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1542B1 - 공기조화장치용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용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1542B1
KR101321542B1 KR1020070099259A KR20070099259A KR101321542B1 KR 101321542 B1 KR101321542 B1 KR 101321542B1 KR 1020070099259 A KR1020070099259 A KR 1020070099259A KR 20070099259 A KR20070099259 A KR 20070099259A KR 101321542 B1 KR101321542 B1 KR 101321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ing
display unit
item
image
ite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4094A (ko
Inventor
이진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9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1542B1/ko
Priority to EP08251886.1A priority patent/EP2045541B1/en
Priority to CNA2008101112403A priority patent/CN101403523A/zh
Publication of KR20090034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4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1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1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조화장치용 제어장치에서는, 적어도 제1 영역 상에는 제1 화상이 변화 가능하게 표시되는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적어도 제2 영역상에는 기 설정된 제2 화상만이 표시되는 제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운전조건들의 다양한 표현방식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운전조건들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공기조화장치, 액정표시장치, 그래픽 화상, 도트(dot)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용 제어장치 {Device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용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조건들의 다양한 표현방식을 제공하는 공기조화장치용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장치는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제어된다. 제어장치는 사용자의 운전 설정 항목들에 일대일 대응하는 동작/정지키, 온도 상승/하강키 등의 기능키들을 포함하고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기능키들을 이용하여 공기조화장치의 운전을 제어한다.
그런데, 기능키들을 조작하여 운전 설정 항목들을 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그래픽 화상으로만 표시하게 되면, 다양한 운전조건들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운전조건들의 다양한 표현방식을 제공할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용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장치용 제어장치는, 적어도 제1 영역 상에는 제1 화상이 변화 가능하게 표시되는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적어도 제2 영역상에는 기 설정된 제2 화상만이 표시되는 제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1 화상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좌표상에서 한 점으로 구현되는 도트(dot)의 집합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운전조건들을 설정 및 표시하고, 상기 운전조건들은 소정의 설정항목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상은, 상기 설정항목들 및 상기 설정항목들이 갖는 각각의 설정값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설정항목들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설정항목이 갖는 설정 값을 조작하는 복수 개의 기능키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상은, 기 설정된 그래픽 화상이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운전조건들을 설정 및 표시하고, 상기 운전조건들은 소정의 설정항목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화상은, 상기 설정항목들 및 상기 설정항목들이 갖는 각각의 설정값에 대응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설정항목들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설정항목이 갖는 설정 값을 조작하는 복수 개의 기능키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기능키들이 조작됨에 따라, 상기 설정 항 목들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설정항목 및 상기 선택된 설정항목이 갖는 설정 값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 상에 동시에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설정항목들은 소정의 설정 모드 상태에서 변화되고, 상기 복수 개의 기능키들은 상기 설정 모드로 진입하는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제1기능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은, 상기 설정 모드에서 상기 제1기능키가 눌러질 때마다, 설정 값의 조작이 가능한 설정 항목이 변화되고, 상기 복수 개의 기능키들은, 상기 설정 항목들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설정 항목과, 상기 선택된 설정 항목의 설정 값 사이를 이동시키는 제2기능키들, 상기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조작 가능한 범위 내에서 변화시키는 제3기능키들, 및 상기 선택된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설정시키는 제4기능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 적어도 어느 하나는 LCD 패널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용 제어장치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부의 동일한 좌표상에 서로 다른 화상들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의 동일한 좌표상에는 설정된 화상만을 표시한다. 