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7157B1 - Antenna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ntenna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7157B1
KR101327157B1 KR1020070006289A KR20070006289A KR101327157B1 KR 101327157 B1 KR101327157 B1 KR 101327157B1 KR 1020070006289 A KR1020070006289 A KR 1020070006289A KR 20070006289 A KR20070006289 A KR 20070006289A KR 101327157 B1 KR101327157 B1 KR 101327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assembly
antenna
antenna rod
terminal body
suppor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62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68460A (en
Inventor
김유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6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157B1/en
Publication of KR20080068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84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1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01Q1/24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extendable from a housing along a give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기본체에 대하여 제1축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안테나로드(rod) 조립체; 상기 안테나로드 조립체의 하단에 연결되며, 인출된 상기 안테나로드 조립체를 상기 제1축(axle)과 직각을 이루는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로드; 및 상기 안테나로드 조립체가 상기 지지로드에 대하여 상기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제공부를 포함함으로써, 안테나의 방향을 전환하는 것이 용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함을 가져다 주며 이동된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안테나 장치가 헐거워져 고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device, comprising: an antenna rod assembly mounted to be retractable with respect to a device body in a first axial direction; A support rod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antenna rod assembly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extracted antenna rod assembly about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And an elastic provision part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when the antenna rod assembly rotates about the second axis with respect to the support rod,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can be easily changed to bring convenience to the user and to move the fixed pos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ntenna device from loosening and deteriorating fixability since it can be maintained.

핸드폰, 휴대폰, 단말기, DMB, 안테나 Cell phone, mobile phone, terminal, DMB, antenna

Description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ANTENNA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ANTENNA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가 인출된 상태를 보인 전면 사시도,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antenna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is drawn out;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안테나 장치 부분을 분해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view of an antenna device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도 4는 도 3의 안테나 장치의 정면도,4 is a front view of the antenna device of FIG. 3;

도 5는 도 4의 안테나 장치가 인출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5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antenna device of FIG. 4 is drawn out;

도 6은 도 4의 안테나 장치의 탄성제공부를 보인 반단면도,6 is a half sectional view showing an elastic provision part of the antenna device of FIG.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안테나 장치의 작동 상태도,7 and 8 are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antenna device of FIG.

도 9와 도 10는 각각 안테나 장치를 인출한 후 회전시키는 과정을 보인 작동 상태를 보인 것으로,9 and 10 show an operation state showing a process of rotating the withdrawal after the antenna device, respectively,

도 9는 안테나로드 조립체를 인출한 상태이고,9 is a state in which the antenna rod assembly is drawn out,

도 10은 안테나 로드 조립체가 탄성적으로 회전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10 shows a state in which the antenna rod assembly is elastically rotated.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에 적용된 것을 보인 사시도,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 slide-type portable terminal;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폴더형 휴대 단말기에 적용된 것을 보인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 folding portable terminal.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 휴대 단말기 10: 단말기 본체1: portable terminal 10: terminal body

20: 안테나 장치 22: 가이드 부재20: antenna device 22: guide member

23: 수납홈 30: 안테나로드 조립체23: receiving groove 30: antenna rod assembly

31: 서브로드들 40: 지지로드31: subrods 40: support rod

50: 핀 60: 탄성제공부50: pin 60: elastic provision

70: 걸림부재 80: 캠70: locking member 80: cam

81: 걸림홈 82: 프로파일면 81: engaging groove 82: profile surface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를 늘릴 수 있도록 기기본체로부터 인출 가능한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tenna device that can be pulled out from the device body to increase the length,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휴대 전화기나 피디에이(PDA) 등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중에 이를 이용하여 무선 송수신이나 정보를 열람 또는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기기의 하나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mobile phone or a PDA is one of the electronic devices that allows a user to view or process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or information by using the portable terminal.

최근의 눈부신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휴대 단말기는 단순한 통화 기능 외에 멀티 미디어를 직접 생산하거나 이를 송수신하는 단계에 이르고 있다.Recently,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the remark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stage of directly producing or transmitting multimedia in addition to the simple call function.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를 탑재하여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거나 전송하기도 하고, MP3나 VOD 같은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기도 하며, 더 나아가 위성이나(satellite) 지상파(terrestrial)를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한다)을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기도 한다.For example, a digital camera can be used to shoot or transfer photos or videos, play multimedia files such as MP3 or VOD, or even use satellite or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It may also have a function of receiving DMB).

