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8759B1 - 보일러의 안전운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보일러의 안전운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8759B1
KR101318759B1 KR1020120094810A KR20120094810A KR101318759B1 KR 101318759 B1 KR101318759 B1 KR 101318759B1 KR 1020120094810 A KR1020120094810 A KR 1020120094810A KR 20120094810 A KR20120094810 A KR 20120094810A KR 101318759 B1 KR101318759 B1 KR 101318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ipe
combustion
blocked
uni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희
권기출
이헌재
주기동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4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87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6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1Guiding means
    • F24H9/0026Guiding means in combustion gas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는 보일러의 안전운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일러 내 제어부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의한 난방 또는 온수모드에 대응하는 연소지시신호가 입력되어 허가명령신호가 출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연소지시 허가가 있으면 송풍팬을 구동시키고 연소부를 통해 난방 및 온수모드에 따른 연소를 실시하는 단계와; 제어부 내 배기관 막힘 판단부를 통해 연소중 정해진 시간 동안 배기관이 막혔는지를 1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정해진 시간동안 배기관의 막힘 여부를 1차 판단한 결과 배기관이 막힌 것으로 판단되면 연소부의 연소를 중지시키고 배기관 막힘 횟수 카운터를 클리어시키는 단계와; 송풍팬의 회전수를 점화전 연소부 및 배기관 내에 잔존하는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동시키는 회전수(Rc)로 구동시키는 단계와; 다시 배기관 막힘 판단부를 통해 정해진 시간 동안 배기관이 막혔는지를 2차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배기관의 막힘 오검지로 인한 에러 발생 및 그로 인한 소비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어 보일러 자체의 상품성과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보일러의 안전운전 제어방법{Control method for safety operation of boiler}
본 발명은 보일러의 안전운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일러의 작동 중 배기관 막힘을 연소 중에만 판단하지 않고, 연소 중에 배기관 막힘이 검지되면 안전을 위해 우선 연소를 중지한 후 송풍팬만 가동하면서 배기관이 막혔는지를 재차 판단하는 방식을 통해 안전성을 강화하고, 상기와 같이 연소를 중지하고 송풍팬만 가동하는 도중에 배기관이 막혔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도 송풍팬의 회전수를 일순간 변경하여 소정의 횟수 동안 반복 확인하는 방식을 통해 배기관의 막힘 오검지로 인한 에러 발생을 줄여 소비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Boiler)는, 석유나 석탄 및 가스 등을 연료로 사용하여 이를 연소시키거나 히터에 전기를 공급시켜 발생되는 연소열 및 전열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여 각종 난방시설 등에 더운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물을 끓이는 시설을 말하며, 주택용 보일러의 경우에는 실내의 바닥 등에 설치된 배관에 더운물을 공급하여 난방을 하거나, 급수관을 통해 온수의 공급 등에 사용되어 지고 있다.
통상 난방/온수 겸용 보일러에서 난방모드가 작동되면 순환펌프가 작동되어 난방수가 이송되고, 난방수는 주열교환기에서 가열되어 3방밸브를 거쳐 다수의 방으로 이루어진 난방부하(즉, 난방배관)로 이송되어 난방이 이루어진다.
