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9519B1 -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9519B1
KR101319519B1 KR1020130076305A KR20130076305A KR101319519B1 KR 101319519 B1 KR101319519 B1 KR 101319519B1 KR 1020130076305 A KR1020130076305 A KR 1020130076305A KR 20130076305 A KR20130076305 A KR 20130076305A KR 101319519 B1 KR101319519 B1 KR 101319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poultry
layer
ondol
poultry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6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기
Priority to KR1020130076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95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22Poultry runs ; Poultry houses, including auxiliary features, e.g. feeding, watering, demanu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76Arrangement of heaters or heat exc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002Poultry cages, e.g. transport boxes
    • A01K31/005Battery breeding cages, with or without auxiliary features, e.g. feeding, watering, demanuring, heating, ventil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온돌식 난방 구역을 설치하여 양계의 주령 및 개체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양계 하우스 내부로의 차량 진입시 배관의 파괴 및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온수 공급배관에 하나 이상의 밸브를 통해 각각 연결되어 그로부터 온수를 각각 공급받고 환수시키는 하나 이상의 난방 배관을 차량 통행부를 포함하는 양계 하우스의 바닥면 전체에 배치하고 배관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온돌층이 설치되며 온돌층의 하부에 하부 콘크리트층이 타설되어 형성되는 온돌식 난방장치부, 및 양계 하우스의 양측벽에 설치되며 양계의 키를 고려하여 양계의 상부에서 하부로 송풍이 가능하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상부로 이격 설치되되 순환펌프와 연결되어 순환펌프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하나 이상의 송풍팬으로 이루어져 양계 하우스의 내부 공간에 대한 체열 및 가스 방출, 냉방 또는 환기를 수행하는 송풍식 냉방장치부를 포함하는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을 제공하여 양계의 주령 및 개체수에 따라 온돌식 난방 구역의 선택적인 가동 및 양계 하우스 내부로의 차량진입시 차량 통행부가 구획된 바닥의 배관의 파괴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A heating and cooling system for poultry house}
본 발명은 양계장 냉난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계 하우스의 내부 바닥에 양계의 주령 및 개체수에 따라 각 구역을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난방용 온돌층을 설치하되 바닥 중앙부에 차량진입을 위해 강도를 강하게 시공하고, 양계 하우스의 내부 공간에는 양계의 키를 고려하여 적당한 높이에 송풍팬을 설치하여 송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계사 내부의 냉난방 온도 및 환기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양계장의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키고 효과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닭을 사육하는 계사 내의 온도, 습도, 환기 및 각종 시설(급이·급수방법, 소독, 사육밀도 등) 등의 환경 관리 요소들은 서로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양계 농가의 생산성을 좌우하게 되므로, 양계 농가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상기 시설들을 효과적으로 운용 관리하여 계사 내부를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할 필요가 있다.
특히, 닭은 다른 가축에 비하여 단위 체중당 산소 소비량과 탄산가스 발생량이 많아 계사 내부의 공기 오염이 심하기 때문에 환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콕시듐증, 장염, 호흡기성 질병 등의 발생의 원인이 되어 폐사율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발육이 지연되어 사료 효율이 떨어지므로 계사에 있어서 환기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계사 내 환기방법은 터널식 환기, 터널 및 크로스 혼합식 환기, 지붕 배기 및 터널 혼합식 환기방식 등이 있으며, 이러한 환기 방법을 통해 계사 내의 열기와 습기를 제거하고 탄산가스 및 암모니아가스와 먼지, 병원체 등과 같은 유해 물질을 밖으로 내보내는 한편 신선한 공기를 계사 내부로 유입시켜 질병과 스트레스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쾌적한 성장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이 중 터널식 환기방식은 계사의 한쪽 끝에 환기 팬을 설치하고, 반대편 끝이나 측벽에 입기구를 설치하여 바람이 터널을 통과하듯 계사 내부를 통과하는 방식으로서, 여름철에 닭의 체감온도를 낮추어줄 수 있다.
그리고, 터널 및 크로스 혼합식 환기방식은 터널식과 크로스식을 병용하는 방식으로서, 입추 초기에는 크로스 방식으로 환기를 행하고, 후기 또는 여름철 등의 더운 경우에는 터널 방식으로 환기를 행한다.
