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7550B1 - 분유 디스펜서 및 분유통 - Google Patents

분유 디스펜서 및 분유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7550B1
KR101327550B1 KR1020120130989A KR20120130989A KR101327550B1 KR 101327550 B1 KR101327550 B1 KR 101327550B1 KR 1020120130989 A KR1020120130989 A KR 1020120130989A KR 20120130989 A KR20120130989 A KR 20120130989A KR 101327550 B1 KR101327550 B1 KR 101327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member
inner cylinder
milk powder
outer cylinder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0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미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에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에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에나
Priority to KR1020120130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5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30Other containers or devices used as table equipment
    • A47G19/32Food container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bread, rolls, sugar, or the like; Food containers with movable covers
    • A47G19/34Food container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bread, rolls, sugar, or the like; Food containers with movable covers dispensing a certain quantity of powdered or granulated foodstuffs, e.g. sug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유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유 디스펜서는, 내부공간에 분유를 수용하는 분유통; 및 물통을 내장하고, 상기 분유통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제공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분유통은,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그 하면에 제 1 배출구와 차폐부가 형성되는 내통; 상기 내통을 감싸도록 제공되고, 그 하면에 제 2 배출구가 형성되는 외통; 상기 내통의 하부 및 상기 외통 사이에서 제 1 방향으로 회전되고, 배출량조절부가 제공되는 제 1 회전부재; 및 상기 외통의 하부에 위치되되, 상기 제 1 회전부재와 회전축으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는 제 2 회전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유 디스펜서 및 분유통{milk power dispenser and milk power container}
본 발명은 분유 디스펜서 및 분유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편하게 분유식을 만들 수 있는 분유 디스펜서 및 분유통에 관한 것이다.
신생아는 생후 일정기간의 수유기간을 갖는다. 이 때, 신생아에게 모유를 주기도 하기만, 분유를 물과 혼합한 분유식을 주는 경우가 많다.
분유식을 만들기 위해서는, 끓인 후 식힌 물과 적정 양의 분유를 혼합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일 예로 대한민국특허공고 10-0900983호는 분유 디스펜서를 개시하고 있다.
위 공고에 개시된 분유디스펜서는 분유의 정량배출이 가능한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배출회전손잡이가 일 측에 위치 할 때는, 분유유입구로 들어온 분유가 정량용기 회전판에 탑재된 정량용기에 채워진다. 그리고, 배출회전손잡이가 타측에 위치 할 때는, 정량용기에 채워진 분말이 배출 연결부 및 본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그러나, 분말이 뭉치는 경우, 분말이 정량용기로 원활하게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정량용기에 채워진 후 배출되는 분말의 양이 항상 일정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유와 혼합할 물은 따로 끓인 후 식혀야 되므로, 분유식을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만들려는 분유식의 양이 많은 경우, 배출회전손잡이를 수회 왕복해야 되어 번거롭고, 그때마다 배출되는 분유의 양이 일정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0900983호
본 발명은 분유식을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분유 디스펜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분유가 분유통에서 일정량씩 배출되는 분유 디스펜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분유의 배출을 인지할 수 있는 분유 디스펜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매회 분유통에서 배출되는 분유의 양이 일정한 분유 디스펜서를 제공하기 우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공간에 분유를 수용하는 분유통; 및 물통을 내장하고, 상기 분유통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제공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분유통은,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그 하면에 제 1 배출구와 차폐부가 형성되는 내통; 상기 내통을 감싸도록 제공되고, 그 하면에 제 2 배출구가 형성되는 외통; 상기 내통의 하부 및 상기 외통 사이에서 제 1 방향으로 회전되고, 배출량조절부가 제공되는 제 1 회전부재; 및 상기 외통의 하부에 위치되되, 하부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회전부재와 회전축으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는 제 2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분유 디스펜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량조절부는,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하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통은, 상기 제 2 배출구가 상기 차폐부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내통을 감쌀 수 있다.
