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6971B1 - 공놀이대 - Google Patents

공놀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971B1
KR101326971B1 KR1020130044581A KR20130044581A KR101326971B1 KR 101326971 B1 KR101326971 B1 KR 101326971B1 KR 1020130044581 A KR1020130044581 A KR 1020130044581A KR 20130044581 A KR20130044581 A KR 20130044581A KR 101326971 B1 KR101326971 B1 KR 101326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throwing
plate
swivel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4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연자
Original Assignee
황연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연자 filed Critical 황연자
Priority to KR1020130044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9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971B1/ko
Priority to PCT/KR2014/002994 priority patent/WO201417557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8Throwing or slinging toys, e.g. flying disc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36Accessories for stowing, putting away or transporting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2Shooting or hurling games
    • A63F9/0252Shoot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3Supports, e.g. poles
    • A63B2071/025Supports, e.g. poles on rollers or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1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63/08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 opening for ball, e.g. for baske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09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handicapp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2Shooting or hurling games
    • A63F9/0252Shooting devices therefor
    • A63F2009/0265Shooting devices therefor using resilient elements
    • A63F2009/0273Catapul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놀이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소방식을 이용하여 공을 멀리 투척하고, 물체를 보다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지렛대의 원리를 학습하도록 한 것으로서, 종래의 공을 이용한 놀이대는 농구와 같이 자체탄성력으로 당겼다 놓는 발사대의 동작으로 공을 날려 농구대에 공을 넣는 게임이 제공되었으나, 반동을 얻기 위해서 뿔을 잡아당겨야 하는데 이러한 힘은 노약자가 발휘하기가 쉽지 않고, 뿔을 잡아당긴 후 공을 올려놓기 때문에 힘이 약한 노약자가 장시간 게임을 즐기기 곤란하며, 농구대와 발사대가 나누어져 보관상의 문제가 있었던바. 본 발명은 시소방식으로 투척회전대의 공안착대에 공을 올려놓고 타단 손잡이에 가해진 힘에 의해 반동으로 공이 투척되고, 투척된 공을 사용자가 잡는 야구나 보관함체에 넣어 득점을 하는 농구 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보관함체의 캐스터를 이용하여 보관함체에 사용자가 탑승한 후 반환점을 돌아오는 게임을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함체를 보관함체에 수납하여 부피를 줄여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고, 보관 장소의 애로사항도 해결하며, 투척회전대의 회전중심을 이동하게 하여 물체를 들어올리는 지렛대의 힘의 작용과 반동을 학습할 수 있는 공놀이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공놀이대{Throwing-ball game apparatus}
본 발명은 공놀이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소방식과 같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투척회전대의 공안착대에 공을 올려놓고 타단 손잡이에 힘을 가하면 반동이 발생하게 되고, 그 회전력을 전달받은 공은 발사되어 다른 이용자가 공을 받을 수 있는 야구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하고, 또는 공놀이대의 지지함체를 수납과 놀이용 공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보관함체를 게임시 멀리 떨어뜨려 놓고, 그 보관함체에 발사된 공을 넣어 득점하는 축구 및 농구와 같은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보관함체에 사람을 탑승시키고 밀어서 반환점을 돌아오는 게임을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척회전대의 회전중심을 이동가능하게 하여 회전중심과 물체의 거리에 따라 물체를 들어올리기 위하여 가하는 힘이 달라지는 지렛대의 작용과 반동원리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공놀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을 이용하여 즐길 수 있는 놀이로는 야구, 축구, 농구 및 골프 등등 게임을 즐길 수 있고, 이러한 운동 외에도 공놀이를 응용하여 즐길 수 있는 예를 들어 공을 탄성밴드 또는 탄성판체에 올려놓고 반동을 이용하여 발사시켜 공을 잡는 게임을 할 수 있다.
이렇게 공을 가지고 즐기는 운동은 성인과 어린이에게 운동효과뿐만 아니라 공을 던지거나 잡는 순발력과 집중력 그리고 순간적인 판단력의 향상 및 여러 사람이 함께하는 운동을 통해 협동심을 배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의 크기와 질감 등을 손으로 만지면서 인지력과 창의력을 높여 성장기 어린이들에게 지능지수를 높일 수 있고, 또한 연로하신 노인들에게도 치매와 중풍 등의 노인성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실내외에서 공놀이를 즐길 수 있는 공놀이 기구를 많이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공을 이용한 놀이 중에서 놀이대를 이용하여 공을 네트로 넘기도록 쳐서 득점을 하는 방식이 있고, 또는 공을 발사대에 올려놓고 투척시켜 골대에 넣거나 공을 잡는 방식이 있다.
