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1694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ovable button por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open/close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ovable button por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open/clo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1694B1
KR101331694B1 KR1020110009479A KR20110009479A KR101331694B1 KR 101331694 B1 KR101331694 B1 KR 101331694B1 KR 1020110009479 A KR1020110009479 A KR 1020110009479A KR 20110009479 A KR20110009479 A KR 20110009479A KR 101331694 B1 KR101331694 B1 KR 101331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substrate
coupling groov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4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88248A (en
Inventor
김기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10009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1694B1/en
Priority to US13/346,447 priority patent/US8611084B2/en
Publication of KR20120088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2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6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32Actuators adjust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68Actuators having a not operable cond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44Protecting co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46Casings convertible
    • H01H2223/052Casings convertible reductible in size, e.g. for transportatio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면부가 몸체부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몸체부는 하면에 버튼 액츄에이터가 돌출 형성된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면에 스위치가 돌출 형성된 기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버튼부 또는 상기 기판부는 상기 전면부의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몸체부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전면부가 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몸체부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상기 스위치가 상기 버튼 액츄에이터와 수평하게 병렬 배치되고, 상기 전면부가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몸체부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상기 스위치가 상기 버튼 액츄에이터와 수직하게 직렬 배치되어, 상기 버튼부가 상기 전면부의 개폐 동작에 따라 상기 몸체부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ose front portion is slidably movable relative to the body portion, wherein the body portion is disposed under the button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utton portion with a button actuator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and a switch on the upper surface. A protruding substrate portion is provided, and the button portion or the substrate portion is slidably moved relative to the body portion in association with the slide movement of the front portion. The switch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button actuator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part slides backward to close the body part. In the state in which the front part slides in the front side and the body part is opened, the switch is connected to the button actuator. Vertically arranged in series, the button portion is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relative to the body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front portion.

Figure R1020110009479
Figure R1020110009479

Description

개폐 상태에 따라 위치 이동 가능한 버튼부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ovable button por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open/clos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movable button por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opening and closing state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부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는 전면부의 개방 상태에 따라 버튼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형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moving the button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open state of the front portion that slides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이동 통신 단말기는 그 구조에 따라서 폴더형(folder type) 단말기, 슬라이드형(sliding type) 단말기, 로테이트형(ratating type)형 단말기, 슬라이드-틸트형(sliding-tilting type) 단말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슬라이드형 단말기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단말기의 두께를 얇게 설계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classified into a folder type terminal, a sliding type terminal, a rotating type terminal, a sliding-tilting type terminal, and the like according to its structure. Among them, the slide-type terminal has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and is widely used because the terminal can be designed to be thin.

일반적으로 슬라이드형 단말기는 몸체부에 버튼부가 구비되고, 상기 버튼부 아래에는 버튼부의 동작에 따라 신호를 생성하는 기판부가 구비된다.In general, the slide-typ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button portion on the body portion, a substrate portion for generating a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utton portion is provided below the button portion.

버튼부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압지할 수 있는 복수의 버튼을 구비하고, 버튼의 하면에는 기판에 접촉할 수 있는 버튼 액츄에이터(actuator)가 형성된다. 기판부에는 상기 버튼 액츄에이터와 수직하게 직렬로 배치되는 스위치가 형성되어 있다. The button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buttons that can be pressed by the user from the outside, and a button actuator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utton to contact the substrate. The substrate portion is provided with a switch disposed in series perpendicular to the button actuator.

사용자가 원하는 버튼을 압지하면 버튼 액츄에이터가 그 하단에 있는 스위치를 눌러 기판부를 전기적으로 단락시켜 데이터를 전달하게 된다. When the user presses the desired button, the button actuator presses a switch at the bottom thereof to electrically short the board to transfer data.

위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르면, 휴대폰의 두께의 영향을 주는 버튼 액츄에이터와 스위치가 수직으로 직렬 배치되므로, 단말기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utton actuator and the switch, which affects the thickness of the mobile phone, are vertically arranged in seri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terminal becomes thick.

