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9790B1 - 투척식 휴대용 방범 겸용 경광봉 장치 - Google Patents

투척식 휴대용 방범 겸용 경광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9790B1
KR101319790B1 KR1020120087394A KR20120087394A KR101319790B1 KR 101319790 B1 KR101319790 B1 KR 101319790B1 KR 1020120087394 A KR1020120087394 A KR 1020120087394A KR 20120087394 A KR20120087394 A KR 20120087394A KR 101319790 B1 KR101319790 B1 KR 101319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light
weight
hemispherical shell
thr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7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4905A (ko
Inventor
유지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스틴인터내쇼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스틴인터내쇼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스틴인터내쇼날
Publication of KR20130054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88Free-standing bodies
    • E01F9/692Portable base member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Abstract

본 발명은 투척식 휴대용 방범 겸용 경광봉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속이 비어 있는 반구형 쉘(semi spherical shell)(120); 곡면부(110a)와 평탄부(110b)로 이루어져서 상기 곡면부(110a)가 상기 반구형 쉘(120)의 내면 하부에 밀착되면서 반구형 쉘(120)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장입되는 웨이트(110); 상기 웨이트(110)가 반구형 쉘(120) 내부에 부분적으로 밀폐되어서 장입되도록 상기 평탄부(110b)를 외포하면서 상기 반구형 쉘(1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웨이트 덮개부(121); 상기 웨이트 덮개부(121)의 중앙부에 직립 형성되는 원형관 형태의 봉 결합부(130); 상기 봉 결합부(130)에 착탈식으로 구비되는 손잡이부(151)와 상기 손잡이부(151)에 결합된 봉체부(152)로 구성되고, 상기 봉체부(152)의 내부에는 복수의 LED(153)가 구비되어 있는 경광봉(15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봉체부(152)의 외주면에는 투척식으로 던져지는 경우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내충격 재질의 보호시트(152c)가 외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의하면 미세한 외력에도 흔들거릴 수 있고 경광봉을 분리가능하여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투척식 휴대용 방범 겸용 경광봉 장치{A SIGNAL STICK DEVICE}
본 발명은 경광봉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세한 외력에도 흔들릴 수 있고, 기울어진 경우에는 신속하게 직립할 수 있으면서도 오랫동안 흔들거리는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설치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고 간단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투척식 휴대용 방범 겸용 경광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뚜기 원리를 이용한 휴대용 경광등이 등록실용신안 제20-0297512호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하측이 반구형으로 형성되지 않았고, 또한 넘어진 경우에 반발력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없어서 좌우로 흔들리는 진자 운동이 약하고 느린 문제점이 있어서 경광 효과 즉, 식별성과 현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외부 침입자를 센싱하여 이를 빛이나 소리로 알려주거나 또는 원격에 있는 등록된 통신단말기로 알려주는 기술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외부 침입자 감지 기술은 모두 특정의 장소에 설치되어서 고정된 기술이므로, 각각의 장소나 지역마다 각각 설치해야 했으므로, 설치 비용 및 유지 관리 비용이 막대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투척식 휴대용 방범 겸용 경광봉 장치의 목적은,