특히, DMB의 수신기능이 휴대 단말기에 포함되면서 휴대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원활한 방송 수신을 위한 안테나 기술이 관건으로 떠오르고 있다.In particular, as the reception function of the DMB is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 antenna technology for smooth broadcast reception is emerging as a key without affecting the portability.

이중 지상파 DMB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는 모노폴(monopole) 형태인 경우, 적어도 그 물리적인 길이가 4분의 1파장인 대략 40cm는 되어야 한다.The antenna for receiving dual terrestrial DMB, when in the form of a monopole, shall be at least approximately 40 cm whose physical length is one quarter of a wavelength.

그러나, 일반 휴대 단말기에 40cm 이상의 안테나를 장착하게 되면 휴대 단말기의 중요한 상품 가치인 휴대성과 미관에는 반대로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However, when an antenna having a size of 40 cm or more is mounted on a general portable terminal, it adversely affects portability and aesthetics, which are important product values of the portable terminal.

이를 위하여, 지상파 DMB 수신용 안테나는 길이를 보상받을 수 있도록 단말기 본체로부터 인출 가능한 형태가 많이 제안되고 있다.To this end, many antennas for terrestrial DMB reception have been proposed in such a way that the antenna can be pulled out from the terminal body to compensate for the length.

한편으로,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는 원하는 수신품질에 맞도록 단말기의 위치나 자세를 변경하여 보아야 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더욱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안테나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형태는 이미 TV나 FM 라디오 등에서도 많이 알려진 바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roadcast receiving mobile terminal often needs to change the position or posture of the terminal to meet the desired reception quality, and in order to make it more convenient, the angle of the antenna can be changed in TV or FM radio, etc. Also known a lot.

그러나, 인출가능한 안테나 장치가 휴대 단말기와 같은 휴대기기에 적용되는 경우, 안테나 장치는 수시로 자세를 변환하는 경우가 많아 조임이 헐거워져 세팅된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어렵고, 어느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시킴에 있어 불편을 야기하기도 한다.However, when the extractable antenna device is applied to a portable device such as a mobile terminal, the antenna device often changes its posture, so that the tightening becomes loose, making it difficult to keep the set position constant and moving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It can also cause discomfor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기기본체로부터 인출가능한 안테나의 방향 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되, 이동된 위치를 유지시키기 적합한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redirection of the antenna can be pulled out from the device body, an antenna device suitable for maintaining the moved position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Its purpose is to provid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기본체에 대하여 제1축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안테나로드(rod) 조립체; 상기 안테나로드 조립체의 하단에 연결되며, 인출된 상기 안테나로드 조립체를 상기 제1축(axle)과 직각을 이루는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로드; 및 상기 안테나로드 조립체가 상기 지지로드에 대하여 상기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제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안테나 장치를 개시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enna rod assembly which is mounted to be retractable with respect to a device body in a first axial direction; A support rod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antenna rod assembly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extracted antenna rod assembly about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And an elastic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when the antenna rod assembly rotates about the second axis with respect to the support rod.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안테나로드 조립체는 직경이 다른 복수의 서브로드들을 구비하며, 상기 서브로드들은 인출된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질 수 있게 조합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enna rod assembly includes a plurality of subrod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nd the subrods may be combin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oward the drawn end.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지지로드의 상단과 상기 안테나로드 조립체의 하단은 핀(pin)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rod and the lower end of the antenna rod assembly may be rotatably connected by a pin.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탄성제공부는, 상기 지지로드의 내부에 장착되는 스프링; 상기 지지로드의 단부에 구속되며,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제1축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재; 및 상기 안테나로드 조립체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재가 캠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캠프로파일면을 갖는 캠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providing unit, a spring mounted in the support rod; At least one locking member that is constrained to an end of the support rod and receives an elastic force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by the spring; And a cam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antenna rod assembly and having a camping profile surface for allowing the catching member to perform a cam motion.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스프링은 코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pring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oil.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캠은 일정 회전각에서 상기 걸림부재가 돌출되어 걸림될 수 있도록 복수의 걸림홈을 가질 수 있다.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 may have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so that the locking member protrudes and is locked at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걸림홈은 9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grooves may be arrang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걸림부재는 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member may be formed in a ball shape.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제1축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member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ball shapes arranged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안테나로드 조립체는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enna rod assembly may be rotatably installed about the first axis.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안테나로드 조립체는 인출시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enna rod assembly may have a length capable of receiving a broadcast upon withdrawal.

