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7327B1 - Coupling valve and fire fighting system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upling valve and fire fighting system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7327B1
KR101327327B1 KR1020120130435A KR20120130435A KR101327327B1 KR 101327327 B1 KR101327327 B1 KR 101327327B1 KR 1020120130435 A KR1020120130435 A KR 1020120130435A KR 20120130435 A KR20120130435 A KR 20120130435A KR 101327327 B1 KR101327327 B1 KR 101327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using
coupling
fire
coupling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04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경수
Original Assignee
(주)파라다이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라다이스산업 filed Critical (주)파라다이스산업
Priority to KR1020120130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32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3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A fire pro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ipe in which firewater flows; a second pipe which the firewater flows out from; and a connection valve controlling a flow rate of firewater by being formed between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The connection valve includes a housing including a hollow connected to the pipes; an opening and closing unit rotatably connected as a shaft unit is inserted into a connection hol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and a moving unit rotating the shaft unit when slid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Description

결합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소방시스템{COUPLING VALVE AND FIRE FIGHTING SYSTEM HAVING THE SAME}COUPLING VALVE AND FIRE FIGHTING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소방 설비에 적용될 수 있는 결합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소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valve and a fire fighting system having the same that can be applied to the fire fighting equipment.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화재발생에 대비하기 위하여 소화설비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소화설비 중에서 가장 많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스프링클러 설비가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 설비는 지하공간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는 화염 및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측에 스프링클러(이하, 살수 장치라 함)를 설치하거나 출입구의 상단에 방화 셔터를 설치하여 연기 및 화염이 차단되도록 사용하고 있다. 지하공간은 지상건축물에 비하여 화재시 유해가스의 축적이 쉽고, 소방대의 진입로가 제약된다. 따라서, 화재시 인명복구 및 화재복구 작업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최근에는 접근이 불편하여 방재가 어려운 구조에 화재가 발생시 열을 감지하여 살수 장치가 자동으로 물이나 소화액을 살수하여, 화염, 연기 및 방사열을 차단하는 스프링클러 설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In general, a fire extinguishing system is installed in a building to prepare for a fire, and a sprinkler system is known as being installed and used the most among such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In general, sprinkler equipment is installed with sprinkl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prinkling device) inside or fireproof shutter at the top of the entrance to prevent the spread of flame and smoke in case of fire in the underground space. I'm using it to block. Underground space is easier to accumulate harmful gas in case of fire compared to above-ground buildings, and access to fire brigade is restricted. Therefore, in the case of a fire, it is sometimes difficult to recover lives and recover fires. Recently, a sprinkler facility that detects heat when a fire occurs in a structure that is difficult to access due to inconvenient access and sprinkler automatically sprays water or extinguishing fluid, blocks flame, smoke, and radiant heat.

이러한 스프링클러 설비는 배관의 내부에 소정 압력으로 소방수가 채워져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열부가 화재로 인해 개방되면, 배관의 소방수가 방출되면서 유수 검지장치가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고, 이와 아울러 가압 송수장치가 구동되어 소방수가 스프링클러 헤드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살수되도록 형성된다.This sprinkler facility is filled with fire water at a predetermined pressure inside the pipe. In this state, when the thermal portion of the sprinkler head is opened due to the fire, the fire water in the pipe is discharged and the water flow detector is activated to generate an alarm, and the pressurized water supply device is driven to form the water to be continuously sprayed through the sprinkler head. do.

이 때, 스프링클러 설비의 유수 검지장치는 화재로 인하여 스프링클러 헤드의 개방으로 인한 배관내의 유수가 자동 감지되면 경보 신호가 발생되는 장치로 주로 알람 체크밸브(Alarm Check Valve)가 사용되는데, 이와 같은 알람 체크밸브는 메인 관로를 따라 건물 각각의 층에 설치되며, 각각의 알람 체크밸브에는 유체를 제어하기 위한 결합 밸브가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ater flow detection device of the sprinkler facility is a device that generates an alarm signal when water flow in the pipe is automatically detected due to the opening of the sprinkler head due to a fire. An alarm check valve is mainly used. Valves are installed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along the main pipeline, and each alarm check valve may be coupled with a coupling valve for controlling the fluid.

