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7234B1 - Side Impact Absorbing Apparatus of Construction Vehicle - Google Patents

Side Impact Absorbing Apparatus of Construction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7234B1
KR101317234B1 KR1020130042556A KR20130042556A KR101317234B1 KR 101317234 B1 KR101317234 B1 KR 101317234B1 KR 1020130042556 A KR1020130042556 A KR 1020130042556A KR 20130042556 A KR20130042556 A KR 20130042556A KR 101317234 B1 KR101317234 B1 KR 101317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ing device
construction vehicle
chassis
shock absorbing
gea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25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47718A (en
Inventor
박광종
윤경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에어 챔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에어 챔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에어 챔버
Priority to KR1020130042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7234B1/en
Publication of KR20130047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7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2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extending primarily along the sides of, or completely encircling,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23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19/20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containing mainly gas or liquid, e.g. inflatable
    • B60R19/205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containing mainly gas or liquid, e.g. inflatable inflatable in the direction of an obstacle upon impending impact, e.g. usin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38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adjustably or movably mounted, e.g. horizontally displaceable for securing a space between parke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 공사차량의 측면 충격흡수장치는 공사 차량의 차대로서 내측으로 제1기어 홈이 형성된 전면 차대와, 내측으로 제2기어홈이 형성된 후면 차대와, 상기 전면 차대에 형성된 제1기어 홈과 맞물려서 구동하는 제1모터부가 일측 끝단에 구성되고 상기 후면 차대에 형성된 제2기어홈과 맞물려서 구동하는 제2모터부가 타측 끝단에 구성된 것으로 다수의 에어백이 설치되고 길이 조절기 가능한 충격흡수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side impact absorbing device of a construction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assis of a construction vehicle, the front chassis having a first gear groove formed therein, the rear chassis having a second gear groove formed therein, and the first gear groove formed in the front chassis being engaged. The first motor part is configured at one end and the second motor part is driven at the other end by engaging with the second gear groove formed on the rear chassis. It is.

Description

공사 차량의 측면 충격흡수장치{Side Impact Absorbing Apparatus of Construction Vehicle} Side Impact Absorbing Apparatus of Construction Vehicle

