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7270B1 - 충전지 강제 방전장치 - Google Patents

충전지 강제 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7270B1
KR101317270B1 KR1020120000018A KR20120000018A KR101317270B1 KR 101317270 B1 KR101317270 B1 KR 101317270B1 KR 1020120000018 A KR1020120000018 A KR 1020120000018A KR 20120000018 A KR20120000018 A KR 20120000018A KR 101317270 B1 KR101317270 B1 KR 101317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hargeable battery
discharge
current
uni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0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8879A (ko
Inventor
김일호
Original Assignee
㈜태양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양기술 filed Critical ㈜태양기술
Priority to KR1020120000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7270B1/ko
Publication of KR20130078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8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3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9Overheat or overtemperatur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지 강제 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전지를 사용한 후, 재충전하기 전에 충전지에서 잔류하는 전류를 강제 방전시킨 다음 재충전하여 재충전 효율을 최대로 높여 주는 충전지 강제 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충전지 강제 방전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외부의 충전지와 연결되는 접속단자부와; 상기 접속단자부에 연결된 상기 충전지의 전류를 열로 변환하여 방전시키는 방전저항부와; 상기 접속단자부에 연결된 상기 충전지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측정부와; 상기 충전지에서 공급되어 상기 방전저항부에서 방전되고 남은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측정부와; 상기 접속단자부와 상기 방전저항부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전자접촉기(Electro Magnetic Contactor)와; 외부전원에 의해 상기 전압측정부 및 전자접촉기가 작동되도록 온/오프 시키는 제1스위치와; 외부전원에 의해 상기 전류측정부가 작동되도록 온/오프 시키는 제2스위치와; 상기 제1스위치가 온 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접촉기가 작동되도록 온/오프 시키는 스타트스위치; 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스위치 및 상기 스타트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면, 상기 전자접촉기가 상기 접속단자부와 상기 방전저항부를 연결하여 상기 충전지에 잔류하는 전류가 상기 방전저항부로 흐르면서 강제 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충전지 강제 방전장치 { FORCE DISCHARGING DEVICE FOR BATTERY }
본 발명은 충전지 강제 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전지를 사용한 후, 재충전하기 전에 충전지에서 잔류하는 전류를 강제 방전시킨 다음 재충전하여 재충전 효율을 최대로 높여 주는 충전지 강제 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충전지는 장난감, 모형비행기 또는 사진기와 같은 작은 전자제품에서부터 전기 지게차 등과 같은 사업용 기기에서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충전지는 사용한 후, 재충전하기 위해서는 충전지에 충전되어 있는 전류값과 전압값을 일정값까지 방전시킨 다음, 재충전하여야만 충전효율을 향상시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전지를 일정값까지 방전시킨 후, 재충전하게 되면, 충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시에도 기준전압까지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일정값까지 방전시키지 않고 재충전하게 되면 충전이 신속히 이루어지지 않아 충전효율이 떨어지고, 또한 사용시에는 충전지의 전극이 충전전압의 충전값을 기억하고 있으므로, 재충전하기 전에 남아 있던 전압값과 전류값 이하에서는 충전지로서 기능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예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139788호에 게재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충전지 방전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지 방전장치는, 기준전압발생수단(5)과, 방전종지전압을 설정하는 방전종지전압설정수단(6)과, 상기 기준전압과 방전종지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7)와, 상기 비교기에서 출력되는 방전종지전압을 증폭하는 OP증폭기(9)와, 상기 OP증폭기(9)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를 받아서 방전전류를 조정하는 방전전류조정수단(11)과, 충전지(Ba)의 충전전압을 방전저항에 의해 고증폭도로 방전시키는 다알링톤 증폭수단(13)과, 상기 방전저항에서 충전지(Ba)의 충전전압의 방전을 표시하는 방전표시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충전지 방전장치는, 충전지를 연결하면 바로 방전이 시작되고, 충전지에 남아있는 전류와 전압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충전지에 남아 있는 전압값과 전류값이 낮아지게 되면 작동되지 않아 전류값과 전압값을 일정값까지 방전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든 장치들이 외부전원을 인가받아 작동되도록 하여 방전된 충전지의 전류값과 전압값을 일정값까지 수월하게 강제 방전시킬 수 있는 충전지 강제 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충전지 강제 방전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외부의 충전지와 연결되는 접속단자부와; 상기 접속단자부에 연결된 상기 충전지의 전류를 열로 변환하여 방전시키는 방전저항부와; 상기 접속단자부에 연결된 상기 충전지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측정부와; 상기 충전지에서 공급되어 상기 방전저항부에서 방전되고 남은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측정부와; 상기 접속단자부와 상기 방전저항부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전자접촉기(Electro Magnetic Contactor)와; 외부전원에 의해 상기 전압측정부 및 전자접촉기가 작동되도록 온/오프 시키는 제1스위치와; 외부전원에 의해 상기 전류측정부가 작동되도록 온/오프 