이러한 결합 밸브는 개폐 유닛을 회전시켜 유량을 제어하는데, 개폐 유닛이 회전된 상태에서 이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가 고려될 수 있다.
Such a coupling valve rotates the opening / closing unit to control the flow rate, and a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the opening / closing unit in the rotated state may be considered.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기존과는 다른 방법으로 개폐 유닛을 개폐시키는 결합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소방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upling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in a different manner from the conventional method and a fire fighting system having the sam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소방시스템은, 소방수가 유입되는 제1관과 소방수가 유출되는 제2관 및 상기 제1관과 제2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소방수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결합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밸브는, 상기 관들에 연통되는 중공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주의 형성된 결합공에 축부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 유닛 및 상기 하우징의 외주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때, 상기 축부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되는 이동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e f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ipe through which the fire water flows, the second pipe through which the fire water flows out and between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And a coupling valve formed to adjust the flow rate of the fire water, wherein the coupling valve includes a housing having a hollow communicating with the pipes, and a shaft portion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formed around the housing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And a moving unit configured to rotate the shaft unit when the slide unit moves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그 외주를 따라 상기 이동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may be formed with a guide portion to move the moving portion along its outer periphery.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부는 일정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관 및 제2관을 관통하는 고정로드가 삽입되는 고정홀을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part may include a fixing hole into which a fixing rod penetrating the first tube and the second tube is inserted so that the position thereof can be fixed in a state of moving to a predetermined position.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관과 제2관의 플랜지부는 상기 고정홀에 대응하는 결합홀들을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nge portion of the first tube and the second tube may have coupling holes corresponding to the fixing hole.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관 플랜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제1 너트와 제2 너트가 배치되고, 상기 제2관 플랜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제3 너트와 제4 너트가 배치되며, 상기 제3 너트를 회전시키면 상기 결합 밸브가 상기 제1관 플랜지에 밀착되고, 상기 제2 너트를 회전시키면 상기 결합 밸브가 상기 제2관 플랜지에 밀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nut and a second nut ar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pipe flange, respectively, and a third nut and the fourth nut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pipe flange. The coupling valve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pipe flange when the third nut is rotated, and the coupling valve may be closely in contact with the second pipe flange when the second nut is rotated.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 밸브는, 상기 축부에 근접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주에 복수로 형성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valve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art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in proximity to the shaft portion.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축부와 상기 이동부의 결합은 상기 이동부가 이동하면 상기 개폐 유닛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서로 맞물리게 형성되는 돌기 및 홈을 구비하는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of the shaft portion and the moving part may be made of a coupling having protrusions and grooves formed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so as to rotate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when the moving part moves.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소방수가 유입되는 제1관과 소방수가 유출되는 제2관을 포함하는 소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관과 제2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소방수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결합 밸브는, 상기 관들에 연통되는 중공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주의 형성된 결합공에 축부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 유닛 및 상기 하우징의 외주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때, 상기 축부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결합 밸브를 개시한다.
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alize the above object, in the fire fighting system including a first pipe in which the fire water flows in and a second pipe in which the fire water flows out, it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The coupling valve is formed to adjust the flow rate of the fire water, the housing having a hollow in communication with the pipe,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using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housing inner periphery rotatably coupled Disclosed is a coupling valve comprising a moving portion that is formed to rotate the shaft when sliding along.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결합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소방시스템은 보다 안정적이며 확실하게 결합 밸브의 개폐 유닛을 개폐할 수 있다.Coupling valve and a fire fighting system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more easily and reliably open and close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of the coupling valve.

그리고, 결합 밸브의 개폐 유닛이 회전한 상태에서 이를 지지할 수 있다.
And it can support this in the state which the opening-closing unit of the coupling valve rotated.

