부 측면에는 기판부(20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탄성체(300)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서 탄성체(300)는 그 일단부가 기판부(200)의 전방측 단부 측면에 고정되어,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도 5에서 제일 좌측의 탄성체 참조).
또한, 몸체부(30)에는 내부 측벽(301)이 형성되어 있으며, 기판부(200)에 연결되지 않은 탄성체(300)의 다른 단부는 내부 측벽(301)에 접촉하고 있다.
도 6a는 제1 위치에 위치한 기판부(200)를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면부(20)가 몸체부(30)를 완전히 폐쇄한 상태에서(도 2a 참조) 슬라이드 이동하여 사점(도 3a 참조)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기판부(200)는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300)는 소정의 강도로 내부 측벽(301)을 지지하여 기판부(200)가 제1 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해준다.
도 6b는 제2 위치에 위치한 기판부(200)를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면부(20)가 사점을 지나 몸체부(30)를 완전히 개방하도록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면(도 4a 참조), 기판부(200)는 제2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된다(점선은 제1 위치에 있던 기판부(200)를 도시한 것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위치에서는 기판부(200)의 전방측 단부와 내부 측벽(301)과의 사이가 좁아지므로, 탄성체(300)는 내부 측벽(301)에 의해 눌려지면서 탄성 회복력을 저장하게 된다.
도 6c는 제1 위치로 복귀한 기판부(2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6b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면부(20)를 후방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결합체(210)가 결합홈(22)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전면부(20)와 기판부(200)의 결합이 해제되어 기판부(200)를 제2 위치에 구속하던 힘이 사라지게 된다. 따라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300)는 그 탄성 회복력에 의해 원래 형태로 복귀하면서 기판부(200)를 후방측으로 밀게 되고, 그 힘에 의해 기판부(200)는 제1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하게 된다(점선은 제2 위치에 있던 기판부(200)를 도시한 것임).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전면부(20)가 몸체부(30)를 완전 개방한 상태에서 전면부(20)가 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경우에도, 기판부(200)가 그 움직임에 연동하여 제1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체(300)는 기판부(200)에 고정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성체(300)는 내부 측벽(301)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탄성체(300)는 반드시 판 스프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판부(200)의 이동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어떠한 형태의 탄성 부재라도 본 발명에 따른 탄성체(300)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는 결합체(210)가 결합홈(22)에 체결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센서(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센서에 의해 결합체(210)가 결합홈(22)에 체결된 것으로 측정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 장치(21)가 활성화되어 작동하게 되며, 결합체(210)가 결합홈(22)에서 분리된 것으로 측정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1)가 비활성화된다. 상기와 같은 센서로는 결합체(210)가 결합홈(22)에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접촉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부(200)가 전면부(20)의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하여 몸체부(3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판부(200)가 몸체부(30)에 고정되고, 버튼부(100)가 몸체부(3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게 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의 구성을 바탕으로, 버튼부(100)가 전면부(20)의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하여 전면부(20)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몸체부(3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하면서, 버튼부(100)가 전면부(20)의 개폐 동작에 따라 몸체부(3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10: 이동통신 단말기
20: 전면부
21: 디스플레이 장치
22: 결합홈
30: 몸체부
100: 버튼부
101: 버튼
102: 버튼 액츄에이터
200: 기판부
201: 스위치
210: 결합체
300: 탄성체

Claims (8)