본 발명은 또한, 단말기 본체 및 상기 단말기 본체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단말기 본체에 대하여 제1 축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안테나로드(rod) 조립체; 상기 안테나로드 조립체의 하단에 연결되며, 인출된 상기 안테나로드 조립체를 상기 제1축과 직각을 이루는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로드; 및 상기 안테나로드 조립체와 지지로드에 설치되어 상기 안테나로드 조립체가 상기 지지로드에 대하여 상기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제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terminal body and an antenna device releasably mounted to the terminal body, the antenna device comprising: an antenna rod assembly releasably mounted in a first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body; A support rod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antenna rod assembly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drawn antenna rod assembly about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And an elastic provision part installed on the antenna rod assembly and the support rod to provide an elastic force when the antenna rod assembly rotates about the second axis with respect to the support rod.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기 본체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전면 외관을 이루는 제1하우징; 상기 단말기 본체의 후면 외관을 이루는 제2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단말기 본체의 측면 외관을 이루는 제3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면을 일체로 덮을 수 있게 형성되며, 그 일부분이 디스플레이를 형성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body may include a first housing forming a front appearance of the terminal body; A second housing forming a rear appearance of the terminal body; And a third housing disposed betwee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nd forming a side appearance of the terminal body, wherein the first housing is formed to integrally cover the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 portion thereof may form a display.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제1하우징의 하단에는 푸시방식으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가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may be formed to be operated in a touch manner, and at the bottom of the first housing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key operated in a push manner.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안테나로드 조립체를 수납하는 수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은 상기 단말기 본체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ccommodat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antenna rod assembly is formed in the terminal body, and the accommodating groove may b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는 가로화면을 구현할 수 있도록 변환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output from the display may be provided to be convertible to implement a horizontal screen.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안테나로드 조립체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종방향으로 배치되며, 수납시 상기 안테나조립체의 끝단부가 상기 단말기 본체의 하단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enna rod assembly may b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and may be installed such that an end portion of the antenna assembly is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terminal body when received.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antenna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가 인출된 상태를 보인 전면 사시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ntenna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is drawn out.

도 1 및 도 2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1)는 전면(front surface)을 일체로 덮고 있는 제1하우징(11)과,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12) 및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의 사이에 배치되어 휴대 단말기(1)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제3하우징(13)으로 구성되고 있는 단말기 본체(10)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하우징(11)(12)(13)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와 다른 조합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단말기 본체(10)는 하나의 바디로 되어 있는 도 1 또는 도 2와 달리, 개폐될 수 있게 연결되는 두 개 이상의 바디로 구성되어 있는 형태의 단말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도 11, 12 참조).1 and 2, the portable terminal 1 includes a first housing 11 integrally covering a front surface, a second housing 12 and a first housing 11 forming a rear surface thereof. And a terminal main body 10, which is arranged between the second housing 12 and the third housing 13, which forms a side appear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1.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housing 11, 12, 13 is not limited to this,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different combination. In addition, unlike FIG. 1 or FIG. 2, which is a single body, the terminal body 10 may be applied to a terminal having a form of two or more bodies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see FIGS. 11 and 12). ).

제1하우징(11)의 전면은 그 일부가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4)로 활용되는 것이 가능하며, 그 상단에는 리시버 장치(15)가 장착되고, 하단에는 입력을 위한 키(17)가 구비되고 있다. 키(17)는 배제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보다 넓은 디스플레이(14)를 얻을 수 있게 된다.A front part of the first housing 11 may be used as a display 14, part of which displays visual information. A receiver device 15 is mounted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 key 17 for input is provided at an lower end thereof. It is provided. The key 17 can also be excluded, in which case a wider display 14 can be obtained.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14)는 터치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내부에 센서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두는 것이 가능하며, 키(17)는 푸시 방식으로 동작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키(17) 대신 또는 키(17)와 더불어 스크롤(scroll) 장치 또는 다이얼(dial) 장치를 두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스크롤 장치 또는 다이얼 장치는 스크롤 또는 다이얼의 회전운동을 통하여 디스플레이(14)에 표시되는 포인터나 커서를 빠르게 이동시킴으로써 원하는 입력이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장치를 말한다.Preferably, the display 14 can have a sensor device (not shown) inside so that it can be operated in a touch manner, and the key 17 can be operated in a push manner. It is furthermore possible to have a scroll device or dial device in place of or in addition to the key 17. Here, the scroll device or dial device refers to a device that facilitates a desired input or control by quickly moving a pointer or cursor displayed on the display 14 through a scroll or dial rotational movement.