본 발명은 도로에서 공사하는 공사 차량의 측면에 다른 차량 등이 충돌하는 경우 충격을 흡수하는 차량의 측면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서 충돌하는 경우에는 범퍼에 의하여 충격을 다소 흡수하나 차량의 측면을 충돌하는 경우에는 마땅한 충격흡수 수단이 없으며, 현재의 측면 충돌의 경우에는 차량 내부에 에어백을 차량 도어에 설치하여 측면 충돌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de shock absorbing device of a vehicle that absorbs a shock when another vehicle or the like collides with a side of a construction vehicle under construction on a road. Generally, bumps are absorbed by the bumper when colliding from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but there is no proper shock absorbing means when colliding with the side of the vehicle. The installation is generally used to protect the occupants from side collisions.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051896호(2011. 07. 26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상기 종래의 자동차 범퍼 구조에 대한 구성도이다. 상기도 1에서 종래의 자동차 범퍼 구조는 충격을 흡수하는 것으로 부호 (2) 는 긴 범퍼 빔으로 차량의 앞측에 장착될 때 빔 (2) 은 측면으로 즉,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후 방향 (주행 방향) 에 직각인 방향으로 신장되는 것이고, 범퍼 구조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한 측에서 다른 측으로 만곡되며, 범퍼 빔 (2) 또 한 만곡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범퍼 빔 (2) 은 관형 빔으로서 중공체가 아닌 중실체일 수도 있으며 단면은 예컨데, 정사각형, 직사각형, 평행 육면체, 또는 C 형상 등의 어떠한 형상일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범퍼 빔 (2) 은 범퍼 빔 (2) 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하는 하나 이상 후향 오목부 (22) 가 제공된 앞면 (21) 을 갖는 구조이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U 형 리세스 (4) 를 형성하도록 앞면 (21) 의 상단부 (23) 와 하단부 (24) 사이의 중간 위치에 단지 하나의 오목부 (22) 가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부호 (1) 는 범퍼 구조의 앞면을 이루는 범퍼 패시어 이다. 압축가능한 에너지 흡수 발포재 (3) 는 패시어(1) 와 빔 (2)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고, 상기 발포재 (3) 는 범퍼 빔 (2) 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고, 오목부 (22) 에 수용되는 제 1 부분 (3a) 과 범퍼 빔 (2) 의 앞면 (21) 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제 2 부분 (5) 을 갖는 구조인 것이다. 상기 구성의 범퍼 구조에서, 발포재 (3) 의 제 2 부분 (5) 은 충돌 충격을 받으면 U 형 리세스 (4) 안에서 압축되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퍼 구조는, 심지어 발포재 (3) 가 충돌시 보행자의 다리를 보호하기에 충분한 비교적 긴 전후 길이를 가지는 경우라도, 비교적 작은 전후 방향 치수를 갖는다. 그러므로, 범퍼 구조는 차량 치수와 무게 감소에 기여하며, 심각한 무릎 부상을 피할 수 있도록 작용하는 것이다.
The related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51896 (August 26, 2011). 1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ventional vehicle bumper structure. In FIG. 1, the conventional vehicle bumper structure absorbs shock, and the reference numeral 2 denotes a long bumper beam when the beam 2 is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that is, in general, the front-rear direction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bumper structure is generally curved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and the bumper beam 2 is also curved. Further, the bumper beam 2 may be a solid body instead of a hollow body as a tubular beam, and the cross section may be any shape such as a square, a rectangle, a parallelepiped, or a C shape. The bumper beam 2 is also a structure having a front face 21 provided with one or more rearward recesses 22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mper beam 2. In the embodiment of FIG. 1, only one recess 22 is provided at an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upper end 23 and the lower end 24 of the front face 21 to form the U-shaped recess 4.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bumper passer that forms the front side of the bumper structure. The compressible energy absorbing foam 3 is arranged between the passer 1 and the beam 2, which foam 3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mper beam 2, and the recess 22. It is a structure which has the 1st part 3a accommodated in and the 2nd part 5 which protruded forward from the front surface 21 of the bumper beam 2. In the bumper structure of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econd part 5 of the foam material 3 is compressed in the U-shaped recess 4 when it is subjected to a crash impact, so that the bumpe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allows the foam material 3 to collide. Even if it has a relatively long longitudinal length enough to protect the leg of the city pedestrian, it has a relatively small longitudinal dimension. Therefore, the bumper structure contributes to the reduction in vehicle dimensions and weight and acts to avoid serious knee injuries.