도 1은 스프링클러 설비의 기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소방시스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일부분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결합 밸브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도 4의 측면도.
도 7a 내지 도 7b는 축부와 이동부의 결합관계의 일 예를 도시한 개념도로써, 이동부의 이동에 따른 개폐 유닛의 회전을 도시한 도면.
1 is a basic conceptual view of a sprinkler installa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e f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portion of FIG. 2;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view of Fig. 4; Fig.
Figure 6 is a side view of Figure 4;
7A to 7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haft and the moving unit, and illustrating rotation of the opening / closing uni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unit.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결합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소방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Hereinafter, a coupling valve and a fire fighting system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different embodiments in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도 1은 스프링클러 설비의 기본 개념도이다. 1 is a basic conceptual view of a sprinkler installation.

도 1을 참조하면, 개시된 스프링클러 설비는 유체가 살수되는 살수부(3) 및 유체가 공급되는 급수부(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클러 설비는 제어부(1)를 포함하여, 화재 발생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상기 살수부(3)로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체는 물, 소화수 등이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disclosed sprinkler installation may include a watering portion 3 through which the fluid is sprayed and a water supply portion 2 through which the fluid is supplied. In addition, the sprinkler facility may include a control unit 1 to automatically detect the occurrence of a fire and supply the fluid to the sprinkling unit 3. For example, the fluid may be water, digestive water, or the like.

상기 제어부(1)는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센서(11)와 상기 센서(11)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급수부(2)의 개폐가 제어되는 제어밸브(12)로 형성된다. 상기 제어부(1)는 화염의 온도와 연기의 농도에 의하여 상기 급수부(2)의 수압을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 is formed of a sensor 11 for detecting a fire occurrence and a control valve 12 in which opening and closing of the water supply unit 2 is controlled by a signal of the sensor 11. The control unit 1 may be formed to adjust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unit 2 by the temperature of the flame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smoke.

상기 급수부(2)는 유체를 살부부(3)에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급수부를 포함하는 경우, 하측으로 유출되도록 천공된 유출공이 형성되고 유출공의 입구에는 필터가 내재하여 막힘이 방지되는 저수조(21)와, 상기 저수조(21)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이 조절되어 개방되는 체크밸브(22)와, 상기 제어부(1)와 연동하여 유체를 공급하는 펌프(23)와, 상기 저수조(21)로부터 상기 살수부(3) 까지 유체가 공급되도록 연결된 급수관(24)을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portion 2 is formed to supply the fluid to the flesh portion (3). In the case of including the water supply portion, the outlet hole is formed to be perforated to flow out to the lower side, and the inlet of the outlet is a reservoir 21 in which a filter is inherently prevented from clogging, and the pressure of the fluid supplied from the reservoir 21 is controlled and opened. A check valve 22, a pump 23 for supplying a fluid in cooperation with the controller 1, and a water supply pipe 24 connected to supply fluid from the reservoir 21 to the sprinkling part 3. can do.

상기 살수부(3)는 상기 유체가 화염 및 연기를 차단하기 위하여 분사되도록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유체 분사 노즐(10) 및 상기 각 유체 분사 노즐(10)을 상기 급수관(24)과 연결되어 상기 유체가 상기 유체 분사 노즐(10)에 유입되도록 하는 배관(30)을 포함한다. 상기 유체 분사 노즐(10)은 상기 급수관(24)에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수압 및 설치장소에 따라 다르게 배열될 수 있다.The sprinkling part 3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24 b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fluid injection nozzles 10 and the respective fluid injection nozzles 10 which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fluid is injected to block the flame and smoke It includes a pipe 30 to allow the fluid to enter the fluid injection nozzle (10). The fluid injection nozzle 10 is shown as being regularly arranged in the water supply pipe 24, it may be arrang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water pressure and the installation place.

따라서, 화재가 발생하면, 상기 센서(11)가 이를 감지하여 펌프(23)가 가동되고 상기 저수조(21)로부터 상기 급수관(24)를 통하여 상기 살수부(3)로 유체가 이동하고 상기 유체 분무 노즐(10)에 의하여 유체가 살수되어 부채꼴 형상의 살수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a fire occurs, the sensor 11 detects this and the pump 23 is operated and the fluid moves from the reservoir 21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24 to the water spraying part 3 and sprays the fluid. Fluid may be sprayed by the nozzle 10 to form a fan-shaped spraying patter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소방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 부분의 개념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e f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part of FIG. 2.

