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2854B1 - 활오징어 포장체 및 이를 활용한 활오징어 냉장운송방법 - Google Patents

활오징어 포장체 및 이를 활용한 활오징어 냉장운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854B1
KR101322854B1 KR1020120132344A KR20120132344A KR101322854B1 KR 101322854 B1 KR101322854 B1 KR 101322854B1 KR 1020120132344 A KR1020120132344 A KR 1020120132344A KR 20120132344 A KR20120132344 A KR 20120132344A KR 101322854 B1 KR101322854 B1 KR 101322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e
squid
live
live squid
transpor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2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욱
강동훈
김충곤
박년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경북해양바이오산업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경북해양바이오산업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경북해양바이오산업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32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28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2Receptacle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live f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오징어 포장체 및 이를 활용한 활오징어 냉장운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바다에서 살아있는 상태로 잡힌 활오징어를 소비자들의 식탁에까지 살아있는 상태로 안전하게 이송시키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활오징어 운송에 사용되던 활어운송트럭이 아니여도 활오징어를 산지로부터 소비지로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활오징어 포장체 및 이를 활용한 활오징어 냉장운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활오징어 포장체 및 이를 활용한 활오징어 냉장운송방법은 활오징어의 수송밀도를 높이면서 폐사율은 감소시킬 수 있으며, 수송밀도의 증가로 유통비용이 절감되어 어민의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소비자들에게는 저렴한 가격으로 활오징어를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교통체증에 의한 수송시간이 지연되어도 산지와 비교하여 활오징어의 신선도가 차이가 없는 활오징어를 제공할 수 있다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활오징어 포장체 및 이를 활용한 활오징어 냉장운송방법{Live Squid refrigeration transportation methods via live squid packaging}
본 발명은 활오징어 포장체 및 이를 활용한 활오징어 냉장운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바다에서 살아있는 상태로 잡힌 활오징어를 소비자들의 식탁에까지 살아있는 상태로 안전하게 이송시키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활오징어 운송에 사용되던 활어운송트럭이 아니여도 활오징어를 산지로부터 소비지로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활오징어 포장체 및 이를 활용한 활오징어 냉장운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근해의 오징어는 참오징어, 왜오징어, 갑오징어, 한치 등 약 80종류가 알려져 있으며 그중에서도 산업상 가장 중요한 것은 살오징어이다. 우리나라 동해에서 많이 잡히는 살오징어는 겨울 태생의 것으로 12~3월 사이에 동지나해에서 산란 및 부화되어 봄이 되면 북상하는 난류에 따라서 부산 앞 대한해협을 지나서 8월경에는 북에서 남하 한류에 밀려서 산란장소인 남해로 다시 온다. 이와 같이 회유하는 살오징어는 거의 대부분이 우리나라 동해 연해와 울릉도 및 독도 연해에서 성장한다. 따라서 우리나라 울릉도 근해에서는 살오징어가 9~10월경에 많이 잡힌다.
살오징어의 어획량 변동추이를 보면, 1980년대에는 약간의 연 변동을 보이면서 평균 5만 톤 수준이었으나, 1991년 11만 톤으로 크게 증가하여 1993년 이후 최근까지 연간 20만 톤 정도가 어획되고 있다. 어업별 변동추이를 보면 1990년까지 근해 채낚기어업이 전체 살오징어 어획량의 50~60%를 차지하였으나 1991년 이후 대형트롤의 어획비율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1999년부터는 대형트롤에 의한 살오징어 어획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국내에서 어획 판매되는 수산물 중 단일 어종으로서는 최대 규모라고 할 수 있는 어종임에도 불구하고 일반 어류보다 가공식품으로서의 이용률 뿐만 아니라 횟감용인 활오징어로의 이용률이 대단히 낮다. 또한 활오징어의 횟감용 소비가 전국규모로 보편화되기 시작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오징어 주산지인 동해 연안이 활오징어의 주요 공급지이며 횟감용 활오징어는 주산지 연안 해역에서 주로 오징어 연송(채낚기) 어획된 후 어획선의 어창에 보관된 뒤 단시간에 항구까지 해상운반-항구에서 위판-현지 수집상 또는 중매인-활어수송업자-소비자 공급등의 유통경로를 거치며 소비지 시장 또는 소비업소에서의 생존시간은 2일 전후로 알려져 있다.
