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034B1 - 밸브정렬을 향상시킨 가정용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기액분리 및 자동 드레인 장치 - Google Patents

밸브정렬을 향상시킨 가정용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기액분리 및 자동 드레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034B1
KR101315034B1 KR1020110066549A KR20110066549A KR101315034B1 KR 101315034 B1 KR101315034 B1 KR 101315034B1 KR 1020110066549 A KR1020110066549 A KR 1020110066549A KR 20110066549 A KR20110066549 A KR 20110066549A KR 101315034 B1 KR101315034 B1 KR 101315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rain passage
float
water
bidirectiona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145A (ko
Inventor
김경환
오재기
Original Assignee
(주)오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선텍 filed Critical (주)오선텍
Priority to KR1020110066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034B1/ko
Publication of KR20130005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11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 H01M8/04156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with product water removal
    • H01M8/04164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with product water removal by condensers, gas-liquid separators or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3/00Floats for actuation of valves or 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10Fuel cell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용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생성된 반응가스에서 수분을 분리하고 분리된 수분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드레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내부의 물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부유물이 부유물 가이드부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양방향밸브가 배수통로를 정확하게 폐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정렬을 향상시킨 가정용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기액분리 및 자동 드레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밸브정렬을 향상시킨 가정용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기액분리 및 자동 드레인 장치{Liquid separation and Auto-drain devices improving valve closing}
본 발명은 밸브정렬을 향상시킨 가정용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에서 생성된 반응가스에서 수분을 분리하고 분리된 수분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드레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방향밸브와 부유물 사이에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는 연결줄을 설치하여 부유물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양방향밸브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부유물이 부유물 가이드부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양방향밸브가 배수통로를 정확하게 폐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정렬을 향상시킨 가정용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기액분리 및 자동 드레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은 수소 가스와 산소를 함유한 공기를 연료로 사용하며,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반응을 유발시킴으로써 전기 에너지와 열을 발생시키는 발전장치이다.
이러한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은 개략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즉, 연료전지 시스템은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반응이 유발되는 연료전지와, 발전연료로 사용되는 연료를 개질하는 연료처리장치,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장치, 연료의 수분과 기체를 분리하는 기액분리기 등을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은 연료전지와 연료처리장치, 공기공급장치, 물 공급장치 사이에 다수의 배관이 연결 설치되며, 이러한 배관들을 통해 개질된 수소가스 또는 공기와 물이 공급되거나 배출된다. 이러한 공급연료는 일반적으로 일정량 이상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연료전지의 반응작용을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의 기액분리기는 본체(1')의 내부에 부유물(33)과 양방향밸브(31') 및 부유물(33)과 양방향밸브(31')를 연결하는 연결바(32')를 구비한 개폐수단(3')이 설치된다.
그런데, 연결바(32')가 금속의 파이프 형태이기 때문에 부유물(33)이 유동하면 유동에 따른 진동이 그대로 연결바(32')를 통해 양방향밸브(31')에 전해진다. 이에 따라, 양방향밸브(31')가 진동하여 배수통로(13')에 제대로 안착하지 않고, 틀어져서 불안정하게 안착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양방향밸브(31')가 배수통로(13')에 경사지게 틀어져 안착하면 양방향밸브(31')와 배수통로(13')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여 본체(1')에 수용된 수분이 배수통로(13')를 통해 본체(1') 밖으로 모두 빠져나간다. 