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7053B1 - 카고스크린 일체형 러기지 램프 - Google Patents

카고스크린 일체형 러기지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7053B1
KR101327053B1 KR1020110140251A KR20110140251A KR101327053B1 KR 101327053 B1 KR101327053 B1 KR 101327053B1 KR 1020110140251 A KR1020110140251 A KR 1020110140251A KR 20110140251 A KR20110140251 A KR 20110140251A KR 101327053 B1 KR101327053 B1 KR 101327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assembly
sliding assembly
housing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0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2711A (ko
Inventor
장병무
김재환
이성현
김용채
이재용
박문규
조민호
박상우
양은정
신형
문아셀
주재학
조후택
황진호
고항철
고운
최병기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0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053B1/ko
Publication of KR20130072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2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3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compartments other than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e.g. luggage or 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B60R5/048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of accordion-type, i.e. collapsible by sliding and folding

Abstract

본 발명은 좌우로 위치 이동 가능하고 더불어 탈착도 가능하도록 하여 실내등은 물론 손전등으로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카고스크린 러기지램프에 관한 것으로, 카고스크린이 내장된 바 형태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 어셈블리; 및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램프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고스크린 일체형 러기지 램프{Luggage Lamp Integrated into Cargo Screen}
본 발명은 SUV 등의 차량에서 실내 2열 시트 후방에 위치하여 내부 화물의 노출을 막아 도난방지 역할을 하는 카고스크린에 일체화된 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것이 좌우로 위치 이동 가능하고 더불어 탈착도 가능하도록 하여 실내등은 물론 손전등으로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카고스크린 러기지램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차량의 러기지룸 내부를 조명하기 위해 러기지 트림이나 헤드라이닝에 램프를 고정하여 러기지룸 내부를 비추는 구조를 하고 있었다.
이 중 러기지 사이드 트림에 장착된 램프는 러기지룸 사이드 측면으로 위치가 치우쳐 있어 수화물이 램프부 측면으로 쏠려 있을 경우 램프의 빛이 가려 수화물의 시인성을 저해하였고, 헤드라이닝에 장착된 램프는 러기지룸 실내 전체를 밝혀주긴 하지만, 밝기를 강화하여 고효율 램프를 사용하여야 하며, 카고스크린의 스크린부재를 펼친 상태에서는 러기지 사이드 트림 램프와 마찬가지로 스크린부재에 빛이 가려 수화물의 시인성을 저해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결국 램프를 고정할 수 있는 위치가 러기지 트림이나 헤드라이닝에 제한되었기 때문에 조명이 러기지룸 전체를 조명할 수 없었던 것이다. 또한 고정된 위치에서 내부를 조명하기 때문에 조명 근처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램프의 불빛이 가려져서 러기지룸 내부를 제대로 조명할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명의 위치를 러기지룸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는 카고스크린 위치에 옮겨 러기지룸 전체를 골고루 조명할 수 있고, 장애물 등이 있어 불빛이 가려질 경우 램프의 위치를 옮길 수 있도록 하여 고정된 램프 위치로 인한 사각영역을 해소한 카고스크린 일체형 러기지 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램프를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손전등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야간에 러기지룸 깊숙한 위치를 비추거나 차량 주변을 비춰볼 수 있도록 한 카고스크린 일체형 러기지 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카고스크린(11)이 내장된 바 형태의 하우징(10),
하우징(10)의 적어도 일단부에 형성된 제1접속단자(12),
상기 제1접속단자(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설된 접속레일(13),
상기 하우징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 어셈블리(20),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20)에 설치되며 접속레일(13)과 슬라이딩 접속하는 제2접속단자(21),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20)에 설치되며 상기 제2접속단자(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공급단자(22),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2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램프 어셈블리(30),
상기 램프 어셈블리에 설치되며 상기 램프 어셈블리를 슬라이딩 어셈블리에 장착하였을 때 상기 제2공급단자(22)와 접속되는 제3접속단자(31),
상기 램프 어셈블리에 설치된 램프부(32),
상기 램프 어셈블리에 내장되며 상기 램프 어셈블리를 슬라이딩 어셈블리에 장착하였을 때 상기 제3접속단자(31)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으로 충전되고, 상기 램프 어셈블리를 슬라이딩 어셈블리로부터 탈거하였을 때 램프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3)를 포함하는 카고스크린 일체형 러기지램프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램프부(32)는
램프 어셈블리(30)의 일면에 설치되며 차량의 제1공급단자(2)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실내램프(321)와,
램프 어셈블리(30)의 측면에 설치되며 배터리(33)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손전등램프(322)를 포함한다.
이러한 카고스크린 일체형 러기지 램프는 상기 램프 어셈블리에 설치되며 상기 램프부와 배터리(33)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램프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34)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걸림홈(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20)의 양단에는 상기 걸림홈(14)에 걸리거나 걸림해제되는 돌기(231)가 형성된 레버(23)가 설치되며,
