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309B1 - 냉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형성된 돈사 - Google Patents

냉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형성된 돈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309B1
KR102181309B1 KR1020200066441A KR20200066441A KR102181309B1 KR 102181309 B1 KR102181309 B1 KR 102181309B1 KR 1020200066441 A KR1020200066441 A KR 1020200066441A KR 20200066441 A KR20200066441 A KR 20200066441A KR 102181309 B1 KR102181309 B1 KR 102181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cooling pipe
plate
heat conduction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청재
이도헌
Original Assignee
대륙종합건설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륙종합건설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성우 filed Critical 대륙종합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6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3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82Water misting or coo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6Heat pumps characterised by the source of low potential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liquids, e.g. br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056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solid heat storag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geotherm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형성된 돈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돈사의 돈방에서 분뇨가 저장되는 공간 사이에 돼지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휴식공간의 바닥면에서 콘크리트층 상부에 단열재를 배치하고, 단열재 상부에 고정용 와이어메쉬를 배치하며, 상기 와이어메쉬 상부에 냉방배관을 지그재그로 배치하고, 상기 냉방배관 상부에 두번째 와이어메쉬를 배치하고, 보호용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냉방층을 형성하며, 관정에서 지열을 이용해 냉각된 물을 상기 냉방배관으로 공급하고 회수하며 휴식공간의 바닥면을 설정온도로 유지하여 냉방하는 냉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형성된 돈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형성된 돈사{Pigsty formed a cooling system using an air-conditioning tube}
본 발명은 냉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형성된 돈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돈사의 돈방에서 분뇨가 저장되는 공간 사이에 돼지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휴식공간의 바닥면에서 콘크리트층 상부에 단열재를 배치하고, 단열재 상부에 고정용 와이어메쉬를 배치하며, 상기 와이어메쉬 상부에 냉방배관을 지그재그로 배치하고, 상기 냉방배관 상부에 두번째 와이어메쉬를 배치하고, 보호용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냉방층을 형성하며, 관정에서 지열을 이용해 냉각된 물을 상기 냉방배관으로 공급하고 회수하며 휴식공간의 바닥면을 설정온도로 유지하여 냉방하는 냉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형성된 돈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축사육을 위한 축사는 온도가 가축의 성장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적정한 온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특히, 돼지나 닭을 사육하기 위한 축사 내부의 온도가 너무 높거나 낮은 경우 사료 섭취율 저하, 분만율 저하, 집단폐사 등이 발생된다.
대한민국의 양돈 환경에서 돼지의 폐사 원인은 돈사의 온도와 습도, 공기 오염이 주된 원인이며, 양돈의 폐사 원인의 70%를 차지하는 온도 관리와 공기 오염을 해결함으로써 폐사율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특히, 혹서기에는 축사의 실내 온도를 적정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냉방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20-0410652호에는 축사의 온도 및 습도 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온도 및 습도조절장치는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 물 저장을 위한 물탱크, 이 물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가열하거나 냉각시키기 위한 히터 및 냉각기와, 가열 또는 냉각된 물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 이 전동펌프와 연계되며, 상기 케이스의 공기배출구에 복수로 구비된 노즐, 이 노즐 및 공기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과 공기를 실내로 확산시키는 송풍기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온도 및 습도 조절장치는 물을 축사에 직접적으로 분사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장시간 냉방과 난방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한편, 여름철 고온현상에 대응하기 위해 안개분무노즐, 스프링쿨러, 환기팬, 에어컨 등의 시설 운영을 통해 축사 내부 온도를 낮추고 있으나, 온도 저감 성능이 낮거나 운영 비용이 과다한 단점이 있다. 또한, 축사 내부에 외부공기가 그대로 유입되면, 가축의 호흡기 질환 및 전염병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공기 중에 포함된 부유물의 제거 및 소독이 필요하다.
한편, 냉매를 압축기로 압축한 후 팽창시키는 에어컨 냉동기를 가동하는 방식은 지속적으로 공기온도를 낮출 수는 있으나, 악취나 오염물질이 그대로 잔존하게 되어, 성장이 저해되고 병해를 유발시킴은 물론 전력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돼지는 등 부위의 지방질이 두꺼워서 피부에서 에어컨의 냉방 영향을 별반 받지 못하고, 이로 인하여 에어컨 냉동기를 더욱 강하게 작동시켜야 하며, 이러한 강한 냉동기의 작동은 찬바람이 호흡기로 직접 영향을 미쳐 돼지 감기에 걸릴 수 있고, 나아가 강한 찬바람에 오염물질이 부유하여 돼지의 폐에 악영향을 끼쳐 건강에 안좋으며 악취가 공기중으로 부유하며 돈사 외측으로 이동하게 하여 주변 민원 발생의 원인이 되는 단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에어컨을 가동하고 악취와 오염물질을 배출하기 위해 환기시스템을 구동시키게 되면 환기시스템에서 냉기를 밖으로 배출시켜 에너지 소모가 큰 단점이 있다.
