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0693B1 - 직접분사식 디젤엔진용 인젝터 - Google Patents

직접분사식 디젤엔진용 인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0693B1
KR101330693B1 KR1020110142513A KR20110142513A KR101330693B1 KR 101330693 B1 KR101330693 B1 KR 101330693B1 KR 1020110142513 A KR1020110142513 A KR 1020110142513A KR 20110142513 A KR20110142513 A KR 20110142513A KR 101330693 B1 KR101330693 B1 KR 101330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injection
chamber
flow path
diamet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4448A (ko
Inventor
김진용
나병철
박승욱
조승범
송영식
최현주
Original Assignee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동차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42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0693B1/ko
Publication of KR20130074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4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4Arrangements of injectors with respect to engines; Mounting of 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1/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electrically
    • F02M51/06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 F02M51/061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04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having valves, e.g. having a plurality of valves in series
    • F02M61/10Other injectors with elongated valve bodies, i.e. of needle-valv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8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61/1806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ischarge orifices, e.g. orientation or siz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20Closing valves mechanically, e.g. arrangements of springs or weights or permanent magnets; Damping of valve li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접분사식 디젤엔진용 인젝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출포트의 갯수를 줄여서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킨 직접분사식 디젤엔진용 인젝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료를 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분사부에 연료를 증압시켜 공급하는 증압부와, 상기 분사부와 증압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환부와, 상기 전환부에 연동되어 증압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증압제어수단 및 상기 전환부에 연동되어 분사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분사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직접분사식 디젤엔진용 인젝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직접분사식 디젤엔진용 인젝터{Injector for direct injection type diesel engine}
본 발명은 직접분사식 디젤엔진용 인젝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출포트의 갯수를 줄여서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킨 직접분사식 디젤엔진용 인젝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젤엔진은 가솔린엔진 비해 소음과 진동이 크지만 연비가 우수하기 때문에 그 사용영역이 승용차부분까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디젤엔진은 미립화된 연료를 적기에 적량을 분사하기 위하여 연료를 엔진에 직접분사하는 직접분사식 인젝터의 채택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상기 직접분사식 인젝터는 커먼레일(common rail) 등의 연료공급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연료를 실린더에 직접분사한다. 즉, 상기 직접분사식 인젝터는 연료공급원으로부터 가압된 연료를 공급받고 니들을 이용해 분사공을 개폐하므로 가압된 연료가 실린더에 직접분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근래에 들어서 환경관련 규제들이 강화됨에 따라 연료를 더욱 미립화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연료를 더욱 미립화시키기 위해서는 결국 연료의 분사압력을 더 높여야 한다.
이러한 분사압력을 더 높이기 위한 증압기능을 갖는 인젝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밸브(105)의 온(ON)에 의해 서보밸브(106)의 배압실(145)의 연료가 유로B를 경유하여 외부영역의 저압측(예를 들면 연료탱크)에 배출되면 서보밸브(106)의 밸브체(160)가 개방되고, 제어실의 연료가 유로A를 경유하여 외부영역의 저압측으로 배출되는 것과 동시에 증압피스톤(125)은 하강하여 피증압면(127)의 연료를 증압시킨다. 그리고 증압되는 연료는 노즐(103)의 노즐실(112)에 유입되고 니들(110)에 대하여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함으로 니들(110)을 리프팅시켜 분사공(109)이 개방되도록 한다. 상기 분사공(109)이 개방되면 노즐실(112)에 유입된 연료는 분사공(109)을 통해 엔진(미도시)의 내부로 분사되면서 무화된다.