따라서, 운전조건들의 다양한 표현방식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운전조건들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110)가 설치된 공기조화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 시스템(100)에서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보여주는 블록 다이어그램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제어장치(110)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운전 모드" 항목이 선택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기조화 시스템(100)은 공기조화장치(140) 및 제어장치(110)를 포함한다. 공기조화장치(140)는 실내 공간에 배치되는 실내기(130) 및 실외 공간에 배치되는 실외기(120)를 포함한다. 실내기(130)와 실외기(120)는 네트워크(161)를 통하여 서로 통신 연결되어 있다. 공기조화장치(140)는 한 개의 실외기(120) 및 한 개의 실내기(130)를 포함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공기조화장치(140)는 한 개의 실외기 및 복수 개의 실내기들을 포함하거나, 복수 개의 실외기들 및 복수 개의 실내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장치(110)는 공기조화장치(14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어장치(110)는 공기조화장치(140)의 운전 조건을 설정하며, 제어부(160), 제1 디스플레이부(170), 제2 디스플레이부(180), 데이터베이스(190) 및 기능키(150)들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제어장치(110)를 소정의 설정모드 상태로 조작한 후, 공기조화장치(140)의 운전조건들을 변화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설정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공기조화장치(140)의 다양한 운전조건들을 입력할 수 있는 설정모드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190)는 제1 디스플레이부(170) 및 제2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 가능한 다양한 화상데이터를 저장하고, 제어부(160)는 데이터베이스(190)에 저장된 화상데이터에 근거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170) 및 제2 디스플레이부(180)에 화상을 구현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장치(110)는 공기조화장치(140)의 운전 조건들을 제1 디스플레이부(170) 및 제2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장치(110) 내에서 제2 디스플레이부(170)와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180)는 공기조화장치(140)의 운전조건들을 여러 가지 화상으로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부(180)는 LCD 패널 구조를 가지며, 상기 LCD 패널 구조는 FSTN (Film Super Twist Nematics) 이다. LCD 패널의 구조는 액정의 물성 또는 패널의 재질 등에 따라 TN LCD(Twisted Nematic LCD), CTN(Complementary TN), STN(Super Twisted Nematic), DSTN(Double Layer Super Twisted Nematic), FSTN(Film Super Twist Nematics) 등으로 구분된다. FSTN 방식은 칼라 보상 액정 셀 대신 플리머된 매우 얇은 막을 사용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제1 디스플레이부(180)는 큰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고, 얇은 박형화에 적합한 FSTN 방식의 LCD 패널 구조를 채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디스플레이부(180)의 적어도 제1 영역 상에는 제1 화상이 변화 가능하게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부(180)에 구현되는 상기 제1 화상은, 제1 디스플레이부(180)의 좌표상에서 한 점으로 구현되는 도트(dot)의 집합이다. 즉 제1 디스플레이부(180)는 상기 도트의 집합으로 화상이 표현되는 도트형 LCD 이고, 데이터베이스(190)에 저장된 화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도트를 점등함으로써, 화상데이터를 화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에 의해 상기 화상데이터를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설정항목들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설정항목들이 갖는 설정 값을 조작하는 복수 개의 기능키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항목들 및 설정 값들을 제1 화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90)에 저장된 화상데이터는, 상기 도트의 조합을 통해 상기 제1 화상을 문자, 숫자 등의 여러 가지 화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화상데이터이다. 따라서, 제1 디스플레이부(180) 좌표 상의 도트를 여러 가지 조합을 통해 점등함으로써, 다양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제1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서로 다른 화상데이터를 전송하는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운전조건들을 설정하는 신호에 대응하여, 화상데이터를 전송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소정의 좌표상의 도트를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신호이다. 따라서, 제1 디스플레이부(180)인 도트형 LCD 상의 좌표가 동일하더라도, 도 3에 도시된 "잠금설정" 또는 도 4에 도시된 "운전모드"와 같은 문자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즉, 제1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잠금설정"이라는 화상이 "운전모드"라는 화상으로 변환되어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1 디스플레이부(180)의 동일한 좌표상에 서로 다른 화상인 "잠금설정"을 표시하는 문자와, "운전모드"를 표시하는 문자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운전조건들은 소정의 설정항목들을 포함하고, 제1 디스플레이부(180)에는 상기 설정 항목들의 제1 화상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부(180) 상에는 설정항목의 명칭이 상기 제1 화상으로 구현되는 설정항목 표시부(181)와, 각 설정항목이 갖는 설정값들이 상기 제1 화상으로 구현되는 설정값 표시부(18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설정항목들은 운전모드 항목, 환기 항목, 설정온도 항목, 실내온도 항목, 바람세기 항목, 바람방향 항목, 보조기능 항목, 예약 항목을 포함한다. 상기 각 설정항목은,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변화시킬 수 있는 설정 값들을 갖는다. 상기 제1 화상은 상기 각 설정항목들 및 상기 설정항목들이 갖는 각각의 설정값들에 대응되며, 상기 각 설정항목들 및 상기 각각의 설정값에 대응되는 제1 화상은 제1 디스플레이부(180)의 설정항목 표시부(181)와 설정값 표시부(182)에 각각 표시된다.