마지막으로 지붕 배기 및 터널 혼합식 환기방식은 입추 초기에 환기량이 많지 않을 때에는 지붕으로 배기를 하고, 처마밑에 있는 파이프를 통하여 입기하며, 후기 및 여름철 등 더운 경우에는 많은 환기량을 요구하기 때문에 터널식으로 공기의 흐름을 빠르게 하여 고온 스트레스를 완화해줄 수 있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39211호(2007.07.06)에는 계사 입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기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계사의 지붕에 고정설치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 내에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강제적으로 유입시키는 유입팬과, 상기 유입관의 하단부에 연통결합되어 상기 유입팬에 의하여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계사 내부의 수평 방향으로 배기시키는 배기구를 갖는 배기관을 포함하는 계사의 입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사의 환기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63166호(2012.05.26 등록)에는 계사 관리장치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계사의 일측벽에 형성된 입기부에 모터에 의해 개폐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개폐셔터를 설치하고, 입기부의 반대측 벽에 형성된 배기부에 동일한 수의 환기팬을 그룹으로 형성하여 각 그룹별로 순차적인 동작이 가능케 하여 계사 내의 환기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이루어져 계사 내의온도, 습도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유지하여 쾌적한 성장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환기방식 들은 여름철 등의 더운 계절에는 효과적이나 겨울철 등 저온의 경우에는 효율적으로 균일한 환기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환기장치의 설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계사 내의 냉난방 방식은 보일러나 지열을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 및 냉각시켜 이를 계사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열 냉난방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열 냉난방 방식을 이용하는 계사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양계에 직접적으로 냉풍이나 온풍이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해 양계의 키에 비해 비교적 높은 위치인 양계 하우스(H)의 천정에 송풍팬(F)이 설치되고, 그 송풍팬(F)에서 냉풍이나 온풍을 바닥을 향해 송풍하게 되면 송풍팬(F)에서 분출된 냉/온풍이 대류에 의해 계사의 하우스(H) 전체에 확산되면서 온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양계는 키가 크지 않아 주로 바닥에서 약 1M 이내의 높이에서 온도가 적절하게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기열 냉난방 방식의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은 양계가 위치한 바닥 부분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양계 하우스(H)의 내부 전체 공간에 대한 냉난방을 실시해야 하므로 에너지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기열 냉난방 방식에서는 송풍팬(F)으로부터 바닥을 향해 난방용 온풍이 분출되는 경우 대류현상에 의해 온풍이 상승하게 되므로 계사의 바닥부분까지 충분히 전달되도록 난방하기 위해서는 많은 연료 소모가 있게 되며, 뿐만 아니라 냉방의 경우에도 송풍팬(F)으로부터 분출된 냉풍(W)이 바닥(B)에서 상승하는 상승기류(U)와 충돌하게 되므로 냉풍이 바닥까지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한편, 양계장의 경우 양계의 배설물의 처리나 사료의 공급을 위해서 계사의 하우스(H) 내부로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진입하게 되는데, 이때 차량의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계사 내부의 바닥면은 그 강도가 충분히 보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그에 따라 계사 내부의 바닥을 가열하는 온돌식 냉난방 방식을 채택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KR 10-0739211 B1 2007.07.06 KR 10-2012-0063166 A 2012.05.26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양계 하우스의 바닥에 난방 배관을 시공하여 온돌식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계사 내부 공간에는 양계의 키를 고려하여 적당한 높이에 온도 조절 및 환기가 가능하도록 순환펌프로 연결된 송풍팬을 설치하여 송풍에 의한 냉방 및 공기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계사 내부의 냉난방 온도 및 환기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양계장의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키고 효과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양계 하우스의 바닥면에 차량 진입 및 통행을 위한 차량 통행부가 구획되고 상기 차량 통행부의 바닥에는 강도를 증대시킨 강관과 강화 콘크리트층 및 신축 단열층을 시공하여 양계 하우스 내부로의 차량진입시 차량 중량에 의한 배관의 파괴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양계 하우스의 바닥면을 하나 이상의 구역으로 구분하고 각 구역에 개별적인 냉난방 온도조절 및 환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양계의 주령 및 개체수에 따라 각 구역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계사 