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1529B1 - 온열 침대와 결합 된 지압구동모듈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온열 침대와 결합 된 지압구동모듈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1529B1
KR101331529B1 KR1020110096653A KR20110096653A KR101331529B1 KR 101331529 B1 KR101331529 B1 KR 101331529B1 KR 1020110096653 A KR1020110096653 A KR 1020110096653A KR 20110096653 A KR20110096653 A KR 20110096653A KR 101331529 B1 KR101331529 B1 KR 101331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upressure
rod
pressure
bar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2935A (ko
Inventor
조기환
Original Assignee
조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기환 filed Critical 조기환
Priority to KR1020110096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1529B1/ko
Publication of KR20130032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6Percussion or tapping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4With mechanical drive, e.g. spring mechanism or vibrating unit being hit for starting vibration and then applied to the body of a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2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adapted for simultaneous treatment with light, heat or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61H2201/0146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18Ca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압구동모듈과 기능성 온열침대 를 결합하여 온열침대에서 지압을 받을 수 있도록 지압구동장치를 공학 메카니즘에 의해 간결한 방법으로 모듈화한 지압구동장치에 것에 관한 것이다.
기능성 온열침대에 지압을 할 수 있도록 지압봉을 상승시키도록 하는 구동 메카니즘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발명은 여러 구동방법 중 구동장치를 표준화 시킬 수 있도록 간결하고 실용적인 방법으로 구동장치를 구성하였고, 기능성 온열침대의 주기능을 저하하지 않으면서 보조 기능으로 지압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본 구동장치는 크게 2개의 구동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로 지압봉을 상승하강 할 수 있도록 모터의 회전운동을 상하운동으로 바꾸는 동력 구동장치로 구동장치 브라켓에 감속모터 축의 스프라켓을 결합하고 구동장치 브라켓 다른 끝지점에 스프라켓을 장착하여 스프라켓을 체인핀이 돌출되어 있는 체인으로 회전시킨다..
지압봉을 상승시키는 캠이 일직선으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중앙에 체인을 두고 양쪽으로 가이드레일을 두어 볼베어링유닛이 가이드레일을 관통하여 슬라이딩 하도록 하고 양쪽에 있는 볼베어링유닛을 브라켓으로 결합하고 브라켓 상부양단에 캠을 결합 양쪽의 볼베어링유닛이 동시에 같은 방향, 속도로 캠을 왕복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장치 체인핀을 볼베어링유닛을 결합한 브라켓 중앙의 장공으로 되어 있는 구멍에 삽입하여 핀의 상부는 핀이 이탈하지 못하도록 스냅링으로 처리하고 핀은 장공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하여, 체인의 회전운동으로 캠과 결합 된 볼베어링유닛을 체인핀이 끌어 체인핀이 스프라켓 끝 지점에서 회전하면 체인핀이 볼베어링유닛과 결합 된 구동장치 브라켓 장공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볼베어링유닛을 반대방향으로 끌어 캠을 체인핀의 회전거리만큼 왕복운동 하도록 한다.
두번째 구동장치는 스태핑모터의 축 스프라겟에 체인을 3/4회전 감고 또 다른 스프라켓에 체인을 반대 방향으로 3/4회전 감아 모터 양쪽, 지압봉의 바같쪽으로 크랭크형 스토퍼에 있는 스프라겟에 체인을 3/4회전 감아 모터 스프라겟과 양쪽 스토퍼 스프라겟이 각각 연결 되도록 한다.
크랭크형 스토퍼에는 코일스프링이 삽입되어 크랭크형 스토퍼를 강제 하강 회전하도록 탄력을 작용시켜 체인을 팽팽하게 당겨 주도록 한다.
지압봉의 하단에 바퀴가 결합 되고 바퀴의 상단지압봉에 홀을 생성하여 홀을 고정스틱이 관통하여 다수의 지압봉을 연결하여 지압봉이 한조가 되도록 한다. 고정스틱 상면에 와셔를 지압봉에 관사하여 놓고 압축스프링을 순차적으로 지압봉에 삽입한다.
상기 지압봉을 볼베어링유닛에 관통시켜 지압봉이 상하로 연직 운동 되도록 하고 볼베어링유닛을 모듈의 상판 홀에 고정한다.
지압봉과 결합 된 고정스틱을 크랭크형 스토퍼 상단 위에 놓아 크랭크형 스토퍼가 1/2회전 하면 지압봉 전체를 최고점으로 상승시키고 반대로 1/2회전 하면 지압봉을 최저점으로 전체를 하강시켜 지압봉을 매트큐션 아래까지 내려오도록 한다.
지압봉을 순차적으로 상승 하강하도록 캠을 작동시킬 때는 클랭크형 스토퍼가 1/4 회전하여 지압봉과 결합 된 고정스틱을 밀어올려 바퀴가 캠의 사면을 구를수 있는 높이 까지 상승시키도록 한다.
