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2416B1 - 안테나 정렬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정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416B1
KR101322416B1 KR1020120130405A KR20120130405A KR101322416B1 KR 101322416 B1 KR101322416 B1 KR 101322416B1 KR 1020120130405 A KR1020120130405 A KR 1020120130405A KR 20120130405 A KR20120130405 A KR 20120130405A KR 101322416 B1 KR101322416 B1 KR 101322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reference plane
unit
steering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0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노원
강진섭
이동준
권재용
Original Assignee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30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24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10Radiation diagrams of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5Means for position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안테나 정렬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안테나 정렬 장치는 안테나의 개구면과 평행한 제1기준면을 제공하는 제1안테나 치구; 상기 제1기준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1기준면에 장착되는 안테나와 동일한 제1중심축선을 가지며 상기 제1기준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광원부 및 상기 제1안테나 치구를 조향하기 위한 제1조향부를 포함하는 제1안테나 정렬부 및 장착되는 안테나의 개구면과 평행한 제2기준면을 제공하는 제2안테나 치구; 상기 제2기준면에 장착되는 안테나와 동일한 제2중심축선을 가지며 상기 제2기준면과 평행한 반사면을 이용하여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레이저를 반사하는 반사부 및 상기 제2안테나 치구를 조향하기 위한 제2조향부를 포함하는 제2안테나 정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테나 정렬 장치{ANTENNA ALIGN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안테나 정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테나 성능 측정을 위한 안테나 정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테나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종단에 위치하는 기기로서 안테나의 이득, 편파, 방사패턴 등의 안테나 특성들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전체 성능에 영향을 주는 핵심 요소 중의 하나이므로, 정밀한 안테나의 특성평가를 위한 기술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안테나 특성평가를 위해서 원거리장(Far-field), 근거리장(Near-field) 측정법등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측정법들은 신호원에서 발생된 전자파를 방사하는 용도의 송신안테나와 방사된 전자파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안테나 중 하나로 측정대상안테나(AUT: Antenna Under Test)를 이용한다.
원거리장 측정법의 경우 두 안테나 사이의 이격거리가 안테나의 원거리장 조건을 만족할 수 있도록 충분히 먼 이격거리를 확보해야 하며, 근거리장 측정법은 두 안테나사이의 이격거리가 원거리장 측정법보다는 가깝지만 수 파장(wave length)이상을 확보해야 한다.
정확한 안테나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송수신 안테나의 기준면들을 서로 평행하게 하며, 두 기준면들의 중심을 같은 축 상에 위치하도록 정렬(alignment, 정합)해야 한다. 이 때 안테나 정렬을 위한 기준면으로 안테나의 개구면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격거리를 가지는 두 안테나의 개구면을 정렬하기는 용이하지 않으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전기적 또는 광학적으로 복잡하고 고가의 안테나 정렬시스템을 요구한다.
또한 안테나를 보호하기 위해서 덮개로 레이돔을 사용하여 안테나가 가려져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안테나의 개구면에 접근이 불가능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개구면이 아닌 다른 기계적인 기준면을 선정하여 안테나의 특성을 평가하여야 한다.
전기적 방식을 이용한 안테나 정렬법이 대한민국공개특허 제 2005-0058044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 방법의 경우 수신안테나에 수신되는 RF 신호의 수직편파와 수평편파를 이용한 방법으로서 진폭/위상 검출기, 진폭/위상 비교기 등의 장비가 필요하고, 수신안테나에서 측정되는 RF신호의 신호대 잡음비(SNR)가 낮은 경우는 정렬 정밀도가 떨어진다.
또한 광학적 방법을 이용한 안테나 정렬법이 대한민국공개특허 제 10-2010-0060700에 개시되어 있다. 제 10-2010-0060700호에 개시된 방법은 정렬 기준면으로 송수신 안테나의 개구면을 이용하며, 레이저를 이용하여 수신 및 송신안테나 사이의 거리 및 각도를 각각 계산한 후, 계산된 위치정보들을 이용하여 송신 또는 수신 안테나를 정렬한다. 이 방법의 경우 측정해야 될 정보가 3차원 레이저 측정기와 유사하게 거리, 앙각, 방위각의 3가지 정보를 정밀하게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정밀한 정렬을 수행하는데에 문제가 따른다.
