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461B1 - 신발 방수 장치 - Google Patents

신발 방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461B1
KR101324461B1 KR1020110046481A KR20110046481A KR101324461B1 KR 101324461 B1 KR101324461 B1 KR 101324461B1 KR 1020110046481 A KR1020110046481 A KR 1020110046481A KR 20110046481 A KR20110046481 A KR 20110046481A KR 101324461 B1 KR101324461 B1 KR 101324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sole
blocking
front contact
contac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6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8489A (ko
Inventor
김병학
Original Assignee
김병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학 filed Critical 김병학
Priority to KR1020110046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461B1/ko
Publication of KR20120128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8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6Overshoes
    • A43B3/20Heel-less over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2Special watertight 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4Shoe lacing fastenings with rings or loo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 방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신발의 밑창 둘레에 밀착되는 차단부;와, 상기 차단부가 상기 밑창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부분이 상기 차단부의 양쪽에 결합하여 상기 신발에 장착되는 고정수단; 및 상기 차단부의 둘레를 따라 연결되고 상기 신발의 외피를 감싸는 방수포;를 포함하되, 상기 차단부는 상기 신발의 하부에서 상기 밑창과 상기 차단부 사이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방수포는 상기 신발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운동화, 등산화 및 경등산화 등의 일반적인 신발에 장착함으로써, 우천시 신발이 젖거나 신발 내부로 빗물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고, 비가 그치면 본 발명을 신발로부터 해제하여 신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항상 쾌적한 산행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신발 방수 장치{Shoes waterproof device}
본 발명은 신발의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 밑창의 저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감싸서 신발 내부로 물기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신발 방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화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구조 및 재질에 따라 경등산화, 중등산화, 방수용 등산화 등이 있다. 이러한 방수용 등산화에 사용되는 방수 원단은 고어텍스, 테트라텍스, 힐텍스 등 종류도 많고, 이에 따른 가격도 다양하다.
그런데, 이러한 방수 등산화는 일반 등산화보다 무거우면서 가격이 매우 비싸서 일반인이 사용하기에는 금전적인 부담이 크다. 특히, 통풍성이 낮기 때문에 여름의 무더운 날씨에 착용하면 땀을 잘 배출시키지 못하여 사용자의 불쾌지수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또한 방수 등산화의 무게가 무거워서 장시간 산행시 다리에 피로가 가중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게다가, 방수용 등산화는 등산화 외피는 방수기능을 수행하지만 물기 등의 이물질이 착용자의 다리를 타고 흘러내릴 경우 이물질이 등산화 내부로 유입되는 것은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일반적인 등산화, 운동화, 경등산화 등의 신발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신발의 외피는 방수포로 감싸고 밑창의 둘레에 차단부를 설치하며 차단부를 신발에 고정함으로써, 착용자의 다리를 타고 흐르는 땀 또는 빗물 등의 이물질이 방수포의 외면으로 흘려 보내어 신발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차단부를 밑창 둘레에 밀착시켜 밑창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신발 방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신발의 밑창 둘레에 밀착되는 차단부;와, 상기 차단부가 상기 밑창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부분이 상기 차단부의 양쪽에 결합하여 상기 신발에 장착되는 고정수단; 및 상기 차단부의 둘레를 따라 연결되고 상기 신발의 외피를 감싸는 방수포;를 포함하되, 상기 차단부는 상기 신발의 하부에서 상기 밑창과 상기 차단부 사이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방수포는 상기 신발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방수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차단부와 