KR 20-0410652 (등록번호) 2006.03.02. KR 10-0885974 (등록번호) 2009.02.20. KR 10-1115593 (등록번호) 2012.02.06.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돈사의 돈방에서 분뇨가 처리되는 공간의 사이에 돼지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휴식공간의 바닥면에서 콘크리트층 상부에 단열재를 배치하고, 단열재 상부에 고정용 와이어메쉬를 배치하며, 상기 와이어메쉬 상부에 냉수가 이동하는 냉방배관을 배치하고, 상기 냉방배관 상부에 두번째 와이어메쉬를 배치하고, 보호용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냉방층을 형성하며, 관정에서 지열을 이용해 냉각된 물을 상기 냉방배관으로 공급하고 회수하여 휴식공간의 바닥면을 설정온도로 유지하며 냉방하는 냉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형성된 돈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돼지가 분뇨처리공간이 아닌 휴식공간에서 시원하고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방에 의해 분진이 발생되지 않아 호흡기로 영향을 받지 않고 지방이 적은 배 부분의 피부에서 직접적으로 냉기를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여름철에도 돼지를 건강하게 사육할 수 있는 냉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형성된 돈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정에서 지열을 이용하여 물을 냉각시켜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 비용이 적고, 경제성이 높은 냉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형성된 돈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방배관 상부와 하부에 접촉되게 배치되는 열전도판에 의해 휴식공간 바닥면 전체에 빠르게 냉기를 전달함으로써, 휴식공간 표면 전체가 균일하고 신속하게 냉방될 수 있고, 돈방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냉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형성된 돈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전도판의 통공으로 타설된 모르타르가 통과될 수 있어 작업현장에서 냉방배관 아래 위로 열전도판을 배치시킨 후에 모르타르를 부어 시공함으로써 냉방층의 고정력을 높이고, 균열을 방지하며,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냉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형성된 돈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냉방배관과 열전도판 하부에 스페이서를 배치하여 냉방배관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냉방배관 상부의 모르타르의 두께를 적게 할 수 있으므로 냉방배관의 냉기가 빠르게 바닥면으로 전달될 수 있는 냉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형성된 돈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방배관 상부에 배치되는 열전도판 상부에 축열판을 배치하여 냉방배관에서 발산되는 냉기를 상부에 배치되는 축열판의 내측 냉주머니에서 저장하여 휴식공간의 바닥면에서 냉기를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이 높은 냉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형성된 돈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방배관의 공급라인과 환수라인에 온도센서를 장착하여 설정온도에 의해 냉방배관의 공급밸브 및 환수밸브를 열고 닫아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냉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형성된 돈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관정에서 유입된 차가운 물과 열교환하며 탱크(130)에서 유입되는 물을 냉각하는 냉각기(110)와; 상기 냉각기(110)와 탱크(130) 사이에서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120)와; 돈방(10)에서 환수되는 물을 상기 냉각기(110)로 보내고, 상기 냉각기(110)의 차가운 냉수를 공급받는 탱크(130)와; 상기 탱크(130)에서 배출되는 냉수의 통로가 되고 다수의 돈방(10)으로 냉수를 공급하는 공급배관(140)과; 상기 돈방(10)에서 순환된 물을 환수하여 상기 탱크(130)로 이송하는 환수배관(150);을 포함하는 냉방시스템(100)이 형성되되; 상기 돈방(10)의 분뇨처리부(11) 사이에 구비되는 휴식공간부(12)는 콘크리트층(210) 상부에 배치되는 단열재(220)와, 상기 단열재(220) 상부에 배치되는 와이어메쉬로 이루어지는 제1열전도판(230)과, 상기 공급배관(140) 및 환수배관(150)과 연결되고 상기 제1열전도판(230) 상부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냉방배관(240)과, 상기 냉방배관(240) 상부에서 접촉되게 배치되는 와이어메쉬로 이루어지는 제2열전도판(250)과, 상기 제2열전도판(250) 상부에서 타설하는 보호용 모르타르(26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냉방층(200)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냉방층(200)의 상단인 상기 휴식공간부(12)의 바닥면과 분뇨처리부(11)의 바닥면의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냉방배관(240)에는 공급배관(140)으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라인에 공급밸브(241)와, 공급된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온도센서(242)가 구비되고, 환수배관(150)으로 물이 배출되는 라인에 환수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온도센서(243)와,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열고 닫히는 자동밸브(244) 및 환수밸브(245)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상기 단열재(220) 상부에는 스페이서(270)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스페이서(270) 상부에는 제1열전도판(230)이 배치되며, 상기 제1열전도판(230) 상부 상기 스페이서(270)의 내측 안착면(271)에는 냉방배관(240)이 안착되고, 상기 냉방배관(240) 상부에 제2열전도판(250)이 접촉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상기 자동밸브(244)는 일정시간마다 온/오프를 반복하되, 상기 돈방(10)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보다 낮을시에는 자동밸브(244)가 계속하여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냉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형성된 돈사.
본 발명의 상기 제2열전도판(250)의 상부에는 서로 이격되어 다수개로 존재하고, 상기 제2열전도판(250)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냉방배관(240)의 상부에서 대응하게 마련되어 제2열전도판(250)와 접촉되어 냉기를 전도받으며, 상기 냉방배관(240) 및 제2열전도판(250)에서 방출하는 냉기를 보관하는 냉주머니(281)가 내부에 형성된 축열판(28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축열판(280)은 단면이 개방된 하부를 갖는 'ㄷ'자 형상이며, 상기 냉주머니(281)는 제2열전도판(250)의 제2타공(251)을 경유하여 냉방배관(240)과 직접 맞닿고, 상기 축열판(280)의 상판(282)은 평평한 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냉방배관(240)의 직경보다 긴 폭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제1열전도판(230) 및 제2열전도판(250)은 구리 또는 알루미늄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열전도판(230) 및 제2열전도판(250)에 형성된 제1타공(231) 및 제2타공(251)의 면적은 제1열전도판(230) 및 제2열전도판(250)의 금속재질의 면적보다 크다.