활오징어는 일반 양식어류와는 달리 전량이 자연 어업에 의존하기 때문에 생산과정에서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으며 서식적 수온대가 15~17℃ 전후로 제한되어 있고 활동성이 강할 뿐 아니라 상당한 수압의 수심에서 서식하는 주광성 연체류로서 육지의 대기압 및 빛과 같은 스트레스 환경에 적응하기 어려운 점등이 근본적 문제요인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활오징어의 수송방법은 보통 20℃ 이하의 해수를 채운 활어운송트럭을 이용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다수의 기술이 이미 개시되어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한국등록특허 제0699931호에 활어류의 수송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009061호에 고밀도 활어 수송용 차량 및 그 수송시스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활어운송트럭을 이용한 수송법은 폐사율이 높고 폐사율 저하를 위해 수송밀도를 저하시키면서 수송경비가 증가하게 되고 소비자들은 비싼 가격으로 공급받게 되어 소비가 위축된다. 또한 교통체증에 의한 수송시간의 지연으로 산지에 비해 육질과 풍미가 떨어지는 등 신선도가 차이나게 된다.
따라서, 폐사율을 낮출 수 있는 최적의 조건으로 수송하여 소비자들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고품질의 활오징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것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필요한 기술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수송밀도를 높이면서 폐사율은 감소시킬 수 있는 활오징어 포장체 및 이를 활용한 활오징어 냉장운송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통비용의 절감으로 어민의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소비자들에게는 저렴한 가격으로 활오징어를 공급할 수 있는 활오징어 포장체 및 이를 활용한 활오징어 냉장운송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교통체증에 의한 수송시간이 지연되어도 산지와 비교하여 활오징어의 신선도가 차이가 없는 활오징어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활오징어 포장체는, 오징어 몸통의 지느러미부분부터 삽입되어 다리까지 내장되며, 상단은 일자형태로 밀봉되고 하단은 횡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개구되어 있는 상협하광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합성수지 재질의 포장체 본체; 상기 포장체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투수통공; 및 상기 포장체 본체 하부의 개구부에 착탈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포장체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포장체 본체의 재질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장체 본체의 두께는 100~1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수통공은 상기 포장체 본체 중 오징어의 몸체와 머리 부분이 내장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투수통공의 크기는 5~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장체 뚜껑의 재질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염화비닐(PVC)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포장체 뚜껑은 상기 포장체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와 나사결합을 통해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장체 뚜껑은 상기 포장체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에 끼움결합을 통해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포장체 뚜껑의 내측면에는 끼움결합돌기가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장체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끼움결합돌기와 대응되어 결합 또는 해제시키는 끼움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활오징어 포장체는 상기 포장체 본체의 상단부의 밀봉 부분에 손잡이용 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인 활오징어 포장체를 활용한 활오징어 냉장운송방법은 활오징어 포장체 내부에 활오징어를 내장시키고 포장체 뚜껑을 닫아 오징어가 빠져나오지 못하게 밀봉하는 활오징어포장단계; 활오징어가 내장된 활오징어 포장체를 해수가 채워진 운송용 박스에 담는 운송용박스포장단계; 및 상기 활오징어 포장체가 내장된 운송용 박스를 냉장 상태에서 소비지로 배송시키는 냉장운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냉장운송단계에서는 운송 중 상기 운송용 박스 내부의 수온이 1~8℃가 되도록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장운송단계에서는 각 운송용 박스에 산소를 공급시켜 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활오징어 포장체 및 이를 활용한 활오징어 냉장운송방법은 활오징어의 수송밀도를 높이면서 폐사율은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송밀도의 증가로 유통비용이 절감되어 어민의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소비자들에게는 저렴한 가격으로 활오징어를 공급할 수 있다는 다른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교통체증에 의한 수송시간이 지연되어도 산지와 비교하여 활오징어의 신선도가 차이가 없는 활오징어를 제공할 수 있다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오징어 포장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수온의 변화에 따른 포장체를 적용한 활오징어의 생존율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는 포장체를 적용한 활오징어와 포장체를 적용하지 않은 활오징어를 대상으로 저장 시간에 따른 활오징어의 생존율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저장 시간에 따라 포장체를 적용하지 않은 활오징어를 찍은 사진이다.