내부의 냉난방 온도 및 환기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효과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양계 하우스의 냉난방 시스템에 있어서, 온수 공급배관에 하나 이상의 밸브를 통해 각각 연결되어 그로부터 온수를 각각 공급받고 환수시키는 하나 이상의 난방 배관을 양계 하우스의 바닥면에 배치하고 배관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온돌층이 설치되며 온돌층의 하부에 하부 콘크리트층이 타설되어 형성되는 온돌식 난방장치부, 및 양계 하우스의 양측벽에 설치되며 양계의 키를 고려하여 양계의 상부에서 하부로 송풍이 가능하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상부로 이격 설치되되 순환 펌프와 연결되어 순환 펌프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하나 이상의 송풍팬으로 이루어져 양계 하우스의 내부 공간에 대한 체열 및 가스 방출, 냉방 또는 환기를 수행하는 송풍식 냉방장치부를 포함하는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양계 하우스의 바닥면에 차량 통행이 가능한 차량 통행부가 구획된 양계 하우스의 냉난방 시스템에 있어서, 온수 공급배관에 하나 이상의 밸브를 통해 각각 연결되어 그로부터 온수를 각각 공급받고 환수시키는 하나 이상의 난방 배관을 차량 통행부를 포함하는 양계 하우스의 바닥면 전체에 배치하고 배관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온돌층이 설치되며 온돌층의 하부에 하부 콘크리트층이 타설되어 형성되는 온돌식 난방장치부, 및 양계 하우스의 양측벽에 설치되며 양계의 키를 고려하여 양계의 상부에서 하부로 송풍이 가능하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상부로 이격 설치되되 순환펌프와 연결되어 순환펌프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하나 이상의 송풍팬으로 이루어져 양계 하우스의 내부 공간에 대한 체열 및 가스 방출, 냉방 또는 환기를 수행하는 송풍식 냉방장치부를 포함하는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이다.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서 온돌식 난방장치부는 양계 하우스의 바닥면이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난방 구역을 포함하며 각각의 난방 구역에는 개별적인 냉난방 온도조절 및 환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난방 배관이 각각 분리 배치되고 칸막이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양계의 주령 및 개체수에 따라 각 난방 구역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계 하우스의 바닥에 난방 배관이 배치된 온돌층을 설치하여 그 배관을 통해 난방을 실시할 수 있고 양계의 키를 고려하여 측벽의 적당한 높이에 설치된 송풍팬에 의한 빗각 송풍을 통해 냉방 및 공기 순환이 양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양계 하우스에서의 냉난방 온도 및 환기 조절을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어 양계장의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진입 및 통행을 위한 차량 통행부가 구획된 양계 하우스의 바닥면에 강도를 증대시킨 강관과 강화 콘크리트층 및 신축 단열층을 시공하여 양계 하우스 내부로의 차량진입시 차량 중량에 의한 배관의 파괴 및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도록 양계 하우스에서의 냉난방 온도 및 환기 조절을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계 하우스의 바닥면을 하나 이상의 난방 구역으로 구획하여 각 구역별로 개별적인 냉난방 온도조절 및 환기 조절이 가능하게 되므로, 양계의 주령 및 개체수에 따라 각 구역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상태로 효과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공기열 냉난방 방식의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에서 바닥면을 발췌하여 예시한 상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를 발췌하여 예시한 상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난방 배관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의 양측벽에 설치되는 송풍팬의 설치상태 및 그에 의한 송풍 방향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의 구성 및 전체적인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에서 바닥면을 발췌하여 예시한 상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일부를 발췌하여 예시한 상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난방배관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의 양측벽에 설치되는 송풍팬의 설치상태 및 그에 의한 송풍 방향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로서, 각각의 도면에서는 바닥면(2)에 차량 통행부(2d)가 구획된 터널식 양계 하우스(1)에 본 발명의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이 설치된 구성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본 발명의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은 차량 통행부가 구획되지 않은 일반적인 양계 하우스의 바닥면에도 적용 가능함을 물론이며, 이하의 본 발명에서는 차량 통행부가 구획된 바닥면을 갖는 양계 하우스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는, 양계 하우스(1)의 바닥면(2)에 설치되는 온돌식 난방장치부(10)와, 양계 하우스(1)의 양측벽(3)에 설치되는 송풍식 냉방장치부(20)로 구성되며, 일반적인 바닥면(2)을 형성하는 양계 하우스(1), 또는 바닥면(2)에 차량 통행부(2d)가 구획되는 양계 하우스(1)에 모두 설치 및 적용 가능하다.