첫째, 웨이트 자체를 반구형으로 구성하지 않고 반구형의 쉘에 부분적으로 장입 구성하고, 장입된 웨이트의 위에 형성된 반구형 쉘의 빈 공간에 탄성리브를 방사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넘어진 경광봉이 탄성리브의 강한 탄성반발력에 의해서 신속하고도 강하게 반대방향으로 반발력을 작용하여 신속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흔들거리는 진자 운동을 오랫동안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광봉의 경광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둘째, 외부의 무단 침입자를 인식하여 이를 LED 또는 음성신호출력부를 통해서 외부로 출력하거나 또는 원격의 등록된 통신단말기로 침입 사실을 알려줄 수 있는 방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되,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이동식으로 구현함으로써, 사무실이나 현관의 출입구, 안방, 창가, 복도, 철조망, 담벼락 등 장소와 시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 본원발명이 구현된 제품을 던져 놓기만 하면 방범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고, 그리하여 종래와 같이 한 장소에 붙박이 식으로 구현되었던 방범 시스템이 아닌 저렴한 비용으로 어디서든(즉, 장소 선택적으로) 외부 침입자를 감시 및 확인할 수 있는 휴대 및 이동식 방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며,
셋째, 경광봉을 착탈식으로 구성함으로써, 경광봉을 부착한 경우에는 스탠드형 또는 투척식으로 사용할 수 있고 경광봉을 탈거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일반적인 파지형 경광봉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넷째, 경광봉만을 분리한 경우에는 전체 제품이 차지하는 점유공간이 작아져서 보관 및 휴대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다섯째, 경광봉을 오뚜기 방식의 웨이트에 설치하되 웨이트를 구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예컨대 바람이 스치는 경우처럼 외부의 미세한 작용에도 쉽게 흔들려서 경광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여섯째, 내충격적 재질의 보호시트를 경광봉의 외주면에 외포 구성함으로써, 아무렇게나 투척하더라도 충격에 의한 제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차량을 타고 이동하면서도 제품을 신속 편리하고도 안전하게 도로나 야외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일곱째, 무단 침입자를 감시하는 방범 기능을 수행하는 방범모드의 설정을 입력하는 방범모드 설정버튼과, 방범모드의 설정을 해제하고 LED를 점멸동작하는 점멸동작 모드 또는 LED를 상시적으로 발광시키는 상시발광 모드를 설정하는 경광모드 설정버튼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설치환경과 용도에 따라서 방범모드와 경광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여덟째, 다양한 기능 즉, 스탠드형 및 파지형 경광봉 기능, 방범 기능, 투척식 점멸 신호기 기능을 하나의 단품에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에서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투척식 휴대용 방범 겸용 경광봉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투척식 휴대용 방범 겸용 경광봉 장치는, 속이 비어 있는 반구형 쉘(semi spherical shell); 곡면부와 평탄부로 이루어져서 상기 곡면부가 상기 반구형 쉘의 내면 하부에 밀착되면서 반구형 쉘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장입되는 웨이트; 상기 웨이트가 반구형 쉘 내부에 부분적으로 밀폐되어서 장입되도록 상기 평탄부를 외포하면서 상기 반구형 쉘의 내부에 형성되는 웨이트 덮개부; 상기 웨이트 덮개부의 중앙부에 직립 형성되는 원형관 형태의 봉 결합부; 상기 봉 결합부에 착탈식으로 구비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된 봉체부로 구성되고 상기 봉체부의 내부에는 복수의 LED가 구비되어 있는 경광봉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봉체부의 외주면에는 투척식으로 던져지는 경우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내충격 재질의 보호시트가 외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투척식 휴대용 방범 겸용 경광봉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웨이트 자체를 반구형으로 구성하지 않고 반구형의 쉘에 부분적으로 장입 구성하고, 장입된 웨이트의 위에 형성된 반구형 쉘의 빈 공간에 탄성리브를 방사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넘어진 경광봉이 탄성리브의 강한 탄성반발력에 의해서 신속하고도 강하게 반대방향으로 반발력을 작용하여 신속하게 일어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흔들거리는 진자 운동을 오랫동안 할 수 있어서 경광봉의 경광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외부의 무단 침입자를 인식하여 이를 LED 또는 음성신호출력부를 통해서 외부로 출력하거나 또는 원격의 등록된 통신단말기로 침입 사실을 알려줄 수 있는 방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되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이동식으로 구현함으로써, 사무실이나 현관의 출입구, 안방, 창가, 복도, 철조망, 담벼락 등 장소와 시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 본원발명이 구현된 제품을 던져 놓기만 하면 방범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고, 그리하여 종래와 같이 한 장소에 붙박이 식으로 구현되었던 방범 시스템이 아닌 저렴한 비용으로 어디서든(즉, 장소 선택적으로) 외부 침입자를 감시 및 확인할 수 있는 휴대 및 이동식 