선택적으로 부가할 수 있는 기술로서, 도 1에 의하면, 제3하우징(13)의 측면에는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종래의 예와 달리 마이크홀(18)이 형성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홀(18)의 배치는, 제1하우징(11)을 더욱 심플하게 형성시켜 외관을 개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1)의 크기 대비 디스플레이(14)의 면적을 넓힐 수 있어 대량의 정보를 입출력하는데 유리하다. 아울러, 마이크홀(18)은 제3하우징(13) 대신 제1하우징(11)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As a technique to be selectively added, according to FIG. 1, it can be seen that the microphone hole 18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third housing 13 unlike the conventional example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The arrangement of the microphone holes 18 not only improves the appearance by forming the first housing 11 more simply, but also increases the area of the display 14 compared to the size of the mobile terminal 1, thereby providing a large amount. It is advantageous to input and output information. In addition, the microphone hole 18 may be formed in the first housing 11 instead of the third housing 13.

도 2에 의하면, 단말기 본체(10)의 일측에는 단말기 본체(10)에 대하여 제1축(x)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안테나로드 조립체(31)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20)가 구비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2, one side of the terminal body 10 is provided with an antenna device 20 including an antenna rod assembly 31 mounted to be retractable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body 10 in a first axis (x) direction. have.

안테나로드 조립체(30)는 인출시 TV 방송이나 라디오 또는 수십 내지 수백 센티미터(cm) 오더의 파장(λ)을 갖는 전파를 송수신하기 적합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1)가 제공하고 있는 디스플레이(14)를 통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지상파 DMB를 수신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The antenna rod assembly 30 may be suitably formed to transmit and receive a radio wave having a wavelength? Of a TV broadcast or a radio or an order of tens to hundreds of centimeters (cm) when drawn out. In particular,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length for receiving terrestrial DMB so that the mobile terminal 1 can view through the display 14 provided by the portable terminal 1.

안테나로드 조립체(30)는 직경이 다른 복수의 서브로드들(31)을 구비하고 있으며, 서브로드들(31)은 인출된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질 수 있게 조합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와 달리 인출된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antenna rod assembly 30 includes a plurality of subrods 31 having different diameters, and the subrods 31 may be combin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oward the drawn end. Although not shown,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combine such that the diameter becomes smaller toward the drawn end.

안테나로드 조립체(30)의 끝단에는 사용자가 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손잡이(32)가 구비되어 있다.The end of the antenna rod assembly 30 is provided with a handle 32 so that the user can easily withdraw.

제1축(x) 방향으로 인출된 안테나로드 조립체(30)는 제1축(x)과 직각을 이루는 제2축(y)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제1축(x)방향으로 인출된 안테나로드 조립체(30)는 제2축(y)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The antenna rod assembly 30 drawn in the first axis x direction is rotatably supported about a second axis y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x. Preferably, the antenna rod assembly 30 drawn in the first axis x direction is rotatably supported in the second axis y direction.

이에 의하여 단말기 본체(10)에 대한 안테나로드 조립체(30)의 각도를 임의로 조정하여 원하는 수신 품질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2참조).Thereby, it is possible to arbitrarily adjust the angle of the antenna rod assembly 30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body 10 to implement a desired reception quality (see FIG. 2).

특히, 단말기 본체(10)를 뉘어 놓는 경우 디스플레이(14)는 와이드 화면을 제공하기 적합하며, 이 경우, 휴대 단말기(1)는 디스플레이(14)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가로화면(landscape)을 구현할 수 있도록 변환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로화면으로의 전환은 키(17)나 사이드 스위치(16) 등의 조작에 의하여 하거나, 내장되는 센서(도시되지 않음)의 인식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변환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particular, when the terminal body 10 is laid down, the display 14 is suitable to provide a wide screen, and in this case, the mobile terminal 1 may implement a landscape view of the data output from the display 14.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so that conversion is possible. Switching to the horizontal screen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by manipulation of the key 17, the side switch 16, or the like by recognition of a built-in sensor (not shown).

아울러, 안테나로드 조립체(30)는 충분한 강성을 보유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 본체(10)를 일정 각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antenna rod assembly 30 may maintain the terminal body 10 at a predetermined angle by maintaining sufficient rigidity.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안테나 장치 부분을 분해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로서, 제2하우징(12)과 제3하우징(13)의 사이에는 안테나로드 조립체(30)를 수납하는 수납홈(23)이 형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안테나 조립체(30)는 휴대 단말기(1)의 전면 외관을 해하지 않는 수납상태를 제공받을 수 있다.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ntenna part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wherein an accommodating groove accommodating the antenna rod assembly 30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housing 12 and the third housing 13. 23) can be seen. As a result, the antenna assembly 30 may be provided with a storage state that does not damage the front appear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1.