시키는 제2스위치와; 상기 제1스위치가 온 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접촉기가 작동되도록 온/오프 시키는 스타트스위치; 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스위치 및 상기 스타트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면, 상기 전자접촉기가 상기 접속단자부와 상기 방전저항부를 연결하여 상기 충전지에 잔류하는 전류가 상기 방전저항부로 흐르면서 강제 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전저항부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된 방열관과; 상기 방열관의 외주연에 원판형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방열판;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방열판은 열로 변환된 상기 충전지의 전류를 외부로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전저항부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상기 방전저항부가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온/오프 시키는 선택스위치;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전저항부의 후방에는 상기 방열관 및 상기 방열판을 냉각시키는 냉각팬;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냉각팬은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스타트스위치가 온 된 상태에서 작동되며, 위에서 보았을 때, U자 형상의 상기 방열관은 양단을 이은 가상선이 상기 냉각팬에 의한 바람의 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스위치가 온 상태에서 작동하는 타이머;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타이머는, 상기 전류측정부에서 측정된 전류값에 의해 상기 충전지의 방전될 시간을 산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값에 의해 상기 충전지가 방전되기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충전지의 방전이 완료되면 이를 외부로 표시하는 알람;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측정부에서 측정된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일정값에 도달하면 상기 알람을 제어하여 외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충전지 강제 방전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제1스위치 및 상기 스타트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면, 상기 전자접촉기가 상기 접속단자부와 상기 방전저항부를 연결하여 상기 충전지에 잔류하는 전류가 상기 방전저항부로 흐르면서 강제 방전되는 효과가 있다.
원판형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상기 방열판에 의해 열로 변환된 상기 충전지의 전류를 외부로 보다 잘 발산하여 상기 방열관을 냉각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각각의 상기 방전저항부가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온/오프 시키는 선택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충전지의 용량에 맞게 상기 방전저항부를 선택하여 방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방전저항부가 과열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방전저항부의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장착함으로써, 온도가 상승된 상기 방전저항부를 빠르게 냉각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위에서 보았을 때, U자 형상의 상기 방열관은 양단을 이은 가상선이 상기 냉각팬에 의한 바람의 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냉각팬에서 발생하는 바람이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방전저항부에 보다 잘 접촉되어 발생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냉각해 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타이머에 의해 상기 충전지의 방전되기까지 남은 시간을 미리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알람에 의해 충전지가 방전이 완료되고 나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충전지 방전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인 충전지 강제 방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인 충전지 강제 방전장치의 본체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충전지 강제 방전장치의 본체의 정면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충전지 강제 방전장치의 방전저항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3에서 A-A를 취해서 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충전지 강제 방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충전지 강제 방전장치의 본체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충전지 강제 방전장치의 본체의 정면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충전지 강제 방전장치의 방전저항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3에서 A-A를 취해서 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충전지 강제 방전장치는, 본체(100), 접속단자부(200), 방전저항부(300), 선택스위치(330), 전압측정부(400), 전류측정부(500), 전자접촉기(600), 제1스위치(710), 제2스위치(720), 스타트스위치(730), 냉각팬(800) 및 타이머(9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후방에는 상기 접속단자부(200)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상기 방전저항부(300), 상기 전압측정부(400), 상기 전류측정부(500), 상기 전자접촉기(600), 상기 냉각팬(800) 및 상기 타이머(90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정면과 후면에는 내부에 장착된 상기 냉각팬(800)으로 공기가 공급되어 전방으로 나오도록 통공(1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정면 상부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압측정부(400)와 상기 전류측정부(500)에서 측정된 전류와 전압을 표시하는 액정부(120)가 구비되며, 그 옆에는 상기 제1스위치(710), 상기 제2스위치(720), 상기 스타트스위치(730), 상기 선택스위치(330)가 사용자에 의해 온/오프 작동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는 이동이 편리하도록 바퀴(130)를 장착한다.