상기 2개의 구동장치를 프레임으로 결합한 지압구동모듈에 관한 것이고,
지압구동모듈을 기능성 온열침대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독립적인 기기로 구성한 것이다.
중앙이 뚫려있는 가이드캡과 결합된 온열매트를 침대프레임 내부에 매입하여 구동장치 지압봉과 가이드캡을 일치시켜 정열하고 지압캡을 가이드캡에 삽입하여 지압봉 상단을 씌울 수 있도록 한다.
지압구동모듈의 지압봉이 상승하여 지압캡을 밀어 올려 지압을 하고 지압을 하지 않을 때는 지압봉이 매트큐션 아래로 하강하여 지압캡과 분리되어 지압캡이 매트상면과 수평을 이루어 매트 구멍을 덮어 일상적인 취침이 가능하도록 한 지압온열침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온열 침대와 결합 된 지압구동모듈의 구동장치 {Drive system of module acupressure with bed}
본 발명은 침대 형태로 되어있는 척추 지압 경혈 의료용 치료기에서 지압구동장치와 온열매트(보료)를 분리하여 지압구동장치를 모듈화하고 표준화하여 지압구동모듈과 온열매트,침대프레임으로 각각 독립적인 기기로 분류하여 다양한 종류의 온열매트와 침대프레임을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맞춤형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지압구동모델을 온열매트, 침대프레임에 누구나 쉽게 조립,분해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성을 향상하는데 있다.
지압모듈을 조립한 지압침대는 주기능인 취침기능을 손상하지 않으면서 보조기능으로 지압을 받을 수 있도록 지압캡을 지압봉과 분리하여 지압봉을 매트규션 아래까지 하강시켜 취침시 지압봉에 의한 배김 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지압을 받지 않을 때는 지압캡이 매트홀을 덮고 있어 온열침대의 미관을 회손하지 않고 이물질이 매트홀 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사회가 고령화되고 소득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버 상품들이 개발되어 일상생활에 활용되어 지고 있다.
휴식을 취하면서 몸의 피로를 풀 수 있도록 고안된 안마 의자는 대표적인 실버 상품으로 대중화 된지 오래 이다. 이러한 안마의자는 고가이고 안마전용으로 되어 있다.
기능성 온열침대는 여러 종류의 제품들이 있다. 이러한 침대들은 온열로 추운 겨울에 몸을 따뜻하게 하여 주는 단순한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침대들은 상판이 돌,흙,숫,세라믹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물질에서 나오는 원적외선이 인체의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여 혈관이 팽창하고 혈액이 활성화 되어 노폐물을 땀으로 배출하여 쾌적한 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제품들은 모두 고가이고 부피가 크고 무게도 무거워 각각의 기기가 가지고 있는 기능을 활용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의 기기들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하나의 기기에 결합하여 하나의 기기에서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해결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물론 상기 각각의 기기들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기능들을 모두다 하나의 기기에 결합할 수는 현실적으로 기기를 제작하는데 어려움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각각의 기기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특징들만을 선택하여 하나의 기기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이 결합 된 종래의 비슷한 제품들이 있어 왔던 것이 사실이다.
예로 기능성 매트에 바이브레다가 결합 된 안마매트,음이온이 결합 된 음이온매트, 전위가 결합 된 전위 매트, 적외선램프가 결합 된 적외선매트, 등등
이러한 결합 상품 중 치료용 의료기인 지압기는 침대와 일체형으로 치료전용으로 되어 있어 지압치료 이외에는 활용도가 많지 않는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지압기와 침대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조립,보관,이동, a/s 등, 여러가지 제반적인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침대에 지압봉이 결합 되어 물리치료기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기술로는 명칭 척추경혈용지압장치 등록번호10-0419987 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침대 매트 상면에 사각의 큰 개구부를 만들어 다수의 지압 홀(구멍)이 있는 상판을 침대매트의 사각으로 형성된 개구부에 설치하고 상판의 아래에는 스프링을 장착하고 지압봉 끝단에 지압구 보다 지름이 큰 지압구가 있고 반대 하단 끝단에는 연결관이 지압봉과 지압봉을 연결하고 연결관 중앙에 롤러가 결합 된 지압봉이 침대와 결합 된 상판의 지압 홀에 삽입되어 지압구가 상판에 지지 되어 지압봉이 상판에 매달려있고, 컨베어밸트에 바퀴가 달린 습동부재가 결합 되어져 컨베어밸트의 정,역회전에 의해 습동부재가 이동하면서 연결관과 결합 된 롤러를 밀어 올리는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방식의 문제점은 지압봉의 끝단에 지압구 보다 지름이 큰 지압구가 있어 지압구가 침대와 결합 된 상판 위에 걸쳐지는 구조로 지압봉이 상판에 대롱대롱 매달려 있어 습동부재의 수평운동으로 지압봉을 수직 운동으로 전환하는데 구조적으로 문제점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지압봉과 지압봉 사이에 롤러가 있어 지압구에 편심 압력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대한 문제점은 기술되어 있지 않다.