상기와 같은 직접분사식 디젤엔진용 인젝터는 외부로 연료가 배출되는 포트가 복수개 구비되므로 배출된 연료를 다시 연료탱크로 회수하기 위한 배관이 길어지므로 전체적인 공간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연료가 배출되는 포트를 하나만 구비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연료를 다시 연료탱크로 회수하기 위한 배관이 간소화되므로 공간활용도가 향상된 직접분사식 디젤엔진용 인젝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선단에 분사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하부챔버, 상기 분사공을 개폐하도록 상기 하부챔버의 축방향을 따라 승강하는 니들 및 상기 니들을 상기 분사공이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분사부와; 상기 분사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중간챔버, 상기 중간챔버의 축방향을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분사부에 공급되는 연료의 압력을 증압시키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증압부와; 상기 증압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상부챔버, 상기 상부챔버에 설치되어 ECU의 지령에 의해 승강하는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에 연결되어 상기 액츄에이터의 승강에 연동되어 승강하는 전환밸브로 이루어지는 전환부와; 상기 전환부와 연동되어 상기 증압부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증압제어수단; 및 상기 전환부와 연동되어 상기 분사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분사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직접분사식 디젤엔진용 인젝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중간챔버는 상부의 대경부와 하부의 소경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증압제어수단은 상기 중간챔버 대경부의 상단에 연료를 공급하는 제1유로와 상기 중간챔버의 대경부 일측과 상기 상부챔버의 하단 사이에 연통설치되어 상기 전환밸브의 승강에 의해 개폐되는 제2유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분사제어수단은 외부와 연통되며 상기 하부챔버의 일측으로 연료가 공급되는 제3유로와, 상기 중간챔버의 소경부와 상기 하부챔버의 상부 사이에 연통설치되며 중간에 제1오리피스가 설치된 제4유로와, 상기 중간챔버의 대경부 일측과 상기 제3유로 사이에 설치되며 중간에 제2오리피스가 형성된 제5유로와, 상기 중간챔버 소경부의 하단 일측과 상기 제3유로 사이에 연통설치되는 제6유로와, 상기 하부챔버의 일측 상부에 연결되어 외부로 연료를 배출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전환밸브의 승강에 의해 개폐되며 중간에 제3오리피스가 설치된 제7유로 및 상기 제6유로와 접속되는 상기 제3유로에 설치되는 체크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접분사식 디젤엔진용 인젝터는 연료가 배출되는 포트가 하나만 구비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연료를 다시 연료탱크로 회수하기 위한 배관을 간소화되고 이로 인해 공간활용도가 향상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증압기능을 갖는 인젝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접분사식 디젤엔진용 인젝터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접분사식 디젤엔진용 인젝터의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직접분사식 디젤엔진용 인젝터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접분사식 디젤엔진용 인젝터의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접분사식 디젤엔진용 인젝터는 연료를 분사하는 분사부(10)와, 상기 분사부(10)에 연료를 증압시켜 공급하는 증압부(20)와, 상기 분사부(10)와 증압부(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환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환부(30)에 연동되어 증압부(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증압제어수단(40)과 전환부(30)에 연동되어 분사부(10)의 작동을 제어하는 분사제어수단(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분사부(10)는 선단에 분사공(11)이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하부챔버(12), 상기 분사공(11)을 개폐하도록 상기 하부챔버(12)의 축방향을 따라 승강하는 니들(14) 및 상기 니들(14)을 상기 분사공(11)이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1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챔버(12)의 하부에 형성된 분사공(11)은 연료가 더 균일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선단 측면에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니들(14)은 선단이 상기 분사공(11)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중간에 플랜지(15)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니들(14)의 플랜지(15)는 상기 하부챔버(1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플랜지(15)를 경계로 하여 연료가 유통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아울러 상기 플랜지(15)의 상부에는 스프링(16)이 설치되어 니들(14)을 분사공(11)이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상기 증압부(20)는 상기 분사부(10)의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중간챔버(22), 상기 중간챔버(22)의 축방향을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분사부(10)에 공급되는 연료의 압력을 증압시키는 피스톤(24) 및 상기 피스톤(24)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스프링(2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간챔버(22)는 상부의 대경부(22a)와 하부의 소경부(22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대경부(22a)의 내주면에 피스톤(24)이 밀착되어 축방향을 따라 승강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피스톤(24)은 하부에 단차부(24a)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24a)의 선단은 소경부(22b) 구간을 승강하면서 슬라이딩하도록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단차부(24a)의 외주면에는 스프링(26)이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단차부(24a)에 장착된 스프링(26)은 압축스프링으로 상기 피스톤(24)을 상방으로 가압한다.