또한, 상기 내통의 외주면 하단에는, 그 하단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는 제 1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회전부재에는, 그 길이방향이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을 따라 제공되고, 그 단부의 상면이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는 역회전방지리브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통의 하면에는, 측면의 형상이 삼각형으로 하향돌출되는 제 2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회전부재에는, 그 길이방향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제공되고, 그 단부의 상면은 측면 형상이 삼각형으로 돌출되는 회전조절리브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통의 하면에는, 아래로 돌출되고 그 단부가 제 1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는 제 1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회전부재에는, 그 길이방향이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을 따라 제공되고, 그 단부의 상면이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는 역회전방지리브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통의 외주면 하단에는, 상하방향으로 제공되는 리브 형상으로 그 하단의 측면 형상이 삼각형인 제 2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회전부재에는, 그 길이방향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제공되고, 그 단부의 상면은 측면 형상이 삼각형으로 돌출되는 회전조절리브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회전방지리브와 상기 회전조절리브는 그 수가 동일하게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량조절부는, 상기 역회전방지리브 및 상기 회전조절리브와 동일한 수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유 디스펜서는,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회전부재 및 제 2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교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유 디스펜서는,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물통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분유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그 하면에 제 1 배출구와 차폐부가 형성되는 내통; 상기 내통을 감싸도록 제공되고, 그 하면에 제 2 배출구가 형성되는 외통; 상기 내통의 하부 및 상기 외통 사이에서 제 1 방향으로 회전되고, 배출량조절부가 제공되는 제 1 회전부재; 및 상기 외통의 하부에 위치되되, 하부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회전부재와 회전축으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는 제 2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분유통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량조절부는,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하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외통은, 상기 제 2 배출구가 상기 차폐부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내통을 감쌀 수 있다.
또한, 상기 내통의 외주면 하단에는, 그 하단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는 제 1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회전부재에는, 그 길이방향이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을 따라 제공되고, 그 단부의 상면이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는 역회전방지리브가 제공되고, 상기 외통의 하면에는, 측면의 형상이 삼각형으로 하향돌출되는 제 2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회전부재에는, 그 길이방향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제공되고, 그 단부의 상면은 측면 형상이 삼각형으로 돌출되는 회전조절리브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통의 하면에는, 아래로 돌출되고 그 단부가 제 1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는 제 1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회전부재에는, 그 길이방향이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을 따라 제공되고, 그 단부의 상면이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는 역회전방지리브가 제공되고, 상기 내통의 외주면 하단에는, 상하방향으로 제공되는 리브 형상으로 그 하단의 측면 형상이 삼각형인 제 2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회전부재에는, 그 길이방향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제공되고, 그 단부의 상면은 측면 형상이 삼각형으로 돌출되는 회전조절리브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분유식을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분유통에 수용된 분유가 일정량씩 배출되어 분유식의 농도조절이 간편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제 1 회전부재 및 제 2 회전부재의 회전이 완료되어 분유가 배출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제 1 회전부재 및 제 2 회전부재가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유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1의 분유 디스펜서에서 분유통이 분리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3은 도1의 분유 디스펜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분유통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하나의 배출량조절부에서 분유가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하나의 배출량조절부에서 분유가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내통과 제 1 회전부재가 맞물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외통과 회전조절부재가 맞물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회전이 시작되는 제 1 회전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회전이 끝나는 제 1 회전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회전이 시작되는 회전조절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회전이 끝나는 회전조절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유 디스펜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의 분유 디스펜서에서 분유통이 분리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3은 도1의 분유 디스펜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분유 디스펜서(10)는 하우징(100), 물통(200), 가열부재(300), 냉각부재(400) 및 분유통(50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의 내부공간에 물통(200), 가열부재(300) 및 냉각부재(400)가 컴팩트하게 내장된다. 따라서, 분유 디스펜서(10)는 부피가 크지 않아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가 용이하다. 하우징(100)에는 우유병(B)이 위치되는 받침부(110)가 제공되고, 받침부(110)의 상부에는 분유통(500)이 착탈가능하게 위치되는 안착부(120)가 제공된다. 안착부(120)에는 분유통(500)에서 배출된 분유 및 물통(200)에서 배출된 물이 각각 배출되는 분유배출구(121) 및 물배출구(122)가 제공된다.
분유통(500)은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분유가 일정 양씩 배출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분유통(500)의 외주면에는 결합부재(510)가 제공된다. 결합부재(510)가 하우징(100)의 결합돌기(130)에 결합되면서 분유통(500)의 하면이 안착부(120)에 위치되면, 분유통(500)은 하우징(100)에 결합된다.
