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9588B1 -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신칭 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신칭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9588B1
KR101329588B1 KR1020120061175A KR20120061175A KR101329588B1 KR 101329588 B1 KR101329588 B1 KR 101329588B1 KR 1020120061175 A KR1020120061175 A KR 1020120061175A KR 20120061175 A KR20120061175 A KR 20120061175A KR 101329588 B1 KR101329588 B1 KR 101329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main
cinch
sub
cin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수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1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5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05D5/062Bent fla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신칭 유닛에 관한 것으로, 바디, 이 바디에 구비되고 마운팅홈부를 형성하여 진입되는 스트라이커에 의해 일차적으로 회전되며 탄성 복원되려는 힘이 작용하는 크로 레버(claw lever), 타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도록 바디에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신칭레버, 메인신칭레버의 일측에 연결되어 당기는 외력으로써 메인신칭레버를 바디와 연결부위에 대해 일방향으로 강제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부, 일측이 메인신칭레버의 타측에 접하여 메인신칭레버와 반대방향으로 탄성 회전되도록 바디에 연결되는 서브신칭레버, 및 이 서브신칭레버에 연동되어 크로 레버를 이차적으로 강제 회전시키는 강제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크로 레버와 메인신칭레버 사이에 서브신칭레버를 구비함에 따라 차량용 트렁크 리드 외측으로 노출되는 크로 레버로부터 최대한 멀리 메인신칭레버를 설치 가능하여 차량용 트렁크 리드 내측으로 충분히 삽입되도록 배치할 수 있음에 따라 액츄에이터의 레이아웃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신칭 유닛{CINCHING UNIT OF TRUNK LID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신칭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크로 레버와 메인신칭레버 사이에 서브신칭레버를 구비함에 따라 차량용 트렁크 리드 외측으로 노출되는 크로 레버로부터 최대한 멀리 메인신칭레버를 설치 가능하여 차량용 트렁크 리드 내측으로 충분히 삽입되도록 배치할 수 있음에 따라 액츄에이터의 레이아웃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신칭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화물을 싣고 내릴 수 있는 트렁크 도어 또는 트렁크 리드가 설치되며, 트렁크 도어 또는 트렁크 리드에는 차체 스트라이커와 잠금 및 해제되는 도어래치가 설치된다.
종래에는 도어래치 중에서 불완전하게 닫힌 도어를 완전하게 닫게 하는 트렁크 리드의 파워 신칭 래치(power cinching latch)가 공지되어있다.
파워 신칭 래치는 트렁크 리드의 닫힘시 1단 잠김상태에서 2단 잠김상태로 신칭(Cinching)되도록 한다.
특히, 종래 파워 신칭 래치의 경우 스트라이커를 수용하는 래치레버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래치레버의 회전시 2단으로 래치레버를 구속하는 포울레버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래치레버를 1단 록킹상태에서 2단 록킹상태로 유도하기 위해 신칭래버가 힌지 연결된 크로즈레버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신칭래치장치에 대해서는 국내특허등록 제10-0974549호에 제안되어 있다.
기존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신칭래치장치는 래치레버의 회전축과 크로즈레버의 회전축이 동일하기 때문에 래치레버가 차량의 트렁크 패널 가장자리 내부에 위치함에 따라 래치레버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트렁크 패널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어 레이아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크로 레버와 메인신칭레버 사이에 서브신칭레버를 구비함에 따라 차량용 트렁크 리드 외측으로 노출되는 크로 레버로부터 최대한 멀리 메인신칭레버를 설치 가능하여 차량용 트렁크 리드 내측으로 충분히 삽입되도록 배치할 수 있음에 따라 액츄에이터의 레이아웃을 자유롭게 하고자 하는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신칭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신칭 유닛은: 바디,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마운팅홈부를 형성하여 진입되는 스트라이커에 의해 일차적으로 회전되며 탄성 복원되려는 힘이 작용하는 크로 레버(claw lever), 타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도록 상기 바디에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신칭레버, 상기 메인신칭레버의 일측에 연결되어 당기는 외력으로써 상기 메인신칭레버를 상기 바디와 연결부위에 대해 일방향으로 강제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부, 일측이 상기 메인신칭레버의 타측에 접하여 상기 메인신칭레버와 반대방향으로 탄성 회전되도록 상기 바디에 연결되는 서브신칭레버, 및 상기 서브신칭레버에 연동되어 상기 크로 레버를 이차적으로 강제 회전시키는 강제회전부를 포함한다.
상기 서브신칭레버의 일측은 연결핀을 구비하고, 상기 메인신칭레버의 타측은 절곡되어 상기 연결핀을 접함으로써 상기 서브신칭레버를 연동하도록 절곡리브를 연장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츄에이터부는, 상기 메인신칭레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핀, 상기 힌지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를 당기거나 당기는 힘을 해제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강제회전부는, 상기 크로 레버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회전되려는 힘을 받도록 상기 서브신칭레버의 타측에 힌지 연결되는 커넥팅로드, 상기 커넥팅로드에 구비되어 상기 서브신칭레버가 타방향으로 회동 작용시 상기 크로 레버의 둘레면을 따라 구름 회전되는 구름롤러, 및 상기 크로 레버의 둘레면에 돌출되어 상기 구름롤러와 접촉됨에 따라 상기 구름롤러의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크로 레버의 이차적 회전을 유도하는 걸림돌부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는 탄성 복원되도록 외력에 의해 강제 회전되며 상기 크로 레버를 다단으로 로킹하는 폴 부재(pawl member)를 구비하며, 상기 폴 부재는 릴리즈 유닛(release unit)에 의해 강제 회전되고, 상기 릴리즈 유닛은 상기 크로 레버의 로킹 해제를 위해 작동시 상기 구름롤러를 밀어 상기 서브신칭레버의 초기 위치 복귀를 보조하도록 서포트리브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신칭 유닛은 종래 기술과 달리 크로 레버와 메인신칭레버 사이에 서브신칭레버를 구비함에 따라 차량용 트렁크 리드 외측으로 노출되는 크로 레버로부터 최대한 멀리 메인신칭레버를 설치 가능하여 차량용 트렁크 리드 내측으로 충분히 삽입되도록 배치할 수 있음에 따라 액츄에이터의 레이아웃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잠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잠금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잠금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잠금장치의 신칭 부위 초기 상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잠금장치의 신칭 부위 1차 잠김 상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잠금장치의 신칭 부위 2차 잠김 상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잠금장치의 릴리즈(release) 부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잠금장치의 릴리즈 부위 신칭 오류 상태에서 해제되는 상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잠금장치의 릴리즈 부위 완전 잠김 상태에서 해제되는 상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신칭 유닛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잠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잠금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잠금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잠금장치의 신칭 부위 초기 상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잠금장치의 신칭 부위 1차 잠김 상태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잠금장치의 신칭 부위 2차 잠김 상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잠금장치의 릴리즈(release) 부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잠금장치의 릴리즈 부위 신칭 오류 상태에서 해제되는 상태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잠금장치의 릴리즈 부위 완전 잠김 상태에서 해제되는 상태 평면도이다.
