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9659B1 - 스크린필터용 심용접기 - Google Patents

스크린필터용 심용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9659B1
KR101329659B1 KR1020130054593A KR20130054593A KR101329659B1 KR 101329659 B1 KR101329659 B1 KR 101329659B1 KR 1020130054593 A KR1020130054593 A KR 1020130054593A KR 20130054593 A KR20130054593 A KR 20130054593A KR 101329659 B1 KR101329659 B1 KR 101329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ircumferential surface
electrode wheel
filling membe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섭
Original Assignee
(주)승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승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승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30054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6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08Seam welding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preceding subgroups
    • B23K11/087Seam welding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preceding subgroups for rectilinear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002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06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using roller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036Roller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6Auxiliary equipment
    • B23K11/362Contact means for supplying welding current to the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03Coo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필터용 심용접기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과, 프레임에 제1지지유닛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지지유닛의 제1하우징에 설치된 제1회전축에 장착된 제1전극륜과, 제1지지유닛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프레임에 설치된 제2지지유닛의 제2하우징에 지지된 제2회전축에 장착된 제2전극륜과, 제1 및 제2전극륜에 전원이 전달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하우징을 통해 1 및 제2전극륜의 제1 및 제2회전축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이 안정적으로 전극륜으로 전달되기 위해 제1회전축의 외주면과 제1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 및 제2회전축의 외주면과 제2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한 공간에 충진되는 도전성 충진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필터용 심용접기는 전극륜의 회전축 외주면과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에 도전성 충진부재가 충진되어 있어 전원공급부로 공급되는 전원이 전극륜의 회전축으로 안정적으로 공급되므로 용접작업시 피용접재의 용접부분이 그을리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크린필터용 심용접기{Seam welding apparatus for screen filter}
본 발명은 스크린필터용 심용접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이 안정적으로 전극륜에 전달되는 스크린필터용 심용접기에 관한 것이다.
심용접(seam welding)은 전기저항용접법의 하나로, 원판모양으로 된 한 쌍의 회전 전극륜 사이에 피용접재를 끼워서 가압 통전하고 전극륜을 회전시켜 피용접재를 이동시키면서 연속적으로 점용접을 반복하는 방법으로 하나의 연속된 선모양의 용접부를 얻도록 하는 용접방법이며, 일반적으로 수밀,유밀,기밀성을 필요로 하는 탱크나 자동차부품, 파이프 등의 용접제조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심용접기는 피용접재를 파지하는 클램프 사이의 용접기 상부 및 하부 본체에 상부 및 하부 전극륜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본체 상에는 로드셀과 가압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지는 가압유닛이 구성된다.
피용접재가 클램프에 지지되면, 상기 용접기 상부 본체를 전진시키면서, 상기 가압 실린더를 작동시켜 상부 및 하부 전극륜이 상기 선행 및 후행패널의 오버랩구간을 용접하게 된다. 이러한 전극륜 롤러를 이용한 심용접은 피용접재를 가압하면서 전기 저항에 의해 내부에 용융부를 형성하여 용접하게 되는데, 이때 전극륜의 회전축을 둘러싸고 있는 각각의 좌/우측 하우징에 양전기와 음전기를 연결되어 회전 전극륜까지 전기를 전달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심용접기는 전극륜의 회전축과 하우징 사이에 냉각수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어 회전축으로의 전원 전달이 안정적이지 못해 피용접재의 용접부위가 그을리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전원공급부에서 전극륜으로 전원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전극륜의 회전축과 하우징 사이에 충진된 도전성 충진부재가 마련된 스크린필터용 심용접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필터용 심용접기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제1지지유닛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지지유닛의 제1하우징에 설치된 제1회전축에 장착된 제1전극륜과, 상기 제1지지유닛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제2지지유닛의 제2하우징에 지지된 제2회전축에 장착된 제2전극륜과, 상기 제1 및 제2전극륜에 전원이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전극륜의 제1 및 제2회전축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이 안정적으로 전극륜으로 전달되기 위해 상기 제1회전축의 외주면과 상기 제1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 및 상기 제2회전축의 외주면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한 공간에 충진되는 도전성 충진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충진부재는 수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필터용 심용접기는 상기 전원공급부로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으로 전원이 공급시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의 내부에 각각 형성된 냉각통로에 냉각수를 순환시켜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을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중 내부에 상기 충진부재가 충진되는 하우징은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중공으로 충진부재를 충진할 수 있도록 주입구가 마련되되, 상기 중공 내에 충진된 충진부재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의 내주면에 각각 실링부재가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필터용 