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808B1 - 렌즈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렌즈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808B1
KR101324808B1 KR1020130024337A KR20130024337A KR101324808B1 KR 101324808 B1 KR101324808 B1 KR 101324808B1 KR 1020130024337 A KR1020130024337 A KR 1020130024337A KR 20130024337 A KR20130024337 A KR 20130024337A KR 101324808 B1 KR101324808 B1 KR 101324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iris
lens
portfolio
sma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솔루텍
주식회사 이시스비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솔루텍, 주식회사 이시스비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솔루텍
Priority to KR1020130024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8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6Contact lenses having an iris patter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07Image acqui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렌즈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개시된다. 복수의 칼라렌즈로 이루어진 칼라렌즈 포트폴리오와, 복수의 홍체칼라로 이루어진 홍체칼라 포트폴리오와, 상기 칼라렌즈 포트폴리오 중 하나의 칼라렌즈와 상기 홍체칼라 포트폴리오 중 하나의 홍체칼라가 매칭될 경우 선택되는 착용칼라로 이루어진 착용칼라 포트폴리오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있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렌즈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a) 상기 스마트기기에 결합된 카메라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단계; (b) 상기 스마트기기가 상기 얼굴 중에서 홍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c) 상기 스마트기기가 상기 홍체의 칼라를 감지하고, 상기 홍체칼라 포트폴리오에서 하나의 홍체칼라를 선택하는 단계;(c) 사용자가 선택한 칼라렌즈가 상기 홍체에 오버랩되는 단계;(d) 상기 스마트기기가 상기 홍체칼라와 상기 칼라렌즈가 오러랩될 경우 상기 착용칼라 포트폴리오에서 매칭되는 하나의 착용칼라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렌즈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렌즈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Simulation system for lens}
본 발명은 렌즈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직접 렌즈를 착용하지 않아도, 마치 렌즈를 착용한 상태를 화상으로 볼 수 있어서, 렌즈 선택에 도움을 주는 렌즈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패션과 개성을 위하여 다양한 칼라렌즈를 착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그러나, 칼라렌즈가 실제로 외부에 보이는 형태는 그 배경이 되는 홍체의 색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카탈로그나 실물의 칼라렌즈와 실제로 착용했을 때의 칼라렌즈의 색은 외부에서 다르게 보인다.
따라서, 종래에는 자신의 스타일에 맞는 칼라렌즈를 선택하기 위하여, 실제로 칼라렌즈를 착용해보는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안경과 달리 칼라렌즈의 착용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이 착용했던 칼라렌즈를 다시 착용하는 것은 안구의 위생에도 좋지 않았다. 특히, 칼라렌즈가 인터넷과 같은 온라인으로 판매되는 상황이라면, 실제로 착용하는 것은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이와 관련된 기술은 한국특허출원 제10-1999-7004172호(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가 있다.
본 발명은 칼라렌즈 포트폴리오, 홍체칼라 포트폴리오 및 착용칼라 포트폴리오를 미리 구축하고, 칼라렌즈 포트폴리오 중 하나의 칼라렌즈와 홍체칼라 포트폴리오 중 하나의 홍체칼라가 매칭되면 착용칼라가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함으로써, 실제 착용한 모습과 거의 동일한 화상을 스마트기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렌즈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칼라렌즈로 이루어진 칼라렌즈 포트폴리오와, 복수의 홍체칼라로 이루어진 홍체칼라 포트폴리오와, 상기 칼라렌즈 포트폴리오 중 하나의 칼라렌즈와 상기 홍체칼라 포트폴리오 중 하나의 홍체칼라가 매칭될 경우 선택되는 착용칼라로 이루어진 착용칼라 포트폴리오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있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렌즈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a) 상기 스마트기기에 결합된 카메라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단계;
(b) 상기 스마트기기가 상기 얼굴 중에서 홍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스마트기기가 상기 홍체의 칼라를 감지하고, 상기 홍체칼라 포트폴리오에서 하나의 홍체칼라를 선택하는 단계;
(c) 사용자가 선택한 칼라렌즈가 상기 홍체에 오버랩되는 단계;
(d) 상기 스마트기기가 상기 홍체칼라와 상기 칼라렌즈가 오버랩될 경우 상기 착용칼라 포트폴리오에서 매칭되는 하나의 착용칼라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렌즈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기기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테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칼라렌즈 포트폴리오, 홍체칼라 포트폴리오 및 착용칼라 포트폴리오를 미리 구축하고, 칼라렌즈 포트폴리오 중 하나의 칼라렌즈와 홍체칼라 포트폴리오 중 하나의 홍체칼라가 매칭되면 착용칼라가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함으로써, 실제 착용한 모습으로 스마트기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렌즈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라렌즈 포트폴리오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라렌즈를 착용한 모습을 보여주는 화면.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써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라렌즈 포트폴리오의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라렌즈를 착용한 모습을 보여주는 화면이다.