도 1, 도 2, 도 3, 도 4,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잠금장치는 바디(100), 크로 레버(claw lever,200), 폴 부재(pawl member,300), 신칭 유닛(cinching unit,400), 및 릴리즈 유닛(release unit,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디(100)는 트렁크 리드(trunk lid,도시하지 않음)에 고정 설치되고, 크로 레버(claw lever,200), 폴 부재(pawl member,300), 신칭 유닛(cinching unit,400), 및 릴리즈 유닛(release unit,500) 등을 장착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바디(10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특히, 바디(100)는 일부가 트렁크 리드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나머지가 트렁크 리드의 내측에 매립되게 장착된다. 트렁크 리드)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바디(100)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수용홈부(120)가 함몰 형성된다. 수용홈부(120)는 스트라이커(striker,10)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바디(100)는 볼팅이나 용접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트렁크 리드의 내측에 매립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스트라이커(10)는 차체의 패널(2)에 구비되어 트렁크 리드를 결속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바디(100)는 트렁크 리드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위에 커버(130)를 구비한다. 커버(130)는 크로 레버(200), 폴 부재(300) 및 신칭 유닛(400)을 덮어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커버(13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고, 바디(100)에 다양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크로 레버(200)는 바디(100)에 구비된다. 이때, 크로 레버(200)는 바디(100)의 수용홈부(120)로 수용되는 스트라이커(10)를 진입 허용하기 위해 마운팅홈부(210)를 함몰 형성한다.
그래서, 초기 상태에서 마운팅홈부(210)가 수용홈부(120)에 일치되도록, 크로 레버(200)는 바디(100)의 하측 가장자리에 설치된다.
이때, 크로 레버(200)는 마운팅홈부(210) 내측으로 유입되는 스트라이커(10)의 미는 힘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즉, 크로 레버(200)는 제 1회동핀(212)을 기준으로 스트라이커(10)의 미는 힘에 의해 일방향 회전되게 구비된다.
제 1회동핀(212)은 크로 레버(200)에 삽입된 후 바디(100)에 연결된다. 제 1회동핀(212)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바디(100)에 연결된다.
크로 레버(200)는 스트라이커(10)를 수용한 채 회전됨에 따라 스트라이커(10)를 잠금 처리하게 된다. 그래서, 트렁크 리드는 스트라이커(10)에 로킹(locking)된다.
아울러, 크로 레버(200)는 탄성 복원되려는 힘이 작용하도록 바디(100)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탄성 복원'은 마운팅홈부(210)와 수용홈부(120)가 일치되는 상태를 말한다. 이는, 스트라이커(10)의 자연적 이탈, 즉 트렁크 리드의 열림을 허용하기 위함이다.
이때, 크로 레버(200)는 초기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강제 회전시 타방향으로 탄성 복원되려는 힘이 작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크로 레버(200)에는 제 1탄성부재(214)가 구비된다. 제 1탄성부재(214)의 일측은 바디(100)에 연결되고, 제 1탄성부재(214)의 타측은 크로 레버(200)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 1탄성부재(214)는 토션 스프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일방향과 타방향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이다.
따라서, 크로 레버(200)는 스트라이커(10)에 의해 일방향 회전시 제 1탄성부재(214)에 의해 초기 상태로 탄성 복원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특히, 크로 레버(200)는 스트라이커(10)가 마운팅홈부(210) 내측을 순간적으로 미는 거리만큼 일차적으로 회전되며 스트라이커(10)를 신칭(cinching)하게 된다. 물론, 크로 레버(20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크로 레버(200)는 일방향 회전시 제 1탄성부재(21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타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힘이 작용하고, 둘레면을 따라 다단으로 이루어진 스텝부재(step member,220)를 구비한다.
즉, 크로 레버(200)는 스텝부재(220)에 의해 테두리가 계단 형상의 외주연을 형성한다.
또한, 폴 부재(300)는 크로 레버(200)에 이웃되게 바디(100)에 설치된다. 그리고, 폴 부재(300)는 회전 가능하도록 바디(100)에 장착된다. 즉, 폴 부재(300)는 제 2회동핀(312)에 삽입되어 제 2회동핀(312)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제 2회동핀(312)은 폴 부재(300)에 삽입된 채 바디(100)에 연결된다. 제 2회동핀(312)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바디(100)에 연결 고정된다.
특히, 폴 부재(300)는 일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힘을 받도록 바디(100)에 구비된다. 즉, 폴 부재(300)는 타방향으로 강제 회전시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 복원력을 받는다.
