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7575B1 - Digital protection relay and method for preventing mal-operation thereof - Google Patents

Digital protection relay and method for preventing mal-operation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7575B1
KR101327575B1 KR1020120076409A KR20120076409A KR101327575B1 KR 101327575 B1 KR101327575 B1 KR 101327575B1 KR 1020120076409 A KR1020120076409 A KR 1020120076409A KR 20120076409 A KR20120076409 A KR 20120076409A KR 101327575 B1 KR101327575 B1 KR 101327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digital
unit
control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64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의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6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57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5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92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concerning the data processing means, e.g. expert systems, neural networ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8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using switches, relays or circuit breakers, e.g.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s [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protective relay which comprises a digital output unit outputting predetermined control signals; a memory dualizing the control signals and storing the control signals in first and second storage regions; and a control unit comparing the control signals stored in the memory and controlling the digital output unit to output the control signals when the control signal stored in the first storage region is identical to the control signal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region. [Reference numerals] (110) Analogue input unit;(120) Communication unit;(130) Memory;(140) Digital input unit;(150) PLC module;(160) Digital output unit;(170) Control unit

Description

디지털 보호계전기 및 이의 오동작 방지 방법{DIGITAL PROTECTION RELAY AND METHOD FOR PREVENTING MAL-OPERATION THEREOF}DIGITAL PROTECTION RELAY AND METHOD FOR PREVENTING MAL-OPERATION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보호계전기 및 이의 오동작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신호를 이중화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디지털 보호계전기 및 이의 오동작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protection relay and a method of preventing a malfunction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protection relay and a method of preventing a malfunction thereof by duplexing control signals and storing them in a memory.

전력계통에서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양질의 전력 공급은 현대사회에서 아주 중요한 문제이다. 이로 인해 전력계통의 보호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The stable and continuous supply of high quality power in the power system is a very important problem in modern society.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protecting the power system is increasing.