온돌식 난방장치부(10)는 터널식 양계 하우스(1)의 단부까지 배치되어 온수의 입수(Wi) 및 출수(Wo)를 위한 온수 공급배관(11), 차량 통행부(2d)를 포함하는 양계 하우스(1)의 바닥면(2) 전체에 배치되며 온수 공급배관(11)에 하나 이상의 밸브(11a-11c)를 통해 각각 연결되어 그로부터 온수를 각각 공급받고 환수시키는 하나 이상의 난방 배관(12a-12c), 양계 하우스(1)의 바닥면(2)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난방 배관을 덮도록 콘크리트(12d)가 타설되어 양계 하우스(1)의 단부까지 형성되는 온돌층(12), 온돌층(12)의 하부에 타설되는 하부 콘크리트층(13)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온돌식 난방장치부(10)는 온돌층(12)과 하부 콘크리트층(13) 사이에 단열재층(14)을 개재시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온돌층(12)과 하부 콘크리트층(13) 사이에 단열재층(14) 및 와이어 메쉬층(15)을 순차적으로 개재시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온수 공급배관(11)은 리버스 리턴 방식으로 온수를 공급함으로써 입수는 가장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출수는 가장 늦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에너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차량 통행부(2d)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양계 하우스(1)의 바닥면(2) 상에서 차량 통행이 가능하도록 일정 너비 이상의 폭(R)을 갖도록 구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온돌식 난방장치부(10)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양계 하우스(1)의 바닥면(2)이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각각 구분되는 하나 이상의 난방 구역(2a-2c)을 포함하며, 이들 각각의 난방 구역(2a-2c)에는 각 구역마다 개별적인 냉난방 온도 및 환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난방 배관(12a-12c)이 각각 분리 배치되고 칸막이(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예를 들면 조립식 벽체나 경량 칸막이 등이 사용될 수 있음)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양계의 주령 및 개체수에 따라 각각의 난방 구역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때 각각의 난방 배관(12a-12c)의 길이는 도 5의 도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온수공급 배관(11)으로부터 거리가 먼 우측에 위치하는 난방 배관(12c)이 길고, 중앙부에 위치하는 난방 배관(12b)이 짧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각 난방 구역(2a-2c) 내에 배치되는 각각의 난방 배관(12a-12c)은 차량의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강관으로 구성된 난방배관(12b)이 양계 하우스(1)의 바닥면(2)에 구획된 차량 통행부(2d)의 하부에 배치되며, 이러한 강관의 양측에는 엑셀 배관으로 구성된 난방 배관(12a,12c)이 배치되어 구성된다.
하부 콘크리트층(13)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 통행부(2d)의 하부에 형성되는 콘크리트의 두께(t1)가 차량 통행부(2d)가 아닌 곳에 형성되는 콘크리트의 두께(t2)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재층(14)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 통행부(2d)의 하부에 개재되는 단열재의 두께(d1)가 차량 통행부(2d)가 아닌 곳에 개재되는 단열재의 두께(d2)보다 얇게 형성되며, 차량 중량에 의해 절단되거나 파손되지 않고 견딜 수 있도록 신축성 부재, 즉 예를 들면 차량 통행부(2d)의 하부에 개재되는 단열재는 단열성과 신축성을 동시에 갖고 두께가 얇은 은박지, 차량 통행부(2d)가 아닌 곳에 개재되는 단열재는 단열성과 신축성을 동시에 갖고 두께가 두꺼운 은박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식 냉방장치부(20)는 도 2 및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양계 하우스(1)의 양측벽(3)에 설치되며, 양계의 키(예를 들면 바닥면으로부터 1M 이내의 높이)를 고려하여 양계의 상부에서 하부로 송풍이 가능하도록 바닥면(2)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상부로 이격(예를 들면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1M 이격되는 높이) 설치되되, 순환 펌프(21)와 연결되어 순환 펌프(21)로부터 배관(21a)을 통해 공기를 공급받는 하나 이상의 송풍팬(22)으로 이루어져 구성되며, 양계 하우스(1)의 내부 공간에 대한 체열 및 가스 방출, 냉방 또는 환기를 수행한다.