상기와 같은 종래 자동차 범퍼는 차량의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기계적 구조에 의하여 충격을 흡수하므로 충격 흡수 및 충격 후의 반발력을 줄이는데 효과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 범퍼는 차량의 전면 및 후면에 대한 충돌에 대해서는 어느 정보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나 차량의 측면에 대한 충돌 시에는 충격력 및 반발력을 흡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공사 차량의 측면 충격흡수장치는 공사 차량과 타 차량의 측면 충돌 시 효과적으로 충격력과 반발력을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면 충격흡수장치를 공사 차량의 좌우측으로 이동하여 필요한 경우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서의 충돌로부터 충격력 및 반발력을 흡수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Conventional vehicle bumpers as described above are to be installe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to absorb the shock by the mechanical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that is not effective in reducing the shock absorption and repulsive force after the impact.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bumper as described above can absorb any information shock for the impact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but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absorb the impact force and repulsive force when the impact on the side of the vehicle. Side impact absorbing device of a construction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s to effectively absorb the impact force and repulsive force when the side of the construction vehicle and other vehicles.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ve the side shock absorbing device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nstruction vehicle to absorb the impact force and the repulsive force from the impact on the left or right side if necessary.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 공사차량의 측면 충격흡수장치는 공사 차량의 차대로서 내측에서 충격흡수 장치를 가이드 하는 제1가이드 수단인 제1기어 홈이 형성된 전면 차대와, 내측에서 충격흡수장치를 가이드 하는 제2가이드 수단인 제2기어홈이 형성된 후면 차대와, 상기 전면 차대에 형성된 가이드 수단인 제1기어홈과 맞물려서 구동하는 제1모터부가 끝단에 구성되고 상기 후면 차대에 형성된 제2가이드 수단인 제2기어홈과 맞물려서 구동하는 제2모터부가 타측 끝단에 구성된 것으로 상기 제1가이드 수단 및 제2가이드 수단에 의하여 제1모터 및 제2모터 구동시에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다수의 에어백이 설치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충격흡수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The side impact absorbing device of a construction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object has a front gearbox formed with a first gear groove as a first guide means for guiding the shock absorbing device from the inside as a chassis of a construction vehicle, and a shock absorbing device from the inside thereof. A second guide means formed at the end of the rear chassis provided with a second gear groove which is a second guide means for guiding, and a first motor portion which is engaged with the first gear groove which is a guide means formed on the front chassis and formed at the end thereof; The second motor part which is engaged with the second gear groove to be driven is configured at the other end, and a plurality of airbags are installed which can move from side to side when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are driven by the first guide means and the second guide means.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hock absorber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공사 차량의 측면 충격흡수장치는 타 차량에 의한 공사 차량의 측면 충돌 시 효과적으로 충격력과 반발력을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공사 차량의 측면 충격흡수장치의 다른 효과는 필요한 경우 공사 차량의 측면 충격흡수장치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The side shock absorbing device of the construction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effective in absorbing the impact force and the repulsive force when the side collision of the construction vehicle by another vehicle. In addition, another effect of the side impact absorbing device of the construction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ve the side shock absorbing device of the construction vehicle to the left or right side to have an effect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도 1은 종래 자동차 범퍼 구성도,
도 2는 공사 차량에 설치되는 본 발명 공사차량의 측면 충격흡수장치 사시도,
도 3은 공사 차량에 설치되는 본 발명 공사차량의 측면 충격흡수 장치를 길이 방향으로 확장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대에 형성된 기어홈과 모터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공사차량의 측면 충격흡수 장치에서 상부 커버를 벗긴 상태의 평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공사차량의 측면 충격흡수 장치의 평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측면 충격흡수장치의 측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것으로 제1몸체부 에어 백 제2중공부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에어백의 단면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car bumper,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ide shock absorb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ion vehicle installed in a construction vehicl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ide shock absorb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ion vehicle installed in a construction vehicle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the gear groove and the motor unit formed in the chassis to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cover is removed from the side impact absorb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ion vehicle,
6 is a plan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ide impact absorb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ion vehicle,
7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of a side shock absorbing devic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first body portion air bag second hollow portion to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irbag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 공사차량의 측면 충격흡수장치를 도 2내지 도 9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explaining the side shock absorb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ion vehicle having the above object with reference to Figures 2 to 9 as follows.

도 2는 공사 차량에 설치되는 본 발명 공사차량의 측면 충격흡수장치 사시도 이다. 상기도 2에서 본 발명 공사차량의 측면 충격흡수장치는 공사 차량의 차대로서 내측으로 제1기어 홈(150)이 형성된 전면 차대(100)와, 내측으로 제2기어홈(150-1)이 형성된 후면 차대(200)와, 상기 전면 차대(100)에 형성된 제1기어 홈(150)과 맞물려서 구동하는 제1모터부(170)가 일측 끝단에 구성되고 상기 후면 차대(200)에 형성된 제2기어홈(150-1)과 맞물려서 구동하는 제2모터부(190)가 타측 끝단에 구성된 것으로 다수의 에어백(210)이 설치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충격흡수장치(5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도 2에서 상기 후면 차대(2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블록(300)과, 상기 슬라이딩 블록(300)의 작동으로 좌우로 이동되는 제1충격흡수장치(400)와, 상기 후면 차대(200)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대(450)와, 상기 한쌍의 지지대(450)에 각각 설치되는 전개수단(460)과, 상기 전개 수단(460)과 상기 슬라이딩 블록(300)에 설치되는 힌지부에 의하여 접혀지고 펼쳐지는 제2충격흡수장치(400-1)로 구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사 차량의 충격 흡수장치는 차량의 후부에서 타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충격흡수장치(400)와 제2충격흡수장치(400-1)가 충격력과 반발력을 흡수하는 것이고, 상기 공사 차량의 측면을 타 차량 등이 충돌하는 경우에는 상기 측면 충격흡수장치가 충격력과 반발력을 흡수하도록 작용하는 것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ide impact absorb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ion vehicle is installed in a construction vehicle. In FIG. 2, the side impact absorb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vehicle includes a front chassis 100 having a first gear groove 150 formed therein as a chassis of a construction vehicle, and a second gear groove 150-1 formed therein. A second gear formed at one end of the rear chassis 200 and the first motor unit 170 engaged with and driven by the first gear groove 150 formed in the front chassis 100 is formed at the rear chassis 200. The second motor unit 190 engaged with the groove 150-1 to be driven is configured at the other end, and is configured as a shock absorbing device 500 in which a plurality of airbags 210 are installed and the length is adjustable. In FIG. 2, a sliding block 30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ear chassis 200, a first shock absorbing device 400 which is moved left and right by the operation of the sliding block 300, and the rear chassis 200. ) A pair of supports 450 installed vertically on one side, a deployment means 460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pair of supports 450, a hinge installed on the deployment means 460 and the sliding block 300. The second shock absorbing device 400-1 folded and unfolded by the branch is shown. The shock absorber of the construction vehicl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hat the first shock absorber 400 and the second shock absorber 400-1 absorbs the impact force and repulsive force when another vehicle collides at the rear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other side of the construction vehicle, the side shock absorber acts to absorb the impact force and the repulsion force.

