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7515B1 - 펨토초 레이저 절개 및 영상 시스템 - Google Patents

펨토초 레이저 절개 및 영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7515B1
KR101327515B1 KR1020120056299A KR20120056299A KR101327515B1 KR 101327515 B1 KR101327515 B1 KR 101327515B1 KR 1020120056299 A KR1020120056299 A KR 1020120056299A KR 20120056299 A KR20120056299 A KR 20120056299A KR 101327515 B1 KR101327515 B1 KR 101327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mtosecond laser
incision
laser beam
image
dichroic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현
왕태준
김범주
윤대근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56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5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the image sensor, e.g. camera, being in the distal end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61F2009/00861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adapted for treatment at a particular location
    • A61F2009/00872Corn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aser Surgery Devices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펨토초 레이저 절개 및 영상 시스템은 펨토초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펨토초 레이저 발생기, 상기 펨토초 레이저빔을 조절하여 상기 펨토초 레이저빔의 초점이 절개 대상물 위에 위치하도록 하는 절개 광학계, 상기 펨토초 레이저 발생기와 상기 절개 광학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펨토초 레이저빔의 에너지 강도를 조절하는 파워 조절기, 상기 파워 조절기에 의해 에너지 강도가 감쇠된 상기 펨토초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상기 절개 대상물의 3차원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펨토초 레이저 절개 및 영상 시스템은 동일한 펨토초 레이저 발생기를 사용하여 레이저 절개와 3차원 레이저 영상 촬영을 수행하므로 별도의 영상 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펨토초 레이저 절개 및 영상 시스템{FEMTO SECOND LASER INCISION AND IMAGE SYSTEM}
본 발명은 펨토초 레이저 절개 및 영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밀 수술에 사용되는 펨토초 레이저 절개 및 영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펨토초 레이저는 펨토초 단위의 펄스 폭을 가지는 펄스 레이저로서,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하여 정밀 수술을 진행하는 경우 펨토초 레이저는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절개하는데, 이를 이용하여 적절한 파워를 이용하면 열 등에 의한 주변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수 마이크론 단위의 정밀 절개를 할 수 있다.
최근 펨토초 레이저는 안과의 정밀 수술에 이용되고 있다. 각막 굴절율 교정 수술에서는 각막 절편 제작에 펨토초 레이저가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백내장 수술에서도 혼탁 수정체의 전낭 절개에 적용하는 정밀 수술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각막 절편 제작에서는 각막 절개면의 깊이의 선정이 중요하며, 절개면이 각막 표층에서 너무 깊으면 각막의 내피 세포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 경우 내피 세포는 재생이 안 되므로 심각한 휴유증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백내장 수술에서 혼탁 수정체의 전낭 절개에서는 수정체가 안구 내부에 위치하므로 절개 위치의 선정을 위해서는 3차원 영상을 통한 수정체의 위치 및 방향의 파악이 필수적이다.
이와 같이, 각막 절편 제작과 수정체 전낭 절개에는 절개하려는 3차원 위치 선정 및 확인을 위해 3차원 영상 기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펨토초 레이저 백내장 수술 장치는 공초점 현미경(confocal microscopy) 또는 광간섭촬영기(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등의 3차원 영상 장치를 추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부가적인 영상 장치는 펨토초 레이저 절개 시스템의 가격을 상승시키고, 촬영된 영상과 실제 절개할 위치간에 오차가 발생할 수도 있어 이에 대한 보정도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일한 펨토초 레이저 발생기를 사용하여 레이저 절개와 3차원 레이저 영상 촬영을 수행하므로 비용 절감 및 절개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는 펨토초 레이저 절개 및 영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펨토초 레이저 절개 및 영상 시스템은 펨토초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펨토초 