지압구가 상판에 같은 높이로 매달려 있어 지압기를 침대로서 활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침대 상판의 사각의 개구부에 지압구가 돌출될 수 있도록 구멍이 뚫린 사각 판상체를 매트와 수평이 되게 삽입하도록 되어져 있어 침대의 상면이 다수의 구멍으로 노출되어 미관상 보기 좋지 않고, 구멍 속으로 이물질이 들어갈 수도 있다.
지압상판과 지압구, 지압봉, 컨베어, 습동부재, 하부판 등이 침대와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지압치료기를 분해 조립 이동하는데 어려움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상기 척추경혈지압장치는 의료용 지압기로 주목적이 치료를 위한 기기로 구성되어 있고 부차적으로 취침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취침을 하기에는 무리가 있고 실용화 하기에는 구조적으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다른 선행기술로는 명칭 척추자극치료맛사지기 등록번호10-0561967 가 있다.
이 기술도 지압봉과 결합 된 지압구가 상판에 매달려 있어 습동부재에 의해 지압봉이 밀려 올라가는 메카니즘은 동일하나 습동부재에 있는 바퀴가 인체의 굴곡형상으로된 레일을 따라 왕복운동 한다는 것과 습동부재가 구동장치 스크류의 정회전 역회전에 의해 이동한다는 것이 전자의 선행기술과 다른 점이다.
이와 같은 기술도 전자와 같은 구조적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고, 명칭 척추경혈용지압장치 및 명칭 척추자극치료맞사지기 를 치료용 외 침대로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고 생활용 내구재 상품으로 상용화하는 데는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발명은 치료용 의료기로서의 지압맞사지 기기가 아닌 실생활 내구재인 기능성 온열침대에 주 기능인 취침기능과 온열기능 외에 부차적인 보조기능으로 지압을 할 수 있도록 기기를 구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종래 기술은 지압구와 결합 된 지압봉이 침대와 결합 된 상판에 매달려 있고 하판이 상판과 조립되어 일체형으로 된 지압치료기로 조립, 운반 등 여러 문제점 들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보완하여 지압구동장치를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하고 온열매트,침대프레임으로 개별 상품화시켜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맞춤 디자인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지압구동장치를 모듈화하도록 한다.
그리고 종래기술은 지압구동장치의 지압봉 중앙에 롤러가 있어 지압봉에 편심 압력이 작용하였을 경우 지압봉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압봉 하나 하나에 바퀴를 장착하여 지압봉의 편심에 관계없이 지압봉이 작동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지압봉을 밀어올리는 캠(습동부재) 구동장치인 왕복운동 메카니즘으로 종래 기술은 모터가 정,역회전하여 캠이 왕복 운동하였으나 본 발명은 모터의 정 회전만으로 캠이 왕복운동 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지압봉의 전체높이를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지압봉을 전부 상승시켜 지압할 수 있도록 하고, 지압을 하지 않을 때는 지압봉을 지압캡과 분리하여 매트의 하단 아래까지 하강시켜 취침시 지압봉에 의해 취침에 방해를 주지 않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지압봉 상면의 지압캡는 지압봉과 별개로 구성되고 온열매트와 결합 되어 지압을 받지 않고 취침할 때는 매트에 있는 매트홀을 지압캡이 덮고 있어 기능성 온열침대의 미관을 손상하지 않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압구동장치 메카니즘을 2가지로 분리하도록 한다. 첫째 모터의 회전 운동에 의해 지압봉을 상하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장치로 감속모터가 결합 된 모터 축에 스프라켓을 결합하고 캠의 이송 거리 만큼 모터 반대편에 스프라켓을 설치하여 체인을 스프라켓에 결합하여 회전되도록 한다.
체인 구동장치 양측으로 캠이 일직선으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지압봉의 압력을 견딜 수 있는 가이드레일을 장착하고 가이드레일에 볼베어링유닛이 관통하여 슬라이딩 되도록 한다.
2개의 볼베어링유닛을 브라켓으로 결합하고 브라켓 상단에 있는 장공에 체인핀을 결합하고 브라켓 양측 가장자리 상단에 캠을 장착하여 볼베어링유닛이 똑같은 속도, 거리,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되도록 한다.
두번째 구동장치는 또 다른 스테핑모터 축에 스프라켓을 장착하고 지압봉 바깥쪽 양측으로 스토퍼가 회전하도록 스토퍼 축을 베어링 브라켓에 삽입하고 스토퍼 축에 스프라켓을 결합하여 스테핑모터 축과 결합 된 스프라켓과 체인으로 연결 되도록 한다.
