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4981B1 - 자동청소기능을 갖는 전등 - Google Patents

자동청소기능을 갖는 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4981B1
KR101314981B1 KR1020120061713A KR20120061713A KR101314981B1 KR 101314981 B1 KR101314981 B1 KR 101314981B1 KR 1020120061713 A KR1020120061713 A KR 1020120061713A KR 20120061713 A KR20120061713 A KR 20120061713A KR 101314981 B1 KR101314981 B1 KR 101314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ight
brush
light cover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현
Original Assignee
이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현 filed Critical 이지현
Priority to KR1020120061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4981B1/ko
Priority to PCT/KR2012/009324 priority patent/WO201318382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청소기능을 갖는 전등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전력공급이 필요없이도 자동 청소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구조가 간소화 됨은 물론 고장발생율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투광판의 외부면과 더불어 내부면도 동시에 청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청소효율이 향상되어 투광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부러시가 작동되지 않고 투광판의 회전에 의해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동구조가 간소해지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청소기능을 갖는 전등{THE LIGHTING THAT HAVE AUTO-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자동청소기능을 갖는 전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등커버가 회전되면서 브러시와 접촉되어 표면의 먼지가 제거되도록 하여 브러시 작동에 의한 그림자 발생 등의 현상을 방지하고, 전동구조 없이도 회전에 의한 먼지 제거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어 구조가 간소해지고 유지보수가 손쉬워짐은 물론 에너지 절감효과도 얻을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이나 실내외 전등은 발광 램프가 전등커버 내에 수용되고, 내부의 발광램프로부터 발산된 빛이 전등커버의 투광판을 통해 조사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등은 장기간 사용 시 먼지 등이 투광판 전체 표면에 묻게되어 발광램프로부터 발산된 빛의 투광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투광판 표면을 청소하게 되는데, 기존에는 전등커버의 청소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다 보니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가로등일 경우 고소작업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추락사고나 교통사고 위험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가로등의 투광판 외부면에 묻은 먼지를 자동으로 청소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는데, 종래기술은 모두 전동모터를 이용해 브러시 등을 자동차 와이퍼 형태로 회동시켜 투광판 표면의 먼지를 쓸어내는 방식이다.
그런데 종래기술은 이렇게 전동구동구조를 가짐에 따라 전력소모가 크고 고장의 위험이 큰 단점을 갖는다.
그리고 브러시가 회동하면서 투광판 표면을 쓸어내기 때문에, 전등빛이 조사되는 과정에서 브러시가 회동할 경우 브러시의 그림자가 생겨 광 조사 효율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단점도 갖는다.
또한 종래기술은 단순히 투광판의 외부면에 묻어 있는 먼지만 제거하는 구조임으로 장시간 사용 시 외부먼지가 투광커버 내부로 유입되어 쌓인 먼지는 제거할 수 없어 광 투과효율에 악영향을 미치게 됨은 물론,
결국 작업자가 내부 먼지 제거를 위해 직접 전등커버 내부를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길 수밖에 없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96202호(2010.11.17)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전력공급 없이도 전등커버 표면의 자동 먼지제거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기존 전동방식에 비해 구조가 간소화되어 고장발생률을 낮출 수 있으며 에너지 절감효과을 가질 수 있는 자동청소기능을 갖는 전등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전등커버의 외표면과 내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청소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수작업으로 전등커버 내부청소를 해야하는 번거로움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청소기능을 갖는 전등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브러시의 작동에 의한 그림자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청소기능을 갖는 전등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고정 설치부, 상기 고정 설치부에 연결되되,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내부에는 발광램프가 연결되어 있는 전등커버, 상기 전등커버와 연결되어 상기 전등커버의 회전을 유도하는 회전유도부, 일단부가 상기 고정 설치부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등커버의 외부면에 접촉되어 있는 먼지제거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등커버는 일측이 상기 고정 설치부를 감싸는 형태로 연결되고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회전유도부가 연결되어 있는 회전본체, 일측이 상기 회전본체와 연결되어 있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발광램프가 설치되어 있으며 투광재질의 투광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유도부는 일단부가 상기 회전본체의 둘레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본체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는 