본 발명은 공을 투척시켜 공을 잡거나 골대에 넣는 방식의 놀이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종래에 공개된 공을 이용한 놀이대는 실용신안공개 제1998-065164호(명치: 코끼리 형상의 농구대와 코뿔소형상의 발사대를 갖는 완구) 공개되었으며, 그 구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크게, 보관함과 백보드가 구비된 농구대와 농구공을 발사시킬 수 있는 탄성력을 갖는 뿔에 농구공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마운트가 설치된 발사대로 구성되어, 마운트에 농구공을 올려놓고 뿔을 잡아당긴 후 놓으면 공이 반동에 의해 농구대에 골인시키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 공을 이용한 놀이대는 공을 발사시키기 위해서는 뿔을 잡아당겨 반동을 얻어야 하지만 이러한 힘은 노약자가 발휘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마운트는 최초 뿔에 탄성력에 의해 세워진 상태에 가깝게 이루고 있어 뿔을 잡아당긴 후 마운트에 농구공을 올려놓아야 하기 때문에 특히 힘이 약한 노약자가 게임을 즐기기가 더욱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농구대와 발사대가 각각 독립적으로 나누어져 보관상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각각으로 독립된 농구대와 발사대를 노약자 혼자서 게임을 즐기고자 하는 위치까지 놀이대를 이동하기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공놀이대를 시소방식으로 구성시켜, 게임을 즐기는 성인뿐만 아니라 힘이 약한 노약자도 적은힘의 누름 동작으로 손쉽게 공 투척방식의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하고, 투척된 공은 사람이 받는 야구나 골대에 넣어 득점하는 농구와 같은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하며, 공놀이대를 이동 가능하게 하여 운반을 손쉽게 하고, 그렇게 이동가능하게 함으로써, 공놀이뿐만 아니라 사람이 탑승한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며, 게임을 끝낸 후 보관시에는 부피를 최소한으로 줄여 공간을 덜 차지하게 하고,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도록 회전축을 가변시켜 물체를 들어올리는 작용과 반동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공놀이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회전공간이 형성되도록 간격을 두고 세워 설치되는 전,후면판과 그 전,후면판의 양측을 폐쇄하는 측면판과 전,후면판의 하부를 폐쇄하는 하면판이 구비되고, 하면판 하면에는 복수의 다리가 마련되되, 상기 전면판의 중앙부분은 상부에서 하부까지 개구된 전면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후면판의 중앙부분은 하부에 형성된 단턱까지 개구된 후면개구부가 마련된 지지함체 및 시소방식의 회전력으로 공을 투척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함체의 내부 회전공간 양측 측면판 내부에 설치된 회전축이 삽입되는 축구멍이 형성되어 전,후면개구부를 통해 선단과 말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간섭없이 회전가능하게 되며, 선단은 사용자의 누르는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가 마련되고, 말단의 상면에는 투척할 공이 안착되는 공안착부가 구비된 투척회전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함체가 수납 보관되거나 수납된 지지함체를 꺼낸 후 거리를 두고 위치시켜 투척회전대에 의해 투척된 공이 들어가 득점하거나, 사람이 탑승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지지함체의 다리 및 공이 삽입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사각함체로 형성되며, 하면에는 이동 및 정지상태가 가능하도록 복수의 캐스터가 장착된 보관함체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지렛대의 원리를 학습하도록 상기 투척회전대의 회전 중심을 길이방향으로 가변가능하게 하는 회전중심가변수단을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공놀이대의 투척회전대를 시소방식과 같이, 선단에 힘을 가하면 그 말단의 반동을 이용하여 공을 투척함으로써, 노약자의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투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투척된 공을 다른 사용자가 잡는 야구게임을 즐길 수도 있고, 또는 보관함에 공을 넣는 농구게임을 즐길 수 있는 것으로서, 게임을 즐기는 사용자의 순발력과 판단력, 근력 그리고 눈과 손의 협응력 및 집중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놀이용 공의 재질을 연성 또는 경성으로 형성하거나, 표면의 거친 정도를 손으로 만지면서 느낄 수 있도록 하여 그에 따른 인지력을 향상시킬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관함체를 카트와 같이 사용할 수 있어서, 보관함체에 사용자를 탑승시켜 반환점을 돌아오는 게임을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놀이대를 비사용할 때는 지지함체를 보관함에 수납하고 손쉽게 운반 및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놀이대를 비사용할 때는 투척회전대를 세워서 고정함으로써, 부피를 최소화시켜 작은 공간에도 비교적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안착부에 직경이 다른 공을 수용하여 안착할 수 있어서, 투척할 공의 크기에 제한을 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투척회전대에 회전중심가변수단을 적용함으로써, 공안착부에 올려지는 물체와 회전축의 거리를 길거나 짧게 하여 물체를 들어올리는데 필요한 힘에 의한 작용을 배울 수 있는 지렛대원리를 학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놀이대가 지지함체에 수납 보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공놀이대의 지지함체를 보관함체에서 꺼내지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 내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척회전대가 차단판에 의해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발췌 사시도