도 5는 저장 시간에 따라 포장체를 적용한 활오징어를 찍은 사진이다.
도 6은 해수의 양에 따른 활오징어의 생존율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수조 온도별 활오징어의 생존율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사각 박스에 16시간 저장한 활오징어를 찍은 사진과 5℃로 세팅된 수조에 저장 시간에 따라 활오징어를 찍은 사진이다.
도 9는 산소통을 이용한 활오징어의 생존율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오징어 포장체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활오징어 포장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징어 몸통의 지느러미부분부터 삽입되어 다리까지 내장되며, 상부는 밀봉되고 하부는 개구되어 있는 상협하광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합성수지 재질의 포장체 본체(200); 상기 포장체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투수통공(210); 및 상기 포장체 본체 하부의 개구부에 착탈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포장체 뚜껑(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포장체 본체(200)는 오징어 몸통의 지느러미부분부터 삽입되어 다리까지 내장되며, 상부는 밀봉되고 하부는 개구되어 있는 상협하광의 구조이다.
이때, 상기 포장체 본체(200)는 합성수지 재질인 것은 가능하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포장체 본체(200)의 두께는 100~150㎛인 것이 좋다.
상기 투수통공(210)은 상기 포장체 본체(200) 중 오징어의 몸체와 머리 부분이 내장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물이 드나드는 통로일 뿐만 아니라 활오징어의 다리가 상기 투수통공(210)을 빠져 나와 상처를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투수통공(210)의 크기는 5~10㎜인 것이 좋다.
상기 포장체 뚜껑(300)은 상기 포장체 본체(200)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와 나사결합을 통해 착탈된다. 그에 따라, 개구되어 있는 포장체 본체의 하부에 오징어를 투입하고 상기 포장체 뚜껑(300)이 포장체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와 나사결합을 통해 폐쇄됨으로써 각각의 오징어별로 포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포장체 뚜껑(300)은 상기 포장체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에 끼움결합을 통해 개구부와 착탈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포장체 뚜껑(300)의 내측면에는 끼움결합돌기(310)가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장체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끼움결합돌기(310)와 대응되어 결합 또는 해제시키는 끼움결합홈(22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장체 뚜껑(300)의 재질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염화비닐(PVC)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활오징어 포장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장체 본체(200)의 상단부의 밀봉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용 통공(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용 통공(230)은 손가락을 집어넣거나 갈고리로 걸어서 수조로부터 용이하게 활오징어 포장체(100)를 건져낼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인 활오징어 포장체를 활용한 활오징어 냉장운송방법은 활오징어 포장체 내부에 활오징어를 내장시키고 포장체 뚜껑을 닫아 오징어가 빠져나오지 못하게 밀봉하는 활오징어포장단계; 활오징어가 내장된 활오징어 포장체를 해수가 채워진 운송용 박스에 담는 운송용박스포장단계; 및 상기 활오징어 포장체가 내장된 운송용 박스를 냉장 상태에서 소비지로 배송시키는 냉장운송단계;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냉장운송단계에서는 운송 중 상기 운송용 박스 내부의 수온이 1~8℃가 되도록 유지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냉장운송단계에서는 각 운송용 박스에 산소를 공급시켜 운송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활오징어 포장체 