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8406B1 - 다중 접합강을 사용한 드로잉 제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접합강을 사용한 드로잉 제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8406B1
KR101318406B1 KR1020130026897A KR20130026897A KR101318406B1 KR 101318406 B1 KR101318406 B1 KR 101318406B1 KR 1020130026897 A KR1020130026897 A KR 1020130026897A KR 20130026897 A KR20130026897 A KR 20130026897A KR 101318406 B1 KR101318406 B1 KR 101318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mold
product
clad plat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식
한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우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우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우엔텍
Priority to KR1020130026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84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21D22/21Deep-drawing without fixing the border of the bl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6Feeding elongated articles, such as tubes, bar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18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vessels, e.g. tubs, vats, tanks, sink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접합강으로 드로잉 공정을 통해 조리 용기, 전지 케이스, 가스 용기 등 이음매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면서 깊이를 갖는 제품을 제조할 때 공정을 단순화시키고, 드로잉 공정시 성형 안정성을 높이도록 하기 위한 다중 접합강을 사용한 드로잉 제품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중 접합강을 사용한 드로잉 제품의 제조방법은 드로잉 공정중에 윤활작용을 부여하는 필름(12)을 공급시켜 드로잉 공정이 바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종래기술에 비해 공정수와 공정시간을 단축시키고 드로잉 공정시 발생되는 주름(wrinkling)이나 균열(crack)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안정적인 드로잉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특히, 드로잉 공정 후, 드로잉 제품(2)의 취출 과정에서 사용된 필름(12)의 제거가 바로 이루어지고, 필름(12)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드로잉 공정이 가능함으로, 작업시간의 증가없이 작업의 편리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다중 접합강을 사용한 드로잉 제품의 제조장치는 언와인더(40)를 사용해 필름(12)을 롤(42)로부터 풀면서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설비의 점유면적을 최소화시키면서 본 발명에 따른 드로잉 공정을 적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다중 접합강을 사용한 드로잉 제품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DRAWING GOODS USING CLAD METAL}
본 발명은 다중 접합강을 사용한 드로잉 제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다중 접합강으로 드로잉 공정을 통해 조리 용기, 전지 케이스, 가스 용기 등 이음매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면서 깊이를 갖는 제품을 제조할 때 공정을 단순화시키고, 드로잉 공정시 성형 안정성을 높이도록 하기 위한 다중 접합강을 사용한 드로잉 제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 용기, 전지 케이스, 가스 용기 등 이음매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면서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품은 금속 판재를 프레스 공법의 드로잉(drawing) 가공을 통해 형성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80675호 "금속판재로 성형하는 조리용기 제조방법 및 그 조리용기"는 블랭킹 가공으로 금속원판을 마련하고 인쇄부를 부분적으로 개량한 공지의 인쇄기에 의해서 2도 이상의 다양한 컬러와 정교한 그림을 상기 금속원판에 인쇄하고 열처리한 후, 프레스에 의한 드로잉 가공으로 조리용기를 제조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7-0102876호 "이음매없는 가스용기 몸체의 제조방법"은 0.2 ∼ 0.8mm의 두께를 갖는 스테인레스 스틸등과 같은 판상의 금속 시트를 원형으로 블랭킹한 후, 상기 원형으로 블랭킹된 판상의 금속 시트를 상,하부 금형사이에 집어넣어 다이쿠션의 압력이 45 ~ 55ton/㎠으로 1차 드로오잉 작업을 수행하여 한쪽이 개구된 원통형 몸체의 일부를 성형하며, 상기 1차 드로오잉된 성형품을 상,하부 금형사이에 넣어 2차 드로오잉 및 3, 4차 드로오잉 작업을 순차로 수행하며, 이때 4차 드로오잉 작업시 다이쿠션의 압력이 15 ~ 5 ton/㎠으로 순차로 적어지도록 하여 상측이 개방된 원통형 몸체를 제작하고, 상기 원통형 몸체의 상측으로 내부에 요홈이 형성되는 금형이 내삽되고, 외측으로 롤러의 롤링에 의해 내측으로 홈이 형성되는 축관부(縮管部)를 형성하며, 상기 원통형 몸체의 축관부상에 롤러를 통한 롤링작업을 