본 발명의 상기 제2열전도판(250)에는 상기 축열판(280)의 축열판 측면(283)이 삽입되는 측면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모르타르(260)의 타설에 의하여 상기 축열판(280)의 전방과 후방이 폐쇄되어 축열판(280) 하부에 공기층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냉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형성된 돈사는 돈사의 돈방에서 분뇨가 저장되는 분뇨처리부의 사이에 돼지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휴식공간부의 바닥면에서 일정높이의 콘크리트층 상부에 단열재를 배치하고, 단열재 상부에 고정용 와이어메쉬를 배치하며, 상기 와이어메쉬 상부에 냉방배관을 배치하고, 상기 냉방배관 상부에 와이어메쉬를 배치하고, 보호용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냉방층을 형성하며, 관정에서 지열을 이용해 냉각된 물을 상기 냉방배관으로 공급하고 회수하여 휴식공간부의 바닥면을 설정온도로 유지하며 냉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돼지가 분뇨처리공간이 아닌 휴식공간부에서 시원하고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방에 의해 분진이 발생되지 않아 호흡기로 영향을 받지 않고 지방이 적은 배 부분의 피부에서 직접적으로 냉기를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여름철에도 돼지를 건강하게 사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관정에서 지열을 이용하여 물을 냉각시켜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 비용이 적고, 경제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냉방배관 상부와 하부에 접촉되게 배치되는 열전도판에 의해 휴식공간부 바닥면 전체에 빠르게 냉기를 전달함으로써, 휴식공간 표면 전체가 균일하고 신속하게 냉방될 수 있고,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열전도판의 통공으로 타설된 모르타르가 통과될 수 있어 작업현장에서 냉방배관 아래 위로 열전도판을 배치시킨 후에 모르타르를 부어 시공함으로써 냉방층의 고정력을 높이고, 균열을 방지하며,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냉방배관과 열전도판 하부에 스페이서를 배치하여 냉방배관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냉방배관 상부의 모르타르의 두께를 적게 할 수 있으므로 냉방배관의 냉기가 빠르게 바닥면으로 전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냉방배관 상부에 배치되는 열전도판 상부에 축열판을 배치하여 냉방배관에서 발산되는 냉기를 상부에 배치되는 축열판의 내측 냉주머니에서 저장하여 휴식공간의 바닥면에서 냉기를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이 높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냉방배관의 공급라인과 환수라인에 온도센서를 장착하여 설정온도에 따라 냉방배관의 공급밸브와 환수밸브를 열고 닫아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형성된 돈사의 냉방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형성된 돈사에서 돈방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형성된 돈사에서 냉방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형성된 돈사에서 냉방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형성된 돈사에서 냉방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돼지를 사육하는 돈방(10)의 바닥면으로 냉수를 보내 냉방하는 냉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형성된 돈사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서 냉방시스템(100)은 관정에서 유입된 차가운 지하수와 접촉하며 탱크(130)에서 전달된 물을 냉각시키는 열교환기(미도시)를 포함하는 냉각기(110)와, 상기 탱크(130)에서 냉각기(110)로 물을 전달하고 냉각기에서 열교환하며 차워진 물을 전달받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120)와, 돈방(10)에서 환수되는 물을 상기 냉각기(110)로 보내고, 상기 냉각기(110)에서 차가워진 냉수를 공급받는 탱크(130)와, 상기 탱크(130)에서 배출되는 냉수의 통로가 되고 공급펌프(121)의 제어에 의하여 다수의 돈방(10)으로 냉수를 공급하는 공급배관(140)과, 상기 돈방(10)에서 순환된 온수(물)를 환수하여 탱크(130)로 이송하는 환수배관(150)을 포함한다.
상기 관정(110a)은 지열을 이용하기 위하여 지하로 뚫는 관으로 200m 이상 깊이까지 들어가 통상 12℃ 내외의 지하수를 끌어올리는 통로가 된다. 관정 하부에서 올라온 물은 계절에 관계없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며, 관정 내부에 배치된 심정펌프(미도시)의 구동력에 의하여 관정 밖에 위치하며 열교환기를 포함한 냉각기(110)로 이동한다. 상기 냉각기(110)는 관정에서 올라오는 차가운 냉수가 일편에서 유입되고, 탱크(130)에서 유입되는 온수가 순환펌프(120)에 의하여 타편에서 유입되어 서로 열교환시킨다. 관정에서 올라온 차가운 냉수와 열교환한 탱크(130)에서 유입된 온수는 약 13~14℃이 된다.
돈사 주변에 땅을 천공하여 관정(110a)을 형성하고 PE수도관을 삽입하여 지열에너지를 사용하여 냉수를 얻어 냉방을 하게 되면 유지보수 비용이 적고, 장기적으로는 경제성이 높은 장점이 있으나, 초기 시공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을 수 있으므로 다른 방식의 냉각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냉각기(110)에서 열교환하여 약 13~14℃로 냉각된 냉수는 순환펌프(120)에 의해 냉각기(110)와 탱크(130) 사이를 무한 순환하며 탱크(130)에게 냉각된 냉수를 공급하여, 탱크(130)에서 공급배관(140)을 통해 돈방(10)으로 공급하는 냉수를 제공한다.
상기 공급배관(140)에서 이동하는 냉수는 약 14℃가 되며, 하나의 돈방(10)에서 다수개로 분기되어 배치되는 냉방배관(240a, 240b, 240c, 240d)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냉방배관을 갖는 공급배관(140)이 1개 이상 구비되어 탱크(130) 내부의 차가운 냉수를 각각의 돈방(10)에 공급하게 된다. 공급배관(140)의 개수는 돈사의 크기, 공급배관(140) 사이에 구비되어 물의 이동력을 제공하는 공급펌프(121)의 용량, 평균 기온, 돼지수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하여 결정된다.
본 발명의 냉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형성된 돈사는 돈방(10)이 다수개 형성되며, 각 돈방(10)에는 하부가 비어있고 상부가 메쉬망(철망) 형태로 구비되는 분뇨처리부(11)와, 상기 분뇨처리부(11) 사이에 구비되는 기둥벽(13) 상부에 휴식공간부(12)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돈사에 구비되는 하나의 돈방(10)은 대략적으로 폭이 35m, 길이가 10m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정도의 공간에는 도 2와 같이, 돼지의 분뇨가 처리되는 분뇨처리부(11) 사이에 돼지들이 휴식할 수 있는 휴식공간부(12)가 2개소 형성될 수 있다. 각 돈방(10) 사이에는 작업자가 이동하며 돈사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이동통로(20)가 구비된다.
상기 휴식공간부(12)에 의하여 분리된 각 분뇨처리부(11)에는 분뇨가 슬러리 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분뇨처리부(11)는 돼지의 분뇨가 낙하하여 저장되는 공간으로 분뇨가 어느 정도 쌓이면 외부로 배출해주고 있으며, 분뇨가 낙하하는 홈 등으로 인하여 돼지들이 누워 있거나 휴식하기 적당하지 않다. 이에 비하여 후술하는 것처럼, 휴식공간부(12)는 단면이 평평하고 별도의 홈이 없어 피부를 가압하지 않고 냉수에서 배출되는 냉기에 의하여 바닥면이 차가워 돼지에서 좋은 휴식공간이 된다.
돼지는 두꺼운 등 피부층 지방부위가 있어 겨울에는 환기시스템만 사용해도 생활하는데 불편함이 없으나, 에어컨의 냉풍만으로는 여름에 열기를 식히기 어렵다. 대신 돼지의 배 부분의 지방층은 매우 얇아 배 부분을 차갑게 해 주는 것이 돼지의 생육에 도움이 된다.