물통(200)은 하우징(100)의 상부에 제공되는 덮개(140)를 통해서 물을 공급한다. 물통(200)은 가열부재(300)에 의해 신속한 가열이 가능하고 위생적이도록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물통(200)은 30초 내외의 빠른 가열과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300ml의 소용량으로 제공될 수 있다. 물통(200)의 물은 유동관(150)을 거쳐 배출된다. 유동관(150)과 물통(200)이 연결되는 곳에는 개폐부(151)가 제공되어, 유동관(150)으로 물의 유입을 개폐한다.
가열부재(300)는 물통(200)에 수용된 물을 가열한다. 가열부재(300)는 물의 고속 가열이 가능한 니크롬열선을 가질 수 있다. 물통(200)이 소용량으로 제공되면, 가열부재(300)에 의해 10초 내지 30초 안에 물을 100℃까지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다.
냉각부재(400)는 유동관(150)을 흐르는 물을 냉각한다. 일 예로 냉각부재(400)는 유동관(150)과 열교환되도록 제공되는 도체일 수 있다.가열된 물은 유동관(150)을 흐르면서, 냉각부재(400)에 의해서 수유에 적정한 온도로 냉각된다.
제어부(160)는 가열부재(300), 개폐부(151) 및 펠티어소자(420)를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물통(200)의 물이 충분히 살균되도록 가열부재(300)의 동작시간을 제어한다. 그리고, 물통(200)의 물이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제어부(160)는 개폐부(151)를 개방하여 물이 유동관(150)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제어부(160)는 하우징(100)에 제공되는 스위치(170)를 통해 작동된다.
다음으로, 분유 디스펜서(10)의 분유식 제조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우유병(B)을 받침부(110)에 놓고 필요한 양의 물을 물통(200)에 넣은 다음 스위치(170)를 누른다. 그러면, 물은 물통(200)에서 가열부재(300)에 가열된 후, 유동관(150)을 흐르면서 냉각부재(400)에 의해 분유식 제조에 적절한 온도로 냉각된 후 우유병(B)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분유통(500)을 조작하여 필요한 양의 분유가 우유병(B)으로 배출되게 한 후, 물과 분유가 혼합된 우유병(B)을 흔들어 분유식을 제조한다.
도 4는 분유통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하나의 배출량조절부에서 분유가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다른 하나의 배출량조절부에서 분유가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분유통(500)은 내통(520), 외통(530), 제 1 회전부재(540), 제 2 회전부재(550) 및 교반부재(560)를 포함한다.
제 1 회전부재(540), 제 2 회전부재(550) 및 교반부재(560)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하, 제 1 회전부재(540), 제 2 회전부재(550) 및 교반부재(560)의 회전방향을 제 1 방향(1)이라 하고, 제 1 방향(1)의 반대 방향을 제 2 방향(2)이라한다.
내통(520)은 분유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제공하고 상부가 개방된다. 내통(520)의 하면에는 내통(520)의 축결합홀(521) 주위에 제 1 배출구(522)와 차폐부(524)가 형성된다. 제 1 배출구(522)는 반경방향으로 제공되는 리브(523)에 의해 수개로 구획될 수 있다.
내통(520)의 측벽은 원형으로 제공되고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내통(520)의 외주면에는 결합홈(525) 및 제 1 걸림부(526)가 제공된다. 결합홈(130)은 측벽의 일부가 내부공간 쪽으로 들어가 형성 된다. 결합홈(130)은 내통(520)을 외통(530)에 대해 고정한다. 제 1 걸림부(526)는 내통(520)의 외주면 하단에 제공된다. 제 1 걸림부(526)는 상하로 긴 리브 형상으로 제공된다. 제 1 걸림부(526)는 양측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그 하단이 제 1 방향(1)을 따라 아래로 경사진다.