일 실시예로서, 안테나 조립체(30)의 끝단에 형성되는 손잡이(32)는 단말기 본체(10)의 하단부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손잡이(32)가 미관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As an example, the handle 32 formed at the end of the antenna assembly 30 may be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terminal body 10 so that the handle 32 does not interfere with the aesthetics.

도 3에 의하면, 수납홈(23)은 단말기 본체(10)의 일측 구석에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다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와 달리 단말기 본체(10)의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필요한 안테나의 길이를 확보하기 위하여 서브로드들(31)의 길이나 수는 조정이 가능하다.According to FIG. 3, the accommodating groove 23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one corner of the terminal body 10. However, although not shown, it is also possible to be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10 otherwise. In this case, the length or number of sub-rods 31 can be adjusted to secure the required antenna length.

도 4는 도 3의 안테나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안테나 장치가 인출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4 is a front view of the antenna device of FIG. 3, and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ntenna device of FIG. 4 is drawn out.

도 4 및 도 5에 의하면, 안테나 장치(20)는 안테나로드 조립체(30)의 하단에 연결되는 지지로드(40)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로드(40)의 상단과 안테나로드 조립체(30)의 하단은 핀(pin)(50)에 의하여 제2축(y)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4 and 5, the antenna device 20 includes a support rod 40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antenna rod assembly 30.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rod 40 and the lower end of the antenna rod assembly 30 are rotatably connected about a second axis y by a pin 50.

지지로드(40)와 안테나로드 조립체(30)는 단말기 본체(10)에 고정되는 가이드 부재(22)에 의하여 구속되도록 설치된다. 가이드부재(22)는 안테나로드 조립 체(30)가 인출되기 전 상태 및 인출된 상태에서 안테나로드 조립체(30)에 수신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단말기 본체(10)로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support rod 40 and the antenna rod assembly 30 are installed to be restrained by the guide member 22 fixed to the terminal body 10. The guide member 22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rod assembly 30 in a state before the antenna rod assembly 30 is drawn out and to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body 10.

예를 들어, 안테나로드 조립체(30)가 인출되기 전에는 가이드부재(22)로부터 지지로드(40)까지의 길이를 통하여 전파를 수신할 수 있다(도 4). 안테나로드 조립체(30)가 인출되면 가이드부재(22)부터 안테나로드 조립체(30)의 끝단까지의 길이를 통하여 전파를 수신할 수 있게 되며, 이 경우 안테나로드 조립체(30)는 지지로드(40)에 대하여 제2축(y)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For example, before the antenna rod assembly 30 is pulled out, the radio wave may be received through the length from the guide member 22 to the support rod 40 (FIG. 4). When the antenna rod assembly 30 is drawn out, it is possible to receive radio waves through the length from the guide member 22 to the end of the antenna rod assembly 30, in which case the antenna rod assembly 3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rod 40. It is possible to rotate about the second axis (y) with respect to.

도 6은 도 4의 안테나 장치의 탄성제공부를 보인 단면도로서, 안테나 장치(20)는 안테나로드 조립체(30)와 지지로드(40)에 설치되어 안테나로드 조립체(30)가 지지로드(40)에 대하여 회전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제공부(60)를 구비한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elastic providing part of the antenna device of FIG. 4, wherein the antenna device 20 is installed in the antenna rod assembly 30 and the support rod 40 such that the antenna rod assembly 30 is mounted on the support rod 40. It is provided with an elastic providing unit 60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when rotating.

도 6에 의하면, 탄성제공부(60)는 지지로드(40)의 내부에 장착되는 스프링(71)과, 지지로드(40)의 단부에 구속되며 스프링(71)에 의하여 제1축(x)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는 걸림부재(70) 및 안테나로드 조립체(30)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걸림부재(70)가 캠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캠프로파일면(82)을 갖는 캠(80)으로 구성되어 있다.According to FIG. 6, the elastic providing part 60 is constrained to an end of the support rod 40 and a spring 71 mounted inside the support rod 40, and the first shaft x is supported by the spring 71. And a cam 80 having a camping profile surface 82 which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catching member 70 and the antenna rod assembly 30 that receive the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and allows the catching member 70 to perform a cam motion. It is.

