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9867B1 - 대수주기 안테나 - Google Patents

대수주기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9867B1
KR101319867B1 KR1020110139670A KR20110139670A KR101319867B1 KR 101319867 B1 KR101319867 B1 KR 101319867B1 KR 1020110139670 A KR1020110139670 A KR 1020110139670A KR 20110139670 A KR20110139670 A KR 20110139670A KR 101319867 B1 KR101319867 B1 KR 101319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ntenna
ground
transmission pattern
sid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2291A (ko
Inventor
박승교
김찬국
방현석
최신영
김경훈
Original Assignee
김경훈
주식회사 메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훈, 주식회사 메닉스 filed Critical 김경훈
Priority to KR1020110139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9867B1/ko
Publication of KR20130072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2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1/00Electrically-long antennas having dimensions more than twice the shortest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11/02Non-resonant antennas, e.g. travelling-wave antenna
    • H01Q11/10Logperiodic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44Resonant antennas with a plurality of divergent straight elements, e.g. V-dipole, X-antenna; with a plurality of elements having mutually inclined substantially straight portions

Landscapes

  • Details Of Aerial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수주기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면과 하면에 각각 지그재그 형상으로 된 신호측 전송 패턴과 접지측 전송 패턴이 프린트된 PCB 기판에 다이폴 소자를 지그재그로 배치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품질이 일정한 대수 주기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중앙부측에 장요홈이 형성되는 패턴 수용면이 마련되는 안테나 본체와, 심선과 쉴드선 및 이들 사이에 구비되는 절연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요홈의 바닥부에 삽설되는 신호 전송용 급전선과, 상기 급전선의 상부측에 구비되며 상면과 하면에 각각 지그재그 형상으로 된 접지측 전송 패턴과 신호측 전송 패턴이 프린트된 PCB 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대수주기 안테나{log periodic antenna}
본 발명은 대수주기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면과 하면에 각각 지그재그 형상으로 된 신호측 전송 패턴과 접지측 전송 패턴이 프린트된 PCB 기판에 다이폴 소자를 지그재그로 배치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품질이 일정한 대수 주기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수 주기 안테나는 다이폴 안테나를 일정한 비율로 유사하게 정렬한 것으로, 인접한 안테나 소자 길이의 비나 간격의 비율이 일정하며, 사용 주파수 대역 내에서 거의 일정한 주파수 특성이 있는 광대역 안테나이다.
이러한 대수 주기 안테나는 최근 디지털 방송이 본격화됨에 따라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종래의 안테나는 주로 봉 형태의 소자로 구성하였으나, 최근에는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에 안테나 소자를 프린트한 타입이 주로 쓰이고 있다.
종래의 안테나 소자를 봉형태로 한 안테나는 소재가 주로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재질이어서 무게가 무겁고 외부 충격에 약한 단점이 있는 반면에, PCB 기판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는 외부 충격에 강하여 안정적인 수신 특성을 유지하며 외형상으로 안테나 소자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관이 미려하다는 장점이 있어서 일반 가정의 실내 및 실외 안테나로 많이 사용된다.
한편, 안테나 소자를 안테나 본체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구성하여 안테나 구조가 간단할 뿐 아니라 안테나 형상에 제약이 없는 다양한 디자인의 대수 주기 안테나를 제공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본 출원인이 발명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0428호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종래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폴 소자가 띠 형태로 전송선로에 이어지게 된 형태로 형성되어 다이폴 소자가 제작 과정에서 낭비되는 면적이 많아 재료비용이 높아지고 품질이 일정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KR 10-2011-0104290 (공개번호) 2011.09.22. KR 10-2006-0099808 (공개번호) 2006.09.19.
