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0041B1 - 슬림형 디지털 기기 휴대용 가방 - Google Patents

슬림형 디지털 기기 휴대용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0041B1
KR101320041B1 KR1020120016547A KR20120016547A KR101320041B1 KR 101320041 B1 KR101320041 B1 KR 101320041B1 KR 1020120016547 A KR1020120016547 A KR 1020120016547A KR 20120016547 A KR20120016547 A KR 20120016547A KR 101320041 B1 KR101320041 B1 KR 101320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ing means
storage space
opening
digital device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6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5102A (ko
Inventor
길진희
Original Assignee
한국오케이아이엔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오케이아이엔디(주) filed Critical 한국오케이아이엔디(주)
Priority to KR1020120016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0041B1/ko
Publication of KR20130095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5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6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outside compart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8Carrying enclosures containing additional elements, e.g. case for a laptop and a print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림형 디지털 기기를 휴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백팩이나 손잡이가 달린 형태의 가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평상시 백팩이나 손가방의 독립수납공간에 슬림형 디지털 응용기기를 넣고 보조개폐수단을 잠근 후 개폐수단을 재차 잠가 안전하게 보관, 운반하다가 필요한 경우에는 개폐수단 및 보조개폐수단을 번거롭게 여닫지 않고, 측부 또는 상부에 형성된 외측절개부의 추가개폐수단만을 열어 연통된 외측절개부와 내측절개부를 통하여 독립수납공간 내부의 슬림형 디지털 응용기기를 꺼내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추가개폐수단을 잠가 안전하게 보관, 운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관이나 운반시에는 백팩이나 손가방 내부의 독립수납공간에 넣어 외부의 충격이나 압력으로부터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면서도 필요한 경우에는 추가개폐수단만을 조작하여 슬림형 디지털 응용기기를 쉽게 빼내고 넣을 수 있으므로 사용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슬림형 디지털 기기 휴대용 가방{Slim Digital Device Portable Carriage Bag}
본 발명은 슬림형 디지털 기기 휴대용 가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림형 디지털 기기를 휴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백팩이나 손잡이가 달린 형태의 가방(이하 '손가방'이라 함)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태블릿 PC 등 슬림형 디지털 기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이러한 태블릿 PC 등은 외력에 의한 손상이나 긁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스에 넣어 보관,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슬림형 디지털 기기는 대부분 윗면과 아랫면을 덮을 수 있는 수첩과 유사한 커버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거나 파우치 형태로 된 것에 넣어 사용하였다.
즉,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48169(발명의 명칭: 파우치 및 그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이하 '인용발명1'이라 함)에서 예시한 커버 형태의 것을 도1로 보였고, 파우치 형태의 것을 도2로 보였다.
도1로 보인 인용발명1에 의하면, 이는 제1부분(410)과 제2부분(420)을 연결하는 연결부(440)는 제2부분(420)이 단말기(10)의 너비방향 축을 중심으로 선회되게 하여, 제2 조작부(24) 등을 노출시키게 된다. 상기 제2 조작부(24)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착신 시 통화 상태로의 전환 조작 등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인용발명1의 도2로 보인 형태에 의하면 이는 스트랩(strap, 540)을 가지는 파우치(500)를 예시되어 있고, 개입부(515)를 통하여 기기를 넣거나 빼낼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인용발명1로 보인 커버 또는 파우치 형태의 것들은 그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손상이나 흠집의 발생을 억제하게 되는 효용이 있는 것이다.
