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7502B1 - 도어스토퍼 - Google Patents

도어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7502B1
KR101327502B1 KR1020130090275A KR20130090275A KR101327502B1 KR 101327502 B1 KR101327502 B1 KR 101327502B1 KR 1020130090275 A KR1020130090275 A KR 1020130090275A KR 20130090275 A KR20130090275 A KR 20130090275A KR 101327502 B1 KR101327502 B1 KR 101327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member
contact portion
connecting member
bracket
doo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하
Original Assignee
박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하 filed Critical 박선하
Priority to KR1020130090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5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502B1/ko
Priority to PCT/KR2013/010956 priority patent/WO201501643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힌지결합부를 갖는 브라켓; 일단부가 상기 힌지결합부와 힌지결합하는 제 1연결부재와 상기 제 1연결부재의 단부로부터 제 1연결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연결부재를 갖는 연결부;상기 제 2연결부재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 2연결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접촉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결되고 단부에는 바닥면과의 마찰력 발생을 위한 패킹부재를 구비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연결부재와 접촉부는 상기 제 2연결부재를 매개로 이격되고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스토퍼{Door stopper}
본 발명은 도어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을 이용하여 간단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도어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사무실의 현관문 등에 사용되는 도어는, 힘을 가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닫히도록 되어 있으므로, 필요한 경우 도어를 열린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도어에 도어스토퍼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도어스토퍼는 통상적으로 도어의 하부에 고정되는 브래킷과, 일단은 브래킷과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바닥접촉을 위한 탄성발이 구비되는 레버를 포함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도어 스토퍼의 경우, 도어를 개방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레버를 하향회동시키는 것은 상대적으로 용이하여 발로도 조작이 가능하지만, 도어를 폐쇄하기 위하여 레버를 상향 회동시키는 것은 레버와 도어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발을 끼우기가 용이하지 않아 발로 조작하기 어려워 사용자가 허리를 굽혀 손으로 레버를 파지하여 상부방향으로 회동시켜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한국등록실용실안 20-0375807호 '도어스토퍼'에서는 렉기어와 퍼니언을 구비한 도어스토퍼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도어스토퍼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스토퍼의 상향절첩이 이루어짐으로써 스토핑 해체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지만 발을 이용한 조작시 발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작아 발걸림 동작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발을 이용한 도어 스토퍼의 작동시 발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부를 크게 함으로써 조작의 편의성을 높이고자 하는데 있다. 또한 볼부재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함으로 자유도를 높이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힌지결합부를 갖는 브라켓; 일단부가 상기 브라켓과 힌지결합하는 제 1연결부재와 상기 제 1연결부재의 단부로부터 제 1연결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연결부재를 갖는 연결부; 상기 제 2연결부재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 2연결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접촉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결되고 단부에는 바닥면과의 마찰력 발생을 위한 패킹부재를 구비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연결부재와 접촉부는 상기 제 2연결부재를 매개로 이격되고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스토퍼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연결부재의 단부 및 상기 접촉부의 단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홈부와 돌출부가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부에 삽입결합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연결부재 및 접촉부를 동시에 감싸는 커버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힌지결합부는 핀부재를 매개로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는 회전시 상기 힌지결합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자석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힌지결합부의 일면에는 자석부재에 부착할 수 있는 자성체가 구비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은 도어에 고정되는 브라켓; 일단부가 상기 브라켓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제 1연결부재와 상기 제 1연결부재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 1연결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제 2연결부재를 갖는 연결부; 및 상기 제 2연결부재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 2연결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접촉부; 및 일단은 상기 접촉부의 단부로부터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바닥면과의 마찰력 발생을 위한 패킹부재를 구비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연결부재와 접촉부는 상기 제 2연결부재를 매개로 이격되고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스토퍼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촉부의 단부와 상기 지지부의 단부는 볼부재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에는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외측을 감싸는 커버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연결부재와 접촉부는 제 2연결부재를 매개로 이격되고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결합구조에 따라 도어 개폐시 발걸림 동작을 할 수 있는 공간부가 커지므로 발을 이용한 도어 스토퍼의 조작이 편리하다. 또한 접촉부 또는 지지부가 볼부재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연결부와 접촉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제 1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브라켓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제 2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실시예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어스토퍼(100)이다.