따라서, 본 발명은, 지그재그 형상의 패턴이 구비된 PCB 기판에 다이폴 소자를 지그재그로 배치 후 용접 또는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연결 구성함으로써, 전송선로 및 다이폴 소자의 제작 과정에서 버려지는 불용품을 최소화하여 경제성 향상과 환경 개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대수주기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이폴 소자의 규격을 균일하게 제작 규격화하여 전송선로에 연결함으로써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성능의 동일성 및 제품의 동일성을 통해 안테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대수주기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지수단과 신호수단의 전기적 연결을 통해 지향특성과 전방위성을 동시에 향상시킨 대수주기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대수주기 안테나(100)는, 중앙부측에 장요홈(111a)이 형성되는 패턴 수용면(111)이 마련되는 안테나 본체(110)와, 심선(121)과 쉴드선(122) 및 이들 사이에 구비되는 절연재(123)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요홈(111a)의 바닥부에 삽설되는 신호 전송용 급전선(120)과, 상면과 하면에 각각 지그재그 형상으로 된 접지측 전송 패턴(131)과 신호측 전송 패턴(132)이 프린트되되 상기 접지측 전송 패턴(131)과 신호측 전송 패턴(132)의 지그재그 배치형태가 정반대 형상으로 구비된 PCB 기판(130)을 포함하여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수주기 안테나는, 지그재그 형상의 패턴이 마련된 PCB 기판에 다이폴 소자를 지그재그로 배치한 후 용접 또는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연결 구성함으로써, 전송선로 및 다이폴 소자의 제작 과정에서 버려지는 불용품을 최소화하여 경제성 향상과 환경 개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수주기 안테나는, 다이폴 소자의 규격을 균일하게 제작 규격화하여 각 전송 패턴에 직접 연결함으로써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성능의 동일성 및 제품의 동일성을 통해 안테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수주기 안테나는 지향성과 전방위성 특성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대수 주기 안테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수주기 안테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수주기 안테나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수주기 안테나의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수주기 안테나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루프접속체 사용에 따른 안테나의 수직면에 따른 방향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7은 본 발명의 루프접속체 사용에 따른 안테나의 수평면에 따른 방향성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수주기 안테나(100)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수주기 안테나(100)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수주기 안테나(100)의 PCB 기판(130)의 분리상태도(a)과 결합상태도(b)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수주기 안테나의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수주기 안테나(100)는,
중앙부측에 장요홈(111a)이 형성되는 패턴 수용면(111)이 마련되는 안테나 본체(110)와,
심선(121)과 쉴드선(122) 및 이들 사이에 구비되는 절연재(123)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요홈(111)의 바닥부에 삽설되는 신호 전송용 급전선(120)과,
상기 급전선(120)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PCB 기판(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패턴 수용면(111)은 상기 안테나 본체(110)에 형성되는 평탄한 면으로 중앙부측에 형성된 장요홈(111a)에 상기 급전선(120)이 고정되는바, 상기 안테나 본체(110)는 상기 패턴 수용면(111)만 평탄하게 형성된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PCB 기판(130)은 하면과 상면에 각각 지그재그 형상으로 된 접지측 전송 패턴(131)과 신호측 전송 패턴(132)이 프린트되며, 상기 접지측 전송 패턴(131)이 볼록한 부분에서 좌우측으로 각각 번갈아 가면서 지그재그로 하여 접지력을 확대할 수 있도록 하는 접지측 다이폴 소자(141)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신호측 전송 패턴(132)은 접지측 전송 패턴(131)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배치형태가 정반대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신호측 전송 패턴(132)이 볼록한 부분에서 좌우측으로 각각 번갈아 가면서 지그재그로 하여 수신력을 확대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측 다이폴 소자(142)가 연결 설치된다. 상기 신호측 전송 패턴(132) 및 접지측 전송 패턴(131)은 적은 폭의 얇은 도전성 물질이다.
상기 접지측 다이폴 소자(141) 및 상기 신호측 다이폴 소자(142)는 얇은 두께의 금속재질의 시트 또는 일정 두께의 와이어로 이루어지며, 각각 상기 패턴 수용면(111)에 수용되게 된다.
상기 급전선(120)은 통상적으로 안테나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동축케이블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FBT-5C 또는 HFBT-5C 규격의 케이블이 사용되었으나, 케이블의 규격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안테나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다양한 동축케이블이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동축케이블의 경우 외측에는 쉴드선(122), 내측에는 심선(121), 상기 쉴드선(122)과 상기 심선(121)의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재(12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드선(122) 외측으로 절연체인 외피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쉴드선(122)은 상기 접지측 전송 패턴(131)과 연결되어, 접지 신호를 전송하여 주고, 상기 심선(121)은 상기 신호측 전송 패턴(132)과 연결되어, 안테나 신호를 전송하여 준다.
