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1182B1 -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 - Google Patents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1182B1
KR101321182B1 KR1020120090282A KR20120090282A KR101321182B1 KR 101321182 B1 KR101321182 B1 KR 101321182B1 KR 1020120090282 A KR1020120090282 A KR 1020120090282A KR 20120090282 A KR20120090282 A KR 20120090282A KR 101321182 B1 KR101321182 B1 KR 101321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latch wheel
stop device
automatic stop
fre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0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훈
Original Assignee
윤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상훈 filed Critical 윤상훈
Priority to KR1020120090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11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1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1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8User-manipulated weights anchored at one e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 웨이트의 사용 중 급작한 하강이 이루어질 때 자동으로 하강 멈춤 동작이 일어나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모듈 몸체와; 상기 모듈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래치 휠 회전축과; 상기 래치 휠 회전축에 일단이 고정되어 감겨져 있고 유연성을 갖는 웨이트 연결부재와; 상기 래치 휠 회전축에 고정되어 웨이트 연결부재의 풀림 및 감김 방향에 따라 정역회전하는 래치휠과; 상기 래치휠에 가까이 위치하여 상기 모듈 몸체의 일측면에 힌지 연결된 스톱퍼와; 상기 스톱퍼에 각기 가까이 위치하여 상기 모듈 몸체에 고정 설치되고, 전기적 온/오프 신호에 의해 상기 스톱퍼를 상기 래치 휠에 걸림 및 해제시키는 솔레노이드와; 일단이 래치 휠 회전축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모듈 몸체측에 고정되어 탄성력으로 상기 웨이트 연결부재를 일방향으로 감아주는 래치 휠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스프링수단; 및 상기 래치 휠 회전축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Free weight automatic stop device}
본 발명은 프리 웨이트 운동기구를 부상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웨이트의 사용 중 급작한 하강이 이루어질 때 자동으로 하강 멈춤 동작이 일어나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머신 운동기구는 운동시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제품에 규격이 획일적이어서 다양한 신체에 대처력이 매우 약하며 동작의 경로나 가동 범위가 제한적이고 같은 경로로 움직여서 중량을 컨트롤하는 보조동근에 발달이 더디어 주로 초보자들에게 적합하다.
한편, 프리 웨이트는 머신 운동기구의 단점을 극복하여 그만큼 같은 동작이라도 운동에 다양성이 있고 불안전한 상태에 있는 중량을 콘트롤 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면서 주동근, 보조동근이 발달하고, 일반 머신 운동기구를 사용할 경우보다 좀더 전체적인 근육에 발달을 이룰 수 있다. 그러나 프리 웨이트는 사고위험성과 부상위험성이 일반 머신 운동기구보다 훨씬 높고 사고에 대한 우려로 심리적으로 불안하여 자세 교정도 힘들다. 안전하게 하기 위해서는 보조자가 필요하다.