상기 전환부(30)는 상기 증압부(20)의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상부챔버(32), 상기 상부챔버(32)에 설치되어 ECU(미도시)의 지령에 의해 승강하는 액츄에이터(34), 상기 액츄에이터(34)에 연결되어 상기 액츄에이터(34)의 승강에 연동되어 승강하는 전환밸브(36)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챔버(32)는 상기 액츄에이터(34)가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액츄에이터(34)의 하부에는 전환밸브(36)가 연결된다. 상기 액츄에이터(34)는 솔레노이드, 피에조 등 다양한 구동방식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액츄에이터(34)가 상승하면 이에 연동되어 전환밸브(36)도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환밸브(36)가 상승하면 이에 연동되어 상기 증압제어수단(40) 및 분사제어수단(5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전환밸브(36)는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간에 사선방향으로 관통구(36a)가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후술하는 제2유로(44)를 개폐한다. 또한 상기 전환밸브(36)의 하부에는 볼(36b)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7유로(59)를 개폐하게 된다.
상기 증압제어수단(40)은 상기 전환부(30)의 작동에 연동되어 증압부(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복수의 유로(42, 44)로 이루어진다. 상기 증압제어수단(40)은 상기 중간챔버(22)의 대경부(22a) 상단에 연료를 공급하는 제1유로(42)와 상기 중간챔버(42)의 대경부(22a) 일측과 상기 상부챔버(32)의 하단 사이에 연통설치되어 상기 전환밸브(36)의 승강에 의해 개폐되는 제2유로(4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유로(42)는 압축된 연료를 공급하는 유로로서 압력공급원과 상기 중간챔버(22)의 상단을 서로 연통하도록 형성되며 제1유로(42)의 관로 내부에는 상기 압력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가압된 연료가 충만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유로(42)의 하류측에 형성된 압력은 중간챔버(22)의 대경부(22a)에 삽입된 피스톤(24)의 상면을 가압한다.
상기 제2유로(44)는 중간챔버(22) 대경부(22a)의 일측과 상부챔버(32)의 하단 사이에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전환밸브(36)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제2유로(44)는 전환밸브(36)가 개방된 상태일 때 관통구(36a)가 막혀있으므로 내부의 충진된 액체는 가압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기 증압제어수단(40)은 솔레이노이드(34)가 상승하여 전환밸브(36)가 상승하면 제2유로(44)가 개방된다. 상기 제2유로(44)가 개방되면 제2유로(44)에 충만되어 있는 가압된 연료는 상부챔버(3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제2유로(44)에 충만된 연료가 상부챔버(32)로 배출되면 상기 제2유로(44)가 연통되는 중간챔버(22)의 소경부(22b)는 압력이 떨어지고 이와 반대로 상기 피스톤(24)의 상부에 위치하는 대경부(22a)는 압력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결국 피스톤(24)은 하강하게 된다.
상기 분사제어수단(50)은 상기 전환부(30)의 작동에 연동되어 분사부(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복수의 유로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사제어수단(50)은 외부와 연통되며 상기 하부챔버(12)의 일측으로 연료가 공급되는 제3유로(52)와, 상기 중간챔버(22)의 소경부(22b)와 상기 하부챔버(12)의 상부 사이에 연통설치되며 중간에 제1오리피스(61)가 설치된 제4유로(54)와, 상기 중간챔버(22)의 대경부(22a) 일측과 상기 제3유로(52) 사이에 연통 설치되며 중간에 제2오리피스(62)가 형성된 제5유로(56)와, 상기 중간챔버(22) 소경부(22b)의 하단 일측과 상기 제3유로(52) 사이에 연통설치되는 제6유로(58)와, 상기 하부챔버(12)의 일측 상부에 연결되어 외부로 연료를 배출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전환밸브(36)의 승강에 의해 개폐되며 중간에 제3오리피스(63)가 설치된 제7유로(59)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유로(52)는 연료공급원과 하부챔버(12)의 일측 사이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하부챔버(12)의 내부에 분사공(11)을 통하여 분사될 연료가 가압된 상태로 항상 충만해 있다.