상기 급전선(120)은 상기 패턴 수용면(111)을 가로지르며, 중앙에 위치한다. 즉, 상기 패턴 수용면(111) 넓이의 중심에 위치하며, 상기 패턴 수용면(111)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서 전술한 상기 장요홈(111a)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장요홈(111a)로의 상기 급전선(120)의 삽입은 상기 외피를 탈피시켜 드러나 쉴드선(122)을 상기 PCB 기판(130)의 하면에 접촉시킨 후 장요홈(111a)을 따라 상기 패턴 수용홈(111)의 상부까지 늘여놓는다.
상기 PCB 기판(130)은 상기 패턴 수용면(111)에 형성된 상기 장요홈(111a)에 삽입되는 띠 형태의 절연체로써, 상기 접지측 전송 패턴(131)이 하면에 상기 신호측 전송 패턴(132)이 상면에 위치하게 되되(또는 반대로 접지측 전송 패턴(131)이 상면에 신호측 전송 패턴(132)이 하면에 위치할 수도 있음) 대칭되게 배치되어 좌우로 볼록한 부분이 상하면에서 반대로 위치함으로써 상기 접지측 전송 패턴(131)와 상기 신호측 전송 패턴(132)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면서 접지측 다이폴 소자(141) 및 신호측 다이폴 소자(142)가 동일 직선이되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PCB 기판(130)의 전송패턴(131, 132)의 지그재그 배치의 한 형태는 '
Figure 112011102088342-pat00001
'이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반대면의 지그재그의 형태는 '
Figure 112011102088342-pat00002
'이 된다. 전송패턴의 지그재그의 형태는 또한 '
Figure 112011102088342-pat00003
'와 같이 직각으로 될 수 있고, 이에 따른 반대면의 지그재그 형태는 '
Figure 112011102088342-pat00004
'가 되며, 상면과 하면이 반대형상이면 되는 것으로 예시로 제시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접지측 전송 패턴(131) 및 상기 신호측 전송 패턴(132)은 각각 상기 접지측 다이폴 소자(141) 및 상기 신호측 다이폴 소자(142)가 접착수단(150)에 의해 연결되게 되는바, 상기 접착수단(150)은 'ㄷ' 자 형상의 도전성 물체(도 3 참조) 또는 이와 유사하게 PCB 기판(130)의 상면과 하면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켤 줄 수 있는 구조이면 충분하고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PCB 기판(130)의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된 전송 패턴(131, 132)이 모두 PCB 기판(130)의 상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접지측 다이폴 소자(141) 및 상기 신호측 다이폴 소자(142)를 PCB 기판(130)의 상부에서 결합하도록 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접지측 다이폴 소자(141) 및 상기 신호측 다이폴 소자(142)는 각각 접지측 전송 패턴(131) 및 상기 신호측 전송 패턴(132)의 측면 또는 상부에 위치시킨 후 납땜에 의하여 편리하게 상호 결합이 가능하다.
상기 신호측 전송 패턴(132)은 상기 PCB 기판(130)의 상면에 프린트되고, 상기 최상단 접착수단(150)을 통해 PCB 기판(130)의 하면의 상부와 전기적으로 링크되며, 상기 급전선(120)의 끝단에 노출된 심선(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바, 상기 급전선(120)의 끝단에 노출된 상기 심선(121)을, 상기 신호측 전송 패턴(132)위 최상부에서 상기 최상단 접착수단(150)을 통해 상기 PCB 기판(130)의 하면 상부에 용접가능하게 형성된 신호접점(135)과 용접하여 결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도 3에서 점선 영역은 이를 도시한 것으로서, PCB 기판(130)의 하면을 도시한 것이다. PCB 기판(130)의 하면의 상단에는 신호접점(135)이 형성되며, 이는 상면의 신호측 전송 패턴(132)이 접착수단(150)을 매개로 하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확대된 부분의 점선은 PCB 기판(130)의 상면에 있는 신호측 전송 패턴(132)의 형상으로, 신호측 전송 패턴(132)과 접지측 전송 패턴(131)이 서로 반대의 지그재그 형상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접지측 전송 패턴에는 상기 쉴드선(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지접점이 형성된다. 상기 접지접점은 접지측 전송 패턴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중간이나 상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접지측 다이폴소자(141a, 141b, 141c, 141d, 141e, 141f)와 상기 신호측 다이폴 소자(142a, 142b, 142c, 142d, 142e, 142f)는 상기 급전선(120)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측에 서로 엇갈리게 위치한다. 