상기 접속단자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후방에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접속단자부(200)는 내부에 잔류하는 전류를 방전시키기 위한 충전지(B)와 연결하는 부분이다.
상기 접속단자부(200)는 상기 충전지(B)가 직류전류이기 때문에 +극과 -극을 구별하여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방전저항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단자부(200)에 연결된 상기 충전지(B)의 전류를 열로 변환하여 외부로 발산하면서 상기 충전지(B)를 방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방전저항부(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관(310)과 방열판(3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열관(310)은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방열관(310)은 충전지(B)에 잔류하는 전류가 흐르면서 열로 변환되는 통로이다.
즉, 상기 방열관(310)은 공지의 열선(니크롬선)과 같이 전류가 흐르면 흐르는 전류를 열로 변화시켜 전류를 소모하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방열판(320)은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방열관(310)의 외주연에 원판형상으로 상호 이격되어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방열판(320)은 공기와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켜 상기 방열관(310)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도 받아 외부로 보다 잘 발산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방열관(310)을 I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외주연에 상기 방열판(320)을 장착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방열관(310)을 U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원판형상의 상기 방열판(320)이 장착되도록 하여 전류를 열로 변화시키는 상기 방열관(310)의 길이를 늘여줌으로써, 짧은 시간에 많은 량의 열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하여 충전지(B)의 전류를 빠르게 방전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택스위치(3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전저항부(300)를 온/오프 시킨다.
이때, 상기 방전저항부(300)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다수개로 이루어진 상기 방전저항부(300)는 각각 다른 저항값을 갖는다.
즉, 상기 선택스위치(330)는 다수개로 이루어진 상기 방전저항부(300)에 각각 설치되어 각각의 상기 방전저항부(300)를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온/오프 시킨다.
이는 상기 선택스위치(330)가 상기 접속단자부(200)에 연결된 충전지(B)의 전류값에 따라 각각의 저항값이 다른 상기 방전저항부(300)를 온 시켜, 보다 효율적으로 즉, 상기 방전저항부(300)에는 너무 많은 열이 발생하여 상기 방전저항부(300)가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방전저항부(300)의 저항이 너무 커 전류를 방전시키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충전지(B)의 전류를 강제 방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전압측정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단자부(200)에 연결된 충전지(B)의 전압을 측정한다.
이러한 상기 전압측정부(400)는 외부의 전원에 의해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전압측정부(400)에서 측정된 전압값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 정면에 구비된 상기 액정부(120)를 통해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상기 전류측정부(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단자부(200)에 연결된 충전지(B)의 전류를 측정한다.
이러한 상기 전류측정부(500)는 외부의 전원에 의해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전류측정부(500)에 의해 측정된 전류값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 정면에 구비된 상기 액정부(120)를 통해 표시되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이러한 상기 전류측정부(500)는 상기 방전저항부(300)를 통해 열로 변환되어 방전되고 남은 전류의 량을 측정하도록 한다.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된 전류값에 의해 외부전원을 온/오프 시키고, 상기 선택스위치(330)에 의해 적당한 저항값을 갖도록 상기 방전저항부(300)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전자접촉기(6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단자부(200)와 상기 방전저항부(300)를 연결 또는 차단하다.
상기 전자접촉기(600)(Electro Magnetic Contactor)의 구조는 공지된 바와 같이 전기 회로의 개폐를 전자석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전자접촉기(600)는 상기 외부전원(P)에 의해 작동된다.
즉, 상기 전자접촉기(600)에 외부전원(P)이 인가되면 상기 접속단자부(200)와 상기 방전저항부(300)를 연결하여 상기 접속단자부(200)에 연결된 충전지(B)의 전류를 상기 방전저항부(300)로 흐르게 하여 강제 방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전자접촉기(600)에 외부전원(P)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접속단자부(200)와 상기 방전저항부(300)의 연결을 차단하여 상기 접속단자부(200)에 연결된 충전지(B)의 전류가 상기 방전저항부(300)로 흐르면서 방전되지 않게 한다.
