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5006B1 - Curtain Wall Having Phase Change Material - Google Patents

Curtain Wall Having Phase Change Mater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5006B1
KR101325006B1 KR1020130058424A KR20130058424A KR101325006B1 KR 101325006 B1 KR101325006 B1 KR 101325006B1 KR 1020130058424 A KR1020130058424 A KR 1020130058424A KR 20130058424 A KR20130058424 A KR 20130058424A KR 101325006 B1 KR101325006 B1 KR 101325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change
change material
glass
heat
g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84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61162A (en
Inventor
강재식
최경석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58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006B1/en
Publication of KR20130061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1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0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885Curtain walls comprising a supporting structure for flush mounted glazing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7Evacuating or fill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Equilibration of inside and outside pressure; Preventing condensation in the gap between the panes; Clean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2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상변화물질을 구비하는 커튼월은 겨울철 실외 공간과 실내 공간의 온도차에 의해 창호 또는 커튼월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결로 현상을 주위 온도에 따라 상변화하여 열을 저장하거나 열을 방출하는 상변화물질을 이용하여 방지할 수 있다.The curtain wall having a phase change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hase for storing heat or dissipating heat by changing the condensation phenomenon that may occur in a window or a curtain wall depending on the ambient temperature due to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an outdoor space and an indoor space in winter. It can be prevented by using change materials.

Description

상변화물질을 구비하는 커튼월{Curtain Wall Having Phase Change Material}Curtain Wall Having Phase Change Material

본 발명은 상변화물질을 구비하는 커튼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겨울철에 실내온도와 실외온도 차에 의해 창호 및 커튼월에서 발생하는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상변화물질을 구비하는 커튼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rtain wall having a phase change materi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rtain having a phase change material capable of preventing condensation occurring in windows and curtain walls due to a difference in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s in winter. It's about the month.

창호는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되는 각종의 창이나 문을 말하는데, 그 사용재료에 따라 목제 창호, 금속제 창호 및 플라스틱제 창호 등으로 분류된다.A window is a window or door that is installed in an opening of a window or an entrance to block the inside of the building from the outside, and is classified into a wood window, a metal window, and a plastic window depending on the material used.

특히 외벽 개구부에 설치되는 창호의 기능은 외부로부터의 기상변화에 대응하여 실내를 지키는 것이며, 외부의 소음이나 내부의 빛 등을 차단하는 역할도 한다. 특히 창에 있어서는 창을 열게 되면 통풍이나 환기 또는 채광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창을 닫게 되면 외부로부터 냉기, 비, 소리 등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Particularly, the function of the window installed in the opening of the outer wall is to protect the room in response to the change of the weather from the outside, and it also plays the role of blocking external noise and internal light. In particular, when the window is opened, the window serves to smooth ventilation or ventilation or lightening. When the window is closed, it blocks the entrance of cold air, rain, and sound into the room from the outside.

이와 같은 창호에 있어서, 겨울철에 창호의 표면이나 창호 프레임 등에 수분이 맺히는 결로 현상이 자주발생하게 된다.In such a window, moisture condensation often occurs on the surface of a window or a window frame in winter.

결로 현상은 수증기를 함유하고 있는 공기가 냉각되어 노점(露點) 이하로 되었을 때 수증기가 액화되어 이슬이 맺히는 현상으로 실내온도와 실외온도의 차이가 심한 겨울철에 많이 나타나는 현상이다.Condensation is a phenomenon in which water vapor is liquefied when air containing water vapor is cooled and becomes below the dew point, and dew is formed. This is a phenomenon frequently observed in winter when there is a great difference between room temperature and outdoor temperature.

이와 같은 결로 현상으로 인하여 창호의 표면이나 창호틀 등의 내구성이 취약해져 창호의 사용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Such dew condensation causes a problem that the durability of the surface of the window or the window frame is weakened and the service life of the window can be shortened.

뿐만 아니라 결로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이슬 등에 의해 곰팡이 등이 생기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결로 현상으로 곰팡이 등이 실내에 번식하게 되는 경우 실내 환경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molds may be formed due to dew which is generated by the condensation phenomenon. When the molds grow in the room due to such a condensation phenomenon, the indoor environment deteriorat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외온도와 실내온도 차에 의해 창호 또는 커튼월에서 발생되는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상변화물질을 구비하는 커튼월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rtain wall having a phase change material that can prevent condensation occurring in a window or curtain wall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outdoor temperature and the room temperature To prov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튼월은 복수개의 유리와, 상기 복수개의 유리 사이에 구비되어 각 유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와, 건물의 골조부에 결합되어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유리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의 공기유입을 차단하는 실링재와, 상기 유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삽입되어 탄성에 의한 반발력으로 상기 유리를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시키는 가스킷과, 상기 스페이서, 가스킷 및 실링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온도에 따라 액체에서 고체 또는 고체에서 액체로 변하면서 열을 저장하거나 열을 방출하는 상변화물질과, 상기 상변화물질을 감싸 상기 상변화물질의 상변화 시간을 지연시키는 단열재를 구비한다.Curtain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lurality of glass, a spacer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glass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each glass,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of the build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support member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member and a seal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member to block the inflow of air from the outside, and inserted between the glass and the support member to fix the glass to the support member by elastic repulsion. And a phase change material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spacer, the gasket, and the sealing material, the phase change material storing heat or releasing heat while changing from liquid to solid or solid to liquid according to a temperature; It is provid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to delay the phase change time of the phase change material.

이때 상기 상변화물질은 상변화 온도는 커튼월의 실내측 표면에 결로가 발생할 수 있는 온도인 20~30℃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phase change material may be a temperature of 20 ~ 30 ℃ that is a temperature at which condensation may occur on the interior surface of the curtain wall.

한편 상기 상변화물질은 상기 스페이서, 가스킷 및 실링재 중 적어도 하나에 혼합되거나, 상기 스페이서, 가스킷 및 실링재 중 적어도 하나에 채워질 수 있다.The phase change material may be mixed in at least one of the spacer, the gasket and the sealing material, or filled in at least one of the spacer, the gasket and the sealing material.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 가스킷 및 실링재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는 상기 상변화물질에서 발열된 열이 상기 실내공간 측 유리로 유도되도록 하는 열전달유도체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heat transfer conductor may be provided inside at least one of the spacer, the gasket, and the sealing material to generate heat generated from the phase change material to the glass on the interior space.