따라서, 본체(1')에 수용된 수분이 모두 빠져나가면 유입구(11)를 통해 본체(1')로 유입되는 가스도 배수통로(13')를 통해 빠져나갈 수 있으며, 또한 배수통로(13')의 하부에서 역방향의 압력이 발생하면 본체(1')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반응가스가 타공판(2')을 통과하더라도 타공판(2')을 통과한 반응가스는 일정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일정량의 수분을 함유한 반응가스가 배기구(12)를 통해서 그대로 배출되기 때문에, 배출된 반응가스가 연료전지의 발전 성능 및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부유물의 유동에 따른 진동이 양방향밸브로 전해지는 것을 연결줄이 이를 차단하여 배수통로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고, 부유물이 부유물 가이드부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양방향밸브가 배수통로를 정확하게 폐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료전지의 발전 성능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밸브정렬을 향상시킨 가정용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기액분리 및 자동 드레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응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반응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구와 하단에 물이 배출되는 배수통로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반응가스에 함유된 수분을 분리시켜 상기 본체의 하단으로 떨어지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유입구 위쪽에 설치되는 분리막 및 상기 본체의 하단으로 수분이 떨어져 모인 물에 의해 승강하는 부유물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부유물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부유물 가이드부와, 상기 부유물에 의해 상기 배수통로의 상단과 하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양방향밸브와, 상기 부유물과 양방향밸브를 연결하되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는 연결줄을 구비한 개폐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정렬을 향상시킨 가정용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기액분리 및 자동 드레인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부유물 가이드부의 상단은 상기 본체의 상기 유입구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배수통로에는 상기 양방향밸브를 상기 배수통로의 아래쪽으로 당겨주도록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부유물의 유동에 따른 진동이 양방향밸브로 전해지는 것을 연결줄이 이를 차단하여 배수통로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고, 진동에 따른 소음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유물이 부유물 가이드부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양방향밸브가 배수통로를 정확하게 폐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양방향밸브와 배수통로의 사이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양방향밸브의 하강시에 배수통로를 확실히 폐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반응가스내 포함된 수분의 응결이 부유물 가이드부와 분리막에 의해 촉진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정용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기액분리 및 자동 드레인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밸브정렬을 향상시킨 가정용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기액분리 및 자동 드레인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2에 도시된 부유물 가이드부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밸브정렬을 향상시킨 가정용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기액분리 및 자동 드레인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밸브정렬을 향상시킨 가정용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기액분리 및 자동 드레인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밸브정렬을 향상시킨 가정용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기액분리 및 자동 드레인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2에 도시된 부유물 가이드부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밸브정렬을 향상시킨 가정용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기액분리 및 자동 드레인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밸브정렬을 향상시킨 가정용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기액분리 및 자동 드레인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밸브정렬을 향상시킨 가정용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기액분리 및 자동 드레인 장치는, 본체(1), 분리막(2) 및 개폐유닛(3)을 포함한다.
본체(1)는, 대략 원통형의 가스탱크형태로, 일측에 본체(1)의 내부공간으로 반응가스를 유입시키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상단에 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구(12)가 형성되며, 하단에 물이 배출되는 배수통로(13)가 설치된다. 여기서, 배수통로(13)는 상부 내부가 깔때기 형태로 형성되고, 중간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부 내부의 형상은 상부와 대칭된다. 여기에, 배수통로(13)의 상부에는 양방향밸브(31)와 밀폐성능을 향상되도록 고리형태의 패킹(P)이 설치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본체(1)의 내부에는 원통형의 부유물 가이드부(35)가 형성된다. 부유물 가이드부(35)의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분리막(2)은, 본체(1)의 내부 천장에서 떨어지는 물은 상단에서 하단으로만 천천히 스며들어 통과되고, 하단에서 상단으로는 본체(1) 내부로 유입된 반응가스에서 수분을 거른 가스만 통과하도록, 대략 매쉬형태의 원판형으로 본체(1)의 유입구(11) 위쪽에 배치되어 본체(1)의 내부에 수평이게 설치된다. 여기서, 분리막(2)은 고열의 가스에 의해서 변형되거나 수분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SUS(Stainless Use Steel)재질로 형성된다. 이때, 본체(1)의 유입구(11)에서 맺힌 수분은 본체(1)의 하단으로 떨어져 모이고,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반응가스는 분리막(2)을 통과해서 상부로 이동하는데, 반응가스에 포함된 수분의 대부분은 분리막(2)에서 걸러진다. 이에 따라, 분리막(2)에 수분이 맺혀서 본체(1)의 하단으로 떨어져 모인다.
개폐유닛(3)은, 본체(1)의 배수통로(13)를 개폐하는 것으로, 양방향밸브(31), 연결줄(32) 및 부유물(33) 및 스프링(18)을 포함한다.