상기 돌기(231)의 내측면은 수직면(231a)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면은 경사면(231b)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20)에는 일단부가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20)와 힌지축(241)으로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20)와 후크(242)로 결합되는 고정클립(24)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램프의 위치를 최적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 러기지룸을 골고루 비출 수 있고, 카고스크린과 일체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러기지 트림에 별도로 램프를 부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으며, 램프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사각지대 없이 편리하게 러기지룸을 조명할 수 있다.
또한 필요시 램프를 분리하여 손전등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매우 높아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고스크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카고스크린의 슬라이딩 어셈블리 결합부위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슬라이딩 어셈블리에서 램프 어셈블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카고스크린의 하우징의 단부와 차량의 결합 및 전기접속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슬라이딩 어셈블리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램프 어셈블리의 배면 사시도,
도 7은 램프 어셈블리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전기계통도,
도 9는 본 발명의 하우징과 슬라이딩 어셈블리의 고정 및 이동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각각 도 1의 x-x 및 y-y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고스크린 일체형 러기지램프는, 차량의 러기지룸 양측에 설치된 설치부(1)에 양단이 끼워져 고정되거나 탈거될 수 있고 내부에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한 카고스크린(11)이 내장된 바 형태의 하우징(10), 상기 하우징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 어셈블리(20),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2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램프 어셈블리(30)로 이루어진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러기지룸의 설치부(1)에는 하우징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공급단자(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설치부(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10)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1공급단자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접속단자(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접속단자(12)는 상기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설된 접속레일(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10)을 설치부(1)에 끼워 설치하면 제1공급단자(2)와 제2접속단자(12)가 접속되고, 이에 따라 차량의 전원이 접속레일(13)까지 인가된다.
다음으로 상기 하우징(10)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있고(도 9 참조),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슬라이딩 어셈블리(20)가 끼워져 있어 슬라이딩 어셈블리는 상기 하우징(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어셈블리(20)의 배면(즉 하우징과 마주하는 슬라이딩 면)에는 제2접속단자(21)가 외향 탄성력을 가지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접속레일(13)과 슬라이딩 접속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20) 내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접속단자(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공급단자(22)가 외향 탄성력을 가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레일(13)까지 인가된 차량의 전원은 접속레일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제2접속단자(21)를 통해 제2공급단자(22)까지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20)의 내면은 램프 어셈블리(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수용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한 램프 어셈블리(30)가 슬라이딩 어셈블리에 장착된다.
상기 램프 어셈블리에서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의 내면에 수용되는 면에는 상기 제2공급단자(22)의 설치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접속단자(3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램프 어셈블리를 슬라이딩 어셈블리에 장착하였을 때 상기 제3접속단자(31)는 상기 제2공급단자(22)와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 어셈블리에 제2공급단자까지 인가된 차량의 전원은 제3접속단자를 통해 램프 어셈블리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램프 어셈블리에는 램프부(32)가 설치되어 있는데, 램프부(32)는 램프 어셈블리(30)의 일면에 설치되어 러기지룸 내부를 비추는 실내램프(321)와, 램프 어셈블리(30)의 측면에 설치되어 램프 어셈블리 탈거 시 손전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손전등램프(322)를 포함한다. 이들 램프는 LED로 구성될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하우징 내부에 내장 설치된다.
또한 램프 어셈블리에는 배터리(33)가 내장되어 있는데, 배터리는 램프 어셈블리를 슬라이딩 어셈블리에 장착하였을 때 상기 제3접속단자(31)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램프 어셈블리가 슬라이딩 어셈블리로부터 분리되었을 때에는 배터리(33)가 손전등램프(322)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램프 어셈블리에는 상기 램프부와 배터리(33)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램프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34)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슬라이딩 어셈블리로부터 분리된 램프 어셈블리의 배면에 설치된 스위치(34)를 통해 손전등램프(322)를 온오프 할 수 있다.