그래서 전력계통을 구성하는 각종 전력기기, 설비들의 고장 및 사고 발생시 이를 검출하여 보호하기 위해 보호계전기가 사용되고 있다. 보호계전기는 피보호 전력계통이나 기기 설비에 단락이나 지락 등의 고장 발생시 이를 신속히 검출하고 정상 계통으로부터 분리, 차단하여 전력 수급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한 기기이다. 근래에는 피보호 설비의 구성과 특징이 복잡하고 다양해져서 그 보호 요구조건이 보다 엄격하게 높아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아날로그 형태보다 디지털 방식의 보호계전기가 실용화되고 있다.Therefore, a protection relay is used to detect and protect failures and accidents of various power devices and facilities constituting the power system. The protection relay is a device to quickly detect the occurrence of short circuit or ground fault in the protected power system or equipment equipment, and to separate and cut off from the normal system to improve the supply and demand stability. In recent years,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protected equipment have become complicated and diverse, and the protection requirements thereof have not only increased more severely, but also digital protection relays have become more practical than the analog type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상기 디지털 보호계전기는, 전력계통에 대한 단순한 보호 기능이 아닌 예방 진단 기능으로서 전력 품질에 대한 감시 및 제어 기능이 있고, 따라서 IED(intelligent electronic device)라는 용어로도 사용된다. 이 디지털 보호계전기는 내부에 다양한 디지털 IC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데, 외부 노이즈의 유입에 의해 디지털 IC 모듈에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이에 따라 차단기(CB) 등의 외부 기기로 오출력을 전송하여 전체 전력계통에 심각한 피해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The digital protective relay has a function of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power quality as a preventive diagnostic function, not merely a protection function for the power system, and thus is also used as an term of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IED). This digital protection relay is equipped with various digital IC modules inside,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damage to the digital IC module due to the inflow of external noise, and accordingly, the false output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circuit breaker (CB).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serious damage to the power syst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디지털 보호계전기 내부의 연산 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이중화하여 서로 다른 저장 영역에 저장하여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디지털 보호계전기 및 이의 오동작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digital protection relay which can prevent the malfunction of the digital protection relay by dualizing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result inside the digital protection relay in different storage area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preventing malfunction.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인 디지털 보호계전기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출력부, 상기 제어신호를 이중화하여 제1 및 제2 저장 영역에 각각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어신호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디지털 출력부가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gital protection relay includes a digital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a memory for duplexing the control signal and storing the control signals in the first and second storage areas, respectively, and comparing the control signals stored in the memory.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igital output unit to output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comparison result.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저장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어신호와 상기 제2 저장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어신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출력부가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outputs the control signal when the control signal stored in the first storage area and the control signal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area coincide with each other. It may be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to.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디지털 보호계전기는 상기 제어부와 상기 디지털 출력부 사이에 구비되는 PLC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저장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어신호와 상기 제2 저장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어신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PLC 모듈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protection relay further includes a PLC module provided between the control unit and the digital output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mprises the control signal stored in the first storage area and the When the control signals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area match, the control signals may be transmitted to the PLC module.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PLC 모듈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제어신호를 이중화하여 제1 및 제2 인덱스를 각각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C module may be configured to allocate the first and second indexes by duplexing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PLC 모듈은 상기 제1 인덱스에 할당된 상기 제어신호와 상기 제2 인덱스에 할당된 상기 제어신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출력부에 상기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C module is further configured to control the control signal assigned to the first index and the control signal assigned to the second index when the control signal is output to the digital output unit. It can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to pas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디지털 보호계전기 내부의 연산 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서로 다른 저장 영역에 이중화하여 저장함으로써, 외부 노이즈의 유입에 의한 메모리 등에 손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디지털 보호계전기가 출력하는 제어신호의 신뢰성이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result in the digital protection relay is stored in a different storage area by redundant, the control signal output by the digital protection relay even if the damage caused by the inflow of external noise, etc.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liability of is main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오동작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igital protective re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lfunction prevention method of a digital protective re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Also, the term "part" or the like, a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s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igital protective re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디지털 보호계전기는 전력계통의 송ㆍ배전선(즉, 전력선)에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상기 송ㆍ배전선에 설치되는 차단기(circuit breaker) 등의 보호계전요소, 기타 외부 접점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Digital protective relays are generally connected to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lines (i.e., power lines) of power systems, and output control signals to protective relay elements such as circuit breakers and other external contacts provided in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lines.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보호계전기는 아날로그 입력부(110), 통신부(120), 메모리(130), 디지털 입력부(140), PLC 모듈(150), 디지털 출력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digital protection relay includes an analog input unit 110, a communication unit 120, a memory 130, a digital input unit 140, a PLC module 150, a digital output unit 160, and a controller 170. It includes.

아날로그 입력부(110)는 다수의 센서들로부터 검출된 전력계통 또는 전력기기의 전류, 전압, 온도 신호 등을 처리한다. 상기 센서의 예로써, 변압기(potential transformer)가 상기 송ㆍ배전선에 설치되어 전력계통 또는 전력기기의 전압값을 검출하고, 변류기(current transformer)가 설치되어 전력계통 또는 전력기기의 전류값을 검출한다. 검출된 전압 및 전류는 아날로그 신호로서, 아날로그 입력부(110)를 통하여 상기 디지털 보호계전기에 제공된다.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아날로그 입력부(110)는 상기 센서들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센서에서 검출된 값을 일정 비율로 변환하고, 변환된 값을 필터링 및 증폭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구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변환된 상기 디지털 신호를 제어부(170)에 제공한다. The analog input unit 110 processes current, voltage, and temperature signals of a power system or a power device detected from a plurality of sensors. As an example of the sensor, a potential transformer is installed in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line to detect the voltage value of the power system or power equipment, and a current transformer is installed to detect the current value of the power system or power equipment. . The detected voltage and current are analog signals and are provided to the digital protection relay through the analog input unit 110. 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analog input unit 110 converts a value detected by the sensor to a predetermined ratio, filters and amplifies the converted value, and processes a digital signal in order to process the analog signal input from the sensors. The digital signal may be provided to the controller 170.