또한 안테나 정렬기가 안테나 정렬기의 위치가 송수신 안테나의 개구면 가장자리에서 반사된 레이저를 이용해서 거리를 측정하므로, 반사된 레이저를 이용한 거리 측정이 용이하지 않으며 개구면 가장자리의 형상변화에 따라서 측정된 거리에 오차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측정 대상 안테나와 프로브 안테나를 최소한의 오차 범위내에서 정밀하게 정렬할 수 있는 안테나 정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장착되는 안테나의 개구면과 평행한 제1기준면을 제공하는 제1안테나 치구; 상기 제1기준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1기준면에 장착되는 안테나와 동일한 제1중심축선을 가지며 상기 제1기준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광원부 및 상기 제1안테나 치구를 조향하기 위한 제1조향부를 포함하는 제1안테나 정렬부 및 장착되는 안테나의 개구면과 평행한 제2기준면을 제공하는 제2안테나 치구; 상기 제2기준면에 장착되는 안테나와 동일한 제2중심축선을 가지며 상기 제2기준면과 평행한 반사면을 이용하여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레이저를 반사하는 반사부 및 상기 제2안테나 치구를 조향하기 위한 제2조향부를 포함하는 제2안테나 정렬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정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광원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브이블록(V block)을 이용하여 상기 광원부의 레이저 조사방향과 상기 제1기준면이 수직으로 교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안테나 정렬부는 상기 반사부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신하여 상기 제1기준면상에서의 수신 위치 좌표를 산출하기 위한 위치결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신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제1기준면과 상기 제2기준면이 평행하도록 상기 제1조향부 및 상기 제2조향부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위치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제어부는 상기 제1기준면과 상기 제2기준면이 평행하게 된 경우 상기 제2조향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중심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반사부를 조향하고, 상기 위치결정부에서 산출한 수신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제1중심축선과 상기 제2중심축선이 동일한 축 상에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안테나 정렬 장치는 측정 대상 안테나와 프로브 안테나를 최소한의 오차 범위내에서 정밀하게 정렬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정렬 장치의 개념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정렬 장치의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안테나 정렬부의 정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원부와 제1기준면의 수직 교정 설명을 위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안테나 정렬부의 정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안테나 정렬부의 측면도, 및
도7 내지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정렬 장치를 이용하여 안테나 정렬을 수행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정렬 장치의 개념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정렬 장치의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안테나 정렬부(100)의 정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원부와 제1기준면의 수직 교정 설명을 위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안테나 정렬부(200)의 정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안테나 정렬부(200)의 측면도이다.