이때 상기 열전달유도체는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변화물질에서 발열된 열을 수집하는 열수집부와, 상기 열수집부에서 수집된 열을 상기 실내공간 측 유리로전달되도록 하는 열방출부를 구비한다.In this case, the heat transfer conductor is formed in a lattice form and includes a heat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heat generated from the phase change material, and a heat dissipating unit for transferring the heat collected from the heat collecting unit to the glass on the indoor space side.

한편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복수개의 유리 중에서 실외공간 측 유리와 접촉하는 제1접촉면과 실내공간 측 유리와 접촉하는 제2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접촉면의 면적은 상기 제1접촉면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pacer has a first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glass of the outdoor space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glass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plurality of glass, the area of the second contact surface is formed larg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contact surface Can be.

그리고 상기 가스킷이 상기 유리와 접하는 부분의 면적이 상기 가스킷이 상기 지지부재와 접하는 부분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area of the portion where the gasket contacts the glass may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portion where the gasket contacts the support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물질을 구비하는 커튼월에 의하면 주위 온도에 따라 상변화하여 열을 저장하거나 열을 방출하는 상변화물질을 이용하여 실외온도와 실내온도 차에 의해 창호 또는 커튼월에서 발생하는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urtain wall provided with a phase chang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ndows or curtains by using a phase change material that changes the phase according to the ambient temperature to store heat or emit he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outdoor temperature and the room temperature Condensation from the wall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물질을 구비하는 결로방지장치의 단면 사시도.
도 2는 겨울철에 시간의 변화에 따라 실외와 실내의 경계부에 설치되는 창호의 실외측 온도 및 실내측 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물질을 구비하는 결로방지장치의 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물질을 구비하는 창호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상변화물질을 구비하는 창호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물질을 구비하는 창호의 사시도.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물질을 구비하는 창호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물질을 구비하는 커튼월의 개략도.
도 14는 도 13의 커튼월에서 가로 지지부재 결합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물질을 구비하는 커튼월에서 가로 지지부재 결합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
1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dew condensation preventing device having a phase chang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temperature on the outdoor side and temperature on the indoor side of the window installed in the boundary between the outdoor and the indoor according to the change of time in winter.
3 to 5 are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s of a dew condensation preventing device having a phase change mater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ndow having a phase change material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indow having the phase change material shown in FIG. 6;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ndow having a phase change material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2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window having a phase change mater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schematic view of a curtain wall having a phase change material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detail view of the transverse support member engagement in the curtain wall of Fig. 13;
15 is a detail view of a transverse support member engagement in a curtain wall having a phase change mater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물질을 구비하는 커튼월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curtain wall having a phase change materi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물질을 구비하는 결로방지장치의 단면 사시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dew condensation preventing device having a phase chang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장치(100)는 중공의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에 내장되며 주위 온도에 따라 상변화하여 열을 저장하거나 열을 방출하는 상변화물질(120)과,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서 상기 상변화물질(120)을 감싸 상기 상변화물질(120)의 상변화 시간을 지연시키는 단열재(125)를 구비한다.1, the dew condensation preven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low case 110, a built-in case 110, which is phase-changed according to an ambient temperature,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125 wrapping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inside the case 110 and delaying the phase change time of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상기 중공의 케이스(110)의 단면은 일측면이 창호나 커튼월에 부착될 수 있도록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는 중공부의 케이스(110)가 정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것을 보였으나, 중공부의 케이스(110)의 단면은 정사각형 뿐만 아니라 육각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end face of the hollow case 110 may have a polygonal shape so that one side thereof may be attached to a window or a curtain wall. In FIG. 1, the case 110 of the hollow portion has a square cross-section, but the cross-section of the case 110 of the hollow portion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hexagon as well as a square.

상기 케이스(110)는 합성플라스틱 수지재 또는 금속재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0)가 금속재의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케이스(110)는 동, 은 또는 알루미늄과 같이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case 110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When the case 11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e case 11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such as copper, silver, or aluminum.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면에는 창호나 커튼월 등에 부착할 수 있도록 부착수단(13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부착수단(130)으로 양면 테이프가 사용된 것을 보였으나, 상기 부착수단(130)으로 착탈 가능한 정도의 접착력을 가지는 본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Attachment means 13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e 110 to attach it to a window or curtain wall. In FIG. 1, a double-sided tape is used as the attachment means 130, but a bond or the like having an adhesive force enough to be detachable by the attachment means 130 can be used.

한편 상기 부착수단(130)이 구비되는 않는 면에는 미려한 무늬를 가지는 시트지 또는 무늬목(111)이 부착되어 외관상 미려함을 느끼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 sheet or pattern 111 having a beautiful pattern is adhered to the surface where the attachment means 130 is not provided, so that the user feels that the appearance is beautiful.

상기 시트지나 무늬목(111)에 사용되는 무늬로는 한국의 전통문양인 창살 무늬나 태극 무늬 등 다양한 무늬가 사용될 수 있다.As the pattern used for the sheet or veneer 111, a variety of patterns such as Korean traditional patterns such as gauze pattern and Taegeuk pattern can be used.

상기 케이스(110)에 내장되며 주위 온도에 따라 상변화하여 열을 저장하거나 열을 방출하는 상변화물질(120)은 유기물, 무기물 및 이들의 조합된 물질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변화물질(120)은 파라핀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와 같은 유기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which is embedded in the case 110 and changes its phase depending on the ambient temperature to store heat or to release hea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including organic materials, inorganic materials, and combinations thereof.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may include organic materials such as paraffin wax and polyethylene wax, which may be used alone or in a mixture.

일반적으로 상변화물질은 농도가 높을수록 발열효과가 증가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장치(100)에서는 상변화물질(120)의 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상변화물질(120)의 상변화 온도가 20~30℃가 되도록 하였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장치(100)에 구비되는 상변화물질(120)은 30℃ 이상의 상온에서 액체이며, 약 20~30℃에서 열을 방출하게 되면 고체로 상변화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액체로 상변화한 상변화물질(120)은 주위의 온도가 내려가면 고체로 다시 상변화를 하게 되면서 주위로 열을 방출하게 된다.In the dew condensation preven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entration of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is controlled to control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Phase temperature of 20 ~ 30 < 0 > C. That is,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included in the dew condensation preven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quid at a room temperature of 30 ° C or more, and when the heat is released at about 20 to 30 ° C, .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is lowered, the phase-change material 120, which is phase-changed in the liquid phase, is phase-changed again to the solid phase and releases heat to the surroundings.