이에 본 발명은 돈방(10)의 분뇨처리부(11) 사이에 휴식공간부(12)를 형성하고, 상기 휴식공간부(12)에 냉방 바닥면인 냉방층(200)을 형성하여 돼지가 시원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건강하게 사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휴식공간부(12)는 대략적으로 폭이 3~4m, 길이가 10m로 형성되며, 내측에 지름 10~16mm의 냉방배관(240)이 약 10cm 간격으로 이격되어 지그재그로 배치된다.
상기 돈방(10)은 공기온도 또는 냉방층(200)의 바닥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온도센서(미도시)가 설치되고, 냉방배관(240)에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물의 온도를 측정하며, 공기온도 또는 냉방층의 바닥면 온도와 물의 온도에 의해 결정되는 실내온도에 의한 냉방배관(240)의 냉방운전을 제어한다.
상기 냉방배관(240)에는 공급배관(140)으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라인에 공급밸브(241)와, 온도를 감지하는 제1온도센서(242)가 구비되고, 환수배관(150)으로 물이 배출되는 라인에 온도를 감지하는 제2온도센서(243)와, 자동으로 열고 닫히는 자동밸브(244)와, 환수밸브(245)가 구비된다. 상기 자동밸브와 환수밸브는 전기적으로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적합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공급 및 환수되는 물의 온도 편차에 의해 자동밸브(244)가 온/오프되며, 자동밸브(244) 오프시 자동밸브(244)가 일정시간마다 온/오프되며 돈방(10)의 설정온도를 유지하되, 설정온도보다 낮을시에는 자동밸브(244)가 지속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공급 및 환수되는 물의 온도 편차는 150m를 기준으로 약 3도이상 차이가 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자동밸브(244)가 오프시 약 20분마다 1회씩 자동밸브(244)가 온/오프되며, 이는 돈방(10)의 설정온도에 준한다.
상기 자동밸브(244)와, 환수밸브(245)의 개폐제어의 다른 실시예는 설정된 온도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돈방의 공기 온도 또는 냉방층(200)의 바닥면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높을때에 개방하고, 설정된 온도보다 낮을 때에 폐쇄한다. 적당한 설정 온도로는 실내 공기 온도가 18℃, 냉방층(200)의 바닥면의 온도가 15℃가 될 수 있다. 실내의 설정온도는 온도센서의 높이와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3다.
상기 공급배관(14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온도는 약 14℃로 이루어지고, 냉방배관(240)을 이동하며 상기 휴식공간부(12)를 냉방하고 상기 환수배관(150)을 통해 환수되는 물의 온도는 약 16~17℃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돈방(10)에는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냉방배관(240)에 설치하는 제1온도센서(242) 및 제2온도센서(243)에서 공급되고 환수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여 자동밸브(244)에서 돈방(10)의 실내온도를 설정된 온도 이하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급밸브(241)와 환수밸브(245)는 공급배관(140)에서 냉방배관(240)으로 이송되고, 상기 냉방배관(240)에서 환수배관(150)으로 이송되는 물의 흐름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는 밸브의 자동 제어가 고장나거나 또는 온도의 극심한 상승으로 계속적인 냉수의 공급, 또는 다량의 냉수를 공급할 필요가 있을 경우를 대비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돈방(10)의 분뇨처리부(11) 사이에 구비되는 휴식공간부(12)에는 일정높이의 콘크리트층(210) 상부에 배치되는 단열재(220)와, 상기 단열재(220) 상부에 배치되는 고정용 와이어메쉬로 이루어지는 제1열전도판(230)과, 상기 공급배관(140) 및 환수배관(150)과 연결되고 상기 제1열전도판(230) 상부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냉방배관(240)과, 상기 냉방배관(240) 상부에서 접촉되게 배치되는 와이어메쉬로 이루어지는 제2열전도판(250)과, 상기 제2열전도판(250) 상부에서 타설되는 보호용 모르타르(26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냉방층(200)이 형성된다.
이하 설명에서 제시되는 수치는 대략적인 것으로 시공 상황에 따라서 변경가능하다.
상기 냉방층(200)은 최하단부에 상기 분뇨처리부(11) 사이에 형성되는 콘크리트 기둥벽(13) 상부에서 일정높이의 콘크리트층(210)이 구비되고, 상기 콘크리트(210) 상부에서 단열재(220)가 배치된다.
상기 기둥벽(13)은 두 개의 기둥벽(13) 사이가 비어있는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두 개의 기둥벽(13) 사이에 상부에서 약 15cm 높이의 콘크리트층(210)이 배치된다.
상기 콘크리트층(210) 상부에는 12mm 온도리로 이루어지는 단열재(220)가 시공되며, 상기 단열재(220) 상부에는 와이어메쉬로 이루어지는 제1열전도판(230)이 배치되고, 상기 제1열전도판(230) 상부에는 지그재그 형태로 일정간격(10cm) 이격되어 배치되는 지름이 16mm인 엑셀파이프로 이루어지는 냉방배관(240)이 배치된다.
상기 콘크리트층(210) 상부에 모르타르(260)가 타설되어 단열재(220), 제1열전도판(230), 냉방배관(240), 제2열전도판(250)이 서로 결합되며 시공이 완료되면 그 높이가 약 10cm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콘크리트층(210), 단열재(220), 제1열전도판(230), 냉방배관(240), 제2열전도판(250) 및 모르타르(260)가 결합되어 시공되는 냉방층(200)은 약 25cm의 높이를 가지게 된다.
상기 단열재(220)는 콘크리트층(210) 상부에 위치하며, 냉방배관(240) 하부로의 열손실을 방지하여 단열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제1열전도판(230) 및 제2열전도판(250)은 냉방배관(240)을 상하에서 잡아주는 고정역할하고, 상기 제2열전도판(250)은 상부에서 타설되는 모르타르(260)가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1열전도판(230) 및 제2열전도판(250)은 와이어매쉬로 이루어져 철선부분을 제외하면 빈 공극으로 되어 있어, 상부에서 타설되는 모르타르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제1열전도판(230) 및 제2열전도판(25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열전도율이 타설되는 모르타르보다 매우 높으며, 상기 냉방배관(240)과 상하에서 접촉되어 냉방배관(240)의 차가운 냉기를 주변으로 전달한다. 상기 제1열전도판(230) 및 제2열전도판(250)은 단열재(220) 위에서 넓게 퍼져 있으며, 약 10cm 간격을 갖는 냉방배관(240) 사이에도 냉기가 열전달에 의하여 퍼지도록 하여, 모르타르(260) 상면에서 냉기가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한다.