또한, 온수의 공급은 3방밸브에서 난방부하 측으로 연결되는 경로를 차단하고 급탕열교환기 측으로 연결되는 경로를 개방시켜 주열교환기에서 데워진 난방수를 급탕열교환기측으로 이송시킴으로써 상기 급탕열교환기에서 직수와 난방수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져 온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종래 대부분의 보일러는 각 연소 행정을 이행하는 초기 상태 즉, 점화하기 직전에 배기가 막혔는지를 체크하는 제1 배기폐쇄 체크와, 점화 이후 연소 중에 배기가 막혔는지를 체크하는 제2 배기폐쇄 체크를 하여, 역풍 또는 연도 부식 등으로 배기폐쇄가 검지되면 에러 등을 표시함은 물론 안전정지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배기관 막힘 체크방법에 있어서, 점화 후 연소 중에 행하는 제2 배기폐쇄 체크는 점화 후 연소하는 도중의 경우에만 배기가 막혔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예기치 못한 환경 등에 따라 실제로는 배기가 막혔지만 배기가 막히지 않았다고 오검지할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와 같이 배기관의 막힘 체크에 대한 오검지가 발생될 경우 CO 농도가 높아질 수 있고, 실제로 배기관이 막히지 않았지만 배기관이 막혔다고 오검지할 경우 잦은 에러 발생으로 소비자의 불편이 우려되는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512494호(2005년 08월 29일)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284938호(2000년 12월 26일)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243898호(1999년 11월 18일) 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특0145837호(1996년 12월 19일) 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302274호(2001년 07월 02일) 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216009호(1999년 05월 26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보일러의 연소부 점화 후 연소 중에 역풍 또는 배기관이 막혔다고 판단되면 연소를 정지하고 송풍팬만 가동하여 배기관 막힘을 재차 확인하는 과정을 추가하여, 연소 중지 후 송풍팬만 가동할 때도 배기관이 막혔다고 판단이 되면, 보다 확실하게 배기관 막힘을 판단하기 위해 송풍팬 회전수를 일순간 변경했다가 재차 송풍팬만 가동상태를 유지하면서 배기관이 막혔는지 재체크하되, 상기와 같이 송풍팬만 가동하여 배기관이 막혔다고 판단하는 과정과 송풍팬 회전수를 잠시 변경하는 과정을 소정의 횟수 동안 반복하여도 배기관이 막혔다고 판단이 되면 최종적으로 에러 메시지를 발생함은 물론 보일러를 안전 정지하고, 상기 과정 중에서 배기가 막히지 않았다고 판단이 되면 정상적인 연소를 이행시켜 줌으로써 배기관의 막힘 오검지로 인한 에러 발생 및 그로 인한 소비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어 보일러 자체의 상품성과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보일러의 안전운전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일러 내 제어부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의한 난방 또는 온수모드에 대응하는 연소지시신호가 입력되어 허가명령신호가 출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연소지시 허가가 있으면 송풍팬을 구동시키고 연소부를 통해 난방 및 온수모드에 따른 연소를 실시하는 단계와; 제어부 내 배기관 막힘 판단부를 통해 연소중 정해진 시간 동안 배기관이 막혔는지를 1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정해진 시간동안 배기관의 막힘 여부를 1차 판단한 결과 배기관이 막힌 것으로 판단되면 연소부의 연소를 중지시키고 배기관 막힘 횟수 카운터를 클리어시키는 단계와; 송풍팬의 회전수를 점화전 연소부 및 배기관 내에 잔존하는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동시키는 회전수(Rc)로 구동시키는 단계와; 다시 배기관 막힘 판단부를 통해 정해진 시간 동안 배기관이 막혔는지를 2차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1차 또는 2차 정해진 시간 동안 각각 배기관이 막혔는지 판단한 결과 배기관이 막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초기 연소지시신호가 입력되어 허가명령신호가 출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기관 막힘 판단부는 송풍팬에 지시한 지시치 대비 송풍팬의 회전수를 비교하여 배기관이 막혔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에서 2차적으로 배기관이 막혔는지 판단한 결과 배기관이 막힌 것으로 판단될 경우, 배기관 막힘 횟수 카운터 값을 1회 증가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기관 막힘 횟수 카운터에서 카운팅된 값이 정해진 값(n)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그 미만이면 송풍팬의 회전수를 점화전 연소부 및 배기관 내에 잔존하는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동시키는 회전수(Rc)로 구동시키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배기관 막힘 횟수 카운터에서 카운팅된 값이 정해진 값(n) 이상이면 표시부에 배기관 막힘 에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에서 2차적으로 배기관이 막혔는지 판단한 결과 배기관이 막힌 것으로 판단될 경우 배기관 막힘 횟수 카운터 값을 1회 증가시키기에 앞서, 송풍팬의 회전수를 점화전 연소부 및 배기관 내에 잔존하는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동시키는 회전수(Rc)보다 정해진 비율(±a)만큼 강제로 감소시켜 오검지를 방지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송풍팬의 회전수를 점화전 연소부 