이러한 송풍식 냉방장치부(20)의 구성에서 양계 하우스(1)의 양측벽(3)에 설치되는 다수의 송풍팬(22)은 양계 하우스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양계 하우스 양측벽의 송풍팬(22)은 도 6에 개념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그 송풍 방향이 빗각을 이루도록 하여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송풍팬(22)은 터널식 양계 하우스(1)의 양측부까지 배치되어 양계 하우스의 내부 공간 상부에서 바닥 쪽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더운 공기 및 유해 가스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측면의 상부에 설치 팬(F)으로 공기를 유입시켜 반대쪽의 팬(F)으로 더운 공기를 배출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고, 차가운 공기는 하부에 있으므로 상부의 뜨거운 공기를 배출 및 환기시(여름에 사용하지만 겨울에도 사용 가능함)시켜 냉방 기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에 대해,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이 바닥면(2)에 차량 통행부가 구획되어 있지 않은 양계 하우스(1)에 설치 및 적용되는 경우를 보면, 온돌식 난방장치부(10)는 터널식 양계 하우스(1)의 바닥면(2) 전면에 최하위층으로 하부 콘크리트층(13)이 타설되고 그 상부에 차례로 단열 및 신축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단열재층(14) 및 와이어 메쉬층(15)이 삽입된다.
그리고 터널식 양계 하우스(1)의 단부까지 온수의 입수(Wi) 및 출수(Wo)를 위한 온수 공급배관(11)이 배치되며, 온수 공급배관(11)에 하나 이상의 밸브(11a-11c)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각각의 밸브(11a-11c)에는 하나 이상의 난방 배관(12a-12c)을 각각 연결하여 온수 공급배관(11)로부터 각각의 밸브(11a-11c)를 통해 온수를 각각 개별적으로 공급받고 환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이들 다수의 난방 배관(12a-12c)은 양계 하우스(1) 바닥면(2)의 제1 난방 구역(2a) 내지 제3 난방 구역(2c)에 각각 배치하며, 이때 각 구역의 난방 배관(12a-12c)은 엑셀 배관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후 제1 난방 구역(2a) 내지 제3 난방 구역(2c)에 각각 배치된 난방 배관(12a-12c)을 덮도록 콘크리트(12d)를 타설하여 온돌층(12)을 양계 하우스(1)의 바닥면(2) 전면에 형성한다.
그리고 이들 각각의 난방 구역(2a-2c)에는 각 구역마다 개별적인 냉난방 온도 및 환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분리 공간 또는 통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칸막이를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하여, 양계의 주령 및 개체수에 따라 각각의 난방 구역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형성한다.
한편, 양계 하우스(1)의 단부까지 그 양측벽(3)에는 양계의 키(예를 들면 바닥면으로부터 1M 이내의 높이)를 고려하여 양계의 상부에서 하부로 송풍이 가능하도록 바닥면(2)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상부로 이격(예를 들면 바닥면으로부터 1M 이격되는 높이)되는 위치에 냉방용 및 공기 순환을 위한 송풍팬(22)을 설치하여 양계 하우스의 내부 공간 상부에서 바닥 쪽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운 공기 및 유해 가스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게 하고, 송풍팬(22)에는 하나 이상의 순환 펌프(21)를 연결하여 송풍팬(22)이 순환 펌프(21)로부터 냉기를 공급받을 수 있게 한다. 이때 양계 하우스(1)의 양측벽(3)에 설치되는 다수의 송풍팬(22)은 양계 하우스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하고 아울러 그 송풍 방향이 빗각을 이루도록 하여 서로 마주보게 설치함으로써, 순환 펌프(21)로 연결된 송풍팬(22)의 가동으로 통해 양계 하우스(1)의 내부 공간에 대한 체열 및 가스 방출, 냉방 또는 환기를 원할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온돌식 난방장치부(10)와 송풍식 냉방장치부(20)가 설치된 상태에서, 각각의 난방 구역(2a-2c)을 주령 또는 개체수에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1주령의 병아리를 제1 난방 구역(2a)에서 사육하고자 하는 경우, 제1 난방 구역(2a)과 제2 난방 구역(2b) 사이에 칸막이를 설치한 상태에서, 제2 난방 구역(2b)과 제3 난방 구역(2c)은 온수가 공급되지 않도록 밸브(11b,11c)를 잠그고 제1 난방 구역(2a)만 밸브(11a)를 개방하여 1주령 병아리 사육온도(예를 들면, 32~34도)에서 온수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양계 하우스(1)의 바닥면(2)의 일부인 제1 난방 구역(2a)만을 사용하여 1주령 병아리 등을 사육할 수 있게 된다.
