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8134B1 - 목적지 지점 코드들에 기초한 메시지 전달 제어 - Google Patents

목적지 지점 코드들에 기초한 메시지 전달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8134B1
KR101318134B1 KR1020117031125A KR20117031125A KR101318134B1 KR 101318134 B1 KR101318134 B1 KR 101318134B1 KR 1020117031125 A KR1020117031125 A KR 1020117031125A KR 20117031125 A KR20117031125 A KR 20117031125A KR 101318134 B1 KR101318134 B1 KR 101318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tination point
message
delivery
text
point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1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9440A (ko
Inventor
이강 카이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20029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14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using selective forwa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1Identifying conges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9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at layers above the network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6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using explicit feedback to the source, e.g. choke packets
    • H04L47/263Rate modification at the source after receiving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9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using a combination of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8Message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목적지 지점 코드들 또는 다른 목적지 식별자들에 기초하여 텍스트/멀티미디어 메시지 전달을 제한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설명된다. 모바일 네트워크(100) 내의 스위칭 센터(122)는 목적지들(126-129)에 라우팅되는 텍스트/멀티미디어 메시지 트래픽의 양을 모니터링한다. 목적지들(126-129)에 라우팅되는 메시지 트래픽이 임계치를 초과하면, 스위칭 센터(122)는 목적지(126-129)에 대한 트래픽 혼잡을 나타내는 트래픽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트래픽 메시지를 메시지 센터(120)에 전달한다. 메시지 센터(120)는 목적지(126-129)에 대한 목적지 지점 코드를 식별하도록 트래픽 메시지를 처리한다. 메시지 센터(120)는 그 후 목적지(126-129)의 목적지 지점 코드로 향하는 텍스트/멀티미디어 메시지들의 전달을 조정한다.

Description

목적지 지점 코드들에 기초한 메시지 전달 제어{MESSAGE DELIVERY CONTROL BASED ON DESTINATION POINT CODES}
본 발명은 통신 분야 특히, 메시지들을 전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많은 모바일 네트워크들 내에서, 텍스트와 멀티미디어 메시징은 매우 대중적인 통신 모드가 됐다.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의 하나의 예는 모바일 장치들 간의 단문 메시지들(즉, 160개의 문자들)의 교환을 허용하는 통신 프로토콜인 SMS(Short Message Service)이다.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의 하나의 예는 모바일 장치들 간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들(즉, 디지털 사진들, 미디어 클립들 등)의 교환을 허용하는 통신 프로토콜인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이다. 종종, 모바일 이용자들은 통신을 위해 음성 호들보다 텍스트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징을 더욱 자주 이용한다.
텍스트 메시지들은 SS7 채널들을 통하는 것과 같이, 모바일 네트워크의 시그널링 채널들을 통해 송신된다. 모바일 네트워크 내의 SMS 센터(SMSC)는 텍스트 메시지들을 그들의 목적지들에 전달하기 위해 저장-및-포워드 시스템(store-and-forward system)을 갖는다. 처음으로 텍스트 메시지를 수신하면, 저장-및-포워드 시스템은 우선 텍스트 메시지를 (완강하게) 저장하고, 그 후, 텍스트 메시지에 대한 전달 시도를 시작한다. 제 1 전달 시도가 실패한 후에, 저장-및-포워드 시스템은 재시도 처리에 들어간다. 재시도 처리에 대하여,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는 모든 텍스트 메시지들에 대한 글로벌 재시도 구성(global retry configuration)을 사전에 규정한다. 따라서, 저장-및-포워드 시스템은 글로벌 재시도 구성을 규정한 후, 그 글로벌 재시도 구성에 따라 텍스트 메시지를 목적지에 전달하도록 시도한다. 예를 들면, 글로벌 재시도 구성은 30분 간격으로 최대 3회의 재시도들이 행해져야 한다고 규정할 수 있다. 텍스트 메시지의 전달이 실패하면, 저장-및-포워드 시스템은 30분을 기다린 후 텍스트 메시지에 대한 재시도를 시작하다. 제 1 재시도가 실패하면, 저장-및-포워드 시스템은 30분 동안 기다린 후 제 2 재시도를 시작한다. 전달을 재시도하는 이 처리는 텍스트 메시지가 삭제되기 전에 3회 일어난다. 멀티미디어 메시지들(예를 들면, MMS) 또는 다른 유형들의 메시지들에 대하여 유사한 처리가 일어난다.