한편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상변화물질(120)을 감싸며 상변화물질(120)의 상변화 시간을 지연시키는 단열재(125)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케이스(110)의 내부에 단열재(125)를 설치하는 이유는 열을 흡수하여 액체 상태로 상변화한 상변화물질(120)이 고체 상태로 변하면서 열을 방출하는 시점을 늦추기 위함이다.Meanwhile, the case 110 is provid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125 which surrounds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and delays the phase change time of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The reason why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25 is provided inside the case 110 is to delay the time when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which has absorbed heat and is phase-changed into the liquid state, changes to a solid state and releases heat.

상기 단열재(125)는 발포플라스틱, 진공단열재(Vaccum Insulation Panel: VIP), 퓸드실리카(fumed silica) 진공단열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포플라스틱으로는 EPS(Expanded Polystyrene), XPS(Extruded Polystylene), EVA(Ethylene Vinyl Acetate), EPP(Expanded Polypropyle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25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oamed plastic, a vacuum insulated panel (VIP), and a fumed silica vacuum insulating material. Expanded Polystyrene (EPS), Extruded Polystyrene (XPS), Ethylene Vinyl Acetate (EVA), and Expanded Polypropylene (EPP) may be used as the foamed plastic.

도 2는 겨울철에 시간의 변화에 따라 실외와 실내의 경계부에 설치되는 창호의 실외측 온도 및 실내측 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Fig. 2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temperature on the outdoor side and temperature on the indoor side of the window installed in the boundary between the outdoor and the indoor according to the change of time in winter.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겨울철 창호의 실외측 온도(OT) 및 실내측 온도(IT)는 대기의 온도가 가장 높은 시각인 14~15시경에 가장 높고, 대기의 온도가 가장 낮은 시간인 새벽 5~6시경에 가장 낮다.As shown in FIG. 2, the outside temperature (OT) and the indoor temperature (IT) of the window in winter are highest at 14 ~ 15, which is the highest temperature of the atmosphere, It is the lowest at 6 o'clock.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물질(120)을 구비하는 결로방지장치(100)를 후술할 창호의 실내측에 설치하게 되면 결로방지장치(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변화물질(120)의 온도는 상변화 온도인 20~30℃ 이상으로 상승하여 액체 상태로 상변화하게 된다.Therefore, if the dew condensation preventing device 100 having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indoor side of the window described later,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is increased to a phase change temperature of 20 to 30 DEG C or more, and the liquid phase changes.

시간이 지남에 따라 창호의 실내측 온도(IT)는 점차 낮아지게 되므로, 상변화물질(120)의 온도가 상변화 온도인 20~30℃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상변화물질(120)은 고체 상태로 상변화면서 열을 방출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로 결로는 창호의 실내측 온도(IT)가 가장 낮은 새벽 5~6시경에 가장 많이 발생하므로, 케이스(110)의 내부에 단열재(125)를 설치하여 액체 상태의 상변화물질(120)이 고체상태로 상변화하는 시간을 새벽 5~6시경에 가깝도록 한다. 이와 같이 단열재(125)를 이용하여 액체 상태의 상변화물질(120)이 고체 상태로 상변화하는 시간을 늦춰, 겨출철 새벽 5~6시경 가장 많은 열을 방출하도록 함으로써 겨울철 새벽 5~6시경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As the temperature of the interior of the window decreases gradually over tim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phase-change material 120 falls below the phase-change temperature of 20 to 30 ° C, the phase-change material 120 becomes a solid state And the heat is released during the phase change. However, since the condensation occurs most frequently at about 5 to 6 o'clock in the morning at the lowest indoor temperature IT of the window,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25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110 to remove the liquid phase change material 120 Make sure that the time for the phase change to the solid state is close to 5 to 6 am in the morning. By using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25,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in the liquid state is delayed in the phase change state to the solid state, and the heat is released most at about 5 to 6 am in the early morn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densation that occurs intensively.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장치의 단면 사시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dew condensation preven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장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dew condensation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dew condensation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장치(100)는 케이스(110)의 내부에 상변화물질(120)에서 발열된 열이 케이스(110)의 일측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열전달유도체(140)가 구비된다. 상기 열전달유도체(140)는 상변화물질(120)에서 발열된 열을 잘 전달할 수 있도록 동, 은 또는 알루미늄과 같이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2, the dew condensation preven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heat generated in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case 110 from one side of the case 110 A heat transfer derivative 140 is provided. The heat transfer member 14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such as copper, silver, or aluminum so as to transfer heat generated from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상기 열전달유도체(140)는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변화물질(120)에서 발열된 열을 수집하는 열수집부(141)와, 상기 열수집부(141)에서 수집된 열을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열방출부(142)를 한다.The heat transfer member 140 is formed in a lattice shape to collect heat generated from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The heat transfer member 14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10, And a heat releasing portion 142 for transferring heat to one sid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방출부(142)가 부착수단(130)이 구비된 면을 향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열수집부(141)에서 상변화물질(120)에서 발열된 열을 수집한 후 열방출부(142)를 통해 열을 방출하게 되므로 상기 상변화물질(120)이 열을 방출할 때 부착수단(130)이 구비된 면의 온도가 가장 높아지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heat releasing part 142 is directed to a side where the attaching unit 130 is provided. Accordingly, the heat generated by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is collected by the heat collecting unit 141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heat discharging unit 142, so that when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emits heat, 130 is the highest.

한편 상기 열방출부(142)의 폭은 열수집부(141)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열수집부(141)에서 수집된 열이 열방출부(142)로 집중적으로 방출되도록 하여 부착수단(130)이 구비된 면의 온도를 효율적으로 높이기 위함이다.
The width of the heat discharging unit 142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heat collecting unit 141. This may cause the heat collected in the heat collecting unit 141 to be concentratedly discharged to the heat discharging unit 142,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urface provided with the heat exchanger 130 is efficiently increased.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장치의 단면 사시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dew condensation preven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장치(100)에서 열전달유도체(140)의 열수집부(141)는 케이스(110)의 내부에 존재하는데 반해, 열방출부(142)는 케이스(110)의 외부에 존재한다. 이와 같이 열방출부(142)가 케이스(110)의 외부에 존재함으로써 상기 결로방지장치(100)가 창호 또는 커튼월 등에 부착되었을 때 상변화물질(120)에서 발열되는 열을 창호 또는 커튼월로 전달하는 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 heat discharging unit 142 is disposed inside the case 110 while the heat collecting unit 141 of the heat transferring unit 140 is present inside the case 110 in the dew condensation preven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t; / RTI > Since the heat releasing portion 142 is located outside the case 110, the heat generated by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when the anti-dew condensation preventing device 100 is attached to a window or a curtain wall can be transmitted to the window or the curtain wall The efficiency of transmission can be increased.