및 이를 활용한 활오징어 냉장운송방법의 조건 및 효과를 입증할 수 있는 실험결과 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활오징어의 폐사 원인은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명확히 판단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수온의 저온에 의한 스트레스성 폐사 확률이 높아지는 가능성을 두고 실시예 1에서는 포장체를 적용한 활오징어의 생존율과 관련하여 최적온도를 찾기 위한 실험으로 5℃, 6℃, 7℃, 8℃, 12℃에서 활오징어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실시예에서 사용된 오징어는 경북 울진군 죽변면 죽변항에서 위판된 살오징어이며, 평균적인 크기가 17~32㎝인 오징어를 사용하였다. 또한 해수를 충분히 공급하였으며 원활한 산소 공급을 위해 22OV를 사용한 산소발생기를 이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실험 조건들은 추후 실시예들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도 2는 수온의 변화에 따른 포장체를 적용한 활오징어의 생존율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36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5℃, 6℃, 7℃, 8℃, 12℃에서 활오징어의 생존율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으나, 48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12℃에서 활오징어의 생존율은 급격히 감소하며, 120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12℃와 8℃에서 가장 빠른 감소율을 보였다. 한편, 5℃에서 활오징어의 생존율이 168시간(7일)으로 가장 오래 지속되었으며 96시간(4일)까지 70%의 우수한 생존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6℃에서도 96시간까지 60%의 생존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온도가 높을수록 활동량이 많아져 생리대사 물질로 인한 오염으로 폐사가 일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포장체를 적용한 활오징어의 생존율이 가장 오래 지속될 수 있는 최적의 수온은 5℃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5℃를 최적온도로 정하고, 이후 실시예들에서도 5℃로 적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2에서는 수온 5℃에서 본 발명에 의한 활오징어 포장체를 적용한 활오징어와 포장체를 적용하지 않은 활오징어를 비교 대상으로 하여 저장 시간에 따른 활오징어의 생존율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활오징어 포장체를 적용한 활오징어를 포장으로 표기하였고 포장체를 적용하지 않은 활오징어를 무포장으로 표기하여 나타내었다.
도 3는 포장체를 적용한 활오징어와 포장체를 적용하지 않은 활오징어를 대상으로 저장 시간에 따른 활오징어의 생존율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저장 시간에 따라 포장체를 적용하지 않은 활오징어를 찍은 사진이다. 도 5는 저장 시간에 따라 포장체를 적용한 활오징어를 찍은 사진이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20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활오징어 포장체를 적용한 활오징어와 포장체를 적용하지 않은 활오징어의 생존율의 차이는 크게 없었으나 24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급격한 생존율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포장체를 적용한 활오징어는 72시간(3일)이 경과한 후에도 80%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고 있는 반면에 포장체를 적용하지 않은 활오징어의 생존율은 약 40%의 생존율을 보이고 있다. 또한, 120시간(5일)이 경과한 후에 포장체를 적용하지 않은 활오징어는 거의 폐사하였으나 포장체를 적용한 활오징어는 약 60%의 생존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최대 168시간(7일)까지 생존하였다.
도 4 및 도 5의 사진을 참고하면 포장체를 적용한 활오징어는 1~7일까지 상태가 차이가 없이 생생한 활오징어로 상품가치가 높아보였으나, 포장체를 적용하지 않은 활오징어는 1~3일까지는 차이가 없지만 4일부터 오징어 몸체에 부분적으로 흰색을 띠기 시작했으며 5일이 경과한 후에는 몸체 전체가 흰색을 띠면서 상처가 많이 발견되었고 거의 폐사하였다. 이는 폐사되는 활오징어가 다른 생생한 상태의 활오징어까지 함께 폐사시키는 경우가 많고 활오징어 개체 간 접촉으로 인하여 몸체에 상처 및 스트레스를 유발시킨 결과라고 판단된다.