이때, 폴 부재(300)는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힘을 받음에 따라, 폴 부재(300)의 일부는 항상 크로 레버(200)의 둘레면에 접하게 된다. 그래서, 폴 부재(300)의 일부가 다단의 계단 형상의 외주연인 스텝부재(220)에 접함에 따라, 폴 부재(300)는 크로 레버(200)를 다단으로 로킹(locking) 가능하게 된다.
폴 부재(300)는 항상 일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힘을 받도록 제 2탄성부재(314)를 구비한다. 제 2탄성부재(314)의 일측은 바디(100)에 연결되고, 제 2탄성부재(314)의 타측은 폴 부재(300)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 2탄성부재(314)는 토션 스프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폴 부재(300)는 제 2탄성부재(314)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탄성적인 힘을 받게 됨에 따라, 폴 부재(300)의 일부는 항상 크로 레버(200)의 둘레면에 접하게 된다.
예로서, 스텝부재(220)는 크로 레버(200)의 전체 테두리 중 폴 부재(300)의 일부가 접하는 범위에 해당되는 크로 레버(200)의 테두리 일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 1스텝턱(222), 제 2스텝턱(224), 및 제 3스텝턱(2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 1스텝턱(222)은 폴 부재(300)의 일부가 접하는 범위에 해당되는 크로 레버(200)의 테두리 중 제 1회동핀(212)으로부터 가장 큰 반경(r1)에 대응되는 테두리에 돌출 형성된다. 이때, 크로 레버(200)가 초기 상태에서, 폴 부재(300)의 일부는 제 1스텝턱(222)에 접하게 된다. '초기 상태'는 수용홈부(120)와 마운팅홈부(210)가 일치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그래서, 크로 레버(200)는 제 1탄성부재(214)에 의해 타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힘을 받더라도 초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스트라이커(10)는 마운팅홈부(210)에 진입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제 1스텝턱(222)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크로 레버(200)에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 2스텝턱(224)은 제 1스텝턱(222)을 기준으로 상기 크로 레버(200)의 둘레면을 따라 타방향으로 설정거리만큼 유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즉, 폴 부재(300)의 일부가 접하는 범위에 해당되는 크로 레버(200)의 테두리 중 제 1회동핀(212)으로부터 가장 큰 반경(r1)보다 작은 반경(r2)에 대응되는 테두리에 형성된다.
이때, 크로 레버(200)가 스트라이커(10)를 일차 잠금 상태에서, 폴 부재(300)의 일부는 제 2스텝턱(224)에 접하게 된다. 그래서, 크로 레버(200)는 일차 잠금 상태에서 탄성 복원 방지된다. 물론, 제 2스텝턱(224)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크로 레버(200)에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제 3스텝턱(226)은 제 2스텝턱(224)을 기준으로 크로 레버(200)의 둘레면을 따라 타방향으로 설정거리만큼 유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즉, 폴 부재(300)의 일부가 접하는 범위에 해당되는 크로 레버(200)의 테두리 중 제 1회동핀(212)으로부터 가장 작은 반경(r3)에 대응되는 테두리에 형성된다.
이때, 크로 레버(200)가 스트라이커(10)를 이차 잠금 상태에서, 폴 부재(300)의 일부는 제 3스텝턱(226)에 접하게 된다. 그래서, 크로 레버(200)는 이차 잠금 상태에서 탄성 복원 방지된다. 물론, 제 3스텝턱(226)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크로 레버(200)에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제 2스텝턱(224)은 제 1회동핀(212)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직경에 의해 테두리에 자연 형성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 3스텝턱(226)은 제 1회동핀(212)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직경에 의해 테두리에 자연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크로 레버(200)는 하나 구비될 수도 있고, 복수 개로 구비되어 적층될 수도 있다. 편의상, 크로 레버(200)는 판 형상의 2개로 이루어져 적층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여기서, 제 1스텝턱(222)은 어느 하나의 크로 레버(200)의 둘레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고, 제 2스텝턱(224)과 제 3스텝턱(226)은 다른 하나의 크로 레버(20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폴 부재(300)는 로터리부재(rotary member,310), 스토핑 레버(stopping lever,320), 및 리턴 레버(return lever,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로터리부재(310)는 일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힘이 작용하도록 바디(10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제 2회동핀(312)은 로터리부재(310)에 삽입되어 바디(100)에 연결 고정되고, 제 2탄성부재(314)의 일측은 바디(100)에 연결되고, 제 2탄성부재(314)의 타측은 로터리부재(310)에 연결된다. 물론, 로터리부재(3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스토핑 레버(320)는 로터리부재(310)의 둘레면에서 연장되어 일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힘에 의해 크로 레버(200)의 둘레면을 따라 안내되며 스텝부재(220)에 접하여 크로 레버(200)가 타방향으로 자연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스토핑 레버(320)는 제 1스텝턱(222)에 접함으로써 크로 레버(200)의 초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제 2스텝턱(224)에 접함으로써 스트라이커(10)에 대한 크로 레버(200)의 일차 잠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제 3스텝턱(226)에 접함으로써 스트라이커(10)에 대한 크로 레버(200)의 이차 잠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스토핑 레버(320)는 로터리부재(3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스토핑 레버(3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리턴 레버(330)는 스토핑 레버(320)와 중첩되거나 간섭되지 않도록 로터리부재(310)의 둘레면에서 연장된다. 리턴 레버(330)는, 후술할, 릴리즈 유닛(500)의 릴리즈 레버(516)의 미는 힘에 의해 강제로 타방향 회전된다. 이때, 로터리부재(310)는 리턴 레버(330)와 동일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타방향 회전된다. 이에 따라, 스토핑 레버(320)는 로터리부재(310)와 함께 동일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스토핑 레버(320)는 스텝부재(220) 중 접하고 있는 제 2스텝턱(224) 및 제 3스텝턱(226)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이탈된다. 그래서, 크로 레버(200)는 제 1탄성부재(214)에 의해 타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회전되며 원위치 복귀된다. 스토핑 레버(320)가 제 2스텝턱(224)이나 제 3스텝턱(226)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제 1스텝턱(222)에 접하게 되면, 크로 레버(200)는 초기 상태로 복귀 후 정지하게 된다.