또한, 전면부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몸체부를 개폐하는 동작에서 버튼이 전면부의 동작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버튼의 상면이 전면부의 하면의 위치 이상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버튼부가 몸체부 내부로 함입된 상태로 배치될 수밖에 없어, 사용자의 버튼 조작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button from interfering with the operation of the front part in the operation of opening and closing the body part by sliding the front part,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upper surface of the button from protruding beyond the posi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part. Therefore, the button unit is inevitably disposed in the state of the body por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s button operability is inferior.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면부의 개폐 상태에 따라서 버튼부가 돌출 또는 함입되어 위치 이동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moved by the button portion protruding or embedded in accordance with the open state of the front portion.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면부가 몸체부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몸체부는 하면에 버튼 액츄에이터가 돌출 형성된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면에 스위치가 돌출 형성된 기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버튼부 또는 상기 기판부는 상기 전면부의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몸체부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전면부가 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몸체부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상기 스위치가 상기 버튼 액츄에이터와 수평하게 병렬 배치되고, 상기 전면부가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몸체부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상기 스위치가 상기 버튼 액츄에이터와 수직하게 직렬 배치되어, 상기 버튼부는 상기 전면부의 개폐 동작에 따라 상기 몸체부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ose front part is slidab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body part, wherein the body part has a button part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utton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button part. It is disposed in the, and has a substrate portion with a switch protruding on the upper surface, the button portion or the substrate portion is slideable relative to the body portion in conjunction with the slide movement of the front portion. In this case, the switch is horizontally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button actuator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portion slides to the rear side to close the body portion, 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front portion slides to the front side and the body portion is opened, the switch is the button. It is disposed in series perpendicular to the actuator, the button portion is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relative to the body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front portion.

상기 버튼부는 그 일단부가 상기 몸체부에 고정되고, 상기 기판부는 상기 몸체부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전면부의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전면부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One end of the button part is fixed to the body part, and the substrate part is fixed to be slidab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body part, with respect to the body par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ront part in conjunction with the slide movement of the front part. You can also make the slide move.

또한, 상기 전면부는 상기 기판부와 선택적으로 체결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판부와 상기 전면부가 서로 체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면부가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기판부가 상기 전면부에 연동하여 슬라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ront surface portion is formed to be selectively fastened or detached from the substrate portion, and in a state in which the substrate portion and the front portion is fastened to each other, as the front portion slides, the substrate portion slides in conjunction with the front portion. You can also do that.

또한, 상기 기판부의 상면에는 상기 몸체부의 상하 방향으로 탄성 운동 가능한 결합체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의 하면에는 상기 결합체가 체결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가 전방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결합홈이 상기 결합체의 상부에 위치하면, 상기 결합체가 탄성에 의해 상기 결합홈에 체결되어 상기 기판부가 상기 전면부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체가 상기 결합홈에 체결된 상태로 상기 전면부가 전방측 방향으로 계속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기판부가 상기 전면부에 연동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portion is formed in the coupling body capable of elastic movemen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to which the assembly can be fastened, the front portion slides in the forward direction to the When the coupling groove is located above the assembly, the assembly is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 by elasticity so that the substrate portion is coupled to the front portion, and the front portion is in the front-side direction with the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As the slide continues to move, the substrate portion may slide in conjunction with the front portion.

또한, 상기 결합체는 상기 기판부의 전방측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전면부의 후방측 하면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mbination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substrate portion, the coupling groove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side of the front portion.

또한, 상기 결합체는 상기 몸체부의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판 스프링이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결합체의 경사부가 안착되는 경사면과, 상기 지지부가 지지되는 수직면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체가 상기 결합홈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부가 전방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지지부가 상기 수직면에 지지되어 상기 결합체와 상기 결합홈의 체결이 유지되고, 상기 전면부가 후방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경사부가 상기 경사면에 의해 압지되어 상기 결합체와 상기 결합홈의 체결이 해제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mbination is a leaf spring having an inclined portion formed inclined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a support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inclined portion, the coupling groove is seated in the inclined portion of the combination An inclined surface and a vertical surface on which the support portion is supported, and when the front portion moves to the front side in the state where the assembly is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 the support portion is supported on the vertical surface to maintain the fastening of the coupling member and the coupling groove. When the front portion moves to the rear side, the inclined portion may be pressed by the inclined surface to release the coupling between the coupling member and the coupling groove.

또한, 상기 기판부의 후방측 단부면에는 상기 기판부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내부 측벽에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가 상기 몸체부를 전부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체는 압축되어 탄성 회복력을 저장하고, 상기 전면부가 후방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결합체가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탄성 회복력에 의해 상기 기판부가 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n elastic body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in the slide movement direction of the substrate portion is formed on the rear end surface of the substrate portion to contact the inner side wall formed in the body portion, the elastic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portion fully open the body portion Compressed to store the elastic recovery force, when the front portion is moved to the rear side and the assembly is separated from the coupling groove, the substrate portion may be moved to the rear side by the elastic recovery force.

또한, 상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결합체가 상기 결합홈에 체결 상태를 판정하는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결합체가 상기 결합홈에 체결된 상태인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include a sensor configured to determine a state in which the assembly is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 and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sensor that the assembly is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 the mobile terminal. It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the display device of the.