상기 스토퍼 축은 크랭크 형식으로 구부러져 있어 스토퍼의 축이 180도 회전에 의해 구부러진 스토퍼면이 지압봉의 최고점 높이와 최하점 높이로 상승 하강 되도록 한다.
지압봉의 하단에 바퀴가 결합 되고 바퀴 상단 지압봉에 구멍을 관통하여 고정스틱이 삽입 되도록 한다.
고정스틱으로 지압봉 다수를 연결하여 지압봉이 한 조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결합방법은 지압봉이 개별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바퀴가 일렬로 캠과 정열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고정스틱 상단에 와셔를 지압봉에 관사하고 스프링을 지압봉에 순차로 삽입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지압봉을 볼베어링유닛을 관통하여 연직운동 되도록 하고 볼베어링유닛이 모듈 상판에 고정 되도록 한다.
고정스틱은 두번째 구동장치의 스토퍼 위에 놓여져 지압봉이 크랭크형 스토퍼의 1/2 회전에 의해 지압봉의 전체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장치 2개를 결합하고 프레임에 2개의 구동장치를 고정하여 지압구동모듈을 완성하도록 한다.
지압구동모듈과 기능성 온열매트는 독립적인 상품으로 구성되어 온열매트(보료)의 종류와 상부소재에 관계없이 어디에도 적용가능 하도록 한다.
온열매트에 가이드캡을 부착하고 지압캡을 가이드캡에 삽입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지압을 하지 않을 때는 지압캡이 지압봉과 분리되어 지압봉이 매트큐션 아래로 내려가 취침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한다.
지압캡은 매트 상면과 수평이 되도록 하여 지압구멍으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막도록 한다.
상기 서술한 봐와 같이 본 발명은 지압구동장치를 모듈화시켜 기능성 온열침대와 결합시 간편하게 조립 분해할 수 있고 침대 이동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각각의 기기들이 모듈화되어 공정의 단순화를 이루 수 있고 모듈을 표준화시켜 침대매트의 종류에 관계없이 지압구동모듈이 조립 되도록 하였다.
지압침대가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모듈만 교체가 가능하여 A/S 의 신속함,효율화를 꾀할 수 있다.
지압봉에 각각 바퀴를 부착하여 지압봉이 편심에 관계없이 지압을 할 수 있고, 모터가 정 회전만으로 캠을 왕복 운동하여 모터의 회전손실을 줄이고 모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지압봉의 전체 높낮이를 자유로이 조정할 수가 있어 지압봉 전체를 이용하여 지압할 수도 있고, 지압봉을 최저점으로 하강시켜 큐션 있는 침대에서 취침시 큐션매트가 압착되어도 지압봉과 지압캡의 이격 거리가 멀어 지압봉에 의한 배김 현상 없이 쾌적한 수면을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지압캡이 매트와 결합 된 보호캡 내부에 있고 지압봉과 이격되어 지압을 하지 않을 때는 지압캡이 매트 상면과 수평을 이루며 지압홀을 덮고 있어 침대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매트홀 속으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막아준다.
도1은 지압구동모듈과 기능성 침대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2는 침대프레임의 가로지지대에 지압구동모듈이 정 위치에 장착되고 기능성 매트 또는 온돌보료가 침대프레임 안으로 결합 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지압구동모듈의 완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4는 도3의 완성된 지압구동모듈의 외부 프레임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5는 지압구동모듈의 각각 구동장치의 부품별 조립상태를 나타낸 조립도 이고.
도6은 도5의 조립도에서 상부 지압 구성부품이 상판에 조립되고 크랭크형 스토퍼의 구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7은 지압구동모듈의 가이드레일과 동력장치의 결합을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8은 캠을 왕복운동 하는 지압구동모듈의 구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9는 동력전달 체인의 핀과 브라켓 장공이 결합 된 것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 이고.
도10은 지압봉이 스토퍼에 의해 하강한 상태에서 캠의 왕복운동으로 차례로 지압봉이 상승 지압캡을 밀어 올리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11은 지압봉과 결합 되어 있는 고정스틱을 스토퍼가 회전하며 밀어올려 지압봉을 전체적으로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동일한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한다.
도1, 도2의 사시도는 본 발명의 지압구동모듈과 결합 된 기능성 온열침대를 도시한것으로 도면에 나타낸 것은 기능성 온열침대이나 이것은 지압모듈과 결합할 수 있는 하나의 상품을 임의로 선정한 것이고 본 발명의 지압구동모듈을 온열기능성 침대가 아닌 일반매트침대에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2에서 침대 외곽 프레임(200,201)을 조립한 상태에서 가로지지대(202)를 침대프레임 협(201)과 협사이에 놓여 지도록 한다. 가로지지대(202)는 온열매트(보료)를 지지해주는 받침대이다.