제2 디스플레이부(170)는, 적어도 제2 영역상에 기 설정된 제2 화상만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디스플레이부(170)는 전술한 제1 디스플레이부(180)와 마찬가지로, LCD 패널 구조를 가지며, 상기 LCD 패널의 구조는 FSTN 일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부(170)는 그래픽 화상을 표시하는 방식 및 88-세그먼트 방식으로 공기조화장치의 운전조건들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상기 제2 화상은 기 설정된 그래픽 화상이다.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부(180)의 크기는 제2 디스플레이부(17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용이한 것은 그래픽 화상인 바, 제2 디스플레이부(170)의 크기를 크게 형성하여, 시각적으로 운전조건들을 용이하게 확인하게 하고, 제1 디스플레이부(180)의 표시 내용을 통해, 운전조건들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운전조건들은 소정의 설정항목들을 포함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70)에는 상기 설정 항목들의 제2 화상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화상은, 상기 설정항목들 및 상기 설정항목들이 갖는 각각의 설정값에 대응한다. 즉, 변화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운전조건들에 각각 대응되어, 운전조건들이 변화할 때마다, 변화되는 운전조건들에 각각 대응된다. 여기서, 상기 설정항목들은 운전모드 항목(171), 환기 항목(172), 설정온도 항목(173), 실내온도 항목(174), 바람세기 항목(175), 바람방향 항목(176), 보조기능 항목(177), 예약 항목(178)을 포함한다.
상기 각 설정항목은,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변화시킬 수 있는 설정 값들을 갖고, 설정 값들은 제2 디스플레이부(170) 상에 제2 화상으로 표시된다. 여기에서 제2 화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그래픽 화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래픽 화상은, 직감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된 픽토그램 또는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조그마한 그림 또는 기호로 표시된 아이콘일 수도 있지만, 상기 픽토그램이나 아이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상기 그래픽 화상은 데이터베이스(190)에 저장된 화상데이터에 근거한 화상으로, 데이터베이스(190)에 저장된 화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그래픽 화상을 점등함으로써 제2 디스플레이부(170) 상에 그래픽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디스플레이부(170) 좌표 상의 그래픽 화상을 점등함으로써, 설정된 화상만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데이터베이스(190)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데이터를 제2 디스플레이부(170) 상에 전송하는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운전조건들을 설정하는 신호에 대응하여, 설정된 화상데이터를 제2 디스플레이부(170)로 전송하여, 제2 디스플레이부(170) 상에 화상을 구현시키는 신호이고, 상기 설정된 화상데이터에 의해 제2 디스플레이부(170) 상의 소정의 좌표상의 그래픽 화상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신호이다. 따라서, 제2 디스플레이부(170) 상의 좌표가 동일하면, 상기 좌표 상에는 설정된 화상만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제2 디스플레이부(170) 소정의 좌표 상에는 상기 설정항목들 및 설정값들마다 고유한 그래픽 화상이 기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각 운전항목들 및 각 설정값들은 제2 디스플레이부(170) 상에서 그래픽 화상으로 구현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디스플레이부(170) 상에 운전모드를 의미하는 "operation" 이라는 화상(171) 및 상기 운전모드의 설정값중 하나인 냉방운전을 표시하는 냉방운전 그래픽 화상(171a)이 구현되어 있다. 