방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경광봉을 착탈식으로 구성함으로써, 경광봉을 부착한 경우에는 스탠드형 또는 투척식으로 사용할 수 있고 경광봉을 탈거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일반적인 파지형 경광봉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경광봉만을 분리한 경우에는 전체 제품이 차지하는 점유공간이 작아져서 보관 및 휴대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경광봉을 오뚜기 방식의 웨이트에 설치하되 웨이트를 구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예컨대 바람이 스치는 경우처럼 외부의 미세한 작용에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쉽게 흔들려서 경광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내충격적 재질의 보호시트를 경광봉의 외주면에 외포 구성함으로써, 아무렇게나 투척하더라도 충격에 의한 제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차량을 타고 이동하면서도 제품을 신속 편리하고도 안전하게 도로나 야외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무단 침입자를 감시하는 방범 기능을 수행하는 방범모드의 설정을 입력하는 방범모드 설정버튼과, 방범모드의 설정을 해제하고 LED를 점멸동작하는 점멸동작 모드 또는 LED를 상시적으로 발광시키는 상시발광 모드를 설정하는 경광모드 설정버튼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설치환경과 용도에 따라서 방범모드와 경광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덟째, 다양한 기능 즉, 스탠드형 및 파지형 경광봉 기능, 방범 기능, 투척식 점멸 신호기 기능을 하나의 단품에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에서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투척식 휴대용 방범 겸용 경광봉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경광봉이 분리된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투척식 휴대용 방범 겸용 경광봉 장치의 동작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투척식 휴대용 방범 겸용 경광봉 장치가 넘어진 경우 탄성리브(141) 및 반구형 쉘(120)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1에서 경광봉(150)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투척식 휴대용 방범 겸용 경광봉 장치에 있어서, 침입자 감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입력 설정부(154)의 상세 구성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투척식 휴대용 방범 겸용 경광봉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범모드란 동적감지센서(156)의 작동에 의해서 무단 침입자를 감시하여 무단침입자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원격에 있는 등록된 단말기로 알려주는 방범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모드이고, 경광모드란 LED(153)가 발광(점멸발광 또는 상시발광)하는 동작모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투척식 휴대용 방범 겸용 경광봉 장치는, 속이 비어 있는 반구형 쉘(semi spherical shell)(120)과, 곡면부(110a)와 평탄부(110b)로 이루어져서 상기 곡면부(110a)가 상기 반구형 쉘(120)의 내면 하부에 밀착되면서 반구형 쉘(120)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장입되는 웨이트(110)와, 상기 웨이트(110)가 반구형 쉘(120) 내부에 부분적으로 밀폐되어서 장입되도록 상기 평탄부(110b)를 외포하면서 상기 반구형 쉘(1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웨이트 덮개부(121)와, 상기 웨이트 덮개부(121)의 중앙부에 직립 형성되는 원형관 형태의 봉 결합부(130)와, 상기 봉 결합부(130)에 착탈식으로 구비되는 손잡이부(151)와 상기 손잡이부(151)에 결합된 봉체부(152)로 구성되고 상기 봉체부(152)의 내부에는 복수의 LED(153)가 구비되어 있는 경광봉(15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봉체부(152)의 외주면에는 투척식으로 던져지는 경우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내충격 재질의 보호시트(152c)가 외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반구형 쉘(120)과 탄성리브(141)와 보강리브(142)는 모두 예컨대 탄성반발력과 내충격성이 있는 고무 재질이나 연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투척식 휴대용 방범 겸용 경광봉 장치는, 상기 봉체부(152)는 복수의 LED(153)가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원형관 형태의 봉체부 바디(152a)와 상기 봉체부 바디(152a)의 외주면에 밀착되어서 외포되어 있고 LED(153)에서 나오는 빛을 확산하는 확산시트(152b)와 상기 확산시트(152b)의 외주면에 밀착되어서 내부의 LED(153)를 비롯한 회로소자를 보호하고 봉체부 바디(152a)와 확산시트(152b)를 보호하는 내충격 재질의 보호시트(152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6 참조).