따라서 상기 전자접촉기(600)는 사용자가 외부전원(P)을 인가할 때에만 상기 접속단자부(200)와 상기 방전저항부(300)를 연결하여 상기 충전지(B)의 전류를 강제로 방전시키도록 한다.
상기 제1스위치(7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전원(P)에 의해 상기 전압측정부(400) 및 상기 전자접촉기(600)가 작동되도록 온/오프 시킨다.
이러한 상기 제1스위치(7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하기 쉽도록 상기 본체(100)의 정면에 장착된다.
상기 제2스위치(7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전원(P)에 의해 상기 전류측정부(500)가 작동되도록 온/오프 시킨다.
이러한 상기 제2스위치(7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하기 쉽도록 상기 본체(100)의 정면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스위치(710)와 상기 제2스위치(720)에 의해 상기 전압측정부(400), 상기 전자접촉기(600) 및 상기 전류측정부(500)에 외부전원(P)을 인가하여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접속단자부(200)에 연결된 충전지(B)의 전압과 전류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타트스위치(7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위치(710)가 온 상태에서 상기 전자접촉기(600)가 작동되도록 온/오프 시킨다.
이때, 상기 제1스위치(710)가 온 상태에서 상기 전자접촉기(600)가 작동되도록 상기 스타트스위치(730)를 온/오프 시키는 것은 상기 전압측정부(400) 및 상기 전류측정부(500)를 먼저 동작시키기 위한 외부전원(P)을 인가한 후, 상기 스타트스위치(730)가 상기 접속단자부(200)와 방전저항부(300)를 연결하여 상기 접속단자부(200)에 연결된 충전지(B)의 전압과 전류값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스타트스위치(7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하기 쉽도록 상기 본체(100)의 정면에 장착된다.
상기 냉각팬(8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전저항부(300)의 후방 측 상기 본체(100)에 장착한다.
상기 냉각팬(800)은 상기 방열관(310) 및 상기 방열판(320)에 바람이 불게 하여 열을 냉각시켜준다.
이러한 상기 냉각팬(8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전원(P)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제1스위치(710)에 의해 온/오프 된다.
즉, 상기 냉각팬(800)은 상기 제1스위치(710)가 온 상태일 때 작동된다.
이때, 상기 다수개로 이루어진 방전저항부(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방열관(310)의 양단을 이은 가상선(L)이 상기 냉각팬(800)에 의해 발생하는 바람의 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방열관(310)의 전단과 후단에 고르게 바람이 불어 보다 잘 냉각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방열관(310)의 전단과 후단이 바람의 이동방향과 일치하도록 위치하게 되면 상기 냉각팬(800)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상기 방열관(310)의 후단에만 접촉되어 전단에서 발생하는 열은 잘 냉각되지 않게 된다.
또한,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방열관(310)의 전단과 후단이 바람의 이동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치되면 상기 냉각팬(800)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방열관(310)에만 접촉되어 후방에 위치하는 또 다른 상기 방열관(310)에서는 바람이 잘 접촉되지 않아 열이 잘 냉각되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상기 방열관(310)의 양단을 이은 가상선이 바람의 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상기 방열관(310)의 전단과 후단 모두에 상기 냉각팬(800)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접촉되어 상기 방열관(310)의 전단과 후단 모두에서 발생하는 열이 바람에 의해 보다 잘 냉각되도록 한다.
상기 타이머(900)는 상기 접속단자부(200)에 연결된 충전지(B)의 방전되기까지의 시간을 사용자에게 미리 알려준다.
상기 타이머(9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스위치(720)의 조작에 의해 외부전원(P)을 인가받아 작동된다.
이러한 상기 타이머(900)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 표시부(910), 알람(9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전류측정부(500)와 연결되어 측정된 전류값에 의해 상기 접속단자부(200)에 연결된 충전지(B)의 방전될 시간을 산출한다.