포장체를 적용한 활오징어는 포장체를 적용하지 않은 활오징어보다 약 20~30%의 생존율의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통상적으로 활오징어를 유통하는 전문가들이 약 3~4일 생존가능하다고 말하는 것과 비교해볼 때 최대 7일까지 생존하는 것은 우수한 결과이며 활오징어 포장체를 적용하는 것이 활오징어의 생존율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포장체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활오징어 간의 접촉으로 인한 상처 및 스트레스를 방지하여 폐사율을 낮추고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에서는 활오징어가 생존하는데 최적의 수온인 5℃를 유지할 수 있는 저온저장창고를 제작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활오징어 포장체를 적용한 활오징어를 8, 10, 12마리씩 해수가 담긴 박스에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3회 반복하였다. 활오징어의 저장 시간에 따른 생존율을 3회에 걸쳐 측정한 평균값을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생존율(%)
16시간 20시간 24시간 36시간 42시간
8마리 100 93 87 83 77
10마리 100 97 93 83 70
12마리 100 97 90 80 73
표 1에 나타나있는 바와 같이 16시간까지는 8, 10, 12마리 모두 100%의 우수한 생존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20시간에서도 90%이상의 우수한 생존율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36시간에서도 80%이상의 생존율을 보였으나 3개의 박스 전부에서 먹물을 분사하였고, 먹물 분사로 인해 개체수의 생존확인이 불가능하여 42시간에서 수조로 다시 옮긴 결과 70%에 가까운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를 보았을 때 충분히 활오징어 포장체 및 이를 활용한 활오징어 냉장운송방법을 이용하여 활오징어의 전국유통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에서는 활오징어 포장체를 담아 이송시키는데 적합한 운송 용기를 선택하기 위하여 원형박스와 사각박스를 준비하여 진행하였으며, 운송 용기에 따른 생존율의 결과는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생존율(%)
16시간 20시간 24시간 36시간 42시간
사각 박스 100 93 87 83 77
원형 박스 100 90 83 70 57
표 2에 나타나있는 바와 같이 16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사각, 원형 박스 모두 100%의 우수한 생존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20시간에서도 90%이상의 우수한 생존율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24시간이 경과한 후부터 차이를 보이기 시작하여 42시간이 경과하였을 때는 사각 박스를 사용하는 경우가 원형 박스를 사용하는 경우 보다 생존율이 20% 높게 측정되었다.
이는 원형 박스의 경우 활오징어 포장체와 맞지 않아 공간 활용이 떨어지고 포장체가 수면에 부양되어 활오징어의 피부가 노출되고 무수 상태가 되는 동시에 스트레스로 인한 폐사도 발생하는 것으로 보이며, 사각 박스의 경우 포장체를 일정하게 놓을 수 있어 공간 활용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활오징어 포장체를 담아 이송시키는데 적합한 운송 용기는 사각 박스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후 실시예에서도 사각 박스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활오징어 포장체를 해수가 채워진 사각 박스에 담아 운송 시 사각 박스에 필요한 최소한의 해수의 양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5에서는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포장체를 적용한 활오징어 10마리를 이용하였으며, 해수의 양을 각각 15L, 20L, 25L, 30L로 정하고 각 박스에 부었다.
도 6은 해수의 양에 따른 활오징어의 생존율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나타나있는 바와 같이 15L의 경우 활오징어의 이동성으로 인해 활오징어 포장체가 수면에 부유함으로써 활오징어의 피부가 공기에 노출되어 9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가장 빨리 폐사가 진행되었으며, 20L, 25L, 30L에서는 15시간 이상 100% 생존율을 보였다. 따라서, 활오징어 포장체를 해수가 채워진 사각 박스에 담아 운송 시 필요한 최소한의 해수의 양은 개체 크기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마리당 2L의 해수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활오징어 운송이 완료된 뒤 활어집에서 활오징어를 보관함에 있어 활오징어의 생존율이 가장 오래 지속 될 수 있는 최적온도를 찾는 실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울진에서부터 시작하여 전국 가장 먼 지방까지 갈 수 있는 거리와 시간을 고려하여 활오징어가 생존하는데 최적의 수온인 5℃를 유지하고 있는 저온저장창고에서 해수 20L를 채운 사각 박스에 활오징어 포장체를 적용한 활오징어를 넣어 16시간 저장한 뒤에 5℃, 6℃, 7℃, 8℃, 12℃로 세팅된 수조에 넣어 각각의 활오징어를 관찰하였다.