통신부(120)는 외부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다양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LAN(Local Area Network), WLAN(Wireless LAN)(Wi-Fi),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20 is a component for data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nd performs various data communication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For example, Power Line Communication, Local Area Network (LAN), Wireless LAN (Wi-Fi), Bluetooth,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 A communication scheme such as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may be applied.

메모리(130)에는 연산 알고리즘, 로직 프로그램, 아날로그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전압, 전류값 등으로부터 도출되는 연산 결과, 상기 연산 결과에 따라 상기 보호계전요소로 출력할 제어신호 등이 저장된다. 특히, 상기 제어신호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는 메모리(130)의 제1 저장 영역 및 제2 저장 영역에 각각 동일한 상기 제어신호를 이중화하여 저장한다. 이는, 외부 노이즈의 유입 등에 따라 메모리(130)에 크랙(crack)이 발생하는 등의 메모리(130) 손상에 따른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오동작, 오출력에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및 제2 저장 영역에 각각 저장된 상기 제어신호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보호계전요소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memory 130 stores a calculation result derived from a calculation algorithm, a logic program, a voltage input from the analog input unit 110, a current value, and the like, and a control signal to be output to the protection relay element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result. In particular, in relation to the control signal, the same control signal is duplicated and stored in the first storage area and the second storage area of the memory 130,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storage areas are provided to prevent malfunctions and incorrect outputs of the digital protection relay due to damage of the memory 130 such as a crack occurring in the memory 130 due to the inflow of external noise. The control signal may be output to the protection relay element only when the control signals respectively stored in the control signal match.

디지털 입력부(140)는 상기 보호계전요소, 배전 판넬 등의 소정의 접점으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차단기로부터 디지털 출력신호인 차단기 온/오프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The digital input unit 140 receives a digital signal from a predetermined contact point such as the protective relay element or the distribution panel. For example, the breaker on / off signal, which is a digital output signal, may be input from the breaker.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모듈(150)은 제어부(170)의 연산 결과에 따른 상기 제어신호를 디지털 출력부(160)로 전달한다. PLC 모듈(150)은 외란 등에 의한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오동작, 오출력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디지털 출력부(160)로 출력함에 있어 상기 제어신호에 서로 다른 인덱스를 부여한다. 즉, PLC 모듈(150)은 제어부(17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제어신호를 별도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는데, 동일한 제어신호에 대하여 서로 다른 제1 및 제2 인덱스를 각각 부여하여 이중화할 수 있다. PLC 모듈(150)은 상기 제1 및 제2 인 덱스에 대응되는 각각의 제어신호를 비교하고 두 개의 상기 제어신호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신호를 디지털 출력부(160)로 전달함으로써, 외란 등에 의해 손상된 상기 제어신호가 외부 접점으로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module 150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result of the controller 170 to the digital output unit 160. The PLC module 150 assigns different indexes to the control signal in output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digital output unit 160 in order to prevent malfunction or misoutput of the digital protection relay due to disturbance. That is, the PLC module 150 may store the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 unit 170 in a separate internal memory. The PLC module 150 may duplicate the same control signal by giving different first and second indexes, respectively. The PLC module 150 compares respective control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indexes and transfers the control signals to the digital output unit 160 when the two control signals coincide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rol signal damaged by the output from the external contact.

디지털 출력부(160)는 디지털 보호계전기 내부의 연산 결과 또는 각종 외부신호에 의하여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그에 대응되는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PLC 모듈(15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차단기 등의 외부 접점으로 출력한다. The digital output unit 160 generally outputs a digital signal corresponding to an event generated by an operation result or various external signals in the digital protection relay. That is, the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PLC module 150 is output to an external contact such as the circuit breaker.