그 외에도, 설정항목들 중 운전모드 항목(171)에서의 제습운전의 설정값에 대응되는 제습운전 그래픽 화상(171b), 난방운전의 설정값에 대응되는 난방운전 그래픽 화상(171c)이 제2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된다. 제2 디스플레이부 상에 냉방운전 그래픽 화상(171a)이 점 등되는 좌표상에는, 제습운전 그래픽 화상(171b)이 표시되는 것은 불가능하다. 냉방운전 그래픽 화상(171a)이 점등되는 좌표상에는 냉방운전 그래픽 화상(171a)만이 점등될 수 있도록 기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상기 설정모드로 진입하면, 사용자는 상기 설정항목들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설정항목들이 갖는 설정 값을 조작하는 복수 개의 기능키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항목들 및 설정 값들을 제2 화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항목들 중 운전모드 항목(171)에서의 냉방 운전, 제습 운전, 난방 운전 등의 설정값을 제2 디스플레이부에 그래픽 화상(171a)(171b)(171c)으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냉방 운전, 제습 운전, 난방 운전 등의 설정값에 각각 대응하는 제2 화상인 그래픽 화상(171a)(171b)(171c)은 각각 제2 디스플레이부 상의 소정의 좌표 상에서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제2 디스플레이부(170)는 상기 설정항목들 중에서 제어장치(110)에 연결된 공기조화장치(140)에서 설정 가능한 항목들만을 디스플레이한다. 즉, 제어장치(110)가 공기조화장치(140)에 설정 가능한 항목을 요청하면, 공기조화장치(140)는 제어장치(110)에 설정 가능한 항목들을 송신해 준다. 이 때, 공기조화장치(140)가 송신하는 신호가 모델명이면, 제어부(160)는 데이터베이스(190)에 기 저장된 자료에 근거하여, 모든 설정항목들 중에서 상기 모델명에 대응하는 설정항목들만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기능키들은 상기 설정모드로 진입하는 조작신호가 입력되는 제1기능키(151), 상/하 방향을 나타내는 제2기능키(153)들, 설정/해제를 나타내는 제3기능키(154), 나가기를 나타내는 제4기능키(155) 및 보조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보조 기능키들은 제1설정항목들 중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항목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운전모드 기능키(156)는 운전모드 항목의 설정 값을 조작하기 위한 키이며, 온도 기능키(157)들은 설정온도 항목의 설정 값을 조작하기 위한 키이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제어장치(110)를 이용하여 공기조화장치(140)의 운전 조건들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운전 모드" 항목이 선택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도 3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환기" 항목이 선택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4의 디스플레이부의 "운전 모드" 항목에서 설정값이 변경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사용자가 제1기능키(151)를 소정 시간 이상 누르면 소정의 설정 모드로 진입하는 조작 신호가 입력되어, 제어장치(110)는 상기 설정모드로 진입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모드는 사용자 설정모드이다. 상기 소정 시간은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1초 이하의 값일 수 있다.
