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554B1 - 액정표시장치모듈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554B1
KR101324554B1 KR1020060131738A KR20060131738A KR101324554B1 KR 101324554 B1 KR101324554 B1 KR 101324554B1 KR 1020060131738 A KR1020060131738 A KR 1020060131738A KR 20060131738 A KR20060131738 A KR 20060131738A KR 101324554 B1 KR101324554 B1 KR 101324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liquid crystal
dumm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1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7880A (ko
Inventor
오지환
최기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1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554B1/ko
Priority to US11/937,845 priority patent/US7667811B2/en
Publication of KR20080057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과 TCP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TCP와 연결되는 되는 패드 사이에는 다수의 더미패드를 가지며, 상기 다수의 더미패드 중 일부는 전기적으로 격리된 구조를 갖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보호하도록 이를 덮으며 형성되며 상기 일부의 더미패드에 대응하여 엠보패턴을 갖는 커버쉴드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모듈{Liquid cystal display device module}
도 1 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인쇄회로기판이 커버버툼의 배면에 형성된 경우의 접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모듈에 있어 인쇄회로기판의 패드부와 이를 덮는 커버쉴드를 펼친 상태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4a, 4b는 도 3을 Ⅳ-Ⅳ를 따라 절단한 부분에 대한 단면도로서, 도 4a는 일반적인 상태를, 도 4b는 커버쉴드에 외력이 작용되었을 때의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모듈에 있어 특징적인 구성을 갖는 인쇄회로기판의 TCP와 접합되는 패드부 및 이를 덮는 커버쉴드의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6을 절단선 Ⅶ-Ⅶ 따라 절단한 부분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도 6을 절단선 Ⅷ-Ⅷ 따라 절단한 부분에 대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2 : TCP 134 : 인쇄회로기판
135a, 135b : 더미패드 136 : 패드
160 : 커버쉴드 163 : 엠보패턴
170 : ACF
A : (외력 작용시)엠보패턴 접촉영역
H : 홈부
IA : 격리된 영역
PA : 패드부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기적으로 격리된 더비패턴을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의 화상구현원리는 액정의 광학적 이방성과 분극성질을 이용하는 것으로, 액정은 분자구조가 가늘고 길며 배열에 방향성을 갖는 이방성과 전기장 내에 놓일 경우 그 크기에 따라 분자배열의 방향이 변화되는 분극성질을 띤다. 이에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면으로 각각 전계생성전극이 형성된 한 쌍의 투명절연기판으로 이루어진 액정패널을 필수적인 구성요 소로 하며, 각 전계생성전극 사이의 전기장 변화를 통해서 액정분자의 배열방향을 인위적으로 조절하고 이때 변화되는 빛의 투과율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액정패널은 자체 발광요소를 갖지 못하는 소자이므로 별도의 광원을 요구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배면으로는 형광램프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이 마련되어 액정패널 전면을 향해 빛을 조사하고 이를 통해서 비로소 식별 가능한 휘도의 화상이 구현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모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모듈(1)은 액정패널(30)과 백라이트 유닛(20), 그리고 플라스틱 재질의 서포트메인(10)과 커버버툼(40), 탑커버(50)를 포함한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테 형상의 서포트메인(10) 상면으로 백라이트 유닛(20)과 액정패널(30)이 순서대로 포개어지고, 이러한 서포트메인(10)의 형태 변형방지를 위해서 서포트메인(10)의 배면을 따라 커버버툼(40)이 결합되며, 이들 모두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액정패널(30) 가장자리를 테두리 하는 탑커버(50)가 서포트메인(10) 및 커버버툼(40)에 조립 체결되고 있다.
이때, 액정패널(30)의 적어도 일측면을 따라서는 연성특성을 갖는 필름형태의 TCP(tape carrier package, 32)을 매개로 그 패드(TCP의 패드(미도시) 및 인쇄회로기판(34)의 패드(도 3의 36))간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 34)이 연결되고 있다.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34)의 상기 TCP(32)와 연결된 부분 외부로 노출된 부분에는 다수의 더미패드(35)들이 형성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렇게 패드부(PA)에 더미패드(35)를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TCP(32)와의 접촉하기 위해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 ACF(이하 ACF라 칭함), 미도시)를 상기 인쇄회로기판(34) 상의 패드부(PA) 전체에 형성하는데, 상기 ACF(미도시)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동일한 환경을 만들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더미패드(35)는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상기 인쇄회로기판(34) 내에 구현된 그라운드(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있다.