순차로 수행하여 상기 축관부의 길이를 순차로 늘려주며, 상기와 같이 늘려진 축관부에 금형을 통한 프레스 가공에 의해 단턱부를 형성하며, 상기 단턱부 상측으로 개방형 돔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개방형 돔의 상측 가장자리부로 슬리이브를 개재하여 노즐 케이스가 압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커링(Curling)작업에 의해 둥글게 말아 내측으로 굽혀지는 라운딩부 형성하여, 이음매없는 가스용기 몸체를 제조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8-0081845호 "전지 케이스의 성형 방법 및 성형 장치"는 외측층으로서의 수지 필름층과, 내측층으로서의 수지 필름층과, 이들 양 필름층간에 배치된 알루미늄박층을 포함하는 성형용 필름재를 다이스, 펀치 및 주름 억제 부재로 이루어지는 프레스 성형 금형을 이용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할 때에, 공기압에 의해 상기 주름 억제 부재의 주름 억제 압력을 부여하는 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67268호 "싱크대 상판 제조 방법"은 싱크대 상판 제조시 성형 전 스테인레스 원자재의 양측면에 보호비닐과 드로잉유를 도포함으로써, 양면에 접착된 보호비닐에 의하여 오염 발생원을 차단하고, 세척과정을 용이하게 하며 표면 품질을 우수하게 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이 조리 용기, 전지 케이스, 가스 용기 등을 제조하기 위한 종래기술은 여러 차례의 드로잉(drawing) 공정을 통해 점진적으로 깊이를 증가시켜가는 방법을 적용하거나 금속 판재의 양면에 필름을 부착시키고 드로잉유를 적용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드로잉 전에 (비)금속 판재의 양측에 필름층을 형성하거나 보호비닐을 부착시키고, 드로잉 후 필름층을 별도로 제거해야함으로 제품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공정수와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8-220470 "전기 밥솥"은 물 및 미(쌀)을 수용하는 내냄비와, 이 내냄비를 취출 가능에 수용하는 밥솥 본체와, 이 밥솥 본체의 상부 개구를 개폐 자유롭게 복개하는 덮개와,상기 내냄비에 와전류를 유발하는 것에 따라 상기 내냄비를 가열하는 전·유도 가열 수단을 구비한 전기 밥솥에 있어서, 상기 내냄비는,적어도 1장의 와전류가 유발되는 금속재료층을 포함하는 2 층 이상의 다층가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유도 가열 수단에 대향하는 부분의 포화·동자 기둥 밀도를 그 밖의 부분에 비교하고 높게 형성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은 금속 또는 비금속을 두겹이상 맞붙여서 형성한 다중 접합강(Clad metal)을 사용하여 단일 (비)금속으로는 얻을 수 없는 빠른 열전달과 균일한 열분산이 가능하도록 하고, 타거나 눌러 붙는 문제점을 개선하는 조리용기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다중 접합강은 연신율이 다른 (비)금속이 다층으로 이루어짐으로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비)금속판과 달리 드로잉 공정이 더욱 까다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다중 접합강으로 드로잉 공정을 통해 조리 용기, 전지 케이스, 가스 용기 등 이음매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면서 깊이를 갖는 제품을 제조할 때 종래기술에 비해 제품제조 공정을 단순화시켜 드로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다중 접합강을 사용한 드로잉 제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연신율이 다른 (비)금속재가 다층으로 이루어지는지는 다중 접합강을 사용하여 드로잉 제품을 성형할 때 종래기술에 비해 공정수와 공정시간을 단축시키고 안정적인 드로잉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다중 접합강을 사용한 드로잉 제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프레스 공법의 드로잉 공정을 통해 제품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중 접합강을 사용한 드로잉 제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드로잉 제품(2)을 성형하기 위한 클래드 플레이트(1)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클래드 플레이트(1)를 상기 드로잉 제품(2)을 성형하기 위한 프레스 금형(16)의 하형(20)상에 재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클래드 플레이트(1) 상에 필름(12)을 안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프레스 금형(16)의 상형(30)을 가동시켜 드로잉 공정을 진행시키는 단계 및; 상기 상형(30)이 개방된 후, 성형된 드로잉 제품(2)을 취출시키는 단계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접합강을 사용한 드로잉 제품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필름(12)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Liner Low Density Polyethylen) 및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Low Density Polyethylen)와 함께 슬립제를 적용하여 슬립성을 높이도록 하고, 왁스(Wax)와 미세조각 필름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하여 상기 슬립제의 분산과 믹싱(mixing)을 촉진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접합강을 사용한 드로잉 제품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필름(12)을 안치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필름(12)은 