양방향밸브(31)는, 상부가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간은 원통형이며 하부의 형상은 상부와 대칭된다. 즉, 본체(1)의 배수통로(13)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되, 중간의 원통형은 배수통로(13)의 원통 부분보다 길게 형성된다. 여기에, 양방향밸브(31)의 하부에는 배수통로(13)와 밀폐성능이 향상되도록 고리형태의 패킹(P)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양방향밸브(31)가 내려간 상태에서는 배수통로(13)의 상부에 끼워진 패킹(P)과 양방향밸브(31)의 상부가 밀착되어 배수통로(13)의 상부가 차단되고, 양방향밸브(31)가 상승하면 배수통로(13)와 양방향밸브(31) 사이에 틈새가 생겨서 본체(1)의 하단에 모인 수분이 배수통로(13)를 통해 빠져나간다. 그리고, 양방향밸브(31)가 상부로 이동하면 양방향밸브(31)의 하부에 끼워진 패킹(P)과 배수통로(13)가 밀착되어 배수통로(13)의 하부가 차단된다. 이는, 배수통로(13)의 하부에서 역으로 압력이 작용하면 양방향밸브(31)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배수통로(13)의 하부를 차단하여 본체(1)의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연결줄(32)은, 대략 실 형태로 한쪽이 양방향밸브(31)의 상단에 연결되고, 다른 쪽은 부유물(33)의 하단에 연결된다. 이때, 연결줄(32)은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는 테프론 등의 재질로 형성된다. 가령, 부유물(33)은 본체(1)의 하단에 고인 물에 떠다니면서 유동하며, 이때 부유물(33)의 진동이 양방향밸브(31)로 전달될 수 있는데, 연결줄(32)이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기 때문에 중간에 부유물(33)의 진동을 차단해 주므로 양방향밸브(31)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양방향밸브(31)가 배수통로(13)에서 안정된 상태로 작동할 수 있다. 만약,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밸브(31')와 부유물(33)을 연결할 때, 파이프 등과 같은 변형되지 않는 경질의 연결바(32')를 사용하면 부유물(33)이 흔들릴 때 발생하는 진동이 양방향밸브(31')로 전달되어 양방향밸브(31')가 배수통로(13')에 경사지게 틀어져 불안정하게 놓일 수 있으며, 양방향밸브(31')와 배수통로(13')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여 본체(1')의 하단에 고인 물이 조금씩 빠져나가고, 나아가 물이 다 빠져나간 후에는 본체(1')의 유입구(11)로부터 유입되는 반응가스도 배수통로(13')를 통해 빠져나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부유물(33)이 유동하더라도 부유물(33)의 진동을 연결줄(32)에서 상쇄시킴으로써, 양방향밸브(31)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양방향밸브(31)가 안정적으로 작동되면서 양방향밸브(31)가 배수통로(13)에 불안정하게 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유물(33)은, 대략 원통형으로 본체(1)의 내부에 배치되어 연결줄(32)에 의해 양방향밸브(31)와 연결된다. 여기서, 부유물(33)은 본체(1)의 하부에 고인 물 위에 떠다니며 수위에 따라 상승 및 하강한다. 즉, 본체(1)의 하부에 고인 물의 수위가 높아지면 부유물(33)이 상승하면서 양방향밸브(31)를 잡아당긴다. 이에 따라, 양방향밸브(31)가 상승하면서 배수통로(13)가 열리고, 본체(1)의 하부에 고인 물이 배수통로(13)를 통해 본체(1) 밖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일정량의 물이 본체(1) 밖으로 배출되면, 수위가 낮아져 부유물(33)이 하강하면서 양방향밸브(31)가 자중에 의해서 내려간다. 따라서 양방향밸브(31)가 하강하면서 배수통로(13)의 상부가 자동으로 차단된다.
부유물 가이드부(35)는 중앙에 빈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이며 원통형 벽면은 다수의 구멍(37)들이 형성되어 있다. 부유물 가이드부(35)의 내경은 부유물(33)의 외경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어 부유물 가이드부(35)의 내측공간에 부유물(33)이 위치하도록 부유물 가이드부(35)의 하단이 본체(1)의 내측하부에 고정된다. 부유물 가이드부(35)의 하단은 본체(1)의 배수통로(13)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본체(1)에 고정된다. 부유물 가이드부(35)의 상단은 본체(1)에 형성된 유입구(11)보다 높게 위치한다. 부유물 가이드부(35)의 벽면에 다수의 구멍(37)들이 형성된 것은 부유물 가이드부(35)의 내측과 외측이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스프링(18)은 양방향밸브(31)를 배수통로(13)의 아래쪽으로 끌어당기는 역할을 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스프링(18)의 상부가 배수통로(13)의 상부의 내측단턱(15)에 지지되고 스프링(18)의 하부가 양방향밸브(31)의 아래쪽에 지지되며 스프링(18)은 양방향밸브(31)를 배수통로(13)의 아래방향으로 밀어내도록 하기 위해 약간 압축된 상태로 설치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1)의 내부에 분리수단(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리수단(4)은, 가이드패널(41) 및 복수의 플레이트(42)를 포함한다.