예로 바벨의 경우 손잡이 봉의 양단에 적정한 중량체를 끼워넣고 사용한다. 근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중량체의 중량을 높이게 된다. 이때 중량체의 총 중량이 과도해질 경우 바벨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과정에서 힘에 부쳐 바벨이 갑자기 내려오면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혼자 운동하는 경우 이같은 상황이 발생되면 주변의 도움을 받지 못해 위험에 빠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914492호로서, 구동부 안전장치가 장착된 운동기구가 있다. 이는 사용자가 운동을 할 때 제한된 각도에서만 회동을 하게 되어 사용자가 탑승하여 좌,우 또는 전,후로 흔들며 운동을 할 때 가속도에 의하여 무리한 스윙이 이루어질 염려나 탑재부에서 떨어질 염려가 없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사용을 하지 않을 때에는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하여 탑재부가 결합된 승강암이 상승하면서 그 상단에 형성된 스톱핀이 빗장공에 삽입되어 탑재부가 회동하지 않고 고정됨으로써 바람에 흔들리거나 지나가는 사람에 걸리어 흔들리거나 기타 장난에 의하여 주변의 사람이 부딪쳐서 다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하여 승강암이 상승하여 스톱핀이 중심축의 빗장홈에 삽입되어 탑재부의 동작을 구속하게 되는 구조로서, 바벨에는 적용할 수 없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698543호
본 발명은 프리 웨이트의 사용 중 급작한 하강이 이루어질 때 자동으로 하강 멈춤 동작이 일어나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모듈 몸체와;
상기 모듈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래치 휠 회전축과;
상기 래치 휠 회전축에 일단이 고정되어 감겨져 있고 유연성을 갖는 웨이트 연결부재와;
상기 래치 휠 회전축에 고정되어 웨이트 연결부재의 풀림 및 감김 방향에 따라 정역회전하는 래치휠과;
상기 래치휠에 가까이 위치하여 상기 모듈 몸체의 일측면에 힌지 연결된 스톱퍼와;
상기 스톱퍼에 각기 가까이 위치하여 상기 모듈 몸체에 고정 설치되고, 전기적 온/오프 신호에 의해 상기 스톱퍼를 상기 래치 휠에 걸림 및 해제시키는 솔레노이드와;
일단이 래치 휠 회전축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모듈 몸체측에 고정되어 탄성력으로 상기 웨이트 연결부재를 일방향으로 감아주는 래치 휠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스프링수단; 및
상기 래치 휠 회전축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검출된 하강 속도가 설정된 안전 속도를 초과할 경우 솔레노이드를 전기적으로 온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웨이트 연결부재의 타단에 웨이트 지지봉을 매달아 두기 위한 웨이트 지지봉 연결링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감지수단은
원주상에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 슬릿을 갖고 상기 래치 휠 회전축에 고정된 슬릿 회전판과;
상기 슬릿을 향하여 발광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슬릿을 통과한 빛을 감지하여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광소자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톱퍼와 솔레노이드는 각기 한 쌍으로 구성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웨이트 운동시 최초 최하지점을 기억 후 그 이하로는 바벨이 하강 동작하지 않도록 그 최초 최하지점을 기억하는 단계가 프로그램되어져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는 수평지지대, 수평지지대의 양단에 연결된 수직지지대, 수직지지대의 하단에 각기 연결된 받침대를 갖는 스탠드 기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는 천정 슬라브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는 양쪽 건물 기둥에 수평으로 연결된 기둥 지지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는 바닥 슬라브에 고정된 양쪽 수직지지대를 매개로 상부에 연결된 수평지지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1. 안전하다. 운동자는 프리 웨이드 운동 반복시 힘이 급격히 빠지더라도 기구에 깔리거나 다치는 부상의 위험이 없다.
2. 최대 무게, 회수에 도전할 수 있다. 기존 프리 웨이트 운동 반복 시 사고 위험성 때문에 중량 증가와 반복 횟수는 소극적이었으나 본 장치는 안심하고, 많은 횟수에 도전할 수 있게 한다.
3. 시작 시점이 자유롭다. 기존 웨이트(바벨)를 기구 거치대에서 운동시작점으로 바벨의 위치가 변할 때 힘의 소요가 순간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부담으로 작용하는데 반해, 본 장치는 원하는 지점에서 시작할 수 있어 이런 부담이 없다.
4. 소음을 감소시킨다. 운동 반복 후 웨이트를 기구 거치대에 내려놓을 시 힘의 소진으로 큰 소음이 발생하여 주위 사람들을 놀라게 할 수 있는데 반해, 본 장치는 웨이트가 거치대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소음이 없다.
5. 다양한 운동이 가능하다. 본 장치와 각도 조절 벤치 한 대만 구비되면, 모든 웨이트로 할 수 있는 운동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회전축, 래치 휠 및 감지장치의 설치 구성도.
도 3은 도 1의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의 배면측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의 래치 휠 잠금 상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의 래치 휠 풀림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를 이용한 일 예의 설치 구성도.
도 6은 도 5의 일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의 급하강을 제어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제어 흐름도.