상기 프레스 금형(16)의 뒷방향에서 롤(42)에 감긴 상태로부터 상기 프레스 금형(16)의 하형(20)과 상형(30) 사이를 통해 앞방향으로 인출되어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접합강을 사용한 드로잉 제품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드로잉 공정중에 윤활작용을 부여하는 필름(12)을 공급시켜 드로잉 공정이 바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종래기술에 비해 공정수와 공정시간을 단축시키고 드로잉 공정시 발생되는 주름(wrinkling)이나 균열(crack)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안정적인 드로잉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특히, 드로잉 공정 후, 드로잉 제품(2)의 취출 과정에서 사용된 필름(12)의 제거가 바로 이루어지고, 필름(12)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드로잉 공정이 가능함으로, 작업시간의 단축과 작업의 편리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언와인더(40)를 사용해 필름(12)을 롤(42)로부터 풀면서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설비의 점유면적을 최소화시키면서 본 발명에 따른 드로잉 공정을 적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다중 접합강을 사용한 드로잉 제품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접합강을 사용한 드로잉 제품의 제조방법 및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접합강을 사용한 드로잉 제품의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접합강을 사용한 드로잉 제품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사진도면들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다중 접합강을 사용한 드로잉 제품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
도 1을 참조(도면 번호는 도 2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발명에 따른 다중 접합강을 사용한 드로잉 제품의 제조방법은 프레스(press) 공법의 드로잉(drawing) 공정을 통해 제품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다중 접합강을 사용한 드로잉 제품의 제조방법은 드로잉 제품(2)을 성형하기 위한 클래드 플레이트(1)를 준비하는 단계, 클래드 플레이트(1)를 드로잉 제품(2)을 성형하기 위한 프레스 금형(16)의 하형(20)상에 재치시키는 단계, 클래드 플레이트(1) 상에 필름(12)을 안치시키는 단계, 프레스 금형(16)의 상형(30)을 가동시켜 드로잉 공정을 진행시키는 단계 및 상형(30)이 개방된 후, 성형된 드로잉 제품(2)을 취출시키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드로잉 공정중에 윤활작용을 부여하는 필름(12)을 공급시켜 드로잉 공정이 바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종래기술에 비해 공정수와 공정시간을 단축시키고 드로잉 공정시 발생되는 주름(wrinkling)이나 균열(crack)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안정적인 드로잉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되는 클래드 플레이트(clad Metal)은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구리 등이 복수층 이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드로잉 제품에 적용되는 다양한 소재가 복합적으로 적용되어 각 소재의 특징이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접합강을 사용한 드로잉 제품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필름(12)은 합성수지재로 바람직하게는 비닐(vinyl)을 적용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필름(12)으로 적용되는 비닐은 윤활재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인장강도 및 신장율와 함께 충분한 슬립성과 평활도를 갖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비닐은 비닐소재의 형성시 합성수지 Liner Low Density Polyethylen(LLDPE) 및 Low Density Polyethylen(LDPE)와 함께 슬립제(Amon사)를 적용하여 슬립성을 높이도록 하고, 왁스(Wax) 또는 미세조각 필름을 적용하여 슬립제의 분산과 믹싱(mixing)을 촉진시키도록 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필름(12)은 비닐재로 적용하는 경우 30㎛ ~ 60㎛의 두께를 갖도록 하는데, 본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필름(12)의 두께가 30㎛ 미만일 경우 안정적인 윤활작용이 이루어지지 않아 드로잉 불량이 발생되고, 두께가 60㎛ 초과되는 경우 드로잉 공정시 필름(12)이 찢어져 드로잉 공정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필름(12)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Liner Low Density Polyethylen) 70~80%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Low Density Polyethylen) 30~20% 그리고, 부재료로 슬립제(Amon Sleep)와 안정제 2%를 혼합하여 혼합(Blending)하고, 유압비닐을 생산한 후 숙성실에서 72시간이상 숙성시켜 유압공정에 사용한다. 유압필름의 제조는 블로아 타입(Blow-type)공법 또는 티다이(T-die)공법으로 단층필름(Sigle layer) 또는 다층필름(Multi layer)으로 생산할 수 있다.