도 3은 공사 차량에 설치되는 본 발명 공사차량의 측면 충격흡수 장치를 길이 방향으로 확장한 상태의 사시도 이다. 상기도 3에서 본 발명 공사차량의 측면 충격흡수 장치의 충격흡수장치(500)는 외측으로 다수의 에어백(210)이 부착된 것으로 끝단에 제2모터부(190)가 설치된 제1몸체부(220)와, 상기 제1몸체부(220) 내부 저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을 따라서 진출입할 수 있는 것으로 외측으로 다수의 에어 백(210)이 부착되고 상기 슬라이딩 홈(225)을 따라 이동하는 바퀴(미도시) 및 제1모터부(170)가 끝단에 부착된 제2몸체부(230)로 구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충격흡수장치는 후면 차대(200)를 고정하고 전면 차대(100)를 전진시키면 제1몸체부(220)에서 제2몸체부(230)가 슬라이딩 홈(225)을 타고 이동하여 충격흡수장치의 전체 길이를 확장할 수 있는 구조이고 역순으로 수축할 수 있는 구조임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에어 백은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기 주입구가 구성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에어 백에 충진되는 공기압은 15 Psi ~ 20 Psi 이내인 것이 효과적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ide shock absorb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ion vehicle installed in the construction vehicle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FIG. 3, the shock absorbing device 500 of the side shock absorb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ion vehicl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irbags 210 at an outer side thereof. And a wheel that is capable of entering and exiting along a sliding groove formed on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220, wherein a plurality of air bags 210 are attached to the outside and move along the sliding groove 225 (not shown). And the first motor 170 is composed of a second body portion 230 attached to the end. The shock absorb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ar chassis 200 is fixed and the front chassis 100 is advanced, the second body portion 230 moves from the first body portion 220 to the sliding groove 225 to be impacted. It indicates that the structure can extend the entire length of the absorber and can be contracted in the reverse order. In the air bag, an air inlet for injecting air may be configured, and the air pressure filled in the air bag is effectively within 15 Psi to 20 Psi.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대에 형성된 기어홈과 모터부 구성도이다. 상기도 4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어홈과 모터부는 전면 차대(100) 내측으로 제1기어홈(150)이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부(230)에 일체로 체결된 제1모터부(170)의 모터 기어(173)가 맞물리도록 구성된 것으로 제1모터(171)가 회전하면 모터 기어(173)가 상기 제1기어홈(150)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작용하는 것이다. 또한 후면 차대(200) 내측에 형성된 제2기어홈(150-1)에는 제1몸체부(220)에 일체로 체결된 제2모터부(190)의 모터 기어(193)가 맞물려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제2모터부(190)의 제2모터(191)가 회전하면 상기 모터 기어(193)에 상기 제2기어홈(150-1)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작용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전면 차대(100) 및 후면 차대(200)는 공사 차량에 체결된 것으로 통상 도로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모터부(170)의 모터 기어(173)와 제2모터부(190)의 모터 기어(193)가 회전하도록 작용하는 것이므로 상기 제1모터부(170)의 제1모터(171)와 제2모터부(190)의 제2모터(191)가 회전하면 상기 제1모터부(170)와 제2모터부(190)가 일체로 체결된 충격흡수장치(500)가 전면 차대(100)의 제1기어홈(150)과 후면 차대(200)의 제2기어홈(150-1)을 타고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도 4에서 (a)는 차대와 기어부가 분해된 상태도이고, (b)는 차대와 모터부가 체결되어 상기 기어홈이 모터 기어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는 구조임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the gear groove and the motor unit formed in the chassis to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4, the gear groove and the motor par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first gear groove 150 formed inside the front chassis 100 and integrally fastened to the second body portion 230. The motor gear 173 of) is configured to mesh with each other. When the first motor 171 rotates, the motor gear 173 meshes with the first gear groove 150 to rotate. In addition, the second gear groove 150-1 formed inside the rear chassis 200 is engaged by the motor gear 193 of the second motor unit 190 which is integrally fastened to the first body 220 to rotate. When the second motor 191 of the second motor unit 190 rotates, the motor gear 193 engages with the second gear groove 150-1 to rotate. In the above, the front chassis 100 and the rear chassis 200 are fastened to a construction vehicle and are usually fixed to a road, and the motor gear 173 of the first motor unit 170 and the motor of the second motor unit 190 are fixed. Since the gear 193 rotates, the first motor unit 170 when the first motor 171 of the first motor unit 170 and the second motor 191 of the second motor unit 190 rotate. ) And the second gear groove 150-1 of the first gear groove 150 of the front chassis 100 and the rear gear chassis 200 of the shock absorbing device 500, in which the second motor unit 190 is integrally fastened. You can move left and right in a ride. In FIG. 4, (a)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chassis and the gear portion are disassembled, and (b) shows that the chassis and the motor portion are fastened so that the gear groove can rotate in engagement with the motor gear.