도 9a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의 다양한 설치 상태를 예시한 도면.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10)는 측판(121), 스프링 고정판(122), 측판(121)과 스프링 고정판(122)을 연결하는 마운팅 플레이트(123)로 구성된 모듈 몸체(12)가 구비된다. 측판(121)의 일측에는 후술할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설치하기 위한 감지판(124)이 다수의 볼트(125)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감지판(124) 없이도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는 측판(121)에 설치될 수 있다.
모듈 몸체(12)에 래치 휠 회전축(14)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래치 휠 회전축(14)은 일단이 측판(1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이 스프링 고정판(12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래치 휠 회전축(14)에 웨이트 연결부재(16)가 감겨져 있다. 웨이트 연결부재(16)는 일단이 래치 휠 회전축(14)에 확고히 고정되어 감겨져 있다. 웨이트 연결부재(16)는 감길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지며 긴장력에 잘 늘어나지 않는 넓은 끈이나 밴드 또는 로프 형태가 될 수 있다. 웨이트 연결부재(16)는 태엽스프링(24)에 의해 래치 휠 회전축(14)에 감겨져 있다.
래치 휠 회전축(14)의 일단에는 래치 휠(18)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래치 휠(18)은 외주면에 다수 개의 톱니형 치형을 갖는 것으로 이 치형은 일방향으로 걸림턱(18a)을 타방향으로 경사면(18b)을 갖는다. 따라서 래치 휠(18)은 래치 휠 회전축(14)과 일체로 웨이트 연결부재(16)의 풀림 및 감김 방향에 따라 정역 회전하게 된다.
래치휠(18)에 가까이 위치하여 모듈 몸체(12)의 일측면에 힌지 연결된 한 쌍의 스톱퍼(20,20)가 설치된다. 스톱퍼(20)는 래치 휠(18)의 걸림턱(18a)에 맞물리는 스톱퍼 걸림턱(20a)을 갖는다. 본 실시 예에서 래치 휠(18)을 안정적으로 걸기 위해 스톱퍼(20)가 한 쌍으로 배치되었으나 단독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모듈 몸체(12)의 측판(121)에는 한 쌍의 솔레노이드(22,22)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솔레노이드(22,22)는 스톱퍼(20,20)에 각기 가까이 위치하여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솔레노이드(22)는 전자 코일, 가동철심 및 플런저(22a)를 포함하는 주지의 기술로서, 전자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가동철심이 자화되어 플런저(22a)를 전진시키게 되어 있다. 즉, 전기적 온 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22)의 플런저(22a)가 전진하여 스톱퍼(20)를 회전시켜서 래치 휠(18)을 걸어 웨이트 연결부재(16)의 풀림 동작을 멈춤시키게 되어 있다.
웨이트 연결부재(16)를 감아올리기 위해 스프링수단이 구비된다. 스프링수단은 예로 태엽스프링(24)이 될 수 있다. 태엽스프링(24)은 일단이 래치 휠 회전축(14)에 고정되고 타단이 모듈 몸체(12)의 일측 스프링 고정판(122)에 연결되어 있다. 태엽스프링(24)은 탄성력으로 래치 휠 회전축(14)을 일방향 회전시켜 웨이트 연결부재(16)를 감아올리는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태엽스프링(24)은 웨이트(100)를 들어올릴 때 웨이트 연결부재(16)를 감으며 웨이트(100)가 하강할 때 풀어진다.
래치 휠 회전축(14)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모듈 몸체(12)에 설치된다. 즉 감지수단은 웨이트 연결부재(16)가 풀려져 하강할 때 래치 휠 회전축(14)의 회전 속도를 검출한다. 감지수단은 원주상에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 슬릿(26a)을 갖고 상기 래치 휠 회전축(14)에 고정된 슬릿 회전판(26)과, 슬릿(26a)을 향하여 발광하는 발광소자(27)와, 슬릿(26a)을 통과한 빛을 감지하여 펄스 신호(파형 전류)를 발생시키는 수광소자(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발광소자(27) 및 수광소자(28)는 고정블럭(29)을 통해 감지판(124)에 설치되어 있다.