한편 상기 케이스(110)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경우가 열전도율이 낮은 합성플라스틱 수지재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보다 큰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ase 11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a greater effect can be obtained when the case 110 is formed of a synthetic plastic material having a low thermal conductivity.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장치의 단면 사시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dew condensation preven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장치(100)에서 케이스(110)의 일측면의 면적은 타측면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된다. 도 5에서는 부착수단(130)이 구비된 면의 면적이 다른 면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되어 케이스(110)의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것을 보였으나, 부착수단(130)이 구비된 면의 면적이 다른 면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는 경우는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In the dew condensation preven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of one side of the case 110 is formed wider than the area of the other side. 5 shows that the area of the surface provided with the attachment means 130 is wider than the area of the other surface so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case 110 has a trapezoidal shape, Any one of them can be formed so as to be wider than the area of the other surface.

케이스(110)의 단면의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지므로 열전달유도체(140)에서 열방출부(142)의 폭을 열 수집부(141)에 비해 훨씬 더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부착수단(130)이 구비된 면 이외의 면으로 열이 방출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어, 부착수단(130)이 구비된 면으로 방출되는 열을 극대화할 수 있다.
Since the width of the heat discharging part 142 can be made much larger than that of the heat collecting part 141 in the heat transferring part 140 since the cross section of the case 110 has such a shape, It is possible to minimize heat emission to the surface other than the surface to be exposed, and to maximize the heat emitted to the surface provided with the attachment means 13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물질을 구비한 창호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상변화물질을 구비한 창호의 단면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ndow having a phase chang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ectional view of a window having a phase change material shown in FIG.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200)는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되는 외부 프레임(210)과, 상기 외부 프레임(210)에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는 내부 프레임(220)을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window 200 may include an outer frame 210 fixed to a wall of a building, and an inner frame 220 installed to slide on the outer frame 210.

도 6에서는 상기 외부 프레임(210)에 1쌍의 내부 프레임(220)이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보였으나, 상기 외부 프레임(210)에 2쌍 이상의 내부 프레임(220)이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내부 프레임(220)의 내측에는 유리(230)가 끼워져 고정된다. 한편, 상기 내부 프레임(220)에 유리(230)를 고정시키기 위해 내부 프레임(220)과 유리(230)가 서로 접하는 부위에는 실링재나 가스킷과 같은 고정부재(240)가 사용된다.6 shows that a pair of inner frames 220 are slidably mounted on the outer frame 210. However, two or more inner frames 220 may be slid on the outer frame 210. [ A glass 230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inner frame 220. A fixing member 240 such as a sealing material or a gasket is used at a portion where the inner frame 220 and the glass 23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fix the glass 230 to the inner frame 2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물질을 구비하는 창호에서 상변화물질(120)은 내부 프레임(220)에 끼워져 고정되는 유리(230)에 구비될 수 있다.In a window provided with a phase chang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may be provided on the glass 230 that is fixed by being fitted in the inner frame 220.

도 6에서는 상변화물질(120)이 유리(230)에 구비되도록 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결로방지장치(100)를 통해 상변화물질(120)이 유리(230)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을 보였으나, 도 1,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결로방지장치(100) 중 어느 것을 통해서도 유리(230)에 구비될 수 있다.6 shows that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is provided on the glass 230 through the condensation preventing device 100 shown in FIG. 3 so that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is provided on the glass 230 , The condensation prevention device 100 shown in FIG. 1, FIG. 3 to FIG. 5, or the like.

상술한 결로방지장치(100)의 일 측면에는 부착부재(130)가 구비되므로 상기 부착부재(130)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유리(230)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결로방지장치(100)를 유리(230)에 부착할 때 유리(230)가 실내공간을 향하는 면에 부착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내부 프레임(220)과 유리(230)가 서로 접하는 부위에 구비되는 고정부재(240)의 근처에 부착한다. 고정부재(240) 근처는 단열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겨울철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기 쉬운 곳인데, 결로방지장치(100)를 고정부재(240) 근처에 부착함으로써 겨울철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상변화물질(120)을 구비한 창호(200)에서 겨울철에 결로 현상을 방지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The dew condensation prevention device 100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glass 230 by using the attachment member 130 because the attachment member 13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ew condensation prevention device 100. [ When the condensation prevention device 100 is attached to the glass 230, the glass 230 adheres to the surface facing the interior space. More specifically, the inner frame 220 and the glass 230 are attached in the vicinity of the fixing member 240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inner frame 220 and the glass 23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dew condensation preventing device 100 is attached to the fixing member 240 in the vicinity of the fixing member 240 to prevent condensation from occurring in winter. . Hereinafter, a process of preventing condensation from occurring in a window 200 having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in winter will be described.

겨울철인 경우에도 낮에는 태양열을 받는 창호(200)의 온도가 30℃ 이상으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창호(200)에 부착된 결로방지장치(100)의 상변화물질(120)은 열을 흡수하여 고체에서 액체로 상변화하게 되고 열을 저장하게 된다.Even in the winter, the temperature of the window 200 receiving sunlight during the day rises to 30 ° C or higher. Accordingly,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of the dew condensation prevention device 100 attached to the window 200 absorbs heat to be phase-changed from solid to liquid and stores heat.

한편 겨울철에 유리(230)의 실내공간을 향하는 면에 결로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임계온도가 8℃라고 가정한다.On the other hand, it is assumed that the critical temperature at which condensation may occur on the surface facing the indoor space of the glass 230 in winter is 8 ° C.

겨울철 새벽에 실외 온도는 영하 10℃ 이하로 떨어지게 되므로 실외공간과 실내공간의 경계부에 위치한 유리(230)의 실내공간을 향하는 면의 온도가 결로 현상이 생길 수 있는 온도인 8℃ 이하로 떨어질 수 있다.The outdoor temperature drops below minus 10 ° C at the early morning in winter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urface of the glass 230 locat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outdoor space and the indoor space facing the indoor space may drop below 8 ° C at which the condensation may occur .