네트워크 이용자들이 직면하는 하나의 문제점은 모바일 네트워크가 혼잡할 때, SMS 메시지들의 전달들이 실패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송년 축하(New Years Eve celebration)와 같은 큰 이벤트가 있으면, 대량의 SMS 트래픽이 모바일 스위칭 센터(MSC), SMSC, 또는 다른 네트워크 요소들을 과부하시킬 수 있다. 많은 트래픽 양으로 인해 MSC가 고장나면, 많은 SMS 메시지들을 잃어버릴 수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들은 혼잡한 지역 내에 보다 많은 SMSC들 또는 MSC들을 이용하여 트래픽 혼잡 문제들을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특별히 트래픽 혼잡이 일시적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혼잡 문제에 대한 값비싼 해결법이다.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들은 또한 SMSC에 의해 전송되는 SMS 메시지들의 수를 제한함으로써 SMS 메시지 트래픽을 제어할 수 있다. 현재 이용되는 방법들은 SMSC로부터 전달되는 모든 SMS 트래픽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메시지 혼잡이 하나의 MSC 내에서 확인되면, SMSC는 SMSC가 혼잡한 MSC 및 모바일 네트워크 내의 다른 MSC들에 전달하는 SMS 메시지들의 수를 제한한다. SMSC는 SMS 트래픽 혼잡이 없는 지역들 뿐만 아니라, SMS 트래픽 혼잡이 높은 지역들도 서비스할 수 있다. 불행하게도, SMSC는 그럴 필요가 없더라도 SMS 트래픽 혼잡이 없는 지역들에 전달되는 SMS 메시지들의 수를 제한한다.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목적지 지점 코드들 또는 다른 목적지 식별자들에 기초하여 모바일 네트워크 내의 텍스트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달을 제어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목적지 지점 코드들에 대하여 혼잡이 확인되면, 이들 목적지 지점 코드들로 향하는 텍스트/멀티미디어 메시지들의 전달은 조정된다. 텍스트/멀티미디어 메시지 전달이 목적지 당 기반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유익하게도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들은 혼잡을 경험하고 있는 지역들 내에서는 메시지 전달을 제한하고 혼잡을 경험하고 있지 않은 지역들 내에서는 평소의 메시지 전달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네트워크는 모바일 네트워크 내의 목적지들에 라우팅되는 메시지 트래픽의 양을 모니터하는 MSC와 같은 스위칭 센터를 포함한다. 목적지들은 목적지 지점 코드들 또는 목적지 식별자들에 연관되어 있다. 한 목적지로 라우팅된 메시지 트래픽이 임계치를 초과하면, 스위칭 센터는 그 목적지에 대한 트래픽 혼잡을 나타내는 트래픽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트래픽 메시지를 메시지 센터에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바일 네트워크는, 메시지 전달이 목적지 지점 코드에 어떻게 제한되는지를 규정하는 규칙들을 저장하는 SMSC와 같은 메시지 센터를 포함한다. 메시지 센터는 한 목적지에 대한 트래픽 혼잡을 나타내는 트래픽 메시지를 스위칭 센터로부터 수신하고, 그 목적지에 대한 목적지 지점 코드(또는 다른 목적지 식별자)를 식별하기 위해 그 트래픽 메시지를 처리한다. 그 후 메시지 센터는 규칙들에 기초하여 그 목적지 지점 코드로 향하는 텍스트/멀티미디어 메시지들의 전달을 조정한다. 예를 들면, 메시지 센터는 목적지 지점 코드로 향하는 메시지의 제 1 전달 시도를 큐잉할 수 있다(queue). 메시지 센터는 목적지 지점 코드로 향하는 메시지에 대한 재시도 간격을 증가시킬 수 있다. 메시지 센터는 목적지 지점 코드로 향하는 메시지들의 퍼센티지(percentage)를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메시지 센터는 목적지 지점 코드들에 기초하여 메시지의 전달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유익하게도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들은 다른 지역들 내에서는 평소의 메시지 전달을 유지하면서 특정 지역들 내에서는 메시지 전달은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다음에 설명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로서 설명된다. 모든 도면들 상에서, 같은 도면 부호는 같은 요소 또는 같은 유형의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 내의 모바일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 내의 목적지 당 트래픽 혼잡을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 내의 목적지 지점 코드들에 기초하여 메시지들의 전달을 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 내의 목적지 지점 코드들에 기초하여 메시지들의 전달을 조정하는 다른 방법을 더욱 명확히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 내의 모바일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 내의, MSC가 SMSC들에 트래픽 메시지들을 전송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 내의, SMSC들이 목적지 지점 코드(DPC1)에 전달되는 SMS 메시지들의 수를 제한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 내의, MSC가 SMSC에 트래픽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 내의, SMSC가 목적지 지점 코드들(DPC1 및 DPC2)에 전달되는 SMS 메시지들의 수를 제한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들 및 다음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적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따라서, 당업자들은 여기에는 명백하게 설명되거나 나타내지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들을 실시하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구조들을 고안해낼 수 있음이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여기에 설명된 임의의 예들은 본 발명의 원리들을 이해하는 것을 돕고, 이렇게 구체적으로 언급된 예들 및 조건들에 대한 제한 없이 구성되도록 의도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은 다음에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예들 또는 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들 및 그들의 등가물에 의해 제한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 내의 모바일 네트워크(100)를 나타낸다. 모바일 네트워크(100)는 텍스트/멀티미디어 메시지 또는 소정의 다른 유형의 메시지의 전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텍스트/멀티미디어"란 용어는 그 메시지가 텍스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텍스트/멀티미디어 메시지들이 이 실시예에서 언급되었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다른 유형들의 메시지들이 이용될 수 있다. 모바일 네트워크(100)는 메시지 센터(120), 스위칭 센터(122), 및 복수의 목적지들(126-129)을 포함한다. 모바일 네트워크(100)가 복수의 메시지 센터들, 복수의 스위칭 센터들, 및 보다 많은 목적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들에게는 자명해질 것이다. 도 1에 구체적으로 나타나있지는 않지만, 메시지 센터(120), 스위칭 센터(122), 및 목적지들(126-129)은 SS7 시그널링 링크들과 같은 시그널링 링크들을 통해 접속된다는 것이, 당업자들에게는 자명해질 것이다.