상기 방수포가 상기 신발로부터 용이하게 탈착되도록 상기 차단부 및 상기 방수포의 한 부분에 설치되는 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차단부가 상기 밑창 둘레에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상기 차단부 및 상기 방수포는 신축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차단부는, 상기 신발의 전방 일부분을 감싸고 상기 밑창의 전방 둘레에 밀착되는 전방밀착부와, 상기 전방 밀착부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전방밀착부가 상기 밑창에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상기 전방밀착부를 상기 신발의 후방으로 당기고 상기 밑창의 후방 둘레에 밀착되는 후방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전방밀착부는, 상기 고정수단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전방밀착부의 양쪽에 상기 고정수단의 일부분이 끼워져 결합하는 복수의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고정수단은, 양단이 상부로 절곡되고 상기 양단의 일부분이 상기 장착홈에 끼워져 상기 밑창의 하부에 배치되는 이탈방지부와,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차단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탈방지부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신발의 상부에 배치되어 탈착되는 고정밴드를 포함하되,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차단부를 상기 밑창의 양측에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전방밀착부는, 상기 고정수단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전방밀착부의 양쪽에 상기 고정수단의 일부분이 끼워져 결합하는 복수의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고정수단은, 양단이 상부로 절곡되고 상기 양단 부분에 상기 걸림턱이 끼워지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밑창의 하부에 배치되는 이탈방지부와,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차단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탈방지부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신발의 상부에 배치되어 탈착되는 고정밴드를 포함하되,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차단부를 상기 밑창의 양측에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고정수단은, 양단이 상부로 절곡되고 상기 양단 중 한쪽이 상기 전방밀착부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다른 한쪽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밑창의 하부에 배치되는 이탈방지부와,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차단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탈방지부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신발의 상부에 배치되어 탈착되는 고정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밀착부는, 상기 이탈방지부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반대편에 상기 이탈방지부의 관통공에 끼워지는 걸림턱이 형성되되,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차단부를 상기 밑창의 양측에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밴드가 상기 신발의 상부에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상기 이탈방지부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발 방수 장치는,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차단부가 신발의 밑창으로부터 위아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차단부를 신발 밑창의 양 옆으로 밀착시킴으로써, 차단부와 신발의 밑창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더욱 견고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방수포의 상단에 사용자의 다리에 밀착시키는 이물질차단밴드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다리를 타고 흘러내리는 이물질을 방수포의 외면으로 흘려 보냄으로써, 이물질이 신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수단의 위치를 변경하여 장착할 수 있어서 신발사이즈가 달라도 본 발명을 더욱 견고하게 장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무게가 가볍고 부피가 작아서 휴대가 간편하며, 언제든지 꺼내서 등산화에 장착 및 해제할 수 있어서 우천시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통풍이 잘되는 가벼운 경등산화를 신고 산행을 할 때 비가 오더라도 경등산화에 본 발명을 장착하여 경등산화 내부로 빗물 또는 이물질 등이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고, 비가 그치면 본 발명을 경등산화로부터 해제하여 경등산화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항상 쾌적한 산행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발 방수 장치가 등산화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신발 