도 5는 본 발명 공사차량의 측면 충격흡수 장치에서 상부 커버를 벗긴 상태의 평면 구성도이다. 상기도 5에서 본 발명의 측면 충격흡수장치는 후면 차대(200)의 제2기어홈(150-1)의 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2모터부(190)와, 상기 제2모터부(190)에 일체로 체결되는 것으로 내부 저면에 슬라이딩 홈(225)를 구비하며 양측면으로 다수의 에어백(210)을 구비한 제1몸체부(220)와, 상기 제1몸체부(220) 내부 저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225)를 타고 전후진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전면 차대(100)에 형성된 제1기어홈(150)의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1모터부(170)와 일체로 체결되는 것으로 다수의 에어 백(210)이 양측면에 부착된 제2몸체부(230)로 구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후면 차대(200)에는 제1충격흡수장치(400) 및 제2충격흡수장치(400-1)이 체결되는 구조임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상기도 5에서 도면 부호 230-1은 공사 차량의 뒷바퀴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cover is removed from the side impact absorbing device of the construction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5, the side shock absorb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motor unit 190 and a second motor unit 190 that rotate in engagement with a gear of a second gear groove 150-1 of the rear chassis 200. It is integrally fastened to the inner bottom having a sliding groove 225 and the first body portion 220 having a plurality of air bags 210 on both sides and the sliding form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first body portion 220 A plurality of airbags that are integrally fastened with the first motor unit 170 that rotates by engaging the gear of the first gear groove 150 formed in the front chassis 100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in the groove 225. 210 indicates that the second body portion 230 is attached to both sides. In addition, the rear chassis 200 indicates that the first shock absorbing device 400 and the second shock absorbing device 400-1 are fastened. In FIG. 5, reference numeral 230-1 denotes a rear wheel of a construction vehicle.