및 배기관 내에 잔존하는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동시키는 회전수(Rc)는 공연비 제어시보다는 높은 회전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배기관 막힘 상태를 판단하는 정해진 시간은 각각 90∼180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배기관 막힘 횟수 카운터에서 카운팅된 값과 비교되는 정해진 값(n)은 3∼5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송풍팬의 회전수를 점화전 연소부 및 배기관 내에 잔존하는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동시키는 회전수(Rc)보다 강제로 감소시키는 정해진 비율(±a)은 ±0.5 ∼ ±0.8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보일러의 연소부 점화 후 연소 중에 역풍 또는 배기관이 막혔다고 판단되면 연소를 정지하고 송풍팬만 가동하여 배기관 막힘을 재차 확인하는 과정을 추가하여, 연소 중지 후 송풍팬만 가동할 때도 배기관이 막혔다고 판단이 되면, 보다 확실하게 배기관 막힘을 판단하기 위해 송풍팬 회전수를 일순간 강제로 변경했다가 재차 송풍팬만 가동상태를 유지하면서 배기관이 막혔는지 재체크하되, 상기와 같이 송풍팬만 가동하여 배기관이 막혔다고 판단하는 과정과 송풍팬 회전수를 잠시 변경하는 과정을 소정의 횟수 동안 반복하여도 배기관이 막혔다고 판단이 되면 최종적으로 에러 메시지를 발생함은 물론 보일러를 안전 정지하고, 상기 과정 중에서 배기가 막히지 않았다고 판단이 되면 정상적인 연소를 이행시켜 줌으로써 배기관의 막힘 오검지로 인한 에러 발생 및 그로 인한 소비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어 보일러 자체의 상품성과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보일러의 개략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보일러의 개략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보일러 내 제어부(1)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의한 난방 또는 온수모드에 대응하는 연소지시신호가 입력되어 허가명령신호가 출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와;
연소지시 허가가 있으면 송풍팬(2)을 구동시키고 연소부(3)를 통해 난방 및 온수모드에 따른 연소를 실시하는 단계(S2)와;
제어부(1) 내 배기관 막힘 판단부(11)를 통해 연소중 정해진 시간(t) 동안 배기관이 막혔는지를 1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S3)와;
상기에서 정해진 시간(t) 동안 배기관의 막힘 여부를 1차 판단한 결과 배기관이 막힌 것으로 판단되면 연소부(3)의 연소를 중지시키고 배기관 막힘 횟수 카운터(12)를 클리어시키는 단계(S4)와;
송풍팬(2)의 회전수를 점화전 연소부(3) 및 배기관 내에 잔존하는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동시키는 회전수(Rc)로 구동시키는 단계(S5)와;
다시 배기관 막힘 판단부(11)를 통해 정해진 시간(t) 동안 배기관이 막혔는지를 2차 판단하는 단계(S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1차 또는 2차 정해진 시간(t) 동안 각각 배기관이 막혔는지 판단(S3)(S6)한 결과 배기관이 막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초기 연소지시신호가 입력되어 허가명령신호가 출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기관 막힘 판단부(11)는 송풍팬(2)에 지시한 지시치 대비 실제 송풍팬의 회전수를 비교하여 배기관이 막혔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에서 2차적으로 배기관이 막혔는지 판단(S6)한 결과 배기관이 막힌 것으로 판단될 경우,
배기관 막힘 횟수 카운터(12) 값을 1회 증가시키는 단계(S8)와;
상기 배기관 막힘 횟수 카운터(12)에서 카운팅된 값이 정해진 값(n) 이상인지를 판단(S9)하여 그 미만이면 송풍팬(2)의 회전수를 점화전 연소부 및 배기관 내에 잔존하는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동시키는 회전수(Rc)로 구동시키는 단계(S5)로 되돌아가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배기관 막힘 횟수 카운터(12)에서 카운팅된 값이 정해진 값(n) 이상이면 표시부(4)에 배기관 막힘 에러를 표시하는 단계(S10);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에서 2차적으로 배기관이 막혔는지 판단한 결과 배기관이 막힌 것으로 판단될 경우 배기관 막힘 횟수 카운터(12) 값을 1회 증가시키기에 앞서,
송풍팬(2)의 회전수를 점화전 연소부 및 배기관 내에 잔존하는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동시키는 회전수(Rc)보다 정해진 비율(±a)만큼 강제로 감소시켜 오검지를 방지하는 단계(S7);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송풍팬(2)의 회전수를 점화전 연소부 및 배기관 내에 잔존하는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동시키는 회전수(Rc)는 공연비 제어시보다는 높은 회전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배기관 막힘 상태를 판단하는 정해진 시간(t)은 각각 90∼180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배기관 막힘 횟수 카운터(12)에서 카운팅된 값과 비교되는 정해진 값(n)은 3∼5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송풍팬(2)의 회전수를 점화전 연소부 및 배기관 내에 잔존하는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동시키는 회전수(Rc)보다 강제로 감소시키는 정해진 비율(±a)은 ±0.5 ∼ ±0.8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13은 송풍팬 입력부이고, 14는 송풍팬 지시부이며, 15는 연소처리 및 열량 계산부이고, 16은 에러 처리부이며, 31은 송풍팬 구동부이다.