상기 가로지지대(202)에 지압모듈의 사귀에 있는 앵글(900)을 결합하도록 한다. 지압모듈이 놓여지는 위치는 기능성 온열매트(100)의 매트홀(102)과 일치하도록 정 위치에 놓도록 한다.
침대프레임(200,201)의 내부에 지압구동모듈(1000)이 결합 된 후 기능성 온열매트(100)가 침대프레임 협(201) 안쪽으로 매입되어 가로지지대(202)에 놓여져 지압봉(703)이 매트홀(102)과 일치 되도록 한다.
기능성 온열매트를 침대프레임(200,201)이 감싸고 있어 기능성 온열매트가 아래 위 좌우로 움직일 수 없어 안마봉(703)이 매트홀(102)과 항상 일치되어 있다.
기능성 온열매트(100)가 침대프레임(200,201)과 결합 되고 매트홀(102)에 가이드캡(703c)을 결합하고 지압캡(703a)을 가이드캡(703c)에 삽입하도록 한다.
가이드캡(703c)은 매트(100)제조시 먼저 매트에 조립되어 있도록 한다.
지압캡(703c)은 가이드캡(703a)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지압봉(703)이 지압캡(703a)을 밀어 올릴 수 있도록 한다.
가이드캡(703a)의 작동상태를 도10 도11의 사시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겠다.
가이드캡(703c)은 기능성매트(100)의 상판인 세라믹이나 원석이 놓여 지는 하판(106)에 가이드캡(703c)의 상단의 날개가 고정되어 매트와 일체가 되도록 한다. 지압캡(703a)의 내부는 지압봉(703)이 삽입 취출 되도록 빈 공간으로 되어 있다.
지압봉이 정지한 상태의 설명을 도면10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겠다.
지압봉(703)이 스토퍼(805)의 1/2 회전에 의해 크랭크형상이 위쪽으로 오목하게 되고, 압축스프링(701)의 탄력에 의해 지압봉(703)과 결합 된 고정스틱(704)을 스토퍼 상면(805)에 밀착하도록 한다.
스토퍼(704)가 1/2회전 하여 최저점이 되면 지압봉(703)은 온열매트큐션(103) 아래로 하강하고 지압봉(703)은 지압캡(703a)과 분리된다.
지압캡(703a)이 하단으로 내려와 있을 때는 지압캡(703a)이 가이드캡(703c)의 상단에 지압캡(703a)의 날개가 놓여지게 된다. 지압봉(703)은 지압캡(703a)보다 더욱 하강하여 매트큐션(103) 아래로 내려와 정지한다.
이와 같이 지압캡(703a)이 평상시에는 매트홀(102)을 덮고 있어 매트홀(102)이 개방되어 있을 때의 단점들을 보완하고 지압캡(703a)이 매트 상판큐션(103)과 같이 움직여 지압봉(703)에 의한 배김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완벽한 잠자리를 구현할 수가 있다.
또한 스토퍼(805)를 1/4 회전하여 스토퍼(805)가 고정스틱(704)을 밀어 올려 지압봉(703) 전체가 지압캡(703a)과 밀착되도록 하고 지압봉(703) 아래의 바퀴(705)가 캠(603)의 사면을 구를 수 있는 높이까지 상승 되어 지압봉(703)을 순차적으로 상승시켜 지압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도11은 스토퍼(805))가 1/2 회전하여 크랭크형상이 아래로 오목하게 되어 고정스틱(704)을 위쪽으로 밀어 올려 지압봉(703) 전부가 상승, 지압캡(703a)을 밀어 올려 지압캡(703a) 전체를 이용한 지압을 할 수 있어 다양한 지압 조건으로 지압을 받을 수 있다.
상기설명은 지압구동모듈(1000)과 기능성 온열매트(100)를 조립하는 방법 및 지압봉(703)과 매트의 지압캡(703a)이 작동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다음은 지압구동장치의 구동메카니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지압구동모듈의 구동장치는 2개의 구동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첫번째 구동방식은 지압봉(703)을 밀어 올릴 수 있도록 모터(500)의 회전운동을 연직 상하 운동으로 바꾸어 주는 동력장치이다.
상기 동력장치를 도7 도8의 도면을 보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8에서 감속기어가 결합 된 모터(500)를 구동장치 브라켓(505)의 한쪽 끝에 고정하고 모터 축에 스프라켓(502)을 고정한다. 구동장치 브라켓(505)의 다른 쪽 끝 지점에 스프라켓축(504)을 고정하고 스프라켓(502)을 결합한다. 상기 양 스프라켓(502) 사이에 체인(503)을 연결하여 모터(500)가 구동드라이브(501)의 제어를 받아 체인(503)을 회전하도록 한다.