심용접기는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중 내부에 상기 충진부재가 충진되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주입구를 통해 육안으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상기 충진부재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주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감시구가 형성된 마개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필터용 심용접기는 전극륜의 회전축 외주면과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에 도전성 충진부재가 충진되어 있어 전원공급부로 공급되는 전원이 전극륜의 회전축으로 안정적으로 공급되므로 용접작업시 피용접재의 용접부분이 그을리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필터용 심용접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크린필터용 심용접기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스크린필터용 심용접기의 제2전극륜 및 제2지지유닛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스크린필터용 심용접기의 제1전극륜 및 제1지지유닛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필터용 심용접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필터용 심용접기(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스크린필터용 심용접기(100)는 스크린필터를 용접하여 제조하는 것으로서, 프레임(200)과, 상기 프레임(200)에 제1지지유닛(32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지지유닛(320)의 제1하우징(330)에 설치된 제1회전축(310)에 장착된 제1전극륜(300)과, 상기 제1지지유닛(320)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상기 프레임(200)에 설치된 제2지지유닛(420)의 제2하우징(430)에 지지된 제2회전축(410)에 장착된 제2전극륜(400)과,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310,410)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전극륜(300,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이 안정적으로 전극륜으로 전달되기 위해 상기 제1회전축(310)의 외주면과 상기 제1하우징(330)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 및 상기 제2회전축(410)의 외주면과 상기 제2하우징(430)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에 충진되는 도전성 충진부재(460)와,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310,410)을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구비한다.
제1전극륜(300)은 소정의 외경을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제1회전축(310)으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이 통전될 수 있도록 금속성 소재로 형성된다. 제1회전축(310)은 제1전극륜(300)의 회전중심에 관통되되, 제1전극륜(300)은 제1회전축(310)의 중앙부분에 고정된다.
제1회전축(310)은 소정의 외경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환봉형으로 형성된다. 제1회전축(310)은 냉각수가 순환될 수 있도록 내부에 양단부에서 중앙부분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하부냉각통로(31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회전축(310)은 중앙부분 외주면에는 각 하부냉각통로(311)에 연통되는 복수의 연통구(3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전극륜(300)은 내부에 하부냉각통로(311)에 유동하는 냉각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연통구(312)에 연통되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보조냉각통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지지유닛(320)은 제1회전축(31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제1하우징(330)과, 상기 제1하우징(330)에 설치되어 상기 제1회전축(31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제1베어링(322)과, 상기 제1하우징(330)들에 각각 설치되어 제1하우징(330) 내에 주입된 충진부재(460)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는 다수의 제1실링부재(323)와, 제1하우징(330)의 제1주입구를 개폐하는 제1마개부재(340)를 구비한다.
제1하우징(330)은 고정부재에 의해 프래임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제1회전축(310)의 단부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1중공(3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부의 내주면에는 제1베어링(322)이 각각 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제1단턱부(33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1하우징(330)은 제1단턱부(332)에 인접된 위치의 내벽면에 상기 제1실링부재(323)가 삽입되는 다수의 제1삽입홈(3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삽입홈(333)은 제1하우징(330)의 내벽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하우징(330)은 제1단턱부(332)들 사이의 상측 외주면에 제1중공(331)으로 충진부재(460)를 주입하기 위한 제1주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단턱부(332)들 사이의 하측 외주면에는 제1중공(331) 내의 충진부재(460)를 제1하우징(33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배출구에 나사결합되는 제1마개볼트(334)에 의해 상기 제1배출구는 폐쇄된다.
고정부재는 일단이 프레임(200)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1회전축(310)의 양단에 설치된 하우징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된 복수의 지지암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암은 회전축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베어링(322)은 제1하우징(330)의 양단부에 형성된 제1단턱부(332)에 각각 설치되며, 중앙에 제1회전축(310)이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구가 마련된 볼 베어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회전축(310)의 양단부에는 각각 제1하우징(330)의 단부에 설치된 제1베어링(322)에 간섭될 수 있도록 각각 간섭부재(313)가 고정되어 있다. 간섭부재(313)는 제1회전축(310)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제1회전축(310)의 하부냉각통로(311)에 냉각수를 주입하기 위한 제1공급관(503)이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제1실링부재(323)는 중앙에 제1회전축(310)이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은 제1하우징(330)의 제1삽입홈(333)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1회전축(310)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실링부재(323)는 제1하우징(330)의 각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제1중공(331) 내에 충진부재(460)가 충진되는 충진공간을 형성한다.