한편, 상기 백라이트 유닛(20)은 서포트메인(10)의 내측으로 그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있으며, 이때 상기 백라이트 유닛(20)은 그 양끝단에 램프홀더(미도시)를 포함하는 형광램프(24)와, 서포트메인(10) 상부에 백색 또는 은색시트의 반사판(22)과, 상기 반사판(22) 상에 안착되는 도광판(26) 그리고 이를 덮는 다수의 광학시트(28)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또한, 상기 반사판(22)의 일측에는 형광램프(24)를 가이드 하는 램프가이드(미도시)가 구비되고 있으며, 상기 커버버툼(40) 배면으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4) 및 백라이트 유닛(20)을 구동시키기 위한 백라이트 구동회로(미도시)를 보호하는 커버쉴드(60)가 구성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모듈(1)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34)에는 다수의 구동회로를 구현하기 위해 전자부품이 구성됨으로서 이러한 전자부품들로부터 전자파가 발생되므로, 전자파에 의한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라운드 균형을 적절히 맞추는 등의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도 2는 종래의 액정표시장치 모듈에 있어서 모든 구성요소가 장착된 상태의 단면을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판(22), 도광판(26)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학시트(28)들이 내부에 적층되고, 액정패널(30)을 지지하는 서포트메인(10)과, 이의 배면으로 커버버툼(40)이 결합되며 액정패널(30) 가장자리를 테두리하는 탑커버(50)가 서포트메인(10) 및 커버버툼(40)에 결합되어 있으며, 커버버툼(40)의 배면으로 커버쉴드(60)가 구성되고 있다.
이때, 상기 액정패널(30)의 일측면을 따라서 TCP(32)에 의해 연결된 상기 인쇄회로기판(34)은 커버버툼(40)의 배면으로 절곡되어 구성되고 있으며, 이러한 커버버툼(40)의 배면에 위치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4)은 커버쉴드(60)에 의해 보호되고 있다.
이때 상기 커버쉴드(60)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4)과 접촉되지 않도록 이격공간을 가지며, 외력에 의해 상기 커버쉴드(60)가 상기 인쇄회로기판(34)과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그 표면에 이와 마주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4)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의 엠보패턴(63)이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엠보패턴(63)은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인쇄회로기판(34)과 소정의 이격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구조가 되고 있다.
도 3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모듈에 있어 인쇄회로기판의 패드부와 이를 덮는 커버쉴드를 펼친 상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러한 엠보패턴(63)은 주로 인쇄회로기판(34)의 가장자리를, 특히 TCP(34)가 부착되는 패드부(PA) 중 상기 TCP(32) 가 부착된 부분을 제외한 상기 더미패드(35) 가 형성된 부분에 주로 형성되고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4)의 TCP(32)와 연결되는 패드부(PA)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4) 내의 다수의 구동회로 및 전자부품들과 연결되는 다수의 패드(36)가 형성되며, 동일한 환경을 형성함으로써 ACF(70)를 통한 TCP(32)와 인쇄회로기판(34)간의 접착력 강화를 위해 상기 구동회로등과 연결된 그룹진 형태의 패드(36)들 사이에는 다수의 더미패드(35)가 형성되고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더미패드(35)는 내부적으로 그라운드(미도시)와 연결되도록 설계되고 있다.
이때, 상기 TCP(32)와 상기 인쇄회로기판(34)간의 부착은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70)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기 ACF(70) 내의 다수의 도전입자(미도시)들이 상기 TCP(32)의 패드와 인쇄회로기판(34)의 패드(36)간에 도통을 시키는 구조가 되고 있다.
이러한 ACF(70)는 그 특성상 TCP(32)가 접착되는 부분에만 형성되지 않고 상기 인쇄회로기판(34) 내의 패드(36) 및 더미패드(35)가 형성된 패드부(PA) 전체에 형성되고 있으며, 따라서 상기 TCP(32)가 부착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4) 상에서 노출되고 있다.