날개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유도부는 상기 고정설치부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제1회전체, 상기 회전본체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회전체와 연결되어 회전 연동 가능한 제2회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제거부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는 제1스프링, 상기 제1스프링의 타단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등커버의 외부면과 접촉되어 있는 제1브러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러시는 표면에 브러시 털이 형성되되 상기 브러시 털은 브러시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광커버 내부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발광램프의 상측을 둘러싸고 있는 반사갓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먼지제거부는 일단부가 상기 반사갓에 연결되어 있는 제2스프링, 일단부가 상기 제2스프링의 타단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일측이 상기 투광커버의 내부면과 접촉되어 있는 제2브러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브러시와 제2브러시는 상기 전등커버를 정면에서 봤을 때 중심점으로부터 사선 방향으로 치우친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먼지제거부는 고정된 상태에서 전등커버가 먼지제거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표면의 먼지가 제거되기 때문에, 전등빛이 조사되는 과정 먼지제거부의 작동에 의한 그림자 발생 현상이 방지되어 광 조사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회전유도부가 날개 형태임에 따라 회전본체 및 투광커버가 별도의 전력공급없이 단순 풍력에 의해 회전되므로 친환경적이고 구조가 간소해지며 먼지제거가 수시로 이루어질 수 있어 청소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브러시가 스프링에 연결된 상태에서 투광커버에 접촉되어 있고 브러시 털이 나선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브러시의 위치가 투광커버의 회전과정에서 자유롭게 이동되면서 먼지를 쓸어낼 수 있어, 청소효율이 향상되는 장점도 갖는다.
더불어 브러시의 브러시 털이 나선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브러시의 위치변화 후 원위치 복귀가 자동으로 유도됨으로 청소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투광커버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제2스프링과 제2브러시에 의해 투광커버 내부면의 먼지도 쓸려 제거됨으로 청소효율 및 투광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제1브러시 및 제2브러시가 상기 투광커버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사선방향으로 치우친 지점에 위치됨으로 빛의 조사과정에서 각 브러시가 빛의 투광을 방해하지 않게되는 장점도 갖는다.
도1은 전체 사시도
도2는 전체 측면도
도3은 전체 측단면도
도4는 제2제거부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5는 회전유도부 날개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배면도
도6은 날개의 변형예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7은 회전유도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8 및 도9는 스위칭부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 자동청소기능을 갖는 전등은 [도 1]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고정설치부(100)와 전등커버(200), 고정프레임(510), 회전유도부(400) 및 먼지제거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고정설치부(100)는 본 발명의 고정설치 기능을 하는 것으로 도면과 같이 본 발명의 적용분야가 가로등일 경우 고정설치부(100)는 가로등 지주가 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이 실내 전등으로 구현될 경우 고정설치부는 후술하는 전등커버(200)를 비롯한 전체 구성요소들을 벽면이나 천장에 고정설치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이처럼 고정설치부(100)는 도면과 같은 지주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적용분야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설치부(100)에는 전등커버(200)가 설치된다.
전등커버(200)는 명칭 그대로 전등의 외부 케이싱 역할과 발광램프(300) 등의 설치 기능 및 자체 표면 청소를 위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다시 고정봉(210)과 회전본체(220)및 투광커버(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고정봉(210)은 전등커버(200)와 고정설치부(100) 간의 연결매개체 역할 및 소켓(310) 등의 설치기능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중공관 형태이고 일측단부에 고정설치부(100)의 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봉(210) 중 고정설치부를 둘러싸고 있는 구간의 둘레면에는 전등커버(200)의 원활한 회전을 유도하기 위한 베어링(B)이 설치된다.
고정봉(210)과 함께 전등커버(200)를 구성하는 또 다른 요소인 회전본체(220)는 전등커버(200) 중 실제 회전 기능을 하는 것으로, 중공관 형태의 회전관(222) 및 회전관(222)의 전측 단부에 형성된 연결함체(224)로 구성된다.
그 중 회전관(222)은 베어링(B)이 둘레를 둘러싼 형태, 즉 고정설치부(100)의 단부와 고정봉(210) 및 베어링(B)이 삽입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고정봉(210)은 회전관(222)보다 길게 제작되어 고정봉(210)이 회전관(222) 내에 삽입되었을 때 고정봉(210)의 후단부가 회전관(222)의 후단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회전관(222)은 베어링(B)을 매개체로 하여 고정봉(210)의 둘레를 따라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회전관(222)의 전측에 형성되는 연결함체(224)는 후술하는 회전유도부(400)가 설치되는 기능 및 후술하는 투광커버(230)와의 연결기능을 하는 것으로, 전면부가 개방된 함체 형태이고 후단부가 회전관(222)의 앞쪽 테두리와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연결함체(224)의 전측 테두리에는 투광커버(230)와의 고정결합을 위한 제1체결편(225)이 돌출 형성되고, 둘레면에는 역시 투광커버(230)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레일(226)이 형성된다.