그러나 결로방지장치(100)에 채워진 상변화물질(120)의 상변화 온도는 20~30℃ 이므로, 유리(230)의 실내공간을 향하는 면의 온도가 떨어지게 되면 상변화물질(120)이 액체 상태에서 고체 상태로 상변화하면서 저장되어 있던 열을 주위로 방출하게 된다. 따라서 결로방지장치(100)가 부착된 유리(230)의 실내공간을 향하는 면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창호(200)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However, since the phase change temperature of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filled in the condensation prevention device 100 is 20 to 30 ° C, when the temperature of the glass surface 230 facing the indoor space is lowered, To a solid state, while releasing the stored heat to the surroundings. Accordingly, the temperature of the surface of the glass 230 to which the condensation prevention device 100 is attached facing the indoor space is increased, thereby preventing condensation from occurring in the window 200.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창호(200)에 결로방지장치(100)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창호(200) 자체에 상변화물질이 구비되어 겨울철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dew condensation prevention device 100 may be attached to the window 200, but the window 200 itself may be provided with a phase change material to prevent the dew condensation in winter.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물질을 구비한 창호의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ndow having a phase change mater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상술한 결로방지장치(100)를 창호(200)의 유리(230)에 전통문양인 창살과 같은 모양으로 부착하면 창호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창호(200)를 더욱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있다.
8,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densation from occurring in a window by attaching the above-described dew condensation prevention device 100 to the glass 230 of the window 200 in a shape like a traditional pattern, 200) can be more beautifully decorated.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물질을 구비하는 창호의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indow having a phase change mater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물질을 구비하는 창호를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물질을 구비하는 창호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in describing a window having a phase change mater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a window having a phase change material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omitted.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물질을 구비하는 창호(200)는 복수개의 유리(231,232)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유리(231,232)는 서로 이격된다. 도 9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유리(230)가 2개의 유리로 형성되는 것을 보였으나, 3개 이상의 유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최소 2개의 유리(231,232)와 유리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단열효과를 가지는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창호의 단열 효과를 높임과 함께 결로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As shown in FIG. 9, a window 200 having a phase change mater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glasses 231 and 232, and the plurality of glasses 231 and 23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FIG. 9, the glass 230 is formed of two glasse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it may be formed of three or more glasses. By forming the air layer having a heat insulating effect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at least two glasses 231 and 232 and the glas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heat insulating effect of the window and to prevent the condensation phenomenon.

이와 같이 2개의 유리(231,232)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2장의 유리(231,232) 사이에는 스페이서(250)가 구비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페이서(250)의 내부에 상변화물질(120)이 내장되도록 하였다.In order to form a certain space between the two glasses 231 and 232 in this way, a spacer 250 is provided between the two glasses 231 and 232. In this embodiment,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

이와 같이 스페이서(250)의 내부에 상변화물질(120)이 내장됨으로써 겨울철 새벽에 외부의 온도가 급격하게 내려갈 때 스페이서(250) 내부에 내장된 상변화물질(120)에서 방출된 열에 의해 2장의 유리(231,232) 사이에 형성된 공간 및 실내 공간 측에 설치되는 유리(232)의 온도가 높아지게 되므로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스페이서(250) 내부의 상변화물질(120)에서 방출된 열이 2장의 유리(231,232) 사이에 형성된 공간 및 실내 공간 측으로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스페이서(250)는 동, 은 또는 알루미늄과 같이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s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is embedded in the spacer 25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outside temperature suddenly drops at the dawn of winter, the heat released from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built in the spacer 250 causes two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glasses 231 and 232 and the temperature of the glass 232 installed on the indoor space side are increased, thereby preventing the condensation phenomenon from occurring. The spacers 250 may be made of copper, silver, aluminum, or the like so that the heat released from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inside the spacers 250 can be well transferred to the spaces formed between the two glass plates 231 and 232 and the indoor space side. And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한편 상기 스페이서(250)의 내부에는 상기 상변화물질(120)에서 발열된 열이 상기 실내공간 측에 설치되는 유리(232)로 유도되도록 하는 열전달유도체(140)가 구비될 수 있다.The spacer 250 may include a heat transfer member 140 for guiding the heat generated from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to the glass 232 installed on the indoor space side.

이때 상기 열전달유도체(140)는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변화물질(120)에서 발열된 열을 수집하는 열수집부(141)와, 열수집부(141)에서 수집된 열이 상기 실내공간 측에 설치되는 유리로 전달되도록 하는 열방출부(142)를 구비할 수 있다.The heat transfer member 140 is formed in a lattice shape to collect heat generated in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The heat collected in the heat exchange unit 141 is collected in the indoor space side And may be provided with a heat releasing portion 142 to be transmitted to the glass.

상기 스페이서(250)가 실외공간 측에 설치되는 유리(231)와 접촉하는 면을 제1접촉면(250a)이라고 하고, 실내공간 측에 설치되는 유리(232)와 접촉하는 면을 제2접촉면(250b)이라고 했을 때, 상기 열방출부(142)는 제2접촉면(250b) 방향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열방출부(142)는 제2접촉면(250b)과 접촉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surface of the spacer 250 which contacts the glass 231 provided on the outdoor space side is referred to as a first contact surface 250a and the surface of the spacer 250 which contacts the glass 232 provided on the indoor space side is referred to as a second contact surface 250b The heat releasing portion 142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contact surface 250b. At this time, the heat releasing portion 142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ntact surface 250b.

따라서 상기 열방출부(142)에서 방출된 열이 실내공간 측에 설치되는 유리(232)로 잘 전달될 수 있다.
Therefore, the heat emitted from the heat releasing part 142 can be transmitted to the glass 232 installed on the indoor space side.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상변화물질을 구비하는 창호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window provided with the phase change material shown in Fig.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변화물질(120)을 구비하는 창호(200)는 상기 스페이서(250)가 실외공간 측에 설치되는 유리(231)와 접촉하는 면을 제1접촉면(250a)이라고 하고, 실내공간 측에 설치되는 유리(232)와 접촉하는 면을 제2접촉면(250b)이라고 했을 때, 상기 제2접촉면(250b)의 면적은 상기 제1접촉면(250a)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10, the window 200 having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has a first contact surface 250a that contacts the glass 231 provided on the outdoor space side of the spacer 250 The surface of the second contact surface 250b is larger than the surface of the first contact surface 250a when the surface contacting the glass 232 provided on the indoor space side is the second contact surface 250b.

