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484B1 -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484B1
KR101315484B1 KR1020120138399A KR20120138399A KR101315484B1 KR 101315484 B1 KR101315484 B1 KR 101315484B1 KR 1020120138399 A KR1020120138399 A KR 1020120138399A KR 20120138399 A KR20120138399 A KR 20120138399A KR 101315484 B1 KR101315484 B1 KR 101315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hydrate
slurry
casing
screws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8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동
박경남
김종하
장상엽
이재원
김호경
우타관
김상민
양진섭
안승희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가스공사
주식회사동신유압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주식회사 성일터빈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가스공사, 주식회사동신유압,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주식회사 성일터빈,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38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4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3/00Gaseous fuels;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 C10L3/06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C10G, C10K3/02 or C10K3/04
    • C10L3/10Working-up natural gas or synthetic natural gas
    • C10L3/108Production of gas hyd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23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01D29/25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open-ended the arrival of the mixture to be filtered and the discharge of the concentrated mixture are situated on both opposite sides of the filtering el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61/00Other general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3/00Gaseous fuels;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 C10L3/06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C10G, C10K3/02 or C10K3/04
    • C10L3/10Working-up natural gas or synthetic natural gas
    • C10L3/101Removal of contaminants
    • C10L3/106Removal of contaminant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8Drying or removing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54Specific separation steps for separating fractions, components or impurities during preparation or upgrading of a fue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56Specific details of the apparatus for preparation or upgrading of a fu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 탈수장치는 중공의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며, 나선 형상의 회전 날개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스크류, 및 상기 케이싱 내에서 상기 복수개의 스크류의 외측에 배치되는 유동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스크류에 각각 형성된 회전 날개는 그 회전 반경이 상호 겹치도록 배치한 상태로 작동한다.
본 발명은 회전 반경이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회전 스크류 및 상기 회전 스크류에 연동하여 구동되는 유동판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회전 스크류 내로 공급되는 슬러리가 탈수시에 들어붙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내부 유동성을 향상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한다.

Description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 탈수장치{Apparatus for dehydrating gasdehydrate slurry}
본 발명은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 탈수장치로서,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회전 스크류 및 상기 회전 스크류에 연동하는 유동판을 이용하여 투입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에 대하여 탈수, 파쇄 및 이송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스하이드레이트(gas Hydrate) 또는 크러스레이트 하이드레이트(clathrate hydrate)는 수소결합으로 고체상 격자(hydrogen-bonded solid lattice)를 이루는 주체(host) 분자와 이 안에 포집되어 들어가는 객체(guest) 분자 등 두 성분으로 구성되며, 물 분자들이 수소 결합을 통해 형성하는 3차원 격자 구조에 메탄, 에탄, 이산화탄소 등의 저분자들이 화학적인 결합을 하지 않고 물리적으로 포획하여 형성된 결정성 화합물을 말한다.
상기 가스하이드레이트의 형성 원리를 응용하여 많은 실용적인 기술들이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연구에 의하여 인공적으로 생산된 하이드레이트는 천연가스 저장 및 수송 매체, 이산화탄소 분리 공정, 에너지 저장 매체, 냉열 저장 매체, 담수화기술 및 폐수처리 등 여러 분야에서 접목이 가능하다.
산업적 성장 잠재력이 큰 가스하이드레이트를 생산하기 위한 장치로서 탈수장치는 생산공정에서 생산량과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가스하이드레이트 원리를 이용하여 각각의 산업분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이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연속식 탈수공정에 의한 효과적인 탈수가 절실히 필요하게 된다.