상기 도어스토퍼(100)는 브라켓(110), 연결부(120), 접촉부(130) 및 지지부(14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110)은 도어의 하부에 본 발명의 도어스토퍼(100)를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브라켓은 일종의 결합용 플레이트로써 체결부재(114), 힌지결합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재(114)는 판형상으로써 도어의 하부에 고정되기 위하여 다수개의 체결홈을 갖는다. 이러한 체결홈에는 나사와 같은 연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체결부재(114)를 삼각형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원형 또는 사각형, 다각형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재(114)의 전면에는 후술할 제 1연결부재(122)를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결합편을 갖는 힌지결합부(112)가 돌출형성된다. 즉, 한 쌍의 결합편 사이에는 제 1연결부재(122)가 삽입되어 핀부재(113)를 매개로 결합된다. 따라서, 제 1연결부재(122)는 핀부재(113)를 축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도 4내지 도 6은 상기 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브라켓은 체결부재(114), 핀이 결합된 힌지결합부(112), 자석부재(116)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재(114)는 판 형상으로써 도어의 하부에 고정되기 위하여 다수개의 체결홈을 갖는다. 이러한 체결홈에는 나사와 같은 연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는 후술할 자석부재(116)를 삽입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홈을 구비한다. 도 1에서는 체결부재(114)를 삼각형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원형 또는 사각형, 다각형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재(114)의 전면에는일면이 개방된 'ㄷ'자형태의 플랜지로써 후술할 제 1연결부재(122)를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결합편을 갖는 힌지결합부(112)가 핀부재(미도시)를 매개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힌지결합부(112)는 체결부재(114)와 면접하는 면에 핀부재(미도시)를 구비한다. 이러한 핀부재는 체결부재의 홈(113)에 결합되고, 핀부재(미도시)를 축으로 힌지결합부가 회전가능하다. 또한 힌지결합부는 후술한 자석부재(116)와 대응하여 자석부재(116)에 부착될 수 있는 자성체(118)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자성체(118)는 철과 같은 강자성을 띠는 재질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자석부재(116)는 체결부재(114)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힌지결합부의 위치를 고정한다. 즉, 힌지결합부(112)의 자성체에 대응하는 면에 자석부재(116)가 구비되고, 상기 자성체가 자석부재(116)에 부착되므로 회전하는 힌지결합부(112)의 위치가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자석부재(116)는 2개 이상 구비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 2연결부재(124)에 발걸림 동작을 하여 힌지결합부(112)를 회전시켜 문을 개폐할 수 있으며, 자석부재(116)와 자성체(118)의 부착을 통하여 힌지결합부의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연결부(120)는 일정 길이를 갖는 바의 형태로써 상기 브라켓(110)과 접촉부(130)를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연결부(120)는 제 1연결부재(122)와 제 2연결부재(124)로 구비된다. 상기 제 1연결부재(122)는 한 쌍의 결합편 사이에 연결되어 브라켓과 힌지결합한다. 이러한 제 1연결부재(122)와 브라켓(110)의 결합에 따라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어스토퍼(100)는 브라켓(110)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상기 제 2연결부재(124)는 제 1연결부재(122)의 단부로부터 제 1연결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1연결부재(122)와 제 2연결부재(124)는 대략 'ㄴ'자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제 2연결부재(122)의 단부에는 접촉부(130)가 연장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130)는 연결부(120)와 지지부(140)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접촉부(130)는 본 발명의 도어스토퍼(100)가 작동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발(200)을 걸 수 있는 걸림바 기능을 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접촉부(130)는 제 2연결부재(124)의 단부로부터 제 2연결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결된다. 즉, 접촉부(130)는 제 2연결부재(124)를 매개로 제 1연결부재(122)와 이격되고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접촉부(130)는 도어스토퍼(100)의 작동시 제 1연결부재(122)와 일정간격 이격배치되므로 기존의 도어스토퍼에 비해 발걸림 동작할 수 있는 공간부가 크게 형성된다. 그러므로 발(200)을 이용한 도어스토퍼의 작동이 편리하다.