도 1내지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정렬 장치는 제1안테나 정렬부(100) 및 제2안테나 정렬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제1안테나 정렬부(100)는 장착되는 안테나의 개구면과 평행한 제1기준면(111)을 제공하는 제1안테나 치구(110), 제1기준면(111)에 장착되고 제1기준면(111)에 장착되는 안테나와 동일한 제1중심축선(A)을 가지며 제1기준면(111)과 수직인 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광원부(130) 및 제1안테나 치구(110)를 조향하기 위한 제1조향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안테나 치구(110)에는 임의의 형상의 개구면을 가지는 안테나가 장착될 수 있으며, 제1안테나 치구(110)의 제1기준면(111)은 장착되는 안테나의 개구면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즉, 안테나 정렬을 수행하기 위하여서는 안테나 개구면이 상호 평행하고, 그 중심축선이 동일 축선상에 존재해야 하는데, 제1안테나 치구(110)의 제1기준면(111)은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안테나 개구면에 대한 기계적 기준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1기준면(111)에는 제1안테나 치구(110)에 장착되는 안테나와 동일한 제1중심축선(A)을 가지는 광원부(130)가 설치된다. 광원부(130)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브이블록(140)(V block)을 통하여 광원부(130)의 레이져 조사방향과 제1기준면(111)이 수직으로 교정될 수 있다. 브이 블록(140)은 최초 광원부(130)와 제1기준면(111)의 교정시 사용되며, 광원부(130)와 제1기준면(111)의 교정후에는 제거된다. 즉, 브이 블록(140)은 최초 제1기준면과 광원부(130)의 레이져 조사방향이 수직이 될 수 있게 광원부(130)를 브이 블록(140)에 굴리게 되고, 조정 나사(132)를 이용하여 광원부(130)와 제1기준면(111)의 수직 교정이 완료된 이후에는 브이 블록(140)을 제거하고, 접착제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광원부(130)는 원기둥 형상의 몸체(131) 내부에 레이저발생기(133)가 내장될 수 있으며, 몸체(131)를 관통하는 조절나사(132)를 통하여 레이저조사방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제1조향부(120)는 제1안테나 치구(110)에 결합되며 위치제어부(300)의 제어신호 또는 외부 관리자의 수동조작에 의하여 제1안테나 치구(110)의 제1기준면(111)을 조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안테나 정렬부(200)는 장착되는 안테나의 개구면과 평행한 제2기준면(211)을 제공하는 제2안테나 치구(210), 제2기준면(211)에 장착되는 안테나와 동일한 제2중심축선(B)을 가지며 제2기준면(211)과 평행한 반사면을 이용하여 광원부(130)로부터 조사된 레이저를 반사하는 반사부(230) 및 제2안테나 치구(210)를 조향하기 위한 제2조향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안테나 치구(210)에는 임의의 형상의 개구면을 가지는 안테나가 장착될 수 있으며, 제2안테나 치구(210)의 제2기준면(211)은 장착되는 안테나의 개구면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즉, 안테나 정렬을 수행하기 위하여서는 안테나 개구면이 상호 평행하고, 그 중심축선이 동일 축선상에 존재해야 하는데, 제2안테나 치구(210)의 제2기준면(211)은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안테나 개구면에 대한 기계적 기준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2기준면(211)에는 제2안테나 치구(210)에 장착되는 안테나와 동일한 제2중심축선(B)을 가지는 반사부(230)가 설치된다. 반사부(230)는 제2기준면(211)과 평행한 반사면을 통하여 광원부(130)로부터 조사된 레이저를 반사한다.
반사부(230)는 고정나사(232)를 이용하여 제2기준면(211)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2기준면(211)과 평행한 반사면을 가지는 반사경(23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조향부(220)는 제2안테나 치구(210)에 결합되며 위치제어부(300)의 제어신호 또는 외부 관리자의 수동조작에 의하여 제2안테나 치구(210)의 제2기준면(211)을 조향할 수 있다.
제1안테나 정렬부(100)는 위치결정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위치결정부(150)는 반사부(230)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신하여 수신 위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위치결정부(150)는 예를 들면, 제1중심축선(A)을 원점으로 한 수신 위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위치제어부(300)는 위치결정부(150)에서 산출한 수신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제1기준면(111) 및 제2기준면(211)을 조향함으로써 제1안테나 치구(110) 및 제2안테나 치구(210)에 장착되는 안테나의 정렬을 제어할 수 있다.
도7 내지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정렬 장치를 이용하여 안테나 정렬을 수행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먼저, 도7을 참조하면 광원부(130)에서 조사된 레이저는 제2기준면(211)과 평행한 반사면을 가지는 반사부(230)로부터 반사되어 제1기준면(111)의 임의의 지점에 조사된다. 이 때, 제1기준면(111)과 제2기준면(211)이 평행하다면 반사부(23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는 광원부(130)로부터 조사되는 방향과 일치한 방향으로 반사되어 광원부(130)에 조사되지만, 제1기준면(111)과 제2기준면(211)이 평행하지 않다면 제1기준면(111)의 임의의 지점(X표시)에 조사될 것이다.