방수 장치에서 경사져 절곡된 이탈방지부를 적용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신발 방수 장치에서 다른 형태의 장착홈과 이물질 차단날개가 형성된 전방밀착부를 적용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신발 방수 장치에서 걸림턱이 형성된 전방 밀착부와 관통공이 형성된 이탈방지부를 적용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신발 방수 장치에서 전방밀착부로부터 회전가능한 이탈방지부를 적용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신발 방수 장치를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신발의 밑창(S-1) 둘레에 밀착되는 차단부(1);와, 차단부(1)가 밑창(S-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부분이 차단부(1)의 양쪽에 결합하여 신발에 장착되는 고정수단(3); 및 차단부(1)의 둘레를 따라 연결되고 신발의 외피를 감싸는 방수포(2);를 포함하되, 차단부(1)는 신발의 하부에서 밑창(S-1)과 차단부(1) 사이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방수포(2)는 신발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차단부(1)와 방수포(2)가 신발로부터 용이하게 탈착되도록 차단부(1) 및 방수포(2)의 한 부분에 설치되는 탈착부(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차단부(1)가 밑창(S-1) 둘레에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차단부(1) 및 방수포(2)는 신축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차단부(1)는, 신발의 전방 일부분을 감싸고 밑창(S-1)의 전방 둘레에 밀착되는 전방밀착부(11)와, 전방밀착부(11)의 양단에 연결되고 전방밀착부(11)가 밑창(S-1)에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전방밀착부(11)를 신발의 후방으로 당기고 밑창(S-1)의 후방 둘레에 밀착되는 후방밀착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전방밀착부(11)는, 고정수단(3)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전방밀착부(11)의 양쪽에 고정수단(3)의 일부분이 끼워져 결합하는 복수의 장착홈(111, 111', 1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 고정수단(3)은, 양단이 상부로 절곡되고 양단의 일부분이 장착홈(111, 111', 111")에 끼워져 밑창(S-1)의 하부에 배치되는 이탈방지부(31-1, 31-2)와, 이탈방지부(31-1, 31-2)가 차단부(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부(31-1, 31-2)의 양단에 연결되고 신발의 상부에 배치되어 탈착되는 고정밴드(33)를 포함하되, 이탈방지부(31-1, 31-2)가 차단부(1)를 밑창(S-1)의 양측에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또, 전방밀착부(11)는, 고정수단(3)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전방밀착부(11)의 양쪽에 고정수단(3)의 일부분이 끼워져 결합하는 복수의 걸림턱(113)이 형성될 수 있다.
또, 고정수단(3)은, 양단이 상부로 절곡되고 양단 부분에 걸림턱(113)이 끼워지는 관통공(31b)이 각각 형성되어 밑창(S-1)의 하부에 배치되는 이탈방지부(31-3)와, 이탈방지부(31-3)가 차단부(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부(31-3)의 양단에 연결되고 신발의 상부에 배치되어 탈착되는 고정밴드(33)를 포함하되, 이탈방지부(31-3)가 차단부(1)를 밑창(S-1)의 양측에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또, 고정수단(3)은, 양단이 상부로 절곡되고 양단 중 한쪽이 전방밀착부(11)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다른 한쪽에 관통공(미도시)(31b)이 형성되어 밑창(S-1)의 하부에 배치되는 이탈방지부(31-4)와, 이탈방지부(31-4)가 차단부(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부(31-4)의 양단에 연결되고 신발의 상부에 배치되어 탈착되는 고정밴드(33)를 포함하고,
또, 전방밀착부(11)는, 이탈방지부(31-4)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반대편에 이탈방지부(31-4)의 관통공(31b)에 끼워지는 걸림턱(미도시)(113)이 형성되되, 이탈방지부(31-4)가 차단부(1)를 밑창(S-1)의 양측에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또, 고정수단(3)은, 고정밴드(33)가 신발의 상부에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이탈방지부(31-1, 31-2, 31-3, 31-4)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발 방수 장치가 등산화(S)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신발 방수 장치에서 경사져 절곡된 이탈방지부(31-2)를 적용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신발 방수 장치에서 다른 형태의 장착홈(111")과 이물질차단날개(112)가 형성된 전방밀착부(11)를 적용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신발 방수 장치에서 걸림턱(113)이 형성된 전방밀착부(11)와 관통공(31b)이 형성된 이탈방지부(31-3)를 적용한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신발 방수 장치에서 전방밀착부(11)로부터 회전가능한 이탈방지부(31-4)를 적용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발 방수 장치는 차단부(1), 방수포(2) 및 고정수단(3)을 포함한다.