도 5는 투척회전대가 수직으로 회전되어 끼움으로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는 투척회전대가 수직으로 회전되어 자력으로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운반손잡이와 탐승손잡이가 마련된 보관함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중심가변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은 도 8에서 회전중심가변수단을 발췌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0는 도 8의 평면도
도 11은 도 8에서 투척회전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공을 투척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공놀이대(1)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크게 내부 회전공간(17)이 형성되도록 함체로 이루어진 지지함체(10)와 그 지지함체(10) 회전공간(17)에 설치된 회전축(19)에 시소와 같은 방식으로 설치되어 반동을 이용하여 공을 발사하는 투척회전대(20)를 포함하고, 여기서 공놀이대(1)를 비사용할 때 지지함체(10)를 수용하여 보관하거나 투척된 공을 넣는 골대로 사용할 수 있는 보관함체(3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지지함체(10)는 세워서 설치되는 전면판(11)과 그 전면판(11)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후면판(12)이 설치되고, 전,후면판(11)(12)의 양측면을 폐쇄하는 측면판(13)이 각각 설치되며, 그리고 전,후면판(11)(12)의 하부를 폐쇄하는 하면판(14)이 구비되어 내부에 회전공간(17)이 형성된다.
여기서, 지지함체(10)의 회전공간(17)에 설치되는 투척회전대(20)가 회전축(19)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전,후면판(11)(12)에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전면판(11)의 중앙부분에 전면개구부(11a)가 상부에서 하부까지 개구되어 형성되고, 후면판(12)은 후면개구부(12a)가 중앙부분에서 하부에 상부로 돌출된 단턱(12b)까지 개구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후면판(12)에 형성된 단턱(12b)은 투척회전대(20)의 말단 하면이 닿으면서 더 이상 하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구비시켜, 말단에 올려지는 공이 떨어지지 않는 각도를 유지하기 위함이며, 또한 말단의 대응하는 선단의 각도가 최초 높게 위치하지 않도록 하여 어린이들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하면판(12) 저면에는 지지함체(10)를 지면이나 운동장 바닥에서 적정한 높이로 이격시켜 회전축(19)에 의해 경사진 투척회전대(20)의 선단과 말단이 바닥에 닿지 않도록 복수의 다리(18)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19)에 설치되는 투척회전대(20)는 회전축(19)을 중심으로 시소방식으로 선단에 힘을 가하여 누르면 말단은 반동으로 상승하여 말단에 장착된 공이 투척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투척회전대(2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회전공간(17)에 설치된 회전축(17)이 삽입되는 축구멍(21)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선단에는 손으로 누르도록 손잡이(22)가 마련되며, 말단의 상면에는 공이 떨어지지 않도록 안착하는 공안착부(25)가 구비되고, 이렇게 구성된 투척회전대는 상기 지지함체(10)의 전,후면판(11)(12)에 각각 형성되는 전,후면개구부(11a)(12a)에 선단과 말단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22) 양측면에는 첨부된 도면 도 8과 같이, 신장이 작은 어린이가 좀더 편리하게 잡거나 온몸의 무게를 이용하도록 순간적으로 매달리는 보조손잡이(22a)가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축구멍(21)의 위치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최초 공이 안착된 상태에서 투척회전대(20)의 말단이 공안착부(25)의 무게에 의해서 내려간 상태를 이루고, 선단 손잡이(22)의 높이가 신장이 작은 어린이들의 손이 닿을 수 있는 높이와 노약자가 힘을 가했을 때, 말단을 들어올릴 수 있는 위치를 고려하여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공안착부(25)는 놀이용 공의 직경이 다른 것을 고려하여 직경이 큰 제1안착홈(25a)과, 그 하부에 제1안착홈(25a)보다 직경이 작은 제2안착홈(25b)을 다단으로 형성시켜 공의 크기에 제한을 두지 않고, 공안착부(25)를 통해 투척 가능하도록 하며, 또는 다양한 크기의 공을 안착할 수 있도록 안착홈의 수를 늘릴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작은 탁구공 또는 골프공을 시작으로 단이 올라갈수록 야구공, 축구공 그리고 농구공을 수용할 수 있는 다단의 요홈을 형성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지지함체(10)의 하면판(14)은 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폐쇄할 수도 있고, 첨부된 도면 도 3과 같이, 하면판(14)의 중앙부분이 전방에서 회전축(19) 중심의 후방으로 이격된 거리까지 즉, 회전공간(17)의 중앙부분까지 개구된 하면개구부(14a)를 형성시켜 상기 전면판(11)의 전면개구부(11a)와 연통하도록 마련하면, 투척회전대(20)가 간섭없이 크게 회전시켜 반발력을 증대할 수 있다.