또 다른 형태의 것으로는 손잡이가 달린 가방 형태로 된 것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형태로 된 예를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454483(고안의 명칭: 모바일기기용 가방; 이하 '인용발명2'라 함)에 의하여 살펴 볼 수 있다. 이러한 인용발명2는 도3으로 보인 바와 같이 모바일기기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공기의 충진 여부에 따라 체적이 가변되게 구비되는 공기튜브로 구성되는 전면커버와 후면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커버와 상기 후면커버는 상기 수납공간에 상기 모바일기기가 수납될 경우 상기 공기튜브 내부에 충진 된 공기의 압력으로 상기 모바일기기를 지지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인용발명 1,2는 태블릿 PC 등 슬림형 디지털 기기만을 손에 들고 다니는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반면에 많은 사용자들이 이동 중에 책이나 간단한 소품류 등을 백팩(BACKPACK)이나 손가방에 넣고 다니는 경우가 많으며, 가격이 고가이며 손상되기 쉬운 슬림형 디지털 기기를 백팩이나 가방에 넣어 두기 위하여 다른 물건과 부딪혀 손상되지 않도록 별도로 마련된 독립수납공간에 넣고 해당 독립수납공간의 상방에 슬라이드 파스너나 벨크로 파스너를 이용하여 잠가둠으로써 다른 물품들과 구분될 수 있도록 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이 백팩이나 손가방에 슬림형 디지털 기기를 넣어 둔 경우 이동 중 슬림형 디지털 기기를 잠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백팩이나 가방의 상방에 구비된 개폐수단인 슬라이드 파스너나 벨크로 파스너를 이용하여 열고 수납공간이 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내부의 독립수납공간의 개폐를 위한 보조개폐수단인 슬라이드 파스너나 벨크로 파스너를 이용하여 개방시킨 후 비로서 슬림형 디지털 기기를 꺼내 사용할 수 있고, 다시 넣어 둘 때에는 전술한 과정을 역순으로 실시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일 뿐만 아니라, 백팩이나 가방 내부의 수납공간이 노출되어 그 내부의 각종 물품이 타인에게 노출되므로 프라이버시가 침해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수납공간 내부의 물품이 바깥으로 유출되어 손상되거나 분실되는 등의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덜기 위하여 백팩에 부착하여 휴대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시도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453219(고안의 명칭: 가방에 탈부착이 가능한 태블릿 PC케이스; 이하 '인용발명3'이라 함)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인용발명3에 의하면 이는 도4,5로 보인 바와 같이 태블릿 PC를 휴대하거나 사용하기 위한 태블릿 PC 케이스와 그와 결속이 가능한 가방에 관한 것으로 태블릿 PC케이스(4)와; 태블릿 PC 케이스의 개방된 전면부(6)와; 태블릿 PC 케이스 커버(1)와; 태블릿 PC 커버(1)에 부착되어 태블릿 PC 케이스(4)와 결합할 수 있는 슬라이드 파스너(2)와; 태블릿 PC 케이스 상단의 상하좌우 측면에 부착되어 태블릿 PC 케이스 커버(1)와 결합이 가능한 슬라이드 파스너 접합부(5)와; 태블릿 PC 케이스의 저면부 상하좌우에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7)와; 태블릿 PC 케이스의 저면부 상하좌우에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7)와 결속할 수 있는 가방의 슬라이드 파스너접합부(8)와; 태블릿PC 케이스(4)에 설치된 받침대(10)로 구성되어 있어 태블릿 PC 케이스(4)를 가방(9)으로부터 분리 또는 부착하여 휴대할 수 있고 태블릿 PC 케이스 커버(1)에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2)를 선택적으로 결속함으로서 커버(1)를 분리하거나 여러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 개방된 태블릿 PC 케이스의 전면부(6)를 통하여 태블릿 PC(3)를 태블릿 PC 케이스(4)나 가방으로부터 분리하지 않아도 터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태블릿 PC 케이스(4)를 분리하지 않더라도 태블릿 PC케이스(4)와 가방(9)에 부착되어 있는 슬라이드 파스너(7, 8)를 선택적으로 결속하여 가방(9)과 태블릿 PC 케이스(4)사이의 각도의 조정을 통해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한 받침대(10)로 구성된 것이다.