스프링(71)은 지지로드(4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홈(41)에 코일 형태로 지지되어 있으며, 볼(ball)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재(70)가 스프링(71)을 누르며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의하면, 걸림부재(70)는 제1축(x)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볼 형태로 형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다만, 걸림부재(70)는 단 하나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반구형 형태로도 형성 가능하다.The spring 71 is supported in the form of a coil in the receiving groove 41 formed in the support rod 40, and the locking member 70 formed in the form of a ball moves while pressing the spring 71. It is arrange | positioned as possible. 6, it can be seen that the locking member 70 is form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balls arranged in the first axis x direction. However, the locking member 70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it may be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걸림부재(70)에 접촉된 상태로 캠(80)은 일정 회전각에서 걸림부재(70)가 돌출되어 걸림될 수 있도록 복수의 걸림홈(81)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하여 안테나로드 조립체(30)를 일정 각도로 돌리면 이후에는 스프링(71)의 탄성력에 의하여 저절로 안테나로드 조립체(30)가 회전하여 오던 방향으로 계속해서 회전하게 된다.The cam 80 in contact with the locking member 70 has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81 so that the locking member 70 protrudes and is locked at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As a result, when the antenna rod assembly 30 is rotated at an angle, the antenna rod assembly 30 rotates continuously by the spring 71 by the elastic force.

걸림부재(70)가 걸림홈(81)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는 스프링(71)의 탄성력은 안테나로드 조립체(30)의 상태를 유지하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즉, 약한 외부의 힘이나 영향에 의하여 안테나로드 조립체(30)가 쉽게 제2축(y)을 중심으로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In a state where the locking member 70 is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81,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71 acts as a force to maintain the state of the antenna rod assembly 30. That is, the antenna rod assembly 30 can be easily prevented from being arbitrarily rotated about the second axis y by a weak external force or influence.

걸림홈(81)은 안테나로드 조립체(30)를 어느 위치에 둘 것인가에 따라 그 수를 달리할 수 있으며, 도 6에 의하면 9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The locking groove 81 may vary in number depending on where the antenna rod assembly 30 is placed, and according to FIG. 6, it can be seen that the latching grooves 81 are disposed at 90 degree intervals.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안테나 장치의 작동 상태도로서, 도 6의 상태에서 안테나로드 조립체(30)를 제2축(y)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회전시키면 걸림부재(70)는 걸림홈(81)과 다음 걸림홈(81) 사이의 볼록한 구간에 의하여 후퇴하게 된다. 힘을 계속 가하여 걸림부재(70)가 걸림홈(81)과 다음 걸림홈(81) 사이의 정점을 지나치는 순간 스프링(71)의 탄성에 의하여 남은 회전각 동안 회전하여 오던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여 도 8의 상태에 이르게 된다. 7 and 8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antenna device of FIG. 6. When the antenna rod assembly 30 is rotated by applying a force in the second axis y direction in the state of FIG. 81 is retracted by the convex section between the next locking groove (81). As the locking member 70 continues to apply the force and passes through the apex between the locking groove 81 and the next locking groove 81, the spring 71 rotates for the remaining rotation angle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71. The state of 8 is reached.

이와 같은 탄성제공부(60)를 갖는 안테나 장치(20)의 작용을 도 9와 도 10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9와 도 10는 각각 안테나 장치를 인출한 후 회전시키는 과정을 보인 작동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9는 안테나로드 조립체를 인출한 상태이고, 도 10은 안테나 로드 조립체가 탄성적으로 회전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An operation of the antenna device 20 having the elastic providing unit 6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9 and 10 show an operating state showing a process of rotating the antenna device after drawing out, Figure 9 is a state in which the antenna rod assembly is drawn out, Figure 10 is a state in which the antenna rod assembly is rotated elastically It is seen.

도 9에서 보는 것과 같이, 안테나로드 조립체(30)가 제1축(x) 방향으로 인출되면 안테나로드 조립체(30)는 지지로드(40)에 대하여 제2축(y)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9, when the antenna rod assembly 30 is pulled out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axis x, the antenna rod assembly 30 may be rotated about the support rod 40 about the second axis y. Will be.

도 9의 상태에서 안테나로드 조립체(30)를 제2축(y)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회전시키면 정점을 지나치는 순간 스프링(71)의 작용에 의하여 남은 회전각 동안 반자동 형태로 계속 회전하여 도 10의 상태에 이르게 된다. 도 10의 상태에서 안테나로드 조립체(30)와 지지로드(40)는 제1축(x)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When the antenna rod assembly 30 is rotated by applying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axis y in the state of FIG. Leads to a state of. In the state of FIG. 10, the antenna rod assembly 30 and the support rod 40 may be rotated about the first axis x.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에 적용된 것을 보인 것이다. 11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 slide-type portable terminal.