상기 단턱(12b)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투척회전대(20)가 투척 후, 역으로 복귀하면서 큰 충격이 전달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펀지 또는 합성고무로 이루어진 충격흡수구(12c)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면개구부(14a)에 형성된 내측단부(14b) 상부에는 투척회전대(20)가 회전하는데 간섭이 없는 높이로 돌출되는 보조판(16)을 구성시켜 지지함체(10)의 양측 측면판(13)과 하면판(14)을 지지하여 지지함체(10)를 보강하는 동시에, 보조판(16)의 일측 즉, 하면판(14)에서 개구되지 않은 후방부분에는 공 및 글러브 등의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보조공간(16a)이 형성된다.
여기서 나아가, 첨부된 도면 도 4와 같이, 상기 투척회전대(20)를 사용시에는 하면개구부(14a)를 개방하여 회전가능하게 하고, 비사용시에는 하면개구부(14a)를 폐쇄시켜 투척회전대(20)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판(14) 하면개구부(14a)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는 차단판(51)의 말단에 회전핀(52)을 구비하고, 선단에는 하면개구부(14a)를 폐쇄하도록 회전되어 안착되는 부분에 수용고정홈(53)을 형성시켜 차단판(51)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때 투척회전대(20)의 중심은 회전축(19)의 중심을 넘어가지 않도록 경사진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서, 운반 중 외부충격으로 회전되어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요소를 해소할 수도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상기 투척회전대(20)가 회전하여 세워진 상태를 이룰 때 충격흡수 및 세움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 도 5와 같이, 하면개구부(14a)의 내측단부(14b)에 외부로 돌출된 충격흡수돌기(15a)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투척회전대(20)의 밑면에는 고정홈(24a)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힘차게 투척회전대(20)를 회전시키면 충격흡수돌기(15a)에 밑면 고정홈(24a)이 닿으면서 충격이 흡수되도록 하고, 공놀이대(1)를 보관할 때는 투척회전대(20)를 세워 충격흡수돌기(15a)가 고정홈(24a)에 억지끼움식으로 끼워 고정하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있도록 하며, 이러한 상기 충격흡수돌기(15a)는 고정홈(24a)에 끼움과 빠짐이 용이하도록 스펀지 또는 합성고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첨부된 도면도 6과 같이, 투척회전대(20)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내측단부(14b)의 일면과 투척회전대(20)의 선단 밑면에 자력으로 붙어 고정되도록 자석(15b)과 철판(24b)을 각각 부착시켜 고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보관함체(30)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공놀이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지지함체(10)의 다리(18)가 안착되어 수납 보관되거나, 공놀이를 즐길 경우에는 지지함체(10)를 꺼내고 적정한 거리에 두고 위치시켜 농구와 같이 투척회전대(20)에 투척된 공을 넣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지지함체(10)의 다리(18) 및 공 그리고 게임을 할 때 필요한 물건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31)이 형성된 사각형상의 함체로 형성되며, 그 하면에는 운반을 용이하도록 구름동작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캐스터(32)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보관함체(30)에서 전방의 전면판체(33)는 상단부 높이보다 낮게 되도록 단차부(33a)를 형성시켜, 상측과 전방에 개구부를 확대시켜 날아오는 공이 높거나 낮게 날아오더라도 넓어진 개구부를 통해 수용공간(31)에 들어갈 확률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관함체(30)를 작은 힘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키도록 후방에 위치한 후면판체(34)의 상부 또는 측면판체(35)의 측면에 상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운반손잡이(36)를 설치시켜, 그 운반손잡이(36)를 사용자가 밀면 보관함체(30)의 캐스터(32)가 구름동작 하면서 보관함체(30)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보관함체(30)에 물건이 아닌 사람이 탑승하여 반환점을 돌아오는 게임을 즐길 경우에는 탑승자의 안전을 목적으로 손으로 쥘 수 있는 탑승손잡이통공(37)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탑승손잡이통공(37)은 측면판체(35)에 형성되거나 또는 전면판체(33)에 각각 형성되거나, 또는 측면판체(35)와 전면판체(33)에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승손잡이통공(37)은 