리턴 레버(330)는 로터리부재(3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리턴 레버(3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로터리부재(310)가 제 2탄성부재(314)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힘을 받음에 따라, 스토핑 레버(320)가 크로 레버(200)의 테두리에 항상 접하게 되는데, 크로 레버(200)의 테두리를 가압하는 스토핑 레버(320)의 가압력이 너무 클 경우, 크로 레버(200)는 원활하게 회전되지 못하게 된다. 그래서, 스토핑 레버(320)가 크로 레버(200)의 테두리를 가압하는 압력이 너무 크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바디(100)는 스토퍼(110)를 돌출 형성하고, 로터리부재(310)는 스토퍼(110)에 걸려 일방향의 회전량이 제한되도록 스토핑 리브(stopping rib,316)를 연장한다. 즉, 스토핑 리브(316)가 스토퍼(110)에 걸림으로써, 스토핑 레버(320)가 크로 레버(200)의 테두리를 누르는 힘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특히, 스토핑 리브(316)가 스토퍼(110)에 걸림으로써, 스토핑 레버(320)가 크로 레버(200)의 테두리 중 제 1회동핀(212)으로부터 가장 큰 반경(r1)보다 작은 반경(r2)에 대응되는 테두리, 및 제 1회동핀(212)으로부터 가장 작은 반경(r3)에 대응되는 테두리를 누르는 힘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물론, 스토퍼(110)와 스토핑 리브(31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스트라이커(10)가 마운팅홈부(210)에 삽입되면서 일차적으로 일방향 회전된 크로 레버(200)는 신칭 유닛(400)에 의해 이차적으로 더 회전되며 스트라이커(10)를 견고하게 로킹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칭 유닛(400)은 메인신칭레버(410), 액츄에이터부(420), 서브신칭레버(430), 및 강제회전부(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메인신칭레버(410)는 바디(10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특히, 메인신칭레버(410)는 제 3회동핀(412)을 기준으로 양방향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 3회동핀(412)은 대략 메인신칭레버(410)의 축 방향에 대해 중앙 부위에 삽입된 후 바디(100)에 고정 연결된다. 그래서, 메인신칭레버(410)는 제 3회동핀(412)을 기준으로 양방향 회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메인신칭레버(410)는 제 3회동핀(412)을 기준으로 강제로 일방향 회전시 탄성적으로 타방향 회전되며 탄성 복원되려는 힘을 받도록 설치된다.
그래서, 메인신칭레버(410)는 제 3탄성부재(414)를 구비한다. 제 3탄성부재(414)는 일측이 바디(100)에 연결되고, 타측이 메인신칭레버(410)에 연결된다. 따라서, 메인신칭레버(410)는 제 3탄성부재(414)에 의해 제 3회동핀(412)을 기준으로 탄성적으로 타방향 회전되며 초기 위치로 복귀하려는 힘을 받게 된다. 이때, 제 3탄성부재(414)는 토션 스프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액츄에이터부(420)는 메인신칭레버(410)의 일측에 연결되어 당기는 외력으로써 메인신칭레버(410)를 바디(100)와 연결부위 즉, 제 3회동핀(412)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강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메인신칭레버(410)의 일측을 당기는 액츄에이터부(420)의 작동이 정지하게 되면, 메인신칭레버(410)는 제 3회동핀(412)을 기준으로 탄성적으로 일방향 회전되며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특히, 액츄에이터부(420)는 외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메인신칭레버(410)를 회동시키는 것으로서, 힌지핀(422), 연결부재(424), 및 액츄에이터(4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힌지핀(422)은 메인신칭레버(4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연결부재(424)는 힌지핀(422)에 연결된다. 예로서, 연결부재(424)는 와이어(wire)로 도시한다.
그리고, 액츄에이터(426)는 연결부재(424)를 당기거나 당기는 힘을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액츄에이터(426)는 트렁크 리드 내측에 고정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액츄에이터(426)가 작동하게 되면, 연결부재(424)는 액츄에이터(426)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힌지핀(422)을 당기게 된다. 힌지핀(422)은 메인신칭레버(410)의 일측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메인신칭레버(410)는 제 3회동핀(412)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아울러, 후술할, 릴리즈 블록(514)은 서포트리브(518)를 더 연결한다. 서포트리브(518)는 크로 레버(200)의 로킹 해제를 위해 작동시 구름롤러(444)를 밀어 커넥팅로드(442)를 일방향으로 밀어 회전시킴으로써 서브신칭레버(430)의 초기 위치 복귀를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즉, 액츄에이터(426)가 작동 정지 후, 릴리즈 블록(514)이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릴리즈 레버(516)는 리턴 레버(33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킴과 아울러, 서포트리브(518)는 타방향으로 호 궤적을 따라 이동하면서 접하고 있는 초기 위치의 구름롤러(444)를 밀게 된다. 그러면, 커넥팅로드(442)를 연결한 서브신칭레버(430)는 제 4회동핀(432)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서포트리브(340)는 서브신칭레버(430)의 초기 위치 복귀를 보조한다.
한편, 서브신칭레버(430)는 바디(10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특히, 서브신칭레버(430)는 제 4회동핀(432)을 기준으로 양방향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 4회동핀(432)은 대략 서브신칭레버(430)의 축 방향에 대해 중앙 부위에 삽입된 후 바디(100)에 고정 연결된다. 그래서, 서브신칭레버(430)는 제 4회동핀(432)을 기준으로 양방향 회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서브신칭레버(430)는 일측이 메인신칭레버(410)의 타측에 연동되어 메인신칭레버(410)의 일방향 회전시 타방향으로 회전된다.