이때 체결레일(226)은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체결돌기가 끼워졌을 때 직선방향으로는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회전본체(220)와 함께 전등커버(200)를 구성하는 투광커버(230)는 발광램프(300)의 보호기능과 더불어 발광램프로부터 발산된 빛의 외부 조사를 위한 투광기능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후단부가 개방된 원통 구조이고 자체적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의 투광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투광커버(230)의 후단부 외경이 연결함체(224)의 전단부 내경 이하가 되도록 하여 투광커버의 후단부가 연결함체 전단부에 끼움 형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투광커버(230)는 후단부 테두리 중 연결함체(224)의 제1체결편(225)과 마주하는 지점에는 연결함체(224)의 제1체결편(225)과 동일한 형태의 제2체결편(232)이 마주본 상태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투광커버(230)의 둘레면 양측 지점에는 연결함체(224)의 체결레일(226)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돌기(234)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투광커버(230)는 후단부가 연결함체(224)의 전단부 내부로 끼워지되, 이 과정에서 투광커버(230)의 체결돌기(234)가 연결함체(224)의 체결레일(226)에 끼워짐에 따라 투광커버(230)와 연결함체(224)가 1차적으로 체결된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체결레일(226)이 굴곡진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투광커버(230)을 앞쪽을 향해 직성방향으로 빼내려 하더라도 연결함체(224)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와 동시에 투광커버(230)의 제2체결편(232)은 연결함체(224)의 제1체결편(225)과 마주한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별도의 볼트(B1)로 제1체결편(225) 및 제2체결편(232)을 동시에 관통체결시킴에 따라 투광커버(230)의 흔들림이 완전히 차단된 상태로 고정 설치된다.
이상 설명한 구조에 의해 회전본체(220)와 투광커버(230)는 고정봉(210)을 중심으로 전체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렇게 설치된 전등커버(200)의 내부에는 발광램프(300)와 소켓(310) 및 반사갓(320) 등이 설치되는데, 먼저 소켓(310)은 고정봉(210)의 전단부에 설치되고 이러한 소켓의 전단부에는 발광램가 연결되며 발광램프(300)의 상부에는 반사갓(320)이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발광램프와 소켓 및 반사갓(320)의 구조 및 기능은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이 적용되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이와 별도로 전등커버(200)에는 회전유도부(400)가 더 설치된다.
회전유도부(400)는 풍력을 전등커버(200)로 전달하여 전등커버(200)의 자동 회전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러개의 날개 형태로 이루어지며 각 날개(410)들은 일단부가 연결함체(224)의 둘레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일정간격을 두고 원형배열된 구조로 설치된다.
이때 각 날개들은은 상단부와 하단부가 일정각도로 절곡됨에 따라 바람의 방향에 상관없이 풍력이 전체면적에 걸쳐 작용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이러한 날개 형태의 회전유도부(400)는 도면처럼 반드시 연결함체(224) 외부로 돌출형성되지 않고 [도 6]처럼 연결함체(224) 둘레면에 홈 형태로 가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날개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전체 부피가 축소됨은 물론 날개의 파손 등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는 갖게 된다.
이렇게 날개 형태의 회전유도부(400)가 설치됨에 따라 바람이 전등커버(200)의 좌우측방향으로 불 경우 각 날개(410)에 풍력이 작용되고, 이 풍력은 전등커버로 전달되어 전등커버 전체가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게 된다.
회전유도부까지 설치된 전등커버(200)에는 먼지제거부(500)가 더 설치된다.
먼지제거부(500)는 전등커버(200)의 내 외부 표면에 묻어 있는 먼지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고정프레임(510)과 제1제거부(520) 및 제2제거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고정프레임(510)은 후술하는 제1제거부(520)의 고정 설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봉 형태이고 후단부는 고정봉(210) 중 회전본체(220)의 회전관(222) 후단부로부터 외부로 튀어나온 구간 상에 고정 연결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전측을 향해 배설된 뒤 전측 일정구간은 전등커버(200)의 상부면과 수평 상태로 위치된다.