즉, 상기 제어부는 충전지(B)에 잔류하는 전류값과 상기 선택스위치(330)에 의해 연결된 상기 방전저항부(300)의 저항값에 대해 충전지(B)에 잔류하는 전류가 방전되기까지의 방전될 시간 즉 소요시간을 미리 산출한다.
상기 표시부(910)는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값에 의해 상기 충전지(B)가 방전되기까지의 시간을 표시한다.
예를들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류측정부(500)에서 측정된 전류값에 의해 충전지(B)의 방전될 시간이 5분이면, 이를 표시부(910)에 표시됨과 동시에 역으로 시간이 가면서 앞으로의 남은 방전되기까지의 시간을 알려준다.
이러한 표시부(9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정면에 장착하여 사용자가 보기 쉽도록 한다.
상기 알람(920)은 충전지(B)의 방전이 완료되면 이를 외부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이러한 상기 알람(920)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전류측정부(500)에서 측정된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일정값에 도달하면 제어되어 소리로 이를 외부에 알려준다.
이러한 표시부(9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정면에 장착하여 소리로 방전완료를 알려주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리로 알람(920)을 알려주도록 하였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램프 등으로 외부에 알릴 수도 있다.
또한, 알람(920)과 함께 외부전원(P)을 차단하여 충전지(B)의 잔류하는 전류를 더 이상 강제 방전이 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충전지(B)가 다시 재충전될 수 있는 최하의 전류값과 전압값을 유지하도록 하여 충전지(B)가 완전히 방전되어 고장 나면서 더 이상 충전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충전지 강제 방전장치의 작동과정을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방전시키고자 하는 충전지(B)를 접속단자부(200)에 +극(양극)과 -극(음극)에 맞추어 연결한다.
이렇게 연결한 후, 제1스위치(710)를 온 시키면, 상기 전압측정부(400)에 외부전원(P)이 인가되면서 충전지(B)의 전압을 측정할 준비를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자접촉기(600)에 의해 상기 접속단자부(200)와 상기 방전저항부(300)는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전압측정부(400)에서 측정된 전압값은 0이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스위치(710)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냉각팬(800)은 회전하여 바람을 생성시켜 상기 방전저항부(300)로 불게 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제2스위치(720)를 온 시키면, 상기 전류측정부(500)에 외부전원(P)이 인가되면서 충전지(B)의 전류를 측정할 준비를 하게 된다.
이때에도 상기 전자접촉기(600)에 의해 상기 접속단자부(200)와 상기 방전저항부(300)는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전류측정부(500)에서 측정된 전류값은 0이 된다.
그리고 상기 타이머(900)에도 외부전원(P)이 인가되었지만 상기 전류측정부(500)에서 측정된 전류값이 0이기에 타이머(900)는 작동되지 않는 상태이다.
이후, 상기 스타트스위치(730)를 온 시키면, 상기 전자접촉기(600)에 외부전원(P)이 인가되면서 상기 접속단자부(200)와 상기 방전저항부(300)가 연결된다.
이렇게 상기 접속단자부(200)와 상기 방전저항부(300)가 연결되면서 충전지(B)에서 잔류하는 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압측정부(400)에서는 충전지(B)의 전압을 측정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부(120)를 통해 작업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전류측정부(500)에서는 상기 방전저항부(300)를 지나온 남은 전류의 량을 측정하여 액정부(120)를 통해 작업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한다.
이때, 이렇게 상기 전류측정부(500)에서 측정된 전류값에 의해 상기 제어부는 충전지(B)의 방전될 시간을 산출한다.
이렇게 산출된 값에 의해 상기 충전지(B)가 방전되기까지의 남은 시간을 상기 표시부(910)를 통해 표시한다.
이때, 다수개로 이루어진 방전저항부(300)는 상기 전류측정부(500)와 상기 전압측정부(400)에서 측정된 전압값과 전류값에 의해 상기 선택스위치(330)를 작동시켜 측정된 전압값과 전류값에 맞는 저항을 선택하여 작동시킨다.