이에 따라, 인용발명3은 가방에 슬라이드 파스너를 사용하여 태블릿 PC용 케이스의 탈부착을 가능하게 하여 태블릿 PC케이스와 가방을 일체 또는 분리하여 휴대할 수 있으며 태블릿 PC 케이스를 가방에서 분리하지 않아도 개방되어 있는 태블릿 PC 케이스의 전면부를 통하여 터치 사용이 가능하다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반면에 이러한 인용발명3은 가방의 바깥 면에 태블릿 PC 케이스(4)가 부착되고, 이에 태블릿 PC를 넣어 운반하게 되므로, 태블릿 PC가 가방이 아닌 가방의 바깥 면에 부착되어 운반되는 것이어서 가방이 다른 가방이나 인파에 부딪히는 등 많은 경우에 충격을 받게 됨을 피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며, 특히 태블릿 PC는 그 내부에 많은 부품들이 정교하게 조립된 것이어서 쉽게 파손될 가능성이 높으며, 화면으로 사용되는 고가인 LCD 패널의 손상이 우려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48169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454483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453219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슬라이드 파스너나 벨크로 파스너 등 개폐수단이 상방에 구비된 백팩이나 손가방 내부에 별도로 마련된 슬라이드 파스너나 벨크로 파스너 등 별도의 보조개폐수단이 구비된 수납공간에 슬림형 디지털 기기를 넣어 두고 필요시 간편하게 슬림형 디지털 기기를 꺼내 사용할 수 있고, 사용 후 간편하게 넣어 둘 수 있도록 한 슬림형 디지털 기기 휴대용 가방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슬라이드 파스너나 벨크로 파스너 등 개폐수단이 상방에 구비되고, 그 내부에 수용공간과는 별도로 마련된 슬라이드 파스너나 벨크로 파스너 등 별도의 보조개폐수단이 구비된 독립수납공간을 갖는 된 백팩이나 손가방 등 휴대용 가방에 있어서,
상기 독립수납공간의 측면에 슬림형 디지털 기기의 일측 크기 이상으로 된 내측절개부를 형성하고, 백팩이나 손가방의 외부에 상기 내측절개부와 연통되는 외측절개부를 구성하며, 상기 외측절개부에 슬라이드 파스너나 벨크로 파스너 등의 추가개폐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슬림형 디지털 기기 휴대용 가방을 제안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평상시 백팩이나 손가방의 독립수납공간에 슬림형 디지털 응용기기를 넣고 보조개폐수단을 잠근 후 개폐수단을 재차 잠가 안전하게 보관, 운반하다가 필요한 경우에는 개폐수단 및 보조개폐수단을 번거롭게 여닫지 않고, 측부에 형성된 외측절개부의 추가개폐수단만을 열어 연통된 외측절개부와 내측절개부를 통하여 슬림형 디지털 응용기기를 꺼내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추가개폐수단을 잠가 안전하게 보관, 운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관이나 운반 시에는 백팩이나 손가방 내부의 독립수납공간에 넣어 외부의 충격이나 압력으로부터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면서도 필요한 경우에는 추가개폐수단만을 조작하여 슬림형 디지털 응용기기를 쉽게 빼내고 넣을 수 있으므로 사용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2는 종래의 커버 및 파우치를 보인 사시도.
도3은 종래의 모바일기기용 가방을 보인 사시도.
도4는 종래의 가방에 탈부착이 가능한 태블릿 PC케이스와 가방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5는 종래의 가방에 부착한 태블릿 PC케이스를 보인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을 백팩에 적용한 경우를 보인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을 백팩에 적용한 경우의 측면도.
도8은 본 발명을 적용한 백팩의 내부 구조를 보인 횡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을 적용한 백팩의 내부 및 슬림형 디지털 기기를 꺼내는 상태 를 보인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을 손가방에 적용한 경우를 보인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손가방의 내부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12은 본 발명을 적용한 손가방에서 슬림형 디지털 기기를 꺼내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13, 14는 본 발명에서 추가개폐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 요소의 구체적인 예를 보인 설명도.
도15는 가방의 외피 상방으로 슬림형 디지털 기기를 넣고 꺼낼 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16은 도15로 보인 실시예에서 가방의 외피 상방으로 슬림형 디지털 기기를 꺼내기 위하여 추가 개폐 수단을 개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17은 도16로 보인 추가 개폐 수단을 개방하여 슬림형 디지털 기기를 꺼내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18은 도15로 보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방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백팩(100)이나 가방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도6 내지 도9에 백팩(100)에 적용한 본 발명을 도시하였고, 도10 내지 도12에 가방에 적용한 본 발명을 도시하였다.