메시지 센터(120)는 텍스트/멀티미디어 메시지들의 전달을 처리하도록 동작가능한 임의의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메시지 센터(120)는 텍스트 또는 SMS 메시지들을 전달하기 위해 SMS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SMSC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메시지 센터(120)는 멀티미디어 또는 MMS 메시지들을 전달하기 위해 MMS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MMSC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센터(120)는 전달 시스템(132) 및 규칙 데이터베이스(134)를 포함한다. 전달 시스템(132)은 목적지들(126-129)로의 메시지들의 전달을 시도하도록 동작가능한 임의의 장치, 구성요소, 시스템,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일례로서, 전달 시스템(132)은 SMS 프로토콜 또는 다른 유형의 저장-및-포워드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저장-및-포워드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규칙 데이터베이스(134)는 메시지 전달이 목적지 지점 코드들에 어떻게 제한되는지를 규정하는 규칙들 또는 정책들을 저장하도록 동작가능한 임의의 저장 시스템을 포함한다. 규칙들은 목적지들(126-129)로 향하는 제 1 전달 시도들 및 재시도들이 어떻게 처리되는지를 규정할 수 있다. 제 1 전달 시도는 메시지의 수신시에 실행되는 처음 시도를 의미한다. 재시도는 처음 전달 시도가 실패한 후 실행되는 전달 시도를 의미한다.
스위칭 센터(122)는 텍스트/멀티미디어 메시지들을 메시지 센터(120)와 목적지들(126-129) 간에 라우팅하도록 동작가능한 임의의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한다. 스위칭 센터(122)의 하나의 예는 모바일 스위칭 센터(MSC)이다. 목적지들(126-129)은 모바일 네트워크(100) 내의 임의의 시그널링 종점들을 포함한다. 목적지는 모바일 폰과 같은 텍스트/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최종 수신자를 반드시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텍스트/멀티미디어 메시지들은 시그널링 메시지들 내에서 송신되고, 시그널링 메시지들은 모바일 네트워크(100) 내에서 라우팅 레벨(label)을 이용하여 라우팅된다. 라우팅 레벨은 발신 지점 코드 및 목적지 지점 코드를 포함한다. 목적지 지점 코드는, 메시지의 발신자와 메시지의 수신자 간의 중간 요소일 수 있는, 메시지에 대한 시그널링 종점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모바일 네트워크(100) 내의 주소 또는 식별자이다. 따라서, 목적지들(126-129)은 목적지 지점 코드에 의해 식별되는 종점들이다. 목적지들(126-129)의 몇몇의 예들에는 다른 메시지 센터들 또는 다른 스위칭 센터들이 있다. 예를 들면, CDMA/GSM 네트워크 내에서, 목적지들(126-129)은 MSC 또는 SMSC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 설명된 실시예들에서, 메시지 센터(120)는 목적지들에 전달되는 텍스트/멀티미디어 메시지들(여기서는 포괄적으로 "메시지들"로 언급됨)의 수를 제한할 수 있다. 메시지 센터(120)가, 한 목적지에 대하여 트래픽 혼잡이 있다고 결정하면, 메시지 센터(120)는 그 목적지로 향하는 메시지들의 전달을 동적으로 조정하여, 그 목적지로 전달되는 메시지들의 수를 제한한다. 동시에, 메시지 센터(120)는 다른 목적지들로의 메시지들의 전달은 평소처럼 계속되게 한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 내의 목적지 당 트래픽 혼잡을 확인하는 방법(20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방법(200)의 단계들은 도 1의 모바일 네트워크(100)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지만, 방법(200)이 다른 네트워크들 및 시스템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들에게는 자명해질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제공되는 흐름도의 단계들이 모든 단계들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고 나타내지 않은 다른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들은 다른 순서로 실행될 수 있다.
단계(202)에서, 스위칭 센터(122)는 모바일 네트워크(100) 내의 목적지들(126-129)에 라우팅되는 메시지 트래픽의 양을 모니터링한다. 한 목적지(목적지(126)를 가정)에 라우팅되는 메시지 트래픽이 임계치를 초과하면, 단계(204)에서 스위칭 센터(122)는 그 목적지(126)에 대한 트래픽 혼잡을 나타내는 트래픽 메시지를 생성한다. 트래픽 메시지를 생성할 때, 스위칭 센터(122)는 원인 코드(cause code)를 식별하고, 그 원인 코드를 트래픽 메시지에 삽입할 수 있다. 원인 코드는 목적지(126)에 대한 혼잡 또는 과부하를 나타내도록 규정된다. 단계(206)에서, 스위칭 센터(122)는 트래픽 메시지를 메시지 센터(120)에 전송한다. 트래픽 메시지는 메시지 센터(120)가 목적지(126)에 송신되는 메시지들의 수를 제한하도록 의도된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 내의 목적지 지점 코드들에 기초하여 메시지들의 전달을 조정하는 방법(30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방법(300)의 단계들은 도 1의 모바일 네트워크(100)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지만, 방법(300)은 다른 네트워크들 및 시스템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들에게 자명해질 것이다.