칼라렌즈는 투명한 합성수지에 칼라를 착색한 형태로서, 눈동자를 선명하게 하거나 렌즈의 색채를 외부에 보이도록 하여, 시력보정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개성을 살려주는 역할을 한다. 칼라렌즈에 착색된 색은 반투명 형태로 착색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홍체에 칼라렌즈가 오버랩될 경우 홍체의 색과 칼라렌즈의 색이 오버랩되어 제3의 색으로 보이게 된다.
따라서, 착용자는 실제로 칼라렌즈를 착용해보지 않고서는 실질적인 정확한 칼라렌즈의 색을 알 수가 없다.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스마트폰, 테블릿 PC,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과 같은 기기로서, 카레라가 결합되어 있음)를 이용하여 자신의 얼굴을 촬영하고, 칼라렌즈를 선택하면 실제로 외부에 보이는 착용칼라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스마트기기의 데이터 베이스(10)에는 복수의 칼라렌즈로 이루어진 칼라렌즈 포트폴리오(11)와, 복수의 홍체칼라로 이루어진 홍체칼라 포트폴리오(12)와, 상기 칼라렌즈 포트폴리오(11) 중 하나의 칼라렌즈와 상기 홍체칼라 포트폴리오(12) 중 하나의 홍체칼라가 매칭될 경우 선택되는 착용칼라로 이루어진 착용칼라 포트폴리오(13)를 저장하고 있다.
칼라렌즈 포트폴리오(11)에는 도 3과 같이 제조자 측에서 제공된 칼라렌즈들이 형태 및 칼라 별로 디스플레이 되어 있다. 사용자는 칼라렌즈 포트폴리오(11)에서 원하는 칼라렌즈를 선택할 수 있다.
홍체칼라 포트폴리오(12)는 외부에 디스플레이 되지 않고 스마트기기의 데이터 베이스(10)에 저장될 수 있다. 홍체칼라 포트폴리오(12)에는 다양한 종류의 홍체칼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스마트기기가 카메라를 통하여 홍체를 촬영할 경우, 홍체칼라 포트폴리오(12) 중 어느 하나의 홍체칼라와 매칭된다.
착용칼라 포트폴리오(13)에는 하나의 홍체칼라와 하나의 칼라렌즈가 매칭될 경우, 선택되어지는 착용칼라들이 저장된다.
따라서, 하나의 칼라렌즈와 하나의 홍체칼라가 매칭되면, 자동으로 착용칼라 포트폴리오(13) 중 하나의 착용칼라가 선택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 베이스(10)에, 칼라렌즈 포트폴리오(11), 홍체칼라 포트폴리오(12) 및 착용칼라 포트폴리오(13)를 구축한 이유는, 보다 정확하게 칼라렌즈를 착용한 모습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함이다. 착용칼라 포트폴리오의 착용칼라들을 실질적으로 실험과 테스트를 통해서 선택된 것들로서, 실제로 착용했을 때와 거의 차이가 없도록 데이터화 되어 있다.
화면상에서 칼라렌즈를 바로 홍체에 오버랩될 경우, 실제로 보여지는 색과 다른 것이 디스플레이 된다. 따라서, 실험을 통해서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칼라렌즈를 착용시 정확한 색을 외부에 보이도록 한다.
이러한 스마트기기의 칼라매칭 프로세스에 의해서, 실제로 칼라렌즈를 착용하지 않고서도, 칼라렌즈를 착용한 모습을 화면을 통해 볼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스마트폰의 앱을 실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 구체적인 프로세스에 대해서 도 1을 참조로 설명한다.
S11은 상기 스마트기기에 결합된 카메라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단계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기기에는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다. 될 수 있는 한, 고해상도의 카메라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S12는 상기 스마트기기가 상기 얼굴 중에서 홍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이다. 사람의 눈과 홍체는 얼굴에서 다른 부분보다 두드러지게 색감의 차이가 나는 것으로서, 이를 인식하는 것은 얼굴 인식시스템 분야에서 이미 충분히 검증된 것이다. 특히, 홍체는 검은색, 갈색, 푸른색, 불은색 등으로 얼굴 전체의 톤에서 두드러진 차이점을 나타내기 때문에 얼굴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다.
S13은 상기 스마트기기가 상기 홍체의 칼라를 감지하고, 상기 홍체칼라 포트폴리오에(12)서 하나의 홍체칼라를 선택하는 단계이다. 스마트 기기가 홍체의 위치를 감지하면, 홍체의 칼라를 동시에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홍체의 칼라는 홍체칼라 포트폴리오(12) 중 하나의 홍체칼라와 매칭된다.