첨부된 도면 도 2와 같이, 통공으로 형성시키되, 그 탑승손잡이통공(37)의 형상은 하트형상이나 동물형상과 같은 게임을 하는 아이들에게 재미와 심미감이 감득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첨부된 도면 도 7과 같이, 측면판체(35)의 상면에 봉형상의 손잡이바를 측면판체(35)의 상면에 설치되는 탑승손잡이(38)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공놀이대(1)는 첨부된 도면 도 8 내지 도 11과 같이, 어린이들에게 지렛대의 원리를 이해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회전중심가변수단(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중심가변수단은(40) 투척회전대의(20) 축구멍을 이동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긴 이동장공(41)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투척회전대(20)의 두께보다 넓은 내부 수용부를(42a) 형성시켜 투척회전대(20)를 용이하게 삽입하도록 "∪"자 형상의 고정브라켓(42)을 형성시키되, 상기 고정브라켓(42)에는 회전축(19)이 삽입 통과하는 관통구멍(42b)이 형성되며, 고정브라켓(42)의 일측에는 관통구멍(42b)과 이격된 위치에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구멍(42c)이 형성되고, 타측 내면에는 투척회전대(20)의 대응면에 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제1밀착패드(42d)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42)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구멍(42c)과 나사 체결되는 밀착고정구(43)가 구비되되, 상기 밀착고정구(43)는 투척회전대(20)를 바라보는 일단에 제2밀착패드(43a)를 구비시켜, 타단의 헤드를 회전시키면 제2밀착패드(43a)가 투척회전대(20)를 밀어 제1밀착패드(42d)와 함께 투척회전대(20)를 밀착 고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이(42) 회전축(19)의 정확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도록 고정브라켓(42) 양측 관통구멍(42d)에 각각 고정설치되고, 회전축(19)과 고정볼트(44a)로 고정되는 보스(44)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렇게 구성되면, 회전축(19)과 고정브라켓(42)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투척회전대(20)만 밀착고정구(43)의 해제와 밀착에 의해 이동 및 고정 가능하게 이루어져, 회전중심이 가변된다.
따라서, 투척회전대(20)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동장공(41)에서 회전축(19)의 중심은 가변함으로써, 공안착부(25)와 중심 회전축(19)의 거리가 멀어지면 반동으로 공을 들어올리기 위한 누르는 큰 힘이 필요하게 되고, 역으로 공안착부(25)와 중심 회전축(19)의 거리가 짧아지면 손잡이(22)의 누르는 힘은 비교적 적게 필요하게 되는 지렛대의 원리를 학습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투척회전대(20)는 사용자가 손으로 눌러 작동시킬 수도 있고, 어린 아이들은 손과 함께 몸으로 눌러 힘을 가중시켜 성인과 같은 큰 힘을 발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놀이용 공은 그 재질을 어린아이나 노인들이 안전하게 즐길 수 있도록 말랑말랑한 연성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일반인이 야구를 체험할 수 있도록 경성으로도 형성가능하며, 공 표면의 거친 정도를 조절하여 손으로 만지는 인지력과 촉감각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공놀이대(1)의 바람직한 크기를 살펴보면, 지지함체(10)의 크기는 가로길이가 48cm, 세로길이가 76cm, 높이가 76cm 이고, 투척회전대의(20) 가로 길이는 130cm 이고, 공안착부의 직경은 18cm 이며, 제1안착부의 직경은 12cm 이며, 제2안착부의 직경은 5cm 로 형성되고, 보관함체(30)의 크기는 가로 55cm, 세로 54cm, 높이가 25cm 이고, 전방의 전면판체의 높이는 15cm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공놀이 게임을 준비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준비 과정에서는 본 발명의 보관함체(30)가 포함된 공놀이대(1)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 도 1과 같이, 지지함체(10)가 수납된 보관함체(30)로 운반하여 게임을 즐기기 위한 위치로 이동한 후, 지지함체(10)를 꺼내고, 그 지지함체(10)와 적정한 거리를 두고 보관함체(30)를 위치시킨다.
이후, 지지함체(10)에 폭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 세워진 투척회전대(20)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그 말단 밑면이 후면판(12)의 단턱(12b) 상면 또는 충격흡수구(12c)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다음, 첨부된 도면 도 12와 같이, 공안착부(25)에 형성된 제1안착부(25a) 또는 제2안착부(25b)에 공의 직경에 맞춰 적정한 위치에 공을 올려놓아 공안착부(25)에서 공이 떨어지지 않도록 준비한다.