이러한 패드부(PA)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쉴드(60)에 엠보패턴(63)이 형성될 경우, 완성된 상태의 액정표시장치용 모듈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A영역을 절단선 Ⅳ-Ⅳ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인 도 4a(커버쉴드에 외력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와 도 4b(커버쉴드에 외력이 발생된 상태)를 참조하면, 외부로부터의 압력이 없을 경우, 도 4a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엠보패턴(63)과 상기 인쇄회로기판(34) 상의 상기 TCP(32) 외부로 노출된 ACF(70)와는 소정의 이격간격을 가지며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외부로부터 외력이 상기 커버쉴드(60)에 가해지는 경우 상기 엠보패턴(63)이 외력에 의해 눌려짐으로 해서 상기 ACF(70)내의 도전입자(72)에 의해 상기 더미패턴(35)과 상기 엠보패턴(63)이 도통되는 구조가 됨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쉴드(60) 자체가 커다란 저항체로서의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설계상으로 인쇄회로기판(34) 자체의 균형적인 그라운드 상태가 깨짐으로 해서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인해 화면상에 물결무늬 등이 발생하여 표시품질의 저하를 유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커버쉴드가 외력에 의해 인쇄회로기판과 접촉되더라도 인쇄회로기판 자체의 균형적인 그라운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구조의 액정표시장치모듈을 제공함으로써 EMI에 의한 표시품질 저하를 방지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모듈은,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과 TCP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TCP와 연결되는 되는 패드 사이에는 다수의 더미패드를 가지며, 상기 다수의 더미패드 중 일부는 전기적으로 격리된 구조를 갖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보호하도록 이를 덮으며 형성되며 상기 일부의 더미패드에 대응하여 엠보패턴을 갖는 커버쉴드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전기적으로 격리된 구조를 갖는 더미패드를 둘러싸며 홈부가 더욱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홈부는 그 내부에 위치하는 금속재질의 더미패턴은 제거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격리된 구조를 갖는 더미패드 이외의 더미패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내에 구현된 그라운드와 연결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액정패널 상부로 그 테두리부를 덮는 탑커버와; 상기 액정패널 하부에 형성된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 상에 안착되는 도광판, 그리고 다수의 광학시트와; 상기 광학시트의 테두리를 감싸는 서포트메인과; 상기 서포트메인의 내측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형광램프와, 상기 형광램프를 가이드하기 위해 형성된 램프가이드와; 상기 서포트메인 하부에 위치하는 커버버툼을 더욱 포함하며,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커버버툼의 배면으로 절곡되어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모듈의 일부에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모듈(101)은 액정패널(130)과 백라이트 유닛(120), 그리고 플라스틱 재질의 서포트메인(110)과 커버버툼(140), 탑커버(150)와, 상기 액정패널(130)과 TCP(132)를 통해 연결된 인쇄회로기판(134)과, 상기 인쇄회로기판(134)의 보호를 위한 커버쉴드(1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더욱 상세히 각 구성요소들간의 결합상태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사각테 형상 의 서포트메인(110) 상면으로 백라이트 유닛(120)과 액정패널(130)이 순서대로 포개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서포트메인(110)의 형태 변형방지를 위해서 상기 서포트메인(110)의 배면을 따라 커버버툼(140)이 결합되고 있으며, 이들 모두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액정패널(130)의 가장자리의 상하 및 측면부를 두르는 탑커버(50)가 상기 서포트메인(110) 및 커버버툼(140)에 조립 체결되고 있다.
또한, 상기 액정패널(130)의 일측면을 따라서 연성특성을 갖는 필름형태의 TCP(tape carrier package)을 매개로하여 그 패드부(PA)가 접착된 형태로써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134)이 연결되고 있으며,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134)은 상기 TCP(132)가 부착된 영역 외부로 노출된 패드부(PA)에 있어서는 그 일부가 아일랜드 형태로 그 테두리를 따라 홈부(H)를 가지며 이에 의해 전기적으로 구동회로 및 그라운드와의 연결이 단절된 격리된 영역이 형성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홈부(H)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격리된 영역 내에 형성된 더미패턴은 상기 홈부(H)에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절단된 상태가 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백라이트 유닛(120)은, 상기 서포트메인(110)의 내측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그 양끝단에 램프홀더를 포함하는 형광램프(124)와, 상기 서포트메인(110) 상면에 위치하는 백색 또는 은색시트의 반사판(122)과, 상기 반사판(122) 상에 안착되는 도광판(126) 그리고 이를 덮는 다수의 광학시트(128)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또한, 상기 반사판(122)의 일측에는 상기 형광램프(124)를 가이드 하는 램프 가이드(미도시)가 구비되고 있으며, 상기 커버버툼(140) 배면으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34)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120)내의 형광램프(124)를 구동시키기 위해 형성된 백라이트 구동회로를 보호하는 커버쉴드(160)가 각각 구성되고 있다.