이때, 슬립제는 아몬 슬립(Amon Sleep) 10~20%, LLDPE 70~80%, 왁스(Wax) 또는 미세조각 필름 1~2%, PE(Polyethylen) 안정제 1~2%를 혼합한 다음 압출기에서 컴파운드(Compound)하여 사용하거나, Amon Sleep제 10~20%, LLDPE 70~80%, Wax 또는 미세조각 필름 1~2%, PE 안정제 1~2%를 PE필름을 셔링(Shirring)한 미세조각필름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왁스와 미세조각 필름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하여 슬립제의 분산과 믹싱(mixing)을 촉진시키도록 하는데, 미세조각 필름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필름(12)을 미세하게 절단하여 형성한 것으로, 정전기 작용을 통해 분말형태의 슬립제를 고정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9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종래기술로부터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프레스 공법의 드로잉 공정, 드로잉 공정을 진행하기 위한 프레스 장치 및 제어방법, 필름의 제조방법 등 통상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야의 종사자들 및 그들이 관련분야의 종사자들을 통해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부분들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접합강을 사용한 드로잉 제품의 제조방법 및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접합강을 사용한 드로잉 제품의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접합강을 사용한 드로잉 제품의 제조장치(10)는 드로잉 금형(16)과 언와인더(40)로 이루어진다. 이때, 드로잉 금형(16)은 하형(20)과 상형(30)으로 이루어진다. 하형(20)은 클래드 플레이트(1)를 드로잉 공정을 통해 드로잉 제품(2)으로 성형하기 위해 프레스(5)의 베드(6; bolster)에 결합된다. 상형(30)은 하형(20)과 대응되어 프레스(5)의 슬라이드(7)에 결합된다. 그리고, 언와인더(40; unwinder)는 드로잉 금형(16)으로 필름(12)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드로잉 금형(16)에 클래드 플레이트(1)를 재치시킨 후, 클래드 플레이트(1)상에 필름(12)이 안치되도록 하여 드로잉 공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드로잉 금형(16)의 하형(20)과 상형(30)은 일반적으로 조리 용기, 전지 케이스, 가스 용기 등 이음매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면서 깊이를 갖는 제품을 제조할 때 적용되는 다양한 방식의 드로잉 금형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드로잉 금형(16)은 하형(20)에 펀치(22)가 설치되고, 하형(20)과 상형(30)에는 스트립퍼(24, 32)가 구성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였다. 물론, 이와 같은 드로잉 금형(16)을 이루는 하형(20)과 상형(30)은 널리 알려진 다양한 구조의 프레스 금형의 구조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드로잉 금형(16)의 작동에 사용되는 프레스(5)는 금형의 착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다양한 종류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접합강을 사용한 드로잉 제품의 제조장치(10)는 드로잉 공정 후, 드로잉 제품(2)의 취출 과정에서 사용된 필름(12)의 제거가 바로 이루어지고, 필름(12)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드로잉 공정이 가능함으로, 작업시간의 증가없이 작업의 편리함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언와인더(40)를 적용한다. 이와 같은 언와인더(40)는 드로잉 금형(16)의 뒷방향에 위치되도록 프레스(5)의 후방에 설치되고, 필름(12)이 감긴 롤(42)을 회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대(44)를 구비하여, 필름(12)을 드로잉 금형(16)을 통해 프레스(5)의 앞방향으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접합강을 사용한 드로잉 제품의 제조장치(10)는 언와인더(40)를 사용해 필름(12)을 롤(42)로부터 풀면서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설비의 점유면적을 최소화시키면서 본 발명에 따른 드로잉 공정을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접합강을 사용한 드로잉 제품의 제조방법은 (a) 클래드 플레이트(1) 준비단계 -> (b) 클래드 플레이트(1) 재치단계 -> (c) 필름(12) 안치단계 -> (d) 드로잉 진행단계 -> (e) 형분리 및 드로잉 제품(2) 취출단계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a) 클래드 플레이트(1) 준비단계는 드로잉 제품(2)을 성형하기 위한 클래드 플레이트(1)를 준비하는 단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클래드 플레이트(1)를 하형(20)에 재치시키기 전에 클래드 플레이트(1)의 하면에 드로잉유를 도포하게 된다. 즉, 클래드 플레이트(1)는 서로 다른 재질을 적층하여 여러 겹으로 형성된 판재를 원형으로 블랭킹(blanking)하여 준비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알루미늄(Al) 재질로 이루어지는 내부층(1a)과 스테인리스(STS) 재질로 이루어지는 외부층(1b)의 2층으로 이루어지는 클래드 플레이트(1)를 적용하는 예를 보였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펀치(22)는 하형(20)에 설치되므로, 클래드 플레이트(1)는 알루미늄 재질의 내부층(1a)이 하형(20)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형에 재치된다. 