먼저, 백팩(100)에 적용한 본 발명을 살펴보면, 도6 내지 도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슬라이드 파스너(180)나 벨크로 파스너(183)등 개폐수단(110)이 상방에 구비되고, 그 내부에 수납공간(120) 및 수납공간(120)과 별도로 마련된 슬라이드 파스너(180)나 벨크로 파스너(183)등 별도의 보조개폐수단(230)이 구비된 독립수납공간을 갖는 된 백팩(100)에 있어서,
상기 독립수납공간의 측면에 슬림형 디지털 기기의 일측 크기 이상으로 된 내측절개부를 형성하고, 백팩(100)의 외피(190)에 상기 내측절개부와 연통되는 외측절개부를 구성하며, 상기 외측절개부에 슬라이드 파스너(180)나 벨크로 파스너(183) 등의 추가개폐수단을 구비하여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통상의 백팩(100)과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파스너(180)나 벨크로 파스너(183) 등 다양한 형태로 된 개폐수단(110)을 열어 개방된 수납공간(120)에 책이나 간단한 소품류 등을 넣고, 개폐수단(110)을 다시 잠근 후 도 6,7로 보인 바와 같은 상태로 이동,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필요한 경우에는 도9로 보인 바와 같이 슬라이드 파스너(180)나 벨크로 파스너(183) 등으로 된 보조개폐수단을 열어 일반 휴대 물품과는 다른 고가이며, 충격에 약한 테블릿PC나 미니 노트북 등 슬림형 디지털 기기를 수납공간(120)과는 별도로 구성된 독립수납공간에 수납하고 상기 보조개폐수단을 잠근 후 상기 개폐수단(110)을 잠그고 이동,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백팩(100)에 슬림형 디지털 기기를 넣어 이동, 보관하는 도중에 사용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 본 발명에서는 매우 간편한 방법으로 꺼내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간편하게 넣어 둘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백팩(100)의 측부에 외측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외측절개부는 외부로 노출된 추가개폐수단에 의하여 쉽게 개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백팩(100)을 메고 있는 상태에서 쉽게 추가개폐수단을 조작하여 외측절개부를 열 수 있으며, 이러한 외측절개부는 독립수납공간의 내측절개부와 연통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손이 쉽게 독립수납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독립수납공간에 넣어 둔 슬림형 디지털 기기를 꺼낼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를 도9로 보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외측절개부의 추가개폐수단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쉽고 안전하게 슬림형 디지털 기기를 꺼낼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과정에서 수납공간이 타인에게 노출되거나 그 내부의 물건이 유실됨을 방지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슬림형 디지털 기기의 사용을 완료한 후에는 독립수납공간에 밀어 넣고 추가개폐수단을 조작하여 외측절개부를 잠가 두는 것만으로 수납이 완료되므로 마치 전용 파우치를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간편하게 사용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백팩(100)의 등받이 부분에 형성된 쿠션재와 수납공간(120) 사이에 독립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슬림형 디지털 기기의 수납 상태에서 외부로 부터의 충격력이 가하여 지더라도 쿠션재와 수납공간(120) 및 그 내부에 채워진 물품에 의하여 충격력이 완화되는 것이어서 보다 안전하게 보존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가방에도 적용하여 널리 활용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를 도 10 내지 도12로 보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슬라이드 파스너(180)나 벨크로 파스너(183)등 개폐수단(210)이 상방과 측부에 구비되고, 그 내부에 수납공간(220) 및 수납공간(220)과 별도로 마련된 슬라이드 파스너(180)나 벨크로 파스너(183)등 별도의 보조개폐수단(230)이 구비된 독립수납공간(240)을 갖는 된 손가방(200)에 있어서, 상기 독립수납공간(240)의 측면에 슬림형 디지털 기기의 일측 크기 이상으로 된 내측절개부(250)를 형성하고, 가방의 외피(190)에 상기 내측절개부(250)와 연통되는 외측절개부(260)를 구성하며, 상기 외측절개부(260)에 슬라이드 파스너(180)나 벨크로 파스너(183) 등의 추가개폐수단(270)을 구비하여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통상의 가방과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파스너(180)나 벨크로 파스너(183) 등 다양한 형태로 된 개폐수단(210)을 열어 수납공간(220)에 책이나 간단한 소품류 등을 넣고, 개폐수단(210)을 다시 잠근 후 이동,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수납공간(220)과는 별도로 구성된 독립수납공간(240)에는 슬라이드 파스너(180)나 벨크로 파스너(183) 등으로 된 보조개폐수단(230)을 열어 일반 휴대 물품과는 다른 고가이며 충격에 약한 테블릿PC나 미니 노트북 등 슬림형 디지털 기기를 수납하고 다시 잠근 후 상기 개폐수단(210)을 잠그고 이동,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가방에 슬림형 디지털 기기를 넣어 이동, 보관하는 도중에 사용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 본 발명에서는 매우 간편한 방법으로 꺼내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간편하게 넣어 둘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가방의 측부에 외측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외측절개부(260)는 