차단부(1)는, 전방밀착부(11) 및 후방밀착부(12)를 포함하고, 신발(이하 "등산화(S)"라 함)의 밑창(S-1) 둘레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차단부(1)와 밑창(S-1)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방밀착부(11)는, 대략 전방이 등산화(S)코 일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양단이 등산화(S)의 밑창(S-1) 둘레에 밀착되도록 등산화(S) 밑창(S-1)에 대응하는 모양으로 형성된다. 즉, 전방밀착부(11)는 양단이 등산화(S) 밑창(S-1)의 오목한 양측에 밀착되도록 내측으로 휘어져 형성된다. 또한, 전방밀착부(11)는 등산화(S) 밑창(S-1)에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신축성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여기서, 전방밀착부(11)는 양단에 슬릿형태의 복수의 장착홈(111)이 형성되고, 장착홈(111)에 이탈방지부(31-1)의 삽입편(31a)이 끼워지며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후방밀착부(12)는, 대략 띠 모양의 밴드형태로 전방밀착부(11)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밑창(S-1)의 후방에 밀착된다. 이때, 후방말착부의 양단에는 후방밀착부(12)를 연결하는 벨크로 등의 탈착부(4)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전방밀착부(11)를 등산화(S)에 장착한 후 후방밀착부(12)를 당겨서 후방밀착부(12)를 밑창(S-1)의 둘레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탈착부(4)로 후방밀착부(12)를 고정한다. 이에 따라, 전방밀착부(11) 및 후방밀착부(12)가 밑창(S-1) 둘레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등산화(S)의 밑창(S-1) 하부에서 차단부(1)와 밑창(S-1)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방수포(2)는, 대략 비닐 등의 합성수지재 또는 방수 원단이 사용되고 등산화(S)의 외형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되 등산화(S)보다 높게 형성되며 차단부(1)의 상단 둘레를 따라 접합 된다. 또한, 방수포(2)는 후방이 절개되고 절개된 부분에 벨크로 등의 탈착부(4)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탈착부(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등산화(S)에 용이하면서 신속하게 탈착시킬 수 있다.
한편, 방수포(2)의 상단에는 벨크로 등을 포함하는 신축성 재질의 밴드형태로 된 탈착부(4)가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방수포(2)의 상단으로 착용자의 땀이나 빗물 등의 이물질이 착용자의 다리를 타고 흘러서 등산화(S)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방수포(2)의 상단에 착용자의 다리에 밀착되는 탈착부(4)를 설치하는 것이다.
고정수단(3)은, 이탈방지부(31-1), 버클(32) 및 고정밴드(33)를 포함하며 차단부(1)가 등산화(S)의 밑창(S-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탈방지부(31-1)는, 대략 띠 모양의 플레이트 형태로 양단이 상부로 절곡되고, 양단의 일 영역이 전방으로 돌출된 삽입편(31a)이 형성된다. 즉, 이탈방지부(31-1)는 삽입편(31a)이 전방밀착부(11)의 장착홈(111)에 끼워지고 등산화(S) 밑창(S-1) 하부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이탈방지부(31-1)가 등산화(S)의 밑창(S-1)에 걸려서 차단부(1)가 등산화(S) 밑창(S-1)의 상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을 등산화(S)에 착용하고 보행하면 등산화(S)가 구부러지면서 차단부(1)가 등산화(S) 밑창(S-1)의 상부로 이탈할 수 있다. 즉, 차단부(1)는 전후방으로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등산화(S)가 구부러지면 차단부(1)가 등산화(S) 밑창(S-1)의 상부로 벗겨져 올라갈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차단부(1)가 등산화(S) 밑창(S-1)의 상부로 벗겨지지 않도록 이탈방지부(31-1)의 삽입편(31a)이 전방밀착부(11)의 장착홈(111)에 끼워지고 이탈방지편이 등산화(S) 밑창(S-1)의 저면에 밀착되는 것이다.
또한, 이탈방지부(31-1)는 차단부(1)가 등산화(S) 밑창(S-1)의 양측에 더욱 밀착되도록 이탈방지부(31-1)의 절곡된 양단이 차단부(1)의 양측을 눌러준다. 이에 따라, 등산화(S) 밑창(S-1)의 오목한 부분에 차단부(1)가 밀착됨으로써, 밑창(S-1)과 차단부(1) 사이의 틈새를 더욱 용이하게 제거하여 밑창(S-1)과 차단부(1)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버클(32)은, 대략 역삼각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상부에 고정밴드(33)가 삽입되는 슬릿이 형성되고, 하단은 버클(32)이 회전 가능하도록 이탈방지부(31-1)의 양단 외면에 나사 또는 리벳으로 결합된다.