상기 모르타르(260)는 제2열전도판(250)의 제2타공(251)으로 빠져 냉방배관(240) 사이에 배치되어, 두 개의 층(260a, 260b)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돼지의 발로부터 휴식공간부(12)의 바닥면을 보호하도록 한다.
상기 모르타르(260)는 제2열전도판(250) 사이로 타설되어 제2열전도판(250)과 결합되므로, 와이어메쉬로 이루어진 제2열전도판(250)과 단단하게 결합되어, 제2열전도판(250) 상부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다. 제2열전도판(250) 위에서 모르타르(260)가 양생되어 굳어진 콘크리트층은 두께가 얇을수록 냉방배관(240)에서의 냉기를 모르타르(260)의 상부인 바닥면으로 쉽게 전달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 수 있다. 그러나 모르타르로 이루어진 콘크리트층이 얇으면 다수의 돼지들이 이동에 의하여 파손될 위험이 높아진다. 따라서, 돼지들의 움직임에도 쉽제 파손되지 않으면서 냉방배관(240)의 냉기가 쉽게 올라올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상기 제2열전도판(250)에 의하여 달성한다. 제2열전도판(250)은 모르타르(260)의 두께를 얇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냉방배관(240) 사이의 공간에서도 냉기가 퍼져 휴식공간부(12)의 바닥면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냉기가 올라오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냉방층(200)을 마감하게 되면 상기 휴식공간부(12)와 분뇨처리부(11)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돼지가 휴식공간부(12)와 분뇨처리부(11)를 이동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한다.
상기 냉방배관(240)을 상하에서 접촉하며 고정하는 제1열전도판(230)과 제2열전도판(250)은 구리 또는 알루미늄의 금속재질의 와이어메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열전도판(230) 및 제2열전도판(250)에 형성된 제1타공(231) 및 제2타공(251)의 면적은 제1열전도판(230) 및 제2열전도판(250)의 금속재질의 면적보다 크게 구비되어 냉방배관(240)의 냉기가 금속재질을 타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열전도판(230)과 제2열전도판(250)에 형성된 제1타공(231) 및 제2타공(251) 사이로 상부에서 타설되는 모르타르(260)가 관통 삽입되며, 상기 제1열전도판(230) 및 제2열전도판(250)이 냉방배관(240)과 단단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와이어메쉬로 이루어지는 제1열전도판(230)과 제2열전도판(250)을 냉방배관(240) 사이에 시공하여 열전도율을 높이고 크랙을 방지하며 바닥면을 튼튼하게 한다.
상기 모르타르(260)는 기본적으로 시멘트와 모래(규사), 물을 섞어 만들며, 이렇게 반죽된 모르타르(260)에 방수제나 급결제를 혼입하여 방수층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냉방층(200)은 상기 콘크리트층(210) 상부에 단열재(220)가 배치되고, 상기 단열재(220) 상부에는 스페이서(270)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스페이서(270) 상부에는 제1열전도판(230)이 배치되며, 상기 제1열전도판(230) 상부 그 중에서, 상기 스페이서(270)의 내측 안착면(271)에는 냉방배관(240)이 안착되고, 상기 냉방배관(240) 상부에 제2열전도판(250)이 접촉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모르타르(260)를 타설하여 냉방층(20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모르타르(260)는 제1열전도판(230)과 제2열전도판(250)의 제1타공(231)과 제2타공(251) 사이로 삽입되어 세 개의 층(260a, 260b, 260c)으로 형성되며, 단열재(220)의 상부까지 타설되어 단열재(220)와, 스페이서(270), 제1열전도판(230), 냉방배관(240), 제2열전도판(250)이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스페이서(270)는 철근 콘크리트의 기둥, 보 등의 철근에 대한 콘크리트의 피복두께를 정확하게 유지하기 위한 받침으로 모르타르제, 플라스틱제 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스페이서(270)는 내측에 형성되는 안착면(271)에 냉방배관(240)을 위치하도록 하여 냉방배관(240)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스페이서(270)는 하부에 단열재(220)와 맞닿는 스페이서 하부면(272)이 형성되고, 양측면에서 모르타르(260)와 맞닿는 스페이서 측면(27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270)는 상기 제1열전도판(230)과 냉방배관(240)이 안착면(271)에서 직접적으로 맞닿게 하며, 상기 냉방배관(240) 상부에서는 제2열전도판(250)이 맞닿아 냉기가 냉방배관(240)으로부터 휴식공간(12) 바닥면으로 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스페이서(270)는 상부에서 타설되는 모르타르(260)의 두께를 더욱 두껍게 하면서 동시에 제2열전도판(250) 상부의 모르타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돼지의 이동에도 모르타르(260)의 크랙 위험을 감소시키면서 동시에 냉방배관(240)의 냉기를 상부로 쉽게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냉방층(200)은 상기 콘크리트층(210) 상부에 단열재(220)가 배치되고, 상기 단열재(220) 상부에는 스페이서(270)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스페이서(270) 상부에는 제1열전도판(230)이 배치되며, 상기 제1열전도판(230) 상부 그 중에서, 상기 스페이서(270)의 내측 안착면(271)에는 냉방배관(240)이 안착되고, 상기 냉방배관(240) 상부에 제2열전도판(250)이 접촉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열전도판(250)의 상부에는 서로 이격되어 다수개로 존재하고, 상기 제2열전도판(250)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냉방배관(240)의 상부에서 대응하게 마련되어 제2열전도판(250)으로부터 냉기를 전도받으며, 상기 냉방배관(240) 및 제2열전도판(250)에서 방출하는 냉기를 보관하는 냉주머니(281)가 내부에 형성된 축열판(280)을 포함한다. 그리고, 모르타르(260)를 타설하여 결합함으로써, 냉방층(20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축열판(280)은 단면이 개방된 하부를 갖는 'ㄷ'자 형상이며, 상기 냉주머니(281)는 제2열전도판(250)의 제2타공(251)을 경유하여 냉방배관(240)과 직접 맞닿고, 상기 축열판(280)의 상판(282)은 상기 냉방배관(240)의 직경보다 긴 폭의 평평한 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냉방배관(240)의 냉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고 냉주머니(281)에서 잘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축열판(280)의 하부에 형성되는 냉주머니(281)는 내부가 빈 중공으로 공기층으로 형성하면서도 하부가 제2열전도판(250)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안정되게 배치되고, 상부에서 타설되는 모르타르(260)에 의하여 좌우 이동없이 냉방배관(240) 상부에서 고정된다. 축열판(280)과 제2열전도판(25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제2열전도판(250)에는 축열판 측면(283) 하단이 삽입되는 위치에 측면삽입홈(미도시)을 형성하여 각 축열판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삽입홈은 금속재질의 축열판(280)과 제2열전도판(250)의 열전도를 촉진하여 축열판으로의 냉방배관(240)의 냉기가 더욱 쉽게 이동한다.