본 발명에 따르는 소방시스템은 스프링클러 설비와 같은 소방 설비의 일부분을 구성하며, 소방시스템을 구성하는 결합 밸브(130)는 소방수를 급수하는 관의 결합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The fire figh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 part of a fire fighting equipment such as a sprinkler facility, and the coupling valve 130 constituting the fire fighting system may be applied to a coupling structure of a pipe for supplying fire water.

소방시스템은 도시한 바와 같이, 소방수가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제1관(110)과 소방수가 유출되거나 유입되는 제2관(120), 그리고 제1관(110)과 제2관(12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소방수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결합 밸브(13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the fire fighting system includes a first pipe 110 through which the fire water flows in or out, a second pipe 120 through which the fire water flows out, or between the first pipe 110 and the second pipe 120. It may include a coupling valve 130 is formed to adjust the flow rate of the fire water.

제1관(110)과 제2관(120)은 각각 원통형 바디와 그 바디의 외주에서 돌출되는 플랜지(111, 121)를 구비할 수 있다. 플랜지(111, 121)에는 복수의 홀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홀들에 로드(또는 후술하는 고정 로드)가 삽입되고, 플랜지(111, 121)의 상부와 하부에서 로드와 너트가 결합됨으로써, 제1관의 플랜지(111)와 결합 밸브(130) 또는 제2관의 플랜지(121)와 결합 밸브(13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tube 110 and the second tube 120 may each have a cylindrical body and flanges 111 and 121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flanges 111 and 121. A rod (or a fixed ro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se holes, and the rod and the nut ar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langes 111 and 121, so that the flange 111 and the coupling valve 130 or the second valve of the first pipe. The flange 121 of the pipe and the coupling valve 13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결합 밸브(130)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7a 내지 도 7b는 축부와 이동부의 결합관계의 일 예를 도시한 개념도로써, 이동부의 이동에 따른 개폐 유닛의 회전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valve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view of FIG. 4, and FIG. 6 is a side view of FIG. 4. 7A to 7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haft and the moving unit, and illustrate rotation of the opening / closing uni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unit.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결합 밸브(130)는 하우징(133)과 개폐 유닛(138)을 포함한다. 하우징(133)은 중공을 구비한 원통형 바디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33)의 중공은 제1관(110)과 제2관(120)에 연통된다. 이러한 중공을 개폐하도록 개폐 유닛(138)이 하우징(133)에 결합된다. 4 to 6, the coupling valve 130 includes a housing 133 and an opening / closing unit 138. The housing 133 may be formed as a cylindrical body having a hollow. The hollow of the housing 133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tube 110 and the second tube 120. Opening and closing unit 138 is coupled to the housing 133 to open and close this hollow.

개폐 유닛(138)은 중공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회전에 의해 제1관(110)에서 제2관(120)을 향하거나, 제2관(120)에서 제1관(110)을 향하는 소방수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개폐 유닛(138)은 원판의 양측에 축부(139)가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축부(139)의 일부는 하우징(133)의 내주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개폐 유닛(138)이 하우징(13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The opening / closing unit 138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ollow, and rotates toward the first tube 110 from the first tube 110, or from the second tube 120 toward the first tube 110. Control the flow of firefighters. In more detail,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138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shaft portions 139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disc. A portion of the shaft portion 139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133. As a result, the opening / closing unit 138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133.

이와 같이, 결합 밸브(130)는 개폐 유닛(138)의 회전에 따라 중공의 개구율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결합 밸브(130)를 지나는 소방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As such, the coupling valve 130 may adjust the opening ratio of the hollow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opening / closing unit 138, thereby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fire water passing through the coupling valve 130.

이동부(132)는 하우징(133)의 외주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 형성된다. 하우징(133)은 이동부(132)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부(134)를 구비할 수 있다. The moving part 132 is formed to slide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133. The housing 133 may include a guide part 134 form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rt 132.

이동부(132)는 그 일부가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져 하우징(133)의 내부에 삽입되어 가이드부(134)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하우징(133) 내에는 이동부(132)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132)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은 개폐 유닛(138)의 축부(139)까지 연장된다. 이로 인해, 이동부(132)와 축부(139)가 서로 접촉할 수 있다.A part of the moving part 132 is formed in an arc shape and inserted into the housing 133 to be slidably moved along the guide part 134. A space in which the moving unit 132 may move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133. The space in which the moving unit 132 can move extends to the shaft portion 139 of the opening / closing unit 138. For this reason, the moving part 132 and the shaft part 139 can contact each other.