체인(503)의 지점 한곳에는 체인핀(503a)이 돌출되도록 한다.
도8의 구동장치 브라켓(505)의 양측으로 도7에 도시한 것처럼 가이드레일(601)을 정열 하도록 한다. 가이드레일(601)에 볼베어링유닛(600)이 관사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한다.
브라켓(602)으로 양측의 볼베어링유닛(600)을 체인(503)을 가로질러 연결하고 브라겟(602)의 양쪽가장자리 상단에 캠(603)을 결합한다.
브라켓(602)의 상단 중앙에는 장공(602a)의 홀이 있어 이 홀 속으로 체인핀(503a)을 관통하여 브라켓(602)과 결합한다. 도9에 체인핀(503a)이 브라겟(602)의 장공 홀(602a)에 결합 된 상태를 확대 표시하였다.
체인핀(503a)은 브라켓의 장공(602a)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모터의 동력이 체인을 회전시켜 체인핀(503a)과 결합 된 브라켓(602)을 끌고 스프라겟(502) 끝 지점까지 전진하면 체인핀(503a)은 스프라켓(502)을 따라 회전하고 동시에 체인핀(503a)이 브라켓장공(602a)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체인핀(503a)이 브라켓(602)을 역방향으로 끌어 가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동방식은 모터의 정 회전만으로 브라켓(602)과 베어링유닛(600)과 결합 된 캠(603)을 왕복운동 하도록 한 구동장치로서 이 방법은 모터(500)가 정 회전을 하다 역회전을 하면 발생하는 동력손실을 줄일 수 있고, 모터도 보호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두번째 지압봉구동장치에 대해 도5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6에 도시한 구동장치는 지압봉(703)을 전체적으로 상승하강 할 수 있는 구동장치로서 각각의 지압봉(703) 하단에 바퀴(705)를 결합하도록 한다. 바퀴(705)보다 위쪽에 홀을 지압봉(703)에 생성하여 고정스틱(704)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하여 고정스틱(704)으로 다수의 지압봉(703)을 연결하여 한 조가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스틱(704)으로 다수의 지압봉(703)을 연결하는 것은 지압봉(703)이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바퀴(705)를 캠(603)에 일렬로 정열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지압봉(703)이 2개가 한 조를 이루도록 도시 하였으나 고정스틱(704)으로 지압봉 3개 4개를 한 조로 할 수도 있다.
고정스틱(704) 상단에는 와셔(702)을 지압봉(703)에 삽입하고 압축스프링(701)을 순차적으로 지압봉(703)에 삽입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결합 된 지압봉(703)을 플랜지형 볼베어링유닛(700)에 관사 시켜 상하로 지압봉(703)이 연직운동 할 수 있도록 하고, 플랜지형 볼베어링유닛(700)을 상판(301)에 있는 상판 홀(301a)에 고정하도록 하여 지압봉(703)을 정열 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정열된 지압봉(703) 외측으로 스토퍼(805)가 고정스틱(704)을 받혀 지압봉(703)이 최저점 아래로 내려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스토퍼(805)의 형상이 크랭크 형상으로 구부려져 있다. 스토퍼(805)의 형상은 다르게 할 수 있으나 스토퍼(805)가 회전하며 고정스틱(704)를 밀어 올릴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스토퍼(805)의 한쪽은 스프라켓(802)과 코일스프링(806)을 결합하고 스토퍼(805)를 하향방향으로 탄력 작용하도록 한다. 이 스토퍼(805)의 양단은 베어링브라켓(804)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스토퍼(805)와 결합 된 스프라켓(802)과 스태핑감속모터(800)의 축과 결합 된 스프라켓(801)을 체인(803)으로 연결한다. 이 체인(803)은 스프라켓(801,802)에 3/4회전만 감도록 한다. 체인(803)은 항상 코일스프링(806)의 탄력에 의해 팽팽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스프라켓(801)이 한쪽에만 있으나 스토퍼(805) 양쪽으로 스프라켓(802)을 취부할 수있고, 스테핑모터(800)의 스프라켓(801)축을 연장하여 반대편 스프라켓(802)을 체인(803)으로 연결 회전시켜 회전력을 분산시킬 수도 있다.
스토퍼(805)의 크랭크형상이 위쪽으로 오목하게 되면 지압봉(703)이 최저점에 도달하고 반대로 스토퍼(805)의 크랭크형상이 아래로 오목하게 되면 지압봉(703)의 최고점이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스토퍼(805)를 이용하여 지압봉(703) 전체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고, 스토퍼(805)를 이용 지압봉(703) 전체를 상승시켜 지압봉(703) 전부를 이용한 지압과 지압봉(703)이 순차적으로 상승하강하는 지압을 동시에 체험할 수 있고 지압봉(703)을 최저점으로 하강시켜 지압봉에 의한 배김 현상 없이 기능성온열매트(100)에서 일상적인 취침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 2개의 동력장치와 지압봉구동장치의 조립도를 도5에 도시 하였다.