외부로 노출된 추가개폐수단(270)에 의하여 쉽게 개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가방을 휴대하고 있는 상태에서 쉽게 추가개폐수단(270)을 조작하여 외측절개부(260)를 열 수 있으며, 이러한 외측절개부(260)는 독립수납공간(240)의 내측절개부(250)와 연통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손이 쉽게 독립수납공간(240)으로 진입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독립수납공간(240)에 넣어 둔 슬림형 디지털 기기를 꺼낼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를 도12로 보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외측절개부(260)의 추가개폐수단(270)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쉽고 안전하게 슬림형 디지털 기기를 꺼낼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과정에서 가방 내부의 수납공간이 타인에게 노출되거나 그 내부의 물건이 유실됨을 방지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슬림형 디지털 기기의 사용을 완료한 후에는 외측절개부(260), 내측절개부(250)를 통하여 가방의 독립수납공간(240)에 밀어 넣고 추가개폐수단(270)을 조작하여 외측절개부(260)를 잠가 두는 것만으로 수납이 완료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가방의 외피(190) 재질을 견고한 것으로 하는 경우 외피(190)와 내부의 수납공간(220) 및 이에 넣어 둔 물품에 의하여 외부로 부터의 충격 전달이 1차 차단될 수 있으므로 슬림형 디지털 기기를 전용 파우치에 넣거나 외부로 노출시키는 인용발명들에 비하여 안전하게 보존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더(181)와 슬라이드 체인(182)으로 구성되는 슬라이드 파스너(180)를 사용하여 개폐수단(110, 210), 보조개폐수단(130, 230), 추가개폐수단(170, 270)으로 사용하는 예를 도시하였으며, 도 13으로 보인 바와 같이 훅(184)과 루프(185)로 구성되는 벨크로 파스너(183)를 사용할 수도 있고, 도 14로 보인 바와 같이 소켓(187)과 스터드(188)로 구성된 스냅버튼(186)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기타 다양한 체결과 분리 가능한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15 도18로 보인 바와 같이 개폐수단(310)이 상방에 구비되고, 그 내부에 수납공간(320) 및 상기 수납공간(320)과 별도로 마련된 보조개폐수단(330)이 구비된 독립수납공간(340)을 갖는 된 가방에 있어서, 상기 독립수납공간(340)의 상방과 일치하는 외피의 해당부분에 슬림형 디지털 기기의 일측 크기 이상으로 된 외측절개부(360)를 구성하며, 상기 외측절개부(360)에 추가개폐수단(370)을 구비하여서 된 형태의 가방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가방의 내부의 독립수납공간(240)에 슬림형 디지털 기기를 넣고, 개폐수단(310)을 닫아 휴대 및 보관하다가 필요한 경우에는 도16으로 보인 바와 같이, 외피 상방에 설치된 외측절개부(360)의 추가개폐수단(370)을 이용하여 개방하면 즉시 독립수납공간(340)이 노출되어 이에 넣어진 슬림형 디지털 기기를 꺼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사용 후에는 열려진 독립수납공간(340)에 기기를 넣고 외측절개부(360)의 추가개폐수단(370)만을 이용하여 밀봉되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고 안전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측절개부(360)에 설치되는 추가개폐수단(370)은 외측절개부(360) 전체 길이에 대하여 밀봉하거나 개방할 수 있는 슬라이드파스너로 구성함으로써 외측절개부(360)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안정된 밀봉 상태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도16 및 도17로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외측절개부(360)의 일측과 독립수납공간(340)의 일측 사이에 상방의 폭이 넓고,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여유부분(350)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슬림형 디지털 기기를 독립수납공간에서 꺼내는 과정에서 독립수납공간(340)이 외부로 넓게 개방되어 손의 피부가 가방의 여러 소재와 접찰되거나 물품과 접찰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자극이나 피부 손상을 방지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의도하는 요지 및 개념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시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100: 백팩 110: 개폐수단 120: 수납공간
130: 보조개폐수단 140: 독립수납공간 150: 내측절개부
160: 외측절개부 170: 추가개폐수단 180: 슬라이드 파스너
181: 슬라이더 182: 슬라이드 체인 183: 벨크로 파스너
184: 훅 185: 루프 186: 스냅 버튼
187: 소켓 188: 스터드 190: 외피
192: 쿠션재 200: 손가방 210: 개폐수단
220: 수납공간 230: 보조개폐수단 240: 독립수납공간
250: 내측절개부 260: 외측절개부 270: 추가개폐수단
300: 가방 310: 개폐수단 320: 수납공간
330: 보조개폐수단 340: 독립수납공간 350: 여유부분
360: 외측절개부 370: 추가개폐수단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개폐수단이 구비된 수납공간 및 상기 수납공간과 별도로 마련된 보조개폐수단이 구비된 독립수납공간을 갖는 디지털 기기 휴대용 가방에 있어서,
    상기 독립수납공간의 측면에 슬림형 디지털 기기의 일측 크기 이상으로 된 내측절개부가 형성되고, 외피에 상기 내측절개부와 연통되는 외측절개부가 구성되며, 상기 외측절개부에 추가개폐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추가개폐수단은 벨크로 파스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디지털 기기 휴대용 가방.