도 11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키패드(103)가 장착되는 제1바디(101)와 디스플레이(114)가 장착되며, 제1바디(10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바디(102)로 구성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11, 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s a first body 101 and a display 114 on which a keypad 103 is mounted, and a second body (slidably mounted on the first body 101). 102).

안테나 장치(120)는 제1바디(101)에 설치되어 있으며, 인출된 안테나 장치(120)는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만, 안테나 장치(120)는 제2바디(10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안테나 장치(120)의 상세한 설명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antenna device 120 is provided in the first body 101, and the drawn antenna device 120 is elastically rotatable. However, the antenna device 120 may be mounted to the second body 102.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ntenna device 120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폴더형 휴대 단말기에 적용된 것을 보인 것이다. 12 show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pplied to a folding portable terminal.

도 12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200)는 키패드(203)가 장착되는 제1바디(201)와 디스플레이(214)가 장착되며, 제1바디(20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바디(202)로 구성되어 있다.According to FIG. 12, the mobile terminal 200 includes a first body 201 and a display 214 on which the keypad 203 is mounted, and a second body 202 rotatably mounted on the first body 201. It consists of).

안테나 장치(220)는 제2바디(202)에 설치되어 있으며, 인출된 안테나 장치(220)는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안테나 장치(220)의 상세한 설명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antenna device 220 is provided in the second body 202, and the extracted antenna device 220 is elastically rotatabl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ntenna device 220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의하면, 안테나로드 조립체와 지지로드에 탄성제공부를 포함됨으로써 제2축을 중심으로 안테나의 방향을 전환하는 것이 용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함을 가져다 주며, 이동된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안테나 장치가 헐거워져 고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ntenna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the antenna rod assembly and the support rod are included in the elastic rod so that it is easy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about the second axis, thereby bringing convenience to the user. In addition, since the moved position can be kept consta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ntenna device can be loosened and deterioration in fixability can be preven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llustrating an antenna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Claims (19)