또한, 상기 축열판(280)의 상부를 형성하는 평평한 판의 상판(282)은 하부의 냉주머니(281)에서 모아진 냉기 및 냉방배관(240)에서 전도된 냉기를 넓은 면적으로 배출할 수 있고, 상기 모르타르(260)의 상단이면서 휴식공간부(12)의 바닥면과의 간격을 더욱 줄일 수 있어, 냉방배관(240)에서 배출된 냉기가 바닥면 전체에서 강하게 전달한다.
이와 같이 상기 축열판(280)은 내측에 빈공간으로 냉기를 보관하는 냉주머니(281)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냉방배관(240)의 직경보다 긴 폭을 갖는 상판(282)이 형성되고, 양측에 축열판 측면(283)이 형성되어 제2열전도판(250)의 측면삽입홈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축열판(280)은 전방과 후방이 개방된 형태이며, 시공시 타설되는 모르타르(260)에 의하여 개방된 전방과 후방이 폐쇄되어 내부가 중공의 공기층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제2열전도판(250)에 형성된 제2타공(251)과 제1열전도판(230)에 형성된 제1타공(231)으로 타설되는 모르타르(260)가 통과하여 상기 모르타르(260)는 세 개의 층(260a, 260b, 260c)으로 형성된다.
상기 냉방배관(240)은 냉수가 이동하며 주변부에 냉기를 전달하는 엑셀파이프 관으로 이루어져 단열재(220)와 제1열전도판(230) 위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되, 약 10cm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방배관(240)은 상부에 접촉되게 배치된 제2열전도판(250)으로 냉기가 신속하게 이동하게 되며 상기 제2열전도판(250) 상부에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축열판(280)을 배치하므로 휴식공간(12) 전체에서 냉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평평한 상판(282)에서 넓게 냉기가 배출되며, 상기 냉방배관(240)에서 방출되는 냉기가 방사상으로 방출되지 않고 열전도율이 높은 상부로 집중되므로 효율이 매우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방배관(240)은 급속하게 기온이 상승하는 경우에 보다 신속하게 휴식공간부(12)의 온도를 차갑게 하고, 이후 전체적으로 냉기가 전달하게 하는데 유용하다. 휴식공간부(12)의 바닥면과 근접한 축열판(280)이 배치한 공간부터 신속하게 차갑게 한 이후에 축열판(280)의 측면(283) 및 제2열전도판(250)에서 배출되는 냉기에 의하여 축열판(280) 사이 공간이 차가워져, 냉방배관(240)에 냉수가 공급된 시점에는 바닥면의 불균일성이 있지만, 다수의 공간이 차갑게 되고 전체적인 냉기로 신속하게 바닥면 전체가 차가워져 궁극적으로 바닥면의 냉기가 균일하게 되며, 이러한 바닥면의 냉기 균일성은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보다도 신속하게 발생한다.
또한, 상기 제1열전도판(230) 및 제2열전도판(250)은 제1타공(231) 및 제2타공(251)이 어레이 형식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므로 타공 속으로 모르타르(260)가 빈틈없이 통과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열전도판(230) 및 제2열전도판(250)은 본 발명의 시공 효율을 매우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열전도판(230) 및 제2열전도판(250)은 제1타공(231) 및 제2타공(251)의 면적이 금속재질이 배치된 면적보다 4 ~ 15 배 정도가 적당하다. 통공의 면적이 금속재질의 면적보다 4배 이하로 적게 되면 모르타르(260)가 제1열전도판(230) 및 제2열전도판(250) 하단에서 골고루 타설되지 않아 냉방층(200)의 결합력이 저하되고, 통공의 면적이 금속재질의 면적보다 15배 이상 크게 되면 열전도율이 낮아져서 휴식공간(12) 전체에서 냉기가 전달이 되지 않는다.
상기 모르타르(260)의 상단은 방바닥 표면에 해당되며 타설 후 굳어지면 공사가 마무리 된다.