위치결정부(150)는 반사되어 돌아온 레이저가 조사된 위치를 제1중심축선(A)을 원점으로 하여 수신 위치 좌표를 산출한다.
위치제어부(300)는 산출된 수신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제1조향부(120) 및 제2조향부(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제1기준면(111)과 제2기준면(211)이 평행하게 되도록 제어한다. 위치제어부(300)는 기 입력된 제1안테나 정렬부(100)와 제2안테나 정렬부(200) 사이의 거리를 변수로 고려하여 제1조향부(120) 및 제2조향부(220)에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8을 참조하면, 위치제어부(300)는 제1기준면(111)과 제2기준면(211)이 평행한 경우 제2조향부(220)에 제2중심축선(B)을 기준으로 제2기준면(211)이 조향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2기준면(211)이 조향하는 동안 광원부(130)는 반사부(230)를 향하여 레이저를 조사하고 있으므로, 반사부(230)를 통하여 반사된 레이저는 제1기준면(111)에 조사된다.
이 때 제1중심축선(A)과 제2중심축선(B)이 동일한 축선상에 존재한다면 반사부(23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는 광원부(130)로부터 조사된 방향, 즉 제1중심축선(A)을 따라 광원부(130)에 조사되지만, 제1중심축선(A)과 제2중심축선(B)이 동일하지 않다면 제2기준면(211)이 조향함에 따라 조사되는 지점이 변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위치결정부(150)는 제1기준면(111)상에 조사되는 레이저의 위치를 수신하여 수신 위치 좌표를 산출한다. 위치결정부(150)는 수신 위치 좌표를 산출함에 있어서, 제1중심축선(A)을 원점으로 할 수 있다.
위치제어부(300)는 제2조향부(220)에 출력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제2조향부(220)의 조향각에 따라 변하는 수신 위치 좌표를 추적하여 제1조향부(120) 및 제2조향부(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출력되는 제어신호는 제1중심축선(A)과 제2중심축선(B)을 동일한 축선 상에 위치시키기 위한 신호로써, 예를 들면 x축과 y축에 대한 위치 변화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위치결정부(150)와 위치제어부(300)를 통한 안테나의 정렬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사부(230)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의 제1기준면(111)상에서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안테나 정렬을 수행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당연히 포함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수동으로 안테나 정렬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위치결정부(150)와 위치제어부(300)는 구성에 포함되지 않더라도 정확한 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제1안테나 정렬부
110: 제1안테나 치구
120: 제1조향부
130: 광원부
200: 제2안테나 정렬부
210: 제2안테나 치구
220: 제2조향부
230: 반사부
300: 위치제어부

Claims (5)

  1. 장착되는 안테나의 개구면과 평행한 제1기준면을 제공하는 제1안테나 치구; 상기 제1기준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1기준면에 장착되는 안테나와 동일한 제1중심축선을 가지며 상기 제1기준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광원부 및 상기 제1안테나 치구를 조향하기 위한 제1조향부를 포함하는 제1안테나 정렬부 및
    장착되는 안테나의 개구면과 평행한 제2기준면을 제공하는 제2안테나 치구; 상기 제2기준면에 장착되는 안테나와 동일한 제2중심축선을 가지며 상기 제2기준면과 평행한 반사면을 이용하여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레이저를 반사하는 반사부 및 상기 제2안테나 치구를 조향하기 위한 제2조향부를 포함하는 제2안테나 정렬부
    를 포함하는 안테나 정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브이블록(V block)을 이용하여 상기 광원부의 레이저 조사방향과 상기 제1기준면이 수직으로 교정되는 안테나 정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테나 정렬부는 상기 반사부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신하여 상기 제1기준면상에서의 수신 위치 좌표를 산출하기 위한 위치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정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제1기준면과 상기 제2기준면이 평행하도록 상기 제1조향부 및 상기 제2조향부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위치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정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어부는 상기 제1기준면과 상기 제2기준면이 평행하게 된 경우 상기 제2조향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중심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반사부를 조향하고, 상기 위치결정부에서 산출한 수신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제1중심축선과 상기 제2중심축선이 동일한 축 상에 위치하도록 제어하는 안테나 정렬 장치.