즉, 상기 접지측 다이폴 소자(141a, 141c, 141e)와 상기 신호측 다이폴 소자(142b, 142d, 142f)가 상기 장요홈(111a)의 좌측에 상기 접지측 다이폴 소자(141b, 141d, 141f)와 상기 신호측 다이폴 소자(142a, 142c, 142e)가 우측에 각각 지그재그로 하나 건너 하나씩 설치되어 구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신호측 다이폴 소자(141a, 141b, 141c, 141d, 141e, 141f)와 상기 접지측 다이폴 소자(141a, 141b, 141c, 141d, 141e, 141f)의 소자 길이가 긴 쪽은 낮은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450 MHz 대역)을 커버하고, 소자 길이가 짧은 쪽은 높은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870 MHz 대역)을 커버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지측 다이폴 소자(141) 및 신호측 다이폴 소자(142)는 0.5~5mm 두께의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는바, 상기 접지측 다이폴 소자(141) 및 신호측 다이폴 소자(142)가 와이어로 이루어질 경우 안테나 본체(110)에 와이어의 고정을 위한 가이드 지지체(112) 및 고정홈(113)이 돌출형성되며, 와이어가 가로로 연장되는 부분이 가이드 지지체(112)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고 와이어의 끝단부가 고정홈(113)에 내삽되어 설치되게 된다.
상기 접지측 다이폴 소자(141) 및 신호측 다이폴 소자(142)는 금속재질의 시트로 이루어질 경우 형상을 동일하게 형성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나 와이어로 이루어질 경우 형상을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어 균일한 품질의 안테나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수주기 안테나(100)는, PCB 기판(130)의 상면과 하면에 프린트된 지그재그 형상의 접지측 전송 패턴(131) 및 신호측 전송 패턴(132)에 각각 다이폴 소자(141, 142)를 지그재그로 배치한 후 접착수단(150)을 이용하여 연결 구성함으로써, 전송선로 및 다이폴 소자의 제작 과정에서 버려지는 불용품을 최소화하여 경제성 향상과 환경 개선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이폴 소자의 규격을 균일하게 제작 규격화하여 각 전송 패턴에 직접 연결함으로써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성능의 동일성 및 제품의 동일성을 통해 안테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루프접속체(160)는 최장 접지측 다이폴 소자(141f) 및 최장 신호측 다이폴 소자(142f)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러한 루프접속체(160)는 최장 접지측 다이폴 소자(141f) 및 최장 신호측 다이폴 소자(142f)를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안테나(100)의 수신 주파수 대역을 넓히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루프접속체(160)는 최장 접지측 다이폴 소자(141f) 및 최장 신호측 다이폴 소자(142f) 간을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PCB 기판(130) 내의 접지측 전송 패턴(131)의 최하단과 신호측 전송패턴(132)의 최하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전송패턴의 상호 연결은 최하측 접착수단과 루프접속체(160)를 용접한 후 각각 최장 다이폴 소자의 아래쪽에서 상기 패턴 수용면(111)을 따라 원형으로 위치시켜 달성된다. 이때 루프접속체(160)을 지지하는 지지체를 일정 간격으로 형성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루프접속체(160)는 접지측 다이폴 소자(141)와 신호측 다이폴 소자(142)를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수신신호의 흐름은 방해하지 않으면서, 수신대역의 증가 및 무지향 특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루프접속체(160)는 최장 다이폴 소자(141f, 142f) 이전에서 연결하는 경우 신호의 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최장 다이폴 소자(141f, 142f)를 연결하면 이들 사이에서는 신호의 흐름이 발생하지만, 루프접속체(160)를 최장 다이폴 소자(141f, 142f) 이전에서 접지측 다이폴 소자(141)와 신호측 다이폴 소자(142)를 연결하면 신호의 흐름이 발생하지 않거나 매우 미약해져 신호의 수신 및 이용이 곤란해진다.
이러한 루프접속체(160)에 의한 접지측 다이폴 소자(141) 및 신호측 다이폴 소자(142)의 연결을 통해 안테나(100)는 이득이 감소하지 않고 수신 주파수 범위가 증가하며, 지향 특성이 감소하여 무지향적 특성이 증가하게 된다.