참고로 고정프레임(510)은 후단부가 고정봉이 아닌 고정설치부(100)에 고정 연결될 수도 있는데, 도면처럼 고정봉(210)에 연결하여 하나의 세트화 시킨 뒤 단순히 고정설치부(100)를 고정봉에 끼워넣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 설치구조를 간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이러한 고정프레임(510)은 전등커버(200)의 최상단 상에 위치되지 않고 [도 4]와 같이 정면에서 봤을 때 투광커버(230) 중심점으로부터 위쪽 사선방향으로 치우친 지점에 위치됨에 따라 전등커버(200)표면과 후술하는 제1브러시(524) 간의 접촉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
제1제거부(520)는 전등커버(200)의 외표면에 묻어 있는 먼지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제1스프링(522)과 제1브러시(524)로 나뉘어 구성되는데,
그 중 제1스프링(522)은 후술하는 제1브러시(524)와 고정프레임(510) 간의 연결기능 과 더불어 표면 먼지 제거과정에서 제1브러시(524)의 자유로운 위치이동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스프링(522)은 고정프레임(510) 중 투광커버(230)과 수평 상태로 위치된 구간의 전후 단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단부가 고정프레임(510)에 고정연결된다.
그리고 제1브러시(524)는 실질적으로 투광커버(230)의 외부면 세척 기능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봉 형태이고 둘레면에는 브러시 털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브러시(524)는 양단부가 각 제1스프링(522)의 하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제1브러시(524)의 브러시 털은 제1브러시(524)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산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투광커버(230)표면의 먼지제거과정에서 제1브러시(524) 전체가 일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고정프레임(510)이 투광커버의 중심점으로부터 위쪽 사선방향을 향해 치우친 상태로 위치되기 때문에, 결국 제1브러시(524)도 투광커버(230)의 중심점으로부터 위쪽 사선 방향을 향해 치우친 지점에 위치되며, 이 상태에서 일측 지점이 투광커버(230) 표면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이처럼 제1브러시(524)가 사선방향으로 치우친 지점에 위치됨에 따라, 제1브러시(524)가 투광커버(230)의 최상단에 위치된 경우와 달리 투광커버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제1브러시가 들어 올려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됨으로, 투광커버와의 안정적인 접촉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1제거부(520)와 함께 먼지제거부(500)를 구성하는 제2제거부(530)는 투광커버(230)의 내부표면에 묻어 있는 먼지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제2스프링(532)과 제2브러시(534)로 나뉘어 구성된다.
그 중 제2스프링(532)은 후술하는 제2브러시(534)를 반사갓(320)에 연결시키는 기능과 더불어 먼지 제거과정에서 제2브러시(534)의 자유로운 위치이동 및 위치복귀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스프링(522)은 투광커버(230)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반사갓(320)의 일측 하부 테두리 전후 단부에 위치되고 각 상단부가 반사갓(320)의 테두리에 고정 연결된다.
그리고 제2브러시(534)는 투광커버(230)의 실제 내부면 세척 기능을 하는 것으로, 제1브러시(524)와 마찬가지로 전체적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봉 형태이고 둘레면에는 브러시 털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브러시(534)는 양단부가 각 제2스프링(532)의 하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제2브러시(534)의 브러시 털도 제2브러시(534)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산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투광커버(230) 내부면의 먼지제거과정에서 제2브러시(534) 전체가 일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위 설명처럼 제2스프링(532)이 반사갓의 일측 테두리에 치우친 상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제2브러시(534)도 투광커버(230)의 중심점으로부터 아래쪽 사선 방향을 향해 치우친 지점에 위치되며, 이 상태에서 일측지점이 투광커버(230) 내부면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제2브러시(534)도 투광커버의 내부 최하단 지점 상에 위치되지 않고 사선방향으로 치우친 지점에 위치됨에 따라 투광커버의 회전과정에서 제2브러시(534)와 투광커버 표면 간의 높은 접촉효율을 얻게 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먼지제거부가 제1제거부(520) 및 제2제거부(530)로 나뉘어져 투광커버(230)의 내 외부 표면의 먼지를 동시에 제거하는 형태로 구현되었으나, 만약 투광커버(230)와 회전본체(220)간의 틈새 밀봉이 완벽하여 먼지의 내부 유입 가능성이 거의 없다면 제2제거부(53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평소에는 내부의 발광램프로부터 발산된 빛이 투광커버를 투광한 후 외부로 조사된다.