이와 같이 스페이서(250)의 단면이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지므로 스페이서(250)에서 발열된 열은 제1접촉면(250a) 측보다는 제2접촉면(250b) 측으로 보다 많이 이동하게 되어 실내공간 측에 설치되는 유리(232)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되므로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Since the cross section of the spacer 250 has the shape as described above, the heat generated in the spacer 250 moves more toward the second contact surface 250b than on the first contact surface 250a, The temperature of the glass 232 can be effectively increased, thereby preventing the condensation phenomenon.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물질을 구비하는 창호의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indow having a phase change mater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물질(120)을 구비하는 창호(200)에서 내부 프레임(220)에 유리(23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240)로 실링재(241)가 사용된다.The sealing member 241 is used as the fixing member 240 for fixing the glass 230 to the inner frame 220 in the window 200 having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한편 상변화물질(120)은 상기 실링재(241)의 내부에 채워진다. 이때 실링재(241)의 내부에는 상기 상변화물질(120)에서 발열된 열이 상기 실내공간 측 유리(232)로 유도되도록 하는 열전달유도체(140)가 구비될 수 있다. 열전달유도체(140)의 구조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열전달유도체(140)의 열방출부(142)는 상기 실내공간 측에 설치되는 유리(232) 방향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실링재(241)의 내부에 채워진 상변화물질(120)에서 발열된 열이 실내공간 측에 설치되는 유리(232)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되므로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is filled in the sealing material 241. In this case, a heat transfer element 140 may be provided in the sealing material 241 to induce the heat generated from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to the room-side glass 232. Since the structure of the heat transfer element 140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On the other hand, the heat discharging part 142 of the heat transfer element 140 is installed in the direction of the glass 232 installed on the indoor space side. Therefore, the heat generated from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filled in the sealing material 241 can effectively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glass 232 installed on the indoor space side, thereby preventing condensation.

한편 도 11에서는 상변화물질(120)이 실링재(241)의 내부에 채워지는 것을 보였으나, 상변화물질(120)이 실링재(241)의 내부에 채워지는 것이 아니라 실링재(241)와 혼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11 shows that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is filled in the sealing material 241 but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is not filled in the sealing material 241 but is mixed with the sealing material 241 .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물질을 구비하는 창호의 단면도이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indow having a phase change mater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물질(120)을 구비하는 창호(200)에서 내부 프레임(220)에 유리(23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240)로 가스킷(242)이 사용된다.The gasket 242 is used as the fixing member 240 for fixing the glass 230 to the inner frame 220 in the window 200 having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가스킷(242)은 서로 다른 재료가 서로 접촉할 경우, 접촉면에서 가스나 물이 새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끼워 넣는 패킹(packing)이다.The gasket 242 is a packing that is fitted to prevent gas or water from leaking from the contact surface when different material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이때 상변화물질(120)은 상기 가스킷(242)의 내부에 채워진다. 한편 가스킷(242)의 내부에는 상기 상변화물질(120)에서 발열된 열이 상기 실내공간 측 유리(232)로 유도되도록 하는 열전달유도체(140)가 구비될 수 있다. 열전달유도체(140)의 구조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열전달유도체(140)의 열방출부(142)는 상기 실내공간 측에 설치되는 유리(232) 방향으로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is filled in the gasket 242. Meanwhile, the gasket 242 may be provided with a heat transfer member 140 for guiding the heat generated from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to the indoor space side glass 232. Since the structure of the heat transfer element 140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On the other hand, the heat discharging part 142 of the heat transfer element 140 is installed in the direction of the glass 232 installed on the indoor space side.

한편 상기 가스킷(242)이 유리(231,232)와 접하는 부분의 면적이 가스킷(242)이 내부 프레임(220)과 접하는 부분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가스킷(242)의 내부에 채워진 상변화물질(120)에서 발열된 열이 실내공간 측에 설치되는 유리(232)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되므로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area of the gasket 242 contacting the glass 231, 232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gasket 242 contacting the inner frame 220. Therefore, heat generated from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filled in the gasket 242 can effectively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glass 232 installed on the indoor space side, thereby preventing condensation.

한편 도 12에서는 상변화물질(120)이 가스킷(242)의 내부에 채워지는 것을 보였으나, 상변화물질(120)이 가스킷(242)의 내부에 채워지는 것이 아니라 가스킷(242)과 혼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12 shows that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is filled in the gasket 242 but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is not filled in the gasket 242 but is mixed with the gasket 242 .

도 6 내지 도 12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물질을 구비한 창호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상변화물질이 커튼월에 구비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6 to 12, the window having the phase change materi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However, the phase change material is provided in the curtain wall to prevent the condensation phenomenon as described above.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물질을 구비한 커튼월을 도시한 것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물질을 구비한 커튼월에서 가로 지지부재의 상세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3 illustrates a curtain wall having a phase change material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llustrates a detail of a lateral support member in a curtain wall having a phase chang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튼 월(300)은 건물 골조부(305)에 대해 세로방향으로 결합되어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세로 지지부재(310)와, 상기 세로 지지부재들(310)과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며 서로 소정 간격을 유지하는 다수의 가로 지지부재(320)와, 상기 가로 지지부재들(320) 사이에 배치되는 유리(330)를 구비한다.13, the curtain wall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 members 310, which are longitudinally coupled to the building frame 305 and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plurality of horizontal support members 320 coupled to the vertical support members 3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maintaining a predetermined gap therebetween, and a glass 330 disposed between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s 320 do.

여기에서 세로 지지부재(310)가 건물 골조부(305)에 결합할 때 상하방향,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한 체결브라켓(3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브라켓(315)은 시공 현장에서의 용접을 최소화한 형태로 마련되어, 세로 지지부재(310)에 체결브라켓(315)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멍을 현장에서 가공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상기 체결브라켓(315)의 매립 앵커부(316)는 건물 골조부(305)를 콘크리트 타설하면서 사전에 매립되어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세로 지지부재(310)가 체결되어 좌우방향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Here, the vertical support member 310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bracket 315 that can be vertically, horizontally, or longitudinally positioned when the vertical support member 310 is engaged with the building frame 305. It is sufficient that the fastening bracket 315 is provided in a form minimizing the welding at the construction site so that the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the fastening bracket 315 to the vertical support member 310 is processed in the field. The buried anchor portion 316 of the fastening bracket 315 may be previously buried whil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building frame portion 305. The longitudinal support member 310 may be fastened to adjust the posi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튼 월을 구성하는 가로 지지부재(320)는 압출가공에 의해 소정형상을 갖도록 가공된다. 이에 따라 가로 지지부재(320) 내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는 소정형상의 압출가공부에는 단열바(321)가 마련된다. 단열바(321)는 액상의 폴리우레탄 단열재를 압출가공부에 충진하여 경화 과정을 거쳐 압출가공부의 소정 개소를 따냄으로서 형성되는데, 이는 통상 아존(Azon)사의 폴리우레탄의 주입 및 분리 가공법을 채택하는 것으로 실시가능하다.As shown in Fig. 14, the transverse support member 320 constituting the curtain wal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cessed to have a predetermined shape by extrusion processing. Accordingly, the heat insulating bar 321 is provided in the lateral support member 320 for the extrusion of the predetermined shap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heat insulating bar 321 is formed by filling a liquid polyurethane heat insulating material into the extrusion work and curing the extruded resin to draw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extrusion work. This is generally adopted in the injection and separation processing method of polyurethane of Azon Co. .