제어부(170)는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전반적인 제어 및 연산을 위한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한다. 제어부(170)는 상기 중앙처리장치에서 아날로그 입력, 디지털 입력과 메모리(130)에 저장된 연산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보호 및 계전 동작에 필요한 각종 연산을 수행하고 연산 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메모리(130)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controller 170 includes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overall control and operation of the digital protective relay. The control unit 170 performs various operations required for protection and relay operation based on the operation algorithm stored in the analog input, the digital input and the memory 130 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result to the memory 130. It acts as a store.

제어부(170)는 상기 제어신호를 메모리(130)에 저장함에 있어, 메모리(130)의 임의의 제1 저장 영역 및 제2 저장 영역에 동일한 상기 제어신호를 각각 저장한다. 상기 제어신호를 외부 접점으로 출력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상기 제1 저장 영역에 저장된 제어 신호와 상기 제2 저장 영역에 저장된 제어 신호를 비교하여, 두 개의 제어신호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신호를 PLC 모듈(150)로 전송한다. PLC 모듈(150)이 생략되는 경우는, 상기 제어신호를 디지털 출력부(160)로 전송하여 상기 외부 접점으로 상기 제어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When the control unit 170 stores the control signal in the memory 130, the control unit 170 stores the same control signal in an arbitrary first storage area and a second storage area of the memory 130, respectively. When outputting the control signal to an external contact, the control unit 170 compares the control signal stored in the first storage area and the control signal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area, and when the two control signals match,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LC module 150. When the PLC module 150 is omitted,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igital output unit 160 to control the control signal to be output to the external contact.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메모리(130)와 PLC 모듈(150)의 내부 메모리에 상기 제어신호를 이중화하여 저장함으로써 외란에 의한 오동작, 오출력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메모리(130)와 PLC 모듈(150)의 내부 메모리를 활용하여 이중으로 상기 제어신호를 이중화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메모리의 사용량을 고려하여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메모리(130) 또는 PLC 모듈(150)의 내부 메모리 중 어느 하나만을 활용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이중화할 수도 있다. 제어부(170)와 디지털 출력부(160)의 사이에 형성된 PLC 모듈(150)을 생략하고 메모리(130)를 사용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이중화 저장할 수 있고, 또는 메모리(130)에서는 상기 제어신호를 이중화하지 않고, PLC 모듈(150)의 내부 메모리에 상기 제어신호를 이중화하여 오동작, 오출력을 방지하고 신뢰성 있는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signal is duplicated and stored in the memory 130 of the digital protection relay and the internal memory of the PLC module 150, thereby preventing malfunction and incorrect output due to disturbance. Meanwhile, in the above, the case where the control signal is doubled by using the memory 130 of the digital protection relay and the internal memory of the PLC module 150 is described. Alternatively, the control signal may be doubled by utilizing only one of the internal memories of the PLC module 150. The PLC module 150 formed between the controller 170 and the digital output unit 160 may be omitted and the control signal may be redundantly stored using the memory 130, or the control signal may be duplicated in the memory 130. Instead, the control signal may be duplicated in the internal memory of the PLC module 150 to prevent a malfunction or an error output and to output the control signal reliably.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보호계전기에 있어서, 오동작 방지 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In the digital protection re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 malfunction preven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보호계전기는 전력계통 등에 설치된 다수의 센서들로부터 검출된 전류, 전압, 온도 신호 등을 아날로그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받는다. 상기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제어부(170)는 아날로그 입력부(110)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전류, 전압, 온도 신호와, 미리 저장된 연산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보호 및 계전 동작에 필요한 각종 연산을 수행하고 연산 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메모리(130)에 저장한다(S210). 이때, 제어부(170)는 메모리(130)의 임의의 제1 저장 영역 및 제2 저장 영역에 동일한 제어신호를 저장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이중화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digital protection relay receives current, voltage, and temperature signals detected from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in a power system through the analog input unit 110. The controller 170 of the digital protection relay performs various operations required for protection and relay operation based on the current, voltage, and temperature signals converted from the analog input unit 110 into digital signals, and pre-stored calculation algorithms.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stored in the memory 130 (S210).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70 may store the same control signal in any of the first storage area and the second storage area of the memory 130 to double the control signal.