수광소자(28)에서 출력되는 펄스 신호는 제어부(200)에 입력되고, 제어부(200)는 주지의 속도검출회로를 통해 래치 휠 회전축(14)의 회전속도를 검출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수광소자(28)에서 출력되는 펄스 신호(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2개의 펄스 신호)에 의해 래치 휠 회전축(14)의 정회전과 역회전을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래치 휠 회전축(14)의 회전 속도(또는 웨이트의 하강 속도)가 안전 속도 초과로 판단할 경우 솔레노이드(22)에 온 신호를 인가하여 스톱퍼(20)를 회전시켜서 도 4a와 같이 래치 휠(18)의 치형을 걸어 래치휠(18)의 회전을 자동으로 멈춤시킨다. 따라서 웨이트 연결부재(16)에 연결되는 웨이트(100)의 급속한 하강은 바로 정지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웨이트 운동시 최초 최하지점을 기억 후 그 이하로는 웨이트가 하강 동작하지 않도록 그 최초 최하지점을 기억하는 단계가 프로그램되어져 동작하게 되어 있다.
한편, 정전시 본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10)가 제대로 작동하도록 충전용 전지를 이용하여 비상 전원을 공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부호'21'은 솔레노이드의 오프 신호 후 스톱퍼(2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톱퍼 복귀스프링'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10)는 일 예로 도 5 및 도 6과 같이 천정 슬라브 고정형으로 설치되어 바벨, 덤벨, 아령 등의 운동기구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천장 슬라브(1)에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앵커 브라켓(2,2)이 앵커 볼트로 고정 설치되고, 이때 한 쌍의 브라켓(2,2)에는 각기 모듈 설치판(3,3)이 연결된다.
이때 앵커 브라켓(2,2)은 예로 바벨의 사용자자 사용중에 급작히 놓았을 때의 충격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고정된다.
모듈 설치판(3,3)에는 기본적으로 각각 하나 이상의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10,10,10,10)가 설치된다. 각기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10)는 모듈 몸체(12)에 조립된 볼트(7)를 모듈 설치판(3)에 끼워넣은 후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하나의 모듈 설치판(3)에 2개의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10,10)가 설치된다. 이때 하나의 모듈 설치판(3)에 설치되는 2개의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10,10)는 동일 높이로 어로 어긋난 위치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하여 좌우로 배치되어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한 쌍의 모듈 설치판(3,3)에는 모두 4개의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10,10,10,10)가 설치된다.
이때 각기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10)의 웨이트 연결부재(16)의 말단에는 웨이트(100)의 웨이트 지지봉(102)과 연결하기 위해 웨이트 지지봉 연결링(162)이 구비된다. 웨이트 지지봉 연결링(162)은 금속 또는 웨이트 연결부재(16)와 동일한 재질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가 갖추어진 경우 도 7과 같이 웨이트 연결부재(16)에 연결된 웨이트(100)를 서서히 내려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위치시킨다. 이 위치는 사용자가 웨이트를 들어올릴 수 있는 적당한 위치가 된다. 이 위치에서 도 4a와 같이 스톱퍼(20)는 래치휠(18)을 걸어 래치 휠 회전축(14)은 고정되어 있고 웨이트 연결부재(16)는 일정 길이가 풀어져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스톱퍼(20)가 래치휠(18)에 걸리도록 하는 방법은 원하는 위치에서 웨이트(100)를 도 7에서 D방향으로 급작히 내리면 수광소자(28)에서 감지된 감지신호에 의해 제어부(200)가 안전 속도 초과로 판단하여 솔레노이드(22)가 온(on) 작동되기 때문이다. 솔레노이드(22)가 온 된 직후에는 다시 오프(off)되어 플런저는 후퇴위치하게 되며, 스톱퍼(20)와 래치휠(18)의 걸림은 계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때 웨이트(100)의 무게로 래치 휠(18)은 그 치형으로 스톱퍼(20)를 걸고 있기 때문에 복귀스프링(21)의 당김력이 작용하더라도 스톱퍼(20)의 걸림력은 그대로 유지된다.