S13는 사용자가 선택한 칼라렌즈가 상기 홍체에 오버랩되는 단계이다. 홍체의 위치와 홍체칼라가 선택되면, 사용자가 착용해보고 싶은 칼라렌즈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칼라렌즈 선택은 홍체칼라를 선택하기 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사용자가 칼라렌즈를 선택하면, 칼라렌즈가 홍체에 오버랩된다.
S14는 상기 스마트기기가 상기 홍체칼라와 상기 칼라렌즈가 오버랩될 경우 상기 착용칼라 포트폴리오(13)에서 매칭되는 하나의 착용칼라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이다. 홍체칼라와 칼라렌즈가 매칭되면, 착용칼라 포트폴리오(13)에서는 자동으로 하나의 착용칼라가 매칭된다. 이러한 착용칼라를 홍체위에 오버랩하여 스마트기기가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서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칼라렌즈를 착용하지 않고서도 착용한 모습을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로써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를 바탕으로 균등한 범위까지 당업자가 변형 및 추가하는 범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데이터 베이스(10) 칼라렌즈 포트폴리오(11)
홍체칼라 포트폴리오(11) 착용칼라 포트폴리오(13)

Claims (2)

  1. 복수의 칼라렌즈로 이루어진 칼라렌즈 포트폴리오와, 복수의 홍체칼라로 이루어진 홍체칼라 포트폴리오와, 상기 칼라렌즈 포트폴리오 중 하나의 칼라렌즈와 상기 홍체칼라 포트폴리오 중 하나의 홍체칼라가 매칭될 경우 선택되는 착용칼라로 이루어진 착용칼라 포트폴리오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있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렌즈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a) 상기 스마트기기에 결합된 카메라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단계;
    (b) 상기 스마트기기가 상기 얼굴 중에서 홍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스마트기기가 상기 홍체의 칼라를 감지하고, 상기 홍체칼라 포트폴리오에서 하나의 홍체칼라를 선택하는 단계;
    (d) 사용자가 선택한 칼라렌즈가 상기 홍체에 오버랩되는 단계;
    (e) 상기 스마트기기가 상기 홍체칼라와 상기 칼라렌즈가 오버랩될 경우 상기 착용칼라 포트폴리오에서 매칭되는 하나의 착용칼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렌즈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는,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PC, 테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20130024337A 2013-03-07 2013-03-07 렌즈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1324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337A KR101324808B1 (ko) 2013-03-07 2013-03-07 렌즈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337A KR101324808B1 (ko) 2013-03-07 2013-03-07 렌즈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4808B1 true KR101324808B1 (ko) 2013-11-01

Family

ID=49856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337A KR101324808B1 (ko) 2013-03-07 2013-03-07 렌즈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8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3311B2 (ja) * 1992-05-06 2003-07-07 パルフュム クリスチャン ディオール 顔,特に,目もとのメークアップ方法と,それを行う装置
KR100638376B1 (ko) * 2004-03-23 2006-10-25 (주)뷰아이텍 디지털 착용 보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3311B2 (ja) * 1992-05-06 2003-07-07 パルフュム クリスチャン ディオール 顔,特に,目もとのメークアップ方法と,それを行う装置
KR100638376B1 (ko) * 2004-03-23 2006-10-25 (주)뷰아이텍 디지털 착용 보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8075B2 (en) Visual stabilization system for head-mounted displays
US8823742B2 (en) Method of simulating lens using augmented reality
JP2022500700A (ja) 交換可能なレンズ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CN113692548B (zh) 具有可移除透镜的显示和视力矫正系统
US20160170206A1 (en) Glass opacity shift based on determined characteristics
US8847850B1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ugmented reality image capture guid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6177872B2 (ja) 入出力装置、入出力プログラム、および入出力方法
WO2014128749A1 (ja) 形状認識装置、形状認識プログラム、および形状認識方法
WO2014128748A1 (ja) キャリブレーション装置、キャリブ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および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CN107533375A (zh) 场景图像分析模块
WO2019237838A1 (zh) 可穿戴设备的参数调整方法、装置、穿戴设备及存储介质
US11774764B2 (en) Digital glasses having display vision enhancement
CN104865705A (zh) 一种基于智能移动设备的增强现实头戴设备
TW201917447A (zh) 頭戴式顯示裝置以及色差強化方法
US11042226B2 (en) Constellation-based augmentation of mouse form-factor for virtual reality applications
KR20190045740A (ko) 스마트 거울을 이용한 안경 피팅 시스템의 운영방법
KR101324808B1 (ko) 렌즈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TW201518994A (zh) 液晶顯示器顯示視角的調整方法、裝置和系統
US12008711B2 (en) Determining display gazability and placement of virtual try-on glasses using optometric measurements
US201200692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ewing objects in bright light
TW202018465A (zh) 用於顯示虛擬影像的電子裝置及其操作方法
US20230252721A1 (en) Determining display gazability and placement of virtual try-on glasses using optometric measur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