제어부(170)는 상기 제어신호를 차단기 등의 외부 접점으로 출력하는 경우, 먼저 제1 저장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어신호와 제2 저장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어신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0).When outputting the control signal to an external contact such as a circuit breaker, the controller 170 first determines whether the control signal stored in the first storage area and the control signal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area match (S220).

상기 S220단계의 판단 결과, 제1 저장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어신호와 제2 저장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어신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PLC 모듈(150)로 전달한다(S23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20, when the control signal stored in the first storage area and the control signal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area match,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LC module 150 (S230).

PLC 모듈은 상기 S230단계에서 입력되는 상기 제어신호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되, 동일한 상기 제어신호에 대하여 서로 다른 제1 및 제2 인덱스를 각각 부여하여 이중화할 수 있다(S240).The PLC module may store the control signal input in the step S230 in the internal memory, and may be duplicated by giving different first and second indexes to the same control signal, respectively (S240).

PLC 모듈(150)은 상기 제어신호를 외부 접점으로 출력하기 위하여, 디지털 출력부(160)로 상기 제어신호를 전달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1 인덱스가 부여된 상기 제어신호와 제2 인덱스가 부여된 상기 제어신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50).The PLC module 150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digital output unit 160 to output the control signal to an external contact, wherein the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index to which the first index is assign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ntrol signals match (S250).

상기 S250단계의 판단 결과, PLC 모듈(150)은 상기 제1 인덱스가 부여된 상기 제어신호와 제2 인덱스가 부여된 상기 제어신호가 일치하는 경우, PLC 모듈(150)은 상기 제어신호를 디지털 출력부(160)로 전달한다(S26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50, when the control signal with the first index and the control signal with the second index are matched, the PLC module 150 outputs the control signal digitally. Transfer to the unit 160 (S260).

디지털 출력부(160)는 PLC 모듈(15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제어신호를 해당하는 외부 접점으로 출력한다(S270). The digital output unit 160 outputs the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PLC module 150 to a corresponding external contact point (S270).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신호가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메모리(130)에 의해서만 이중화되는 경우에는, 상기 S230단계 내지 상기 S260단계가 생략될 수 있고, 디지털 출력부(160)는 제어부(170)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전달받는다. 즉, 제어부(170)는 상기 S220단계의 판단 결과 제1 저장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어신호와 제2 저장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어신호가 일치하면 상기 제어신호를 디지털 출력부(160)로 전달하고, 상기 S270단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디지털 출력부(160)가 상기 제어신호를 해당되는 외부 접점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trol signal is duplicated only by the memory 130 of the digital protection relay, step S230 to step S260 may be omitted, the digital output unit 160 is the control unit 170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at is, the controller 170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digital output unit 160 when the control signal stored in the first storage area and the control signal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area match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tep S220. As shown in step S270, the digital output unit 160 may control to output the control signal to the corresponding external contact.

또한, 상기 제어신호가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PLC 모듈(150)에 의해서만 이중화되는 경우에는, 상기 S210단계에서 제어부(170)가 연산 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메모리(130)의 임의의 하나의 저장 영역에 상기 제어신호를 저장하고, 상기 S220단계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어신호를 PLC모듈(150)로 전달하여 상기 S230단계 내지 상기 S270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ntrol signal is duplicated only by the PLC module 150 of the digital protection relay, in step S210, the control unit 170 generate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result and stores any one of the memory 130. The control signal may be stored in an area, and step S220 may be omitted. The controller 170 may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PLC module 150 to perform the steps S230 to S270.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메모리(130)와 PLC 모듈(150)의 내부 메모리에 상기 제어신호를 이중화하여 저장함으로써 외란에 의한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오동작, 오출력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signal is duplicated and stored in the memory 130 of the digital protection relay and the internal memory of the PLC module 150, thereby preventing malfunction and incorrect output of the digital protection relay due to disturbance.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as well as equivalents thereof.