첫번째 동력장치의 상단에 두번째 지압봉구동장치의 지압봉(703)의 바퀴(705)가 캠(603)에 일렬로 정열 되어 진다.
2개의 구동장치의 조립이 완성된 상태를 도4에 도시 하였고.
도5는 도4의 조립이 완성된 구동장치의 구동장치브라켓(505)과 베어링브라켓(804), 가이드레일브라켓(604), 모터(800)를 모듈프레임(300)에 고정하여 하나의 지압구동모듈(1000)로 완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100:기능성온돌매트(보료) 200:침대프레임 703a:지압캡
703c:가이드캡 102:매트홀 202:침대가로지지대 106:매트상판
201:침대협 1000:지압구동모듈 700:플랜지형 볼베어링유닛
703:지압봉 300:모듈프레임 301:상판 601:가이드레일 800:스테핑모터
600:볼베어링유닛 705:바퀴 500:모터 801,502,802:스프라켓
503,803:체인 804:베어링브라켓 805:스토퍼 806:코일스프링
603:캠 505:구동장치브라켓 701:압축스프링 503a:체인핀
702:와셔 704:고정스틱 301a:상판홀 602:브라켓
501:모터구동드라이버 103:큐션재

Claims (2)

  1. 매트(100)에 형성된 매트홀(102)에 삽입되는 지압봉(703);
    상기 복수개의 지압봉(703)을 관통하여, 복수개의 지압봉(703)을 상호 고정하는 고정스틱(704);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일부가 회전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회전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된 부분이 상기 고정스틱(704)를 받치며, 코일스프링(806)이 축에 삽입되어 탄성력지지되는 스토퍼(805);
    상기 스토퍼(805)에 받쳐진 지압봉(703)을 승강시키도록 스프라켓(802) 및 체인(803)을 통해 상기 스토퍼(805)를 회전시키는 모터(800);
    상기 매트(100)의 매트홀(102)과 연통되도록 상판(301)에 형성된 상판홀(301a)에 삽입되며, 상기 지압봉(703)이 관통하여 상하로 연직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플랜지형 베어링 유닛(700);
    상기 지압봉(703)에 삽입되고, 상기 플랜지형 베어링 유닛(700)과 상기 지압봉(703)에 삽입된 와셔(70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압봉(703)을 상기 플랜지형 베어링 유닛(700)에 대해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701);
    상기 지압봉의 하측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601);
    상기 가이드 레일(601)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구비되는 볼 베어링(600);
    상기 볼 베어링(600)에 구비되며, 상기 볼 베어링(600)의 슬라이딩을 따라 이동되고, 양 면이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이동되면서 상기 지압봉(703)의 하단과 접촉되어 상기 지압봉(703)을 상승시키는 캠(603);
    상기 지압봉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캠(603)에 대해서 구름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퀴(705);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500);
    상기 모터(500)에 의해 회전되며, 구동장치브라켓(505)의 양 단에 구비된 스프라켓축(50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프라켓(502);
    상기 스프라켓(502)에 치합되어 상기 스프라켓(502)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체인(503);
    상기 체인(503)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체인핀(503a);
    상기 체인핀(503a)가 내측에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장공홀(602a)이 형성되며, 상기 볼베어링(600)과 결합되는 브라켓(602);
    를 포함하는 지압구동모듈.