한편, 이 상태에서 웨이트(100)를 도 7에서 U방향으로 들어 올리면 태엽스프링(24)의 감김력으로 래치 휠 회전축(14)이 도 4b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래치휠(18)은 복귀스프링(21)에 의해 신속히 스톱퍼(20)와 걸림이 해제되어 래치 휠 회전축(14)과 동일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다. 이로서 웨이트(100)의 상승 이동(U 방향)은 자유롭게 된다.
이후 웨이트(100)를 안전 속도를 초과하지 않으면서 천전히 내리거나 올리면 솔레노이드(22)는 작동하지 않고 스톱퍼(20)는 래치휠(18)에서 분리되어 있는다.
따라서 웨이트(100)를 올리거나 내릴 때 래치 휠 회전축(14)이 안전 속도를 초과하지 않을 경우에는 솔레노이드(22)가 작동하지 않으므로 바벨 운동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운동 중에 부주의로 또는 드는 힘을 이기지 못하고 웨이트(100)를 갑자기 내리게 되면, 웨이트 연결부재(16)는 급하강하여 풀리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래치 휠 회전축(14)이 빠르게 회전하므로 즉시, 수광소자(28)를 통해 제어부(200)가 안전 속도 초과로 판단하여 솔레노이드(22)를 온(on) 작동시키게 된다. 솔레노이드(22)의 온 작동으로 스톱퍼(20)가 래치휠(18)을 멈춤시키고 웨이트 연결부재(16)의 하강이 정지되어 웨이트(100)은 그 위치에서 바로 멈추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웨이트를 들어올렸다 내렸다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정상적인 속도로 웨이트를 올리고 내리면 솔레노이드(22)는 작동하지 않으므로 멈춤과정 없이 운동을 할수 있게 되고, 이 과정에서 웨이트 연결부재(16)가 급하강하게 되면 즉 하강 속도가 안전 속도를 초과하게 되면 솔레노이드(22)가 온 작동하여 웨이트 연결부재(16)가 웨이트(100)과 함께 멈춤됨으로써 안전을 확보하게 된다.
즉, 웨이트 연결부재(16)의 하강에 따른 상기 래치 휠 회전축(14)의 회전 속도가 설정된 안전 속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솔레노이드(22)가 온 작동하여 웨이트 연결부재(16)의 하강이동을 급정지시킴으로써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동작하는 제어 흐름을 도 8에 예시하였다.
여기서, 제어부(200)는 웨이트 운동시 최초 최하지점을 기억하며 그 이하로는 웨이트가 하강 동작하지 않도록 솔레노이드(22)를 온 작동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10)는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9a, 도 9b, 도 9c(가)(나)와 같이 스탠드 기구(50) 형태에 설치될 수 있다. 스탠드 기구(50)는 수평지지대(51), 수평지지대(51)의 양단에 연결된 수직지지대(52,52), 수직지지대(52,52)의 하단에 각기 연결된 받침대(53,53)를 포함한다.