제 1 회전부재(540)는 역회전방지리브(541) 및 배출량조절부(542)를 포함한다. 제 1 회전부재(540)는 원형 플레이트로 제공되어, 중심의 제 1 축결합홀(543)을 통해 내통(52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역회전방지리브(541)는 제 1 걸림부(526)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제공된다. 일 예로 역회전방지리브(541)는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4개가 제공될 수 있다. 역회전방지리브(541)는 그 길이방향이 제 2 방향(2)으로 제공된다. 역회전방지리브(541)는 탄성을 가지고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역회전방지리브(541)의 단부는 그 상면이 제 2 방향(2)을 따라 상향경사지게 두꺼워 진다. 예건데, 역회전방지리브(541)의 단부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직삼각형 모양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역회전방지리브(541)의 경사는 제 1 걸림부(526)의 경사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배출량조절부(542)는 제 1 축결합홀(543)의 둘레에 역회전방지리브(541)와 동일한 수가 제공된다. 배출량조절부(542)는 하방으로 연장된 상하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제공된다.
외통(53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제공된다. 외통(530)의 내주면에는 결합리브(531)가 상하방향으로 제공된다. 내통(520)은 결합홈(130)이 결합리브(531)에 정렬되도록 외통(53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외통(530)의 하단은 안쪽으로 단차져서 중앙에 원형의 제 1 하면(532)과 가장자리에 고리 모양의 제 2 하면(533)이 형성되고, 그 사이에 제 2 측벽(534)이 형성된다. 제 1 하면(532)에는 외통(530)의 축결합홀(535) 및 제 2 배출구(536)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하면(533)에는 그 외면에서 아래로 돌출되는 제 2 걸림부(537)가 형성된다. 제 2 걸림부(537)는 원주방향을 따라 배출량조절부(542)와 동일한 수가 제공된다. 제 2 걸림부(537)는 측면에서 볼 때 삼각형 모양으로, 양쪽의 경사가 다르게 형성된다. 일 예로 직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경사가 작은 쪽은 제 1 방향(1)을 따라 상향경사지게 제공된다.
제 2 회전부재(550)는 회전조절부재(551) 및 파지부재(555)를 포함한다. 제 2 회전부재(550)는 외통(530)의 하부에 위치되고, 제 1 회전부재(540)와 회전축(580) 으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된다.
회전조절부재(551)는 원형 고리 형상으로 제공되어, 외통(530)의 하단에 형성되는 단차에 위치된다. 회전조절부재(551)에는 제 2 걸림부(537)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조절리브(552)가 형성된다. 회전조절리브(552)는 그 길이방향이 제 1 방향(1)으로 배출량조절부(542)와 동일한 수가 제공된다. 회전조절리브(552)는 탄성을 가지고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회전조절리브(552)의 단부는 그 상면이 양쪽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측면에서 바라볼 때 삼각형 모양이다. 이 때, 제 1 방향(1)을 따라 상향되는 경사는 제 2 방향(2)을 따라 하향되는 경사보다 경사가 작게 형성된다.
파지부재(555)는 상부가 개방된 짧은 원통형상으로 제공된다. 회전조절부재(551)는 파지부재(555)의 안쪽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파지부재(555)의 하면 중앙에는 회전축고정부(556)가 제공되고, 그 둘레에는 하부배출구(557)가 형성된다. 하부배출구(557)는 배출량조절부(542)와 동일한 수로 제공된다. 제 1 회전부재(540)와 제 2 회전부재(550)가 회전축(580)으로 결합되면, 배출량조절부(542)와 하부배출구(557)는 서로 정렬된다.
파지부재(555)의 외주면에는 파지홈(558)이 형성된다. 파지홈(558)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부재(555)를 잡고 회전시킬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내통(520)의 내부공간에는 교반부재(560)가 제공된다. 교반부재(560)는 축삽입부(561) 및 교반부(561)를 포함한다. 제 1 회전부재(540) 및 제 2 회전부재(550)와 결합된 회전축(580)의 상단은 축삽입부(561)에 삽입된다. 따라서, 교반부재(560)는 제 1 회전부재(540) 및 제 2 회전부재(550)와 함께 회전된다. 교반부(561)는 축삽입부(561)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내통(520) 및 외통(530)의 상부는 덮개부재(570)에 의해 차폐된다. 덮개부재(570)는 상부뚜껑(571) 및 하부뚜껑(572)으로 제공되어, 내부공간을 이중으로 차폐한다. 그리고, 하부뚜껑(572)에는 실링부재(573)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제 1 걸림부(526)는 외통(530)에 형성되고, 역회전방지리브(541)는 제 2 회전부재(550)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걸림부(537)는 내통(520)에 형성되고, 회전조절리브(552)는 제 1 회전부재(540)에 형성된다. 즉, 외통(530)의 하면에서 아래로 돌출된 부분은 제 1 방향(1)으로 하향 경사진다. 그리고, 내통(520)의 외주면 하단에 상하로 제공되는 리브는 그 하단의 측면 형상이 삼각형 모양으로, 양쪽의 경사가 다르게 형성된다. 이 때, 경사가 작은 쪽은 제 1 방향(1)을 따라 상향경사지게 제공된다.