가이드패널(41)은, 대략 상단 및 하단이 개구된 원통 형태로, 폭이 본체(1)의 내부 폭 보다 작게 형성되고, 본체(1)의 배기구(12) 아래에 배치되어 본체(1)의 상단 저면에 설치된다. 즉, 가이드패널(41)은 본체(1)의 내부로 고온고압의 반응가스가 유입되면 반응가스의 압력에 의해서 본체(1)의 내 벽면에 맺힌 수분이 본체(1)의 내 벽면을 타고 올라가서 배기구(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배기구(12)의 주변을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체(1)의 내 벽면에 맺힌 수분이 가이드패널(41)에 차단되어 아래로 떨어진다. 여기서, 가이드패널(41)은 플레이트(42)를 용이하게 설치하도록, 상면이 사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42)는, 가이드패널(41)의 내측에 다수가 일정간격으로 층층이 설치되되, 가이드패널(41)의 내측 양쪽에 설치된다. 이때, 플레이트(42)는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분리막(2)을 통과한 반응가스가 지그재그처럼 돌아서 배기구(12)를 통해서 빠져나가도록, 가이드패널(41)의 내측 양쪽에 설치된 플레이트(42)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가이드패널(41)의 반지름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는, 분리막(2)을 통과한 반응가스가 수분을 포함할 수 있는데, 수분을 포함한 반응가스를 우회시키고 가스가 우회하면서 가스에 포함된 수분이 플레이트(42)에 부딪혀 이슬처럼 맺히게 하여 플레이트(42)의 저면을 타고 흘러내리게 함으로써, 반응가스에 잔존하는 수분을 제거하여 분리막(2)의 상단으로 떨어트린다. 따라서, 배기구(12)를 통해서 빠져나가는 반응가스는 수분이 거의 제거된 상태로 빠져나갈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밸브정렬을 향상시킨 가정용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기액분리 및 자동 드레인 장치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밸브(31)는 자중에 의해서 배수통로(13)를 차단한 상태를 유지하며, 부유물(33)은 물 위에 떠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유입구(11)에서 반응가스가 유입되면, 본체(1)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반응가스는 1차로 부유물 가이드부(35)의 외벽에 부딪쳐서 반응가스내 포함된 수분의 일부가 부유물 가이드부(35)의 외벽에 응결되어 맺히고 응결되어 맺힌 수분은 본체(1)의 하단으로 떨어진다. 부유물 가이드부(35)에서 응결되지 않은 반응가스는 2차로 분리막(2)을 향하여 이동한다. 분리막(2)으로 진행하는 반응가스는 분리막(2)을 통과하고, 반응가스에 포함된 대부분의 수분은 분리막(2)에 부딪혀 이슬처럼 맺히며, 나아가 이슬이 커지면서 본체(1)의 하단으로 떨어져 본체(1) 내부에 고인다. 반응가스내 포함된 수분의 응결은 반응가스가 부유물 가이드부(35)와 분리막(2)가 부딪치면서 촉진되는 것이다.
이렇게, 본체(1)의 하단에 고인 물은 수위가 점점 상승하고, 부유물(33)도 함께 상승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한 부유물(33)은 연결끈(32)을 통해 양방향밸브(31)를 잡아당기고, 당겨진 양방향밸브(31)는 위로 상승하여 배수통로(13)가 열리게 된다. 이에 따라, 본체(1)의 하단에 고인 물이 배수통로(13)를 통해 본체(1) 밖으로 빠져나가고, 물의 수위가 점차 내려가면서 부유물(33)도 함께 내려온다.
부유물(33)이 내려오면 양방향밸브(31)는 자중에 의해서 하강하고, 배수통로(13)의 상부가 양방향밸브(31)에 의해서 차단된다.
이 때 본체(1)의 내부공간을 수분이 채워서 수위가 상승하면 부유물(33)이 떠오르는데, 이 때 부유물(33)은 부유물 가이드부(35)에 의해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을 받게 되므로 부유물(33)은 배수통로(13)의 위쪽에서 좌우방향으로 크게 위치를 벗어나지 않고 배수통로(13)의 바로 위쪽에 위치할 수 있다.