본 발명에 따르면, 전면부 폐쇄시에는 버튼부와 기판부의 두께 요소가 병렬로 배치되어 몸체부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전면부 개방시에는 버튼부가 몸체부에 대해 돌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성이 향상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ront part is closed, the thickness elements of the button part and the substrate part are disposed in parallel to minimize the thickness of the body part, and when the front part is opened, the button part protrudes from the body part, thereby improving user's operability.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평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부가 몸체부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a는 도 2a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부가 몸체부를 일부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a는 도 2a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부가 몸체부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C 부분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일부 구성을 투시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평면도이다.
도 6a는 제1 위치에 위치한 기판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b는 제2 위치로 이동한 기판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c는 제1 위치로 복귀한 기판부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plan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ront par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osed with a body part.
FIG. 2B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2A.
3A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par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2A partially opens the body.
FIG. 3B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B of FIG. 3A.
4A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par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2A is completely opened.
FIG. 4B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C of FIG. 4A.
5 is a plan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6A shows the substrate portion located in the first position.
6B shows the substrate portion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6C shows the substrate portion returned to the first posi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은 제한되지 않는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described as one embodiment, where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r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슬라이드형 단말기로서, 전면부(20)가 몸체부(3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lide type terminal, and the front portion 20 is slidably coupled to the body portion 30.

본 명세서에서는 전면부(20)가 몸체부(30)를 폐쇄하도록 이동하는 방향(11)을 「후방측」방향으로 정의하고, 전면부(20)가 몸체부(30)를 개방하도록 이동하는 방향(12)을 「전방측」방향으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는 전면부(20)의 「전방측」은 전면부의 상단측이 되고, 전면부(20)의 「후방측」은 전면부의 하단측이 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direction 11 in which the front part 20 moves to close the body part 30 is defined as a “rear side” direction,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part 20 moves to open the body part 30. (12) is defined in the "front side" direction. For example, in FIG. 1, the "front side" of the front part 20 becomes the upper end side of the front part, and the "rear side" of the front part 20 becomes the lower end side of the front part.

전면부(20)에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각종의 화면을 영사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21)가 형성된다. 전면부(20) 내부에는 각종 전기 장치가 구비되며, 필요에 따라서 다른 버튼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The front panel 20 is provided with a display device 21 for projecting a variety of screens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user. Various electrical devices are provided in the front part 20, and other button parts may be provided as necessary.

몸체부(30)에는 버튼부(100)가 몸체부(30)의 상면 위로 노출되어 형성된다. 버튼부(100)는 사용자가 압지할 수 있는 복수의 버튼(101)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버튼부(100)는 쿼티(Qwerty)라고 불리는 컴퓨터 자판과 유사한 입력 장치이다. The body portion 30 is formed by exposing the button portion 10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0. The button unit 100 includes a plurality of buttons 101 which can be pressed by a user. The button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n input device similar to a computer keyboard called Qwerty.

도 2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면부(20)가 몸체부(30)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a는 이동통신 단말기(10)를 두께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로 도시하였다.2A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part 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body part 30 closed, and FIG. 2B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2A. .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IG. 2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cut in the thickness direction.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30)는 그 상면에 버튼부(100)를 구비한다. 버튼부(100)에는 복수의 버튼(101)이 형성되어 있다. 버튼부(100)의 하면에는 각각의 버튼(101) 아래로 버튼 액츄에이터(102)가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ure 2a, the body portion 30 has a button portion 100 on its upper surface. The button portion 1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ttons 101. The button actuator 102 protrudes convexl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utton part 100 below each button 101.

도 2a에서는 하나의 버튼(101) 아래에만 버튼 액츄에이터(102)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도시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모든 버튼(101) 아래쪽에는 대응하는 버튼 액츄에이터(10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버튼부(100)는 그 일단부가 저면부(103)에 고정되어 있다. In FIG. 2A, the button actuator 102 is illustrated only under one button 101, but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corresponding button actuators 102 are formed under all the buttons 101, respectively. . In addition, one end of the button portion 100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portion 103.

버튼부(100)의 아래에는 기판부(20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부(200)는 다른 구성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PCB)이다. The substrate unit 200 is disposed below the button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bstrate unit 200 is a printed circuit board (PCB) electrically connected to other components.

기판부(200)의 상면에는 복수의 스위치(201)가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스위치(201)는 대응하는 버튼 액츄에이터(102)에 의해 작동하여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버튼부(100)의 버튼(101)의 수와 동일한 수로 형성된다. 도 2a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일부 스위치(201)만을 도시하였다. The plurality of switches 201 protrude convex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200. The switch 201 is operated by the corresponding button actuator 102 and used for transferring data, and is formed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buttons 101 of the button unit 100. In FIG. 2A, only some switches 201 are shown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201)는 탄성 스위치의 일종인 메탈 돔(metal dome)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위치(201)가 버튼 액츄에이터(102)와 수직으로 직렬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눌려진 버튼 아래에 형성된 버튼 액츄에이터가 스위치를 누르게 된다. 눌려진 스위치는 기판부의 회로를 단락시켜 데이터를 전달하게 된다. 스위치(201)는 탄성을 가지므로, 사용자가 버튼으로부터 손을 떼면, 스위치(201)는 버튼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체 역할도 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switch 201 is a metal dome, which is a kind of elastic switch.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user presses a button in a state in which the switch 201 is disposed in series with the button actuator 102, the button actuator formed under the pressed button presses the switch. The pressed switch shorts the circuit of the substrate to transfer data. Since the switch 201 is elastic, when the user releases the button, the switch 201 also serves as an elastic body that returns the button to its original position.