  2. 삭제
KR1020110096653A 2011-09-26 2011-09-26 온열 침대와 결합 된 지압구동모듈의 구동장치 KR101331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653A KR101331529B1 (ko) 2011-09-26 2011-09-26 온열 침대와 결합 된 지압구동모듈의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653A KR101331529B1 (ko) 2011-09-26 2011-09-26 온열 침대와 결합 된 지압구동모듈의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935A KR20130032935A (ko) 2013-04-03
KR101331529B1 true KR101331529B1 (ko) 2013-11-26

Family

ID=48435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653A KR101331529B1 (ko) 2011-09-26 2011-09-26 온열 침대와 결합 된 지압구동모듈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152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77987A (zh) * 2016-04-11 2016-08-24 成都格瑞思文化传播有限公司 新型振动理疗装置
CN107875009A (zh) * 2017-12-21 2018-04-06 重庆普享科技有限公司 一种脚底穴位按摩器
CN109009948A (zh) * 2018-07-17 2018-12-18 吕家环 一种腿部按摩仪
CN110151538A (zh) * 2019-06-12 2019-08-23 张志强 一种脚部按摩设备
KR20210027650A (ko) * 2019-08-30 2021-03-11 김재영 지압 침대
WO2023080289A1 (ko) * 2021-11-05 2023-05-11 주식회사 쓰리에이치 이중 이동체가 적용된 지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435B1 (ko) * 2018-08-08 2020-03-05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발바닥 지압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안마의자
CN110292277A (zh) * 2019-07-31 2019-10-01 安徽职业技术学院 一种智能感知调节床垫
KR200493957Y1 (ko) * 2019-08-30 2021-07-05 김재영 지압 침대용 지압봉
US11622909B2 (en) 2019-11-04 2023-04-11 Therabody, Inc. Massage roller assembly
US11690780B2 (en) 2019-11-04 2023-07-04 Therabody, Inc. Vibrating massage roller with multiple motors
KR102230487B1 (ko) * 2019-11-15 2021-03-23 조기석 선형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지압식 침대
KR102360151B1 (ko) * 2020-10-19 2022-02-09 신은진 전신 지압기구
CN112932921B (zh) * 2021-03-15 2023-03-24 滕州市妇幼保健院 一种用于妇产科护理的康复训练装置
KR102540356B1 (ko) * 2023-01-20 2023-06-05 최원혁 추나요법을 이용한 알러지 치료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987B1 (ko) * 2001-04-24 2004-03-02 주식회사 알카오존스 척추 경혈용 지압장치
KR20040069065A (ko) * 2003-01-28 2004-08-04 주식회사 게딩웰 지압 장치
KR100567191B1 (ko) * 2003-05-16 2006-04-03 주식회사 일양메디칼 척추자극 치료 맛사지기
KR20090123029A (ko) * 2008-05-27 2009-12-02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침대형 온열 치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987B1 (ko) * 2001-04-24 2004-03-02 주식회사 알카오존스 척추 경혈용 지압장치
KR20040069065A (ko) * 2003-01-28 2004-08-04 주식회사 게딩웰 지압 장치
KR100567191B1 (ko) * 2003-05-16 2006-04-03 주식회사 일양메디칼 척추자극 치료 맛사지기
KR20090123029A (ko) * 2008-05-27 2009-12-02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침대형 온열 치료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77987A (zh) * 2016-04-11 2016-08-24 成都格瑞思文化传播有限公司 新型振动理疗装置
CN107875009A (zh) * 2017-12-21 2018-04-06 重庆普享科技有限公司 一种脚底穴位按摩器
CN109009948A (zh) * 2018-07-17 2018-12-18 吕家环 一种腿部按摩仪
CN110151538A (zh) * 2019-06-12 2019-08-23 张志强 一种脚部按摩设备
CN110151538B (zh) * 2019-06-12 2021-04-06 山东省千佛山医院 一种脚部按摩设备
KR20210027650A (ko) * 2019-08-30 2021-03-11 김재영 지압 침대
KR102232660B1 (ko) * 2019-08-30 2021-03-26 김재영 지압 침대
WO2023080289A1 (ko) * 2021-11-05 2023-05-11 주식회사 쓰리에이치 이중 이동체가 적용된 지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935A (ko) 201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529B1 (ko) 온열 침대와 결합 된 지압구동모듈의 구동장치
KR200176650Y1 (ko) 자동 온열 치료장치
KR101136724B1 (ko) 척추경혈용 지압장치
US7118541B2 (en) Lie-down massager
CN106264965B (zh) 一种推拿按摩睡眠两用健身床
KR200475022Y1 (ko) 뜸질침대
CN209713626U (zh) 一种中医护理用按摩床
KR20050097894A (ko) 전신지압 및 척추교정기의 베드구조
KR20160127376A (ko) 다기능 침대의 안마장치
CN201211305Y (zh) 一种智能健康脊柱按摩椅
KR200413559Y1 (ko) 안마침대
KR100429546B1 (ko) 물리치료침대
KR101570868B1 (ko) 안마강도가 조절되는 롤링베드
KR100567191B1 (ko) 척추자극 치료 맛사지기
KR101528434B1 (ko) 척추교정용 골반 자극장치
CN114432077A (zh) 一种缓解疼痛的物理与心理理疗设备
CN204428407U (zh) 玉石温热理疗仪
CN103655111A (zh) 金健康多功能按摩牵引理疗床
KR200462107Y1 (ko) 환자중량을 이용한 자동 견인 척추 교정기구
KR200197270Y1 (ko) 온열치료장치
KR200202204Y1 (ko) 온열치료기의 이동장치
CN218961293U (zh) 一种中医治疗肝病用热灸理疗装置
KR100561967B1 (ko) 척추자극 치료 맛사지기
KR200176991Y1 (ko) 온열치료용 의자
CN109330854A (zh) 一种按摩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