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479B1 - 신재생에너지원, 보조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전기자동차 충전소를 연계한 v2g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신재생에너지원, 보조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전기자동차 충전소를 연계한 v2g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24479B1 KR101324479B1 KR1020110130390A KR20110130390A KR101324479B1 KR 101324479 B1 KR101324479 B1 KR 101324479B1 KR 1020110130390 A KR1020110130390 A KR 1020110130390A KR 20110130390 A KR20110130390 A KR 20110130390A KR 101324479 B1 KR101324479 B1 KR 1013244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electric vehicle
- charging station
- power system
- energy storag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8/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y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재생에너지원, 보조 에너지 저장 장치, 전기자동차 충전소를 연계하여, 계통운영의 유연성과 안정도를 강화하고, 신재생에너지의 출력 변동성을 고려하여 시장가치에 기반한 충방전 우선순위가 결정되도록 하여 수익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는 V2G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V2G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신재생에너지원, 보조 에너지 저장 장치, 전기자동차 충전소를 연계하여, 계통운영의 유연성과 안정도를 강화하고, 신재생에너지의 출력 변동성을 고려하여 시장가치에 기반한 충방전 우선순위가 결정되도록 하여 수익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는 V2G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접속형전기자동차(PEV: Plug-in Electric Vehicle)는 전기플러그를 통해 전력시스템에 접속하여 충전하고 또한 필요시 방전하여 전기를 전력시스템에 공급할 수 있는 개념의 전기자동차로서 향후 그 수가 늘어날 경우 움직이는 전기저장장치로서의 역할이 기대되고 있다.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서 전력계통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행위를 V2G(Vehicle-to-Grid) 서비스라고 하는데,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전기요금제가 도입될 경우 전기자동차는 전기가격이 쌀 때 저장하였다가 비쌀 때 되팔 수 있는 거래행위를 할 수 있다. 이는 전력산업에서 새로운 부가서비스 시장 창출로 각광받고 있으며, 스마트그리드 체제로의 이행 시 가장 각광받게 될 부문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스마트그리드를 위한 다양한 에너지원을 연계한 유연하고 안정적인 V2G 서비스가 필요한 실정이며, 변동되는 전력의 시장가치를 고려하여 수익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관련 기술로서, 1.스마트 그리드 전기자동차를 위한 자기장 통신 시스템 구현 연구', 한국통신학회논문지 제35권 제9호 (2010년 9월)-네트워크 및 융합 서비스 pp.1381-1389 1226-4717 KCI, 2.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11-0044006 등이 참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재생에너지원, 보조 에너지 저장 장치, 전기자동차 충전소를 연계하여, 계통운영의 유연성과 안정도를 강화하고, 신재생에너지의 출력 변동성을 고려하여 시장가치에 기반한 충방전 우선순위가 결정되도록 하여 수익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는 V2G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V2G(Vehicle-to-Grid) 서비스 방법으로서,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 보조 서비스를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 및 신재생에너지 전력 시스템이 전력 계통과 연계한 운전 시에, 전력 요금이 차등 부과되는 전력 수요의 고 수요 지역과 저 수요 지역으로 지역별 요금 차등화가 이루어지는 지역에서, 전기자동차가 전력 가격이 쌀 때는 배터리에 전력을 충전하였다가 전력 가격이 비쌀 때는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으로 배터리의 전력을 판매하여 계통 운영자의 수익이 극대화하도록 운영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통한 V2G(Vehicle-to-Grid) 서비스 방법으로서,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은 신재생에너지 전력 시스템, 전력 계통, 또는 전기자동차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저장장치에 충전하고, 전기자동차로 충전 또는 전력계통으로 방전하되, 재생에너지 전력 시스템의 생산 전력이 기준 보다 높을 경우,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을 먼저 충전용량만큼 충전하고, 그 이상의 잉여전력을 우선순위에 따라 보조 서비스를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와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을 충전하며, 신재생에너지 전력 시스템의 생산 전력이 기준 이하일 경우, 보조 서비스를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와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의 충전량을 체크하여 각각의 분담비율에 따라 전기자동차 충전소를 통해 충전하고자 하는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보조 서비스를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에 대한 전력의 보상단가가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을 통한 충전 단가 보다 높은 경우는 보조 서비스를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를 우선적으로 충전하고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을 통하여 우선적으로 방전하며, 반대로 상기 충전 단가가 더 높은 경우에는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을 먼저 충전하며 보조 서비스를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를 통하여 먼저 방전할 수 있다.