도 7은 수조 온도별 활오징어의 생존율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사각 박스에 16시간 저장한 활오징어를 찍은 사진과 5℃로 세팅된 수조에 저장 시간에 따라 활오징어를 찍은 사진이다.
도 7에 나타나있는 것과 같이 5℃에서는 72시간까지 90%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며, 96시간(4일)부터 급격한 폐사가 진행되었으며, 7℃에서는 72시간(3일), 8℃에서는 48시간(2일), 12℃에서는 36시간부터 폐사하는 결과를 보아 실시예 1에서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5℃가 활오징어의 생존율과 관련하여 최적의 온도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사각 박스에 16시간 저장한 활오징어와 5℃로 세팅된 수조에 저장된 활오징어와의 차이가 없으며, 수조에 저장되는 시간이 경과하여도 활오징어의 상태는 판매가 가능할 정도로 상품성이 우수하였다.
상기 실시예 1~6까지 사용한 220V 산소발생기의 경우 현재 이러한 산소발생기가 연결된 차량은 없으며,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방법을 누구나 쉽게 구입이 가능한 시중에서 판매되는 산소통으로 택하여 3회 반복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도 9는 산소통을 이용한 활오징어의 생존율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3회 모두 16시간이 경과하여도 생존율이 100%였으며, 24시간까지 90%이상의 생존율을 보였으나 30시간이 경과하면서 점차 감소하여 42시간이 경과하였을 때는 생존율이 약 70%를 나타내었다. 이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220V 산소발생기보다는 낮은 수치지만 16시간까지는 100% 생존율을 확인하였으며, 이로써 활오징어 포장체와 산소통을 이용한다면 산지로부터 소비지까지 살아있는 상태로 충분히 수송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실시예 8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활오징어 포장체 및 이를 활용한 활오징어 냉장운송방법을 기존의 활오징어 수송방법인 활어운송트럭과 수송 밀도, 수송 경비, 소비자 공급가 등에 대한 구체적인 비교를 위해 현장 검증을 실시하였다. 경북 울진군 죽변면 죽변항에서 살아있는 살오징어를 경매로 마리당 1000원에 낙찰받아 울진에서 서울 횟집으로 활어운송트럭과 활오징어 포장체 및 이를 활용한 활오징어 냉장운송방법을 적용한 냉장탑차를 이용하여 각각 운송하였다.
그 결과 1톤 활어운송트럭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회당 약 50만원의 운송 비용이 들며, 1회 운송 시 약 120마리의 활오징어를 운송할 수 있었다. 그에 따라 마리당 약 5,160원의 활오징어를 소비자들은 공급받게 된다. 한편, 활오징어가 내장된 활오징어 포장체를 내부 수온 5℃를 유지하고 있는 사각 박스에 담아 산소를 공급시켜 주면서 1톤 냉장탑차를 이용하여 수송한 경우에는 회당 약 30만원의 운송 비용이 들며, 1회 운송 시 약 300마리를 운송하였다. 그리고 활오징어 포장체를 개별 포장하는데 필요한 인건비 및 포장체 비용을 마리당 각각 100원씩의 비용이 들어 활오징어 1마리 당 약 2,200원의 소비자 공급자가 나오게 되었다.