특히, 서브신칭레버(430)는 제 4회동핀(432)을 기준으로 강제로 타방향 회전시 탄성적으로 일방향 회전되며 탄성 복원되려는 힘을 받도록 설치된다.
그래서, 서브신칭레버(430)는 제 4탄성부재(434)를 구비한다. 제 4탄성부재(434)는 일측이 바디(100)에 연결되고, 타측이 서브신칭레버(430)에 연결된다. 따라서, 서브신칭레버(430)는 제 4탄성부재(434)에 의해 제 4회동핀(432)을 기준으로 탄성적으로 일방향 회전되며 초기 위치로 복귀하려는 힘을 받게 된다. 이때, 제 4탄성부재(434)는 토션 스프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메인신칭레버(410)와 서브신칭레버(430)는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로서, 서브신칭레버(430)의 일측은 연결핀(436)을 구비하고, 메인신칭레버(410)의 타측은 절곡되어 연결핀(436)을 접함으로써 서브신칭레버(430)를 연동하도록 절곡리브(416)를 연장한다. 즉, 메인신칭레버(410)가 제 3회동핀(412)을 기준으로 일방향 회전시, 절곡리브(416)는 연결핀(436)을 감싼 채 연결핀(436)을 호 궤적을 따라 당기게 된다. 그래서, 서브신칭레버(430)는 제 4회동핀(432)을 기준으로 타방향으로 강제 회전된다.
또한, 강제회전부(440)는 서브신칭레버(430)의 타측에 연동되어 크로 레버(200)를 이차적으로 강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로서, 강제회전부(440)는 커넥팅로드(442), 구름롤러(444), 및 걸림돌부(4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커넥팅로드(442)는 서브신칭레버(430)의 타측에 힌지 연결된다. 즉, 커넥팅로드(442)는 제 5회동핀(441)에 의해 서브신칭레버(430)의 타측에 힌지 연결된다. 그래서, 커넥팅로드(442)는 서브신칭레버(430)에 대해 양방향 회동 가능하게 된다.
특히, 커넥팅로드(442)는 제 5회동핀(441)을 기준으로 강제로 일방향 회전시 탄성적으로 타방향 회전되려는 힘을 받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커넥팅로드(442)에 구비된 구름롤러(444)가 크로 레버(200)의 테두리에 접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래서, 커넥팅로드(442)는 제 5탄성부재(443)를 구비한다. 제 5탄성부재(443)는 일측이 바디(100)에 연결되고, 타측이 커넥팅로드(442)에 연결된다. 따라서, 커넥팅로드(442)는 제 5탄성부재(443)에 의해 제 5회동핀(441)을 기준으로 탄성적으로 타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힘을 받게 된다. 이때, 제 5탄성부재(443)는 토션 스프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름롤러(444)는 커넥팅로드(44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크로 레버(200)의 둘레면을 따라 구름 회전하게 된다. 이때, 서브신칭레버(430)가 타방향으로 회동되며 커넥팅로드(442)를 당길 경우, 커넥팅 로드는 탄성적으로 크로 레버(200) 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구름롤러(444)는 크로 레버(200)의 둘레면을 따라 구름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걸림돌부(446)는 크로 레버(200)의 둘레면에 돌출되어 구름롤러(444)와 접촉됨에 따라 구름롤러(444)의 당기는 힘에 의해 크로 레버(200)의 이차적 회전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걸림돌부(446)는 제 1스텝턱(222)과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나, 제 1스텝턱(222) 자체로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스토핑 레버(320)가 제 3스텝턱(226)에 접하여 크로 레버(200)의 타방향 회전을 방지할 때까지, 구름롤러(444)는 걸림돌부(446)를 당기게 된다.
그리고, 스토핑 레버(320)가 제 3스텝턱(226)에 접한 후, 액츄에이터(426)는 연결부재(424)를 당기는 힘을 제거하게 된다. 이에 따라, 메인신칭레버(410), 서브신칭레버(430) 및 커넥팅로드(442)는 초기 위치로 탄성 복귀하게 된다.
한편, 1차, 2차에 걸쳐 잠금상태가 된 크로 레버(200)는 강제로 작동되는 폴 부재(300)에 의해 탄성 복원된다.
즉, 스트라이커(10)의 자연 이탈을 허용하도록 크로 레버(200)를 탄성 복원시키기 위해 폴 부재(300)를 역방향으로 강제 회전시키는 릴리즈 유닛(release unit,500)이 구비된다.
릴리즈 유닛(500)은 릴리즈부재(510), 및 작동부(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릴리즈부재(510)는 로터리부재(310)를 기준으로 리턴 레버(330)를 타방향으로 강제로 미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스토핑 레버(320)는 로터리부재(310)와 함께 타방향으로 회전되며 스텝부재(220)의 접하고 있는 제 2스텝턱(224)이나 제 3스텝턱(226)으로부터 이탈된다.
특히, 스토핑 레버(320)가 제 2스텝턱(224)에 접한 상태로부터 이탈되는 경우는, 액츄에이터(426)가 연결부재(424)를 당기는 시점 또는 당기는 중에 오류를 발생한 상태이다.
물론, 스토핑 레버(320)가 제 2스텝턱(224)에서 제 3스텝턱(226)으로 이동 중에, 액츄에이터(426)가 오류를 발생하며 정지시에도, 릴리즈부재(510)는 리턴 레버(330)를 타방향으로 강제로 밀어 액츄에이터(426)를 초기화시킨다.