기판부(200)는 몸체부(30)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203)에 고정되어, 몸체부(30)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판부(200)는 전면부(20)의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하여 몸체부(30)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The substrate part 200 is fixed to the guide 203 formed in the body part 30, and is disposed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body part 30.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ubstrate part 200 is slidably movable in the body part 30 in conjunction with the slide movement of the front part 20.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부(20)가 몸체부(30)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기판부(200)가 몸체부(30)의 내부에서 가장 후방측인 제1 위치에 위치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state in which the front part 20 is closing the body part 30, the substrate part 200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which is the rearmost side in the body part 30.

도 2b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부(200)가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서로 대응하는 버튼 액츄에이터(102)와 스위치(201)가 서로 병렬로 수평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버튼부(100)와 기판부(200)가 형성하는 폭(t)이 크게 감소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단말기(10)의 폭을 작게 설계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detail in FIG. 2B, in a state where the substrate unit 200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the button actuators 102 and the switches 201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disposed in parallel to each other. Therefore, the width t formed by the button part 100 and the substrate part 200 is greatly reduced, resulting in a smaller width of the terminal 10.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부(20)는 기판부(200)와 선택적으로 체결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전면부(20)와 기판부(200)를 선택적으로 체결 또는 분리 시키기 위하여, 전면부(20)와 기판부(200)에는 각각 탈부착 부재가 구비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ont part 20 is formed to be selectively fastened or detached from the substrate part 200. In order to selectively fasten or detach the front part 20 and the substrate part 200, the front part 20 and the substrate part 200 are provided with detachable members, respectively.

다시 도 2a를 참조하면, 탈부착 부재로서 기판부(200)의 전방측 단부 부근의 상면에는 결합체(210)가 형성된다.Referring again to FIG. 2A, the assembly 21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near the front end of the substrate 200 as a detachable member.

결합체(210)는 소정 폭을 가지는 판 스프링으로서(도 5 참조), 기판부(20)의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211)와, 상기 경사부(211)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지지부(212)로 이루어진다.The assembly 210 is a leaf spring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see FIG. 5), and includes an inclined portion 211 formed to be inclined from the front side to the back side of the substrate portion 20 and downward from an end portion of the inclined portion 211. It consists of a support 212 extending vertically.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부(200)가 제1 위치에 있는 동안에는 결합체(210)는 전면부(20)의 하면에 의해 눌려진 상태로 있게 되며, 탄성력을 저장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2A, while the substrate part 200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assembly 210 is press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part 20 and stores elastic force.

한편, 전면부(20)의 후방측 단부 부근의 하면에는 탈부착 부재로서 상기 결합체(210)가 체결될 수 있는 결합홈(22)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홈(22)은, 결합체(21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구체적으로 결합체(210)의 경사부(211)가 안착될 수 있는 경사면(24)과, 지지부(212)가 안착될 수 있는 수직면(23)을 구비한다. On the other hand, the lower surface near the rear end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20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22 to which the assembly 210 can be fastened as a detachable member. The coupling groove 22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body 210, and specifically, the inclined surface 24 on which the inclined portion 211 of the coupling body 210 may be seated, and the support portion 212 may be seated. It has a vertical surface 23 that can be.

도 3a는 도 2a의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면부(20)가 몸체부(30)를 일부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a는 이동통신 단말기(10)를 두께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로 도시하였다.3A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part 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of FIG. 2A partially opens the body part 30, and FIG. 3B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3A.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IG. 3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cut in the thickness direction.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사용하기 위하여, 전면부(20)를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이때, 전면부(20)의 결합홈(22)이 결합체(210)의 상부에 이르기 전 까지는 결합체(210)기 여전히 전면부(20)의 하면에 의해 눌려진 상태를 유지한다. 전면부(20)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해서 기판부(30)는 아무런 구속을 받지 않으므로, 기판부(30)는 상기 제1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버튼 액츄에이터(102)와 대응하는 스위치(201)는 여전히 병렬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며, 전면부(20)가 이동하는 동안 버튼부(100)의 버튼(101)이 전면부(2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The user slides the front part 20 forward in order to u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t this time, until the coupling groove 22 of the front portion 20 reaches the upper portion of the assembly 210, the assembly 210 is still maintained in the state press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20. Since the substrate part 30 is not restrained with respect to the slide movement of the front part 20, the substrate part 30 maintains the first position. Thus, the button actuator 102 and the corresponding switch 201 remain in parallel arrangement, while the button 101 of the button portion 100 is moved to the front portion 20 while the front portion 20 moves. It will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20)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도중에 결합홈(22)이 결합체(21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도 3b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22)이 결합체(210)의 상부에 위치하면, 전면부(20)의 하면에 의해 눌려 있던 결합체(210)가 화살표 방향(13) 즉, 위쪽 방향으로 탄성 운동하여 결합홈(22) 내부로 수용되어 체결된다. As shown in FIG. 3A, the coupling groove 22 is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assembly 210 while the front portion 20 slides. As shown in detail in FIG. 3B, when the coupling groove 22 is positioned above the assembly 210, the assembly 210 press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20 i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13, that is, the upward direction. The elastic movement to the receiving groove 22 is received and fastened to the inside.