도 6은 본 발명 공사차량의 측면 충격흡수 장치의 평면 구성도이다. 상기도 6에서 본 발명 공사차량의 측면 충격흡수장치는 공사 차량의 전면 차대(100)와 후면 차대(200) 사이에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충격흡수장치(500)의 길이가 축소된 상태에서는 제2몸체부(230)가 상기 제1몸체부(220) 내부로 완전히 삽입될 수 있는 구조임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고, 상기와 같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장볼트(227)를 삽입구(224)에 체결하여 상기 제2몸체부(230)가 상기 제1몸체부(2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체결하는 것이고 상기 충격흡수장치(500)의 길이를 확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장볼트(227)를 삽입구(224)로부터 해제한 후 후면 차대(200)를 고정하고 전면 차대를 전방향으로 당기면 전체 길이를 확장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도 6에서 (a)는 충격흡수장치(500)의 길이가 확장된 상태이고, (b)는 상기 제2몸체부가 제1몸체부 내로 삽입되고 장볼트로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Figure 6 is a plan view of the side impact absorbing device of a construction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shock absorb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ion vehicle is installed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between the front chassis 100 and the rear chassis 200 of the construction vehicle is reduced in the length of the shock absorbing device 500 In this state, the second body portion 230 indicates that the structure can be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first body portion 220. In the inserted state, the long bolt 227 is fastened to the insertion hole 224. When the second body portion 230 is fasten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first body portion 220 and the length of the shock absorbing device 500 is to be extended, the long bolt 227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24. After releasing from the fixed rear chassis 200 and pulling the front chassis forward, the entire length can be extended. In FIG. 6, (a) is an extended state of the shock absorbing device 500, (b) i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body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body portion and fastened with long bolts.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측면 충격흡수장치의 측면 구성도이다. 상기도 7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측면 충격흡수장치는 제2몸체부(230)에 에어백(210)이 설치되고 제1몸체부 내로 제2몸체부가 진출입하도록 하부에 슬라이딩 홈(225)이 형성된 구조임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것으로 제1몸체부 에어 백 제2중공부의 구성도이다. 상기도 8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측면 충격흡수장치의 각 에어백 내부에는 체적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는 스틸 구조의 제2중공부(214)가 형성되며 상기 제2중공부에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홀(216)이 형성된 구조임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7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of a side shock absorbing devic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7, the side shock absorbing devic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n airbag 210 is installed in the second body portion 230 and a sliding groove 225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so that the second body portion enters and exits into the first body portion. It indicates that.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first hollow body airbag second hollow portion to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8, a second hollow part 214 having a steel structure is formed in each air bag of the side impact absorb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intains a constant volume at all times, and air may flow in the second hollow part. This indicates that the hole 216 is formed.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에어 백의 단면 구성도이다. 상기도 8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에어 백은 상기 제1몸체부(220)와 제2몸체부(230) 측면 외측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부 외측에 형성되며 체적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일측에 형성된 홀(216)과 상기 홀(216)을 개폐하며 에어리턴 천공(218)을 형성한 체크 밸브(215)를 구비한 제2중공부(214)와, 상기 제2중공부(214)의 외측을 감싸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제1중공부(2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상기 제1중공부(212)의 내부 공간을 이루는 표피 재질은 우레탄 계열을 테라스틱 TPU 재질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 에어백은 독립적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탈착이 가능하여 부분적으로 교체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에어 백(210)은 충격 시에 체크 밸브(215)가 개방되어 제1중공부(212)의 공기가 제2중공부(214)로 이동하여 충격을 흡수하며, 충격 후에는 제2중공부(214)에 공기가 압축되고 상기 구경이 작은 에어리턴 천공(218)으로 공기가 제1중공부(212)로 서서히 이동하므로 충격 후의 반발력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9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ir bag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8, the air bag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outer side of the first body part 220 and the second body part 230, and is formed outside the body part and maintains a constant volume. A second hollow portion 214 including a formed hole 216 and a check valve 215 that opens and closes the hole 216 and forms an air return puncturing 218, and an outer side of the second hollow portion 214. A skin material forming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hollow part 212 may be configured of a urethane-based terraced TPU material. will be. In addition, each of the airbags may be independently attached and partially removable to replace partially. In addition, the air bag 210 has a check valve 215 is opened during the impact, the air of the first hollow portion 212 is moved to the second hollow portion 214 to absorb the shock, after the impact the second hollow Since the air is compressed to the portion 214 and the air is gradually moved to the first hollow portion 212 by the air return hole 218 having a small diameter, the repulsive force after the impact can be absorbed.

100 : 전면 차대, 150 : 제1기어 홈,
170 : 제1모터부, 190 : 제1모터부,
200 : 후면 차대, 210 : 에어 백,
220 : 제1몸체부, 400 : 충격흡수장치 1,
460 : 전개수단, 500 : 측면 충격흡수장치
100: front chassis, 150: first gear groove,
170: first motor part, 190: first motor part,
200: rear chassis, 210: airbag,
220: first body portion, 400: shock absorber 1,
460: deployment means, 500: side impact absorbing device

Claims (13)