상기 지지부(140)는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발생시켜 도어스토퍼(100)를 바닥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지지부(140)는 접촉부(130)의 단부로부터 접촉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140)는 바닥과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하여 단부에 패킹부재(142)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패킹부재(142)는 고무와 같은 탄성소재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어스토퍼(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20), 접촉부(130), 지지부(14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120)가 브라켓(110)을 중심으로 회동하면 연결부(120)와 일체로 형성된 접촉부(130) 및 지지부(140)도 동시에 회동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연결부재(124)와 접촉부(130)의 단부는 돌출부(132)를 매개로 결합할 수 있다. 즉, 제 2연결부재(124)의 단부에는 홈부(128)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접촉부(130)의 단부에는 돌출부(13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는 나사, 핀부재 등과 같은 다양한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연결부재(124)와 접촉부(130)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 2연결부재(124) 및 접촉부(130)를 동시에 감싸는 커버부재(15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150)는 고무재질이나 스펀지와 같은 외부 힘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부재로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발과 접촉시 제 2연결부재와 접촉부(130)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어스토퍼(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연결부재(122)와 접촉부(130)는 제 2연결부재(124)를 매개로 이격되어 서로 교차하게 배치되는 연결구조에 의하여 기존의 도어스토퍼(100)보다 발 걸림 동작을 할 수 있는 공간부가 크게 형성된다. 또한 연결부(120)와 접촉부(130) 및 지지부(140)가 하나의 부재로 연결되어 있어 발(200)을 이용한 도어스토퍼(100)의 조작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제 2실시예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도어스토퍼(100)이다.
상기 도어스토퍼(100)는 브라켓(110), 연결부(120), 접촉부(130) 및 지지부(140)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110)은 도어의 하부에 본 발명의 도어스토퍼(100)를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브라켓(110)은 판형상으로써 도어의 하부에 고정되기 위하여 다수개의 체결홈을 갖는다. 이러한 체결홈에는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체결부재(114)를 삼각형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원형 또는 사각형, 다각형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20)는 일정 길이를 갖는 바의 형태로써 상기 브라켓(110)과 접촉부(130)를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연결부(120)는 제 1연결부재(122)와 제 2연결부재(124)로 구비된다.
상기 제 1연결부재(122)는 브라켓(110)에 고정되어 브라켓(110)의 하부로 연장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어와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 2연결부재(124)는 제 1연결부재(122)의 단부로부터 제 1연결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1연결부재(122)와 제 2연결부재(124)는 대략 'ㄴ'자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제 2연결부재(122)의 단부에는 접촉부(130)가 연결된다.
상기 접촉부(130)는 제 2연결부재(124)의 단부로부터 제 2연결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예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연결부재(124)와 접촉부(130)는 볼부재(162)를 매개로 결합할 수 있다. 즉, 제 2연결부재(122)의 단부에는 일정크기의 홈을 구비하고, 홈에 볼부재(162)를 삽입한다. 이때 볼부재(162)의 양측에는 볼부재를 고정하기 위하여 밀착부재(164)를 구비한다. 이 후 볼부재(162)의 나사부분을 접촉부(130)의 단부에 연결한다. 이에 따라 접촉부(130)는 제 2연결부재(124)를 기준으로 360도 회동이 가능하므로 자유도가 높아지게 된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 2연결부재(122)와 접촉부(130)는 힌지 결합과 같은 다양한 결합을 통하여 제 2연결부재(122)를 중심으로 접촉부(130)가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130)는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접촉부(130)의 외측을 감싸는 커버부재(1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재(150)는 고무재질이나 스펀지와 같은 외부힘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부재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40)는 바닥과의 마찰력을 발생시켜 도어스토퍼(100)를 바닥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지지부(140)는 접촉부(130)의 단부로부터 접촉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결된다. 이때 지지부(140)는 바닥과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하여 단부에 패킹부재(142)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패킹부재(142)는 고무와 같은 탄성소재로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도어스토퍼(100)는 브라켓(110)과 제 1연결부재(122)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도어에 대한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 2연결부재(124)와 접촉부(130)가 볼부재(162)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제 2연결부재(124)를 중심으로 접촉부(130)의 회동이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다.