이때, 릴리즈부재(510)는 하우징(512), 릴리즈 블록(514), 및 릴리즈 레버(5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512)은 바디(100)에 구비되어 릴리즈 블록(514)과 릴리즈 레버(516)를 트렁크 리드와의 접촉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하우징(512)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바디(100)에 다양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릴리즈 블록(514)은 하우징(512)에 연결된 부위를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힘이 작용한다.
즉, 릴리즈 블록(514)은 제 6회동핀(513)을 기준으로 강제로 일방향 회전시 탄성적으로 타방향 회전되려는 힘을 받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릴리즈 블록(514)은 제 6탄성부재(515)를 구비한다. 제 6탄성부재(515)는 일측이 하우징(512)에 연결되고, 타측이 릴리즈 블록(514)에 연결된다. 따라서, 릴리즈 블록(514)은 제 6탄성부재(515)에 의해 제 6회동핀(513)을 기준으로 탄성적으로 타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힘을 받게 된다. 이때, 제 6탄성부재(515)는 토션 스프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릴리즈 레버(516)는 릴리즈 블록(514)의 둘레면에서 연장되어 작동부(520)에 의해 릴리즈 블록(514)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동되며 리턴 레버(330)를 탄성적으로 미는 역할을 한다.
물론, 릴리즈 블록(514)과 릴리즈 레버(516)는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한편, 릴리즈부재(510)는 작동부(520)에 의해 작동되며 리턴 레버(330)를 강제로 밀게 된다.
제 1실시예로서, 작동부(520)는 암(arm,521), 및 당김부재(5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암(521)은 하우징(512)에 탄성적으로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릴리즈 레버(516)의 일측에 접하거나 연결된다.
특히, 암(521)은 제 8탄성부재(521b)를 구비한다. 제 8탄성부재(521b)는 일측이 바디(100)나 하우징(512)에 연결되고, 타측이 암(521)에 연결된다. 따라서, 암(521)은 제 8탄성부재(521b)에 의해 제 8회동핀(521a)을 기준으로 탄성적으로 타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힘을 받게 된다. 이때, 제 8탄성부재(521a)는 토션 스프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당김부재(522)는 암(521)의 일측에 연결되어 외부의 당김력 발생시 암(521)을 힌지 부위를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며 릴리즈 레버(516)를 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제 1실시예에 따른 작동부(520)는 외부에서 당김부재(522)를 당기는 수동 조작으로 릴리즈 블록(514)과 릴리즈 레버(516)를 강제로 일방향 회전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제 2실시예로서, 작동부(520)는 작동플레이트(523), 어퍼리브(524), 손잡이(525), 및 로어리브(5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작동플레이트(523)는 하우징(512) 내부에 탄성적으로 일방향 회전되게 구비된다.
즉, 작동플레이트(523)는 제 7회동핀(523a)에 의해 하우징(512)에 연결된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방향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특히, 작동플레이트(523)는 제 7회동핀(523a)을 기준으로 강제로 일방향 회전시 탄성적으로 타방향 회전되려는 힘을 받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작동플레이트(523)에 가해지는 외력 제거시 초기 위치로 복귀하기 위함이다.
그래서, 작동플레이트(523)는 제 7탄성부재(523b)를 구비한다. 제 7탄성부재(523b)는 일측이 하우징(512)에 연결되고, 타측이 작동플레이트(523)에 연결된다. 따라서, 작동플레이트(523)는 제 7탄성부재(523b)에 의해 제 7회동핀(523a)을 기준으로 탄성적으로 타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힘을 받게 된다. 이때, 제 7탄성부재(523b)는 토션 스프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어퍼리브(524)는 하우징(512)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작동플레이트(523)의 상측면에서 연장된다. 이때, 어퍼리브(524)가 하우징(512)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이유는 작동플레이트(523)의 회전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어퍼리브(52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작동플레이트(523)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손잡이(525)는 하우징(512)에 탄성적으로 일방향 회전되게 구비되어 어퍼리브(524)를 강제로 밀어 작동플레이트(523)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손잡이(525)는 토션스프링에 의해 하우징(512)에 탄성적으로 회동되며 강제로 일방향 회전되며 어퍼리브(524)를 일방향으로 미는 역할을 한다. 물론, 손잡이(525)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하우징(512)은 초기 위치에서 손잡이(525)의 타방향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걸림턱(527)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즉, 손잡이(525)는 걸림턱(527)에 걸려 타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 방지된다.
로어리브(526)는 작동플레이트(523)의 하측면에서 연장되어 작동플레이트(523)의 일방향 회전시 릴리즈 레버(516)를 미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릴리즈 레버(516)는 리턴 레버(330)를 밀게 된다.
즉, 제 2실시예에 따른 작동부(520)는 트렁크 리드에서 노출되게 구비된 손잡이(525)를 수동 조작하여 릴리즈 블록(514)과 릴리즈 레버(516)를 강제로 일방향 회전시키는 것이다.
또한, 제 3실시예로서, 작동부(520)는 작동플레이트(523), 치차(528), 기어부재(529a), 구동모터(529b), 어퍼리브(524) 및 로어리브(5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작동플레이트(523), 어퍼리브(524) 및 로어리브(526)는 상술한 제 2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기 때문에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치차(528)는 작동플레이트(523)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기어이빨이다.
아울러, 기어부재(529a)는 치차(528)에 기어 결합되어 작동플레이트(523)를 강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동모터(529b)는 하우징(512)에 장착되어 기어부재(529a)를 설정 방향으로 강제 회전시킴으로써 작동플레이트(523)를 탄성적으로 일방향으로 강제 회전시키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구동모터(529b)가 정지시, 기어부재(529a)와 작동플레이트(523)는 반대로 회전되며, 작동플레이트(523)는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작동부(520)는 제 1실시예와 제 2실시예 및 제 3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가 모두 바디(100)와 하우징(512)에 구비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잠금장치의 작동 순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크로 레버(200)가 다단에 걸쳐 잠금상태가 되는 작동 순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에서처럼, 크로 레버(200)의 마운팅홈부(210)가 바디(100)의 수용홈부(120)와 일치된 상태가 초기 상태이다.