그리고, 상기 보호시트(152c)는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투척식 휴대용 방범 겸용 경광봉 장치는, 봉 결합부(130)는 원통관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는 나사홈(13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151)의 하측에는 나사산(151a)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경광봉(150)은 상기 봉 결합부(130)에 나사식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손잡이부(151)가 봉 결합부(130)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예를 들어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암수 끼움식을 비롯한 다양한 공지의 탈부착 수단을 채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투척식 휴대용 방범 겸용 경광봉 장치는, 상기 웨이트 덮개부(121)에서 상방으로 직립 연장 형성하되 상기 봉 결합부(130)와 반구형 쉘(120)의 내주면을 방사상으로 연결 형성하고, 상기 웨이트(110)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신속하고도 안정적으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반발력을 작용하는 탄성리브(141)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투척식 휴대용 방범 겸용 경광봉 장치는, 상기 봉 결합부(130)와 동심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리브(141) 간을 원주상으로 연결하여 탄성리브(141)에 힘을 보강하는 보강리브(142)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리브(142)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형의 면상에 한정되지 않고, 굽어져서 형성된 굴곡 구조나 지그재그 구조로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며 이 경우에도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투척식 휴대용 방범 겸용 경광봉 장치는, 상기 경광봉(150)의 상단에 구비되고 설정된 반경 내에 들어와서 움직이는 사람을 감지하는 동적감지센서(156)와, 상기 경광봉(150)에 구비되는 음성신호 출력부(155)와, 상기 경광봉(15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동적감지센서(156)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LED(153)로 동작제어신호를 출력하여 LED(153)를 발광(점멸발광 또는 상시발광)을 제어하거나 또는 음성신호 출력부(155)로 음성출력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기 저장된 음성신호(예컨대, '무단침입자 발견')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통신모듈(158)을 통해서 원격에 있는 등록된 통신단말기로 무단 침입 정보를 전송하도록 전송제어신호를 통신모듈(158)로 출력하는 컨트롤보드(157)와, 상기 경광봉(15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보드(157)로부터 수신한 무단 침입 정보와 전송제어신호를 기초로 등록된 원격의 통신단말기로 무단 침입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모듈(158)과, 상기 동적감지센서(156)의 작동에 의해서 무단 침입자를 감시하는 방범 기능을 수행하는 방범모드의 설정을 입력하는 방범모드 설정버튼(154b)과 상기 방범모드의 설정을 해제하고 LED(153)를 점멸동작하는 점멸동작 모드 또는 LED(153)를 상시적으로 발광시키는 상시발광 모드를 설정하는 경광모드 설정버튼(154a)이 구비되어 있는 입력 설정부(15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투척식 휴대용 방범 겸용 경광봉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기술한다.
본 발명에 의한 투척식 휴대용 방범 겸용 경광봉 장치는 반구형 쉘(120)이 고무재질이나 연질 합성수지로 되어 있어서 내충격성을 갖고 있고, 경광봉(150)도 내충격 재질의 보호시트(152c)로 보호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본원발명의 투척식 휴대용 방범 겸용 경광봉 장치를 특별한 주의를 요함이 없이 아무렇게나 투척하면 제품은 설치된다.
본원발명의 투척식 휴대용 방범 겸용 경광봉 장치가 투척되면 웨이트(110)에 의해서 몇 번 흔들거리다가(즉, 오뚜기 운동을 하다가) 직립된다.
이후, 약한 바람이나 자동차가 옆을 지나가는 경우 등 외부의 작은 작용에도 흔들거리게 되는데, 이는 웨이트(110)가 반구형으로 되어 있고 웨이트(110)가 반구형 쉘(120)에 부분적으로 장입(즉, 반구형 쉘(120)의 윗 공간은 빈공간으로 남겨 두고 아래부분에만 장입)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제 흔들거리는 운동에 대해서 상세 기술한다.
본 발명에서는 반구형 쉘(120)의 윗부분을 빈 공간으로 형성하고 이 빈 공간을 구획하는 것처럼 형성된 탄성리브(141)와 보강리브(142)를 형성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어지게 되면 기울어진 쪽의 탄성리브(141)와 반구형 쉘(120)에 변형이 가해지고, 이때 탄성반발력에 의해서 신속하게 복귀할려고 하고, 나아가 탄성반발력이 크기 때문에 보다 더 오랜 시간 동안 흔들거리는 운동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투척식 휴대용 방범 겸용 경광봉 장치가 방범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대해서 기술한다.