결합 밸브(130)가 상기 제1관(110)과 제2관(120) 사이에서 고정되도록, 결합 밸브(130)의 외주에 고정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31)는 홀을 구비하는 고리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31)는 축부(139)에 근접하게 형성되며,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축부(139)에 하중이 집중되므로, 하우징(133)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서는 축부(139)에 근접하여 고정부(13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fixing part 131 may be formed at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upling valve 130 so that the coupling valve 130 is fixed between the first pipe 110 and the second pipe 120. The fixing part 131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hole. The fixing part 131 is formed close to the shaft part 139 and may be formed in plural. Since the load is concentrated on the shaft portion 139, in order to firmly fix the housing 133,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portion 131 is formed close to the shaft portion 139.

제1관(110)과 제2관(120)의 플랜지에 형성되는 홀과 상기 고정부(131)를 관통하도록 로드가 삽입될 수 있다. 로드가 삽입되면, 복수의 너트를 이용하여 상하방향으로 너트를 조임으로써, 결합 밸브(130)가 상기 제1관(110)과 제2관(120)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것은 후술하기로 한다.A rod may be inserted to penetrate the hole formed in the flange of the first pipe 110 and the second pipe 120 and the fixing part 131. When the rod is inserted, the coupling valve 130 may be fixed between the first pipe 110 and the second pipe 120 by tightening the nut in a vertical direction using a plurality of nuts. Coupling using a nut will be described later.

도 7a와 도 7b를 참조하면, 이동부(132)와 축부(139) 중 어느 하나가 돌기를 구비하면 다른 하나는 돌기(139a)와 맞물리게 형성되는 홈(132a)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부(132)가 홈을 구비하면 축부(139)는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동부(132)가 이동하면 이와 맞물려 결합된 축부(139)가 회전하게 된다. 즉, 이동부(132)가 하우징(133)에 삽입되어 이동하게 되면, 이와 맞물리 축부(139)가 회전하면서, 개폐 유닛(138)이 결합 밸브(130)를 지나는 소방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S. 7A and 7B, when one of the moving part 132 and the shaft part 139 includes a protrusion, the other may include a groove 132a formed to engage the protrusion 139a. For example, when the moving part 132 has a groove, the shaft part 139 may have a protrusion. For this reason, when the moving part 132 moves, the shaft part 139 which is engaged with and coupled to it rotates. That is, when the moving unit 132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33 and moved, the shaft unit 139 is rotated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138 may adjust the flow rate of the fire water passing through the coupling valve 130. do.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이동부(132) 중 하우징(133)에 삽입되지 않은 일부는 고리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고정홀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홀에 대응하는 플랜지에 결합홀(112, 122)이 형성된다. 결합홀은 일정길이로 형성된다. 결합홀과 고정홀을 관통하도록 고정로드(140)가 삽입되고, 고정로드(140)에 너트(150)가 결합됨으로써, 이동부(132)가 고정될 수 있다.2 to 4, a portion of the moving part 132 that is not inserted into the housing 133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may have a fixing hole. Coupling holes 112 and 122 are formed in the flang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hole. The coupling hole is formed to a certain length. The fixing rod 140 is inserted to penetrate the coupling hole and the fixing hole, and the nut 150 is coupled to the fixing rod 140 so that the moving part 132 may be fixed.

고정부와 함께 이동부가 추가됨으로써, 결합 밸브를 제1관 및 제2관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By adding the moving part together with the fixing part, the coupling valve can be more firmly fixed to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4개의 너트를 이용하여, 이동부(132)와 플랜지(111, 121)를 서로 결합시키거나, 플랜지(111, 121)와 결합 밸브(13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제1관(110) 플랜지(11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제1 너트(151)와 제2 너트(152)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2관(120) 플랜지(12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제3 너트(153)와 제4 너트(154)가 배치될 수 있다. Using four nuts, the moving parts 132 and the flanges 111 and 121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or the flanges 111 and 121 and the coupling valve 13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e first nut 151 and the second nut 152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lange 111 of the first tube 110, respectively, and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lange 121 of the second tube 120. Each of the third nut 153 and the fourth nut 154 may be disposed.