본 명세서에서는 결합체(210)가 결합홈(22)에 체결되는 순간의 전면부(20)의 위치를 「사점」이라고 정의한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position of the front part 20 at the moment when the coupling body 210 is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 22 is defined as "dead point."

전면부(20)가 몸체부(30)를 폐쇄한 위치(도 2a 참조)에서 사점에 이르는 동안에는, 기판부(100)가 제1 위치에 고정되며, 제1 위치에 고정된 기판부(100)는 상대적으로 몸체부(30) 안으로 함입되어 있다. While the front portion 20 reaches the dead point in the position where the body portion 30 is closed (see FIG. 2A), the substrate portion 100 is fixed to the first position and the substrate portion 100 fixed to the first position. Is relatively embedded into the body 30.

사점에서 사용자가 전면부(20)를 전방측으로 계속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기판부(200)가 전면부(20)에 이끌려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If the user continues to move the front portion 20 to the front side at the dead point, the substrate portion 200 is drawn to the front portion 20 and slides forward.

구체적으로, 전면부(20)가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결합홈(22)의 수직면(23)이 결합체(210)의 지지부(212)를 민다. 지지부(212)가 전방측으로 밀리면서 결합체(210)가 전방측으로 이동하면서 기판부(200)가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Specifically, when the front portion 20 slides forward, the vertical surface 23 of the coupling groove 22 pushes the support 212 of the assembly 210. As the support part 212 is pushed forward, the assembly 210 moves forward and the substrate part 200 slides forward.

도 4a는 도 2a의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면부(20)가 몸체부(30)를 완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C 부분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a는 이동통신 단말기(10)를 두께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로 도시하였다.FIG. 4A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part 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of FIG. 2A is fully opened, and FIG. 4B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C of FIG. 4A.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IG. 4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cut in the thickness direction.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20)가 사점을 지나 몸체부(30)를 완전 개방하도록 슬라이드 이동되면, 기판부(200)는 전면부(20)의 이동에 연동하여 화살표(14)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몸체부(30)의 내부에서 가장 전방측인 제2 위치에 위치한다. As shown in FIG. 4A, when the front part 20 slides to completely open the body part 30 after passing through the dead point, the substrate part 200 moves in line with the movement of the front part 20. It slides in the direction and is located in the 2nd position which is the most front side in the inside of the body part 30. FIG.

도 4b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부(200)가 제2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버튼부(100)의 버튼 액츄에이터(102)와 대응하는 스위치(201)가 수직하게 직렬로 배치된다. As shown in detail in FIG. 4B, when the substrate unit 200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the switch 201 corresponding to the button actuator 102 of the button unit 100 is vertically disposed in series.

따라서, 기판부(20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보다, 버튼부(100)는 위쪽으로(화살표(15) 방향으로) 상승하면서 하면체(100)의 상면 위로 돌출하게 된다. 이를 위해, 하면체(30)와 연결되는 버튼부(100)의 연결부(103)는 탄성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Therefore, the button portion 100 protrudes upward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15) and protrudes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body 100 than when the substrate portion 200 is in the first position. To this end, the connecting portion 103 of the button portion 100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body 30 is formed to be elastically bent.

버튼부(100)가 소정 높이로 돌출함에 따라서, 사용자는 더 편하게 버튼부(100)의 버튼(101)들을 조작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의 조작성이 향상된다.As the button portion 100 protrudes to a predetermined height, the user can more easily manipulate the buttons 101 of the button portion 100, and the operability of the user is improved.