-제 3실시예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도어스토퍼(100)이다.
상기 도어스토퍼(100)는 브라켓(110), 연결부(120), 접촉부(130) 및 지지부(140)를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110)은 도어의 하부에 도어스토퍼(100)를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브라켓(110)은 판형상으로써 도어의 하부에 고정되기 위하여 다수개의 체결홈을 갖는다. 이러한 체결홈에는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체결부재(114)를 삼각형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원형 또는 사각형, 다각형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20)는 일정 길이를 갖는 바의 형태로써 상기 브라켓(110)과 접촉부(130)를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연결부(120)는 제 1연결부재(122)와 제 2연결부재(124)로 구비된다.
상기 제 1연결부재(122)는 브러켓에 고정되어 브라켓의 하부로 연장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어와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 2연결부재(124)는 제 1연결부재(122)의 단부로부터 제 1연결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1연결부재(122)와 제 2연결부재(124)는 대략 'ㄴ'자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제 2연결부재(122)의 단부에는 접촉부(130)가 연결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130)는 연결부(120)와 지지부(140)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접촉부(130)는 본 발명의 도어스토퍼(100)가 작동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발(200)을 걸 수 있는 걸림바 기능을 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접촉부(130)는 제 2연결부재(124)의 단부로부터 제 2연결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결된다. 즉, 접촉부(130)는 제 2연결부재(124)를 매개로 제 1연결부재(122)와 이격되고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접촉부(130)는 도어스토퍼(100)의 작동시 제 1연결부재(122)와 일정간격 일정배치되므로 기존의 도어스토퍼에 비해 발걸림 동작할 수 있는 공간부가 크게 형성된다. 그러므로 발(200)을 이용한 도어스토퍼의 작동이 편리하다.
상기 지지부(140)는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발생시켜 도어스토퍼(100)를 바닥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지지부(140)는 접촉부(130)의 단부로부터 접촉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예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130)와 지지부(140)의 일단은 볼부재(162)를 매개로 결합할 수 있다. 즉, 접촉부(130)의 단부에는 일정크기의 홈부가 구비되고, 홈부에 볼부재(162)를 삽입한다. 이때 볼부재(162)의 양측에는 볼부재를 고정하기 위하여 밀착부재(164)를 구비한다. 이 후 볼부재(162)의 나사부분을 지지부(140)의 단부에 연결한다. 이에 따라 지지부(140)는 볼부재(162)를 매개로 접촉부(130)에 연결됨으로써 지지부(140)의 회동이 자유롭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접촉부(130)와 지지부(140)는 힌지결합과 같은 다양한 결합을 통하여 접촉부(130)를 중심으로 지지부(140)가 회동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140)는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부(140)의 외측을 감싸는 커버부재(1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재(150)는 고무재질이나 스펀지와 같은 외부힘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부재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40)는 바닥과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하여 타단에 패킹부재(142)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패킹부재(142)는 고무와 같은 탄성소재로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도어스토퍼(100)는 브라켓(110)과 연결부(120)를 도어에 고정함으로써 도어와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접촉부(130)와 지지부(140)가 볼부재(162)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접촉부(130)를 중심으로 지지부(140)의 회동이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 도어스토퍼 110 : 브라켓
112 : 힌지결합부 114 : 체결부재
120 : 연결부 122 : 제 1연결부재
124 : 제 2연결부재 130 : 접촉부
140 : 지지부 142 : 패킹부재
150 : 커버부재 162 : 볼부재

Claims (12)

  1. 힌지결합부를 갖는 브라켓;
    일단부가 상기 힌지결합부와 힌지결합하는 제 1연결부재와 상기 제 1연결부재의 단부로부터 제 1연결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연결부재를 갖는 연결부;
    상기 제 2연결부재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 2연결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접촉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결되고 단부에는 바닥면과의 마찰력 발생을 위한 패킹부재를 구비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연결부재와 접촉부는 상기 제 2연결부재를 매개로 이격되고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스토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연결부재의 단부 및 상기 접촉부의 단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홈부와 돌출부가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부에 돌출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스토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연결부재 및 접촉부를 동시에 감싸는 커버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스토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부는 핀부재를 매개로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스토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는 상기 힌지결합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자석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스토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부의 일면에는 자석부재에 부착할 수 있는 자성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스토퍼.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도어에 고정되는 브라켓;
    일단부가 상기 브라켓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제 1연결부재와 상기 제 1연결부재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 1연결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제 2연결부재를 갖는 연결부; 및
    상기 제 2연결부재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 2연결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접촉부; 및
    일단은 상기 접촉부의 단부로부터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바닥면과의 마찰력 발생을 위한 패킹부재를 구비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연결부재와 접촉부는 상기 제 2연결부재를 매개로 이격되고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스토퍼.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단부와 상기 지지부의 단부는 볼부재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스토퍼.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외측을 감싸는 커버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스토퍼.