이 때, 제3 너트(153)를 회전시키면 결합 밸브(130)가 제1관 플랜지(111)에 밀착된다. 그리고, 제2 너트(152)를 회전시키면 결합 밸브(130)가 제2관 플랜지(121)에 밀착된다. At this time, when the third nut 153 is rotated, the coupling valve 1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pipe flange 111. Then, when the second nut 152 is rotated, the coupling valve 1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pipe flange 121.

이를 위해, 제2 너트(152)가 결합되는 고정로드(140)의 나사산은 제3 너트(153)가 결합되는 고정로드(140)의 나사산에 비해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제3 너트(153)가 결합되는 고정로드(140)의 나사산은 대각선으로 상향하도록 형성되고, 제2 너트(152)가 결합되는 고정로드(140)의 나사산은 대각선으로 하향하도록 형성된다.To this end, the thread of the fixing rod 140 to which the second nut 152 is coupled is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compared to the thread of the fixing rod 140 to which the third nut 153 is coupled. That is, the thread of the fixing rod 140 to which the third nut 153 is coupled is formed to be diagonally upward, and the thread of the fixing rod 140 to which the second nut 152 is coupled is formed to be diagonally downwar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결합 밸브(130) 및 이를 구비한 소방시스템은 이동부(132)와 축부(139)가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 밸브(130)의 개폐 유닛(138)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개폐 유닛(138)의 제어를 위해 이동부(132)가 이동한 상태에서 이동부(132)를 고정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upling valve 130 and the fire fighting system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moving part 132 and the shaft part 139 rotate in engagement with each other, The opening / closing unit 138 can be opened and closed. In addition, the moving unit 132 may be fixed while the moving unit 132 is moved to control the opening / closing unit 138.

상기와 같이 설명된 결합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소방시스템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coupling valve and the fire fighting system having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are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It may alternatively be configured in combination.

Claims (8)

소방수가 유입되는 제1관과 소방수가 유출되는 제2관; 및
상기 제1관과 제2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소방수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결합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밸브는,
상기 관들에 연통되는 중공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주의 형성된 결합공에 축부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 유닛; 및
상기 하우징의 외주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때, 상기 축부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시스템.
A first pipe through which fire water flows and a second pipe through which fire water flows out; And
A coupling valve formed between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to adjust a flow rate of the fire water;
The coupling valve,
A housing having a hollow in communication with the tubes;
An opening / closing unit to which the shaft por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housing circumference; And
And a moving part configured to rotate the shaft when slid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그 외주를 따라 상기 이동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housing is a fire figh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movable portion can move along its outer circumferen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일정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관 및 제2관을 관통하는 고정로드가 삽입되는 고정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movable part includes a fixing hole into which a fixing rod penetrating the first tube and the second tube is inserted so that the position thereof can be fixed while the movable portion is mov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과 제2관의 플랜지부는 상기 고정홀에 대응하는 결합홀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And a flange portion of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includes coupling holes corresponding to the fixing hol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 플랜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제1 너트와 제2 너트가 배치되고,
상기 제2관 플랜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제3 너트와 제4 너트가 배치되며,
상기 제3 너트를 회전시키면 상기 결합 밸브가 상기 제1관 플랜지에 밀착되고,
상기 제2 너트를 회전시키면 상기 결합 밸브가 상기 제2관 플랜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A first nut and a second nut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pipe flange,
Third and fourth nuts ar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pipe flange, respectively.
Rotating the third nu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upling valve to the first pipe flange,
Rotating the second nut, the coupling valv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pipe flang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e fight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밸브는,
상기 축부에 근접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주에 복수로 형성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upling valve,
A fire figh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xing portion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using in close proximity to the shaft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와 상기 이동부의 결합은 상기 이동부가 이동하면 상기 개폐 유닛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서로 맞물리게 형성되는 돌기 및 홈을 구비하는 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Coupling the shaft portion and the moving portion is a fire figh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having a projection and a groove formed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so as to rotate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when the moving portion moves.
소방수가 유입되는 제1관과 소방수가 유출되는 제2관을 포함하는 소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관과 제2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소방수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결합 밸브는,
상기 관들에 연통되는 중공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주의 형성된 결합공에 축부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 유닛; 및
상기 하우징의 외주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때, 상기 축부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밸브.
In the firefighting system including a first pipe into which fire water flows and a second pipe into which fire water flows,
The coupling valv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to adjust the flow rate of the fire water,
A housing having a hollow in communication with the tubes;
An opening / closing unit to which the shaft por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housing circumference; And
And a moving unit configured to rotate the shaft when slid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KR1020120130435A 2012-11-16 2012-11-16 Coupling valve and fire fighting system having the same KR1013273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435A KR101327327B1 (en) 2012-11-16 2012-11-16 Coupling valve and fire fighting system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435A KR101327327B1 (en) 2012-11-16 2012-11-16 Coupling valve and fire fighting system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7327B1 true KR101327327B1 (en) 2013-11-11