가로 지지부재(320)의 상하부에는 상하로 배치되는 다른 가로 지지부재들과의 사이에 유리(330)가 각각 결합된다. 가로 지지부재(320)의 단열바(321)와 단열바(321) 상부에 배치되는 유리(330)와의 사이에는 실링재(322)가 배치되어 외부로부터의 공기유입을 차단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열전도 현상을 방지한다.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320 are coupled with the glass 330 between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support members. The sealing member 322 is disposed between the heat insulating bar 321 of the horizontal supporting member 320 and the glass 330 disposed on the heat insulating bar 321 to prevent the inflow of air from the outside, .

이와 같이 실링재(322)가 개재됨으로써 유리(330)의 내측 유리면과 통상 알루미늄제로 형성된 가로 지지부재(320)와의 직접적인 열전도 현상을 막을 수 있게 된다.The seal member 322 is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side glass surface of the glass 330 and the horizontal side support member 320 formed of aluminum.

한편 상기 가로 지지부재(320)가 유리(330)와 밀착하도록 상기 가로 지지부재(320)와 유리(330) 사이에는 가스킷(340)이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로 지지부재(320)와 유리(330) 사이에 삽입되는 가스킷(340)에 의한 반발력 때문에 유리(330)는 가로 지지부재(320)와 견고히 고정되며, 유리(330)와 가로 지지부재(320) 사이로 공기나 수분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gasket 340 may be inserted between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320 and the glass 330 so that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3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lass 330. The glass 330 is firmly fixed to the transverse support member 320 and the glass 330 and the transverse support member 330 are fixed by the reaction force of the gasket 340 inserted between the transverse support member 320 and the glass 330. [ 320 or the like can be prevent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튼 월에서 상기 유리(330)는 2개의 유리(331,332)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유리(331,332)는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다. 이와 같이 2개의 유리(331,332)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2장의 유리(331,332) 사이에는 스페이서(335)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2개의 유리(331,332)에 의해 2개의 유리(331,332) 사이에 단열층이 형성되므로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다.Meanwhile, in the curtain wal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lass 330 is formed of two glasses 331 and 332, and the plurality of glasses 331 and 33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certain interval. In order to form a certain space between the two glasses 331 and 332, a spacer 335 is provided between the two glasses 331 and 332. Since the heat insulating layer is formed between the two glasses 331 and 332 by the two glasses 331 and 332, the heat insulating effect can be enhanc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300)에서 상기 실링재(322), 가스킷(340) 및 스페이서(335)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변화 온도는 20~30℃인 상변화물질(120)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상변화물질(120)은 상기 실링재(322), 가스킷(340) 및 스페이서(335)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채워지거나 상기 실링재(322), 가스킷(340) 및 스페이서(335) 중 적어도 하나에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t least one of the sealing material 322, the gasket 340, and the spacer 335 in the curtain wall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having a phase change temperature of 20 to 30 ° C is provided do.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may be filled in at least one of the sealing material 322, the gasket 340 and the spacer 335 or may be filled in at least one of the sealing material 322, the gasket 340, and the spacer 335 As shown in FIG.

한편 상기 가스킷(340)이 상기 유리(330)와 접촉하는 부분의 면적이 상기 가스킷(340)이 상기 가로 지지부재(320)와 접하는 부분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스킷(340)의 내부에 채워지거나 가스킷(340)에 혼합된 상변화물질에서 발열된 열이 가로 지지부재(320)보다는 유리(330)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The area of the gasket 340 contacting the glass 330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gasket 340 contacting the lateral support member 320. Therefore, heat generated from the phase change material, which is filled in the gasket 340 or mixed with the gasket 340, may be transferred to the glass 330 rather than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320.

상기 스페이서(335)는 상기 복수개의 유리(331,332) 중에서 실외공간 측 유리(331)와 접촉하는 제1접촉면(335a)과 실내공간 측 유리(332)와 접촉하는 제2접촉면(335b)을 구비하고, 상기 제2접촉면(335b)의 면적은 상기 제1접촉면(335a)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The spacer 335 has a first contact surface 335a contacting the outdoor space side glass 331 and a second contact surface 335b contacting the indoor space side glass 332 out of the plurality of glasses 331 and 332 And the area of the second contact surface 335b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contact surface 335a.

스페이서(335)의 단면이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지므로 스페이서(335)에서 발열된 열은 제1접촉면(335a) 측 보다는 제2접촉면(335b) 측으로 보다 많이 이동하게 되어 실내공간 측에 설치되는 유리(332)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되므로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Since the cross section of the spacer 335 has such a shape, the heat generated in the spacer 335 moves more toward the second contact surface 335b than to the first contact surface 335a, 332 can be effectively increased, so that the condensation phenomenon can be prevented.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물질을 구비한 커튼월에서 가로 지지부재 결합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15 is a detailed view of a horizontal support member coupling portion in a curtain wall having a phase change mater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에 도시된 지지부재 결합부가 도 14에 도시된 지지부재 결합부와 다른 점은 상변화물질(120)은 상기 실링재(322), 가스킷(340) 및 스페이서(335)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채워지고, 상기 실링재(322), 가스킷(340) 및 스페이서(335)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는 상기 상변화물질(120)에서 발열된 열이 상기 실내공간 측 유리(332)로 유도되도록 하는 열전달유도체(140)가 구비된다는 점이다.15 differs from the support member engagement shown in FIG. 14 in that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is disposed within at least one of the sealant 322, the gasket 340, and the spacer 335 And at least one of the sealing material 322, the gasket 340, and the spacer 335 is filled with a heat transfer material such that the heat generated from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is guided to the indoor space side glass 332, (140) is provided.

열전달유도체(140)는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변화물질(120)에서 발열된 열을 수집하는 열수집부(141)와, 상기 열수집부(141)에서 수집된 열을 상기 실내공간 측 유리(332)로 전달되도록 하는 열방출부(142)를 구비한다.The heat transfer member 140 is formed in a lattice shape and collects the heat generated in the phase change material 120. The heat transfer member 140 is disposed on the inner space side glass 332 (Not shown).

이때 열방출부(142)는 실내공간 측 유리(332)에 가깝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 releasing part 142 is provided close to the indoor space side glass 332.