램프(321,322), 배터리(33), 스위치(34) 등은 PCB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어셈블리(20)의 스위치 수용홈(26; 도 5 참조)은 스위치(34)의 오프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스위치(34)를 오프로 한 후 슬라이딩 어셈블리에 끼워야 제대로 끼워지며 사용자가 착오로 스위치(34)를 온 위치로 한 상태로 슬라이딩 어셈블리에 끼우려고 할 때에는 스위치 수용홈(26)과 스위치(34)의 위치가 어긋나 램프 어셈블리가 슬라이딩 어셈블리에 들어맞지 않게 되고, 이로써 사용자는 스위치가 잘못된 위치에 있음을 깨달을 수 있다.
한편 실내램프(321)는 차량의 제1공급단자(2)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작동하며 램프 어셈블리를 슬라이딩 어셈블리로부터 분리한 경우 접속이 끊겨 전원공급이 중단된다.
따라서 전원공급계통을 살피면, 이는 차량 전원으로부터 설치부(1)의 제1공급단자(2), 하우징(10)의 제1접속단자(12)와 접속레일(13), 슬라이딩 어셈블리(20)의 제2접속단자(21)와 제2공급단자(22), 그리고 램프 어셈블리(30)의 제3접속단자(31)를 통해 램프 어셈블리(30)의 램프부(32)와 배터리(33)에 공급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램프는 스파크로부터 보호되어야 하는바, TVS 소자를 이용하여 사용 보호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단자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딩 어셈블리는 하우징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데, 슬라이딩 어셈블리의 위치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그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하우징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홈(14)이 일정 간격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딩 어셈블리(20)의 양단부에는 레버(23)가 설치되어 있다. 레버는 슬라이딩 어셈블리(20)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며 레버 끝단의 돌기(231)가 걸림홈(14)에 들어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어 평상시에는 탄성력에 의해 걸림홈(14)에 돌기(231)가 수용된 상태로 되어 있어 슬라이딩 어셈블리(20)의 위치가 고정된다(도 9의 (a) 참조). 좌우측의 돌기(231) 내측면에는 수직면(231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두 돌기의 수직면(231a)이 각각 걸림홈(14)에 좌우방향으로 걸리게 되어 이 상태에서는 슬라이딩 어셈블리를 좌우로 밀어도 밀리지 않게 된다.
사용자가 위치를 옮기고자 할 경우, 가령 슬라이딩 어셈블리를 우측으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의 레버(23)를 우측으로 손으로 눌러준다. 그러면 탄성력을 이기면서 좌측의 레버가 들어올려지고 레버 단부의 돌기(231)가 걸림홈(14)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므로 우측방향으로의 걸림이 해제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으로 계속 좌측 레버를 우측으로 밀게 되면 미는 힘이 우측 레버에 전달된다. 우측 레버의 돌기(231)의 우측면(외측면)은 경사면(231b)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경사면을 따라 우측 레버 역시 탄성력을 이기며 들어올려져 오측 레버의 돌기가 걸림홈(14)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어셈블리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우측으로 이동 중 우측 레버(23)는 지속적으로 걸림홈(14)에 걸렸다가 해제되기를 반복하므로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이동 시 클릭감을 느낄 수 있다.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을 마친 후 사용자가 좌측 레버에서 손을 떼면 좌측 레버는 원위치로 돌아가 돌기가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에 끼워지게 되고 다시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사항은 사용자가 슬라이딩 어셈블리를 좌측으로 밀려고 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램프 어셈블리(30)의 착탈구조에 대해 도 10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딩 어셈블리(20)에는 힌지축(241)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클립(24)이 설치되어 있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고정클립(24)의 단부에는 후크(24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슬라이딩 어셈블리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걸림턱(25)과 체결 및 해제가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243)를 이용하여 고정클립(24)을 열거나 닫을 수 있으며 걸림턱과 후크의 걸림에 의해 램프 어셈블리(30)는 슬라이딩 어셈블리의 내면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램프 어셈블리(30)가 슬라이딩 어셈블리(20)에 고정되면,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레일(13), 제2접속단자(21), 제2공급단자(22), 제3접속단자(31)가 전기적으로 접속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러기지램프 일체형 카고스크린의 기능과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러기지램프 일체형 카고스크린은 러기지룸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실내램프(321)의 자동 점등, 또는 사용자 점등(도 8의 스위치 등을 리어필라트림에 설치함)을 통해 도 11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기지룸을 좌우폭 120ㅀ, 전후폭 90ㅀ로 비추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실내램프(321)의 위치를 하우징을 따라 좌우로 옮겨 원하는 곳을 비출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램프 어셈블리(30)를 분리하면 실내램프(321)는 전원이 끊겨 꺼지고 대신 스위치(34)를 켜서 램프 어셈블리 측면에 설치된 손전등램프(322)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1: 설치부
2: 제1공급단자
10: 하우징
11: 카고스크린
12: 제1접속단자
13: 접속레일
14: 걸림홈
20: 슬라이딩 어셈블리
21: 제2접속단자
22: 제2공급단자
23: 레버
231: 돌기
231a: 수직면
231b: 경사면
24: 고정클립
241: 힌지축
242: 후크
243: 손잡이
25: 걸림턱
26: 스위치 고정홈
30: 램프 어셈블리
31: 제3접속단자
32: 램프부
321: 실내램프
322: 손전등램프
33: 배터리
34: 스위치