2주령 병아리를 제1 난방 구역(2a)과 제2 난방 구역(2b)에서 사육하고자 하는 경우 제2 난방 구역(2b)과 제3 난방 구역(2c) 사이에 칸막이를 설치한 상태에서, 제3 난방 구역(2c)은 온수가 공급되지 않도록 밸브(11c)를 잠그고 제1 난방 구역(2a)과 제2 난방 구역(2b)만 밸브(11a,11b)를 개방하여 2주령 병아리 사육온도에서 온수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양계 하우스(1)의 바닥면(2)의 일부인 제1 난방 구역(2a)과 제2 난방 구역(2b) 만을 사용하여 2주령 병아리 등을 사육할 수 있게 된다.
3주령 병아리를 사육하고자 하는 경우 모든 칸막이를 제거한 상태에서, 제1 난방 구역(2a) 내지 제3 난방 구역(2c)의 밸브(11a-11c)를 모두 개방하여 3주령 병아리 사육온도에서 온수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양계 하우스는 병아리 성장 속도에 따라서 각 사육 구역에 난방 공급을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만약 개체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1 난방 구역(2a) 내지 제3 난방 구역(2c)을 이용하는 경우라면, 그 개체수의 많고 적음에 따라 제1 난방 구역(2a) 내지 제3 난방 구역(2c)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임의로 선택하여 가동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때 각 난방 구역에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는 동일하게 적용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이 바닥면(2)에 차량 통행부(2d)가 구획되어 있는 양계 하우스(1)에 설치 및 적용되는 경우, 온돌식 난방장치부(10)는 터널식 양계 하우스(1)의 바닥면(2) 전면에 최하위층으로 하부 콘크리트층(13)이 타설되고 그 상부에 차례로 단열 및 신축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단열재층(14) 및 와이어 메쉬층(15)이 삽입된다.
이때 하부 콘크리트층(13)은 차량 통행부(2d)의 하부에 형성되는 콘크리트의 두께(t1)가 차량 통행부(2d)가 아닌 곳에 형성되는 콘크리트의 두께(t2)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양계 하우스의 내부로 진입하는 차량의 하중을 견뎌낼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단열재층(14)도 차량 통행부(2d)의 하부에 개재되는 단열재는 그 두께(d1)가 얇은 은박지로, 차량 통행부(2d)가 아닌 곳에 개재되는 단열재는 그 두께(d2)가 두꺼운 은박지로 형성하여, 차량 통행부(2d)의 하부에 개재되는 단열재가 차량 중량에 의해 절단되거나 파손되지 않고 견딜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온돌층(12)의 각 난방 구역(2a-2c) 내에 배치되는 각각의 난방 배관(12a-12c)은 차량의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강관으로 구성된 난방 배관(12b)을 양계 하우스(1)의 바닥면(2)에 구획된 차량 통행부(2d)의 하부에 배치하고 이러한 강관의 양측에는 엑셀 배관으로 구성된 난방 배관(12a,12c)을 배치한다. 따라서 양계 하우스(1)의 바닥면(2) 중앙부에 구획된 차량 통행부(2d)를 따라 양계 하우스(1)의 내부로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 온돌층(12)은 그 중앙부에 배치된 난방 배관(12b), 즉 강관에 의해 차량의 진입에 따른 하중을 견뎌낼 수 있게 되므로 약예 하우스 내부로의 차량 통행에도 불구하고 온돌식 난방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온돌식 난방장치부(10)와 송풍식 냉방장치부(20)가 설치된 상태에서, 각각의 난방 구역(2a-2c)을 주령 또는 개체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동작, 및 송풍팬(22)에 의한 양계 하우스(1)의 내부 공간에 대한 체열 및 가스 방출, 냉방 또는 환기 동작은 본 발명이 상기 차량 통행부가 구획되어 있지 않은 양계 하우스(1)에 설치 및 적용되는 경우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에 의하면, 양계의 주령 및 개체수에 따라 각각의 난방 구역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양계 하우스의 난방 온도와 구역 조절 및 관리를 가능하게 되며, 차량 통행부가 구획된 양계 하우스의 바닥면에도 무난히 설치가 가능하게 되고, 또한 순환펌프에 연결된 송풍팬에 의한 양계하우스 내부의 냉난방 온도 및 환기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양계장의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키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양계 하우스 2 : 바닥면
2a-2c : 난방 구역 2d : 차량 통행부
3 : 양측벽 10 : 온돌식 난방장치부
11 : 온수 공급배관 11a-11c : 밸브
12 : 온돌층 12a-12c : 난방 배관
12d : 콘크리트 13 : 하부 콘크리트층
14 : 단열재층 15 : 와이어 메쉬층
20 : 송풍식 냉방장치부 21 : 순환 펌프
22 : 송풍팬

Claims (17)

  1. 양계 하우스의 냉난방 시스템에 있어서,
    온수 공급배관에 하나 이상의 밸브를 통해 각각 연결되어 그로부터 온수를 각각 공급받고 환수시키는 하나 이상의 난방 배관을 상기 양계 하우스의 바닥면에 배치하고 상기 배관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온돌층이 설치되며, 상기 온돌층의 하부에 하부 콘크리트층이 타설되어 형성되는 온돌식 난방장치부; 및