이하, 분유가 배출량조절부로 유입 및 배출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제 1 회전부재(540) 및 제 2 회전부재(550)가 한번 회전되면, 하나의 배출량조절부(예를 들어 542a)는 차폐부(524)의 하부 및 제 2 배출구(536)의 상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하나의 배출량조절부(542a)에 수용된 분유는 제 2 배출구(536) 및 하부배출구(557)를 통해서 배출된다. 나머지 배출량조절부(예를 들어 542b, 542c, 542d)는 제 1 배출구(522)의 하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제 1 배출구(522)를 통해서 각각의 배출량조절부(542b, 542c, 542d)에는 분유가 유입된다.
제 1 회전부재(540) 및 제 2 회전부재(550)가 다시 회전 되면, 다른 하나의 배출량조절부(542b)가 제 2 배출구(536)의 상부에 위치되어, 그 내부에 수용된 분유가 배출된다. 그리고, 나머지 배출량조절부(예를 들어 542a, 542c, 542d)로는 분유가 유입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제 1 회전부재(540) 및 제 2 회전부재(550)는 제 2 방향(2)으로의 회전이 방지된다. 또한, 제 1 회전부재(540) 및 제 2 회전부재(550)가 제 1 방향(1)으로 회전되는 각도는 항상 일정하게 조절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배출량조절부(542)의 수용량을 단위로 분유를 우유병(B)에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분유는 교반부재(562)로 저어지면서, 수회에 걸쳐 배출량 조절부(524)로 유입된다. 따라서, 분유는 뭉쳐지지 않은 상태로 항상 일정량이 배출량조절부재(542)를 거쳐 배출된다.
도 7은 내통과 제 1 회전부재가 맞물린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8은 외통과 회전조절부재가 맞물린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9는 회전이 시작되는 제 1 회전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회전이 끝나는 제 1 회전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회전이 시작되는 회전조절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회전이 끝나는 회전조절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제 1 회전부재(540) 및 제 2 회전부재(550)가 회전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파지부재(555)를 잡고 회전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제 1 회전부재(540) 및 제 2 회전부재(550)가 함께 회전 된다. 회전이 시작되면, 회전조절리브(552)는 제 2 걸림부(537)에 의해서 아래로 휘어진다. 이때, 제 2 방향(2)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사용자는 회전이 시작됨을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역회전방지리브(541)는 제 1 걸림부(526)에서 멀어진다.
회전이 진행되면, 회전조절리브(552)는 원위치가 되면서 제 2 방향(2)으로 작용하는 힘이 감소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부드럽게 제 1 회전부재(540) 및 제 2 회전부재(5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좀 더 회전이 진행되면, 제 1 걸림부(526)에 의해 역회전방지리브(541)가 아래로 휘어진다. 이때, 제 2 방향(2)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사용자는 회전이 끝나감을 인지할 수 있다. 회전이 완료되면, 역회전방지리브(541)는 빠른 속도로 원위치된다. 이때, 발생하는 작은 진동 또는 소리를 통해 사용자는 회전이 완료 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파지부재(555)를 잡고 제 2 방향(2)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이때, 역회전방지리브(541)는 제 1 걸림부(526)의 측면과 접한다. 따라서, 제 1 방향(1)으로 큰 힘이 작용하여, 사용자는 잘못된 방향으로 회전 중임을 인지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하우징 110: 받침부
160: 제어부 200: 물통
300: 가열부재 400: 냉각부재
500: 분유통 520: 내통
530: 외통 540: 제 1 회전부재

Claims (15)

  1. 내부공간에 분유를 수용하는 분유통; 및
    물통을 내장하고, 상기 분유통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제공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분유통은,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그 하면에 제 1 배출구와 차폐부가 형성되는 내통;
    상기 내통을 감싸도록 제공되고, 그 하면에 제 2 배출구가 형성되는 외통;
    상기 내통의 하부 및 상기 외통 사이에서 제 1 방향으로 회전되고, 배출량조절부가 제공되는 제 1 회전부재; 및
    상기 외통의 하부에 위치되되, 하부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회전부재와 회전축으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는 제 2 회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내통의 외주면 하단에는, 양측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그 하단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는 제 1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회전부재에는 그 길이방향이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을 따라 제공되고, 그 단부의 상면이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상향경사지고, 탄성을 가지고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상기 제 1 걸림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역회전 방지리브가 제공되는 분유 디스펜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량조절부는,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하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제공되는 분유 디스펜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은,