상기 설정모드 상태에서 설정항목 표시부(181)에는 조작 가능한 설정항목의 명칭이 제1 화상으로 구현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설정항목 표시부(181)에 초기에 표시되는 설정항목으로 "잠금설정" 항목을 초기 설정항목으로 설정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즉, 사용자가 제1기능키(151)를 소정 시간 이상 누르면, 소정의 설정모드로 진입하고, 설정모드로 진입된 상태에서 설정항목 표시부(181)에는 초기 설정항목인 "잠금설정"이 제1 화상으로 표시되며, 설정값 표시부(182)에는 초기 설정값 인 "ON"이 제1 화상으로 표시된다. 상기 초기 설정항목 및 초기 설정값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초기 설정항목 및 초기 설정값이 각각 설정항목 표시부(181)와 설정값 표시부(182)에 제1 화상으로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기능키(151)를 누르면, 설정항목 표시부(181) 상에서, 설정항목이 순차적으로 변경된다. 도 4에는 운전 모드 항목(171)이 선택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 후, 사용자가 제1기능키(151)를 누를 때마다, 선택되는 설정항목이 순차적으로 변경된다. 사용자가 도 4의 제1 디스플레이부(180) 상에서 제1기능키(151)를 한번 더 누를 경우, 환기 항목(172)이 선택된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복수 개의 기능키들이 조작됨에 따라, 상기 설정항목들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설정항목 및 상기 선택된 설정항목이 갖는 설정 값은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제2 디스플레이부 상에 동시에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정항목들이 제1 디스플레이부(180)의 설정항목 표시부(181) 상에서 선택되면, 제2 디스플레이부(170) 상에서 설정항목 표시부(181)에 표시된 설정항목에 대응하는 그래픽 화상도 선택되고, 상기 설정항목들이 제1 디스플레이부(180)의 설정항목 표시부(181) 상에서 순차적으로 변경되면, 제2 디스플레이부(170) 상에서 설정항목 표시부(181)에 표시된 설정항목에 대응하는 그래픽 화상도 순차적으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부(180)의 설정항목 표시부 (181)상에서 설정항목이 운전모드 항목에서 환기 항목으로 변경된 경우, 제2 디스플레이부(170) 상에서 운전모드 항목에 대응하는 그래픽 화상(171)이 환기 항목에 대응하는 그래픽 화 상(172)으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설정항목에 대응하는 제1 화상과 제2 화상이 제1 디스플레이부(180) 및 제2 디스플레이부(170)에 동시에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설정항목들 중 특정 설정항목이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기능키(152)들을 이용하여, 조작 대상을 상기 선택된 설정항목들에서 설정 값을 선택하는 항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제3기능키(153)들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설정항목의 설정 값들을 이동하면서 특정 설정 값을 선택한다. 도 4와 도 6을 참조하면, 도 4에서 운전모드 항목에서 설정 값으로서 냉방을 나타내는 화상이 선택된 상태에서, 도 6에서 제2기능키들을 이용하여, 설정 값이 "제습" 으로 변경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습을 나타내는 화상은 설정값표시부(182)에 표시되며, 사용자가 상기 선택된 설정항목의 설정 값을 선택한 후, 제4기능키(154)를 누르면 상기 선택된 설정 값으로 상기 선택된 설정항목의 설정 값이 설정된다. 사용자가 제5기능키(155)를 누르거나, 소정의 시간동안 사용자가 기능키를 조작하지 않으면, 상기 설정모드가 종료된다. 상기 설정항목들 중 운전모드 항목 이외의 설정항목들의 설정 방법은, 운전모드 항목에서의 설정 방법과 유사한 바,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제어장치(110)는 복수 개의 기능키(150)들을 이용하여 소정의 설정모드에서의 설정항목들의 설정을 제1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설정항목들 및 각 설정항목의 설정값과 같은 운전조건들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부(180) 상에서 설정항목들을 명확하게 확인하면서, 기능키(150)들을 이용하여 설정항목들 의 설정 값들을 조작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어장치는 다양한 공기조화 시스템에 설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공기조화 시스템(200)은 공기조화장치(240)들, 제어장치(210)들 및 원격제어장치(215)를 포함한다. 각 공기조화장치(240)는 복수 개의 실내기(230)들 및 실외기(220)를 포함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내기(230)들은 실내 공간들에 각각 배치되고, 실외기(220)는 실외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각 공기조화장치(240)에서, 실내기(230)들과 실외기(220)는 제1네트워크(261)를 통하여 서로 통신 연결되어 있다. 또한, 실외기(220)들은 제2네트워크(262)를 통하여 서로 통신 연결되어 있다. 제1네트워크(261) 및 제2네트워크(262) 상에서는 RS-485 통신이 수행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통신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제어장치(210)는 각 실내 공간에 배치되고, 각 제어장치(210)는 실내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실내기(230)와 유선통신을 하여 공기조화장치(240)의 운전을 제어한다. 