가스하이드레이트는 가스에 따라 특정조건(가스하이드레이트 상평형) 이상의 압력 또는 이하의 온도에서 생성됨에 따라 탈수시 탈수장치 내 압력 및 온도 조건은 가스하이드레이트 상평형 조건 이상을 유지하게 되며, 탈수기 내부 벽면 또는 스크류에서 가스하이드레이트 결정에 의한 부착 현상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유동판과 고정판을 구비한 스크류 타입의 슬러지 탈수장치를 제시하는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633385호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인용문헌 상에서는 편심 축으로 구동되는 스크류에 가스하이드레이트 부착 현상으로 유동판에 의해 탈수된 가스하이드레이트가 배출되지 못하고 축과 함께 맴도는 현상 때문에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 탈수에는 적합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한편, 고속회전에 의한 원심분리 원리를 이용한 탈수장치의 경우 탈수를 위하여 스크린 메쉬가 사용되며, 탈수장치 내부 조건에 따라 메쉬 구멍에서 가스하이드레이트 결정이 성장하여 눈막힘 현상이 발생하여 탈수에 이한 가스하이드레이트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감소되어 탈수 공정을 중단한 후 문제점이 해결된 후에 재가동해야 하며, 이러한 주기적인 불가동에 의하여 생산량이 일정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스하이드레이트의 탈수를 위해서 뿐만이 아니라 폐수 처리장이나 하수 슬러리 등을 처리하기 위하여 유동판 탈수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며, 유동판이 슬러리를 제대로 긁어내지 못하고 탈수장치 내에 슬러지가 응고 및 고착되는 상황이 발생하여 기계 작동에 큰 장애가 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633385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회전 반경이 겹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회전 스크류 및 상기 회전 스크류에 연동하는 유동판을 이용하여 투입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에 대하여 탈수, 파쇄 및 이송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 탈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 탈수장치는 중공의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며, 나선 형상의 회전 날개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스크류, 및 상기 케이싱 내에서 상기 복수개의 스크류의 외측에 배치되는 유동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스크류에 각각 형성된 회전 날개는 그 회전 반경이 상호 겹치도록 배치한 상태로 작동한다.
상기 복수개의 스크류는 한 쌍이 상기 케이싱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케이싱의 전단에 배치되는 슬러리 투입구 모듈, 및 상기 케이싱의 타단에 배치되는 슬러리 토출구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슬러리 토출구 모듈은 상기 슬러리 투입구 모듈보다 더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케이싱의 슬러리 투입구 모듈 측 하단에 배치되는 오수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슬러리 토출구 모듈은, 중공 형상의 토출 하우징, 상기 토출 하우징의 하단에 배치되는 토출구, 상기 토출 하우징의 상단에 고정되는 토출구 외통, 상기 토출 하우징의 내부 하단에 배치되는 배출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슬러리 토출구 모듈은, 상기 토출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배출 방지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스하이드레이트 배출 방지체는 상기 케이싱의 가스하이드레이트 배출 통로를 소정의 기설정된 압력으로 밀폐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가스하이드레이트 배출 방지체는 상기 토출 하우징 내부의 스크류 영역을 따라 운동 가능한 슬라이딩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폐쇄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스크류 중 어느 하나의 스크류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스크류는 기어 결합을 통해 동력을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상기 유동판 사이에 간섭되지 않는 상태로 배치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과 상기 유동판은 상기 스크류의 축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번갈아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다른 관점에 따른 스크류의 회전 조절 방법은 상기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 탈수장치를 이용하고, (a) 상기 복수개의 스크류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 (b) 상기 복수개의 스크류가 회전 구동시 회전 토크를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감지된 회전 토크가 제어부에 기설정된 기준 토크를 넘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개의 스크류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 및 (d) (c) 단계에서 역방향으로 회전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다시 복수개의 스크류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 탈수장치는 회전 반경이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회전 스크류 및 상기 회전 스크류에 연동하여 구동되는 유동판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회전 스크류 내로 공급되는 슬러리가 탈수시에 들어붙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내부 유동성을 향상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한쌍의 회전 스크류 탈수를 통하여 압착력을 증대하는 동시에 유동성 확보를 통해서 처리 속도를 증대시키는 효과를 발생한다.
종래 기술에서 단일축 유동판 탈수기의 경우에는 회전 스크류 상에 들어붙는 슬러지의 자연적인 제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탈수물에 의한 눈막힘 현상에 의해 스크린 메쉬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원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극복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 탈수장치를 보이는 개념도,
도 2는 도 1의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 탈수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판과 고정판 간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기술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 탈수장치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 탈수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 탈수장치(100)의 전체적인 구성 설명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 탈수장치(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핀다.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 탈수장치(100)는 중공의 케이싱(110), 케이싱(110) 내에 배치되며 나선 형상의 회전 날개(124)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스크류(120), 케이싱(110)의 전방에 결합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투입구 모듈(130), 케이싱(110)의 후방에 결합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토출구 모듈(140), 가스하이드레이트 토출구 모듈(140)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기어부(150), 기어부(150)를 통해 가스하이드레이트 토출구 모듈(140)에 연결되며 스크류(120)에 동력을 공급하는 모터부(160), 케이싱(110) 내에서 상기 복수개의 스크류(120)의 외측에 배치되는 고정판(172)과 유동판(174), 고정판(172) 상에 결합하는 상부 덮개(180) 및 상기 고정판(172)과 유동판(174)이 안착되는 마운트 부재(190)를 포함한다.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 탈수장치(100)는 케이싱(11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연결 프레임(102)을 통해 지지대(101)에 연결된다. 상기 지지대(101)는 하부단에 결합되는 롤러(103)를 통해 지면 상에 지지되는 동시에 이동 가능하다.