    상기 제 2 배출구가 상기 차폐부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내통을 감싸는 분유 디스펜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 및 상기 외통의 상부를 차폐하는 덮개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내통의 외주면에는 측벽의 일부가 상기 내부공간 쪽으로 들어가 형성된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통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홈에 정렬되어 상기 내통을 고정하는 결합리브가 제공되는 분유 디스펜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하면에는, 측면의 형상이 삼각형으로 하향돌출되는 제 2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회전부재에는, 그 길이방향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제공되고, 그 단부의 상면은 측면 형상이 삼각형으로 돌출되는 회전조절리브가 제공되는 분유 디스펜서.
  6. 내부공간에 분유를 수용하는 분유통; 및
    물통을 내장하고, 상기 분유통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제공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분유통은,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그 하면에 제 1 배출구와 차폐부가 형성되는 내통;
    상기 내통을 감싸도록 제공되고, 그 하면에 제 2 배출구가 형성되는 외통;
    상기 내통의 하부 및 상기 외통 사이에서 제 1 방향으로 회전되고, 배출량조절부가 제공되는 제 1 회전부재; 및
    상기 외통의 하부에 위치되되, 하부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회전부재와 회전축으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는 제 2 회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외통의 하면에는, 아래로 돌출되고 그 단부가 제 1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는 제 1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회전부재에는, 그 길이방향이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을 따라 제공되고, 그 단부의 상면이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는 역회전방지리브가 제공되는 분유 디스펜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의 외주면 하단에는, 상하방향으로 제공되는 리브 형상으로 그 하단의 측면 형상이 삼각형인 제 2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회전부재에는, 그 길이방향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제공되고, 그 단부의 상면은 측면 형상이 삼각형으로 돌출되는 회전조절리브가 제공되는 분유 디스펜서.
  8. 제 5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방지리브와 상기 회전조절리브는 그 수가 동일하게 복수로 제공되는 분유 디스펜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량조절부는,
    상기 역회전방지리브 및 상기 회전조절리브와 동일한 수로 제공되는 분유 디스펜서.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유 디스펜서는,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회전부재 및 제 2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교반부재를 더 포함하는 분유 디스펜서.
  11.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유 디스펜서는,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물통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재를 더 포함하는 분유 디스펜서.
  12. 분유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그 하면에 제 1 배출구와 차폐부가 형성되는 내통;
    상기 내통을 감싸도록 제공되고, 그 하면에 제 2 배출구가 형성되는 외통;
    상기 내통의 하부 및 상기 외통 사이에서 제 1 방향으로 회전되고, 배출량조절부가 제공되는 제 1 회전부재; 및
    상기 외통의 하부에 위치되되, 하부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회전부재와 회전축으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는 제 2 회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내통의 외주면 하단에는, 양측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그 하단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는 제 1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회전부재에는 그 길이방향이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을 따라 제공되고, 그 단부의 상면이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상향경사지고, 탄성을 가지고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상기 제 1 걸림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역회전 방지리브가 제공되는 분유통.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량조절부는,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하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외통은,
    상기 제 2 배출구가 상기 차폐부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내통을 감싸는 분유통.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하면에는, 측면의 형상이 삼각형으로 하향돌출되는 제 2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회전부재에는, 그 길이방향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제공되고, 그 단부의 상면은 측면 형상이 삼각형으로 돌출되는 회전조절리브가 제공되는 분유통.