레이저 발생기, 상기 펨토초 레이저빔을 조절하여 상기 펨토초 레이저빔의 초점이 절개 대상물 위에 위치하도록 하는 절개 광학계, 상기 펨토초 레이저 발생기와 상기 절개 광학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펨토초 레이저빔의 에너지 강도를 조절하는 파워 조절기, 상기 파워 조절기에 의해 에너지 강도가 감쇠된 상기 펨토초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상기 절개 대상물의 3차원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촬영부는 상기 펨토초 레이저빔을 통과시키는 동시에 상기 절개 대상부에서 발생한 영상 신호를 반사시키는 이색성 미러, 상기 이색성 미러에서 반사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신호는 이광자 형광 신호, 제2 고조파 발생 신호 및 제3 고조파 발생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색성 미러는 상기 절개 대상부에서 반사된 펨토초 레이저빔을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영상 촬영부는 상기 이색성 미러를 통해 반사된 상기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절개 대상물의 3차원 영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펨토초 레이저 절개 및 영상 시스템은 동일한 펨토초 레이저 발생기를 사용하여 레이저 절개와 3차원 레이저 영상 촬영을 수행하므로 별도의 영상 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절개와 3차원 영상 촬영이 연동되므로 영상 기반으로 레이저 절개부의 위치를 정확히 결정할 수 있어 안정적이고, 정밀한 레이저 절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펨토초 레이저 발생기를 사용하여 레이저 절개와 3차원 레이저 영상 촬영을 수행하므로 레이저 절개 전후의 3차원 영상의 촬영을 통해 절개 위치의 파악 및 선정, 절개 이후 결과 확인 등을 할 수 있어 휴유증을 최소화하고, 펨토초 레이저 기반 수술의 성공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펨토초 레이저 절개 및 영상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펨토초 레이저 절개 및 영상 시스템의 영상 촬영부의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펨토초 레이저 절개 및 영상 시스템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펨토초 레이저 절개 및 영상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펨토초 레이저 절개 및 영상 시스템은 펨토초 레이저빔(1)을 발생시키는 펨토초 레이저 발생기(10), 펨토초 레이저빔(1)을 조절하여 펨토초 레이저빔(1)의 초점이 절개 대상물(100) 위에 위치하도록 하는 절개 광학계(20), 펨토초 레이저 발생기(10)와 절개 광학계(20) 사이에 위치하는 파워 조절기(30), 파워 조절기(30)에 의해 에너지 강도가 감쇠된 펨토초 레이저빔(1)을 이용하여 절개 대상물(100)의 3차원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40)를 포함한다.
절개 광학계(20)는 펨토초 레이저 발생기(10)와 절개 대상물(100) 사이에 위치한다. 절개 광학계(20)는 펨토초 레이저빔(1)의 확산을 방지하고 평행하게 진행하도록 하는 시준기(collimator)(21), 펨토초 레이저빔(1)을 반사하여 절개 대상물(100)의 모든 부분을 스캐닝하는 고속 스캐너(22), 고속 스캐너(22)를 통과한 펨토초 레이저빔(1)의 초점을 조절하는 내부 광학계(23) 및 절개 대상물(100) 앞에 위치하며 펨토초 레이저빔(1)의 초점이 절개 대상물(100) 위에 위치하도록 하는 대물 렌즈(24)를 포함한다.
파워 조절기(30)는 펨토초 레이저빔(1)의 에너지 강도를 조절하며, 펨토초 레이저빔(1)을 레이저 절개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펨토초 레이저빔(1)의 에너지 강도를 높이고, 펨토초 레이저빔(1)을 절개 대상물(100)의 3차원 영상 촬영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펨토초 레이저빔(1)의 에너지 강도를 낮추게 된다.
파워 조절기(30)와 절개 광학계(20)의 시준기 사이에는 셔터(shutter)(50)가 위치한다. 셔터(50)는 펨토초 레이저빔(1)의 경로를 차단 또는 개방한다. 펨토초 레이저빔(1)의 경로를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해 펨토초 레이저빔(1)을 정렬해야한다. 그러나, 펨토초 레이저빔(1)을 온(on) 및 오프(off)시키는 경우에는 그 때마다 펨토초 레이저빔(1)의 경로가 차이나므로 매번 펨토초 레이저빔(1)을 정렬해야 하고, 펨토초 레이저빔(1)을 계속 온(on) 시키는 경우에는 절개 대상물(100)에 부담을 주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3차원 영상 촬영시나 레이저 절개시만 펨토초 레이저빔(1)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펨토초 레이저빔(1)을 일시적으로 차단 또는 개방하는 셔터(50)를 설치한다.
영상 촬영부(40)는 펨토초 레이저빔(1)을 통과시키는 동시에 절개 대상물(100)에서 발생한 영상 신호를 반사시키는 이색성 미러(dichroic mirror)(41), 이색성 미러(41)에서 반사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광센서(42) 및 절개 대상물(100)의 3차원 영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43)를 포함한다. 펨토초 레이저빔(1)의 스캐닝 시 절개 대상물(100)에서 발생한 영상 신호는 이광자 형광 신호(two photon fluorescence, TPF), 제2 고조파 발생 신호(second harmonic generation, SHG), 그리고 제3 고조파 발생 신호(third harmonic generation, THG)를 포함한다.