이와 같이 활오징어를 본 발명에 의한 활오징어 포장체 및 이를 활용한 냉장운송방법을 이용하면 수송 밀도가 2배 이상 증가하여 유통비용이 절감되고 소비자들은 2배 이상 저렴한 가격으로 활오징어를 공급받을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건강한 20~50세의 성인남녀 3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관능검사를 위한 패널을 구성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활오징어 포장체를 적용한 활오징어를 사각 박스에 넣은 다음 냉장탑차에 실어 울진을 출발하여 대구에 도착하였고 다시 울진으로 운송하여 수온이 5℃인 수조에 활오징어를 48시간 저장하였다. 이를 실시예로 하고 산지에서 바로 구입한 활오징어를 비교예로 하여 패널들에게 제공하였다.
본 관능검사에서는 단맛, 표면 색도, 비린내, 조직감, 종합적 기호도에 대해 평가하였고 5점 평점법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단맛 표면 색도 비린내 조직감 종합적 기호도
실시예 4.00 3.33 1.75 3.00 3.67
비교예 4.13 3.50 1.33 3.13 3.80
*관능검사 수치(5:아주 좋음, 0:아주 나쁨)
관능검사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의해 운송된 활오징어는 산지에서 바로 구입한 활오징어와 비교해도 모든 면에서 손색이 없다고 평가를 내렸다. 구체적으로는 단맛이나 조직감에서는 비교예와 동등한 평가를 내렸으며 활오징어 표면 색도에 대해서도 산지에서 구입한 활오징어와 비슷한 평가를 내렸다. 소비자들은 오징어 표면 색깔로 신선도를 판단하는 만큼 표면 색도가 비슷하다고 평가를 내렸다는 것은 상품성이 우수하다고 판단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비린내에 대한 평가에서는 다소 차이를 보였지만 종합적으로 평가해볼 때 본 발명에 의한 활오징어 포장체 및 이를 활용한 활오징어 냉장운송방법에 의해 운송된 활오징어의 신선도가 산지와 비교하여 차이가 없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3)

  1. 오징어 몸통의 지느러미부분부터 삽입되어 다리까지 내장되며, 상단은 일자 형태로 밀봉되고 하단은 횡단면이 원 또는 타원 형태로 개구되어 있는 상협하광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100~150㎛의 두께를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의 포장체 본체;
    상기 포장체 본체의 상부 중 포장체 내부에 수납되는 오징어의 지느러미와 몸체 부분이 위치하는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크기가 5~10㎜인 다수 개의 투수통공; 및
    상기 포장체 본체 하부의 개구부에 착탈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포장체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오징어 포장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 본체의 재질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포장체 뚜껑의 재질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염화비닐(PVC)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오징어 포장체.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 뚜껑은 상기 포장체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와 나사결합을 통해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오징어 포장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 뚜껑은 상기 포장체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에 끼움결합을 통해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오징어 포장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 뚜껑의 내측면에는 끼움결합돌기가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장체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끼움결합돌기와 대응되어 결합 또는 해제시키는 끼움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오징어 포장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 본체의 상단부의 일자 형태의 밀봉 부분에는 손잡이용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오징어 포장체.
  11. 청구항 1 내지 2 및 청구항 7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활오징어 포장체 내부에 활오징어를 내장시키고 포장체 뚜껑을 닫아 오징어가 빠져나오지 못하게 밀봉하는 활오징어포장단계;
    활오징어가 내장된 활오징어 포장체를 해수가 채워진 운송용 박스에 담는 운송용박스포장단계; 및
    상기 활오징어 포장체가 내장된 운송용 박스를 냉장 상태에서 소비지로 배송시키는 냉장운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오징어 포장체를 활용한 활오징어 냉장운송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냉장운송단계에서 운송 중 상기 운송용 박스 내부의 수온이 1~8℃가 되도록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오징어 포장체를 활용한 활오징어 냉장운송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냉장운송단계에서는 각 운송용 박스에 산소를 공급시켜 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오징어 포장체를 활용한 활오징어 냉장운송방법.