단계(302)에서, 메시지 센터(120) 내의 전달 시스템(132)은 목적지(126)에 대한 트래픽 혼잡을 나타내는 트래픽 메시지를 스위칭 센터(122)로부터 수신한다. 단계(304)에서, 전달 시스템(132)은 목적지(126)에 대한 목적지 지점 코드를 식별하기 위해 트래픽 메시지를 처리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위칭 센터(122)는 실패된 전달을 나타내는 원인 코드에 따라 트래픽 메시지 내에 트랜잭션 식별자(transaction ID)를 포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달 시스템(132)은 목적지(126)에 대한 목적지 지점 코드를 식별하기 위해 트랜잭션 식별자 및 메시지 캐시에 저장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스위칭 센터(122)는 실제로 트래픽 메시지 내에 목적지 지점 코드를 포함시킬 수 있다. 단계(306)에서, 전달 시스템(132)은 목적지(126)의 목적지 지점 코드로 향하는 메시지들의 전달을 조정한다. 이에 따라, 메시지가 목적지(126)에 대하여 처음으로 수신되면, 전달 시스템(132)은 목적지(126)로의 메시지의 제 1 전달 시도를 조정할 수 있다. 목적지(126)에 대한 재시도가 큐잉되면, 전달 시스템(132)은 목적지(126)로의 메시지의 재시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 실시예 및 여기에 제공된 다른 실시예들에서 메시지 전달이 목적지 지점 코드들에 기초하여 조정되지만, 같은 개념이 시그널링 메시지들을 라우팅하기 위해 이용되는 다른 목적지 식별자들에 적용된다. 예를 들면, 목적지는 글로벌 타이틀(global title)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따라서, 전달 시스템(132)은 목적지(126)에 대한 글로벌 타이틀을 식별하고(단계(304)를 참조), 목적지(126)의 글로벌 타이틀로 향하는 메시지들의 전달을 조정하도록(단계(306)를 참조) 트래픽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
목적지(126)의 목적지 지점 코드로 향하는 메시지들의 전달을 어떻게 또는 언제 조정할지 결정하기 위해, 전달 시스템(132)은 규칙 데이터베이스(134) 내에 규정된 규칙들을 처리한다. 규칙들은 메시지 전달이 어떻게 목적지 지점 코드 또는 글로벌 타이틀과 같은 다른 목적지 식별자에 제한되는지를 규정한다. 예를 들면, 규칙들은 메시지들의 제 1 전달 시도들이 제 1 전달 시도들을 지연하기 위해 어떤 시간 간격 동안 큐잉된다고 규정할 수 있다. 처음으로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전달 시스템(132)은 지연을 위한 시간 간격을 확인한 후 제 1 전달 시도를 시작하기 전에 그 시간 간격 동안 메시지를 큐잉하도록 규칙들을 처리할 수 있다.
규칙들은 재시도 간격들이 증가한다고 규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달 시도와 제 1 재시도 간의 시간 간격은 증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1 재시도와 제 2 재시도 간의 시간 간격은 더 증가할 수 있는 등이다. 다른 예에서, 국제적 지점 코드들로서 식별되는 목적지 지점 코드들은 국내 지점 코드들보다 긴 재시도 간격을 가질 수 있다.
규칙들은 메시지들의 퍼센티지가 다양한 인자들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전달된다고 규정할 수 있다. 전달되는 메시지들의 퍼센티지는 0%, 10%, 20%, 30%, 40% 등일 수 있다. 하나의 인자는 SMS, 개선된 메시지 서비스(Enhanced Message Service; EMS), 가상 모바일 번호(Virtual Mobile Number; VMN), 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AP), 방송, 비상, 우선 사항 등과 같은 메시지의 유형일 수 있다. 다른 인자는 MO(Mobile Originated) 또는 ESME(External Short Message Entities)와 같은 소스 주소 유형들일 수 있다. 다른 인자는 과금 식별자 또는 선지불된 또는 후지불되는 것과 같은 과금 유형일 수 있다. 전달 시스템(132)은 목적지(126)로 송신되도록 허가된 메시지들의 퍼센티지를 선택하고, 나머지를 저장하거나 삭제할 것이다.
전달 시스템(132)은 스위칭 센터(122)로부터의 단일 트래픽 메시지의 수신시에 메시지 전달의 조정을 트리거링하지 않을 수 있다. 전달 시스템(132)은 실제로 스위칭 센터(122) 및/또는 다른 스위칭 센터들(도 1에 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복수의 트래픽 메시지들을 수신할 수 있으며, 복수의 트래픽 메시지들의 각각은 모바일 네트워크(100)의 소정의 부분 내의 혼잡을 나타내는 원인 코드를 포함한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 내의 목적지 지점 코드들에 기초하여 메시지들의 전달을 조정하는 방법(400)을 더욱 명확하게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402)에서, 전달 시스템(132)은 원인 코드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트래픽 메시지들을 수신한다. 단계(404)에서, 전달 시스템(132)은 각각의 트래픽 메시지에 대한 목적지 지점 코드들을 식별하도록 트래픽 메시지들을 처리한다. 단계(406)에서, 전달 시스템(132)은 어떤 기간 동안 각각의 목적지 지점 코드에 대해 수신된 원인 코드들의 수의 카운트(count)를 유지한다. 한 목적지 지점 코드에 대한 원인 코드들의 수가 임계치를 초과하면, 전달 시스템(132)은 그 목적지 지점 코드가 혼잡을 경험하고 있다고 확인한다. 그 결과, 단계(408)에서 전달 시스템(132)은 규칙 데이터베이스(134) 내의 규칙들을 처리하는 것에 의한 것과 같이 그 목적지 지점 코드로 향하는 메시지들의 전달을 조정한다. 전달 시스템(132)은 임계치를 초과하는 각각의 목적지 지점 코드에 대하여 이것을 행한다. 따라서, 전달 시스템(132)은 혼잡을 경험하고 있는 각각의 목적지 지점 코드에 대한 메시지들의 전달을 제한한다. 동시에, 전달 시스템(132)은 혼잡을 경험하고 있지 않은 목적지 지점 코드들로의 평소의 메시지 전달을 유지할 수 있다.