제1마개부재(340)는 제1하우징(330)의 제1주입구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주입구에 나사결합되는 제1나사부분(341)과, 제1나사부분(341)의 상단에 상방으로 연장되며, 제1나사부분(341)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제1연장부분(342)을 구비한다. 이때, 제1마개부재(340)는 제1중공(331) 내에 충진된 충진부재(46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제1감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감시구에는 투명한 제1감시렌즈(345)가 설치되어 있다.
제2전극륜(400)은 소정의 외경을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제2회전축(410)으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이 통전될 수 있도록 금속성 소재로 형성된다. 제2회전축(410)은 일단이 제2전극륜(400)의 회전중심에 고정되며, 타단은 제2지지유닛(420)의 제2하우징(430)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제2회전축(410)은 소정의 외경을 갖고, 제1회전축(3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 환봉형으로 형성된다. 제2회전축(410)은 내부에 냉각수가 순환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부냉각통로(411)가 형성되어 있다.
제2지지유닛(420)은 제2회전축(410)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하우징(430)과, 상기 제2하우징(430)에 설치되어 제2회전축(41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제2베어링(422)과, 상기 제2하우징(430)에 설치되어 제2하우징(430) 내에 주입된 충진부재(460)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는 다수의 제2실링부재(423)와, 제2하우징(430)의 제2주입구를 개폐하는 제2마개부재(424)를 구비한다.
제2하우징(430)은 본체(431)와 커버부재(435)를 구비한다.
본체(431)는 승하강유닛에 의해 제1하우징(330) 상측의 프레임(200)에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본체(431)는 결합된 제2전극륜(400)이 제1전극륜(300)에 대향되게 위치하도록 프레임(2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431)는 제2회전축(410)이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2중공(4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하우징(33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431)는 양단부 내주면에 제2베어링(422)들이 각각 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제2단턱부(433)가 마련되어 있고, 제2단턱부(433)에 인접된 위치의 내벽면에 제2실링부재(423)가 삽입되는 다수의 제2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삽입홈은 본체(431)의 내벽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431)는 제2단턱부(433)들 사이의 상측 외주면에 제2중공(432)으로 충진부재(460)를 주입하기 위한 제2주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단턱부(433)들 사이의 하측 외주면에는 제1중공(331) 내의 충진부재(460)를 본체(431)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2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2배출구는 제2배출구에 나사결합되는 제2마개볼트(434)에 의해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하강유닛은 하단이 본체(431)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상단은 프레임(200)에 고정되며, 상하단이 신축되는 유압실린더와 같은 엑츄에이터로 구성된다.
커버부재(435)는 본체(431)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본체(431)의 제2중공(432)을 폐쇄한다. 커버부재(435)는 제2중공(432)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중앙부분에 제2회전축(410)이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제2베어링(422)은 본체(431)의 양단부에 형성된 제2단턱부(433)들에 각각 설치되며, 중앙에 제2회전축(410)이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구가 마련된 볼 베어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베어링(422)과 본체(431) 사이로 충진부재(460)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베어링(422)의 외주면과 중공에 대향되는 내측면을 감싸도록 제2베어링(422)이 삽입되도록 삽입구가 마련되고, 중앙에 제2회전축(410)이 관통되도록 관통공이 마련된 누수방지덮개(428)가 각 제2베어링(422)들에 설치된다.
제2실링부재(423)들은 중앙에 제2회전축(410)이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은 본체(431)의 각 제2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2회전축(410)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실링부재(423)는 본체(431)의 각 제1삽입홈(333)에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제2중공(432) 내에 충진부재(460)가 충진되는 충진공간을 구획한다.
제2마개부재(424)는 본체(431)의 제2주입구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제2주입구에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부분(425)과, 제2나사부분(425)의 상단에 상방으로 연장되며, 제2나사부분(425)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제2연장부분(426)을 구비한다. 이때, 제2마개부재(424)는 제2중공(432) 내에 충진된 충진부재(46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감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감시구에는 투명한 제2감시렌즈(427)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필터용 심용접기(100)는 제2전극륜(40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구비한다. 구동부는 제2전극륜(400)과 본체(431) 사이의 제2회전축(410)에 체결된 피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에 치합되도록 본체(43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동기어(미도시)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구동축에 상기 구동기어가 설치된 구동모터(미도시)를 구비한다.