이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 방법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보일러 내 제어부(1)에서는 통상시 사용자의 요구에 의한 난방 또는 온수모드에 대응하는 연소지시신호가 입력되어 허가명령신호가 출력되는지를 판단(S1)하여, 연소지시 허가가 있으면 송풍팬(2)을 구동시키고 연소부(3)를 통해 난방 및 온수모드에 따른 연소를 실시하게 된다(S2).
이때, 상기 연소부(3)의 점화전 송풍팬(2)을 먼저 구동시키는 이유는, 연소부 및 배기관 내에 잔존할 수 있는 가스 및 각종 이물질 등을 외부로 강제로 배출시키기 위해 실시하는 것으로 상기 송풍팬(2)의 회전수는 보일러의 기종별로 상이한데, 통상 정상적인 공연비 제어시보다 높은 회전수(Rc)를 갖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1) 내 배기관 막힘 판단부(11)에서는 상기와 같이 연소부(3)가 연소를 실시하고 있는 도중 정해진 시간(t) 동안 송풍팬(2)에 지시한 지시치 대비 실제 송풍팬의 회전수를 비교하여 배기관이 막혔는지 여부를 1차적으로 판단하게 된다(S3).
상기와 같이 정해진 시간(t) 동안 배기관의 막힘 여부를 1차 판단한 결과, 배기관이 막힌 것으로 판단되면 일단 연소부(3)의 연소는 중지시키고 배기관의 막힘 상태 검출 횟수를 카운팅하는 배기관 막힘 횟수 카운터(12)를 클리어(S4)시킨 다음, 배기관이 막힌 상태로 1차 판단된 것 자체가 오검지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송풍팬(2)의 회전수를 점화전 연소부(3) 및 배기관 내에 잔존하는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동시키는 회전수(Rc)로 구동시키게 된다(S5).
상기와 같이 송풍팬(2)을 점화전 연소부(3) 및 배기관 내에 잔존하는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회전수(Rc)로 구동시키면서, 배기관이 순간적인 역풍이나 이물질에 의해 막힌 것으로 오인 판단된 상태인지를 재차 확인하기 위하여 다시 배기관 막힘 판단부(11)를 통해 정해진 시간(t) 동안 배기관이 막혔는지를 2차적으로 판단하게 된다(S6).
물론, 상기에서 1차 또는 2차 정해진 시간(t) 동안 각각 배기관이 막혔는지 판단(S3)(S6)한 결과, 배기관이 막히지 않은 상태로 판단된 경우에는, 초기 연소지시신호가 입력되어 허가명령신호가 출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로 되돌아가 그이후를 반복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2차적으로 배기관이 막혔는지 판단(S6)한 결과 배기관이 막힌 것으로 판단될 경우, 2차 판단 역시 오검지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송풍팬(2)의 회전수를 점화전 연소부 및 배기관 내에 잔존하는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동시키는 회전수(Rc)보다 정해진 비율(±a)만큼 강제로 감소시켜 구동시키게 된다(S7).