혼잡을 경험하고 있는 목적지 지점 코드들을 식별하기 위해 전달 시스템(132)에 의해 이용되는 임계치는 다양한 인자들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달 시스템(132)은 시각, 요일, 날짜에 기초하여 임계치를 동적으로 규정할 수 있다. 전달 시스템(132)은 또한 가입자 번호, SMS 메시지에 대한 EMS 메시지들의 퍼센티지 등과 같은 다른 네트워크 매개변수들에 기초하여 임계치를 동적으로 규정할 수 있다.
도 5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 내의 모바일 네트워크(500)를 나타낸다. 모바일 네트워크(500)는 SMS 메시지들의 전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모바일 네트워크(500)는 복수의 SMSC들(510-513), MSC(522), 및 복수의 목적지들(526-529)을 포함한다. 도 5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SMSC들(510-513), MSC(522), 및 목적지들(126-129)은 SS7 시그널링 링크들과 같은 시그널링 링크들을 통해 접속된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자명해질 것이다.
동작시에, 각각의 SMSC(510-513)는 SMS 메시지들을 MSC(522)에 전달한다. 또한, MSC(522)는 SMS 메시지들 내의 라우팅 레벨들에 기초하여 목적지들(526-529)에 SMS 메시지들을 포워드한다. 각각의 목적지(526-529)는 라우팅을 위한 고유한 목적지 지점 코드를 갖는다. 예를 들면, 목적지(526)는 DPC1의 목적지 지점 코드를 가지며, 목적지(527)는 DPC2의 목적지 지점 코드를 갖는 등이다. SMS 메시지들을 전달하는 동안, MSC(522)는 목적지들(526-529)에 라우팅되는 메시지 트래픽의 양을 모니터링한다. 목적지(목적지(526)로 가정)에 라우팅되는 메시지 트래픽이 임계치를 초과하면, MSC(522)는 목적지(526)에 대한 트래픽 혼잡을 나타내는 트래픽 메시지들을 생성한다. MSC(522)는 트래픽 혼잡을 나타내는 원인 코드를 확인하고 원인 코드 및 목적지(526)에 대한 목적지 지점 코드(DPC1)를 트래픽 메시지들에 삽입한다. MSC(522)는 그 후 트래픽 메시지들을 SMSC(510, 511)에 송신한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 내의, MSC(522)가 트래픽 메시지들을 SMSC들(510-511)에 송신하는 것을 나타낸다. MSC(522)는 희망하는 구성에 따라 SMSC들(512-513)에 트래픽 메시지들을 추가로 송신할 수 있다.
도 6에서, SMSC(510)는 DPCl에 대한 트래픽 혼잡을 나타내는 트래픽 메시지를 MSC(522)로부터 수신한다. SMSC(510)는 또한 MSC(522) 및 도 6에 나타내지 않은 다른 MSC들로부터 추가의 트래픽 메시지들을 수신할 수 있다. SMSC(510)는 각각의 트래픽 메시지에 대한 목적지 지점 코드들을 식별하도록 트래픽 메시지들을 처리한다. SMSC(510)는 어떤 기간 동안 각각의 목적지 지점 코드에 대해 수신되는 원인 코드들의 수의 카운트를 유지한다. 한 목적지 지점 코드(예를 들면, DPC1)에 대한 원인 코드들의 수가 임계치를 초과하면, SMSC(510)는 DPC1이 혼잡을 경험하고 있다고 확인한다. 그 결과, SMSC(510)는 DPC1에 전달되는 SMS 메시지들의 수를 제한하도록 DPC1로 향하는 SMS 메시지들의 전달을 조정한다. 따라서, DPC1에 대한 SMS 메시지가 첫번째로 수신되거나 DPC1에 대한 SMS 메시지가 재시도를 위해 스케줄링되면, SMSC(510)는 SMS 메시지의 전달을 언제 시도할지 또는 시도할지 말지를 결정하도록 규칙들을 처리한다. 예를 들면, 규칙들은 SMS 메시지의 제 1 전달 시도가 제 1 전달 시도를 지연하기 위해 어떤 시간 간격 동안 큐잉된다고 규정할 수 있다. 규칙들은 SMS 메시지들에 대한 재시도 간격들이 증가된다고 규정할 수 있다. 규칙들은 SMS 메시지들의 퍼센티지가 다양한 인자들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전달된다고 규정할 수 있다. SMSC(511)는 DPC1로의 SMS 메시지들의 전달을 조정하기 위해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 내의, SMSC들(510-511)이 DPC1에 전달되는 SMS 메시지들의 수를 제한하는 것을 나타낸다. DPC1에 대한 혼잡으로 인해, SMSC(510) 및 SMSC(511) 모두는 DPC1로의 SMS 메시지들의 전달을 조정한다. MSC(522)에서 DPC1으로 전달되는 SMS 메시지들은 또한 조정될 것이다. 어떤 기간 동안, DPC1에 전달되는 SMS 메시지들의 수가 제한되기 때문에, 목적지(526)가 경험하는 혼잡은 완화될 수 있다. 동시에, SMSC들(510-513)은 DPC2, DPC3, 및 DPC4에 대해서는 평소의 메시지 전달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목적지들(527-529)로의 서비스는 목적지(526)의 혼잡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MSC(522)가 목적지들(526 및 527)에 대한 혼잡을 확인하는 다른 예에 대하여 가정하자. MSC(522)는 목적지들(526-527)에 대한 트래픽 혼잡을 나타내는 트래픽 메시지를 생성한다. MSC(522)는 트래픽 혼잡을 나타내는 원인 코드를 확인하고, 원인 코드 및 목적지들(526-527)에 대한 목적지 지점 코드들(DPC1 및 DPC2)을 트래픽 메시지에 삽입한다. MSC(522)는 그 후 SMSC(510)에 트래픽 메시지를 송신한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 내의, MSC(522)가 SMSC(510)에 트래픽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나타낸다. MSC(522)는 원하는 구성에 따라 SMSC들(511-513)에 트래픽 메시지를 추가로 송신할 수 있다.