이후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모듈에 있어 특징적인 구성을 갖는 인쇄회로기판 및 커버쉴드의 구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조금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모듈에 있어 특징적인 구성을 갖는 인쇄회로기판의 TCP와 접합되는 패드부 및 이를 덮는 커버쉴드의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과 도 8은 도 6을 각각 절단선 Ⅶ-Ⅶ, Ⅷ-Ⅷ를 따라 절단한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도시된 A영역은 커버쉴드를 장착했을 경우, 엠보패턴이 위치하는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모듈(101)에 구성되는 인쇄회로기판(132)은 TCP(134)와 ACF(17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패드부(PA)에 있어서는 구동회로 및 전자부품들과 연결되는 다수의 패드(136)와, 이러한 실질적인 다수의 패드(136)들 사이에 상기 ACF(17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134)간의 접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동일한 접착 환경을 구성하기 위해 형성된 다수의 더미패드(135)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이러한 더미패드(135)들은 대부분이 상기 인쇄회로기판(134) 내에 구현된 그라운드(미도시)와 연결되고 있으며, 이들 중 커버쉴드(160)의 엠보패턴(163)과 외부의 압력에 의해 접촉되는 부분(A)과 , 상기 엠보패턴(163)과 외력에 의해 접촉되는 부분과 그 주위의 소정폭에 대응하는 영역에 있어서는 그 영역의 테두리를 따라서 상기 더미패드와 그라운드와의 전기적 연결을 단절시키는 홈부(H)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홈부(H)를 따라 노출된 금속재질의 더미패드(135)는 모두 제거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134) 상에서 아일랜드 형상의 격리된 영역(IA)을 이루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즉, 더미패드(135) 중 일부 즉 상기 격리된 영역(IA) 외부에 형성된 더미패드(135a)에 대해서는 내부 배선을 통해 상기 그라운드(미도시)와 연결되고 있으며, 상기 커버쉴드(160)의 엠보패턴(163)에 대응되는 부분(A) 더욱 정확히는 상기 홈부에 의해 격리된 영역(IA)에 더미패드(135b)는 단지 패드형태를 구현하고 있을 뿐, 구동회로 및 그라운드(미도시) 등의 인쇄회로기판을 구성하는 어떠한 구성요소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격리된 형태로 구성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홈부(H)는 상기 격리된 영역(IA)이 타 영역과의 전기적 연결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 형성한 것이며, 상기 홈부(H)는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홈부(H)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더미패턴(135)은 절단되어 제거됨으로써 상기 홈부(H)에 대응하는 부분을 이격영역으로 하여 상기 격리된 영역(IA) 형성된 더미패턴(135b)과 그 외부에 형성된 더미패턴(135a)과는 전기적으로 단절된 상태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격리된 영역을 형성해도 무방하다.
따라서, 이러한 패드(136)와 더미패드(135) 위로 ACF(170)를 패드부(PA) 전면에 형성하고, 실제 구동회로 또는 전자부품과 연결되는 패드(136)에 대해서는 TCP(132)가 위치하여 가압됨으로써 상기 인쇄회로기판(134)의 패드(136)와 상기 TCP(132)내의 패드(미도시)가 상기 ACF(170) 내의 도전입자(172)에 의해 도통됨으로써 전기적 연결을 이루고, 그 외의 더미패드(135)가 형성된 부분은 상기 ACF(170)가 접착된 상태로 노출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인쇄회로기판(134)은 커버쉴드(160)에 의해 가려지게 되며, 이때 커버쉴드(160)에 외력이 인가될 경우, 상기 인쇄회로기판(134)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형성된 엠보패턴(163)이 상기 패드부(PA)의 격리된 영역(IA)에 위치한 더미패턴(135b)과 중첩하며 소정간격 이격하여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따라서, 도 5를 참조하면,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모듈(101)의 경우, 상기 커버쉴드(160) 더욱 정확히는 상기 커버버툼(140)의 배면에 위치한 상기 인쇄회로기판(134)을 보호하기 위해 이를 덮으며 구성된 커버쉴드(160)의 엠보패턴(163)이 외력이 발생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134)의 패드부(PA)와 접촉한다 하여도 상기 엠보패턴(163)에 대응하는 부분의 패드부(PA)에는 격리된 영역(IA) 내에 형성된 더미패드(135b)가 대응되며, 더욱이 상기 엠보패턴(163)에 대응되는 상기 격리된 영역(IA)에 형성된 더미패드(135b)의 경우, 상기 인쇄회로기판(134)상에서 그 테두리를 따라 홈부(H)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H)에 의해 그라운드로 연결되는 부분이 제거되어 전기적으로 단절되어 아일랜드 형태로 격리된 구조가 되는 바, 상기 인쇄회로기판(134)의 그라운드 균형에 영향을 끼치지 않게 되며 이로인해, 그라운드의 균형 깨짐에 의한 EMI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모듈은 커버쉴드와 인쇄회로기판이 외력에 의해 접촉한다하더라도 상기 접촉되는 부분을 인쇄회로기판내에서 전기적으로 격리된 구조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이러한 접촉에 의해 EMI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과 TCP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TCP와 연결되는 되는 패드 사이에는 다수의 더미패드를 가지며, 상기 다수의 더미패드 중 일부는 전기적으로 격리된 구조를 갖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보호하도록 이를 덮으며 형성되며 상기 일부의 더미패드에 대응하여 엠보패턴을 갖는 커버쉴드
    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전기적으로 격리된 구조를 갖는 더미패드를 둘러싸며 홈부가 더욱 형성된 것이 특징인 액정표시장치모듈.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그 내부에 위치하는 금속재질의 더미패턴은 제거된 것이 특징인 액정표시장치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된 구조를 갖는 더미패드 이외의 더미패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내에 구현된 그라운드와 연결된 것이 특징인 액정표시장치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패널 상부로 그 테두리부를 덮는 탑커버와;