상기 분담비율은 보조 서비스를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와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의 충전량 또는 충전 용량에 대한 충전량의 비율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V2G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전력 계통과 연계된 신재생에너지원, 보조 에너지 저장 장치, 전기자동차 충전소 등 계통운영의 유연성과 안정도를 강화할 수 있으며, 신재생에너지의 출력 변동성을 고려하여 시장가치에 기반한 충방전 우선순위가 결정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저장장치를 통한 보조 서비스 시장의 활성화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역별 요금 차등화에 대응한 V2G 서비스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간별 부하 변동에 대응한 V2G 서비스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계 운전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방전 협조운전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방전 시 우선순위 결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간별 부하 변동에 대응한 V2G 서비스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계 운전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방전 협조운전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방전 시 우선순위 결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먼저 계통운영자는, V2G(Vehicle-to-Grid) 서비스를 위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 보조 서비스를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 풍력/태양광/조력 등에 의한 전력 공급을 담당하는 신재생에너지 전력 시스템을 운영하며,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은 소정 제어 장치의 제어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전력 시스템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으며, 신재생에너지 전력 시스템의 잉여 전력이 부족한 경우에는 외부의 전력 계통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제어 장치의 제어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전력 시스템은 잉여 전력을 보조 서비스를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에 충전할 수 있으며, 보조 서비스를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에 충전된 전력은 제어 장치의 제어에 따라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으며,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이나 보조 서비스를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는 제어 장치의 제어에 따라 전력계통으로 전기를 공급(방전)하여 되팔 수도 있다. 이때, 전기자동차 역시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전기자동차 충전소로 방전하여 되팔 수도 있다. 하기 하는 바와 같은 V2G 서비스를 위한 계통 연계에서 전력 충전이나 이용 또는 방전과 관련된 전기적 제어 신호는 제어 장치의 제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전력 거래에 관한 요금(충전/방전) 계산이나 청구서 통보 등도 제어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필요한 메시지가 소비자의 단말 등으로 발송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를 통한 V2G 서비스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역별 요금 차등화에 대응한 V2G 서비스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위와 같은 연계된 계통에서 지역별 전력 수요를 살펴보면, 전력 수요가 높은 고 수요 지역(High Demand Area)의 경우 충전(풍력, 전기자동차 등으로부터 전력공급 받음)과 방전(전력계통으로 전력공급) 전력 요금은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충전요금과 방전요금이 동시에 올라가게 되어, A지역의 전기자동차 충전소(Charging Station A)의 전력 시스템에서는 충전에 대한 유인보다 방전에 대한 유인이 커지게 되고, A지역의 전기자동차 충전소(Charging Station A)의 전력 시스템에서 배터리를 충전하고자 하는 전기자동차가 몰리게 되더라도 이러한 수요를 충족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전력 수요가 낮은 저 수요 지역(Low Demand Area)의 경우 전력요금은 하락하게 되며, 그로 인해 B지역의 전기자동차 충전소(Charging Station B)의 전력 시스템에서의 충전에 대한 유인이 증가하고 방전에 대한 유인은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전력 요금이 다른 고 수요 지역과 저 수요 지역에 요금을 차등 부과함으로써 지역적인 부하 평탄화를 유도할 수 있고 그로 인해 계통의 지역별 수급 균형을 유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간별 부하 변동에 대응한 V2G 서비스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지역별 요금 차등화뿐만 아니라, 시간대별 요금 차등화를 통해 시간축에 대한 부하 평탄화 및 저장장치(배터리)로서의 전기자동차 효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A나 B 지역에 분포한 자동차 수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수요(Demand)가 일정 하다고 가정할 경우 시간대에 따라 전기자동차가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을 통해 전기를 충전할 수도, 방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기자동차는 전력 가격이 쌀 때는 배터리에 전력을 충전하였다가 비쌀 때는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으로 방전(판매)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간과 공간의 효과를 잘 조율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에서의 충전과 방전에 따른 수익을 극대화하도록 운영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계 운전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 보조 서비스를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 풍력/태양광/조력 등에 의한 전력 공급을 담당하는 신재생에너지 전력 시스템, 및 외부 전력 회사의 전력 계통을 연계하여 운영할 