상기와 같이 송풍팬(2)의 회전수를 점화전 연소부 및 배기관 내에 잔존하는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동시키는 회전수(Rc)보다 정해진 비율(±a)만큼 강제로 감소시켜 구동시키면서, 상기 제어부(1)는 배기관 막힘 횟수 카운터(12) 값을 1회 증가(S8)시킨 다음, 상기 배기관 막힘 횟수 카운터(12)에서 카운팅된 값이 정해진 값(n) 이상인지를 판단(S9)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배기관 막힘 횟수 카운터(12)에서 카운팅된 값이 정해진 값(n) 이상인지를 판단한 결과 정해진 값(n) 미만이면 송풍팬(2)의 회전수를 점화전 연소부 및 배기관 내에 잔존하는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동시키는 회전수(Rc)로 구동시키는 단계(S5)로 되돌아가고, 배기관 막힘 횟수 카운터(12)에서 카운팅된 값이 정해진 값(n) 이상이면 표시부(4)에 배기관 막힘 에러를 표시(S10)해 줌으로써 보일러의 사용자 또는 점검자가 현재 배기관이 막혀 연소가 정지된 상태임을 정확히 인식하고 필요한 조치를 즉각 취할 수 있어 배기관의 막힘 오검지로 인한 에러 발생 및 그로 인한 소비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일러 자체의 상품성과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배기관 막힘 상태를 판단하는 정해진 시간(t)은 보일러 기종별로 또는 배기관의 설치 형태나 주변환경 등에 따라 임으로 설정할 수 있는데, 통상 90∼180초 시간 동안 판단하면 역풍 등에 의해 배기관이 일시적으로 막힌 것으로 오검지되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배기관 막힘 횟수 카운터(12)에서 카운팅된 값과 비교되는 정해진 값(n) 역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3∼5회로 설정하였다.
또한, 상기 송풍팬(2)의 회전수를 점화전 연소부 및 배기관 내에 잔존하는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동시키는 회전수(Rc)보다 강제로 감소시키는 정해진 비율(±a) 역시 보일러 기종별로 또는 배기관의 설치 형태나 주변환경 등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0.5 ∼ ±0.8배의 비율을 갖도록 설정하였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한 실시 예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제어부
11 : 배기관 막힘 판단부 12 : 배기관 막힘 횟수 카운터
13 : 송풍팬 입력부 14 : 송풍팬 지시부
15 : 연소처리 및 열량 계산부 16 : 에러 처리부
2 : 송풍팬
3 : 연소부 31 : 송풍팬 구동부
4 : 표시부

Claims (9)

  1. 보일러 내 제어부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의한 난방 또는 온수모드에 대응하는 연소지시신호가 입력되어 허가명령신호가 출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연소지시 허가가 있으면 송풍팬을 구동시키고 연소부를 통해 난방 및 온수모드에 따른 연소를 실시하는 단계와;
    제어부 내 배기관 막힘 판단부를 통해 연소중 정해진 시간 동안 배기관이 막혔는지를 1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정해진 시간동안 배기관의 막힘 여부를 1차 판단한 결과 배기관이 막힌 것으로 판단되면 연소부의 연소를 중지시키고 배기관 막힘 횟수 카운터를 클리어시키는 단계와;
    송풍팬의 회전수를 점화전 연소부 및 배기관 내에 잔존하는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동시키는 회전수(Rc)로 구동시키는 단계와;
    다시 배기관 막힘 판단부를 통해 정해진 시간 동안 배기관이 막혔는지를 2차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안전운전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1차 또는 2차 정해진 시간 동안 각각 배기관이 막혔는지 판단한 결과 배기관이 막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초기 연소지시신호가 입력되어 허가명령신호가 출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안전운전 제어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 막힘 판단부는 송풍팬에 지시한 지시치 대비 송풍팬의 회전수를 비교하여 배기관이 막혔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안전운전 제어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에서 2차적으로 배기관이 막혔는지 판단한 결과 배기관이 막힌 것으로 판단될 경우,
    배기관 막힘 횟수 카운터 값을 1회 증가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기관 막힘 횟수 카운터에서 카운팅된 값이 정해진 값(n)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그 미만이면 송풍팬의 회전수를 점화전 연소부 및 배기관 내에 잔존하는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동시키는 회전수(Rc)로 구동시키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배기관 막힘 횟수 카운터에서 카운팅된 값이 정해진 값(n) 이상이면 표시부에 배기관 막힘 에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안전운전 제어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배기관 막힘 횟수 카운터 값을 1회 증가시키기에 앞서,
    송풍팬의 회전수를 점화전 연소부 및 배기관 내에 잔존하는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동시키는 회전수(Rc)보다 정해진 비율(±a)만큼 강제로 감소시켜 오검지를 방지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안전운전 제어방법.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송풍팬의 회전수를 점화전 연소부 및 배기관 내에 잔존하는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동시키는 회전수(Rc)는 공연비 제어시보다는 높은 회전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안전운전 제어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배기관 막힘 상태를 판단하는 정해진 시간은 각각 90∼180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안전운전 제어방법.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 막힘 횟수 카운터에서 카운팅된 값과 비교되는 정해진 값(n)은 3∼5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안전운전 제어방법.