상기 제4유로(54)는 상기 중간챔버(22)의 소경부(22b)와 상기 하부챔버(12)의 상부 사이에 연통설치되며 중간에 제1오리피스(61)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4유로(54)는 상기 제1오리피스(61)에 의해 유통되는 연료의 양이 제한받는다. 따라서 오리피스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유로보다 연료의 유량 및 압력이 변동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진다.
상기 제5유로(56)는 상기 중간챔버(22)의 대경부(22a) 일측과 상기 제3유로(52) 사이에 설치되며 중간에 제2오리피스(62)가 설치된다. 따라서 제3유로(52)를 통하여 공급되는 연료의 양이 제5유로(56)를 통하여 제3유로(52)로 빠져나가거나 제2유로(44)를 통하여 상부챔버(32)로 빠져나가는 연료의 양의 합보다 많기 때문에 결국 피스톤(24)은 하강하게 된다.
상기 제6유로(58)는 상기 중간챔버(22) 소경부(22b)의 하단 일측과 상기 제3유로(42) 사이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증압된 연료가 제3유로(42)를 통해 하류인 하부챔버(12)에 공급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6유로(58)와 접속되는 제3유로(52)에는 체크볼(64)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6유로(58)를 통해 증압되어 공급되는 제3유로(52)로 공급되는 연료는 제3유로(42)의 상류방향으로 역류되지 않고 하류방향으로 흘러가 하부챔버(12)에 충만하게 된다.
상기 제7유로(59)는 상기 하부챔버(12)의 상부에 연결되어 외부로 연료를 배출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전환밸브(36)의 승강에 의해 제2유로(44)와 동시에 개폐되며 중간에 제3오리피스(63)가 설치된다. 상기 제7유로(59)는 전환밸브(36)의 승강에 의해 개폐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접분사식 디젤엔진용 인젝터의 작동상태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접분사식 디젤엔진용 인젝터의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접분사식 디젤엔진용 인젝터가 폐쇄된 상태일 때 각 유로(42, 44, 52, 54, 56, 58, 59)는 가압된 연료가 충진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상부챔버(32)에 있는 액츄에이터(34)가 하사점에 위치하여 있으므로 이 액츄에이터(34)에 연결된 전환밸브(36)는 제2유로(44)와 제7유로(59)를 폐쇄시킨다. 또한 중간챔버(22)에 있는 피스톤(24) 또한 스프링(26)에 의해서 상방으로 가압되어 있으므로 피스톤(24)의 상단이 중간챔버(22)의 상단에 밀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부챔버(12)에 삽입되어 있는 니들(14)은 스프링(16)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니들(14)의 선단이 분사공(11)을 폐쇄하고 있다. 아울러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34)에 전기를 인가하면 액츄에이터(34)는 상방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 액츄에이터(34)가 상승하면 액츄에이터(34)에 연결된 전환밸브(36)가 상승하게 되어 제2유로(44)와 제7유로(59)가 동시에 개방된다. 상기 제2유로(44)가 개방되면 상기 중간챔버(22)의 대경부(22a)에 충진되어 있던 연료가 제2유로(44)를 통해서 상부챔버(32)에 유입되고, 상부챔버(32)에 유입된 연료는 외부로 배출된다. 동시에 제7유로(59)가 개방되어 하부챔버(12)의 상부에 충진되어 있던 연료가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상기 제7유로(59)에는 제3오리피스(63)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유로(44)를 통하여 배출되는 연료의 양보다 더 적은 양이 빠져나간다.