Claims (8)

  1. 카고스크린이 내장된 바 형태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 어셈블리; 및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램프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일단부에 형성된 제1접속단자와, 상기 제1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설된 접속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스크린 일체형 러기지램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는 상기 접속레일과 슬라이딩 접속하는 제2접속단자(21)와, 상기 제2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공급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스크린 일체형 러기지램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램프 어셈블리는 램프 어셈블리를 슬라이딩 어셈블리에 장착하였을 때 상기 제2공급단자와 접속되는 제3접속단자, 상기 램프 어셈블리에 설치된 램프부, 상기 램프 어셈블리에 내장되며 상기 램프 어셈블리를 슬라이딩 어셈블리에 장착하였을 때 상기 제3접속단자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으로 충전되고, 상기 램프 어셈블리를 슬라이딩 어셈블리로부터 탈거하였을 때 램프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스크린 일체형 러기지램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는 램프 어셈블리의 일면에 설치되며 차량의 제1공급단자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실내램프와, 램프 어셈블리의 측면에 설치되며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손전등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스크린 일체형 러기지램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램프 어셈블리에 설치되며 상기 램프부와 배터리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램프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스크린 일체형 러기지램프.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의 양단에는 상기 걸림홈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되는 돌기가 형성된 레버가 설치되며,
    상기 돌기의 내측면은 수직면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면은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스크린 일체형 러기지램프.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에는 일단부가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와 힌지축으로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와 후크로 결합되는 고정클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스크린 일체형 러기지램프.
KR1020110140251A 2011-12-22 2011-12-22 카고스크린 일체형 러기지 램프 KR101327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251A KR101327053B1 (ko) 2011-12-22 2011-12-22 카고스크린 일체형 러기지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251A KR101327053B1 (ko) 2011-12-22 2011-12-22 카고스크린 일체형 러기지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711A KR20130072711A (ko) 2013-07-02
KR101327053B1 true KR101327053B1 (ko) 2013-11-07

Family

ID=48987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0251A KR101327053B1 (ko) 2011-12-22 2011-12-22 카고스크린 일체형 러기지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70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5229U (ko) * 1996-12-12 1998-09-15 양재신 자동차 엔진 후드의 램프 고정구조
KR0135163Y1 (ko) * 1996-10-31 1999-02-18 양재신 자동차의 엔진룸 램프
KR20050031555A (ko) * 2003-09-30 2005-04-0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카고스크린
KR20110110522A (ko) * 2010-04-01 2011-10-07 주식회사 일흥 자동차용 실내등 겸용 손전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5163Y1 (ko) * 1996-10-31 1999-02-18 양재신 자동차의 엔진룸 램프
KR19980035229U (ko) * 1996-12-12 1998-09-15 양재신 자동차 엔진 후드의 램프 고정구조
KR20050031555A (ko) * 2003-09-30 2005-04-0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카고스크린
KR20110110522A (ko) * 2010-04-01 2011-10-07 주식회사 일흥 자동차용 실내등 겸용 손전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711A (ko) 201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4663B1 (ko) 레일조명시스템용 led조명등
US7553062B2 (en) Light device
US6935874B1 (en) Cooking assembly with a safety device
KR20150015032A (ko) 전기 콘센트
KR101360673B1 (ko) 러기지 램프
KR101125243B1 (ko) 자동차용 실내등 겸용 손전등
KR200453730Y1 (ko) 개량 형광등 소켓
JP2011204508A (ja) スイッチ装置
US10549686B2 (en) Light bar for a motor vehicle
KR101327053B1 (ko) 카고스크린 일체형 러기지 램프
KR101725018B1 (ko) 경광용 기구
US20070014121A1 (en) Detachable light for vehicle interiors
JP2012248411A (ja) 照明器具
JP4481099B2 (ja) 車両用室内照明灯
KR20130053307A (ko) 차량의 오버헤드 콘솔
KR101285871B1 (ko) 충전커넥터 잠금장치
KR100836116B1 (ko) 차량용 러기지 램프
KR19980016347U (ko) 차량의 실내등 착탈 구조
KR20190065783A (ko) 글로브박스 연동형 글로브박스의 조명장치
KR200432658Y1 (ko) 매입형 조명등의 전구케이스 장착구조
KR200355813Y1 (ko) 원터치형 전구 소켓
KR101437458B1 (ko) 안개등 스위치
CN109149227B (zh) 无边框配线器具
KR20090047579A (ko) 조명등의 고정장치
GB2100400A (en) Lamp fi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