예를 들어 디지털 방송 수신을 위한 대수주기 안테나(100)의 경우 단위소자의 수가 6인 6단 안테나를 이용하면 470 내지 870MHz의 주파수 대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반면에, 루프접속체(160)에 의해 단위소자를 연결하는 경우 6단의 안테나를 이용하면 50MHz 정도 더 넓은 범위의 주파수 대역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다이폴 소자의 추가없이 수신 대역의 범위가 증가하게 된다. 특히, 이와 같은 경우에도 수신 신호의 이득은 변함이 없거나 약간(1dB) 상승하는 효과가 있어, 원활한 신호 수신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루프접속체(160)는 말단 다이폴 소자인 제 6 다이폴 소자(141f, 142f)를 연결하거나, 제6다이폴 소자(141f, 142f)와 연결된 PCB 기판(130)내의 전송패턴(131, 132)를 연결해야 하는데 이는 접지측 다이폴 소자(141)와 신호측 다이폴 소자(142)의 신호(Feed) 및 접지(GND) 특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즉, 말단소자의 연결을 위해 루프접속체(160)를 사용하는 경우 신호 수신을 위한 안테나의 피드, 접지 특성을 유지하게 되며, 이에 의해 수신된 급전선(120)을 통해 수신장치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하지만, 말단소자 이외의 다이폴 소자(141a 내지 141e, 142a 내지 142e)에 루프접속체(160)를 사용하는 경우 안테나(100)의 피드 및 접지 특성이 약해지며, 이로 인해 신호 수신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는 도 6 및 도 7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에서 좌측의 도면은 일반적인 대수주기 안테나의 방향성을 도시한 것이고, 우측의 도면은 루프접속체(160)에 의해 최장 접지측 다이폴 소자(141f)와 최장 신호측 다이폴 소자(142f)를 연결한 경우의 방향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안테나(양산 안테나)의 경우 동그라미로 표시된 부분에서 수신 효율이 저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루프접속체(160)를 사용한 대수주기 안테나(100)의 경우 우측 도면들 및 이들에 표시된 동그라미 부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신 효율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루프접속체(160)를 사용하는 경우 수신효율을 개선함과 아울러 편협한 지향특성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아울러, 이러한 루프접속체(160)는 다향한 형태로 변형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후의 도면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100:대수주기 안테나
110:안테나 본체 111:패턴수용면 111a:장요홈
112:가이드 지지체 113:고정홈
120:급전선 121:심선 122:쉴드선 123:절연재
130:PCB 기판 131:접지측 전송 패턴 132:신호측 전송 패턴
135 : 신호접점
141:접지측 다이폴 소자 142:신호측 다이폴 소자
150:접착수단
160: 루프접속체

Claims (8)

  1. 대수주기 안테나(100)에 있어서,
    중앙부측에 장요홈(111a)이 형성되는 패턴 수용면(111)이 마련되는 안테나 본체(110)와,
    심선(121)과 쉴드선(122) 및 이들 사이에 구비되는 절연재(123)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요홈(111a)의 바닥부에 삽설되는 신호 전송용 급전선(120)과,
    상면과 하면에 각각 지그재그 형상으로 된 접지측 전송 패턴(131)과 신호측 전송 패턴(132)이 프린트되되 상기 접지측 전송 패턴(131)과 신호측 전송 패턴(132)의 지그재그 배치형태가 정반대 형상으로 구비된 PCB 기판(130)을 포함하여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주기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측 전송 패턴 및 신호측 전송 패턴의 지그재그에 의한 각 볼록부의 중간에는 상기 PCB 기판(130)의 상면과 하면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접착수단(1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주기 안테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측 전송 패턴(131) 및 신호측 전송 패턴(312)의 좌우측에는 각각 다수개의 접지측 다이폴 소자(141) 및 신호측 다이폴 소자(142)가 상기 접착수단을 매개로 결합되되, 접지측 다이폴 소자(141) 및 신호측 다이폴 소자(142)가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주기 안테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B 기판(130)의 하면의 상부에는 신호측 전송 패턴(1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신호접점(135)이 구비되며, 상기 신호접점과 상기 심선(12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주기 안테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B 기판(130)의 하면에는 접지측 전송 패턴(1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지접점이 구비되며, 상기 접지접점과 상기 쉴드선(12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주기 안테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측 다이폴 소자(141) 및 신호측 다이폴 소자(142)는 금속재질의 시트 또는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접지측 다이폴 소자(141) 및 신호측 다이폴 소자(142)가 와이어로 이루어질 경우 와이어 끝단부에 안테나 본체(110)에 와이어의 고정을 위한 고정홈(1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주기 안테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측 다이폴 소자(141)의 최하부 소자(141f)와 상기 신호측 다이폴 소자(142)의 최하부 소자(142f) 또는 상기 PCB 기판의 최하단 접지측 전송 패턴과 상기 신호측 전송 패턴의 최하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루프 접속체(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주기 안테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접속체(160)는
    상기 안테나 본체(110)의 가장자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주기 안테나.