이광자 형광 신호(TPF)는 펨토초 레이저빔(1)에 의해 절개 대상물(100)인 안구 내부에서 발생하는 이광자 흡수(two photon absorption) 현상에 의해서 나오는 영상 신호이다. 이러한 이광자 형광 신호(TPF)를 이용하여 안구 내부의 구조를 촬영할 수 있다.
제2 고조파 발생 신호(SHG)는 펨토초 레이저빔(1)에 의해 절개 대상물(100)인 안구 내부의 각막 콜라겐층(cornea collagen layer)에서 발생하는 영상 신호이다. 각막 콜라겐층에서는 특정 파장의 광이 입사되는 경우 입사광의 반 파장을 가지는 영상 신호인 제2 고조파 발생 신호(SHG)가 발생한다.
또한, 제3 고조파 발생 신호(third harmonic generation, THG)는 펨토초 레이저빔(1)에 의해 절개 대상물(100)인 안구 내부에서 발생하는 영상 신호로서, 안구 내부에 특정 파장의 광이 입사되는 경우 입사광의 1/3 파장을 가지는 영상 신호인 제3 고조파 발생 신호(THG)가 발생한다.
이색성 미러(41)에서 반사된 영상 신호는 촬영 광학계(44)에 의해 초점 등이 조절되며, 미러(45)에서 다시 반사되어 영상 표시부(43)로 전달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펨토초 레이저 절개 및 영상 시스템의 영상 촬영부의 설명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색성 미러(41)는 기준 파장(λp) 이상의 광은 투과시키고 기준 파장(λp) 이하의 광은 반사시킨다. 즉, 이색성 미러(41)의 기준 파장(λp)이 500nm이고, 이색성 미러(41)로 입사되는 펨토초 레이저빔(1)의 파장(λ1)이 800nm인 경우 펨토초 레이저빔(1)은 이색성 미러(41)를 통과하게 된다. 그러나 절개 대상물(100)에서 발생한 영상 신호 예컨대, 이광자 형광 신호(TPF)의 파장(λ2)은 400nm정도이므로 이광자 형광 신호(TPF)는 이색성 미러(41)에서 반사되며 절개 대상물(100)에서 반사된 펨토초 레이저빔(1)은 다시 이색성 미러(41)를 통과하게 된다. 다른 영상 신호인 제2 고조파 발생 신호(SHG) 및 제3 고조파 발생 신호(third harmonic generation, THG)도 펨토초 레이저빔(1)의 파장보다 작으므로 이색성 미러(41)에서 반사된다.
따라서, 이색성 미러(41)에 의해 절개 대상물(100)에서 반사된 펨토초 레이저빔(1)은 광센서(42)로 전달되지 않고, 영상 신호만 선별되어 광센서(42)로 전달된다.
광센서(42)는 광전 증배관(photomultiplier tube, PMT)일 수 있으며, 절개 대상물(100)에 대한 레이저 절개를 하기 전에 펨토초 레이저빔(1)의 에너지 강도를 낮추어 절개 대상물(100) 예컨대 안구(Eyeball)의 복수개의 세포층의 3차원 영상을 먼저 촬영한다. 이를 통해 레이저 절개 시술자인 의사들은 안구 각막에서 어느 정도 깊이까지 레이저 절개가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백내장의 경우 혼탁 수정체의 전낭의 3차원 위치도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센서(42)는 레이저 절개 전에 절개 대상물(100) 내부의 3차원 영상 정보를 얻는 장치이다.
영상 표시부(43)는 씨씨디 장치(CCD)일 수 있으며, 절개 대상물(100)에 대한 레이저 절개 시 절개 대상물(100)의 3차원 영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의사들은 영상 표시부(43)를 통해 레이저 절개 과정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펨토초 레이저빔(1)의 에너지 강도를 조절하는 파워 조절기(30), 절개 대상물(100)의 3차원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40)를 설치함으로써, 레이저 절개 전 펨토초 레이저빔(1)의 에너지 강도를 낮춰 절개 대상물(100)의 3차원 영상을 촬영하고, 에너지 강도를 높여 레이저 절개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절개를 확인하기 위해 펨토초 레이저빔(1)의 에너지 강도를 낮추고 3차원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3차원 영상 촬영 시에는 펨토초 레이저빔(1)의 에너지 강도가 낮으므로 절개 대상물(100)인 안구에 해가 없다.