  15. 분유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그 하면에 제 1 배출구와 차폐부가 형성되는 내통;
    상기 내통을 감싸도록 제공되고, 그 하면에 제 2 배출구가 형성되는 외통;
    상기 내통의 하부 및 상기 외통 사이에서 제 1 방향으로 회전되고, 배출량조절부가 제공되는 제 1 회전부재; 및
    상기 외통의 하부에 위치되되, 하부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회전부재와 회전축으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는 제 2 회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외통의 하면에는, 아래로 돌출되고 그 단부가 제 1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는 제 1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회전부재에는, 그 길이방향이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을 따라 제공되고, 그 단부의 상면이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는 역회전방지리브가 제공되고,
    상기 내통의 외주면 하단에는, 상하방향으로 제공되는 리브 형상으로 그 하단의 측면 형상이 삼각형인 제 2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회전부재에는, 그 길이방향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제공되고, 그 단부의 상면은 측면 형상이 삼각형으로 돌출되는 회전조절리브가 제공되는 분유통.
KR1020120130989A 2012-11-19 2012-11-19 분유 디스펜서 및 분유통 KR101327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989A KR101327550B1 (ko) 2012-11-19 2012-11-19 분유 디스펜서 및 분유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989A KR101327550B1 (ko) 2012-11-19 2012-11-19 분유 디스펜서 및 분유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7550B1 true KR101327550B1 (ko) 2013-11-21

Family

ID=49857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0989A KR101327550B1 (ko) 2012-11-19 2012-11-19 분유 디스펜서 및 분유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75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835B1 (ko) 2017-09-08 2018-01-30 우충일 시리얼 정량 배출 장치
WO2022255856A1 (en) * 2021-06-03 2022-12-08 Wong Kui Vun A powder dispens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7260A (ja) * 1993-11-11 1995-07-25 N Tec:Kk 粉粒体の定量排出器
KR20030070801A (ko) * 2002-02-26 2003-09-02 정희채 정량 배출 용기
KR100407551B1 (ko) 2001-03-30 2003-12-01 황현덕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
KR100900983B1 (ko) 2006-12-28 2009-06-04 신향숙 분유분말의 정량배출이 가능한 분유 디스펜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7260A (ja) * 1993-11-11 1995-07-25 N Tec:Kk 粉粒体の定量排出器
KR100407551B1 (ko) 2001-03-30 2003-12-01 황현덕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
KR20030070801A (ko) * 2002-02-26 2003-09-02 정희채 정량 배출 용기
KR100900983B1 (ko) 2006-12-28 2009-06-04 신향숙 분유분말의 정량배출이 가능한 분유 디스펜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835B1 (ko) 2017-09-08 2018-01-30 우충일 시리얼 정량 배출 장치
WO2022255856A1 (en) * 2021-06-03 2022-12-08 Wong Kui Vun A powder dispens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69594C2 (ru) Вспениватель молока
US902208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ingredients for a baby bottle
US20200146509A1 (en) Magnetic mixing apparatus
US20160302609A1 (en) Beverage preparation apparatus
JP2011056254A (ja) インフューザー付きピッチャー
CN109996479A (zh) 食物处理器的热管理
KR101327550B1 (ko) 분유 디스펜서 및 분유통
KR20050046558A (ko) 커피 메이커
TW201242848A (en) Beverage pot
US10765256B2 (en) Food processing system presenting a guiding flow arrangement and process for use thereof
JP6507083B2 (ja) コーヒーメーカー
ITMI20100436A1 (it) Dispositivo associabile ad un erogatore di vapore per la produzione di una bevanda aromatica e macchina da caffe' che presenta un tale dispositivo
US20210085566A1 (en) Formula and powder mixing assembly
CN110063658B (zh) 用于至少部分封闭烹饪器皿开口的装置、烹饪器皿系统和电动厨房多用机
CN102309263A (zh) 磁力驱动牛奶发泡器
EP2721972A1 (en) Milk powder dispenser
WO2016000782A1 (en) Household appliance mixing arrangement
US20120211521A1 (en) Baby food preparation apparatus
KR101528048B1 (ko) 로터리 킬른
US20180153335A1 (en) Beverage preparation apparatus
KR20100069615A (ko) 커피드립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커피 포드
US20160235252A1 (en) Blender disk
JP2005524457A (ja) 粉ミルクからミルクを調合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6223446B2 (ja) 液体を泡立てるための装置
KR101067072B1 (ko) 분유 디스펜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