이렇게 상기 선택스위치(330)가 다수개의 상기 방전저항부(300)를 선택할 때에는 선택된 상기 방전저항부(300)의 전류값을 상기 전류측정부(500)가 측정한 측정값에 의해 상기 제어부는 다시 산출하여 표시부(910)를 통해 충전지(B)가 방전되기까지의 남은 시간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설정되고 나면, 충전지(B)에 잔류하는 전류는 상기 선택스위치(330)에 의해 선택된 상기 방전저항부(300)의 방열관(310)으로 흐르면서 열로 변환되고, 이렇게 변환된 열은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는 상기 방열판(320)으로 전도되어 외부로 발산한다.
그리고 상기 제1스위치(710)에 의해 외부전원(P)은 상기 냉각팬(800)을 회전시켜 바람을 생성하여 상기 방전저항부(300)로 불게 된다.
이때, 상기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방열관(310)의 양단을 이은 가상선이 바람의 이동방향에서 경사지게 배치되면서 U자 형상의 방열관(310)의 전단과 후단에 고르게 바람이 접촉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열을 발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충전지(B)의 전류가 방전되면서, 표시부(910)의 남은 시간이 0이 되면 상기 알람(920)을 통해 작업자에게 방전 완료 상태를 알려주게 된다.
이때, 상기 알람(920)은, 상기 전류측정부(500)에서 측정된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일정값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알람(920)을 제어하여 외부로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이러한 알람(920)에 의해 방전완료를 인식한 후, 상기 제1스위치(710) 상기 제2스위치(720) 및 스타트스위치(730)를 오프 시키고, 상기 접속단자부(200)에서 충전지(B)를 분리하여 충전기에 연결하여 재충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충전지(B)는 다시 충전하기 위한 최소값의 전압과 전류를 갖도록 즉, 일정값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가 제어하여 방전을 완료하였기 때문에 다시 재충전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인 충전지 강제 방전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본체 110: 통공 120: 액정부
200: 접속단자부 300: 방전저항부 310: 방열관
320: 방열판 330: 선택스위치 400: 전압측정부
500: 전류측정부 600: 전자접촉기 710: 제1스위치
720: 제2스위치 730: 스타트스위치 800: 냉각팬
900: 타이머 910: 표시부 920: 알람
B: 충전지 P:외부전원

Claims (5)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외부의 충전지와 연결되는 접속단자부와;
    상기 접속단자부에 연결된 상기 충전지의 전류를 열로 변환하여 방전시키는 방전저항부와;
    상기 접속단자부에 연결된 상기 충전지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측정부와;
    상기 충전지에서 공급되어 상기 방전저항부에서 방전되고 남은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측정부와;
    상기 접속단자부와 상기 방전저항부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전자접촉기(Electro Magnetic Contactor)와;
    외부전원에 의해 상기 전압측정부 및 전자접촉기가 작동되도록 온/오프 시키는 제1스위치와;
    외부전원에 의해 상기 전류측정부가 작동되도록 온/오프 시키는 제2스위치와;
    상기 제1스위치가 온 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접촉기가 작동되도록 온/오프 시키는 스타트스위치; 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스위치 및 상기 스타트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면, 상기 전자접촉기가 상기 접속단자부와 상기 방전저항부를 연결하여 상기 충전지에 잔류하는 전류가 상기 방전저항부로 흐르면서 강제 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지 강제 방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전저항부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된 방열관과;
    상기 방열관의 외주연에 원판형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방열판;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방열판은 열로 변환된 상기 충전지의 전류를 외부로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지 강제 방전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방전저항부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상기 방전저항부가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온/오프 시키는 선택스위치;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지 강제 방전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방전저항부의 후방에는 상기 방열관 및 상기 방열판을 냉각시키는 냉각팬;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냉각팬은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스타트 스위치가 온 된 상태에서 작동되며,
    위에서 보았을 때, U자 형상의 상기 방열관은 양단을 이은 가상선이 상기 냉각팬에 의한 바람의 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지 강제 방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치가 온 상태에서 작동하는 타이머;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타이머는,
    상기 전류측정부에서 측정된 전류값에 의해 상기 충전지의 방전될 시간을 산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값에 의해 상기 충전지가 방전되기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충전지의 방전이 완료되면 이를 외부로 표시하는 알람;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측정부에서 측정된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일정값에 도달하면 상기 알람을 제어하여 외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지 강제 방전장치.