  9. 청구항 5에 있어서,
    송풍팬의 회전수를 점화전 연소부 및 배기관 내에 잔존하는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동시키는 회전수(Rc)보다 강제로 감소시키는 정해진 비율(±a)은 ±0.5 ∼ ±0.8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안전운전 제어방법.









KR1020120094810A 2012-08-29 2012-08-29 보일러의 안전운전 제어방법 KR101318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810A KR101318759B1 (ko) 2012-08-29 2012-08-29 보일러의 안전운전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810A KR101318759B1 (ko) 2012-08-29 2012-08-29 보일러의 안전운전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8759B1 true KR101318759B1 (ko) 2013-10-29

Family

ID=49638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810A KR101318759B1 (ko) 2012-08-29 2012-08-29 보일러의 안전운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87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831B1 (ko) 2014-08-28 2015-09-1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풍압스위치가 설치된 보일러의 연소중 배기폐쇄 검지방법
WO2015163620A1 (ko) * 2014-04-22 2015-10-2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가스 보일러의 배기 연도 폐쇄 감지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1901A (ko) * 1992-11-19 1994-06-22 이헌조 가스보일러의 배기팬 구동 제어방법
KR101216812B1 (ko) 2011-10-19 2012-12-2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공기압과 가스압 차를 이용한 급배기 연도 폐쇄 감지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1901A (ko) * 1992-11-19 1994-06-22 이헌조 가스보일러의 배기팬 구동 제어방법
KR101216812B1 (ko) 2011-10-19 2012-12-2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공기압과 가스압 차를 이용한 급배기 연도 폐쇄 감지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3620A1 (ko) * 2014-04-22 2015-10-2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가스 보일러의 배기 연도 폐쇄 감지 방법
KR20150122328A (ko) * 2014-04-22 2015-11-0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가스 보일러의 배기 연도 폐쇄 감지 방법
KR101601709B1 (ko) 2014-04-22 2016-03-10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가스 보일러의 배기 연도 폐쇄 감지 방법
US10488042B2 (en) 2014-04-22 2019-11-26 Kyungdong Navien Co., Ltd Method for detecting blockage in exhaust flue of gas boiler
KR101553831B1 (ko) 2014-08-28 2015-09-1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풍압스위치가 설치된 보일러의 연소중 배기폐쇄 검지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7066B2 (en) Circulation type hot water supply device
US10488042B2 (en) Method for detecting blockage in exhaust flue of gas boiler
JP3075656B2 (ja) ガスメータ
KR101318759B1 (ko) 보일러의 안전운전 제어방법
CN110567160B (zh) 防止壁挂炉爆燃的方法
KR101429896B1 (ko) 보일러의 연소불량 감시방법
CN106642713A (zh) 热水器的排气安全检测方法
KR101094025B1 (ko) 보일러의 연소제어 시 안전제어방법
KR100679818B1 (ko) 보일러의 과열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506987B1 (ko) 보일러와 각방 제어기 연동 시운전방법
KR101549439B1 (ko)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를 위한 연소 전환방법
KR101607119B1 (ko) 보일러의 도중실화 검지방법
KR101938569B1 (ko) 보일러의 배기연도 이탈검지 및 연소제어방법
KR20220165969A (ko) 보일러 이상 판단 장치 및 이상 판단 방법
KR100243898B1 (ko) 가스보일러의 배기연도 막힘검지방법
KR101635897B1 (ko) 유량조절밸브를 가진 보일러 및 온수기의 온수누수 차단방법
KR20170026686A (ko) 보일러의 온수 과열 방지방법
KR20070033682A (ko) 보일러내 삼방밸브의 이상 감지방법
KR101545867B1 (ko) 풍압스위치가 설치된 보일러의 연소중 배기폐쇄 검지방법
KR20240079888A (ko) 가스보일러의 배기연도 막힘 감지방법
EP4102141A1 (en) Safety mechanism
KR101786551B1 (ko) 온수기 및 보일러의 열교환기 내 결로방지방법
KR101553831B1 (ko) 풍압스위치가 설치된 보일러의 연소중 배기폐쇄 검지방법
JP3532757B2 (ja) ガス燃焼機器およびガス誤遮断防止方法
KR101592174B1 (ko) 보일러의 과열방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