Family

ID=49857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0435A KR101327327B1 (en) 2012-11-16 2012-11-16 Coupling valve and fire fighting system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732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380B1 (en) * 2022-05-11 2022-10-05 (주)도진이앤엠 Fire-fighting valv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5310A (en) * 1994-02-18 1995-09-15 크래이그 씨. 브라운 Rotary valve
JP2000028006A (en) 1998-07-15 2000-01-25 Asahi Organic Chem Ind Co Ltd Butterfly valve with flange fitting and plate flange
KR101124165B1 (en) 2009-04-13 2012-03-27 이기중 Butterfly valve
KR20120042300A (en) * 2010-10-25 2012-05-03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Alarm valv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5310A (en) * 1994-02-18 1995-09-15 크래이그 씨. 브라운 Rotary valve
JP2000028006A (en) 1998-07-15 2000-01-25 Asahi Organic Chem Ind Co Ltd Butterfly valve with flange fitting and plate flange
KR101124165B1 (en) 2009-04-13 2012-03-27 이기중 Butterfly valve
KR20120042300A (en) * 2010-10-25 2012-05-03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Alarm valv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380B1 (en) * 2022-05-11 2022-10-05 (주)도진이앤엠 Fire-fighting valv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2902B1 (en) Sprinkler equipment
KR20120079219A (en) Water cannon for fire protection
KR101662590B1 (en) Fire fighting device for building of sprinkler type
KR101681515B1 (en) Fire management system for building of sprinkler type
KR20170026154A (en) Sprinkler pipe constructing method free from the risk of skipping effect by using the Branch Tee with sprinkler pipes water control function
KR101267346B1 (en) Fluid injection nozzle and sprinkler system having the same
US10258817B2 (en) Spray head for a uniform fluid distribution and a fluid distribution system
KR101700142B1 (en) Fires prevention apparatus
KR101327327B1 (en) Coupling valve and fire fighting system having the same
RU2482924C1 (en) Installation for fire-extinguishing with water curtain
KR101532953B1 (en) Sprinkler monitoring apparatus
RU2515460C2 (en) Method and device for fire fighting localised in volume and/or area in fire hazardous zones of buildings and plants
RU2471525C1 (en) System of water-based fire suppression
KR101322751B1 (en) Sprinkle apparatus and sprinkler system having the same
RU2460561C1 (en) Modular system of fire fighting
CN214912925U (en) Fire-fighting equipment and fracturing system
CN112843561B (en) Fire-fighting equipment, fractu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fracturing system
KR102588211B1 (en) Apparatus for fire fighting pipe for preventing of fire spread
KR20220076813A (en) Automatic fire fighting system in utility tunne
KR102624604B1 (en) Apparatus for fire fighting pipe for preventing of fire spread
KR20090070090A (en) A fire fighting equipment for protecting cultural assets
KR102462044B1 (en) Apparatus for fire fighting pipe for preventing of fire spread
KR102055834B1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configured to be hung on a wall
KR101164988B1 (en) Water supply shut off apparatus
RU2536226C2 (en) Water fire extinguish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