이렇게 준비가 완성되면, 투척회전대(20)의 손잡이(22)를 사용자가 눌러 그 반동에 의해 공이 투척되고, 멀리 투척되어 날아온 공을 다른 사용자가 손으로 잡거나 또는 손잡이(22)에 가하는 힘을 조절하여 보관함체(30)의 수용공간(31)에 공을 넣어 득점을 한다.
여기서, 공놀이대(1)의 보관함체(30)는 공을 넣는 게임 외에도 사용자가 탑승하고, 다른 사용자가 밀어서 반환점을 돌아오는 2인 1조 경기를 하면서 협동심을 기를 수도 있다.
한편, 공놀이대(1)에 회전중심가변수단(40)이 장착된 경우에는 투척회전대(20)가 회전하는 중심을 길이방향으로 이동 즉, 공안착부(25)와 회전중심을 가깝게 하거나 또는 멀리 떨어뜨림으로써, 공안착부(25)에 올려진 공이나 중량의 무게를 들어올리거나 투척하는 힘의 차이를 느낄 수 있는 지렛대원리의 학습효과를 어린이들에게 실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시소방식과 지렛대원리를 이용한 놀이를 통해 근력을 키울 수 있는 운동뿐만 아니라, 공을 투척하는 순발력과 공을 잡는 순간적인 판단력 및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공에 전달되는 힘의 세기에 따라 반동으로 날아가는 거리를 알 수 있는 힘의 작용도 학습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공놀이대: 1 지지함체: 10
전면판: 11 후면판: 12
측면판: 13 하면판: 14
고정돌기: 15a 자석: 15b
보조판: 16 회전공간: 17
다리: 18 회전축: 19
투척회전대: 20 축구멍: 21
손잡이: 22 보조손잡이: 23
고정홈:24a 철판: 24b
공안착부: 25 보관함체: 30
수용공간: 31 캐스터: 32
전면판체: 33 후면판체: 34
측면판체: 35 운반손잡이: 36
탑승손잡이통공: 37 회전중심가변수단: 40
이동장공: 41 고정브라켓: 42
밀착고정구: 43 보스: 44
차단판: 51 회전핀: 52
수용고정홈: 53

Claims (11)

  1.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회전공간(17)이 형성되도록 간격을 두고 세워 설치되는 전,후면판(11)(12)과 그 전,후면판(11)(12)의 양측을 폐쇄하는 측면판(13)과 전,후면판(11)(12)의 하부를 폐쇄하는 하면판(14)이 구비되고, 하면판(14) 하면에는 복수의 다리(18)가 마련되되, 상기 전면판(11)의 중앙부분은 상부에서 하부까지 개구된 전면개구부(11a)가 마련되고, 상기 후면판(12)의 중앙부분은 하부에 형성된 단턱(12b)까지 개구된 후면개구부(12a)가 마련된 지지함체(10); 및
    시소방식의 회전력으로 공을 투척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함체(10)의 측면판(13) 내부 회전공간(17)에 설치된 회전축(19)이 삽입되는 축구멍(21)이 형성되고, 그 전,후면개구부(11a)(12a)를 통해 선단과 말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간섭없이 회전가능하게 되며, 선단은 사용자가 누르는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22)가 마련되고, 말단의 상면에는 투척할 공이 안착되는 공안착부(25)가 구비된 투척회전대(2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함체(10)의 하면판(14)은 중앙부분이 전방에서 회전축(19) 중심의 후방으로 이격된 거리까지 상기 전면개구부(11a)와 연통하게 개구시켜 투척회전대(20)가 간섭없이 회전되도록 하면개구부(14a)를 형성하며, 상기 하면판(14)의 상면에는 하면개구부(14a)를 폐쇄시 하면개구부(14a)를 가로지르는 차단판(51)의 말단에 회전핀(52)이 구비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이 안착하는 상면에는 수용고정홈(53)을 형성하여, 투척회전대(20)를 사용시에는 차단판(51)을 세워 하면개구부(14a)를 개방하고, 비사용시에는 투척회전대(20)를 세운 상태에서 차단판(51)을 하면개구부(14a)를 폐쇄하도록 회전시켜 투척회전대(20)의 손잡이(21)가 걸려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놀이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함체(10)가 수납 보관되거나 수납된 지지함체(10)를 꺼낸 후 거리를 두고 위치시켜 투척회전대(20)에 의해 투척된 공이 들어가 득점하거나, 사람이 탑승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지지함체(10)의 다리(18) 및 공이 삽입될수 있는 수용공간(31)이 형성된 사각함체로 형성되며, 하면에는 이동 및 정지상태가 가능하도록 복수의 캐스터(32)가 장착된 보관함체(3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놀이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체(30)의 전면판체(33) 또는 양측 측면판체(35)에 탑승한 사람의 이동 중 안전을 위해서 탑승손잡이통공(37)이 형성되거나, 또는 양측 측면판체(35)의 상면에 탑승손잡이(38)가 구비되고, 보관함체(30)의 후방 상면에는 보관함체(30)를 밀어서 캐스터(32)를 동작시켜 손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설치된 운반손잡이(3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놀이대.