다른 예로 도 10a, 도 10b, 도 10c와 같이 천정 슬라브 고정형 방식으로 천정 슬라브(1)에 지지판(60) 또는 지지대(61)를 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1a, 도 11b, 도 11c와 같이 건물 기둥 고정형으로 양쪽 건물 기둥(1a,1a)에 수평으로 연결된 기둥 지지대(1b)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1b, 도 11c는 기둥 지지대(1b)가 수직 지지대(1d)를 통해 각기 바닥 슬라브(1c)와 천정 슬라브(1)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 다른 예로 도 12와 같이 바닥 슬라브 고정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바닥 슬라브(1c)에 고정된 양쪽 수직지지대(52)를 매개로 상부에 연결된 수평지지대(51)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202'는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10)에 연결된 '리셋버튼'을 나타낸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2: 앵커 브라켓
3: 모듈 설치판
12: 모듈 몸체
14: 래치휠 회전축
16: 웨이트 연결부재
18: 래치휠
20: 스톱퍼
22: 솔레노이드
24: 태엽스프링
26: 슬릿 회전판
27: 발광소자
28: 수광소자

Claims (9)

  1. 모듈 몸체(12)와;
    상기 모듈 몸체(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래치 휠 회전축(14)과;
    상기 래치 휠 회전축(14)에 일단이 고정되어 감겨져 있고 유연성을 갖는 웨이트 연결부재(16)와;
    상기 래치 휠 회전축(14)에 고정되어 웨이트 연결부재(16)의 풀림 및 감김 방향에 따라 정역회전하는 래치휠(18)과;
    상기 래치휠(18)에 가까이 위치하여 상기 모듈 몸체(12)의 일측면에 힌지 연결된 스톱퍼(20)와;
    상기 스톱퍼(20)에 각기 가까이 위치하여 상기 모듈 몸체(12)에 고정 설치되고, 전기적 온/오프 신호에 의해 상기 스톱퍼(20)를 상기 래치 휠(18)에 걸림 및 해제시키는 솔레노이드(22)와;
    일단이 래치 휠 회전축(14)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모듈 몸체(12)측에 고정되어 탄성력으로 상기 웨이트 연결부재(16)를 일방향으로 감아주는 래치 휠 회전축(14)을 회전시키는 스프링수단; 및
    상기 래치 휠 회전축(14)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검출된 하강 속도가 설정된 안전 속도를 초과할 경우 솔레노이드(22)를 전기적으로 온 작동시키는 제어부(2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 연결부재(16)의 타단에 웨이트 지지봉(102)을 매달아 두기 위한 웨이트 지지봉 연결링(162)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감지수단은,
    원주상에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 슬릿(26a)을 갖고 상기 래치 휠 회전축(14)에 고정된 슬릿 회전판(26)과;
    상기 슬릿(26a)을 향하여 발광하는 발광소자(27)와;
    상기 슬릿(26a)을 통과한 빛을 감지하여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광소자(28)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20)와 솔레노이드(22)는 각기 한 쌍으로 구성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0)는 웨이트 운동시 최초 최하지점을 기억 후 그 이하로는 바벨이 하강 동작하지 않도록 그 최초 최하지점을 기억하는 단계가 프로그램되어져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는 수평지지대(51), 수평지지대(51)의 양단에 연결된 수직지지대(52,52), 수직지지대(52,52)의 하단에 각기 연결된 받침대(53,53)를 갖는 스탠드 기구(50)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는 천정 슬라브(1)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는 양쪽 건물 기둥(1a,1a)에 수평으로 연결된 기둥 지지대(1b)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는 바닥 슬라브(1c)에 고정된 양쪽 수직지지대(52)를 매개로 상부에 연결된 수평지지대(51)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
KR1020120090282A 2012-08-17 2012-08-17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 KR101321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282A KR101321182B1 (ko) 2012-08-17 2012-08-17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282A KR101321182B1 (ko) 2012-08-17 2012-08-17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1182B1 true KR101321182B1 (ko) 2013-10-23

Family

ID=49639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0282A KR101321182B1 (ko) 2012-08-17 2012-08-17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118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117A (ko) * 2014-03-19 2015-10-01 한국원자력연구원 캔드 모터펌프 역회전 방지장치
KR101970984B1 (ko) * 2017-11-28 2019-04-2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이트 안전 운동기구
US10556168B2 (en) 2018-05-21 2020-02-11 The Giovanni Project LLC Treadmill with lighting and safety features
US10722752B2 (en) 2018-05-21 2020-07-28 The Giovanni Project LLC Treadmill with lighting and safety features
CN113171591A (zh) * 2021-05-13 2021-07-27 河南职业技术学院 健美操力量训练装置
US11224781B2 (en) 2019-02-28 2022-01-18 The Giovanni Project LLC Treadmill with lighted slats and power disks