한편, 상기 축열판(280)은 상기 제2열전도판(250)의 상부에 배치되되, 다수개의 축열판(280)이 냉방배관(240) 상부에서 서로 이격되어 냉방배관(2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이격된 사이로 타설된 모르타르(260)가 들어가 상기 축열판(280), 제2열전도판(250), 냉방배관(240) 및 제1열전도판(230)을 밀접하게 결합한다. 타설된 모르타르(260)는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지 못하므로 상기 냉주머니(281)의 내부로는 모르타르(260)가 들어가지 못하고(일부는 들어감) 전후방면의 개방된 면을 막아준다. 타설된 모르타르(260)에 의하여 축열판(280)은 전후방면이 폐쇄되고 하면이 제2열전도판(250)의 제2타공(251)에 의하여 개방되어 냉주머니(281)의 하면은 제2타공(251)을 경유하여 냉방배관(240)과 직접 맞닿게 되어 냉기를 담지하는 냉주머니(281)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냉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형성된 돈사는 돈사의 돈방(10)에서 분뇨가 처리되는 분뇨처리부(11)의 사이에 돼지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휴식공간부(12)을 형성하고, 상기 휴식공간부(12)의 바닥면에서 일정높이의 콘크리트층(210) 상부에 단열재(220)를 배치하고, 단열재(220) 상부에 고정용 와이어메쉬로 이루어지는 제1열전도판(230)을 배치하며, 상기 제1열전도판(230) 상부에 냉방배관(240)을 배치하고, 상기 냉방배관(240) 상부에 제2열전도판(250)을 배치하고, 보호용 모르타르(260)를 타설하여 냉방층(200)을 형성하며, 관정(110a)에서 지열을 이용해 냉각된 물을 상기 공급배관(140)을 이용해 냉방배관(240)으로 공급하고 환수배관(150)을 이용해 환수하여 휴식공간부(12)의 바닥면을 설정온도로 유지하며 냉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돼지가 분뇨처리부(11)이 아닌 휴식공간부(12)에서 시원하고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방에 의해 분진이 발생되지 않아 호흡기로 영향을 받지 않고 지방이 적은 배 부분의 피부에서 직접적으로 냉기를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여름철에도 돼지를 건강하게 사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관정(110a)에서 지열을 이용하여 물을 냉각시켜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 비용이 적고, 경제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냉방배관(240) 상부와 하부에 접촉되게 배치되는 제1열전도판(230) 및 제2열전도판(250)에 의해 휴식공간부(12) 바닥면 전체에 빠르게 냉기를 전달함으로써, 휴식공간부(12) 표면이 신속하게 냉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열전도판(230) 및 제2열전도판(250)의 제1타공(231) 및 제2타공(251)으로 타설된 모르타르(260)가 통과될 수 있어 작업현장에서 냉방배관(240) 아래 위로 제1열전도판(230) 및 제2열전도판(250)을 배치시킨 후에 모르타르(260)를 부어 시공함으로써 냉방층(200)의 고정력을 높이고, 균열을 방지하며,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냉방배관(240)과 제1열전도판(230) 하부에 스페이서(270)를 배치하여 냉방배관(240)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냉방배관(240)과 제1열전도판(230)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냉방배관(240) 상부에 배치되는 제2열전도판(250) 상부에 축열판(280)을 배치하여 냉방배관(240)에서 발산되는 냉기를 상부에 배치되는 축열판(280)의 내측 냉주머니(281)에서 저장하여 휴식공간부(12)의 바닥면에서 냉기를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이 높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냉방배관(240)의 공급라인과 환수라인에 제1온도센서(242) 및 제2온도센서(243)를 장착하여 설정온도에 따라 냉방배관(240)의 공급밸브(241)와 환수밸브(245)를 열고 닫아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
10 : 돈방 11 : 분뇨처리부
12 : 휴식공간부 13 : 기둥벽
100 : 냉방시스템
110 : 냉각기 110a : 관정
120 : 순환펌프 130 : 탱크
140 : 공급배관 150 : 환수배관
200 : 냉방층
210 : 콘크리트층 220 : 단열재
230 : 제1열전도판 231 : 제1타공
240 : 냉방배관 241 : 공급밸브
242 : 제1온도센서 243 : 제2온도센서
244 : 자동밸브 245 : 환수밸브
250 : 제2열전도판 251 : 제2타공
260 : 모르타르 270 : 스페이서
271 : 안착면 272 : 스페이서 하부면
273 : 스페이서 측면 280 : 축열판
281 : 냉주머니 282 : 상판
283 : 축열판 측면

Claims (9)

  1. 관정에서 유입된 차가운 물과 열교환하며 탱크(130)에서 유입되는 물을 냉각하는 냉각기(110)와;
    상기 냉각기(110)와 탱크(130) 사이에서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120)와;
    돈방(10)에서 환수되는 물을 상기 냉각기(110)로 보내고, 상기 냉각기(110)의 차가운 냉수를 공급받는 탱크(130)와;
    상기 탱크(130)에서 배출되는 냉수의 통로가 되고 다수의 돈방(10)으로 냉수를 공급하는 공급배관(140)과;
    상기 돈방(10)에서 순환된 물을 환수하여 상기 탱크(130)로 이송하는 환수배관(150);을 포함하는 냉방시스템(100)이 형성되되;
    상기 돈방(10)의 분뇨처리부(11) 사이에 구비되는 휴식공간부(12)는 콘크리트층(210) 상부에 배치되는 단열재(220)와, 상기 단열재(220) 상부에 배치되는 와이어메쉬로 이루어지는 제1열전도판(230)과, 상기 공급배관(140) 및 환수배관(150)과 연결되고 상기 제1열전도판(230) 상부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냉방배관(240)과, 상기 냉방배관(240) 상부에서 접촉되게 배치되는 와이어메쉬로 이루어지는 제2열전도판(250)과, 상기 제2열전도판(250) 상부에서 타설하는 보호용 모르타르(26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냉방층(200)이 형성되되;
    상기 단열재(220) 상부에는 스페이서(270)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스페이서(270) 상부에는 제1열전도판(230)이 배치되며, 상기 제1열전도판(230) 상부 상기 스페이서(270)의 내측 안착면(271)에는 냉방배관(240)이 안착되고, 상기 냉방배관(240) 상부에 제2열전도판(250)이 접촉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2열전도판(250)의 상부에는 서로 이격되어 다수개로 존재하고, 상기 제2열전도판(250)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냉방배관(240)의 상부에서 대응하게 마련되어 제2열전도판(250)와 접촉되어 냉기를 전도받으며, 상기 냉방배관(240) 및 제2열전도판(250)에서 방출하는 냉기를 보관하는 냉주머니(281)가 내부에 형성된 축열판(280)을 포함하는 냉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형성된 돈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방층(200)의 상단인 상기 휴식공간부(12)의 바닥면과 분뇨처리부(11)의 바닥면의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냉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형성된 돈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방배관(240)에는 공급배관(140)으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라인에 공급밸브(241)와, 공급된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온도센서(242)가 구비되고, 환수배관(150)으로 물이 배출되는 라인에 환수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온도센서(243)와,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열고 닫히는 자동밸브(244) 및 환수밸브(245)가 구비되는 냉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형성된 돈사.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밸브(244)는 일정시간마다 온/오프를 반복하되, 상기 돈방(10)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보다 낮을시에는 자동밸브(244)가 계속하여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냉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형성된 돈사.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판(280)은 단면이 개방된 하부를 갖는 'ㄷ'자 형상이며,
    상기 냉주머니(281)는 제2열전도판(250)의 제2타공(251)을 경유하여 냉방배관(240)과 직접 맞닿고,
    상기 축열판(280)의 상판(282)은 평평한 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냉방배관(240)의 직경보다 긴 폭으로 이루어지는 냉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형성된 돈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전도판(230) 및 제2열전도판(250)은 구리 또는 알루미늄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열전도판(230) 및 제2열전도판(250)에 형성된 제1타공(231) 및 제2타공(251)의 면적은 제1열전도판(230) 및 제2열전도판(250)의 금속재질의 면적보다 큰 냉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형성된 돈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전도판(250)에는 상기 축열판(280)의 축열판 측면(283)이 삽입되는 측면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모르타르(260)의 타설에 의하여 상기 축열판(280)의 전방과 후방이 폐쇄되어 축열판(280) 하부에 공기층이 형성되는 냉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형성된 돈사.