때,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전기자동차를 충전해야 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충방전 시점이나 충전 부하에 따라 대규모로 전력을 방전하거나 충전하기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점이나 상황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전력 시스템,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과 보조 서비스를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의 연계 운전을 통하여 유연성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신재생에너지 전력 시스템의 생산 전력이 많을 때, 즉, 계통운영자가 설정한 기준보다 높을 경우(도 4의 S10 참조),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의 자체 저장 장치의 충전량을 체크하여(도 4의 S20 참조), 일차적으로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에서 전기자동차 충전에 사용할 전력을 일정 충전용량(CS)의 자체 저장 장치에 충전하고(도 4의 S30 참조), 그 이상의 잉여전력을 우선순위에 따라 보조 서비스를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와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의 자체 저장 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도 4의 S40 참조). 이때, 보조 서비스를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와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의 자체 저장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은 신재생에너지 전력 시스템의 생산 전력뿐만아니라, 전기자동차가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을 통하여 공급하는 전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우선 순위의 결정에 있어서, 일례로, 도 5를 참조하면, 보조 서비스를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와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의 자체 저장 장치 중 어떤 것을 우선적으로 저장(충전)하거나 이를 방전(전력계통으로 전력공급)할까 하는 것은, 경제성 관점에서 검토된다. 기본적으로 충전과 방전 시에 전력 가격의 시장 상황에 따른 해당 기대수익에 따라 충전과 방전이 결정될 수 있다.
전기자동차 충전소와 같은 경우는 기본적으로 평균적인 충전요금에 근거하여 수익을 거두게 되고, 보조 서비스를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의 경우는 해당 보조서비스 운영 정책에 기반한 보상수준에 근거하여 계통 운영자의 수익이 창출될 수 있다. 그러나, 전기자동차의 충전이나 보조서비스 단가(예, 전력량 당 요금)도 가변적일 수 있는데, 일단 시간에 대한 변동은 무시하고 상대적인 수준에만 근거하여 도식화하면 도 5와 같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보조 서비스를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에 대한 전력의 보상단가가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을 통한 충전 단가 보다 높은 경우는 보조 서비스를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를 우선적으로 충전하고, 반대로 충전 단가가 더 높은 경우에는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을 먼저 충전하게 된다.
방전할 경우는 반대로 기대수익이 낮은 것을 먼저 방전하는데, 예를 들어, 보조 서비스를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에 대한 전력의 보상단가가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을 통한 충전 단가 보다 높은 경우는,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을 통하여 우선적으로 방전하고 반대로 충전 단가가 더 높은 경우에는 보조 서비스를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를 통하여 먼저 방전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 신재생에너지 전력 시스템의 생산 전력이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의 자체 저장 장치를 풀 충전할 만큼에 미치지 못하여 그 이하일 경우, 즉, 계통운영자가 설정한 기준보다 낮은 경우(도 4의 S10 참조)에는, 보조 서비스를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와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의 자체 저장장치의 충전량을 체크하여 제어 장치가 서로 분담하는 비율을 결정한 후, 각각의 분담비율에 따라 전기자동차 충전소를 통해 충전하고자 하는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공급(충전)할 수 있다(S50). 예를 들어, 위와 같은 분담비율은 각각의 충전량(예, 충전량이 큰 쪽이 더 많이 분담)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도 있고, 각각의 충전 용량에 대한 충전량의 비율(예, 해당 비율이 큰 쪽이 더 많이 분담)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접속형전기자동차(PEV: Plug-in Electric Vehicle)
V2G(Vehicle-to-Grid)
V2G(Vehicle-to-Grid)
Claims (3)
-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 보조 서비스를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 및 신재생에너지 전력 시스템이 전력 계통과 연계한 운전 시에, 전력 요금이 차등 부과되는 전력 수요의 고 수요 지역과 저 수요 지역으로 지역별 요금 차등화가 이루어지는 지역에서, 전기자동차가 배터리에 전력을 충전하였다가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으로 배터리의 전력을 판매하여 계통 운영자의 수익이 극대화하도록 운영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통한 V2G(Vehicle-to-Grid) 서비스 방법으로서,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은 신재생에너지 전력 시스템, 전력 계통, 또는 전기자동차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저장장치에 충전하고, 전기자동차로 충전 또는 전력계통으로 방전하되,
신재생에너지 전력 시스템의 생산 전력이 기준 보다 높을 경우,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을 먼저 충전용량만큼 충전하고, 그 이상의 잉여전력을 우선순위에 따라 보조 서비스를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와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을 충전하며,