전원공급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 및 제2하우징(330,430)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하우징(330,430)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제1 및 제2하우징(330,430) 중 어느 하나에 양전기를 공급하고, 제1 및 제2하우징(330,430) 중 다른 하나에 음전기를 공급한다. 전원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전원은 제1 및 제2하우징(330,430)을 통해 충진부재(460)에 전달되고, 충진부재(460)를 통과한 전원은 제1 및 제2회전축(310,410)에 전달된다. 제1 및 제2회전축(310,410)을 통해 제1 및 제2전극륜(300,400)으로 전달되고, 상기 전원에 의해 제1 및 제2전극륜(300,400)은 사이에 삽입된 피용접재를 용접한다.
냉각부는 내부에 냉각수가 수용된 수용탱크(미도시)와, 상기 수용탱크에 연통되게 설치된 배급관(미도시)과, 일단이 배급관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타단이 제1회전축(310)의 하부냉각통로(311)에 연통되게 제1회전축(310)의 일단에 설치된 제1공급관(503)과, 일단이 배급관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타단이 제2회전축(410)의 단부에 설치된 로터리조인트(505)에 의해 상기 제2회전축(410)의 상부냉각통로(411)에 연통되게 연결된 제2공급관(504)과, 상기 배급관에 설치되어 수용탱크 내에 수용된 냉각수를 제1 및 제2공급관(503,504)으로 펌핑하는 공급펌프와, 일단은 하부냉각통로(311)를 통과한 냉각수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하부냉각통로(311)에 연통되게 제2회전축(410)의 타단에 설치된 제1회수관(506)과, 일단은 상부냉각통로(411)를 통과한 냉각수를 회수할 수 있도록 상부냉각통로(411)에 연통되게 로터리조인트(505)에 연결되는 제2회수관(507)과, 제1 및 제2회수관(506,507)에 연통되어 회수된 냉각수를 냉각하여 상기 수용탱크에 공급하는 냉각장치(미도시)를 구비한다.
충진부재(460)는 제1 및 제2주입구를 통해 제1 및 제2하우징(330,430) 내부로 주입되어 제1회전축(310)의 외주면 및 제1하우징(330)의 내주면 사이공간 및 제2회전축(410)의 외주면 및 제2하우징(430)의 내주면 사이공간에 충진된다. 충진부재(460)는 도전성 소재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전기적 저항이 비교적 낮은 수은을 포함한다. 충진부재(460)는 제1 및 제2하우징(330,430)의 내부에 충진되어 제1 및 제2하우징(330,43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제1 및 제2회전축(310,410)으로 안정적으로 전달하고, 제1 및 제2하우징(330,430) 내로 이물질 및 냉각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필터용 심용접기(10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승강수단(450)을 작동하여 제2전극륜(400)을 제1전극륜(300)으로부터 승강시킨다. 제1 및 제2전극륜(300,400) 사이에 피용접재의 용접부분을 위치시킨다. 피용접재가 제1 및 제2전극륜(300,400)에 의해 파지되도록 승강수단(450)을 작동하여 제2전극륜(400)을 하강시킨다. 제1 및 제2전극륜(300,400) 사이에 피용접재가 파지되면, 전원공급부를 통해 제1 및 제2전극륜(300,400)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제1 및 제2하우징(330,430)의 내부에 충진된 충진부재(460)는 도전성 소재인 수은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하우징(330,43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제1 및 제2회전축(310,410)으로 안정적으로 전달하고, 제1 및 제2하우징(330,430) 내로 이물질 및 냉각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구동부를 작동시켜 제2전극륜(400)을 회전시켜 피용접재를 이동시킨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필터용 심용접기(100)는 전극륜의 회전축 외주면과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에 도전성 충진부재(460)가 충진되어 있어 전원공급부로 공급되는 전원이 전극륜의 회전축으로 안정적으로 공급되므로 용접작업시 피용접재의 용접부분이 그을리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스크린필터용 심용접기
200: 프레임
300: 제1전극륜
310: 제1회전축
320: 제1지지유닛
330: 제1하우징
331: 제1중공
400: 제2전극륜
410: 제2회전축
420: 제2지지유닛
430: 제2하우징
431: 본체
432: 제2중공
450: 승강수단
460: 충진부재

Claims (5)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제1지지유닛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지지유닛의 제1하우징에 설치된 제1회전축에 장착된 제1전극륜과;
    상기 제1지지유닛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제2지지유닛의 제2하우징에 지지된 제2회전축에 장착된 제2전극륜과;
    상기 제1 및 제2전극륜에 전원이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전극륜의 제1 및 제2회전축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이 안정적으로 전극륜으로 전달되기 위해 상기 제1회전축의 외주면과 상기 제1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 및 상기 제2회전축의 외주면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한 공간에 충진되며, 수은이 포함되는 도전성 충진부재와;
    상기 전원공급부로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으로 전원이 공급시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의 내부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냉각통로에 냉각수를 순환시켜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을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전극륜에 대향되는 외주면에 상기 냉각통로에 연통되는 연통구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 중 상기 연통구가 형성된 회전축에 설치되는 전극륜은 상기 냉각수가 순환될 수 있도록 상기 연통구에 연통되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보조냉각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은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각각 중공이 마련되며, 하측 외주면에는 상기 중공에 충진된 상기 충진부재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중공에 연통되는 배출구가 마련되되, 상기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에 마개볼트가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필터용 심용접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중 내부에 상기 충진부재가 충진되는 하우징은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중공으로 충진부재를 충진할 수 있도록 주입구가 마련되되, 상기 중공 내에 충진된 충진부재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의 내주면에 각각 실링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필터용 심용접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중 내부에 상기 충진부재가 충진되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주입구를 통해 육안으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상기 충진부재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주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감시구가 형성된 마개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필터용 심용접기.