상기와 같이 제2유로(44)를 통해 가압된 연료가 배출되면 중간챔버(22) 소경부(22b)의 압력이 떨어지고 상기 제1유로(42)를 통해 가압된 연료는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피스톤(24)은 하강하게 된다. 이 때 피스톤(24)이 하강하면 중간챔버(22)의 소경부(22b)에 충만된 연료는 일부가 제6유로(58)를 통해 제3유로(52)를 거쳐 하부챔버(12)에 공급되고 다른 일부는 제4유로(54)를 통하여 하부챔버(12)의 상단으로 유입된다. 하지만 상기 제4유로(54)를 통해 하부챔버(12)로 배출되는 연료는 제1오리피스(61)를 통과하기 때문에 유량이 제6유로(58)를 통해 빠져나가는 연료보다 적기 때문에 가압된 연료의 대부분은 제6유로(58)를 통해 제3유로(52)를 거쳐 하부챔버(12)로 배출된다. 아울러 상기 제3유로를 통해 하부챔버(12)로 유입된 연료의 압력이 제4유로(54)를 통해 니들(14)의 플랜지(15) 상부로 유입되는 연료의 압력보다 크므로 니들(14)은 상방으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분사공(11)이 개방되고, 개방된 분사공(11)을 통하여 증압된 연료가 엔진으로 분사된다. 여기서 상기 제6유로(58)에서 제3유로(52)로 배출되는 증압된 연료는 체크볼(64)에 의해서 제3유로(52)의 상부로 역류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34)를 하강시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면 이에 연결된 전환밸브(36)가 하강하게 된다. 상기 전환밸브(36)가 하강하면 다시 제2유로(44)와 제7유로(59)가 폐쇄되므로 각 유로(42, 44, 52, 54, 56, 58, 59)에 가압된 연료가 충진된다.
상기와 같이 각 유로(42, 44, 52, 54, 56, 58, 59)에 가압된 연료가 충진되면 다시 액츄에이터(34)를 상승시키면 다시 증압된 연료가 분사공(11)을 통해 엔진에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액츄에이터(34)를 상승 및 하강시키면서 필요한 양의 연료를 엔진에 분사한다.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34)의 상승 및 하강의 주기를 조절하면 엔진에 분사되는 연료의 양이 조절된다.
10 : 분사부
20 : 증압부
30 : 전환부
40 : 증압제어수단
50 : 분사제어수단

Claims (3)

  1. 선단에 분사공(11)이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하부챔버(12), 상기 분사공(11)을 개폐하도록 상기 하부챔버(12)의 축방향을 따라 승강하는 니들(14) 및 상기 니들(14)을 상기 분사공(11)이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16)으로 이루어진 분사부(10);
    상기 분사부(10)의 상부에 상하로 연통되는 대경부(22a)와 소경부(22b)가 형성된 중간챔버(22), 상기 중간챔버(22)의 축방향을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분사부(10)에 공급되는 연료의 압력을 증압시키는 피스톤(24) 및 상기 피스톤(24)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스프링(26)으로 이루어지는 증압부(20);
    상기 증압부(20)의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상부챔버(32), 상기 상부챔버(32)에 설치되어 ECU의 지령에 의해 승강하는 액츄에이터(34), 상기 액츄에이터(34)에 연결되어 상기 액츄에이터(34)의 승강에 연동되어 작동하는 전환밸브로 이루어지는 전환부(30);
    상기 전환부(30)와 연동되어 상기 증압부(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증압제어수단(40) 및
    상기 전환부(30)와 연동되어 상기 분사부(10)의 작동을 제어하는 분사제어수단(50)을 포함하고,
    상기 증압제어수단(40)은 상기 중간챔버(22)의 대경부(22a) 상단에 연료를 공급하는 제1유로(42)와
    상기 중간챔버(22)의 대경부(22a) 일측과 외부 사이에 연통 설치되는 제2유로(44)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제어수단(50)은 외부와 연통되며 상기 하부챔버(12)의 일측으로 연료가 공급되는 제3유로(52),
    상기 중간챔버(22) 대경부(22a)의 하단 일측과 상기 하부챔버(12)의 상부 사이에 연통 설치되며 중간에 제1오리피스(61)가 설치된 제4유로(54),
    상기 중간챔버(22)의 대경부(22a) 일측과 상기 제3유로(52) 사이에 설치되며 중간에 제2오리피스(62)가 형성된 제5유로(56),
    상기 중간챔버(22)의 소경부(22b) 일측과 상기 제3유로(52) 사이에 연통설치되는 제6유로(58),
    상기 하부챔버(12)의 상부에 연결되어 외부로 연료를 배출하도록 설치되고 중간에 제3오리피스(63)가 설치된 제7유로(59) 및
    상기 제6유로(58)와 접속되는 상기 제3유로(52)에 설치되는 체크볼(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분사식 디젤엔진용 인젝터.