삭제delete 도로의 공사 차량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충돌 시에 측면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공사 차량의 측면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사 차량의 측면 충격흡수장치는,
공사 차량의 차대로서 내측에서 충격흡수 장치를 가이드 하는 제1가이드 수단이 형성된 전면 차대(100)와;
내측에서 충격흡수장치를 가이드 하는 제2가이드 수단이 형성된 후면 차대(200);
및 상기 제1가이드 수단과 상기 제2가이드 수단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가이드 수단과 맞물려서 구동하는 제1모터부(170)가 일측 끝단에 구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 수단과 맞물려서 구동하는 제2모터부(190)가 타측 끝단에 구성된 것으로 다수의 에어백(210)이 외측면에 설치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충격흡수장치(5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차량의 측면 충격흡수장치.
In the side impact absorbing device of a construction vehicle that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construction vehicle of the road to absorb the impact from the side in the event of a collision,
Side impact absorbing device of the construction vehicle,
A front chassis 100 having a first guide means for guiding the shock absorbing device therein as a chassis of a construction vehicle;
A rear chassis 200 having a second guide means for guiding the shock absorbing device therein;
And a first motor unit 170 which is movable at the left and right by the first guide means and the second guide means and is engaged with the first guide means at one end and is engaged with the second guide means. The second motor unit 190 is configured at the other end of the side shock absorbing device of a construction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plurality of airbags 210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shock absorbing device 500 is adjustable in length.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 수단 및 상기 제2가이드 수단은,
제1기어홈(150) 및 제2기어홈(150-1)이 각각 형성되어 충격흡수장치를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차량의 측면 충격흡수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guide means and the second guide means,
The first gear groove 150 and the second gear groove (150-1) are respectively formed to guide the shock absorbing device, side shock absorbing device of a construction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백(210)은,
충격흡수장치(500)의 몸체부 외측에 형성되며 체적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일측에 형성된 홀(216)과;
상기 홀(216)을 개폐하며 에어리턴 천공(218)을 형성한 체크 밸브(215)를 구비한 제2중공부(214);
및 상기 제2중공부(214)의 외측을 감싸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제1중공부(2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차량의 측면 충격흡수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ir bag 210,
A hole 216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of the shock absorbing device 500 and having a constant volume;
A second hollow part 214 having a check valve 21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ole 216 and forming an air return hole 218;
And a first hollow portion 212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hollow portion 214 and forming a space therei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백은,
공기압이 15 Psi ~ 20 Psi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차량의 측면 충격흡수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ir bag,
Side impact absorbing device of a construction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pressure within 15 Psi ~ 20 Psi.
삭제delete 삭제delete 도로의 공사 차량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충돌 시에 측면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공사 차량의 측면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사 차량의 측면 충격흡수장치는,
공사 차량의 차대로서 내측으로 제1기어 홈(150)이 형성된 전면 차대(100)와;
내측으로 제2기어홈(150-1)이 형성된 후면 차대(200);
및 상기 전면 차대(100)에 형성된 제1기어 홈(150)과 맞물려서 구동하는 제1모터부(170)가 일측 끝단에 구성되고 상기 후면 차대(200)에 형성된 제2기어홈(150-1)과 맞물려서 구동하는 제2모터부(190)가 타측 끝단에 구성된 것으로 다수의 에어백(210)이 외측면에 설치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충격흡수장치(5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차량의 측면 충격흡수장치.
In the side impact absorbing device of a construction vehicle that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construction vehicle of the road to absorb the impact from the side in the event of a collision,
Side impact absorbing device of the construction vehicle,
A front chassis 100 having a first gear groove 150 formed therein as a chassis of a construction vehicle;
A rear chassis 200 having a second gear groove 150-1 formed therein;
And a second gear groove 150-1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motor unit 170 which is engaged with the first gear groove 150 formed in the front chassis 100 at one end thereof and formed in the rear chassis 200. Side motor of the construction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motor portion 190 is driven at the other end is configured to the other end and the plurality of airbags 210 are installed on the outer side and configured as a shock absorbing device 500 adjustable in length. Absorb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충격흡수장치(500)는,
제2몸체부(230)가 제1몸체부(220) 내로 진출입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차량의 측면 충격흡수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length adjustable shock absorber 500,
Side impact absorbing device of a construction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second body portion 230 is advancing into the first body portion 220 is adjustabl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부는 상기 제1몸체부 내부 저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에 의하여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차량의 측면 충격흡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And the second body portion is guided by a sliding groove formed i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백(210)은,
상기 제1몸체부 및 상기 제2몸체부 외측에 형성되며 체적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일측에 형성된 홀(216)과;
상기 홀(216)을 개폐하며 에어리턴 천공(218)을 형성한 체크 밸브(215)를 구비한 제2중공부(214);
및 상기 제2중공부(214)의 외측을 감싸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제1중공부(2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차량의 측면 충격흡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air bag 210,
A hole 216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and having a constant volume;
A second hollow part 214 having a check valve 21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ole 216 and forming an air return hole 218;
And a first hollow portion 212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hollow portion 214 and forming a space therei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는 장볼트(227)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차량의 측면 충격흡수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Side impact absorbing device of a construction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can be fastened by a long bolt (227).