도 8에서, SMSC(510)는 DPC1 및 DPC2에 대한 트래픽 혼잡을 나타내는 트래픽 메시지를 MSC(522)로부터 수신한다. SMSC(510)는 또한 MSC(522) 및 도 8에 나타내지 않은 다른 MSC들로부터 추가의 트래픽 메시지들을 수신할 수 있다. SMSC(510)는 각각의 트래픽 메시지에 대한 목적지 지점 코드들을 식별하기 위해 트래픽 메시지들을 처리한다. SMSC(510)는 어떤 기간 동안 각각의 목적지 지점 코드에 대해 수신되는 원인 코드들의 수의 카운트를 유지한다. 하나 이상의 목적지 지점 코드들(예를 들면, DPC1 및 DPC2)에 대한 원인 코드들의 수가 임계치를 초과하면, SMSC(510)는 DPC1 및 DPC2가 혼잡을 경험하고 있다고 확인한다. 그 결과, SMSC(510)는 목적지 지점 코드들(DPC1 및 DPC2)에 전달되는 SMS 메시지들의 수를 제한하기 위해 DPC1 및 DPC2로 향하는 SMS 메시지들의 전달을 조정한다.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 내의, SMSC(510)가 DPC1 및 DPC2에 전달되는 SMS 메시지들의 수를 제한하는 것을 나타낸다. DPC1 및 DPC2에 대한 혼잡으로 인해, SMSC(510)는 DPC1 및 DPC2로의 SMS 메시지들의 전달을 조정한다. MSC(522)로부터의 DPC1 및 DPC2로 향하는 SMS 메시지들은 또한 조정될 것이다. 어떤 기간 동안 DPC1 및 DPC2에 전달되는 SMS 메시지들의 수가 제한되기 때문에, 목적지들(526-527)이 경험하는 혼잡은 완화될 수 있다. 동시에, SMSC들(510-513)은 DPC3 및 DPC4에 대해서는 평소의 메시지 전달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목적지들(528-529)로의 서비스는 목적지들(526-527)의 혼잡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DPC 당 수신되는 원인 코드들의 수를 카운트하는 것 이외에, SMSC들(510-513)은 MSC(522) 당 수신되는 원인 코드들의 수를 추가로 카운트할 수 있다. 따라서, SMSC들(510-513)은 DPC들에 기초하여 및 MSC들에 기초하여 SMS 메시지들의 전달을 조정할 수 있다.
도면들 또는 상세한 설명에 나타낸 다양한 요소들 중 임의의 것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소정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요소는 전용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전용 하드웨어 요소들은 "처리기들", "제어기들", 또는 소정의 유사한 기술로서 참조될 수 있다. 처리기에 의해 제공될 때, 그 기능들은 단일의 전용 처리기, 단일의 공유되는 처리기, 또는 복수의 개별 처리기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그들 중 몇몇은 공유될 수 있다. 또한, "처리기" 또는 "제어기"의 용어들을 표면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배타적으로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킬 수 있는 하드웨어만을 의미하도록 구성되지 않아야 하며, 암묵적으로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DSP) 하드웨어, 네트워크 처리기,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또는 다른 회로, 필드 프로그래밍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ROM, RAM, 비휘발성 저장소, 논리(logic), 또는 소정의 다른 물리적 하드웨어 구성요소 또는 모듈을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한 요소는 그 요소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처리기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몇몇의 명령어들의 예들에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코드, 및 펌웨어가 있다. 명령들은 처리기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그 요소의 기능들을 실행하게 지시하도록 동작한다. 명령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저장 장치들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 장치들의 몇몇의 예들에는 디지털 또는 고체 메모리들, 자기 디스크들 및 자기 테이프들과 같은 자기 저장 매체, 하드 드라이브들, 또는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매체가 있다.