  2. 삭제
  3. 삭제
KR1020110142513A 2011-12-26 2011-12-26 직접분사식 디젤엔진용 인젝터 KR101330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513A KR101330693B1 (ko) 2011-12-26 2011-12-26 직접분사식 디젤엔진용 인젝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513A KR101330693B1 (ko) 2011-12-26 2011-12-26 직접분사식 디젤엔진용 인젝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448A KR20130074448A (ko) 2013-07-04
KR101330693B1 true KR101330693B1 (ko) 2013-11-19

Family

ID=48988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513A KR101330693B1 (ko) 2011-12-26 2011-12-26 직접분사식 디젤엔진용 인젝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06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93000A1 (de) 2001-05-17 2002-11-21 Robert Bosch Gmbh Kraftstoffeinspritzsystem
JP2006503209A (ja) 2002-10-14 2006-01-26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内部で制御管路を有する増圧式燃料噴射装置
JP2006207384A (ja) 2005-01-25 2006-08-10 Denso Corp 内燃機関用燃料噴射装置
JP4286770B2 (ja) * 2004-12-02 2009-07-01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制御弁およびそれを備えた燃料噴射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93000A1 (de) 2001-05-17 2002-11-21 Robert Bosch Gmbh Kraftstoffeinspritzsystem
JP2006503209A (ja) 2002-10-14 2006-01-26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内部で制御管路を有する増圧式燃料噴射装置
JP4286770B2 (ja) * 2004-12-02 2009-07-01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制御弁およびそれを備えた燃料噴射弁
JP2006207384A (ja) 2005-01-25 2006-08-10 Denso Corp 内燃機関用燃料噴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448A (ko)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1566B2 (en) Fuel injector with directly controlled dual concentric check and engine using same
US7201149B2 (en) Fuel injector with multistage control valv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N101506518B (zh) 增强型共轨式燃料喷射系统及利用该系统的发动机的操作方法
US9506434B2 (en) Dual check fuel injector with single actuator
US20160319754A1 (en) Dual-fuel fuel injector
CN109715918B (zh) 双燃料喷射器和双燃料喷射设备
CN107503870A (zh) 柴油机燃油供给系统
CN102691605B (zh) 用于大型柴油发动机的电控燃料喷射器
CN107514329A (zh) 双进油道喷油器
CN102374085A (zh) 低回油式压电控制喷油器
CN102434346A (zh) 低回油式电磁控制喷油器
US7970526B2 (en) Intensifier quill for fuel injector and fuel system using same
CN101395365B (zh) 具有带凹部的止回顶端的燃料喷射器
KR101330693B1 (ko) 직접분사식 디젤엔진용 인젝터
GB2367330A (en) Common-rail fuel injector
US11215155B2 (en) Fuel injection valve
CN101059110B (zh) 内燃机的喷射装置
KR101340980B1 (ko) 직접분사식 디젤엔진용 인젝터
CN202325954U (zh) 低回油式压电控制喷油器
KR20020027576A (ko) 압력 제어된, 이중 스위칭 고압 인젝터
CN105756825B (zh) 组合式电磁喷油‑增压压电喷气混合燃料喷射装置
CN104265533A (zh) 一种新型共轨喷油器
CN105392982B (zh) 喷射器装置
KR101433041B1 (ko) 연료 분사기
KR101001002B1 (ko) 연료 분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