KR1020110139670A 2011-12-22 2011-12-22 대수주기 안테나 KR101319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670A KR101319867B1 (ko) 2011-12-22 2011-12-22 대수주기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670A KR101319867B1 (ko) 2011-12-22 2011-12-22 대수주기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291A KR20130072291A (ko) 2013-07-02
KR101319867B1 true KR101319867B1 (ko) 2013-10-18

Family

ID=48986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670A KR101319867B1 (ko) 2011-12-22 2011-12-22 대수주기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986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553B1 (ko) 2018-10-22 2019-05-0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안테나 지지대 및 이를 구비하는 안테나
KR102007966B1 (ko) 2019-04-25 2019-08-0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안테나
KR102013211B1 (ko) 2019-04-25 2019-08-2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안테나
KR102013213B1 (ko) 2019-04-25 2019-08-2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안테나
KR102013212B1 (ko) 2019-04-25 2019-08-2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안테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480B1 (ko) * 2021-12-23 2022-04-20 성준기 와이어와 인쇄회로기판이 조합되어 조립성을 향상시킨 lpda 안테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9308A (ko) * 2005-03-11 2006-09-19 주식회사 스펙트럼통신기술 대수주기 안테나
KR20070080395A (ko) * 2006-02-07 2007-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대수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
KR20110071847A (ko) * 2009-12-21 2011-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수 주기 안테나
KR20110104290A (ko) * 2010-03-16 2011-09-22 주식회사 메닉스 대수 주기 안테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9308A (ko) * 2005-03-11 2006-09-19 주식회사 스펙트럼통신기술 대수주기 안테나
KR20070080395A (ko) * 2006-02-07 2007-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대수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
KR20110071847A (ko) * 2009-12-21 2011-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수 주기 안테나
KR20110104290A (ko) * 2010-03-16 2011-09-22 주식회사 메닉스 대수 주기 안테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553B1 (ko) 2018-10-22 2019-05-0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안테나 지지대 및 이를 구비하는 안테나
KR102007966B1 (ko) 2019-04-25 2019-08-0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안테나
KR102013211B1 (ko) 2019-04-25 2019-08-2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안테나
KR102013213B1 (ko) 2019-04-25 2019-08-2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안테나
KR102013212B1 (ko) 2019-04-25 2019-08-2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291A (ko) 201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867B1 (ko) 대수주기 안테나
TWI481115B (zh) 天線陣列模組及其天線單元
US7138952B2 (en) Array antenna with dual polarization and method
US7339543B2 (en) Array antenna with low profile
US20040027291A1 (en) Planar antenna and array antenna
US7567211B2 (en) Antenna
US20050073465A1 (en) Omni-dualband antenna and system
WO2014018600A1 (en) Dual-polarized radiating element with enhanced isolation for use in antenna system
JP2007267217A (ja) アンテナ装置
JP4910197B2 (ja) アンテナ装置
US7782271B2 (en) Multi-frequency antenna
JP5347209B2 (ja) 対数周期アンテナ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911810A (zh) 紧凑型天线辐射元件
KR100667159B1 (ko) 송/수신 겸용 원형편파 헬리컬 방사소자 및 그 배열 안테나
US8274444B2 (en) Antenna device
US8803752B2 (en) Omnidirectional antenna
US7375687B2 (en) Monopole antenna
US20050206578A1 (en) Dual band antenna
CN220527200U (zh) 圆极化双频贴片天线
US7755549B2 (en) Carrier with solid antenna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2083473A1 (en) Antenna device
JP4819012B2 (ja) 無指向性アンテナ
JP2009177661A (ja) アンテナ装置
KR100674853B1 (ko) 캡을 구비한 광대역 안테나
JP2009177662A (ja) アンテ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