제어장치(210)의 구조 및 작용은 전술한 도 1의 제어장치(110)의 구조 및 작용과 유사한 바,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각 제어장치(210)가 원격제어장치(215)에 통신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각 제어장치(210)의 제1 디스플레이부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는 설정항목들 중에서 "중앙제어 주소설정" 항목, "마스터 실내기/슬레이브 실내기 설정" 항목 등과 같이, 원격제어장치(215)에 의한 중앙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설정항목들에 대응하는 설정변수들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디스플레이부의 동일한 좌표상에 서로 다른 화상들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의 동일한 좌표상에는 설정된 화상만을 표시하여, 운전조건들의 다양한 표현방식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운전조건들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바, 공기조화장치용 제어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가 설치된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 시스템에서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보여주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운전 모드" 항목이 선택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환기" 항목이 선택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디스플레이부의 "운전 모드" 항목에서 설정값이 변경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가 설치된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200: 공기조화 시스템 110, 210: 제어장치
120, 220: 실외기 130, 230: 실내기
140, 240: 공기조화장치 150: 기능키들
160: 제어부 170: 제2 디스플레이부
180: 제1 디스플레이부 181: 설정항목 표시부
182: 설정값 표시부 190: 데이터베이스

Claims (12)

  1. 적어도 제1 영역 상에는 제1 화상이 변화 가능하게 표시되는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적어도 제2 영역상에는 기 설정된 제2 화상만이 표시되는 제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를 위한 복수의 설정항목들이 갖는 각각의 설정값을 표시하도록 구획된 복수개의 좌표가 설정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가 표시 중인 상기 설정항목의 명칭 및 상기 설정항목이 갖는 설정값을 표시하는 공기조화장치용 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좌표상에서 한 점으로 구현되는 도트(dot)의 집합인 공기조화장치용 제어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운전조건들을 설정 및 표시하고,
    상기 운전조건들은 소정의 설정항목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상은, 상기 설정항목들 및 상기 설정항목들이 갖는 각각의 설정값에 대응되는 공기조화장치용 제어장치.
  4. 청구항 3 있어서,
    상기 설정항목들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설정항목이 갖는 설정 값을 조작하는 복수 개의 기능키들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용 제어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상은, 기 설정된 그래픽 화상인 공기조화장치용 제어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운전조건들을 설정 및 표시하고,
    상기 운전조건들은 소정의 설정항목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화상은, 상기 설정항목들 및 상기 설정항목들이 갖는 각각의 설정값에 대응되는 공기조화장치용 제어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설정항목들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설정항목이 갖는 설정 값을 조작하는 복수 개의 기능키들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용 제어장치.
  8.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기능키들이 조작됨에 따라, 상기 설정 항목들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설정항목 및 상기 선택된 설정항목이 갖는 설정 값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 상에 동시에 구현되는 공기조화기용 제어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설정항목들은 소정의 설정 모드 상태에서 변화되고,
    상기 복수 개의 기능키들은 상기 설정 모드로 진입하는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제1기능키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용 제어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설정 모드에서 상기 제1기능키가 눌러질 때마다, 설정 값의 조작이 가능한 설정 항목이 변화되고,
    상기 복수 개의 기능키들은, 상기 설정 항목들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설정 항목과, 상기 선택된 설정 항목의 설정 값 사이를 이동시키는 제2기능키들, 상기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조작 가능한 범위 내에서 변화시키는 제3기능키들, 및 상기 선택된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설정시키는 제4기능키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용 제어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보다 작은 공기조화장치용 제어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 적어도 어느 하나는 LCD 패널 구조인 공기조화장치용 제어장치.