110 : 아날로그 입력부
120 : 통신부
130 : 메모리
140 : 디지털 입력부
150 : PLC 모듈
160 : 디지털 출력부
170 : 제어부
110: analog input unit
120:
130: memory
140: digital input unit
150: PLC module
160: digital output unit
170:

Claims (5)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출력부;
상기 제어신호를 이중화하여 제1 및 제2 저장 영역에 각각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어신호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디지털 출력부가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와 상기 디지털 출력부 사이에 구비되는 PLC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저장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어신호와 상기 제2 저장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어신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PLC 모듈로 전달하는 디지털 보호계전기.
A digital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A memory for duplexing the control signal and storing the first control signal in a first storage area and a second storage area; And
A control unit for comparing the control signal stored in the memory and controlling the digital output unit to output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comparison result;
Further comprising a PLC module provided between the control unit and the digital output unit,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signal stored in the first storage area and the control signal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area match the control signal to the PLC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저장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어신호와 상기 제2 저장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어신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출력부가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보호계전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And when the control signal stored in the first storage area and the control signal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area match, the digital output unit controls to output the control signa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LC 모듈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제어신호를 이중화하여 제1 및 제2 인덱스를 각각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보호계전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LC module,
And digitally allocating a first index and a second index by duplexing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PLC 모듈은,
상기 제1 인덱스에 할당된 상기 제어신호와 상기 제2 인덱스에 할당된 상기 제어신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출력부에 상기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보호계전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LC module,
And when the control signal allocated to the first index coincides with the control signal allocated to the second index,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digital output unit to output the control signal.
KR1020120076409A 2012-07-13 2012-07-13 Digital protection relay and method for preventing mal-operation thereof KR1013275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409A KR101327575B1 (en) 2012-07-13 2012-07-13 Digital protection relay and method for preventing mal-operation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409A KR101327575B1 (en) 2012-07-13 2012-07-13 Digital protection relay and method for preventing mal-operation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7575B1 true KR101327575B1 (en) 2013-11-12

Family

ID=49857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6409A KR101327575B1 (en) 2012-07-13 2012-07-13 Digital protection relay and method for preventing mal-operation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757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1440A (en) * 1995-10-25 1997-05-06 Nissin Electric Co Ltd Protective relay
JP2004336830A (en) 2003-04-30 2004-11-25 Meidensha Corp Digital protection rela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1440A (en) * 1995-10-25 1997-05-06 Nissin Electric Co Ltd Protective relay
JP2004336830A (en) 2003-04-30 2004-11-25 Meidensha Corp Digital protection rel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62252B1 (en) A power bay protection device and a method for protecting power bays
US20050043861A1 (en) Integrated protection and control system for a power system substation
JP2016511469A (en) A safety switchgear that turns on and turns off technical facilities
KR100807342B1 (en) Multi-protection system using operation signals of protection components in separate relays
KR101520263B1 (en) Intelligent power distribution panel for sensing fire
KR2013009647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of acquired data
KR20230082007A (en) An Apparatus for Monitering a Distribution Panel Board
KR100817611B1 (en) System for analysing monitoring signal and controling signal to transformer equipments
JPH0241252B2 (en)
KR101327575B1 (en) Digital protection relay and method for preventing mal-operation thereof
WO2009127817A1 (en) Self organising unit protection
EP3767577B1 (en) Switchboard management system
KR20200107549A (en) Digital protection relay and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malfunction
KR102103936B1 (en) Relay apparatus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631631B1 (en) Method for failure check and recovery of Protective relay
KR20180090934A (en) Power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EP3220583B1 (en) Communications bus line isolator
KR20160114851A (en) Vehicle network control system and vehicel network control method
KR2016002004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dition monitoring of over current relay
KR101623759B1 (en) Circuit breaker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board
JP6833537B2 (en) Protective relay device
EP3709167B1 (e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KR101545891B1 (en) Triple protecting apparatus using 3 relays
EP2424060B1 (en) Redundant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arc flash prevention systems
US20150318682A1 (en) Arrangement for detecting arcs in an electric installation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