US11291881B2 (en) 2019-02-28 2022-04-05 The Giovanni Project LLC Treadmill with lighted slats
US11590388B2 (en) 2018-05-21 2023-02-28 The Giovanni Project LLC Braking and locking system for a treadmill
US11918847B2 (en) 2018-05-21 2024-03-05 The Giovanni Project LLC Braking and locking system for a treadmil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358U (ja) * 1993-08-09 1995-03-07 ウー、ホング・チー 筋力トレーニング機器用運動負荷装置
JP2007307180A (ja) 2006-05-19 2007-1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ハビリテーション装置
KR100914492B1 (ko) 2009-03-12 2009-08-31 (주)제일체육공사 구동부 안전장치가 장착된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358U (ja) * 1993-08-09 1995-03-07 ウー、ホング・チー 筋力トレーニング機器用運動負荷装置
JP2007307180A (ja) 2006-05-19 2007-1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ハビリテーション装置
KR100914492B1 (ko) 2009-03-12 2009-08-31 (주)제일체육공사 구동부 안전장치가 장착된 운동기구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117A (ko) * 2014-03-19 2015-10-01 한국원자력연구원 캔드 모터펌프 역회전 방지장치
KR101580526B1 (ko) 2014-03-19 2015-12-29 한국원자력연구원 캔드 모터펌프 역회전 방지장치
KR101970984B1 (ko) * 2017-11-28 2019-04-2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이트 안전 운동기구
US10722752B2 (en) 2018-05-21 2020-07-28 The Giovanni Project LLC Treadmill with lighting and safety features
US10556169B2 (en) 2018-05-21 2020-02-11 The Giovanni Project LLC Locking system for a treadmill
US10569152B2 (en) 2018-05-21 2020-02-25 The Giovanni Project LLC Braking system for a treadmill
US10556168B2 (en) 2018-05-21 2020-02-11 The Giovanni Project LLC Treadmill with lighting and safety features
US11590388B2 (en) 2018-05-21 2023-02-28 The Giovanni Project LLC Braking and locking system for a treadmill
US11794069B2 (en) 2018-05-21 2023-10-24 The Giovanni Project LLC Braking and locking system for a treadmill
US11918847B2 (en) 2018-05-21 2024-03-05 The Giovanni Project LLC Braking and locking system for a treadmill
US11224781B2 (en) 2019-02-28 2022-01-18 The Giovanni Project LLC Treadmill with lighted slats and power disks
US11291881B2 (en) 2019-02-28 2022-04-05 The Giovanni Project LLC Treadmill with lighted slats
CN113171591A (zh) * 2021-05-13 2021-07-27 河南职业技术学院 健美操力量训练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1182B1 (ko) 프리 웨이트 자동 멈춤 장치
US5989166A (en) Adjustable barbell press apparatus
US8348014B2 (en) Fall-arrest ladder system
US9884239B2 (en) Portable, extensible, exercise weight support device with safety features
US8444537B1 (en) Cable and pulley weightlifting system apparatus
US10143880B1 (en) Cable exercise device and method
US7819785B2 (en) Safety device for spotting a user of a barbell without a need for human intervention
KR101970984B1 (ko) 웨이트 안전 운동기구
US6669607B2 (en) Barbell and dumbbell safety spotting apparatus
US6086520A (en) Weight lifting safety system employing constant force spring
US5098361A (en) Center supported weight lifting bars
US7998037B2 (en) Adjustable resistance training apparatus
US20120244999A1 (en) Modular self-spotting safety device for weightlifting
AU2014277621B2 (en) Ladder safety mechanisms
US20080070759A1 (en) Dumbbell Supporting Device
EP3253462B1 (en) Weight training device
US9089736B2 (en) Programmable system and process for monitored and assisted weight lifting during rehabilitation or training exercise
US20060148624A1 (en) Bench press
US9381393B1 (en) Suspended weight barbell attachment
KR20130070068A (ko) 역기 운동대용 안전장치
US20040029686A1 (en)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CN216934576U (zh) 一种具有自锁回弹保护功能的卧推架
US10537763B2 (en) Device for suspending rings for gymnastic exercises
US5779602A (en) System for raising weights when activated by a user in response to a dangerous situation
US6641510B2 (en) Spring assisted spotter pins for a weight lifting power r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