그리고, 스테인리스(STS) 재질로 이루어지는 외부층(1b) 상에는 필름(12)이 덮이어 드로잉 공정시 외부층(1b)을 보호하면서 윤활재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본 실시예는 알루미늄 재질의 내부층(1a)에 드로잉유를 도포하여 드로잉 공정시 윤활재의 기능을 부여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준비된 클래드 플레이트(10)는 드로잉 제품(2)을 성형하기 위한 프레스 금형(16)의 하형(20)상에 재치되고, 클래드 플레이트(1) 상에 필름(12)을 안치시키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는 필름(12)을 안치시키는 단계에서 필름(12)은 프레스 금형(16)의 뒷방향에서 롤(42)에 감긴 상태로부터 프레스 금형(16)의 하형(20)과 상형(30) 사이를 통해 앞방향으로 인출되어 연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연속성을 부여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클래드 플레이트(1)를 드로잉 금형(16)에 넣고 필름(12)을 안치시키는 과정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하는 방법을 적용하였으나, 이와 같은 작업은 필요에 따라 자동화를 실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드로잉 공정의 준비가 완료된 후, 프레스 금형(16)의 상형(30)을 가동시켜 드로잉 공정을 진행시키고, 상형(30)이 개방된 후, 성형된 드로잉 제품(2)을 취출시키게 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접합강을 사용한 드로잉 제품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사진도면들이다. 이때, 도 4는 클래드 플레이트를 준비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사진도면이고, 도 5는 클래드 플레이트를 하형에 배치시킨 후, 클래드 플레이트 상에 필름을 안치시키는 단계를 보여주는 사진도면이며, 도 6은 프레스의 슬라이드에 의해 상형이 작동되면서 드로잉 공정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도면이고, 도 7은 드로잉 공정이 완료된 후, 작업자가 드로잉 제품을 금형으로부터 취출시키는 단계를 보여주는 사진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클래드 플레이트(1)의 알루미늄 재질의 내부층(1a) 표면에 드로잉유를 도포(드로잉유가 함침된 헝겊으로 내부층(1a)의 표면을 닦음으로써 이루어진다)한 후, 클래드 플레이트(1)를 알루미늄 재질의 내부층(1a)이 하형(20)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형(20)상에 재치시킨다. 다음,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드로잉 금형(16) 뒤측에 설치된 언와인더(40)로부터 비닐의 필름(12)을 당겨서 스테인리스(STS) 재질로 이루어지는 외부층(1b) 상에는 필름(12)이 덮이도록 하여 필름(12)을 안치시키고,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드로잉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드로잉 공정이 완료되고 상형(30)이 개방되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성형된 드로잉 제품(2) 상에서 필름(12)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즉, 필름(12)은 드로잉 금형(16)의 뒷방향에 설치된 언와인더(40)로부터 드로잉 금형(16)의 앞방향으로 연이어 연장되어 위치됨으로 작업자는 필름(12)의 앞부분을 드로잉 금형(16)의 측방향으로 걷어냄으로써 간단하게 필름(12)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접합강을 사용한 드로잉 제품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클래드 플레이트 2 : 드로잉 제품
5 : 프레스 6 : 베드
7 : 슬라이드
10 : 다중 접합강을 사용한 드로잉 제품의 제조장치
12 : 필름 16 : 드로잉 금형
20 : 하형 30 : 상형
40 : 언와인더 42 : 롤
44 : 지지대

Claims (5)

  1. 삭제
  2. 프레스 공법의 드로잉 공정을 통해 제품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중 접합강을 사용한 드로잉 제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드로잉 제품(2)을 성형하기 위한 클래드 플레이트(1)의 하면에 드로잉유를 도포하여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클래드 플레이트(1)를 상기 드로잉 제품(2)을 성형하기 위한 프레스 금형(16)의 하형(20)상에 상기 클래드 플레이트(1)의 하면이 놓이도록 재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프레스 금형(16)의 뒷방향에서 롤(42)에 감긴 상태의 필름(12)을 상기 프레스 금형(16)의 하형(20)과 상형(30) 사이를 통해 앞방향으로 인출되도록 하여 상기 클래드 플레이트(1) 상에 상기 필름(12)을 안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프레스 금형(16)의 상형(30)을 가동시켜 드로잉 공정을 진행시키는 단계 및;