고정밴드(33)는, 대략 띠 형태로 일단은 한쪽 버클(32)에 고정되고 타단은 다른 쪽 버클(32)에 끼워지며 방수포(2)의 상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고정밴드(33)는 일면에 벨크로 등이 설치되어 고정밴드(33)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수포(2)와 차단부(1)가 등산화(S)에 장착된 상태에서 이탈방지부(31-1)를 전방밀착부(11)에 설치한 후 고정밴드(33)를 당겨서 방수포(2) 및 고정밴드(33)를 등산화(S)의 외피에 밀착시켜 고정밴드(33)를 고정한다. 이에 따라, 고정밴드(33)를 당김으로써 이탈방지부(31-1)가 등산화(S) 밑창(S-1)의 저면에 밀착되고, 이탈방지부(31-1)가 밑창(S-1)으로부터 상부 또는 하부로 이탈하지 않고 밑창(S-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고정밴드(33)가 이탈방지부(31-1)를 당김으로써, 이탈방지부(31-1)가 바닥에 튀어나온 장애물에 걸리더라도 이탈방지부(31-1)는 전방밀착부(11)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는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31-2)는 양단이 경사져 절곡될 수 있다. 왜냐하면, 고정밴드(33)가 등산화(S)의 외피에 밀착될 때 고정밴드(33)가 경사져 설치되는데 고정밴드(33)가 경사져 설치되면 고정밴드(33)가 이탈방지부를 당길 때 경사진 각도로 당기게 되고, 이때 이탈방지부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따라서, 이탈방지부(31-2)가 경사지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이탈방지부(31-2)의 양단을 경사지게 절곡하고, 이에 대응하도록 장착홈(111')을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탈방지부(31-2)가 경사지는 것을 최소화시켜 이탈방지부(31-2)와 밑창(S-1)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나아가 바닥에 튀어나온 장애물과의 간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밀착부(11)의 장착홈(111")은 이탈방지부(31-1)의 삽입편(31a)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전방밀착부(11)의 외면의 일 영역이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에 전후방으로 관통된 장착홈(111")이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탈방지부(31-1)의 삽입편(31a)을 장착홈에 끼울 때 전방밀착부(11)의 한 부분을 꿰듯이 설치하기 때문에 전방밀착부(11)의 일면이 휘어지거나 삽입편(31a)이 휘어질 수 있다. 그러나, 장착홈(111") 부분을 돌출시켜 형성하면 전방밀착부(11)가 휘어지거나 삽입편(31a)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탈방지부(31-1)의 삽입편(31a)을 장착홈(111)에 손쉽게 끼울 수 있어서, 이탈방지부(31-1)를 차단부(1)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삽입편(31a)이 휘어지거나 전방밀착부(11)의 일면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전방밀착부(11)를 밑창(S-1) 둘레에 더욱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이때, 장착홈(111") 부분은 상술한 장착홈(111')과 같이 경사져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른 설명은 상술한 장착홈(111')과 대응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전방밀착부(11)는 내측에 복수의 이물질차단날개(11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등산화(S)의 밑창(S-1) 둘레가 매끄럽지 않아도 복수의 이물질차단날개(112)가 휘어지면서 밑창(S-1) 둘레에 다중으로 밀착되기 때문에 전방밀착부(11)와 밑창(S-1)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이물질차단날개(112)는 후방밀착부(12)의 내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른 기능은 상술한 전방밀착부(11)에 형성된 이물질차단날개(112)와 대응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밀착부(11)의 양쪽 외면에는 상술한 장착홈(111, 111', 111")을 생략하고 복수의 걸림턱(113)을 길이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탈방지부(31-3)의 양단에는 상술한 삽입편(31a)을 생략하고 걸림턱(113)이 끼워지는 관통공(31b)이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전방밀착부(11)의 걸림턱(113)이 이탈방지부(31-3)의 관통공(31b)에 삽입되도록, 이탈방지부(31-3)를 밑창(S-1)의 하부에서 상부로 밀어서 전방밀착부(11)에 장착시킨다. 