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개구부(14a)의 내측에 형성된 내측단부(14b) 상부에는 투척회전대(20)가 회전하는데 간섭이 없는 높이로 돌출되어 지지함체(10)를 보강하는 동시에, 구획시켜 개구되지 않은 하면판(14)의 후방부분에 물건을 보관할 수 있는 보조공간(16a)을 형성하도록 하는 보조판(16)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놀이대.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판(14)에 형성된 내측단부(14b)에 외부로 돌출된 충격흡수돌기(15a)를 형성하고, 투척회전대(20)의 손잡이(21) 하면에 충격흡수돌기(15a)에 대응위치에는 회전하여 공을 투척하거나 또는 보관하기 위해서 세워질 때, 충격흡수돌기(15a)가 삽입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고, 보관시에는 억지 끼움으로 세움 고정되도록 고정홈(24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놀이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판(14)에 형성된 내측단부(14b)에 자석(15b)을 설치하고, 자석(15b)과 대응하는 투척회전대(20)의 손잡이 하면에는 자석(15b)과 자력으로 부착되도록 철판(24b)이 설치되어, 보관시 투척회전대(20)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놀이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안착부(25)는 직경이 큰 제1안착홈(25a)과 그 하부에 제1안착홈(25a)의 직경보다 작은 제2안착홈(25b)을 다단으로 형성시켜 놀이용 공의 직경에 상관없이 수용하여 투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놀이대.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12)의 단턱(12b) 상면에 돌출되어 투척회전대(20)가 복귀 회전할 때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충격흡수구(12c)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놀이대.
  11.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회전공간(17)이 형성되도록 간격을 두고 세워 설치되는 전,후면판(11)(12)과 그 전,후면판(11)(12)의 양측을 폐쇄하는 측면판(13)과 전,후면판(11)(12)의 하부를 폐쇄하는 하면판(14)이 구비되고, 하면판(14) 하면에는 복수의 다리(18)가 마련되되, 상기 전면판(11)의 중앙부분은 상부에서 하부까지 개구된 전면개구부(11a)가 마련되고, 상기 후면판(12)의 중앙부분은 하부에 형성된 단턱(12b)까지 개구된 후면개구부(12a)가 마련된 지지함체(10); 및
    시소방식의 회전력으로 공을 투척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함체(10)의 측면판(13) 내부 회전공간(17)에 설치된 회전축(19)이 삽입되는 축구멍(21)이 형성되고, 그 전,후면개구부(11a)(12a)를 통해 선단과 말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간섭없이 회전가능하게 되며, 선단은 사용자가 누르는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22)가 마련되고, 말단의 상면에는 투척할 공이 안착되는 공안착부(25)가 구비된 투척회전대(20);를 포함하되,
    지렛대의 원리를 학습하도록 상기 투척회전대(20)의 회전 중심을 길이방향으로 가변가능하게 하는 회전중심가변수단(40)을 더 포함시키되,
    상기 회전중심가변수단(40)은 투척회전대(20)의 축구멍을 회전축(19)이 삽입된 상태에서 투척회전대(2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공으로 형성한 이동장공(41);
    상기 투척회전대(20)의 두께보다 내부 수용부(42a)의 폭을 크게 형성시켜 투척회전대(20)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19)이 삽입 통과되는 관통구멍(42b)이 형성되며, 일측에 형성된 관통구멍(42b)과 이격된 위치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구멍(42c)이 형성되고, 타측 내면에는 제1밀착패드(42d)가 구비된 고정브라켓(42);
    상기 고정브라켓(42)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구멍(42c)과 볼트식으로 나사체결되고, 투척회전대(20)를 바라보는 일단에는 제2밀착패드(43a)가 구비되어, 타단의 헤드를 회전시켜 제2밀착패드(43a)가 투척회전대(20)를 제1밀착패드(42d)로 밀어 제1밀착패드(42d)와 제2밀착패드(43a)에 의해 고정되어 이동장공(41)으로 회전축(19)이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밀착고정구(43); 및
    상기 고정브라켓(42)이 설치된 회전축(19)의 정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브라켓(42)의 양측 관통구멍(42b)에 각각 고정설치되고, 관통구멍(42b)의 삽입되는 회전축(19)과 고정볼트(44a)로 고정되는 보스(4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놀이대.