    상기 상형(30)이 개방된 후, 성형된 드로잉 제품(2)을 취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필름(12)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Liner Low Density Polyethylen) 및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Low Density Polyethylen)와 함께 슬립제를 적용하여 슬립성을 높이도록 하고, 왁스(Wax)와 미세조각 필름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하여 상기 슬립제의 분산과 믹싱(mixing)을 촉진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합강을 사용한 드로잉 제품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30026897A 2013-03-13 2013-03-13 다중 접합강을 사용한 드로잉 제품의 제조방법 KR101318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897A KR101318406B1 (ko) 2013-03-13 2013-03-13 다중 접합강을 사용한 드로잉 제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897A KR101318406B1 (ko) 2013-03-13 2013-03-13 다중 접합강을 사용한 드로잉 제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8406B1 true KR101318406B1 (ko) 2013-10-16

Family

ID=49638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897A KR101318406B1 (ko) 2013-03-13 2013-03-13 다중 접합강을 사용한 드로잉 제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84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384B1 (ko) * 2023-03-15 2024-03-11 (주) 시에스텍 단동 및 황동 대체를 위한 탄두컵용 단동-연강-단동(bmb) 금속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2714A (ja) * 1991-12-26 1993-08-03 Mitsubishi Kasei Corp 高精度絞り成形加工方法
JP2008212995A (ja) * 2007-03-06 2008-09-18 Showa Denko Packaging Co Ltd 電池ケースの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2714A (ja) * 1991-12-26 1993-08-03 Mitsubishi Kasei Corp 高精度絞り成形加工方法
JP2008212995A (ja) * 2007-03-06 2008-09-18 Showa Denko Packaging Co Ltd 電池ケースの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384B1 (ko) * 2023-03-15 2024-03-11 (주) 시에스텍 단동 및 황동 대체를 위한 탄두컵용 단동-연강-단동(bmb) 금속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51264B1 (de) Verpackungsmaschine und Verfahren zum Verschließen von Behältern mit Deckeln
CA2788845C (en) Press-forming method of component with l shape
US10240454B2 (en) Lip skin sector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lip skin sector
EP2788259B1 (de) Verpackungsmaschine mit einem kombinierten form- und siegelwerkzeug
GB2494075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und multiple curved surface molding plate
DE10010900A1 (de) Kombiniertes Extrusions-Press-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unststoffteilen aller Art
JPH08217004A (ja) 容器壁の開口に対する保護カバーを製作して付与するための装置
CN104245173A (zh) 用于连接金属带材的方法和设备
CA2802079C (en) Method for producing a plastics article and blow mold for carrying out the method
EP336823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lip skin sector
RU270182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лубокой вытяжки лотка из лист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EP301928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 annular part
JP6944062B2 (ja) 紙蓋の製造方法
KR101318406B1 (ko) 다중 접합강을 사용한 드로잉 제품의 제조방법
EP3702061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onischen metallobjekten
US98495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metal sheets
CN107116108A (zh) 一种分离金属热挤压包套和坯料的方法
CN104416005A (zh) 一种用卧式铝型材挤压机生产双金属复合管的制备工艺
US2285903A (en) Apparatus for making metallic receptacles
CN106964722A (zh) 一种汽车发动机盖外板的冲压工艺及装备
KR101536447B1 (ko) 하이드로포밍 장치 및 방법
JP5896516B2 (ja) ブランク材及びこれを用いたプレス成形方法
KR101305161B1 (ko) 마그네슘 합금용 압출장치
JP6344780B2 (ja) 缶の蓋の製造
EP3453517B1 (de) Formstation mit im formstempel integriertem eindrücker und verfahr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