방범모드 설정버튼(154b)을 눌러서 입력하면 방범모드가 설정된다(이후 사용자가 경광모드 설정버튼(154a)을 입력하면 방버모드는 해제되고 경광모드가 설정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방범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외부의 침입자가 있는 경우, 동적감지센서(156)가 이를 감지하고 이를 전압신호로서 컨트롤보드(157)로 출력하고, 컨트롤보드(157)는 동적감지센서(156)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
음성신호 출력부(155)와 LED(153)로 각각 음성출력제어신호와 동작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컨트롤보드(157)로부터 음성출력제어신호를 수신한 음성신호 출력부(155)는 기 저장된 음성신호(예컨대 '무단침입자 발견')를 출력하고, 또한 LED(153)는 수신한 동작제어신호를 기초로 발광(예컨대 점멸발광)한다.
또한, 컨트롤보드(157)는 통신모듈(158)을 통해서 원격에 있는 등록된 통신단말기로 무단 침입 정보를 전송하도록 전송제어신호를 통신모듈(158)로 출력하고, 통신모듈(158)은 컨트롤보드(157)로부터 수신한 무단 침입 정보와 전송제어신호를 기초로 등록된 원격의 통신단말기로 무단 침입 정보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10 : 웨이트 110a: 곡면부
110b: 평탄부 120 : 반구형 쉘
121 : 웨이트 덮개부 130 : 봉 결합부
130a: 나사홈 141 : 탄성리브
142 : 보강리브 150 : 경광봉
151 : 손잡이부 151a: 나사산
152 : 봉체부 152a: 봉체부 바디
152b: 확산시트 152c: 보호시트
153 : LED 154 : 입력 설정부
154a: 경광모드 설정버튼 154b: 방범모드 설정버튼
155 : 음성신호 출력부 156 : 동적감지센서
157 : 컨트롤보드 158 : 통신모듈

Claims (4)

  1. 속이 비어 있는 반구형 쉘(semi spherical shell)(120);
    곡면부(110a)와 평탄부(110b)로 이루어져서 상기 곡면부(110a)가 상기 반구형 쉘(120)의 내면 하부에 밀착되면서 반구형 쉘(120)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장입되는 웨이트(110);
    상기 웨이트(110)가 반구형 쉘(120) 내부에 부분적으로 밀폐되어서 장입되도록 상기 평탄부(110b)를 외포하면서 상기 반구형 쉘(1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웨이트 덮개부(121);
    상기 웨이트 덮개부(121)의 중앙부에 직립 형성되는 원형관 형태의 봉 결합부(130);
    상기 봉 결합부(130)에 착탈식으로 구비되는 손잡이부(151)와 상기 손잡이부(151)에 결합된 봉체부(152)로 구성되고, 상기 봉체부(152)의 내부에는 복수의 LED(153)가 구비되어 있는 경광봉(15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봉체부(152)의 외주면에는 투척식으로 던져지는 경우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내충격 재질의 보호시트(152c)가 외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척식 휴대용 방범 겸용 경광봉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 덮개부(121)에서 상방으로 직립 연장 형성하되 상기 봉 결합부(130)와 반구형 쉘(120)의 내주면을 방사상으로 연결 형성하고, 상기 웨이트(110)가 기울어지는 경우 신속하고도 안정적으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반발력을 작용하는 탄성리브(141)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척식 휴대용 방범 겸용 경광봉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봉 결합부(130)와 동심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리브(141) 간을 원주상으로 연결하여 탄성리브(141)에 힘을 보강하는 보강리브(142)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척식 휴대용 방범 겸용 경광봉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광봉(150)의 상단에 구비되고, 설정된 반경 내에 들어와서 움직이는 사람을 감지하는 동적감지센서(156);
    상기 경광봉(150)에 구비되는 음성신호 출력부(155);
    상기 경광봉(15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동적감지센서(156)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LED(153)로 동작제어신호를 출력하여 LED(153)를 발광을 제어하거나, 또는 음성신호 출력부(155)로 음성출력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기 저장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통신모듈(158)을 통해서 원격에 있는 등록된 통신단말기로 무단 침입 정보를 전송하도록 전송제어신호를 통신모듈(158)로 출력하는 컨트롤보드(157);
    상기 경광봉(15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보드(157)로부터 수신한 무단 침입 정보와 전송제어신호를 기초로 등록된 원격의 통신단말기로 무단 침입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모듈(158);
    상기 동적감지센서(156)의 작동에 의해서 무단 침입자를 감시하는 방범 기능을 수행하는 방범모드의 설정을 입력하는 방범모드 설정버튼(154b)과, 상기 방범모드의 설정을 해제하고 LED(153)를 점멸동작하는 점멸동작 모드 또는 LED(153)를 상시적으로 발광시키는 상시발광 모드를 설정하는 경광모드 설정버튼(154a)이 구비되어 있는 입력 설정부(15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척식 휴대용 방범 겸용 경광봉 장치.