따라서, 이탈방지부(31-3)를 밀어서 장착하기 때문에 손쉽게 탈착시킬 수 있고, 장착홈(111, 111', 111")을 생략할 수 있어서 전방밀착부(11)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방밀착부(11)를 밑창(S-1) 둘레에 더욱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상술한 장착홈(111, 111', 111") 및 걸림턱(113)을 복수로 형성하는 이유는 착용자의 발 크기에 따라 등산화(S)의 사이즈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탈방지부(31-1, 31-2, 31-3)의 위치 조정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이탈방지부(31-1, 31-2, 31-3)가 끼워지는 장착홈(111, 111', 111") 및 걸림턱(113)을 복수로 형성하여 등산화(S)의 사이즈에 따라서 착용자가 이에 맞게 이탈방지부(31-1, 31-2, 31-3)의 위치를 조절하여 전방밀착부(11)를 등산화(S)의 밑창(S-1) 둘레에 더욱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밀착부(11)의 양측 중 한쪽에 회전결합부(114)가 돌출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탈방지부(31-4)의 일단이 회전결합부(114)에 힌지축(31c)으로 결합되어 회전할 수도 있다. 즉, 고정수단(3)과 차단부(1)는 분리하여 보관하는데 이탈방지부(31-4)의 일단을 전방밀착부(11)의 회전결합부(114)에 힌지축(31c)으로 결합시키면 차단부(1)와 고정수단(3)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보관이 용이하고 고정수단(3)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방밀착부(11)의 다른 쪽에는 상술한 걸림턱(113)(미도시)이 형성되고, 이탈방지부(31-4)의 타단에는 상술한 관통공(31b)(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탈방지부(31-4)를 회전시켜 이탈방지부(31-4)의 타단에 형성된 관통공(31b)을 걸림턱(113)에 걸어서 결합함으로써, 이탈방지부(31-4)를 전방밀착부(11)에 더욱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술한 이탈방지부(31-1, 31-2, 31-3, 31-4)는 차단부(1)의 양측을 조여서 차단부(1)가 등산화(S)의 밑창(S-1) 둘레에 밀착되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차단부
11; 전방밀착부
111, 111', 111"; 장착홈
112; 이물질차단날개
113; 걸림턱
114; 회전결합부
12; 후방밀착부
2; 방수포
3; 고정수단
31-1, 31-2, 31-3, 31-4; 이탈방지부
31a; 삽입편
31b; 관통공
31c; 힌지축
32; 버클
33; 고정밴드
4; 탈착부
S; 등산화(신발)
S-1; 밑창

Claims (3)

  1. 신발의 밑창 둘레에 밀착되는 차단부;
    상기 차단부가 상기 밑창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부분이 상기 차단부의 양쪽에 결합하여 상기 신발에 장착되는 고정수단; 및
    상기 차단부의 둘레를 따라 연결되고 상기 신발의 외피를 감싸는 방수포;를 포함하되,
    상기 차단부는 상기 밑창과 상기 차단부 사이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차단부는 신축성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신발의 전방 일부분을 감싸면서 상기 밑창의 전방 둘레에 밀착되는 전방밀착부와, 상기 전방밀착부의 양측에 연결되어 상기 전방밀착부를 상기 신발의 후방으로 당겨주는 후방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밑창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띠 모양의 플레이트 형태이고 양단이 상방향으로 절곡되며 절곡된 상기 양단이 상기 차단부의 양쪽을 눌러주게 되어 상기 신발의 상기 밑창에 상기 차단부를 밀착시키는 기능을 하며 절곡된 상기 양단이 상기 차단부의 상기 전방밀착부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이탈방지부와,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의 상기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버클과, 상기 버클의 상기 슬릿에 끼워져서 상기 방수포의 상부를 둘러싸줌으로써 상기 이탈방지부를 당겨주고 벨크로가 형성되어 길이조정이 가능한 고정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밀착부의 내측으로 상기 전방밀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이물질차단날개가 형성되어 상기 