[도 3]처럼 가로등 형태로 구현될 경우, 바람은 대부분 자동차의 진행방향, 즉 전등커버의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불게 된다.
이로 인해 바람의 풍력은 회전유도부(400)를 구성하는 각 날개(410)에 작용됨에 따라, 결국 전등커버(200)의 회전본체(220)가 고정봉(210)을 중심으로 바람의 방향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회전본체(220)가 회전됨에 따라, 이와 연결된 투광커버(230)도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투광커버의 외부면과 내부면은 각각 제1브러시(524)와 제2브러시(534)에 접촉된 상태이기 때문에, 투광커버(230)가 회전되면서 투광커버의 외 내부면에 묻어 있던 먼지들이 제1브러시(524)와 제2브러시(534)에 의해 쓸려 제거된다.
즉 본 발명은 브러시가 회동하면서 투광판 표면을 쓸어내던 종래 기술과 달리 브러시는 고정된 상태에서 투광커버가 회전하면서 브러시에 의해 표면이 쓸려지는 형태로 작동되는 것이다.
이렇게 브러시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먼지제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 가로등 불빛이 조사되고 있는 과정이라 해도 브러시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브러시 작동에 의해 그림자가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현상은 방지된다.
더구나 위 설명처럼 제1브러시(524)와 제2브러시(534)가 사선방향으로 치우진 지점에 위치되기 때문에 가로등 불빛의 조사 과정에서 제1브러시(524) 및 제2브러시(534)에 의한 그림자는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위 설명처럼 제1브러시(524)와 제2브러시(534)의 브러시 털이 나선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투광커버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각 브러시는 앞쪽 또는 뒤쪽을 향해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동 과정에서 제1스프링(522)과 제2스프링(532)은 인장된다.
그 후 각 브러시가 특정지점까지 직선이동되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자동 복귀되며, 이러한 과정이 투광커버의 회전과정에서 반복적으로 발생된다.
이렇게 브러시가 자체적으로 위치가 약간씩 변화됨에 따라 그만큼 투광커버의 표면먼지 제거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이처럼 날개 형태의 회전유도부(400)를 설치함에 따라 전동구조 없이 단순히 풍력을 이용해 전등커버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 전동모터를 사용하던 종래기술에 비해 구조가 훨씬 간소해짐은 물론 고장의 우려도 적을 수밖에 없다.
더불어 본 발명은 제1제거부(520) 및 제2제거부(530)를 통해 투광커버의 외부면 뿐만 아니라 내부면도 함께 청소할 수 있으므로 기존과 달리 내부면에 쌓인 먼지에 의해 투광효율이 저하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갖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회전유도부(400)를 이용해 전등커버(200)를 회전시키면서 표면의 먼지가 제거되도록 한 기본 개념은 앞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회전유도부(400)의 형태를 전동 방식으로 구현한 것에 차이가 있다.
이 경우 [도 7]처럼 구동모터(420)이 고정프레임(510)에 설치된 상태에서 구동모터(420)의 구동축에는 벨트풀리 형태의 제1회전체(430)가 연결되고, 전등커버(200)의 회전관(222) 둘레면에는 역시 벨트풀리 형태의 제2회전체(440)가 설치되며, 제1회전체(430)와 제2회전체(440)는 벨트등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연동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구동모터(420)에 의해 제1회전체(430)가 회전함과 동시에 제1회전체(430)도 함께 회전하고, 제2회전체(440)가 회전함에 따라 전등커버(200) 전체가 고정봉(210)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이렇게 전등커버(200)가 회전되면서 제1브러시 및 제2브러시에 의해 내 외부표면의 먼지가 쓸려 제거된다.