여기에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그러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의 청구항들 및 그들에 대한 임의의 등가물들에 의해 규정된다.
100: 모바일 네트워크 120: 메시지 센터
122: 스위칭 센터 126: 목적지
132: 전달 시스템

Claims (10)

  1. 모바일 네트워크 내의 텍스트/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다루도록 동작가능한 메시지 센터(120)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센터(120)는,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 내의 목적지들에 대한 트래픽 혼잡이 확인되면, 텍스트/멀티미디어 메시지들의 전달이 목적지 지점 코드들에 어떻게 제한되는지를 규정하는 규칙들을 저장하도록 동작가능한 규칙 데이터베이스(134); 및
    목적지(126-129)에 대한 트래픽 혼잡을 나타내는 트래픽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의 스위칭 센터(122)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목적지(126-129)에 대한 목적지 지점 코드를 식별하도록 상기 트래픽 메시지를 처리하고, 상기 규칙 데이터베이스(134) 내에 저장된 상기 규칙들에 기초하여 상기 목적지 지점 코드로 향하는 상기 텍스트/멀티미디어 메시지들의 전달을 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전달 시스템(132)으로서, 상기 텍스트/멀티미디어 메시지들의 전달은,
    상기 목적지 지점 코드로 향하는 텍스트/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제 1 전달 시도을 조정하고, 상기 목적지 지점 코드로 향하는 텍스트/멀티미디어 메시지의 하나 이상의 재시도들을 조정함으로써 조정되는, 상기 전달 시스템(132)을 포함하는, 메시지 센터(12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시스템(132)은 또한 원인 코드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트래픽 메시지들을 수신하고, 각각의 트래픽 메시지에 대한 목적지 지점 코드들을 식별하도록 상기 트래픽 메시지들을 처리하고, 어떤 기간 동안 각각의 목적지 지점 코드에 대해 수신되는 원인 코드들의 수의 카운트(count)를 유지하도록 동작할 수 있고,
    목적지 지점 코드에 대한 원인 코드들의 수가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전달 시스템(132)은 또한 상기 규칙 데이터베이스(134) 내에 저장된 상기 규칙들에 기초하여 상기 목적지 지점 코드로 향하는 상기 텍스트/멀티미디어 메시지들의 전달을 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메시지 센터(12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시스템(132)은 또한 시각(time of day) 또는 요일(day of the week)에 기초하여 상기 임계치를 동적으로 규정하도록 동작가능한, 메시지 센터(120).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시스템(132)은 또한 제 1 전달 시도들을 지연하기 위해 어떤 시간 간격 동안 상기 목적지 지점 코드로 향하는 상기 텍스트/멀티미디어 메시지들에 대한 상기 제 1 전달 시도들을 큐잉(queuing)하도록 동작가능한, 메시지 센터(120).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시스템(132)은 또한 상기 목적지 지점 코드로 향하는 상기 텍스트/멀티미디어 메시지들에 대한 재시도 간격들을 증가시키도록 동작가능한, 메시지 센터(120).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시스템(132)은 또한 상기 목적지 지점 코드로 향하는 상기 텍스트/멀티미디어 메시지들의 퍼센티지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동작가능한, 메시지 센터(120).
  7. 모바일 네트워크(100) 내의 목적지들에 대한 트래픽 혼잡이 확인되면, 텍스트/멀티미디어 메시지들의 전달이 목적지 지점 코드들에 어떻게 제한되는지를 규정하는 규칙들을 저장하는 단계;
    목적지(126-129)에 대한 트래픽 혼잡을 나타내는 트래픽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목적지(126-129)에 대한 목적지 지점 코드를 식별하도록 상기 트래픽 메시지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규칙들에 기초하여 상기 목적지 지점 코드로 향하는 상기 텍스트/멀티미디어 메시지들의 전달을 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목적지 지점 코드로 향하는 텍스트/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제 1 전달 시도를 조정하고, 상기 목적지 지점 코드로 향하는 텍스트/멀티미디어 메시지의 하나 이상의 재시도들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텍스트/멀티미디어 메시지들의 전달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원인 코드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트래픽 메시지들을 수신하는 단계;
    각각의 트래픽 메시지에 대한 목적지 지점 코드들을 식별하도록 상기 트래픽 메시지를 처리하는 단계;
    어떤 기간 동안 각각의 목적지 지점 코드에 대해 수신되는 원인 코드들의 수의 카운트를 유지하는 단계; 및
    목적지 지점 코드에 대한 원인 코드들의 상기 수가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저장된 규칙들에 기초하여 상기 목적지 지점 코드로 향하는 텍스트/멀티미디어 메시지들의 전달을 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시각 또는 요일에 기초하여 상기 임계치를 동적으로 규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모바일 네트워크(100) 내에서의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지점 코드로 향하는 텍스트/멀티미디어 메시지들의 전달을 조정하는 단계는:
    제 1 전달 시도들을 지연하기 위해, 어떤 시간 간격 동안 상기 목적지 지점 코드로 향하는 상기 텍스트/멀티미디어 메시지들에 대한 상기 제 1 전달 시도들을 큐잉하는 단계;
    상기 목적지 지점 코드로 향하는 상기 텍스트/멀티미디어 메시지들에 대한 재시도 간격들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목적지 지점 코드로 향하는 상기 텍스트/멀티미디어 메시지들의 퍼센티지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네트워크(100) 내에서의 방법.