신재생에너지 전력 시스템의 생산 전력이 기준 이하일 경우, 보조 서비스를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와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의 충전량을 체크하여 각각의 분담비율에 따라 전기자동차 충전소를 통해 충전하고자 하는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2G 서비스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보조 서비스를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에 대한 전력의 보상단가가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을 통한 충전 단가 보다 높은 경우는 보조 서비스를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를 우선적으로 충전하고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을 통하여 우선적으로 방전하며,
반대로 상기 충전 단가가 더 높은 경우에는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을 먼저 충전하며 보조 서비스를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를 통하여 먼저 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2G 서비스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담비율은 보조 서비스를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와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전력 시스템의 충전량 또는 충전 용량에 대한 충전량의 비율을 기준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2G 서비스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0390A KR101324479B1 (ko) | 2011-12-07 | 2011-12-07 | 신재생에너지원, 보조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전기자동차 충전소를 연계한 v2g 서비스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0390A KR101324479B1 (ko) | 2011-12-07 | 2011-12-07 | 신재생에너지원, 보조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전기자동차 충전소를 연계한 v2g 서비스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3816A KR20130063816A (ko) | 2013-06-17 |
KR101324479B1 true KR101324479B1 (ko) | 2013-11-01 |
Family
ID=48861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30390A KR101324479B1 (ko) | 2011-12-07 | 2011-12-07 | 신재생에너지원, 보조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전기자동차 충전소를 연계한 v2g 서비스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24479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218597A (zh) * | 2014-08-25 | 2014-12-17 | 浙江工业大学 | 微网下v2g的智能充放电管理方法 |
KR20180066438A (ko) | 2016-12-09 | 2018-06-19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배터리 충전상태에 기반한 전력수용가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KR20190037624A (ko) | 2017-09-29 | 2019-04-08 | 한국전력공사 | 건물 및 계통의 충방전 우선순위를 고려하는 v2xess 연계 시스템 및 방법 |
KR20230057838A (ko) * | 2021-10-22 | 2023-05-02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이동식 전력중계장치를 구비한 블록체인 스마트 전력거래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29807B1 (ko) * | 2013-08-23 | 2016-06-13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전력계통 운영 보조서비스를 위한 전기자동차 충전개소의 참여용량 제어방법 및 시스템 |
US9630511B2 (en) | 2014-03-05 | 2017-04-25 | Nissan North America, Inc. | Vehicle-to-grid system with power loss compensation |
PL424312A1 (pl) * | 2018-01-19 | 2019-07-29 | Wasko Spółka Akcyjna | Autonomiczna stacja ładowania energią elektryczną pojazdów elektrycznych zasilana z układu kogeneracyjnego |
KR102550808B1 (ko) * | 2018-10-02 | 2023-07-03 | 한국전기연구원 | V2g 전기자동차 충전 스테이션의 설계 방법 및 그 장치 |
CN111775737B (zh) * | 2020-07-22 | 2023-01-31 | 湖南汽车工程职业学院 | 一种基于5g的新能源汽车的无线充电对位系统 |
EP3974238A1 (en) | 2020-09-28 | 2022-03-30 | Hyundai Mobis Co., Ltd. |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and power grid operation server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embedded in electric vehicle |
CN112224082B (zh) * | 2020-09-30 | 2022-09-16 | 阳光新能源开发股份有限公司 | 一种充电控制方法及储能充电站 |
KR102534561B1 (ko) * | 2021-07-29 | 2023-05-19 |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 충방전 장치, 배터리 충방전 방법 및 충방전 시스템 |
CN114454767A (zh) * | 2022-02-24 | 2022-05-10 | 上海鲲华新能源科技有限公司 | 一种电动汽车充电站的能量管理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02104A (ja) | 2001-09-26 | 2003-04-04 | San'eisha Mfg Co Ltd | 電気自動車の可搬型充電システムユニット |
KR20080003905A (ko) * | 2005-05-05 | 2008-01-08 | 에이에프에스 트리니티 파워 코포레이션 | 고속 에너지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량 |
KR20100040275A (ko) * | 2007-05-09 | 2010-04-19 | 그리드포인트,인코포레이티드 | 분산 전력 저장 장치의 방전을 스케줄링하고 디스패치 참여를 평준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 |
KR20110057559A (ko) * | 2009-11-24 | 2011-06-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지능형 전력 공급 네트워크에서의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장치 |
-
2011