이때, 크로 레버(200)는 제 1탄성부재(214)에 의해 타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작용 받고 있기 때문에 임의적으로 일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폴 부재(300)도 초기 상태이고, 스토핑 레버(320)는 제 1스텝턱(222)에 접하게 된다. 그래서, 크로 레버(200)는 제 1탄성부재(214)에 의해 타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힘을 작용 받고 있지만, 스토핑 레버(320)에 의해 초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메인신칭레버(410), 액츄에이터(426), 서브신칭레버(430) 및 커넥팅로드(442)는 초기 상태이다. 구름롤러(444)는 초기 상태의 서포트리브(340)에 접하고 있다.
또한, 도 7에서처럼, 스트라이커(10)가 바디(100)의 수용홈부(120)와 마운팅홈부(210)로 유입되며 크로 레버(200)를 일방향으로 강제로 밀게 된다.
그러면, 폴 부재(300)의 스토핑 레버(320)는 크로 레버(200)의 테두리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스토핑 레버(320)가 제 2스텝턱(224)에 걸릴 때까지, 크로 레버(200)는 스트라이커(10)의 미는 힘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특히, 구름롤러(444)가 액츄에이터(426)의 미작동시에 서포트리브(340)에 접하고 있기 때문에, 구름롤러(444)에 연동되는 커넥팅로드(442), 서브신칭레버(430) 및 메인신칭레버(410)는 조금씩 회전된다.
스토핑 레버(320)가 제 2스텝턱(224)에 걸린 상태에서, 크로 레버(200)는 수용홈부(120)를 막게 됨에 따라, 스트라이커(10)는 일차적으로 잠금 상태가 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한편, 도 8에서처럼, 액츄에이터(426)가 구동하게 되면, 연결부재(424)는 메인신칭레버(410)의 일측을 당기게 된다. 그래서, 메인신칭레버(410)는 제 3회동핀(412)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강제 회전된다. 그러면, 서브신칭레버(430)는 메인신칭레버(410)에 연동되어 제 4회동핀(432)을 기준으로 타방향으로 강제 회전된다.
그리고, 커넥팅로드(442)가 서브신칭레버(430)의 타측에 연동되어 당겨지게 된다. 이때, 커넥팅로드(442)는 제 5탄성부재(443)에 의해 서포트리브(340) 방향으로 향하려고 하기 때문에, 구름롤러(444)는 서포트리브(340)를 따라 구름회전되며 크로 레버(200)의 테두리로 이동하게 된다.
이 후, 구름롤러(444)가 걸림돌부(446)에 걸림으로써, 크로 레버(200)는 구름롤러(444)의 당기는 힘에 의해 이차적으로 더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크로 레버(200)는 스트라이커(10)를 당김으로써, 트렁크 리드는 차체에 밀착된다.
특히, 액츄에이터(426)와 연결되는 메인신칭레버(410)는 서브신칭레버(430)에 의해 바디(100)의 상측으로 이동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메인신칭레버(410)는 트렁크 리드의 내부 깊숙이 매립되고, 이로 인해, 액츄에이터부(420)의 레이아웃 공간이 충분히 확보된다.
이때, 폴 부재(300)의 스토핑 레버(320)는 크로 레버(200)의 테두리를 따라 이동하며 제 2스텝턱(224)에 걸릴 때까지, 크로 레버(200)는 액츄에이터(426)의 당기는 힘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스토핑 레버(320)가 제 3스텝턱(226)에 걸리면, 액츄에이터(426)는 작동 정지하게 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한편, 크로 레버(200)가 초기 상태로 복귀되는 작동 순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히, 도 10은 스트라이커(10)의 1차 잠금 후 액츄에이터(426)가 작동 오류를 발생한 상태에서, 크로 레버(200)의 복귀 작동 순서에 대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당김부재(522)를 당겨 암(521)을 일방향으로 수동 회전시키거나, 손잡이(525)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작동플레이트(523)를 일방향으로 수동 회전시키거나, 또는 구동모터(529b)를 조작하여 작동플레이트(523)를 일방향으로 자동 회전시키게 되면, 릴리즈 레버(516)는 릴리즈 블록(514)을 기준으로 릴리즈 블록(514)과 함께 타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폴 부재(300)의 리턴 레버(330)는 릴리즈 레버(516)의 미는 힘에 의해 로터리부재(310)를 기준으로 로터리부재(310)와 함께 타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로터리부재(310)에 일체로 연결된 스토핑 레버(320)는 제 2스텝턱(224)으로부터 이탈된다. 그래서, 크로 레버(200)는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특히, 릴리즈 레버(516)에 연동되는 서포트리브(340)도 로터리부재(310)와 함께 타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서포트리브(340)는 오류로 정지된 액츄에이터(426)에 의해 초기 상태로 복귀하지 않은 구름롤러(444)를 밀어 올리게 된다. 그러면, 커넥팅로드(442), 서브신칭레버(430) 및 메인신칭레버(410)는 초기 상태로 강제 복귀하게 된다. 즉, 서포트리브(340)는 커넥팅로드(442)와 서브신칭레버(430)의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는데 조력 역할을 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아울러, 도 11은 스트라이커(10)의 2차 잠금상태에서, 크로 레버(200)의 복귀 작동 순서에 대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당김부재(522)를 당겨 암(521)을 일방향으로 수동 회전시키거나, 손잡이(525)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작동플레이트(523)를 일방향으로 수동 회전시키거나, 또는 구동모터(529b)를 조작하여 작동플레이트(523)를 일방향으로 자동 회전시키게 되면, 릴리즈 레버(516)는 릴리즈 블록(514)을 기준으로 릴리즈 블록(514)과 함께 타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폴 부재(300)의 리턴 레버(330)는 릴리즈 레버(516)의 미는 힘에 의해 로터리부재(310)를 기준으로 로터리부재(310)와 함께 타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로터리부재(310)에 일체로 연결된 스토핑 레버(320)는 제 3스텝턱(226)으로부터 이탈된다. 그래서, 크로 레버(200)는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스트라이커(10)는 수용홈부(120)와 마운팅홈부(210)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된다. 이는, 트렁크 리드가 개방됨을 의미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바디 120: 수용홈부
200: 크로 레버(claw lever) 210: 마운팅홈부
220: 스텝부재 300: 폴 부재(pawl member)
310: 로터리부재 320: 스토핑 레버
330: 리턴 레버 400: 신칭 유닛(cinching unit)
410: 메인신칭레버 420: 액츄에이터부