만약 본체(1)에 부유물 가이드부(35)가 형성되지 않는다면 본체(1)내부에 액체의 수위가 올라가서 부유물(33)이 떠오르면 부유물(33)이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제한을 받지 않으므로 부유물(33)이 좌우로 큰 거리를 움직일 수 있다. 부유물(33)이 좌우로 크게 움직이면 아무래도 양방향밸브(31)가 수평을 벗어나서 기울어진 상태가 될 수 있고 부유물(33)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액체의 수위가 내려갈 경우 양방향밸브(31)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하강하여 배수통로(13)에 내려앉을 수 있다. 양방향밸브(31)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배수통로(13)에 내려앉게 되면 양방향밸브(31)가 배수통로(13)를 완전히 밀폐하지 못하고 양방향밸브(31)와 배수통로(13)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게 되어 수분이 모두 배출되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양방향밸브(31)가 기울어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서 부유물 가이드부(35)를 구비하여 부유물(33)이 가능한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도록 하고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최소화되도록 하였다.
또한 본체(1)의 내부에 채워진 액체의 수위가 상승하여 부유물(33)이 상승하면 부유물(33)에 연결된 연결줄(32)이 양방향밸브(31)를 들어올려서 양방향밸브(31)가 상승하고 배수통로(13)와 양방향밸브(31)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18)은 압축되게 된다. 이후 본체(1)의 내부의 수위가 내려가면 부유물(33)도 함께 하강하고 그 결과 양방향밸브(31)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배수통로(13)의 위쪽을 막게되는데 이 때 압축되었던 스프링(18)이 복원되면서 스프링(18)은 양방향밸브(31)를 아래방향으로 강제적으로 끌어당기고 따라서 양방향밸브(31)가 배수통로(13)의 위쪽에서 더 확실하게 폐쇄하도록 한다. 혹여 양방향밸브(31)가 정렬이 다소 어긋난 상태에서 하강하여 배수통로(13)에 놓여지는 경우에 양방향밸브(31)를 아래로 끌어당기는 별도의 외력이 없으면 배수통로(13)와 양방향밸브(31)의 사이의 정렬이 어긋나서 배수통로(13)와 양방향밸브(31)의 사이에 틈새가 존재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압축되었던 스프링(18)이 복원되면서 양방향밸브(31)를 강제적으로 아래로 끌어당기기 때문에 양방향밸브(31)와 배수통로(13)의 사이의 오정렬 상태가 해소되어 정렬상태가 되고 따라서 양방향밸브(31)가 배수통로(13)의 위쪽을 확실하고 정확하게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수위에 따라서 상술한 작동과정이 자동으로 반복되면서 본체(1)의 내부에는 항상 일정량의 물이 유지되고, 물의 양이 많아지면 개폐유닛(3)이 수분을 본체(1) 밖으로 자동으로 배출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부유물(33)의 유동에 따른 진동을 연결줄(32)에서 상쇄시킴으로써, 양방향밸브(31)가 유동 또는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양방향밸브(31)를 안정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양방향밸브(31)가 승하강시에 양방향밸브(31)가 기울어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서 부유물 가이드부(35)를 구비함으로써 부유물(33)이 가능한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도록 하고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최소화하여 양방향밸브(31)의 하강시에 배수통로(13)를 확실히 폐쇄하도록 하였으며, 또한 양방향밸브(31)와 배수통로(13)의 사이에 스프링(18)을 설치하여 양방향밸브(31)의 하강시에 배수통로(13)를 확실히 폐쇄하도록 하였고, 부유물 가이드부(35)와 분리막(2)을 통해 수분의 응결이 더 잘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분리막(2)을 통과한 수분이 있더라도 분리수단(4)에 의해 반응가스에 포함된 수분을 한번 더 걸러서 반응가스를 배출하기 때문에 연료전지의 발전 성능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본체
11; 유입구
12; 배기구
13; 배수통로
18: 스프링
2; 분리막
3; 개폐유닛
31; 양방향밸브
32; 연결줄
33; 부유물
35: 부유물 가이드부
4; 분리수단
41; 가이드패널
42; 플레이트
P; 패킹

Claims (3)

  1. 반응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반응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구와, 하단에 물이 배출되는 배수통로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반응가스에 함유된 수분을 분리시켜 상기 본체의 하단으로 떨어지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유입구 위쪽에 설치되는 분리막; 및
    상기 본체의 하단으로 수분이 떨어져 모인 물에 의해 승강하는 부유물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부유물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부유물 가이드부와, 상기 부유물에 의해 상기 배수통로의 상단과 하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양방향밸브와, 상기 부유물과 양방향밸브를 연결하되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는 연결줄을 구비한 개폐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정렬을 향상시킨 가정용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기액분리 및 자동 드레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 가이드부의 상단은 상기 본체의 상기 유입구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정렬을 향상시킨 가정용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기액분리 및 자동 드레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통로에는 상기 양방향밸브를 상기 배수통로의 아래쪽으로 당겨주도록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정렬을 향상시킨 가정용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기액분리 및 자동 드레인 장치.