KR1020120087394A 2011-11-17 2012-08-09 투척식 휴대용 방범 겸용 경광봉 장치 KR1013197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200U KR20110011214U (ko) 2011-11-17 2011-11-17 투척 식 점멸신호기
KR2020110010200 2011-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905A KR20130054905A (ko) 2013-05-27
KR101319790B1 true KR101319790B1 (ko) 2013-10-17

Family

ID=4866359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200U KR20110011214U (ko) 2011-11-17 2011-11-17 투척 식 점멸신호기
KR1020120087394A KR101319790B1 (ko) 2011-11-17 2012-08-09 투척식 휴대용 방범 겸용 경광봉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200U KR20110011214U (ko) 2011-11-17 2011-11-17 투척 식 점멸신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1001121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768B1 (ko) 2015-05-04 2015-11-11 (주)케이아이티 안전진단을 위한 시설물 점검과 진단시 원거리에서 확인이 용이한 차량통제용 안전경광봉
WO2018101689A1 (ko) * 2016-11-29 2018-06-07 이장수 다기능 랜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694B1 (ko) * 2012-12-28 2014-01-08 최진욱 안전 삼각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7878A (ko) * 2009-09-11 2011-03-17 이명수 차량용 비상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7878A (ko) * 2009-09-11 2011-03-17 이명수 차량용 비상 표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768B1 (ko) 2015-05-04 2015-11-11 (주)케이아이티 안전진단을 위한 시설물 점검과 진단시 원거리에서 확인이 용이한 차량통제용 안전경광봉
WO2018101689A1 (ko) * 2016-11-29 2018-06-07 이장수 다기능 랜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214U (ko) 2011-12-05
KR20130054905A (ko) 201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0710B2 (en) Remotely detectable transportable game and fishing alarm system
US5850807A (en) Illuminated pet leash
US9603341B2 (en) Dog leash having intelligent lighting to improve safety
CN107787193B (zh) 头盔佩戴激励和/或控制系统以及在骑乘交通工具时激励和/或控制头盔的使用的方法
US4736186A (en) Emergency warning signal
KR101319790B1 (ko) 투척식 휴대용 방범 겸용 경광봉 장치
US11806600B2 (en) Infrared hockey puck and goal detection system
US9387897B2 (en) Smart horn system and method
KR101275665B1 (ko) 지그비 네트워크를 이용한 자전거 도난 이원 경보시스템
US11766599B2 (en) Infrared hockey puck and goal detection system
US6583724B1 (en) Pool alarm system
KR101906671B1 (ko) 어신감지기능을 갖는 전자케미 및 이를 이용한 어신감지시스템
US5828304A (en) Pool monitoring system
JPH1181253A (ja) サインポスト
KR101822759B1 (ko) 스마트 우산
CN207233161U (zh) 一种老幼群体用居家或外出的远程呼救定位器
JP2013083113A (ja) 道路標識
KR101585911B1 (ko) 차량용 루프탑텐트
CN107582340A (zh) 一种智能拐杖
US5617087A (en) Parking aid for parking vehicles in a covered garage
KR101941146B1 (ko) 센서 연동을 통한 보행자 통행 감지 안내 시스템
KR101583483B1 (ko) 외부접근 파악이 가능한 텐트
CN110807900A (zh) 浮动设备、安全系统及检测方法
JP4961570B2 (ja) 人体検知装置
KR101583482B1 (ko) 수직이동이 가능한 폴대가 구비된 타프스크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