- 2011-12-07 KR KR1020110130390A patent/KR10132447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02104A (ja) | 2001-09-26 | 2003-04-04 | San'eisha Mfg Co Ltd | 電気自動車の可搬型充電システムユニット |
KR20080003905A (ko) * | 2005-05-05 | 2008-01-08 | 에이에프에스 트리니티 파워 코포레이션 | 고속 에너지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량 |
KR20100040275A (ko) * | 2007-05-09 | 2010-04-19 | 그리드포인트,인코포레이티드 | 분산 전력 저장 장치의 방전을 스케줄링하고 디스패치 참여를 평준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 |
KR20110057559A (ko) * | 2009-11-24 | 2011-06-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지능형 전력 공급 네트워크에서의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장치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218597A (zh) * | 2014-08-25 | 2014-12-17 | 浙江工业大学 | 微网下v2g的智能充放电管理方法 |
KR20180066438A (ko) | 2016-12-09 | 2018-06-19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배터리 충전상태에 기반한 전력수용가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KR20190037624A (ko) | 2017-09-29 | 2019-04-08 | 한국전력공사 | 건물 및 계통의 충방전 우선순위를 고려하는 v2xess 연계 시스템 및 방법 |
KR20220116405A (ko) | 2017-09-29 | 2022-08-23 | 한국전력공사 | 건물 및 계통의 충방전 우선순위를 고려하는 v2xess 연계 시스템 및 방법 |
KR20220116404A (ko) | 2017-09-29 | 2022-08-23 | 한국전력공사 | 건물 및 계통의 충방전 우선순위를 고려하는 v2xess 연계 시스템 및 방법 |
KR20230057838A (ko) * | 2021-10-22 | 2023-05-02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이동식 전력중계장치를 구비한 블록체인 스마트 전력거래시스템 |
KR102605366B1 (ko) | 2021-10-22 | 2023-11-22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이동식 전력중계장치를 구비한 블록체인 스마트 전력거래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3816A (ko) | 2013-06-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24479B1 (ko) | 신재생에너지원, 보조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전기자동차 충전소를 연계한 v2g 서비스 방법 | |
Mohanty et al. | Demand side management of electric vehicles in smart grids: A survey on strategies, challenges, modeling, and optimization | |
Mwasilu et al. | Electric vehicles and smart grid interaction: A review on vehicle to grid and renewable energy sources integration | |
Yilmaz et al. | Review of the impact of vehicle-to-grid technologies on distribution systems and utility interfaces | |
US20120161702A1 (en) | Charging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 |
Falvo et al. | Electric vehicles integration in demand response programs | |
Lauinger et al. | A review of the state of research on vehicle-to-grid (V2G): Progress and barriers to deployment | |
JP5404756B2 (ja) | 電力管理システム | |
He et al. | An optimal charging/discharging strategy for smart electrical car parks | |
US12038726B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vehicle-grid integration | |
Erol-Kantarci et al. | Analysis of plug-in hybrid electrical vehicle admission control in the smart grid | |
Dicorato et al. | Performance analysis of EV stations optimal operation in DC microgrid configurations | |
Wu et al. | On the choice between uncontrolled and controlled charging by owners of PHEVs | |
Tehrani et al. | Vehicle-to-grid service potential with price based PEV charging/discharging | |
Mierau et al. | A distributed approach to the integration of electric vehicles into future smart grids | |
Zahedmanesh et al. | IoT remote control of plug-in electric vehicle charging loads for smart energy management of virtual power plants | |
Aziz et al. | Vehicle to grid (v2g) for peak shaving: New trend, benefits, and issues | |
Ahmadi et al. | Distribution network emergency operation in the light of flexibility | |
Kumar et al. | Electric Vehicles as Energy Storage: V2G Capacity Estimation | |
Ahmad | Analysis of microgrids for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 |
Marra et al. | Vehicle electrification: A further variable toward integrated intelligent energy systems | |
Saeed | Vehicle‐to‐Grid Challenges and Potential Benefits for Smart Microgrids | |
Edwards | Two-way street [Electric vehicles infrastructure] | |
Ashouri et al. | Comparing control strategies for EV and PHEV fleets providing regulation ancillary services | |
Belhaj et al. | Overview of frequency regulation profitability using vehicle to grid: Market remuneration and prosumer behavior impac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4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