사용자가 단말기(10)의 사용을 마치고, 전면부(20)를 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되면, 결합체(210)의 경사부(211)가 결합홈(22)의 경사면(24)에 의해 부드럽게 눌려지면서, 결합체(210)와 결합홈(22)의 체결 상태가 해제된다. When the user finishes using the terminal 10 and slides the front portion 20 to the rear side, the inclined portion 211 of the assembly 210 is gently pressed by the inclined surface 24 of the coupling groove 22. , The fastening state of the coupling body 210 and the coupling groove 22 is releas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체(210)와, 상기 결합체(210)와 체결될 수 있는 결합홈(22)이 전면부(20)와 기판부(200)를 체결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탈부착 부재로 채용되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계적 또는 전기적 작용에 의해 서로 체결 또는 분리됨으로써 전면부(20)와 기판부(200)를 선택적으로 체결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탈부착 수단이라도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부재로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though the assembly 210 and the coupling groove 22 which may be coupled to the assembly 210 are employed as a detachable member for fastening or separating the front portion 20 and the substrate portion 20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understood that any form of detachable means capable of selectively fastening or detaching the front portion 20 and the substrate portion 200 by fastening or separating from each other by mechanical or electrical action may be employed as the detachable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평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5에서는 점선을 이용하여 몸체부(30)의 일부 구성을 투시하여 도시하였다. 5 is a plan vie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IG. 5 illustrates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body part 30 using a dotted lin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부(200)의 전방측 단부 측면에는 기판부(20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탄성체(300)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서 탄성체(300)는 그 일단부가 기판부(200)의 전방측 단부 측면에 고정되어,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도 5에서 제일 좌측의 탄성체 참조). As shown in FIG. 5, a plurality of elastic bodies 300 are provid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substrate 200 to provide an elastic force in the sliding movement direction of the substrate 200. In FIG. 5, one end of the elastic body 300 is fixed to the front side end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00, so that the elastic body 300 can be elastically deformed in the sliding movement direction (refer to the leftmost elastic body in FIG. 5).

또한, 몸체부(30)에는 내부 측벽(301)이 형성되어 있으며, 기판부(200)에 연결되지 않은 탄성체(300)의 다른 단부는 내부 측벽(301)에 접촉하고 있다. In addition, an inner sidewall 301 is formed in the body 30,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body 300, which is not connected to the substrate 200, contacts the inner sidewall 301.

도 6a는 제1 위치에 위치한 기판부(200)를 도시한 것이다. FIG. 6A shows the substrate 200 located in the first posi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전면부(20)가 몸체부(30)를 완전히 폐쇄한 상태에서(도 2a 참조) 슬라이드 이동하여 사점(도 3a 참조)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기판부(200)는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300)는 소정의 강도로 내부 측벽(301)을 지지하여 기판부(200)가 제1 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해준다.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front portion 20 slides and moves to the dead point (see FIG. 3A) in a state where the body portion 30 is completely closed (see FIG. 2A), the substrate portion 200 is moved to the first portion. Will be located.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A, the elastic body 300 supports the inner sidewall 301 with a predetermined strength so that the substrate 200 may be fixed to the first position.

도 6b는 제2 위치에 위치한 기판부(200)를 도시한 것이다. 6B shows the substrate portion 200 located in the second posi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전면부(20)가 사점을 지나 몸체부(30)를 완전히 개방하도록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면(도 4a 참조), 기판부(200)는 제2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된다(점선은 제1 위치에 있던 기판부(200)를 도시한 것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위치에서는 기판부(200)의 전방측 단부와 내부 측벽(301)과의 사이가 좁아지므로, 탄성체(300)는 내부 측벽(301)에 의해 눌려지면서 탄성 회복력을 저장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ront portion 20 slides to completely open the body portion 30 after passing through the dead point (see FIG. 4A), the substrate portion 200 slides to the second position (dotted lines are first The board | substrate part 200 which was in 1 position is shown. As shown in FIG. 6B,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substrate portion 200 and the inner sidewall 301 becomes narrow in the second position, the elastic body 300 is pressed by the inner sidewall 301 and has elastic restoring force. Will be saved.

도 6c는 제1 위치로 복귀한 기판부(200)를 도시한 것이다. 6C shows the substrate portion 200 returned to the first position.

도 6b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면부(20)를 후방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결합체(210)가 결합홈(22)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전면부(20)와 기판부(200)의 결합이 해제되어 기판부(200)를 제2 위치에 구속하던 힘이 사라지게 된다. 따라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300)는 그 탄성 회복력에 의해 원래 형태로 복귀하면서 기판부(200)를 후방측으로 밀게 되고, 그 힘에 의해 기판부(200)는 제1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하게 된다(점선은 제2 위치에 있던 기판부(200)를 도시한 것임). In the state shown in FIG. 6B, when the user slides the front part 20 in the rearward direction, the coupling body 210 is separated from the coupling groove 22. At this time, the coupling between the front part 20 and the substrate part 200 is released, and the force restraining the substrate part 200 at the second position disappears. Therefore, as shown in FIG. 6C, the elastic body 300 pushes the substrate portion 200 to the rear side while returning to its original form by the elastic recovery force, and the substrate portion 200 moves to the first position by the force. It will return automatically (the dotted line shows the board | substrate part 200 which was in the 2nd position).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전면부(20)가 몸체부(30)를 완전 개방한 상태에서 전면부(20)가 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경우에도, 기판부(200)가 그 움직임에 연동하여 제1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By the above configuration, even when the front part 20 slides to the rear side in the state where the front part 20 is completely open, the substrate part 200 is interlocked with the movement and thus, the first part is first. The slide will move to the posi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체(300)는 기판부(200)에 고정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성체(300)는 내부 측벽(301)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탄성체(300)는 반드시 판 스프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판부(200)의 이동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어떠한 형태의 탄성 부재라도 본 발명에 따른 탄성체(300)로 적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astic body 300 is fixed to the substrate part 2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elastic body 300 may be fixed to the inner sidewall 301. In addition, the elastic body 30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leaf spring, any type of elastic member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ubstrate portion 200 may be applied to the elastic body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는 결합체(210)가 결합홈(22)에 체결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센서(미도시)를 구비한다. On the other h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sensor (not show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oupling body 210 is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 (22).