KR1020120132344A 2012-11-21 2012-11-21 활오징어 포장체 및 이를 활용한 활오징어 냉장운송방법 KR101322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344A KR101322854B1 (ko) 2012-11-21 2012-11-21 활오징어 포장체 및 이를 활용한 활오징어 냉장운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344A KR101322854B1 (ko) 2012-11-21 2012-11-21 활오징어 포장체 및 이를 활용한 활오징어 냉장운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2854B1 true KR101322854B1 (ko) 2013-10-29

Family

ID=49639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2344A KR101322854B1 (ko) 2012-11-21 2012-11-21 활오징어 포장체 및 이를 활용한 활오징어 냉장운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28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6182U (ja) * 1982-12-21 1984-06-29 有限会社ゴー容器 生鮮食品.植物等の包装用袋容器
JPH01110139U (ko) * 1988-01-21 1989-07-25
JPH0610189U (ja) * 1991-12-26 1994-02-08 本州製紙株式会社 活イカ等の輸送用カプセル及びこのカプセルを用いた包装体
JPH06105635A (ja) * 1992-09-25 1994-04-19 Hakodate Seimo Sengu Kk 活イカ貯蔵用容器及びイカを生かしたまま貯蔵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6182U (ja) * 1982-12-21 1984-06-29 有限会社ゴー容器 生鮮食品.植物等の包装用袋容器
JPH01110139U (ko) * 1988-01-21 1989-07-25
JPH0610189U (ja) * 1991-12-26 1994-02-08 本州製紙株式会社 活イカ等の輸送用カプセル及びこのカプセルを用いた包装体
JPH06105635A (ja) * 1992-09-25 1994-04-19 Hakodate Seimo Sengu Kk 活イカ貯蔵用容器及びイカを生かしたまま貯蔵す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molu-Johnson et al. A review on post-harvest losses in artisanal fisheries of some African countries
ES2379085T3 (es) Método de envasado mejorado que origina y mantiene el color rojo preferido de la carne fresca
CN102084836B (zh) 三疣梭子蟹离水活体保鲜方法
WO2017047583A1 (ja) 活魚無水輸送方法、活魚輸送用容器及び活魚における低呼吸状態の誘導方法
CN101690603B (zh) 一种鲜牡蛎的气调冰温保鲜方法
KR101322854B1 (ko) 활오징어 포장체 및 이를 활용한 활오징어 냉장운송방법
CN103749375B (zh) 一种鳅科鱼类采集及运输方法
CA3080074A1 (en) Packaging
ES2311846T3 (es) Conservacion bajo atmosferas modificadas de moluscos bivalvos vivos en un recipiente hermetico.
NO335126B1 (no) Framgangsmåte for transport av marine dyr og apparat for indusering av kunstig vinterdvale hos marine dyr
CN100534312C (zh) 产生在长时间内、几十个月的时间内保存鱼或肉类食物并由此保持新鲜产品特性的效果的物理方法
Barrento et al. Best Practice Handling and Transportation of Live Mussels
CA2620461C (en) Fish packing system
Loka et al. Transportation of fingerlings and juveniles of marine finfish
CN1432287A (zh) 一种梭子蟹保鲜方法
CN106577452A (zh) 一种淡水罗氏沼虾苗的运输方法
Pencheva et al. Justification of the need to implement intelligent warehouse systems in fish processing
Peer Mohamed et al. Transportation of live finfishes and shellfishes
JPH03155731A (ja) 魚介類を生きたまま無水状熊で保存する方法
Chan Marketing aspects of the live seafood trade in Hong Kong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US20200187514A1 (en) Method for preserving crustaceans and sea foods
CN212333436U (zh) 一种密封式活鲜配送专用箱
RU2235254C2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хранения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рыбы в консервирующей среде
CN112136873A (zh) 一种大黄鱼保鲜贮藏方法
Prescott A handbook for lobster fishermen of the tropical Pacific Isla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