KR1020130042556A 2013-04-17 2013-04-17 Side Impact Absorbing Apparatus of Construction Vehicle KR1013172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556A KR101317234B1 (en) 2013-04-17 2013-04-17 Side Impact Absorbing Apparatus of Construction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556A KR101317234B1 (en) 2013-04-17 2013-04-17 Side Impact Absorbing Apparatus of Construction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718A KR20130047718A (en) 2013-05-08
KR101317234B1 true KR101317234B1 (en) 2013-10-15

Family

ID=48659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2556A KR101317234B1 (en) 2013-04-17 2013-04-17 Side Impact Absorbing Apparatus of Construction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723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614B1 (en) * 2015-10-30 2017-01-03 주식회사 트리즈엔지니어링 Moving air cushion barri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6168A (en) * 1992-11-20 1994-06-03 Kensetsusho Tohoku Chiho Kensetsu Kyokucho Inrush-preventing vehicle
US7410321B1 (en) * 2004-04-06 2008-08-12 State Of Californi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Mobile work zone protection device
KR20110014731A (en) * 2009-08-06 2011-02-14 이희건 345 trailer
KR200454970Y1 (en) * 2010-02-03 2011-08-08 주식회사 스마트에어 챔버 Car air bump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6168A (en) * 1992-11-20 1994-06-03 Kensetsusho Tohoku Chiho Kensetsu Kyokucho Inrush-preventing vehicle
US7410321B1 (en) * 2004-04-06 2008-08-12 State Of Californi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Mobile work zone protection device
KR20110014731A (en) * 2009-08-06 2011-02-14 이희건 345 trailer
KR200454970Y1 (en) * 2010-02-03 2011-08-08 주식회사 스마트에어 챔버 Car air bum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718A (en)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5439B2 (en) Safety shock absorber comprising an energy-absorbing element controlled by an impact sensor
DE102008051565B4 (en) Safety device for a vehicle, in particular a motor vehicle
CN103863229B (en) Apparatus for absorbing impact for vehicle
EP1930226B1 (en) Front carriage of a train equipped with a front structure that absorbs energy in case of collision
KR101972549B1 (en) Impact attenuator for vehicles
US10081970B2 (en) Active glove box door with interlock between latch rods and strikers
KR101252508B1 (en) Trailer with impact absorbing apparatus
MX2014014046A (en) Passively deployed small overlap rigid barrier deflector.
DE4414432B4 (en) motor vehicle
US76950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shared crumple zone
KR101393078B1 (en) Air bag bumper system of cylinder type for absorbing impact of accident built in vehicle
KR20220148190A (en) Inflation system of automobile parts to absorb shock in the event of an impending collision
KR101317234B1 (en) Side Impact Absorbing Apparatus of Construction Vehicle
DE102010021061A1 (en) Impact device for motor vehicle i.e. passenger car, has impact region that is movable toward vehicle wheel during appropriate frontal collision of motor vehicle, where impact element is designed as folds
WO1995031355A1 (en) Motor vehicle
DE19905784A1 (en) Motor vehicle with impact protection arrangement
KR101644909B1 (en) Vehicle impact absorb device for crash barrier
KR101325284B1 (en) Impact Absorbing Apparatus of Vehicle Connection Type for Two Lane
EP1437268B1 (en) Vehicle with a movable front portion, in particular for pedestrian safety in the event of accidents
DE10257306B4 (en) Interior trim panel for motor vehicles with energy absorbing function
KR101276743B1 (en) Impact absorbing connection means at trailer with impact absorbing apparatus
KR100794012B1 (en) Dynamic ramp apparatus for curtain airbag in automobile
DE19820214A1 (en) Reducing severity of injuries of motor vehicle occupants
WO2006030453A3 (en) Means for improving the safety of a vehicle
KR102293296B1 (en) Apparatus for absorbing of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