    상기 양계 하우스의 양 측벽에 설치되며, 양계의 키를 고려하여 양계의 상부에서 하부로 송풍이 가능하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상부로 이격 설치되되, 순환 펌프와 연결되어 순환 펌프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하나 이상의 송풍팬으로 이루어져 양계 하우스의 내부 공간에 대한 체열 및 가스 방출, 냉방 또는 환기를 수행하는 송풍식 냉방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돌식 난방장치부는,
    상기 양계 하우스의 바닥면이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각각 구분되는 하나 이상의 난방 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각 난방 구역에는 각 구역마다 개별적인 냉난방 온도 및 환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난방 배관이 각각 분리 배치되고 칸막이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양계의 주령 및 개체수에 따라 각 난방 구역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공급배관은,
    리버스 리턴 방식으로 온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돌식 난방장치부는,
    상기 온돌층과 하부 콘크리트층 사이에 단열재층이 개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돌식 난방장치부는,
    상기 온돌층과 하부 콘크리트층 사이에 단열재층 및 와이어 메쉬층이 순차적으로 개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
  6.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층은,
    외부 하중에 의해 절단되거나 파손되지 않고 견딜 수 있도록 단열성과 신축성을 갖는 단열 및 신축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계 하우스의 양측벽에 설치되는 다수의 송풍팬은 계사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양측벽의 송풍팬은 서로 대향하여 빗각으로 송풍의 방향이 이루어지도록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
  8. 양계 하우스의 바닥면에 차량 통행이 가능한 차량 통행부가 구획된 양계 하우스의 냉난방 시스템에 있어서,
    온수 공급배관에 하나 이상의 밸브를 통해 각각 연결되어 그로부터 온수를 각각 공급받고 환수시키는 하나 이상의 난방 배관을 상기 차량 통행부를 포함하는 양계 하우스의 바닥면 전체에 배치하고 상기 배관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온돌층이 설치되며, 상기 온돌층의 하부에 하부 콘크리트층이 타설되어 형성되는 온돌식 난방장치부; 및
    상기 양계 하우스의 양측벽에 설치되며, 양계의 키를 고려하여 양계의 상부에서 하부로 송풍이 가능하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상부로 이격 설치되되, 순환 펌프와 연결되어 순환 펌프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하나 이상의 송풍팬으로 이루어져 양계 하우스의 내부 공간에 대한 체열 및 가스 방출, 냉방 또는 환기를 수행하는 송풍식 냉방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온돌식 난방장치부는,
    상기 양계 하우스의 바닥면이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난방 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각 난방 구역에는 각 구역마다 개별적인 냉난방 온도 및 환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난방 배관이 각각 분리 배치되고 칸막이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양계의 주령 및 개체수에 따라 각 난방 구역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공급배관은,
    리버스 리턴 방식으로 온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 난방 배관은,
    양계 하우스의 바닥면에 구획된 차량 통행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강관, 상기 강관의 양측으로 배치되는 엑셀 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온돌식 난방장치부는,
    상기 온돌층과 하부 콘크리트층 사이에 단열재층이 개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온돌식 난방장치부는,
    상기 온돌층과 하부 콘크리트층 사이에 단열재층 및 와이어 메쉬층이 순차적으로 개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콘크리트층은,
    상기 차량 통행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콘크리트의 두께(t1)가 차량 통행부가 아닌 곳에 형성되는 콘크리트의 두께(t2)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
  15. 제12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층은,
    상기 차량 통행부의 하부에 개재되는 단열재의 두께(d1)가 차량 통행부가 아닌 곳에 개재되는 단열재의 두께(d2)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
  16. 제12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층은,