상기 케이싱(110)은 중공의 원통 형상일 수 있고, 가스하이드레이트 투입구 모듈(130) 및 가스하이드레이트 토출구 모듈(140)과 각각 결합 플랜지를 통해 체결한다. 케이싱(110)의 상부에는 압력계(111) 및 온도계(112)가 장착된다. 상기 압력계(111) 및 온도계(112)에서 수집된 정보는 제어부로 보내져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된다.
케이싱(110)의 전방 하부에는 물 배출구(113)가 배치된다. 케이싱(110)은 입구부(130) 측이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구조를 유지함으로써 케이싱(110) 내에 공급된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의 가공 공정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물 성분은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물 배출구(113) 측으로 이동한다.
가스하이드레이트 투입구 모듈(130)은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가 최초에 투입되는 슬러리 투입구(134) 및 슬러리 투입구(134)로부터 이송받은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를 케이싱(110) 측으로 이송하게 하는 통로가 되는 이송구(13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이송구(132)에는 스크류(120)의 전단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가스하이드레이트 토출구 모듈(140)은 하단에 하부 방향으로 고정되는 토출구(141), 상단에 상부 방향으로 고정되는 토출구 외통(142), 상기 토출구 모듈(140)의 하부 일측단에 배치되는 배출 가이드(143), 및 케이싱(110)과 토출구 모듈(140) 사이에 배치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배출 방지체(144)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토출구 모듈(140)에는 스크류(120)의 후단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가스하이드레이트 배출 방지체(144)는 토출구 모듈(140) 내부의 스크류(120)를 따라 운동 가능한 슬라이딩부(145) 및 상기 슬라이딩부(145)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폐쇄돌기(146)를 포함한다.
케이싱(110) 내부에서 복수개의 스크류(120)를 통한 파쇄 및 이송 공정을 통해 후방으로 이송되는 가스하이드레이트는 토출구 모듈(140)로 이송하기 전에 압착을 통해 수분이 추가적으로 제거되는 과정을 거친다. 즉, 케이싱(110)을 통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복수개의 스크류(120) 사이에 놓여진 가스하이드레이트는 1차 압착 과정을 거친 후에 상기 배출 방지체(144)를 통해 2차 압착 과정을 거친다. 즉, 배출 방지체(144)는 초기에 케이싱(110)의 후방 통로를 기설정된 기준 압력을 가함으로써 폐쇄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케이싱(110)에서 복수개의 스크류(120)에 의해 처리되는 가스하이드레이트는 상기 기준 압력을 넘어서는 경우에만 배출 방지체(144)를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케이싱(110)으로부터의 토출 방향에 있는 배출 방지체(144)에 의하여 가스하이드레이트의 함수율이 일정량 이하로 탈수되어지고, 다져져 단단해진 가스하이드레이트는 배출 방지체(144)를 밀어내고 케이싱(110)에서 토출구 모듈(140) 내부로 배출된다. 이후, 가스하이드레이트 결정은 배출 가이드(143)를 통해 토출구 모듈(140)의 하단에 배치된 토출구(141)를 통해 가스하이드레이트 저장용기로 떨어진다.
배출 가이드(143)는 케이싱(110)의 후방 통로에서 토출되는 가스하이드레이트가 원활하게 토출구(141)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복수개의 스크류(120) 간의 구조관계를 설명한다.
복수개의 스크류(120)는 모터부(160)에 직접 연결되는 제 1 스크류(120a) 및
기어부(150)를 통해 제 1 스크류(120a)에 결합하는 제 2 스크류(120b)를 포함한다. 제 1 스크류(120a)는 모터부(160)에 직접 연결되는 제 1 회전축(122a) 및 제 1 회전날개(124a)를 포함하고, 제 2 스크류(120b)는 제 1 회전축(122a)이 기어를 통해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제 2 회전축(122b) 및 제 2 회전날개(124b)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스크류(120)는 케이싱(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양 스크류(120a,120b)의 각 회전날개들(124a,124b)은 방해하지 않은 상태에서 서로 교대로 배치되는 관계를 갖는다. 즉, 복수개의 스크류(120)는 그 회전 반경이 상호 겹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서 투입되는 가스하이드레이트는 회전날개들(124a,124b)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분쇄, 탈수 및 이송 공정을 거치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3을 참조하여 고정판(172)과 유동판(174)의 구조 관계를 설명한다.