KR1020117031125A 2009-06-29 2010-06-08 목적지 지점 코드들에 기초한 메시지 전달 제어 KR1013181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493,691 2009-06-29
US12/493,691 US8401577B2 (en) 2009-06-29 2009-06-29 Message delivery control based on destination point codes
PCT/US2010/037708 WO2011008366A1 (en) 2009-06-29 2010-06-08 Message delivery control based on destination point cod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440A KR20120029440A (ko) 2012-03-26
KR101318134B1 true KR101318134B1 (ko) 2013-10-16

Family

ID=42732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1125A KR101318134B1 (ko) 2009-06-29 2010-06-08 목적지 지점 코드들에 기초한 메시지 전달 제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01577B2 (ko)
EP (1) EP2449732B1 (ko)
JP (1) JP5529960B2 (ko)
KR (1) KR101318134B1 (ko)
CN (1) CN102474453B (ko)
WO (1) WO20110083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83922A1 (en) * 2012-01-13 2013-07-18 Tim J. Olker Method For Determining When A Large Crowd Gathers Based Upon Mobile Unit Registration Messages
US8407306B1 (en) 2012-06-25 2013-03-26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message delivery based on message priority
JP2015530766A (ja) * 2012-09-28 2015-10-15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制御装置、端末、端末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015991B1 (en) * 2013-06-28 2018-02-28 NEC Corporation Push-type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push-type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program
US9397936B2 (en) * 2014-08-06 2016-07-19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ource-based network routing
JP7088214B2 (ja) * 2018-01-18 2022-06-21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装置、トラヒック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制御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9387A1 (en) 2001-03-05 2002-10-31 Allison Rick L. Methods and systems for preventing short message service (SMS) message flooding
US20040171393A1 (en) 2001-04-18 2004-09-02 Robert Harding Managing text message traffic in mobile telephone networks
US6996225B1 (en) * 2002-01-31 2006-02-07 Cisco Technology, Inc. Arrangement for controlling congestion in an SS7 signaling node based on packet classification
US20060215550A1 (en) * 2005-03-23 2006-09-28 Richa Malhotra Method and apparatus for flow control of data in a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5681A (ja) * 1991-11-18 1993-06-11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画像通信装置
JPH11205385A (ja) * 1998-01-09 1999-07-30 Nec Corp フレームリレー交換機におけるbecnビットを用いたフレームリレートラッフィク迂回方式
US6308075B1 (en) * 1998-05-04 2001-10-23 Adc Tele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short messages
JP3735631B2 (ja) * 2004-03-18 2006-01-1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メール送受信装置及びメール送受信方法
CN101087244A (zh) * 2006-06-07 2007-12-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流控制传输中拥塞控制的实现方法
CN101098301B (zh) * 2006-06-27 2011-04-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网络的二层拥塞控制方法
US8526979B2 (en) * 2006-12-19 2013-09-03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parent-controlled short message service
JP2008236307A (ja) * 2007-03-20 2008-10-02 Fujitsu Ltd ネットワーク監視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監視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9387A1 (en) 2001-03-05 2002-10-31 Allison Rick L. Methods and systems for preventing short message service (SMS) message flooding
US20040171393A1 (en) 2001-04-18 2004-09-02 Robert Harding Managing text message traffic in mobile telephone networks
US6996225B1 (en) * 2002-01-31 2006-02-07 Cisco Technology, Inc. Arrangement for controlling congestion in an SS7 signaling node based on packet classification
US20060215550A1 (en) * 2005-03-23 2006-09-28 Richa Malhotra Method and apparatus for flow control of data in a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331001A1 (en) 2010-12-30
CN102474453B (zh) 2014-11-05
WO2011008366A1 (en) 2011-01-20
CN102474453A (zh) 2012-05-23
EP2449732B1 (en) 2017-01-04
US8401577B2 (en) 2013-03-19
JP5529960B2 (ja) 2014-06-25
EP2449732A1 (en) 2012-05-09
KR20120029440A (ko) 2012-03-26
JP2012531811A (ja) 201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8134B1 (ko) 목적지 지점 코드들에 기초한 메시지 전달 제어
ES2365149T3 (es) Aparato de servicios de telecomunicaciones (encaminador de sms) y método para entregar mensajes cortos (sms) a través de la red doméstica del receptor.
US20100323725A1 (en) Individualized retry configurations for messages having failed delivery
WO2005096643A1 (en) Telecommunications services apparatus and method for modifying the routing of mobile terminated short messages (sms)
KR20120112710A (ko) Smpp 프로토콜을 사용한 sms 스푸핑을 관리하는 방법
US87436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MS termination overload protection
KR101490288B1 (ko) 외부 메시지 센터들로의 메시지 대기 통지
GB2350918A (en) Paging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8886168B2 (en) Selective first delivery attempt (FDA) processing for text messages
KR20070000752A (ko) 이동전화 교환국에서의 단문메시지 유실 방지 방법
EP2708060B1 (en)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electronic content to a recipient device
WO2010068506A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first delivery attempt service for short message peer-to-peer (smpp) messages
CN103634756A (zh) 一种物联网应用与短消息增值业务交互的处理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