    상기 액정패널 하부에 형성된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 상에 안착되는 도광판, 그리고 다수의 광학시트와;
    상기 광학시트의 테두리를 감싸는 서포트메인과;
    상기 서포트메인의 내측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형광램프와, 상기 형광램프를 가이드하기 위해 형성된 램프가이드와;
    상기 서포트메인 하부에 위치하는 커버버툼
    을 더욱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커버버툼의 배면으로 절곡되어 구성된 것이 특징인 액정표시장치모듈.
KR1020060131738A 2006-12-21 2006-12-21 액정표시장치모듈 KR101324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738A KR101324554B1 (ko) 2006-12-21 2006-12-21 액정표시장치모듈
US11/937,845 US7667811B2 (en) 2006-12-21 2007-11-09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738A KR101324554B1 (ko) 2006-12-21 2006-12-21 액정표시장치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880A KR20080057880A (ko) 2008-06-25
KR101324554B1 true KR101324554B1 (ko) 2013-11-01

Family

ID=39542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1738A KR101324554B1 (ko) 2006-12-21 2006-12-21 액정표시장치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667811B2 (ko)
KR (1) KR1013245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72248B2 (en) 2015-01-14 2017-02-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EP3836219A4 (en) * 2018-08-09 2022-05-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71978B2 (en) * 2006-06-05 2013-06-25 Samsung Display Co., Ltd. Driving device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100918052B1 (ko) 2008-03-07 2009-09-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41365B1 (ko) * 2013-12-31 2020-08-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4650A (ko) * 2004-03-24 2005-09-2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060032710A (ko) * 2004-10-13 2006-04-1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060113119A (ko) * 2005-04-29 2006-11-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1633B2 (ja) * 2000-09-14 2004-05-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4650A (ko) * 2004-03-24 2005-09-2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060032710A (ko) * 2004-10-13 2006-04-1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060113119A (ko) * 2005-04-29 2006-11-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72248B2 (en) 2015-01-14 2017-02-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EP3836219A4 (en) * 2018-08-09 2022-05-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925077B2 (en) 2018-08-09 2024-03-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880A (ko) 2008-06-25
US7667811B2 (en) 2010-02-23
US20080151170A1 (en) 200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1033B2 (ja) 表示装置
US9759944B2 (en) Side cover film for display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4268924B2 (ja) 液晶表示装置
KR101377816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324554B1 (ko)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080035784A (ko) 도전성 접착 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액정 표시 모듈
KR20180064628A (ko) 액정표시장치
CN110299121B (zh) 薄膜晶体管驱动电路以及液晶显示装置
KR102595455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420788B1 (ko) 표시장치
KR20070004335A (ko) 액정표시장치
KR20110107092A (ko) 몰드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장치
KR101675838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90070944A (ko) 액정표시장치
JP2022172617A (ja) 液晶表示装置
KR102421508B1 (ko) 표시장치
KR101323620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60125074A (ko) Esd 개선을 위한 접지 경로가 형성된 액정표시패널어셈블리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060111077A (ko) 액정표시장치모듈
KR101175563B1 (ko) 액정표시장치의 체결구조
KR101174152B1 (ko) 액정표시모듈
KR20050009365A (ko) 액정표시장치 모듈
KR20070001546A (ko) 액정표시장치용 피이티 재질의 커버실드
KR20050004400A (ko) 액정표시장치
KR20070080996A (ko)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