    차량 중량에 의해 절단되거나 파손되지 않고 견딜 수 있도록 단열성과 신축성을 갖는 단열 및 신축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양계 하우스의 양 측벽에 설치되는 다수의 송풍팬은 양계 하우스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양측벽의 송풍팬은 서로 대향하여 빗각으로 송풍의 방향이 이루어지도록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
KR1020130076305A 2013-07-01 2013-07-01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 KR101319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305A KR101319519B1 (ko) 2013-07-01 2013-07-01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305A KR101319519B1 (ko) 2013-07-01 2013-07-01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9519B1 true KR101319519B1 (ko) 2013-10-17

Family

ID=49638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6305A KR101319519B1 (ko) 2013-07-01 2013-07-01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95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86518A (zh) * 2016-11-28 2017-02-15 北京天福昌运制冷设备安装股份有限公司 养殖舍环保供温及通风热交换系统及养殖舍
CN109258511A (zh) * 2018-11-13 2019-01-25 江苏省农业科学院 多层密集型肉鸭养殖的局部通风换气鸭棚结构及控制方法
KR20210063658A (ko) 2019-11-25 2021-06-02 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가금류사의 냉난방 부하 제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098B1 (ko) 2002-10-10 2003-07-23 전길상 친환경 돈사(豚舍)의 구축방법 및 돈사 구축물
KR20070008194A (ko) * 2005-07-13 2007-01-17 주식회사 탑이엔지 비닐하우스용 냉난방장치
KR20120034488A (ko) * 2010-10-01 2012-04-12 한국그린에너지 주식회사 축사의 냉난방시스템
KR20120083600A (ko) * 2011-01-18 2012-07-26 왕증권 친환경 위생 축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098B1 (ko) 2002-10-10 2003-07-23 전길상 친환경 돈사(豚舍)의 구축방법 및 돈사 구축물
KR20070008194A (ko) * 2005-07-13 2007-01-17 주식회사 탑이엔지 비닐하우스용 냉난방장치
KR20120034488A (ko) * 2010-10-01 2012-04-12 한국그린에너지 주식회사 축사의 냉난방시스템
KR20120083600A (ko) * 2011-01-18 2012-07-26 왕증권 친환경 위생 축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86518A (zh) * 2016-11-28 2017-02-15 北京天福昌运制冷设备安装股份有限公司 养殖舍环保供温及通风热交换系统及养殖舍
CN106386518B (zh) * 2016-11-28 2022-11-15 北京天福昌运制冷设备安装股份有限公司 养殖舍环保供温及通风热交换系统及养殖舍
CN109258511A (zh) * 2018-11-13 2019-01-25 江苏省农业科学院 多层密集型肉鸭养殖的局部通风换气鸭棚结构及控制方法
CN109258511B (zh) * 2018-11-13 2023-10-17 江苏省农业科学院 多层密集型肉鸭养殖的局部通风换气鸭棚结构及控制方法
KR20210063658A (ko) 2019-11-25 2021-06-02 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가금류사의 냉난방 부하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90056A1 (en) Ventilation system for pig-raising facilities
RU233922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здания микроклимата в птичниках
KR101319519B1 (ko) 양계장 냉난방 시스템
JP5235098B2 (ja) 建物の空調換気システム
KR100886447B1 (ko) 돈사의 환기방법과 그 시스템
KR101080261B1 (ko) 무창돈사용 환기 시스템
KR100980735B1 (ko) 돈사의 환기시스템
CN102630572A (zh) 一种有窗式畜舍的冬季通风保暖系统
CN215500826U (zh) 一种楼房禽畜舍通风系统
US2354292A (en) Ventilating system for positive air control in buildings
US3048094A (en) Ventilating poultry house
CN104996312A (zh) 高密度笼养鸡舍三阶段环境控制系统
CN102577991A (zh) 一种分娩母猪舍通风系统
CA1134667A (en) Livestock barn ventilation system
KR20170123393A (ko) 지하수를 이용하는 축사 열교환 시스템
JP2010091243A (ja) 省エネルギー換気システム及びそれを備えた省エネ建築物
CN213939311U (zh) 一种带有保温保湿装置的育雏室
KR102181309B1 (ko) 냉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형성된 돈사
JP2004033007A (ja) 養畜建物
CN204624369U (zh) 可调节箱内空气的集装箱
CN207083836U (zh) 一种中小型循环风道式孵化箱
KR20120053156A (ko) 계사 관리 장치
KR102002703B1 (ko) 수냉식 라디에이터를 이용한 축사 환기 시스템
CN211746052U (zh) 一种家畜养殖的建筑结构
JPS6325441A (ja) 畜舎の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