고정판(172)은 스크류(120)에 간섭되지 않는 상태로 스크류(120)의 하부 및 측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고정판(172)은 스크류(120)의 축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고정판 체결봉(182)을 통해 복수개가 일렬로 배열된다.
유동판(174)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고정판(172) 사이에 간섭되지 않는 상태로 배치된다. 즉, 고정판(172)과 유동판(174)은 스크류(120)의 축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번갈아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상기 유동판(174)은 마운트 부재(190)의 일 지점에 고정되는 유동판 회전축(176)에 피봇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이웃하는 고정판(172) 사이에는 고정판 체결봉(182)을 둘러싸는 형태로 유동판 거동 한정구(184)가 배치된다. 즉, 상기 유동판 거동 한정구(184)는 스크류(120)에 의해 유동판(174)이 움직이는 과정에서 일정 한도 이상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인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 탈수장치의 중심에 위치한 케이싱(110)은 한쌍의 스크류에 의하여 유동판이 무수히 출몰 유동하면서 고정판과 유동판 사이 유격에 이물질 또는 고체결정으로 인한 눈막힘을 방지하여 가스하이드레이트에서 분리된 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 탈수장치의 동작 설명
다음으로는 도 1 내지 도 3을 다시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 탈수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가스하이드레이트 투입구 모듈(130)을 통해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를 공급한다. 공급된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는 슬러리 투입구(134)를 통해 이송구(132)로 이송된 후 스크류(120)의 회전 구동에 의해 케이싱(110) 내부로 이송된다.
케이싱(110) 내의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는 복수개의 스크류(120)의 상호 회전에 의해서 분쇄, 탈수 및 이송 과정이 진행된다. 즉, 복수개의 스크류(120)를 이루는 양 회전 날개(124a,124b)가 소정거리 겹치는 구조를 갖는 상태에서, 양 스크류(120) 사이로 진입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는 상기 회전 날개(124a,124b)에 의해 반복적으로 분쇄 및 탈수가 이루어진다. 이와 동시에 회전축(122)을 따라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회전 날개(124a,124b) 형상은 분쇄 및 탈수 공정이 진행되는 중에 이송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스크류(120)의 외측에 배치되는 유동판(174)은 스크류(120)의 회전 구동시 회전 날개(124a,124b)와 접촉하여 위치가 변동한다. 구체적으로, 유동판(174)은 회전 날개(124a,124b)에 밀착한 상태에서 미는 힘을 제공받는 경우에 유동판 회전축(176)을 중심으로 운동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 회전 날개(124a,124b)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는 계속적으로 제거되어진다.
케이싱(110)에서 탈수된 가스하이드레이트 결정이 배출 방지체(144)의 밀폐 압력을 넘는 경우에, 가스하이드레이트 결정은 배출 방지체(144)를 밀어내고 케이싱(110)에서 토출구 모듈(140) 내부로 배출된다. 이후, 가스하이드레이트 결정은 배출 가이드(143)를 통해 토출구 모듈(140)의 하단에 배치된 토출구(141)를 통해 가스하이드레이트 저장용기로 떨어진다.
본 발명의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 탈수장치를 구동하는 과정에서 스크류의 회전 조절은 하기와 같이 조절된다. 복수개의 스크류(120)가 먼저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복수개의 스크류가 회전 구동시에 별도의 토크 감지센서를 통해 회전 토크가 감지된다. 한편, 감지된 회전 토크가 제어부에 기설정된 기준 토크를 넘는 경우에는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에 의해서 스크류 상에 무리한 부하가 걸린다는 것이므로, 복수개의 스크류의 회전 방향은 정방향에서 역방향으로 회전방향을 전환한다. 이후, 스크류가 역방향으로 회전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다시 복수개의 스크류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을 통해 계속적으로 분쇄, 탈수 및 이송 공정을 실시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 탈수장치
101 : 지지대
102 : 연결 프레임
103 : 롤러
110 : 케이싱
111 : 압력계
112 : 온도계
113 : 물 배출구
120 : 스크류
122 : 회전축
124 : 회전 날개
130 : 가스하이드레이트 투입구 모듈
132 : 이송구
134 : 슬러리 투입구
140 : 가스하이드레이트 토출구 모듈
141 : 토출구
142 : 토출부 외통
143 : 배출 가이드
144 : 하이드레이드 배출 방지체
145 : 슬라이딩부
146 : 폐쇄 돌기
150 : 기어부
160 : 모터부
172 : 고정판
174 : 유동판
176 : 유동판 회전축
180 : 상부 덮개
182 : 고정판 체결구
184 : 유동판 거동 한정구
190 : 마운트 부재

Claims (10)

  1. 중공의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며, 나선 형상의 회전 날개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스크류;
    상기 케이싱 내에서 상기 복수개의 스크류의 외측에 배치되는 유동판;
    상기 케이싱의 전단에 배치되는 슬러리 투입구 모듈;
    상기 케이싱의 타단에 배치되는 슬러리 토출구 모듈; 및
    상기 슬러리 토출구 모듈 내에 배치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배출 방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하이드레이트 배출 방지체는 상기 케이싱의 가스하이드레이트 배출 통로를 소정의 기설정된 압력으로 밀폐하고,