KR1020130090275A 2013-07-30 2013-07-30 도어스토퍼 KR101327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275A KR101327502B1 (ko) 2013-07-30 2013-07-30 도어스토퍼
PCT/KR2013/010956 WO2015016433A1 (ko) 2013-07-30 2013-11-29 도어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275A KR101327502B1 (ko) 2013-07-30 2013-07-30 도어스토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7502B1 true KR101327502B1 (ko) 2013-11-07

Family

ID=49857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275A KR101327502B1 (ko) 2013-07-30 2013-07-30 도어스토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27502B1 (ko)
WO (1) WO2015016433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5755A (ja) 1999-06-05 2000-12-12 Okuda Seisakusho:Kk ドアストッパー
KR200402214Y1 (ko) 2005-09-14 2005-11-30 박병규 출입문 고정 장치
JP2006112072A (ja) 2004-10-13 2006-04-27 Kazuaki Murashima ドアストッパー
KR200433961Y1 (ko) 2006-09-30 2006-12-14 이창욱 문 열림상태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9737U (ko) * 2010-04-07 2011-10-13 남재만 발로 조작 가능한 도어스토퍼
KR101195924B1 (ko) * 2011-01-31 2012-11-05 이규상 도어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5755A (ja) 1999-06-05 2000-12-12 Okuda Seisakusho:Kk ドアストッパー
JP2006112072A (ja) 2004-10-13 2006-04-27 Kazuaki Murashima ドアストッパー
KR200402214Y1 (ko) 2005-09-14 2005-11-30 박병규 출입문 고정 장치
KR200433961Y1 (ko) 2006-09-30 2006-12-14 이창욱 문 열림상태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16433A1 (ko) 2015-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45266A1 (en) Door lock device
AU2015202678B2 (en) Snap hinge with damped closing
JP5905396B2 (ja) ロック可能な引出ガイド
KR20100102017A (ko) 작동실용성을 갖는 슬라이딩식 사물함 잠금구조
ITMI20080314U1 (it) Dispositivo di ripristino di ammortizzatore di fine-corsa per binari di guida.
US20130026318A1 (en) Door opening/closing device with support member and support member for door opening/closing device
KR101327502B1 (ko) 도어스토퍼
US1944101A (en) Door buffer
KR200433909Y1 (ko) 도어 스토퍼
US9556660B2 (en) Damped hinge assemblies
KR101331936B1 (ko) 문 고정 장치
KR200429501Y1 (ko) 도어 스토퍼
TWI517810B (zh) 具有阻尼機構的自閉合滑軌總成
KR20140114122A (ko) 손 끼임 방지 여닫이 문
KR102046492B1 (ko) 탄성이 조절되는 가구용 손잡이
KR101390975B1 (ko) 미닫이식 도어용 안전 손잡이
KR101704586B1 (ko) 슬라이딩 도어 정위치장치
US8376155B1 (en) Hingedly adjustable two sided storage device
KR200454897Y1 (ko) 양방향 도어 스토퍼
KR101836111B1 (ko) 폴딩 도어
KR20130002667U (ko) 도어 스토퍼
KR101027647B1 (ko) 건축물에 설치되는 문의 스톱핑 구조
KR101885547B1 (ko) 폴딩 도어
KR100988247B1 (ko) 건축물에 설치되는 도어 하부 스톱핑 구조
KR20110114456A (ko) 리세스형 가전제품을 위한 개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