이물질차단날개가 상기 밑창의 둘레에 밀착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방수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10046481A 2011-05-17 2011-05-17 신발 방수 장치 KR101324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481A KR101324461B1 (ko) 2011-05-17 2011-05-17 신발 방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481A KR101324461B1 (ko) 2011-05-17 2011-05-17 신발 방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489A KR20120128489A (ko) 2012-11-27
KR101324461B1 true KR101324461B1 (ko) 2013-10-31

Family

ID=47513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6481A KR101324461B1 (ko) 2011-05-17 2011-05-17 신발 방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4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168B1 (ko) 2018-10-31 2019-05-22 최유나 우비신발 기능을 갖는 스패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383B1 (ko) * 2012-12-28 2014-12-03 조태규 신발커버
US11617411B2 (en) 2019-06-11 2023-04-04 Karnali Innovations LLC Anti-infective shoe sol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8402A (ja) 2001-09-19 2003-03-25 Ichu Fukuzawa 折り畳み式調整型護靴雨具
KR200337752Y1 (ko) * 2003-10-08 2004-01-07 황우필 신발 커버
KR20050047411A (ko) * 2003-11-17 2005-05-20 최학용 신발 위에 착용하는 방수 덧신
KR20060005520A (ko) * 2004-07-13 2006-01-18 김양수 신발 방수용 착용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8402A (ja) 2001-09-19 2003-03-25 Ichu Fukuzawa 折り畳み式調整型護靴雨具
KR200337752Y1 (ko) * 2003-10-08 2004-01-07 황우필 신발 커버
KR20050047411A (ko) * 2003-11-17 2005-05-20 최학용 신발 위에 착용하는 방수 덧신
KR20060005520A (ko) * 2004-07-13 2006-01-18 김양수 신발 방수용 착용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168B1 (ko) 2018-10-31 2019-05-22 최유나 우비신발 기능을 갖는 스패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489A (ko) 2012-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5739B2 (en) Convertible dance shoe
US9055779B2 (en) Bicycle shoe
US20080047169A1 (en) Footwear cover
JP2014526327A (ja) スポーツブーツ
KR101324461B1 (ko) 신발 방수 장치
US20040200041A1 (en) Clothes fastening system
US20080276495A1 (en) Interchangeable Shoes
KR100742397B1 (ko) 등산화 결착용 보호대
KR20140038106A (ko) 신발 방수 장치
KR200337752Y1 (ko) 신발 커버
KR20140045028A (ko) 신발 방수 장치
WO2007031790A2 (en) Debris exclusion garment for use with footwear
KR20060082152A (ko) 빗물방지 일회용 신발커버
KR102060454B1 (ko) 휴대가 용이한 신발용 투명 방수 커버
CH712179B1 (it) Calzatura sportiva, in particolare scarpone da sci o snowboard.
US6321467B1 (en) Size-adjustable overshoes for golf shoes
KR200461471Y1 (ko) 치마형 우의
JP3945657B2 (ja) スキー靴用カバー
KR200479975Y1 (ko) 등산용 스패츠
JP2009045187A (ja) シューズカバー
KR102594643B1 (ko) 띠신발
JP5230951B2 (ja) 釣り用履き物
JPH1132810A (ja) 着脱容易な靴
EP2410884B1 (en) Boot-type technical footwear with breathable and waterproof characteristics
KR200393758Y1 (ko) 문대조절 탈부착식 깔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