기기본체에 대하여 제1축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안테나로드(rod) 조립체;An antenna rod assembly mounted to be retractable with respect to the device body in a first axial direction; 상기 안테나로드 조립체의 하단에 연결되며, 인출된 상기 안테나로드 조립체를 상기 제1축과 직각을 이루는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로드; 및A support rod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antenna rod assembly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drawn antenna rod assembly about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And 상기 안테나로드 조립체가 상기 지지로드에 대하여 상기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제공부를 포함하고,The antenna rod assembly includes an elastic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when rotating about the second axis with respect to the support rod, 상기 탄성제공부는,The elastic providing unit, 상기 지지로드의 내부에 장착되는 스프링;A spring mounted inside the support rod; 볼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과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안테나로드 조립체의 인출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재; 및At least one catching member formed in a ball shape to be in contact with the spring, and receiving elastic force in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antenna rod assembly by the spring; And 상기 안테나로드 조립체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재가 캠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캠프로파일면을 갖고, 기설정된 회전각에서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지지로드로부터 돌출되어 걸릴 수 있도록 상기 걸림부재의 형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걸림홈을 구비하는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It is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antenna rod assembly has a camping profile surface for the locking member to the cam movement, the shape of the locking member so that the locking member protrudes from the support rod at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An antenna device comprising a cam having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안테나로드 조립체는 직경이 다른 복수의 서브로드들을 구비하며, 상기 서브로드들은 인출된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질 수 있게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The antenna rod assembly includes a plurality of subrod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nd the subrods are combined to be larger in diameter toward the drawn en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로드의 상단과 상기 안테나로드 조립체의 하단은 핀(pin)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And an upper end of the support rod and a lower end of the antenna rod assembly are rotatably connected by a pi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프링은 코일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The antenna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coil form. 삭제delete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7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걸림홈은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The hanging groove is an antenna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삭제delete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9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안테나로드 조립체는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And the antenna rod assembly is rotatably installed about the first axis.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1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안테나로드 조립체는 인출시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The antenna rod assembl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enna device having a length capable of receiving broadcasts when drawn. 단말기 본체 및 상기 단말기 본체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장치는,An antenna device mounted to the terminal body and the terminal body retractable, the antenna device, 상기 단말기 본체에 대하여 제1축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안테나로드(rod) 조립체;An antenna rod assembly mounted to be retractable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body in a first axial direction; 상기 안테나로드 조립체의 하단에 연결되며, 인출된 상기 안테나로드 조립체를 상기 제1축과 직각을 이루는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로드; 및A support rod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antenna rod assembly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drawn antenna rod assembly about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And 상기 안테나로드 조립체와 지지로드에 설치되어 상기 안테나로드 조립체가 상기 지지로드에 대하여 상기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제공부를 포함하고,It is installed on the antenna rod assembly and the support rod includes an elastic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when the antenna rod assembly is rotated about the second axis with respect to the support rod, 상기 탄성제공부는,The elastic providing unit, 상기 지지로드의 내부에 장착되는 스프링;A spring mounted inside the support rod; 볼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과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안테나로드 조립체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재; 및At least one locking member formed in a ball shape to be in contact with the spring and receiving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antenna rod assembly is drawn by the spring; And 상기 안테나로드 조립체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재가 캠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캠프로파일면을 갖고, 기설정된 회전각에서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지지로드로부터 돌출되어 걸릴 수 있도록 상기 걸림부재의 형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걸림홈을 구비하는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It is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antenna rod assembly has a camping profile surface for the locking member to the cam movement, the shape of the locking member so that the locking member protrudes from the support rod at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cam having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삭제delete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4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안테나로드 조립체는 인출시 지상파 DMB를 수신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antenna rod assembly has a length that can receive a terrestrial DMB when withdraw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는,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terminal body, 상기 단말기 본체의 전면 외관을 이루는 제1하우징;A first housing forming a front appearance of the terminal body; 상기 단말기 본체의 후면 외관을 이루는 제2하우징; 및A second housing forming a rear appearance of the terminal body; And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단말기 본체의 측면 외관을 이루는 제3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hird housing disposed betwee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nd forming a side appearance of the terminal body,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면을 일체로 덮을 수 있게 형성되며, 그 일부분이 디스플레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first housing is formed to integrally cover the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form a display.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6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15항에 있어서,16.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게 형성되며,The display is formed to be operated in a touch manner, 상기 제1하우징의 하단에는 푸시방식으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key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housing to operate in a push method.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7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16항에 있어서,17.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안테나로드 조립체를 수납하는 수납홈이 형성되고,An accommodation groove is formed in the terminal body to accommodate the antenna rod assembly. 상기 수납홈은 상기 단말기 본체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receiving groove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or transverse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8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17항에 있어서,18. 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는 가로화면을 구현할 수 있도록 변환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data output from the display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version is provided so as to implement a horizontal screen.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9 is abandoned in setting registration fee. 제18항에 있어서,19. 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안테나로드 조립체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종방향으로 배치되며, 수납시 상기 안테나로드 조립체의 끝단부가 상기 단말기 본체의 하단부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antenna rod assembly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portion of the antenna rod assembly is installed so as to be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terminal body when receiving.
KR1020070006289A 2007-01-19 2007-01-19 Antenna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3271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289A KR101327157B1 (en) 2007-01-19 2007-01-19 Antenna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289A KR101327157B1 (en) 2007-01-19 2007-01-19 Antenna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460A KR20080068460A (en) 2008-07-23
KR101327157B1 true KR101327157B1 (en) 2013-11-20

Family

ID=39822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6289A KR101327157B1 (en) 2007-01-19 2007-01-19 Antenna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715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170B1 (en) * 2009-03-11 2011-09-19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Apparatus of antenna hing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27055A1 (en) * 2005-04-07 2006-10-12 Shinzo Komoto Antenna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27055A1 (en) * 2005-04-07 2006-10-12 Shinzo Komoto Antenna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460A (en) 200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62011B2 (en) Mobile terminal device with TV function and TV antenna / input pen
US7656355B2 (en) Stylus arranged with antenna and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he same
US7966050B2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JPWO2009008417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2007306347A (en) Portable terminal
KR200410802Y1 (en) Personal handheld terminal with mounting mechanism
JP2005318406A (en) Portable telephone with receiver for broadcasting
KR101327157B1 (en) Antenna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CN201278525Y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13159674A1 (en) Mobile device and bracket thereof
WO2005107015A1 (en) Mobile telephone with broadcast receiver
US8928534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CN201191903Y (en) Terminal device
KR200415040Y1 (en) A terminal for receiving over-the-air broadcasting for multi-media having support combined with antenna
WO2007018146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US20040227677A1 (en) High-frequency receiving unit and high-frequency receiving method
KR101427262B1 (en) Mobile terminal
CN201114204Y (en) Mobile equipment
KR100619995B1 (en) Antenna apparatus fo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0536354C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376608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5063471B2 (en) Telescopic antenna
JP5210217B2 (en) Mobile device
JP2009111745A (en) Terrestrial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ntenna
JP2007013442A (en) Portable radio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