KR1020200066441A 2020-06-02 2020-06-02 냉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형성된 돈사 KR102181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441A KR102181309B1 (ko) 2020-06-02 2020-06-02 냉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형성된 돈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441A KR102181309B1 (ko) 2020-06-02 2020-06-02 냉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형성된 돈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1309B1 true KR102181309B1 (ko) 2020-11-20

Family

ID=73697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441A KR102181309B1 (ko) 2020-06-02 2020-06-02 냉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형성된 돈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3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1370A (ko) * 2020-11-24 2022-05-3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도와 습도 조절이 용이한 축사 시스템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2236A (ja) * 1996-02-16 1997-08-26 Inax Corp 床冷暖房構造体の構築方法
KR200343209Y1 (ko) * 2003-12-03 2004-02-27 노은래 돈사의 배기시스템
JP2005192486A (ja) * 2004-01-07 2005-07-21 Showa Rubber Co Ltd 通水マットおよび畜舎
JP2006046807A (ja) * 2004-08-05 2006-02-16 Yamadai Kiden Kk 地下水を利用した路面冷却システム
KR200410652Y1 (ko) 2005-12-15 2006-03-09 워터테크 코리아 주식회사 축사 온도습도 조절장치
KR100885974B1 (ko) 2007-04-11 2009-02-26 오평원 지하공기를 이용한 축사의 냉난방장치
KR20110052818A (ko) * 2009-11-13 2011-05-19 양태허 다중 관로에 의하여 온도차를 가진 유체를 역전달하는 흡열장치 또는 방열장치
KR101115593B1 (ko) 2009-04-10 2012-03-05 한동균 축사용 냉,난방장치
KR20170079532A (ko) * 2015-12-30 2017-07-10 (주)에이피 팬코일 유닛을 구비하는 냉난방 시스템의 냉온수 유량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2236A (ja) * 1996-02-16 1997-08-26 Inax Corp 床冷暖房構造体の構築方法
KR200343209Y1 (ko) * 2003-12-03 2004-02-27 노은래 돈사의 배기시스템
JP2005192486A (ja) * 2004-01-07 2005-07-21 Showa Rubber Co Ltd 通水マットおよび畜舎
JP2006046807A (ja) * 2004-08-05 2006-02-16 Yamadai Kiden Kk 地下水を利用した路面冷却システム
KR200410652Y1 (ko) 2005-12-15 2006-03-09 워터테크 코리아 주식회사 축사 온도습도 조절장치
KR100885974B1 (ko) 2007-04-11 2009-02-26 오평원 지하공기를 이용한 축사의 냉난방장치
KR101115593B1 (ko) 2009-04-10 2012-03-05 한동균 축사용 냉,난방장치
KR20110052818A (ko) * 2009-11-13 2011-05-19 양태허 다중 관로에 의하여 온도차를 가진 유체를 역전달하는 흡열장치 또는 방열장치
KR20170079532A (ko) * 2015-12-30 2017-07-10 (주)에이피 팬코일 유닛을 구비하는 냉난방 시스템의 냉온수 유량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1370A (ko) * 2020-11-24 2022-05-3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도와 습도 조절이 용이한 축사 시스템
KR102507844B1 (ko) 2020-11-24 2023-03-0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도와 습도 조절이 용이한 축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77229A (en) Livestock confinement house with improved environmental control
CN204721989U (zh) 冬夏兼适用的控温猪舍
US8397677B2 (en) Thermal conductive cooling method and system for livestock farm operations
US3601096A (en) Ventilating and temperature control system
CN208402868U (zh) 一种土鸡饲养用的降温装置
KR20190109085A (ko) 사육환경 조절 설비를 갖는 축사시설물
KR20130049790A (ko) 흡입 배출식 전기 냉 온풍 장치
KR102181309B1 (ko) 냉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형성된 돈사
KR200472071Y1 (ko) 미래형 우사
CN204697692U (zh) 温控猪舍
Arcidiacono Engineered solutions for animal heat stress abatement in livestock buildings.
KR101922229B1 (ko) 지상식 하우스 축사 자동화 시스템
KR20100048682A (ko) 냉/난방장치
RU2308828C1 (ru) Система поения животных охлажденной водой
CN211983169U (zh) 一种具有温度控制装置的猪舍
CN214065122U (zh) 一种透气效果好的地板辐射冷暖系统
CN207340921U (zh) 一种利用熔盐蓄能的养殖圈舍中央空调系统
RU69703U1 (ru) Тепловая секция родильного отделения свинокомплекса
KR102087400B1 (ko) 축사용 환기 냉/난방 제어시스템
RU2076282C1 (ru) Система вентиляции помещений содержания животных или птиц
CN219042513U (zh) 一种具有温度调节功能的生猪养殖用猪舍
JP2008281285A (ja) 空気調和システム及び建物
KR200220553Y1 (ko) 축사용 바닥재
JP2008148557A (ja) エアコン付ペットハウス
KR101486672B1 (ko) 축사 냉난방 기능을 갖는 축분 집합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