430: 서브신칭레버 440: 강제회전부
500: 릴리즈 유닛(release unit)
510: 릴리즈부재 520: 작동부

Claims (5)

  1. 바디;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마운팅홈부를 형성하여 진입되는 스트라이커에 의해 일차적으로 회전되며, 탄성 복원되려는 힘이 작용하는 크로 레버(claw lever);
    타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도록 상기 바디에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신칭레버;
    상기 메인신칭레버의 일측에 연결되어 당기는 외력으로써 상기 메인신칭레버를 상기 바디와 연결부위에 대해 일방향으로 강제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부;
    일측이 상기 메인신칭레버의 타측에 접하여 상기 메인신칭레버와 반대방향으로 탄성 회전되도록 상기 바디에 연결되는 서브신칭레버; 및
    상기 서브신칭레버에 연동되어 상기 크로 레버를 이차적으로 강제 회전시키는 강제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강제회전부는, 상기 크로 레버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회전되려는 힘을 받도록 상기 서브신칭레버의 타측에 힌지 연결되는 커넥팅로드;
    상기 커넥팅로드에 구비되어 상기 서브신칭레버가 타방향으로 회동 작용시 상기 크로 레버의 둘레면을 따라 구름 회전되는 구름롤러; 및
    상기 크로 레버의 둘레면에 돌출되어 상기 구름롤러와 접촉됨에 따라 상기 구름롤러의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크로 레버의 이차적 회전을 유도하는 걸림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신칭 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신칭레버의 일측은 연결핀을 구비하고;
    상기 메인신칭레버의 타측은 절곡되어 상기 연결핀을 접함으로써 상기 서브신칭레버를 연동하도록 절곡리브를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신칭 유닛.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부는,
    상기 메인신칭레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핀;
    상기 힌지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를 당기거나 당기는 힘을 해제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신칭 유닛.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탄성 복원되도록 외력에 의해 강제 회전되며 상기 크로 레버를 다단으로 로킹하는 폴 부재(pawl member)를 구비하며;
    상기 폴 부재는 릴리즈 유닛(release unit)에 의해 강제 회전되고;
    상기 릴리즈 유닛은, 상기 크로 레버의 로킹 해제를 위해 작동시 상기 구름롤러를 밀어 상기 서브신칭레버의 초기 위치 복귀를 보조하도록 서포트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신칭 유닛.
KR1020120061175A 2012-06-07 2012-06-07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신칭 유닛 KR101329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175A KR101329588B1 (ko) 2012-06-07 2012-06-07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신칭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175A KR101329588B1 (ko) 2012-06-07 2012-06-07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신칭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9588B1 true KR101329588B1 (ko) 2013-11-14

Family

ID=49857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175A KR101329588B1 (ko) 2012-06-07 2012-06-07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신칭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5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6053A (ko) 2017-10-25 2019-05-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0818A (ja) * 2003-10-14 2005-05-12 Kia Motors Corp 車両のトランクリッドラッチアセンブリ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0818A (ja) * 2003-10-14 2005-05-12 Kia Motors Corp 車両のトランクリッドラッチアセンブリ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6053A (ko) 2017-10-25 2019-05-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041B1 (ko)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잠금장치
CN112900990B (zh) 包括具有棘轮保持功能的系拉机构的电力闭合闩锁组件
JP6789725B2 (ja) 車両用シンチングラッチ組立体
US10767396B2 (en) Vehicular latch assembly with latch mechanism having pop-off sound reduction
EP2940234B1 (en) A motor vehicle having a double latch assembly
CN110306887B (zh) 具有呈双掣爪构型的闩锁机构的闭合闩锁组件
JP6240922B2 (ja) 自動車用ロックおよび製造方法
CN108979366B (zh) 车辆的行李箱盖锁栓组件
KR102287273B1 (ko) 차량 테일게이트 잠금장치
CN109424277A (zh) 闭合闩锁组件
US10745948B2 (en) Vehicular closure latch assembly having double pawl latch mechanism
EP4077841B1 (en) Vehicle double-pull lock
KR101329590B1 (ko)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릴리즈 유닛
US20060006669A1 (en) Vehicle latch apparatus and method
KR101329588B1 (ko)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신칭 유닛
CN114080484B (zh) 机动车门锁
KR101308495B1 (ko)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잠금장치
US11149473B2 (en) Door closing device
KR101395929B1 (ko) 차량용 테일 게이트의 래치장치
CN112302437B (zh) 用于车辆的电动门锁
CN111946173B (zh) 用于打开和关闭车辆的行李舱的闩锁组件
CN210798577U (zh) 一种新型脱开机构
KR101163467B1 (ko) 테일게이트 래치 비상 해제 장치
JP4244146B2 (ja) バックドアロック装置
CN113818760B (zh) 车辆用门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