KR1020130044581A 2013-04-23 2013-04-23 공놀이대 KR101326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581A KR101326971B1 (ko) 2013-04-23 2013-04-23 공놀이대
PCT/KR2014/002994 WO2014175579A1 (ko) 2013-04-23 2014-04-07 공놀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581A KR101326971B1 (ko) 2013-04-23 2013-04-23 공놀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6971B1 true KR101326971B1 (ko) 2013-11-13

Family

ID=49857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581A KR101326971B1 (ko) 2013-04-23 2013-04-23 공놀이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26971B1 (ko)
WO (1) WO2014175579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06811A (zh) * 2015-07-07 2015-09-16 南京星梦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拼装式投石车玩具
KR101819732B1 (ko) * 2016-08-04 2018-01-17 웰이노텍 주식회사 자치기 놀이기구
CN108187322A (zh) * 2018-02-02 2018-06-22 长泰县宏盛机械制造有限公司 双杆对称抛球器
CN109589620A (zh) * 2018-12-17 2019-04-09 汪大刚 一种游乐场用改良的抛投玩具
KR20210119840A (ko) * 2020-03-25 2021-10-06 (주)에이티바이오 반려동물용 투척기 및 투사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7388B (zh) * 2019-01-16 2024-03-22 王闻博 一种投石车玩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646Y1 (ko) * 1999-11-10 2000-07-15 최신규 공던지기 놀이용 로봇완구
US6102405A (en) 1997-10-30 2000-08-15 Spikes; Michael D. Toy catapult and game
KR20080004394U (ko) * 2007-04-02 2008-10-08 윤치호 투석기 모형완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909A (ko) * 2003-02-25 2003-03-10 박기철 농구 놀이완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2405A (en) 1997-10-30 2000-08-15 Spikes; Michael D. Toy catapult and game
KR200187646Y1 (ko) * 1999-11-10 2000-07-15 최신규 공던지기 놀이용 로봇완구
KR20080004394U (ko) * 2007-04-02 2008-10-08 윤치호 투석기 모형완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06811A (zh) * 2015-07-07 2015-09-16 南京星梦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拼装式投石车玩具
KR101819732B1 (ko) * 2016-08-04 2018-01-17 웰이노텍 주식회사 자치기 놀이기구
CN108187322A (zh) * 2018-02-02 2018-06-22 长泰县宏盛机械制造有限公司 双杆对称抛球器
CN109589620A (zh) * 2018-12-17 2019-04-09 汪大刚 一种游乐场用改良的抛投玩具
KR20210119840A (ko) * 2020-03-25 2021-10-06 (주)에이티바이오 반려동물용 투척기 및 투사체
KR102353867B1 (ko) 2020-03-25 2022-01-20 (주)에이티바이오 반려동물용 투척기 및 투사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75579A1 (ko) 2014-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6971B1 (ko) 공놀이대
US7753375B1 (en) Amusement ball receiving and return
US8216091B2 (en) Sliding impulse device
TWI667053B (zh) 遊戲桌
US9707472B2 (en) Tethered ball toy
US5556094A (en) Hockey-type game
KR200450824Y1 (ko) 투척 게임기구
US4585235A (en) Table ball game apparatus
KR20070000904U (ko) 손축구게임세트
US7182340B1 (en) Hockey player toy
CN211189082U (zh) 一种可倾斜的桌式足球游戏台
CN106730726A (zh) 一种多功能篮球训练装置
JP7079508B2 (ja) ゴルフのチッピングゲームのための装置およびプレイ方法
JP2004237039A (ja) 打球ゲーム用クラブ
CN112587890A (zh) 一种壁挂式运动专用设备
KR101029792B1 (ko) 야구놀이용 기구
CN218392183U (zh) 一种竞技足球场玩具
CN218046417U (zh) 一种用于娱乐健身的球炮平台
CN217908918U (zh) 带互动游戏的娃娃机
CN214808309U (zh) 一种足球训练器械
KR200487974Y1 (ko) 테이블 게임기구
CN209934043U (zh) 足球玩具
CN201105137Y (zh) 自抛自接球
CN202605705U (zh) 一种游戏台
CN211273442U (zh) 一种藤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