KR1020120000018A 2012-01-02 2012-01-02 충전지 강제 방전장치 KR101317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018A KR101317270B1 (ko) 2012-01-02 2012-01-02 충전지 강제 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018A KR101317270B1 (ko) 2012-01-02 2012-01-02 충전지 강제 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879A KR20130078879A (ko) 2013-07-10
KR101317270B1 true KR101317270B1 (ko) 2013-10-14

Family

ID=48991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0018A KR101317270B1 (ko) 2012-01-02 2012-01-02 충전지 강제 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72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5560A (ko) * 2014-04-04 2015-10-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US9929449B2 (en) 2014-06-10 2018-03-27 Vertiv Energy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arming batteries
US11165262B2 (en) 2017-04-17 2021-11-02 Lg Chem,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overchar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86489B2 (en) * 2013-07-26 2017-03-07 Lg Chem, Ltd. Battery pack discharging device and method for discharging a battery pack
US10516189B2 (en) * 2016-11-15 2019-12-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igh voltage bus contactor fault detection
KR102271495B1 (ko) * 2019-07-17 2021-07-05 재단법인 자동차융합기술원 전기 자동차용 위기 상황 구난 장치
KR102397594B1 (ko) * 2020-05-08 2022-05-16 주식회사 마루온 전류제어방식 배터리 방전장치
CN113224815A (zh) * 2021-05-14 2021-08-06 湖北三宁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直流屏蓄电池放电装置及方法
KR102431726B1 (ko) * 2022-03-29 2022-08-10 이재협 배터리 방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321U (ja) * 1991-07-31 1993-02-26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の放電装置
JPH05146085A (ja) * 1991-11-20 1993-06-11 Nec Corp 電池の強制放電装置
JPH05182694A (ja) * 1992-01-07 1993-07-23 Rohm Co Ltd 蓄電池ユニット及び蓄電池内蔵機器
JP2001023588A (ja) 1999-07-02 2001-01-26 Hitachi Maxell Ltd 電池パッ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321U (ja) * 1991-07-31 1993-02-26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の放電装置
JPH05146085A (ja) * 1991-11-20 1993-06-11 Nec Corp 電池の強制放電装置
JPH05182694A (ja) * 1992-01-07 1993-07-23 Rohm Co Ltd 蓄電池ユニット及び蓄電池内蔵機器
JP2001023588A (ja) 1999-07-02 2001-01-26 Hitachi Maxell Ltd 電池パック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5560A (ko) * 2014-04-04 2015-10-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234290B1 (ko) 2014-04-04 2021-03-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US9929449B2 (en) 2014-06-10 2018-03-27 Vertiv Energy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arming batteries
US11165262B2 (en) 2017-04-17 2021-11-02 Lg Chem,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overchar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879A (ko)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7270B1 (ko) 충전지 강제 방전장치
US11128160B2 (en) System and methods for charging a battery for use with a power tool
US11820248B2 (en) Cold storage charging system and method
CN110062994B (zh) 用于防止过充电的装置和方法
JP6399479B2 (ja) 充電装置
US10103558B2 (en) Charger, charging system and power tool with battery pack
KR102052241B1 (ko) 밸런싱 배터리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9022429A (ja) 掃除機用充電器及びその急速充電制御方法
US11451079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charging
KR20210050367A (ko) 충전지 방전장치
KR101496516B1 (ko) 배터리 온도 조절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JP2012217329A (ja) 充電器及び電力供給システム
CN106816659B (zh) 充电方法和采用该方法的充电器
CN111614237B (zh) 预充电路、配电装置及电动汽车
JP2016192353A (ja) 電池パック
JP6699078B2 (ja) 電動工具用電池パックの充電装置
CN105551891A (zh) 一种电池能量均衡继电器及其控制方法
CN107359677B (zh) 检测装置、系统以及汽车
JPH10201121A (ja) 組電池の充電装置および充電方法
JPH08185899A (ja) 2次電池の冷却装置
JP2013158142A (ja) 充電装置及び充電システム
CN213906343U (zh) 智能电池修复脉冲充电一体机
CN212935959U (zh) 智能报警手机及温度异常报警系统
CN218276149U (zh) 一种无线式移动电源
CN211529719U (zh) 一种大功率充磁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