상기 센서에 의해 결합체(210)가 결합홈(22)에 체결된 것으로 측정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 장치(21)가 활성화되어 작동하게 되며, 결합체(210)가 결합홈(22)에서 분리된 것으로 측정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1)가 비활성화된다. 상기와 같은 센서로는 결합체(210)가 결합홈(22)에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접촉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When the combination 210 is measured to be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 22 by the sensor, the display device 21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activated and operated, and the coupling 210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22. When measured as separated from, the display device 21 is deactivated. As the sensor as described above, a contact senso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ssembly 210 is in contact with the coupling groove 22 may be us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부(200)가 전면부(20)의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하여 몸체부(3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판부(200)가 몸체부(30)에 고정되고, 버튼부(100)가 몸체부(3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게 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bstrate 200 slides relative to the body portion 30 in conjunction with the slide movement of the front portion 2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substrate part 200 may be fixed to the body part 30, and the button part 100 may slide to the body part 30.

상술한 실시예의 구성을 바탕으로, 버튼부(100)가 전면부(20)의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하여 전면부(20)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몸체부(3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하면서, 버튼부(100)가 전면부(20)의 개폐 동작에 따라 몸체부(3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Based on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hile the button unit 100 in conjunction with the slide movement of the front portion 20 to slide the body portion 30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ront portion 20,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button part 100 may be movabl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body part 30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front part 20.

10: 이동통신 단말기
20: 전면부
21: 디스플레이 장치
22: 결합홈
30: 몸체부
100: 버튼부
101: 버튼
102: 버튼 액츄에이터
200: 기판부
201: 스위치
210: 결합체
300: 탄성체
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front part
21: display device
22: coupling groove
30: body
100: button part
101: button
102: button actuator
200: substrate portion
201: switch
210: conjugate
300: elastomer

Claims (8)