KR1020110066549A 2011-07-05 2011-07-05 밸브정렬을 향상시킨 가정용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기액분리 및 자동 드레인 장치 KR101315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549A KR101315034B1 (ko) 2011-07-05 2011-07-05 밸브정렬을 향상시킨 가정용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기액분리 및 자동 드레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549A KR101315034B1 (ko) 2011-07-05 2011-07-05 밸브정렬을 향상시킨 가정용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기액분리 및 자동 드레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145A KR20130005145A (ko) 2013-01-15
KR101315034B1 true KR101315034B1 (ko) 2013-10-04

Family

ID=47836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549A KR101315034B1 (ko) 2011-07-05 2011-07-05 밸브정렬을 향상시킨 가정용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기액분리 및 자동 드레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0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10569B (zh) * 2019-07-02 2022-03-18 芜湖顺荣汽车部件有限公司 用于解决燃油箱上阀门异响的浮子总成结构
DE102022118525A1 (de) * 2022-07-25 2024-01-25 Wolf Gmbh Abscheideeinrichtung, insbesondere Luft- und/oder Kältemittelabscheideeinrichtung für eine Wärmepumpenanla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966A (ko) * 1999-06-10 2001-01-05 조성호 양변기 저수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100349638B1 (ko) 1999-08-31 2002-08-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배수장치를 구비한 연료필터
JP4166513B2 (ja) * 2002-06-14 2008-10-15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フロート式ドレントラップ
KR100954431B1 (ko) 2007-11-06 2010-04-27 (주)퓨얼셀 파워 연료전지 시스템용 기액 분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966A (ko) * 1999-06-10 2001-01-05 조성호 양변기 저수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100349638B1 (ko) 1999-08-31 2002-08-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배수장치를 구비한 연료필터
JP4166513B2 (ja) * 2002-06-14 2008-10-15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フロート式ドレントラップ
KR100954431B1 (ko) 2007-11-06 2010-04-27 (주)퓨얼셀 파워 연료전지 시스템용 기액 분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145A (ko) 201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623B1 (ko) 폐수처리장치의 수류 공간흐름을 이용한 수직유도판형 가압부상조
CN206188431U (zh) 气浮机排渣组件及气浮机
US9993746B2 (en) Sulfur seal device
KR101315034B1 (ko) 밸브정렬을 향상시킨 가정용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기액분리 및 자동 드레인 장치
KR101157139B1 (ko) 가정용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기액분리 및 자동 드레인 장치
KR101394795B1 (ko) 연료전지 시스템용 이온필터의 기포제거장치
US20120187043A1 (en) Immersion membrane apparatus cleaning process and immersion membrane apparatus
KR100938411B1 (ko) 부유물 흡입기
CN210114966U (zh) 一种水汽分离装置
JP2009195792A (ja) 浄水器および燃料電池用改質システム
KR20120085995A (ko) 지하수 재활용을 위한 집수조용 급수장치
RU2712581C1 (ru) Дега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наэробного очист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CN203021354U (zh) 三相分离器
KR100954431B1 (ko) 연료전지 시스템용 기액 분리기
CN207928785U (zh) 一种油气水三相分离装置
CN210050569U (zh) 汽水分离疏水阀
JP2011112176A (ja) 真空ドレン排出装置
KR102326266B1 (ko) 침전식 용수여과장치
TW201422802A (zh) 用以調節與控制氣體壓力的裝置及方法
CN203763904U (zh) 水封罐撇油装置
RU2766135C1 (ru) Газожидкостный сепаратор
CN115367867B (zh) 高浓度有机废水资源化处理系统及方法
CN208911723U (zh) 一种气水分离器
CN221061831U (zh) 一种控制脱硫废液泡沫外溢的装置
CN203763905U (zh) 一种水封罐撇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