참고로 첫번째 실시예의 경우 자연바람이 없는 실내나 터널 등에서서는 전등커버의 회전력을 얻기 힘드므로, 본 실시예는 이렇게 실내나 터널처럼 자연바람이 발생되지 않는 곳에서 사용이 적합하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모터(420)에는 별도의 자동 전원제어 스위칭부(600)가 연결되는데,
스위칭부(600)는 자동적인 전원공급 및 차단 기능을 하는 것으로, 스위치편이 전류스위칭 기능을 하는 기본스위치편(610) 및 기본스위치편(610)에 중첩된 상태로 위치되되 일정온도로 가열되면 자체적으로 변형하여 휘어지는 성질을 갖는 재질의 변형스위치편(62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8]처럼 기본스위치편(610)과 변형스위치편(620)이 평평하게 펴진 상태로 양 접점을 연결한 상태에서 전원이 공급되면 구동모터로 전원이 전달되어 전등커버가 회전하면서 먼지제거가 이루어지고,
전원공급과정에서 변형스위치의 온도가 상승됨에 따라 변형스위치편(620)이 자체적으로 변형되면서 휘어져, 결구 [도 9]와 같이 기본스위치편(610)도 함께 휘어지면서 접점과 분리되어 전원공급이 자동으로 차단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및 조합되어 실식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투광커버를 투명재로 제작하고 브러시는 고정된 상태에서 전등커버가 회전되면서 브러시와의 접촉에 의해 표면의 청소가 되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구조를 간소화 하고 투광효율에 방해되지 않도록 한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100 : 고정설치부 200 : 전등커버
210 : 고정봉 B : 베어링
220 : 회전본체 222 : 회전관
224 : 연결함체 225 : 제1체결편
226 : 체결레일 230 : 투광커버
232 : 제2체결편 234 : 체결돌기
B1 : 볼트 300 : 발광램프
310 : 소켓 320 : 반사갓
400 : 회전유도부 410 : 날개
500 : 먼지제거부 510 : 고정프레임
520 : 제1제거부 522 : 제1스프링
524 : 제1브러시 530 : 제2제거부
532 : 제2스프링 534 : 제2브러시
420 : 구동모터 430 : 제1회전체
440 : 제2회전체 600 : 스위칭부
610 : 기본스위치편 620 : 변형스위치편

Claims (8)

  1. 고정 설치부;
    상기 고정 설치부에 연결되되,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내부에는 발광램프가 연결되어 있는 전등커버;
    상기 전등커버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발광램프의 상측을 커버하는 반사갓;
    상기 전등커버와 연결되어 상기 전등커버의 회전을 유도하는 회전유도부;
    상기 고정 설치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전등커버의 외측에 상기 전등커버와 수평이 되는 상태로 배치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전등커버의 외측면에 타단부가 접촉되어 상기 전등커버의 외표면에 묻어있는 먼지를 제거하는 제 1 제거부와, 상기 반사갓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전등커버의 내측면에 타단부가 접촉되어 상기 전등커버의 내표면에 묻어있는 먼지를 제거하는 제 2 제거부로 구성된 먼지제거부를 포함하는 자동청소기능을 갖는 전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등커버는 일측이 상기 고정 설치부를 감싸는 형태로 연결되고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회전유도부가 연결되어 있는 회전본체;
    일측이 상기 회전본체와 연결되어 있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발광램프 및 반사갓이 설치되어 있으며 투광재질로 이루어진 투광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청소기능을 갖는 전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도부는
    일단부가 상기 회전본체의 둘레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본체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는 날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청소기능을 갖는 전등.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도부는
    상기 고정 설치부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제1회전체;
    상기 회전본체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회전체와 연결되어 회전 연동 가능한 제2회전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청소기능을 갖는 전등.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도부는
    상기 구동모터와 외부전원을 연결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부는 일단부가 접점과 분리 및 접촉가능하여 분리 또는 접촉되면서 전류를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기본스위치편과,
    상기 기본스위치편에 중첩형태로 연결되되 가열 시 휘어지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기본스위치와 접점이 연결된 상태에서 전류에 의해 표면온도가 상승되면 자체적으로 휘어짐에 따라 상기 기본스위치편이 상기 접점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변형스위치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청소기능을 갖는 전등.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거부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는 제1스프링과, 상기 제1스프링의 타단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등커버의 외부면과 접촉되어 있는 제1브러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청소기능을 갖는 전등.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거부는 일단부가 상기 반사갓에 연결되는 제2스프링과 상기 제2스프링의 타단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등커버의 내부면과 접촉되는 제2브러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청소기능을 갖는 전등.