KR1020120130405A 2012-11-16 2012-11-16 안테나 정렬 장치 KR101322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405A KR101322416B1 (ko) 2012-11-16 2012-11-16 안테나 정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405A KR101322416B1 (ko) 2012-11-16 2012-11-16 안테나 정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2416B1 true KR101322416B1 (ko) 2013-10-28

Family

ID=49639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0405A KR101322416B1 (ko) 2012-11-16 2012-11-16 안테나 정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24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321B1 (ko) * 2015-10-30 2016-03-17 국방과학연구소 배열 안테나의 지상 정렬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861022B1 (ko) * 2016-12-23 2018-05-2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구조물 지지용 고정 지그의 정렬 장치 및 그의 정렬 방법
KR102419014B1 (ko) 2021-11-04 2022-07-08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안테나 정렬장치 및 정렬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529A (ko) * 2000-09-09 2002-03-15 정연태 레이저 빔을 이용한 마이크로웨이브 안테나 정렬장치와 방법
US20040155827A1 (en) 2001-06-13 2004-08-12 Taylor Bryan W Antenna alignment method and device
KR20100060700A (ko) * 2008-11-28 2010-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안테나 정렬 시스템과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529A (ko) * 2000-09-09 2002-03-15 정연태 레이저 빔을 이용한 마이크로웨이브 안테나 정렬장치와 방법
US20040155827A1 (en) 2001-06-13 2004-08-12 Taylor Bryan W Antenna alignment method and device
KR20100060700A (ko) * 2008-11-28 2010-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안테나 정렬 시스템과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321B1 (ko) * 2015-10-30 2016-03-17 국방과학연구소 배열 안테나의 지상 정렬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861022B1 (ko) * 2016-12-23 2018-05-2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구조물 지지용 고정 지그의 정렬 장치 및 그의 정렬 방법
KR102419014B1 (ko) 2021-11-04 2022-07-08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안테나 정렬장치 및 정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37374B (zh) 一种阵列天线近场标定方法
US20180164407A1 (en) On-site calibration of array antenna systems
US105811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dar accuracy measurements
WO2019041868A1 (zh) 一种相控阵校测的方法以及校测装置
CA2721598C (en) High-frequency measurement setup and method for measuring a high-frequency test object, in particular, an antenna
JP2007500855A (ja) 干渉レーダ高度計におけるアンテナ方向を較正するための方法及びその装置
CN102135610A (zh) 一种用于人体毫米波成像安检系统的近场实时校准方法
US8410987B2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a radiation field
KR101065479B1 (ko) 안테나 정렬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322416B1 (ko) 안테나 정렬 장치
JP6028964B2 (ja) ニアフィールド測定装置
US9568593B2 (en) Method, system and calibration target for the automatic calibration of an imaging antenna array
CN111239741A (zh) 相控阵天气雷达偏振控制方法及相控阵天气雷达系统
JP5371233B2 (ja) レーダ断面積測定方法およびレーダ断面積測定装置
CN103185566A (zh) 一种反射面天线波束指向的测试装置及其测试方法
CN105676226B (zh) 一种射频阵列天线校准装置
JP2010237069A (ja) レーダ反射断面積計測装置
KR102546338B1 (ko) 전자기 성능 분석 장치
Guerrieri et al. Configurable robotic millimeter-wave antenna facility
JP5760927B2 (ja) 電波測定装置および電波測定方法
CN107015065B (zh) 窄波束天线电轴、相位中心和时延的远场联合标定方法
Nsengiyumva et al. New $ W $-band scattering measurement system: Proof of concept and results for 2-D objects
CN112578327A (zh) 球面扫描测试系统的校准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13702926B (zh) 一种有源定标器雷达截面积标校方法及装置
CN115372929B (zh) 外场rcs复合测量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