전면부가 몸체부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몸체부는,
하면에 버튼 액츄에이터가 돌출 형성된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면에 스위치가 돌출 형성된 기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버튼부 또는 상기 기판부는 상기 전면부의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몸체부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상기 버튼부는 상기 몸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가 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몸체부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상기 스위치가 상기 버튼 액츄에이터와 수평하게 병렬 배치되고, 상기 전면부가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몸체부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상기 스위치가 상기 버튼 액츄에이터와 수직하게 직렬 배치되어,
상기 버튼부가 상기 전면부의 개폐 동작에 따라 상기 몸체부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A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ose front portion is slidably movable relative to a body portion,
The body portion
A button unit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utton actuator; And
A substrate part disposed below the button part and having a switch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thereof;
The button portion or the substrate portion is slideable relative to the body portion in conjunction with the slide movement of the front portion,
The button portion is formed to be movable up and down on the body portion,
The switch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button actuator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part slides backward to close the body part. In the state in which the front part slides in the front side and the body part is opened, the switch is connected to the button actuator. Vertically arranged in series,
And the button unit is movabl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body unit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fron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그 일단부가 상기 몸체부에 고정되고,
상기 기판부는 상기 몸체부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전면부의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전면부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One end of the button portion is fixed to the body portion,
The substrate unit is fixed to the slide to the body portion, the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e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front portion in conjunction with the slide movement of the front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상기 기판부와 선택적으로 체결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판부와 상기 전면부가 서로 체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면부가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기판부가 상기 전면부에 연동하여 슬라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ront portion is formed to be selectively fastened or separated from the substrate portion,
And the substrate portion slides in association with the front portion as the front portion slides in a state where the substrate portion and the front portion are fastened to each oth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의 상면에는 상기 몸체부의 상하 방향으로 탄성 운동 가능한 결합체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의 하면에는 상기 결합체가 체결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가 전방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결합홈이 상기 결합체의 상부에 위치하면, 상기 결합체가 탄성에 의해 상기 결합홈에 체결되어 상기 기판부가 상기 전면부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체가 상기 결합홈에 체결된 상태로 상기 전면부가 전방측 방향으로 계속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기판부가 상기 전면부에 연동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portion is formed with an assembly capable of elastic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to which the assembly can be fastened,
When the front portion slides forward and the coupling groove is positioned above the coupling body, the coupling body is elastically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 so that the substrate portion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portion.
And the substrate unit slides in association with the front part as the front part continues to move forwar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upling body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는 상기 기판부의 전방측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전면부의 후방측 하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mbina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substrate portion,
The coupling groove is a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sid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는 상기 몸체부의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판 스프링이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결합체의 경사부가 안착되는 경사면과, 상기 지지부가 지지되는 수직면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체가 상기 결합홈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부가 전방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지지부가 상기 수직면에 지지되어 상기 결합체와 상기 결합홈의 체결이 유지되고,
상기 전면부가 후방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경사부가 상기 경사면에 의해 압지되어 상기 결합체와 상기 결합홈의 체결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mbination is a leaf spring having an inclined portion formed inclined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a support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inclined portion,
The coupling groove has an inclined surface on which the inclined portion of the assembly is seated, and a vertical surface on which the support is supported.
In the state that the combination is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
When the front portion moves to the front side, the support portion is supported on the vertical surface to maintain the fastening of the coupling member and the coupling groove,
And the inclined portion is pushed by the inclined surface when the front portion moves to the rear side, thereby releasing the engagement between the coupling member and the coupling groov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의 후방측 단부면에는 상기 기판부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내부 측벽에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가 상기 몸체부를 전부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체는 압축되어 탄성 회복력을 저장하고,
상기 전면부가 후방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결합체가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탄성 회복력에 의해 상기 기판부가 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 elastic body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in the slide movement direction of the substrate portion is formed on the rear end surface of the substrate portion to contact the inner side wall formed in the body portion,
The elastic body is compressed to store the elastic recovery force in the state in which the front portion fully open the body portion,
And the front portion is moved to the rear side and the assembly is separated from the coupling groove, the substrate portion slides to the rear side by the elastic recovery for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결합체가 상기 결합홈에 체결 상태를 판정하는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결합체가 상기 결합홈에 체결된 상태인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mbination is provided with a sensor for determining the fastening state in the coupling groove,
And the sensor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display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sensor that the assembly is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
KR1020110009479A 2011-01-31 2011-01-3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ovable button por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open/close KR1013316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479A KR101331694B1 (en) 2011-01-31 2011-01-3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ovable button por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open/close
US13/346,447 US8611084B2 (en) 2011-01-31 2012-01-0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ovable butt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479A KR101331694B1 (en) 2011-01-31 2011-01-3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ovable button por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open/clo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248A KR20120088248A (en) 2012-08-08
KR101331694B1 true KR101331694B1 (en) 2013-11-20

Family

ID=46576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479A KR101331694B1 (en) 2011-01-31 2011-01-3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ovable button por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open/clos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11084B2 (en)
KR (1) KR10133169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63610A1 (en) * 2007-11-26 2009-05-27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that has a keypad which can be rendered ineffective, and associate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690B1 (en) * 2003-11-10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Sliding type portable wireless terminal
US7333840B2 (en) * 2005-04-25 2008-02-19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102007049779B4 (en) * 2006-10-17 2020-01-02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ll connection method for suc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63610A1 (en) * 2007-11-26 2009-05-27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that has a keypad which can be rendered ineffective, and associate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93209A1 (en) 2012-08-02
KR20120088248A (en) 2012-08-08
US8611084B2 (en) 2013-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11507A1 (en) Camera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9837221B2 (en) Key switch with noise reduction mechanism
USRE47957E1 (en) Keyswitch, keyboard and keyswitch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805474B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detachable tablet
TWI607474B (en) Keyswitch
TWI492256B (en) Keyswitch structure
EP1770965A1 (en) Mobile terminal with a plurality of slidable keypads
JP2012104448A5 (en)
EP2445176A1 (en) Electronic devices having multiple keypads and related methods
CN101909094A (en) Electronic device with sliding type keyboard
US20180019079A1 (en) Push switch
US9134766B2 (en) Keyboard hold down mechanism
US8963032B2 (en) Button assembly flush with electronic device casing
US8772660B2 (en) Input device with swing operation
KR101331694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ovable button por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open/close
CN107104014B (en) Key, keyboard and press-key manufacturing method
CN107346716B (en) The keyboard of adjustable key height
CN102007498B (en) Card connector
TW201732854A (en) Keyswitch and keyboard thereof
US20130105657A1 (en) Charging device
US8525060B2 (en) Input device with swing operation
CN110050319B (en) Low profile keyboard
TWI606477B (en) Keyboard with key accommodation function
US8143544B2 (en) Switch
US8314353B2 (en) Keypad for a mobi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