이상에서 상변화물질을 구비하는 커튼월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상변화물질을 구비하는 커튼월에 의하면 겨울철에 실내온도와 실외온도 차에 의해 창호 및 커튼월에서 발생하는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유용하다.
The curtain wall having a phase change material has been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above, the curtain wall having a phase change material is useful because it can prevent condensation occurring in windows and curtain walls due to a difference in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s in winter.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물질을 구비하는 커튼월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described the curtain wall having a phase chang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presented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by the addition, modification, deletion, addition, etc.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but this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something to do.

Claims (8)

복수개의 유리와,
상기 복수개의 유리 사이에 구비되어 각 유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와,
건물의 골조부에 결합되어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유리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의 공기유입을 차단하는 실링재와,
상기 유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삽입되어 탄성에 의한 반발력으로 상기 유리를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시키는 가스킷과,
상기 스페이서, 가스킷 및 실링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온도에 따라 액체에서 고체 또는 고체에서 액체로 변하면서 열을 저장하거나 열을 방출하는 상변화물질과,
상기 상변화물질을 감싸 상기 상변화물질의 상변화 시간을 지연시키는 단열재를 구비하고,
상기 상변화물질은 상기 스페이서, 가스킷 및 실링재 중 적어도 하나에 채워지고,
상기 스페이서, 가스킷 및 실링재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는 상기 상변화물질에서 발열된 열이 상기 실내공간 측 유리로 유도되도록 하는 열전달유도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A plurality of glasses,
A spacer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glasses to maintain a constant gap between the glasses;
A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of the building and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sealing material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members to block the inflow of air from the outside;
A gasket inserted between the glass and the support member to fix the glass to the support member with resilience by elasticity;
A phase change material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spacer, a gasket, and a sealing material and storing or dissipating heat while changing from liquid to solid or solid to liquid according to temperature;
It is provid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surrounding the phase change material to delay the phase change time of the phase change material,
The phase change material is filled in at least one of the spacer, the gasket and the sealing material,
At least one of the spacer, the gasket and the sealing material inside the curtain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transfer conductor for causing the heat generated from the phase change material to be guided to the glass on the interior sp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화물질은 상변화 온도는 20~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The method of claim 1,
The phase change material is a curtain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phase change temperature is 20 ~ 30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화물질은 상기 스페이서, 가스킷 및 실링재 중 적어도 하나에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The method of claim 1,
The phase change material is a curtain wall, characterized in that mixed in at least one of the spacer, gasket and sealing materi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유도체는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변화물질에서 발열된 열을 수집하는 열수집부와, 상기 열수집부에서 수집된 열을 상기 실내공간 측 유리로전달되도록 하는 열방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t conduction conductor is formed in a lattice form and includes a heat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heat generated from the phase change material, and a heat dissipating unit for transferring the heat collected from the heat collecting unit to the glass on the indoor space side. Curtain wal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복수개의 유리 중에서 실외공간 측 유리와 접촉하는 제1접촉면과 실내공간 측 유리와 접촉하는 제2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접촉면의 면적은 상기 제1접촉면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The method of claim 1,
The spacer has a first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glass of the outdoor space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glass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plurality of glass, the area of the second contact surface is formed larg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contact surface Curtain wall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킷이 상기 유리와 접하는 부분의 면적이 상기 가스킷이 상기 지지부재와 접하는 부분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area of the portion where the gasket contacts the glass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portion where the gasket contacts the support member.
KR1020130058424A 2013-05-23 2013-05-23 Curtain Wall Having Phase Change Material KR1013250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424A KR101325006B1 (en) 2013-05-23 2013-05-23 Curtain Wall Having Phase Change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424A KR101325006B1 (en) 2013-05-23 2013-05-23 Curtain Wall Having Phase Change Materia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5633A Division KR101306628B1 (en) 2011-11-08 2011-11-08 Anti-Codensation Apparatus Having Phase Change 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162A KR20130061162A (en) 2013-06-10
KR101325006B1 true KR101325006B1 (en) 2013-11-04

Family

ID=48859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8424A KR101325006B1 (en) 2013-05-23 2013-05-23 Curtain Wall Having Phase Change Materi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00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93994A (en) * 2017-12-27 2018-06-22 山东大学 A kind of multi-functional double-layer glass vent window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0387A (en) * 1994-05-17 1995-11-28 Kubota Corp Heat insulating form for concrete placing
KR20100048376A (en) * 2008-10-31 2010-05-11 대림산업 주식회사 Light weight wall concentrated phase change material on the wall surface and thereof method
KR101016315B1 (en) 2010-09-01 2011-02-22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Insulation window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0387A (en) * 1994-05-17 1995-11-28 Kubota Corp Heat insulating form for concrete placing
KR20100048376A (en) * 2008-10-31 2010-05-11 대림산업 주식회사 Light weight wall concentrated phase change material on the wall surface and thereof method
KR101016315B1 (en) 2010-09-01 2011-02-22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Insulation wind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162A (en) 2013-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32294B2 (en) Window frame system for vacuum insulated glass units
KR101282458B1 (en) Windows and doors of building
KR100915302B1 (en) A double window structure of window glass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 same
KR200479715Y1 (en) Insulation window frame
KR101439167B1 (en) Window and Door Having Phase Change Material
KR101395139B1 (en) Glass windows of the support device
KR101657237B1 (en) Insulation wall frame
KR101325006B1 (en) Curtain Wall Having Phase Change Material
KR101306628B1 (en) Anti-Codensation Apparatus Having Phase Change Material
JP2020197116A (en) Window frame system for vacuum insulated glass unit
KR101305214B1 (en) Anti-Codensation Apparatus, Window and Door And Curtain Wall Having Phase Change Material
US20170247889A1 (en) Device for thermally insulating a building wall from the outside,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uch a device
US9732515B2 (en) Thermodynamically balanced insulation system
KR101400059B1 (en) Structure of exterior insulation and waterproof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JP5514015B2 (en) Interior building materials with insulation
KR20150115492A (en) Insulation pad for double vinyl-layered greenhouses, double vinyl-layered greenhouses using the sam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200479714Y1 (en) Insulation window frame
CN209799047U (en) Energy-saving environment-friendly flame-retardant building insulation board
KR101467235B1 (en) Window structure with inclined rail
JP2001279840A (en) Heat insulation outer wall pannel and heat insulation outer wall structure
JP2020139354A (en) Fire resistant type exterior wall structure used for closely bonded type external insulation having vent layer
CN210977185U (en) Aluminum alloy casement window
KR101840710B1 (en) Aluminum window heat-insulation structure
JP4731176B2 (en) Ventilation insulated roof
JP2011122376A (en) Roof panel for refurbishing, roof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refurbishing ro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