  8. 제 6 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러시와 제2브러시는 상기 전등커버를 정면에서 봤을 때 중심점으로부터 사선 방향으로 치우친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청소기능을 갖는 전등.
KR1020120061713A 2012-06-08 2012-06-08 자동청소기능을 갖는 전등 KR101314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713A KR101314981B1 (ko) 2012-06-08 2012-06-08 자동청소기능을 갖는 전등
PCT/KR2012/009324 WO2013183826A1 (ko) 2012-06-08 2012-11-07 자동청소기능을 갖는 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713A KR101314981B1 (ko) 2012-06-08 2012-06-08 자동청소기능을 갖는 전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4981B1 true KR101314981B1 (ko) 2013-10-14

Family

ID=49637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713A KR101314981B1 (ko) 2012-06-08 2012-06-08 자동청소기능을 갖는 전등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14981B1 (ko)
WO (1) WO20131838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64661B (zh) * 2016-11-30 2019-02-15 江苏宏翔照明电气有限公司 Led路灯灯头
CN111318488B (zh) * 2020-02-28 2021-12-28 深圳市世亮照明有限公司 一种led路灯自清洁装置
CN114422673B (zh) * 2022-01-04 2023-05-02 合肥美的智能科技有限公司 摄像头外罩清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963053B (zh) * 2022-07-25 2022-10-25 山东街景智能制造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自清洁功能的照明装置
CN117570424B (zh) * 2023-11-21 2024-05-10 杭州美科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喷泉照射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3325A (ja) * 1999-08-26 2001-03-21 Heigiyoku Ra 道路等に設けて使用する反射板
KR20010096184A (ko) * 2000-04-17 2001-11-07 김황봉 가로등 커버 청소장치
JP3713443B2 (ja) * 2001-03-28 2005-11-09 健一 中島 清掃装置付き照明装置および清掃装置付き採光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7219A (ja) * 1995-08-22 1997-03-04 Shin Meiwa Ind Co Ltd 道路照明灯具用清掃車
KR20100002638U (ko) * 2008-08-29 2010-03-10 석영 우 청소장치가 구비된 가로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3325A (ja) * 1999-08-26 2001-03-21 Heigiyoku Ra 道路等に設けて使用する反射板
KR20010096184A (ko) * 2000-04-17 2001-11-07 김황봉 가로등 커버 청소장치
JP3713443B2 (ja) * 2001-03-28 2005-11-09 健一 中島 清掃装置付き照明装置および清掃装置付き採光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83826A1 (ko) 201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4981B1 (ko) 자동청소기능을 갖는 전등
CN209839811U (zh) 一种自清洁led洗墙灯
KR20140024202A (ko) 자동청소기능을 갖는 전등
CN203711373U (zh) 一种灯泡清洗装置
CN110081341A (zh) 一种新型全方位可调节led投光灯
CN109737338A (zh) 一种带自动清洁装置的路灯
JP3713443B2 (ja) 清掃装置付き照明装置および清掃装置付き採光窓
CN209960373U (zh) 一种具备清洁功能的城市道路照明路灯
CN218001264U (zh) 安装有散热槽的投光灯
CN214846173U (zh) 一种便携式摄影光漫射器
KR101384886B1 (ko) 자동청소기능을 갖는 전등
CN111649267B (zh) 一种便于除尘的环境艺术照明灯
CN213178169U (zh) 一种带集成反射镜的汽车尾灯
CN111207324A (zh) 一种工地施工用led塔吊灯
CN109520299B (zh) 石墨炉原子吸收光谱仪照明装置及方法
CN209876616U (zh) 一种自清洁led路灯
CN211399545U (zh) 一种具有自动清洁功能的路灯
KR102372486B1 (ko) 태양전지패널 청소용 브러쉬부재를 구비하는 태양광 가로등
CN220532342U (zh) 一种多功能路灯
CN212273843U (zh) 一种自洁式的道路照明高杆灯
CN114963053B (zh) 一种具有自清洁功能的照明装置
CN208735518U (zh) 一种具有自清洁功能的太阳能路灯
CN212664265U (zh) 一种路灯的清洁装置
CN217899725U (zh) 一种分体式太阳能路灯
CN207094306U (zh) 家居智能照明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7