  5. 개폐수단이 구비된 수납공간 및 상기 수납공간과 별도로 마련된 보조개폐수단이 구비된 독립수납공간을 갖는 디지털 기기 휴대용 가방에 있어서,
    상기 독립수납공간의 측면에 슬림형 디지털 기기의 일측 크기 이상으로 된 내측절개부가 형성되고, 외피에 상기 내측절개부와 연통되는 외측절개부가 구성되며, 상기 외측절개부에 추가개폐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추가개폐수단은 스냅 버튼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디지털 기기 휴대용 가방.
  6. 개폐수단이 상방에 구비되고, 그 내부에 수납공간 및 수납공간과 별도로 마련된 보조개폐수단이 구비된 독립수납공간을 갖는 디지털 기기 휴대용 가방에 있어서,
    상기 독립수납공간의 상방에 슬림형 디지털 기기의 일측 크기 이상으로 된 내측절개부를 형성하고, 가방의 외피 상방에 상기 내측절개부와 연통되는 외측절개부를 구성하며, 상기 외측절개부에 추가개폐수단을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디지털 기기 휴대용 가방.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외측절개부에 설치되는 추가개폐수단은 외측절개부 전체 길이에 대하여 밀봉하거나 개방할 수 있는 슬라이드파스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디지털 기기 휴대용 가방.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외측절개부의 일측과 독립수납공간의 일측 사이에 상방의 폭이 넓고,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여유부분이 구비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디지털 기기 휴대용 가방.
KR1020120016547A 2012-02-17 2012-02-17 슬림형 디지털 기기 휴대용 가방 KR101320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547A KR101320041B1 (ko) 2012-02-17 2012-02-17 슬림형 디지털 기기 휴대용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547A KR101320041B1 (ko) 2012-02-17 2012-02-17 슬림형 디지털 기기 휴대용 가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102A KR20130095102A (ko) 2013-08-27
KR101320041B1 true KR101320041B1 (ko) 2013-10-18

Family

ID=49218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547A KR101320041B1 (ko) 2012-02-17 2012-02-17 슬림형 디지털 기기 휴대용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00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0864U (ja) * 1994-11-04 1995-05-09 正 澤浦 バッグ・鞄類の補助収容装置
JP2004321776A (ja) * 2003-04-21 2004-11-18 Jong Shin Kang 防毒面を具備したリュックサッ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0864U (ja) * 1994-11-04 1995-05-09 正 澤浦 バッグ・鞄類の補助収容装置
JP2004321776A (ja) * 2003-04-21 2004-11-18 Jong Shin Kang 防毒面を具備したリュックサ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102A (ko) 2013-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9283B1 (en) Case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for electronic devices
US9413412B2 (en) Electronic device protective case and article carrying pouch
US6742636B2 (en) Mesh expansion pocket for luggage
US9486046B2 (en) Integrated polycarbonate case
US20150027833A1 (en) Backpack with integrated rigid storage container
US20140097102A1 (en)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reversible retaining clip
US20180206650A1 (en) Portable Diaper Changing Station with Privacy Walls
KR101760809B1 (ko) 다양한 휴대성을 갖는 가방
KR200469872Y1 (ko) 접이식 칸막이가 마련된 여행용 가방
JP3217029U (ja) スーツケース
KR101320041B1 (ko) 슬림형 디지털 기기 휴대용 가방
US20080142378A1 (en) Holder for Personal Items
US20060027293A1 (en) Hidden compartment handbags
US20140252054A1 (en) Cell Phone Holster
KR200476433Y1 (ko) 잠금부 수납 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
KR200489991Y1 (ko) 노트북 전용가방
KR20130001439U (ko) 휴대가 간편한 배낭
JP2003325219A (ja) 小物の収納構造
JP3082428U (ja) 旅行用ケース
KR101670388B1 (ko) 수용공간이 확대되는 가방
KR101672931B1 (ko) 휴대물품 보관용 방수케이스의 밀봉장치
KR20150001869U (ko) 수납칸 및 거울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US20110220444A1 (en) Collapsible bag
KR200478580Y1 (ko) 카드 인출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180002045U (ko) 추가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