KR1020070099259A 2007-10-02 2007-10-02 공기조화장치용 제어장치 KR101321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259A KR101321542B1 (ko) 2007-10-02 2007-10-02 공기조화장치용 제어장치
EP08251886.1A EP2045541B1 (en) 2007-10-02 2008-05-30 Control device for air conditioner
CNA2008101112403A CN101403523A (zh) 2007-10-02 2008-06-05 用于空气调节器的控制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259A KR101321542B1 (ko) 2007-10-02 2007-10-02 공기조화장치용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094A KR20090034094A (ko) 2009-04-07
KR101321542B1 true KR101321542B1 (ko) 2013-10-25

Family

ID=40537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259A KR101321542B1 (ko) 2007-10-02 2007-10-02 공기조화장치용 제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21542B1 (ko)
CN (1) CN1014035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65929A (zh) * 2016-12-13 2017-05-3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空调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1832A1 (ja) * 2011-01-28 2012-08-02 三菱電機株式会社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及び空調システム
KR101482139B1 (ko) * 2012-11-12 2015-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제어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517084B1 (ko) * 2012-11-12 201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제어장치
CN105452779A (zh) * 2013-11-12 2016-03-30 三菱电机株式会社 遥控器
CN105241011B (zh) * 2015-10-14 2018-05-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群控系统开发装置和方法
JP6252607B2 (ja) * 2016-01-21 2017-12-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2995A (ja) 1999-12-24 2001-07-06 Sanyo Electric Co Ltd 冷凍空調機の運転状況の表示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4294029A (ja) 2003-03-28 2004-10-21 Mitsubishi Electric Corp 空調機のリモコン装置および空調機システム
JP2007101174A (ja) 2006-12-13 2007-04-19 Toshiba Kyaria Kk 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2995A (ja) 1999-12-24 2001-07-06 Sanyo Electric Co Ltd 冷凍空調機の運転状況の表示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4294029A (ja) 2003-03-28 2004-10-21 Mitsubishi Electric Corp 空調機のリモコン装置および空調機システム
JP2007101174A (ja) 2006-12-13 2007-04-19 Toshiba Kyaria Kk 空気調和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65929A (zh) * 2016-12-13 2017-05-3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03523A (zh) 2009-04-08
KR20090034094A (ko) 2009-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1542B1 (ko) 공기조화장치용 제어장치
JP4259590B2 (ja) 空調コントローラ
US11029807B2 (en) Thermostat with an interactive twisted nematic display
EP2045541B1 (en) Control device for air conditioner
US9964327B2 (en) Air-conditioning remote controller and air-conditioning system
JP2009229009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MX2009003603A (es) Aparato, sistema y metodo para controlar de manera remota una representacion visual de múltiples pantallas para el suministro de informacion en forma de instrucción.
KR20090022846A (ko) 공기조화 시스템
JP2009058194A (ja) 空気調和機の風向風量表示装置
JP2010169363A (ja) リモコン装置
JP4870034B2 (ja) プラント監視制御装置
KR101404106B1 (ko) 공기조화장치용 제어장치
KR10132975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941471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EP3809058B1 (en) Air conditioner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screen image for managing air conditioner
WO2018173188A1 (ja) 設備機器管理装置
JPH0576087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WO2016139733A1 (ja) リモコンシステム
JPH05145973A (ja) プログラマブルリモコン装置
JP3888334B2 (ja) プラント状態監視方法及びプラント監視装置
KR20090041601A (ko) 공기조화장치의 원격제어장치
KR20090043870A (ko) 공기 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JP2006235659A (ja) 表示システムおよび表示言語設定方法
KR20090033683A (ko) 공기조화장치용 제어장치
CN210534743U (zh) 集中控制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