또한, 동일한 펨토초 레이저빔(1)을 이용하여 레이저 절개와 3차원 레이저 영상 촬영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펨토초 레이저 발생기 20: 절개 광학계
30: 파워 조절기 40: 영상 촬영부
41: 이색성 미러 42: 광센서
43: 영상 표시부

Claims (5)

  1. 펨토초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펨토초 레이저 발생기,
    상기 펨토초 레이저빔을 조절하여 상기 펨토초 레이저빔의 초점이 절개 대상물 위에 위치하도록 하는 절개 광학계,
    상기 펨토초 레이저 발생기와 상기 절개 광학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펨토초 레이저빔의 에너지 강도를 조절하는 파워 조절기,
    상기 파워 조절기에 의해 에너지 강도가 감쇠된 상기 펨토초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상기 절개 대상물의 3차원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촬영부는 상기 펨토초 레이저빔을 통과시키는 동시에 상기 절개 대상부에서 발생한 영상 신호를 반사시키는 이색성 미러,
    상기 이색성 미러에서 반사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광센서
    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신호는 이광자 형광 신호, 제2 고조파 발생 신호 및 제3 고조파 발생 신호를 포함하는 펨토초 레이저 절개 및 영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이색성 미러는 상기 절개 대상부에서 반사된 펨토초 레이저빔을 통과시키는 펨토초 레이저 절개 및 영상 시스템.
  5. 제1항에서,
    상기 영상 촬영부는 상기 이색성 미러를 통해 반사된 상기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절개 대상물의 3차원 영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펨토초 레이저 절개 및 영상 시스템.
KR1020120056299A 2012-05-25 2012-05-25 펨토초 레이저 절개 및 영상 시스템 KR101327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299A KR101327515B1 (ko) 2012-05-25 2012-05-25 펨토초 레이저 절개 및 영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299A KR101327515B1 (ko) 2012-05-25 2012-05-25 펨토초 레이저 절개 및 영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7515B1 true KR101327515B1 (ko) 2013-11-08

Family

ID=49857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299A KR101327515B1 (ko) 2012-05-25 2012-05-25 펨토초 레이저 절개 및 영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75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1101A (ja) * 2004-08-10 2006-02-23 Nidek Co Ltd 角膜手術装置
KR100724297B1 (ko) 2000-05-16 2007-06-04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광학 기록 매체, 그 재생 장치와 기록 및 재생 장치
KR20110005260A (ko) * 2008-04-11 2011-01-17 웨이브라이트 게엠베하 굴절교정 안과 수술용 시스템
KR101020149B1 (ko) 2008-05-08 2011-03-07 한국과학기술원 3차원 미세패턴 형성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297B1 (ko) 2000-05-16 2007-06-04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광학 기록 매체, 그 재생 장치와 기록 및 재생 장치
JP2006051101A (ja) * 2004-08-10 2006-02-23 Nidek Co Ltd 角膜手術装置
KR20110005260A (ko) * 2008-04-11 2011-01-17 웨이브라이트 게엠베하 굴절교정 안과 수술용 시스템
KR101020149B1 (ko) 2008-05-08 2011-03-07 한국과학기술원 3차원 미세패턴 형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4747B2 (en) Adjusting laser energy in accordance with optical density
US10130511B2 (en) Adaptive laser system for ophthalmic surgery
JP2015205209A (ja) 走査装置
KR101963749B1 (ko) 눈-수술용 레이저 장치 및 눈의 각막 조직을 스캔하는 방법
JP5355305B2 (ja) 眼科撮影装置
JP2016510628A (ja) 携帯型網膜画像化装置
US9625693B2 (en) Observation apparatus
CA3195834A1 (en) Opthalmological imaging and laser delivery device, system and methods
KR101268413B1 (ko) 광단층 모니터링 현미경
KR101327515B1 (ko) 펨토초 레이저 절개 및 영상 시스템
JP5209552B2 (ja) 眼科撮影装置
JP2017144232A (ja) 眼科装置、眼科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6133623A (zh) 眼睛中介质混浊的可视化和治疗
JP2017119029A (ja) 眼科用レーザ治療装置
US20230157882A1 (en) Scanning laser ophthalmoscope laser guidance for laser vitreolysis
JP6538759B2 (ja) 光学濃度に従ったレーザーエネルギーの調整
JP2017196302A (ja) 眼科撮影装置
JP2016193070A (ja) 眼科用レーザ治療装置
JP2013233466A (ja) 眼科撮影装置
KR20160022110A (ko) 근적외선 광원을 이용한 안과 수술용 근적외선 입체 영상 시스템
WO2024074469A1 (en) System for a full-field oct eye measurement
AU2012388037B2 (en) Corneal tissue detection and monitoring device
JP2019013400A (ja) 眼科用レーザ治療装置
JP2009022499A (ja) 走査型レーザ検眼鏡
JP2016097253A (ja) 眼科装置及び眼科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