    상기 복수개의 스크류에 각각 형성된 회전 날개는 그 회전 반경이 상호 겹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 탈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스크류는 한 쌍이 상기 케이싱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 탈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 토출구 모듈은 상기 슬러리 투입구 모듈보다 더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 탈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케이싱의 슬러리 투입구 모듈 측 하단에 배치되는 오수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 탈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 토출구 모듈은,
    중공 형상의 토출 하우징, 상기 토출 하우징의 하단에 배치되는 토출구, 상기 토출 하우징의 상단에 고정되는 토출구 외통, 상기 토출 하우징의 내부 하단에 배치되는 배출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 탈수장치.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하이드레이트 배출 방지체는 상기 토출 하우징 내부의 스크류 영역을 따라 운동 가능한 슬라이딩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폐쇄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 탈수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스크류 중 어느 하나의 스크류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스크류는 기어 결합을 통해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 탈수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상기 유동판 사이에 간섭되지 않는 상태로 배치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과 상기 유동판은 상기 스크류의 축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번갈아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 탈수장치.
  10. 제 1 항에 따른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 탈수장치를 이용한 스크류의 회전 조절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복수개의 스크류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
    (b) 상기 복수개의 스크류가 회전 구동시 회전 토크를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감지된 회전 토크가 제어부에 기설정된 기준 토크를 넘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개의 스크류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 및
    (d) (c) 단계에서 역방향으로 회전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다시 복수개의 스크류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의 회전 조절 방법.
KR1020120138399A 2012-11-30 2012-11-30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 탈수장치 KR101315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399A KR101315484B1 (ko) 2012-11-30 2012-11-30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399A KR101315484B1 (ko) 2012-11-30 2012-11-30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 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5484B1 true KR101315484B1 (ko) 2013-10-08

Family

ID=49637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8399A KR101315484B1 (ko) 2012-11-30 2012-11-30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4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584B1 (ko) 2014-09-12 2015-03-27 주식회사 성일터빈 가스하이드레이트 탈수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3604A (ko) * 2004-08-17 2006-05-15 아무콘가부시끼가이샤 고액 분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3604A (ko) * 2004-08-17 2006-05-15 아무콘가부시끼가이샤 고액 분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584B1 (ko) 2014-09-12 2015-03-27 주식회사 성일터빈 가스하이드레이트 탈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562434U (zh) 一种废水处理装置
KR10135888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일체형 파쇄, 고액 분리 및 압축 탈수 장치
JP6280224B2 (ja) ユニット式造粒機
JP5156903B2 (ja) 遠心分離原理によるガスハイドレートの連続製造及び脱水装置及び方法
CN104478122B (zh) 一种垃圾焚烧飞灰水洗料浆的固液分离的方法
CN102628642B (zh) 间接加热式干燥机
CN101590341A (zh) 一种螺旋挤出过滤机
US20140183289A1 (en) Comminution and/or Removal of Liquid from a Material
JP2015167894A (ja) 固液分離装置
CN106975575A (zh) 卧螺离心机及结晶盐脱水系统
KR101315484B1 (ko) 가스하이드레이트 슬러리 탈수장치
KR101276389B1 (ko) 저속 원심 탈수장치
TW201536694A (zh) 有機性污泥之脫水系統
EP2136895B1 (en) Crystallizer with internal scraped cooled wall and method of use thereof
JP2009220012A (ja) 汚泥破砕装置
CN105435971A (zh) 一种超细粉末固液分离机
CN211284112U (zh) 污泥干化装置
JP2015013277A (ja) スラッジ塊破砕機
CN201361467Y (zh) 刮刀套筒式结晶器
JP2007098290A (ja) 細破砕装置およびドラムドライヤ
TWI586435B (zh) 離心脫水裝置
JP7406702B2 (ja) 固液分離機
CN202382534U (zh) 用于碳化硅浆料干燥的闪蒸干燥机
CN206810511U (zh) 卧螺离心机及结晶盐脱水系统
CN205182959U (zh) 一种超细粉末固液分离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