KR1020130054593A 2013-05-14 2013-05-14 스크린필터용 심용접기 KR101329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593A KR101329659B1 (ko) 2013-05-14 2013-05-14 스크린필터용 심용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593A KR101329659B1 (ko) 2013-05-14 2013-05-14 스크린필터용 심용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9659B1 true KR101329659B1 (ko) 2013-11-14

Family

ID=49857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593A KR101329659B1 (ko) 2013-05-14 2013-05-14 스크린필터용 심용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6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4229A (ja) * 1994-12-27 1996-07-09 Kojima Press Co Ltd 抵抗溶接用加圧装置
KR19990025733U (ko) * 1997-12-17 1999-07-05 이구택 용접기용 냉각수 순환장치
KR20020004414A (ko) * 2000-07-05 2002-01-16 김찬용 시임용접기
JP2009090362A (ja) 2007-10-12 2009-04-30 Akim Kk シーム溶接ローラユニットおよびシーム溶接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4229A (ja) * 1994-12-27 1996-07-09 Kojima Press Co Ltd 抵抗溶接用加圧装置
KR19990025733U (ko) * 1997-12-17 1999-07-05 이구택 용접기용 냉각수 순환장치
KR20020004414A (ko) * 2000-07-05 2002-01-16 김찬용 시임용접기
JP2009090362A (ja) 2007-10-12 2009-04-30 Akim Kk シーム溶接ローラユニットおよびシーム溶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07772A (zh) 一种密封性紧凑型便携式封闭手持自动化管管焊接设备
KR101329659B1 (ko) 스크린필터용 심용접기
CN201561625U (zh) 热油加热辊
KR20120037586A (ko) 스태빌라이저 바용 중공소재의 끝단부 밀폐방법
CN206795141U (zh) 焊接变位机
CN107716233B (zh) 用于不锈钢水箱内胆搪涂聚四氟乙烯的设备及其使用方法
GB1418859A (en) Rotary electrical contacts
KR20110114721A (ko) 밀폐형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그것을 탑재하는 차량, 기기
CN208142977U (zh) 一种干式潜水电机的轴端密封结构
CN102996125B (zh) 掘进机及其水冷式截割臂
CN108306440A (zh) 一种干式潜水电机的轴端密封结构与密封方法
CN110883967A (zh) 密炼机的转子结构
CN212839006U (zh) 冶金用双效冷却辊轴组件
WO2022205568A1 (zh) 气瓶缝焊滚轮结构
JP7016827B2 (ja) 建設機械
FI77795C (fi) Anordning foer undervattensarbete.
CN211250939U (zh) 密炼机的转子结构
CN206341068U (zh) 内置控制器的智能潜水电机
CN107813029A (zh) 自动密封式管管焊接机头
KR102361298B1 (ko) 전기저항용접장치
CN212526591U (zh) 在役钢质油气管道维抢修用自动焊接装置
CN212482118U (zh) 一种电炉自动俯仰旋转布料装置
CN214422754U (zh) 单管激光熔覆装置
CN114406511A (zh) 电加热装置腔体总成的焊接方法
CN217933290U (zh) 一种石墨电极加工用抗氧化浸液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