  1. 전면부가 몸체부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몸체부는,
    하면에 버튼 액츄에이터가 돌출 형성된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면에 스위치가 돌출 형성된 기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버튼부 또는 상기 기판부는 상기 전면부의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몸체부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상기 버튼부는 상기 몸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가 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몸체부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상기 스위치가 상기 버튼 액츄에이터와 수평하게 병렬 배치되고, 상기 전면부가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몸체부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상기 스위치가 상기 버튼 액츄에이터와 수직하게 직렬 배치되어,
    상기 버튼부가 상기 전면부의 개폐 동작에 따라 상기 몸체부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그 일단부가 상기 몸체부에 고정되고,
    상기 기판부는 상기 몸체부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전면부의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전면부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상기 기판부와 선택적으로 체결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판부와 상기 전면부가 서로 체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면부가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기판부가 상기 전면부에 연동하여 슬라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의 상면에는 상기 몸체부의 상하 방향으로 탄성 운동 가능한 결합체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의 하면에는 상기 결합체가 체결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가 전방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결합홈이 상기 결합체의 상부에 위치하면, 상기 결합체가 탄성에 의해 상기 결합홈에 체결되어 상기 기판부가 상기 전면부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체가 상기 결합홈에 체결된 상태로 상기 전면부가 전방측 방향으로 계속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기판부가 상기 전면부에 연동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는 상기 기판부의 전방측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전면부의 후방측 하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는 상기 몸체부의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판 스프링이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결합체의 경사부가 안착되는 경사면과, 상기 지지부가 지지되는 수직면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체가 상기 결합홈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부가 전방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지지부가 상기 수직면에 지지되어 상기 결합체와 상기 결합홈의 체결이 유지되고,
    상기 전면부가 후방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경사부가 상기 경사면에 의해 압지되어 상기 결합체와 상기 결합홈의 체결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의 후방측 단부면에는 상기 기판부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내부 측벽에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가 상기 몸체부를 전부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체는 압축되어 탄성 회복력을 저장하고,
    상기 전면부가 후방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결합체가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탄성 회복력에 의해 상기 기판부가 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결합체가 상기 결합홈에 체결 상태를 판정하는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결합체가 상기 결합홈에 체결된 상태인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110009479A 2011-01-31 2011-01-31 개폐 상태에 따라 위치 이동 가능한 버튼부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331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479A KR101331694B1 (ko) 2011-01-31 2011-01-31 개폐 상태에 따라 위치 이동 가능한 버튼부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US13/346,447 US8611084B2 (en) 2011-01-31 2012-01-0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ovable butt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479A KR101331694B1 (ko) 2011-01-31 2011-01-31 개폐 상태에 따라 위치 이동 가능한 버튼부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248A KR20120088248A (ko) 2012-08-08
KR101331694B1 true KR101331694B1 (ko) 2013-11-20

Family

ID=46576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479A KR101331694B1 (ko) 2011-01-31 2011-01-31 개폐 상태에 따라 위치 이동 가능한 버튼부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11084B2 (ko)
KR (1) KR10133169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63610A1 (en) * 2007-11-26 2009-05-27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that has a keypad which can be rendered ineffective, and associate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690B1 (ko) * 2003-11-10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US7333840B2 (en) * 2005-04-25 2008-02-19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102007049779B4 (de) * 2006-10-17 2020-01-02 Lg Electronics Inc. Mobiles Kommunikationsendgerät und Rufverbindungsverfahren für ein solch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63610A1 (en) * 2007-11-26 2009-05-27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that has a keypad which can be rendered ineffective, and associate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248A (ko) 2012-08-08
US8611084B2 (en) 2013-12-17
US20120193209A1 (en) 201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2695B2 (en) Key switch with noise reduction mechanism
CN101909094B (zh) 带滑动式键盘的电子装置
EP3211507A1 (en) Camera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RE47957E1 (en) Keyswitch, keyboard and keyswitch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I492256B (zh) 按鍵結構
EP1770965A1 (en) Mobile terminal with a plurality of slidable keypads
JP2012104448A5 (ko)
EP2445176A1 (en) Electronic devices having multiple keypads and related methods
US20180019079A1 (en) Push switch
US9134766B2 (en) Keyboard hold down mechanism
US8772660B2 (en) Input device with swing operation
KR101331694B1 (ko) 개폐 상태에 따라 위치 이동 가능한 버튼부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CN107104014B (zh) 按键、键盘及按键制造方法
TWI623007B (zh) 按鍵
CN102007498B (zh) 卡连接器
US8525060B2 (en) Input device with swing operation
CN110050319B (zh) 低轮廓键盘
TWI606477B (zh) 具有按鍵收納功能的鍵盤
US8143544B2 (en) Switch
US8314353B2 (en) Keypad for a mobile device
CN101118814B (zh) 具有显示器的四路翘板开关
TWM501596U (zh) 可調整按壓行程之按鍵結構及具有該按鍵結構的電子裝置
KR20230101562A (ko) 전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조립체
US8500347B2 (en) Keyboard
KR20230101563A (ko) 전자장치의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케이스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